KR101723579B1 -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79B1
KR101723579B1 KR1020160159822A KR20160159822A KR101723579B1 KR 101723579 B1 KR101723579 B1 KR 101723579B1 KR 1020160159822 A KR1020160159822 A KR 1020160159822A KR 20160159822 A KR20160159822 A KR 20160159822A KR 101723579 B1 KR101723579 B1 KR 10172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lifting
reel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하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6015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79B1/ko
Priority to PCT/KR2017/010154 priority patent/WO2018101588A1/ko
Priority to US15/576,994 priority patent/US10609988B2/en
Priority to JP2018530691A priority patent/JP6813581B2/ja
Priority to EP17875060.0A priority patent/EP3549473A4/en
Priority to CN201780001712.7A priority patent/CN10837764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상면부에 수용격벽부가 구비된 베이스바디부; 상기 수용격벽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시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릴부; 하단부가 상기 수용격벽부에 결합되되 내주 상단부에 래칫형 기어가 돌설된 체결격벽부와, 상기 릴부의 상단이 구속되도록 상기 래칫형 기어의 하부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중앙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구획판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어 하강시 상기 릴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외주에 안착단턱이 돌설된 기어몸체부와, 상기 안착단턱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래칫형 기어에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날개부와, 상기 안착단턱의 하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승강홀 테두리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탄발 지지되는 승강고정연장부를 포함하는 승강기어부; 및 상기 승강기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 및 회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임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다.
더욱이, 등산, 경륜 등과 같은 운동 중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임 내지 외부 물체에 의한 걸림 등으로 풀리게 되면 기록 저하는 물론 안전사고로 인한 부상 위험이 증가되므로 신발끈의 풀림은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휴식 중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풀 수 있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속시키는 동시에 필요 시 손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어야만 한다.
이에, 서로 상반되는 신발끈의 조임과 풀림을 원활화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개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가 장착된 신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10)는 신발의 설포(T)에 구비되며, 회전커버(51)를 회전시키면 중간부재(53)와 권취부재(55)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권취부재에 신발끈(L)이 권취되어 감기며 중간부재의 형합구속부(53z)가 하우징(57)의 일방향 래칫기어(57c)에 구속되어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고 구속된다.
이후 상기 회전커버(51)를 상측으로 당기면 회전축(61)의 걸림턱부(62)가 탄성수단(59)을 탄발적으로 가압하여 벌리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중간부재(53)가 상승된다. 이를 통해, 상기 중간부재(53)와 권취부재(55) 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권취부재(55)가 자유회전되므로 신발끈(L)을 당겨서 풀도록 구비되었다.
이를 위해, 얇은 금속으로서 "U"자 형으로 형성된 탄성수단(59)을 별도로 제조하여 복잡한 조립과정을 통해 상기 신발끈 조임장치(10)에 조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신발끈 조임기(10)는 신발끈을 다시 풀 때 상기 회전커버(51)를 상측으로 당길 때 상기 탄성수단(59)이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 제품의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도가 저하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수단(59)이 결합되는 하우징(57) 하부 구조를 복잡하게 변형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회전커버(51)와 회전축(61)이 볼트부재에 의해 상호 체결되므로 볼트부재가 완전하게 체결되지 않은 경우에 동작의 오류가 발생되고, 강제적인 조작시 수지 사출물인 회전축(61)이 금속재질의 볼트부재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53398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면부에 수용격벽부가 구비된 베이스바디부; 상기 수용격벽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시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릴부; 하단부가 상기 수용격벽부에 결합되되 내주 상단부에 래칫형 기어가 돌설된 체결격벽부와, 상기 릴부의 상단이 구속되도록 상기 래칫형 기어의 하부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중앙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구획판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어 하강시 상기 릴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외주에 안착단턱이 돌설된 기어몸체부와, 상기 안착단턱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래칫형 기어에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날개부와, 상기 안착단턱의 하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승강홀 테두리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탄발 지지되는 승강고정연장부를 포함하는 승강기어부; 및 상기 승강기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 및 회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고정연장부는 상기 승강홀 테두리와 대면되도록 연장되되, 외면부에 상기 기어몸체부의 승강시 상기 승강홀 테두리의 상하면과 대향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홀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상기 승강고정연장부의 탄발 변형을 유도하는 구배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측벽부 내주에는 상기 체결격벽부의 외면에 돌설된 체결단턱에 후크 결합되되 후크 결합시 상기 체결단턱으로부터 상기 기어몸체부의 승강간격에 대응되는 유격간격을 갖도록 후크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릴부의 상면부 및 상기 구획판의 하면부에는 상기 릴부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상호 맞물림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및 레일안내부가 구비되되, 상기 릴부의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관통 구속되되 구속된 각각이 회전시 상호 분리 권취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엇갈림 배치된 한쌍의 와이어체결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격벽부의 내주에는 상기 릴부의 하단부가 탄발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릴조립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승강기어부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승강고정연장부가 하우징부의 승강홀 테두리에 탄발 걸림되어 종래의 회전축/탄성부재 등의 추가 부품 없이도 릴부의 자유회전 및 일방향 회전 제한을 위한 승강상태가 유지되므로 부품 수의 감소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승강고정연장부가 상기 릴부의 상단부를 구속하도록 돌설된 구획판의 내측단과 대면되도록 연장됨에 따라 걸림돌기의 탄발 걸림을 위한 별도의 돌출 또는 함몰 구조가 요구되지 않아 하우징부의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부품의 성형 및 제조 난이도의 감소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릴부의 상면부에 돌설된 레일결합부가 구획판의 레일안내부에 의해 안내되어 종래의 회전축과 같은 추가 부품 없이도 릴부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개선되되, 릴부 내측의 와이어 간 연결부분에 대한 회전축의 간섭이 제거되므로 와이어의 설치 및 교체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한쌍의 와이어체결공에 구속되어 상하로 분리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 간 꼬임 및 엉킴이 최소화되어 릴부의 반복적인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시에도 안정적인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가 장착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200)는 베이스바디부(210), 릴부(220), 하우징부(230), 승강기어부(240), 그리고 커버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바디부(210)는 신발 등의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는 지지구조체로,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탄성적인 소재인 강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230)는 내부에 상기 릴부(220)가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승강기어부(240) 및 상기 커버부(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바디부(210)의 상부에 착탈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부(230), 상기 릴부(220), 상기 승강기어부(240) 및 상기 커버부(250)의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바디부(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230) 및 상기 베이스바디부(210)의 결합시 형성된 수용공간에 상기 릴부(220)가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어부(240)는 상기 하우징부(230)에 일방향(R) 회전이 구속되도록 조립되며, 하강시 상기 릴부(220)와 일체로 타방향(CR)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50)는 상기 베이스바디부(210)를 통해 조임대상물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부(230)로부터 독립되어 회전 및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23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250)는 상기 승강기어부(240)와는 일체로 회전 및 승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2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승강 및 타방향(CR)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하강되어 상기 릴부(22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50)가 타방향(CR) 회전되면, 상기 조임대상물에 연결된 와이어(L)가 상기 릴부(220)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부(220)는 승강기어부(240)에 의해 일방향(R) 회전이 제한되며, 와이어(L)의 권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250)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상승되어 상기 릴부(22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릴부(220)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권취된 와이어(L)가 풀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와이어(L)가 권취되고 풀림되기 위한 릴부(220), 승강기어부(240), 커버부(250)의 회전방향은 이하 설명되는 각 구성부품의 형상을 반전함으로써 손쉽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바디부(210)는 설포지지부(212)와 수용격벽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포지지부(212)는 신발의 설포 등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면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면 중앙부에 수용격벽부(215)가 상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격벽부(215)의 원주 일측에는 기설정된 삽입각도의 개구부(215c)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격벽부(215)는 원의 중심각인 360도로부터 상기 삽입각도를 제외한 각도의 원호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용격벽부(215)에는 상기 개구부(215c)와 대향되는 원주 타측의 내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속홈부(215b)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포지지부(212)의 상면부에는 상기 개구부(215c)에 대응되는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탄발 변형되도록 체결탄성편(214)이 상향 돌설되며, 상기 체결탄성편(214)의 내주에는 하우징조립돌기(미도시)가 돌설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릴부(22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격벽부(215)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격벽부(21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부(220)의 측벽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되 상기 릴부(22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원주형으로 와이어권취홈(227)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권취홈(227)에는 한쌍의 와이어체결공(227a,227b)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체결공(227a,227b)은 상기 와이어권취홈(227)과 상기 릴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매듭수용홈(228)이 상호 연통되도록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L)는 상기 각 와이어체결공(227a,227b)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매듭수용홈(228)에서 매듭 또는 그외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각 와이어체결공(227a,227b)의 와이어권취홈(227)측 테두리에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릴부(220)의 회전시, 상기 와이어(L)가 상기 와이어권취홈(227)을 따라 권취되어 상기 조임대상물이 조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와이어체결공(227a,227b)은 상호 상이한 높이범위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엇갈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어체결공 중 하나(227b)는 와이어권취홈(227)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227a)는 와이어권취홈(227)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부(220)가 회전되면, 상부측 와이어체결공(227b)에 고정된 와이어(L)의 일단부와 하부측 와이어체결공(227a)에 고정된 와이어(L)의 타단부가 와이어권취홈(227) 내에서 상하로 분리되어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릴부(220)의 일방향(R) 및 타방향(CR) 회전의 반복시에도 각 와이어체결공(227a,227b)에 구속되어 권취되는 와이어(L)의 양단부 간 꼬임 및 엉킴이 최소화되므로 안정적인 조임 및 풀림 구동으로 제품의 작동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부(2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하강시 일체 회전되도록 기어결합부(224)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결합부(224)의 외곽 영역에 레일결합부(22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30)는 체결격벽부(230a)와 구획판(230b)을 포함하며, 강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격벽부(230a)는 상기 릴부(220)의 상하방향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되며, 내주가 상기 릴부(220)의 최대외경부 이상의 내경을 갖는 연속된 원주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릴부(220)가 상기 체결격벽부(230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격벽부(230a)는 상기 수용격벽부(215)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되, 외주 일측에 상기 개구부(215c)에 삽입되는 형합커버돌기(234)가 돌설된다.
즉, 상기 형합커버돌기(234)는 체결탄성편(214)에 의해 분할된 개구부(215c)의 일측 공간 및 타측 공간에 대응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5c)의 일측 및 타측 공간에 형합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커버돌기(234) 사이에 대응되는 체결격벽부(230a)의 일측 외주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조립돌기(미도시)에 후크 결합되도록 체결돌기(235c)가 돌설된다.
또한,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타측 외주에는 상기 구속홈부(215b)에 삽입되는 베이스조립돌기(235a)가 돌설된다.
상세히, 상기 형합커버돌기(234)가 상기 개구부(215c)의 일측 공간 및 타측 공간에 대향 배치되면, 상기 체결격벽부(230a)가 상기 수용격벽부(2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탄성편(214)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조립돌기(235a)가 상기 수용격벽부(215)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구속홈부(215b)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조립돌기(235a)가 상기 구속홈부(215b)에 삽입되면 상기 수용격벽부(215)의 내주에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외주가 밀착되며 상기 체결탄성편(214)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조립돌기(235a)가 상기 구속홈부(215b)의 상단에 구속되되, 상기 하우징조립돌기(미도시)와 체결돌기(235c)가 상호 걸림되어 상기 베이스바디부(210) 및 상기 하우징부(230)가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디부(210) 및 상기 하우징부(230)가 조립되면, 상기 형합커버돌기(234)에 의해 상기 개구부(215c)가 커버되고, 상기 수용격벽부(215) 및 상기 체결격벽부(230a), 설포지지부(212)에 의해 릴부(2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30) 및 상기 베이스바디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탄성편(214)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체결격벽부(230a)를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하우징부(230)가 상기 베이스바디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내주에는 상기 릴부(220)의 하단부가 탄발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릴조립돌기(235b)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릴조립돌기(235b)는 동일한 높이 범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격벽부(234)에는 한쌍의 와이어관통공(234a,234b)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조임대상물에 연결된 와이어(L)는 상기 와이어관통공(234a,234b)을 통과하여 릴부(220)의 와이어체결공(227a,227b)에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관통공(234a,234b)을 통과한 와이어(L)가 상기 와이어체결공(227a,227b)에 구속되면, 상기 릴부(220)가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상기 릴부(220)는 상기 하우징부(230) 및 상기 베이스바디부(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격벽부(230a)에 삽입되되, 하단부가 상기 릴조립돌기(235b)에 탄발 걸림됨에 따라 상기 체결격벽부(230a)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부(220)는 상기 커버부(250) 및 승강기어부(240)가 상기 하우징부(230)에 조립된 이후 후속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커버부(250) 및 승강기어부(240)의 조립 이전에 선행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230), 상기 릴부(220), 상기 승강기어부(240), 상기 커버부(250)가 조립되어 모듈화될 수 있으며, 모듈화된 상부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바디부(21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조임대상물에 연결된 와이어(L)를 릴부(220)에 연결하는 작업과, 상기 조임대상물에 베이스바디부(210)를 재봉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부(220)를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바디부(2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노후화된 와이어나 부품을 교체할 수 있어 제품의 유지 보수 및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상단 내주에는 래칫형 기어(233)가 돌설되되, 상기 구획판(230b)은 상기 릴부(220)의 상단이 구속되도록 상기 래칫형 기어(233)의 하부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30b)의 중앙부에는 상기 릴부(220)의 단면적 미만이되 상기 기어결합부(224)를 초과하는 크기의 승강홀(23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릴조립돌기(235b)로부터 상기 구획판(230b)의 하면부까지의 간격은 상기 릴부(220)의 상하방향 높이를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230b)이 상기 릴부(220)의 상단을 구속한다는 의미는, 수용공간의 릴부(220)가 래칫형 기어(233)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릴부(220)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판(230b)의 하면부에는 레일안내부(23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일안내부(236) 및 상기 레일결합부(226)는 상기 릴부(220)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상호 맞물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안내부(236) 및 레일결합부(226)는 상호 형합되는 링형 단면의 홈/돌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주가 다른 하나의 외주를 회전 지지하며 결합되도록 상호 대향 돌설된 한쌍의 링형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결합부(226)는 상기 릴부(220)의 상면부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설된 링형 돌기로 구비되되, 상기 레일안내부(236)는 상기 구획판(230b)의 하면부를 따라 하향 돌설된 링형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안내부(236) 및 상기 레일결합부(226)는 상기 릴부(220)의 하단부가 상기 릴조립돌기(235b)에 의해 걸림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중첩간격이 상기 릴부(220)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레일안내부(236) 하단까지의 간격 및 상기 구획판(230b)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레일결합부(226) 상단까지의 간격 중 작은 하나보다 크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릴부(220)가 상기 체결격벽부(230a)에 삽입되어 상기 릴부(220)의 하단 테두리가 상기 릴조립돌기(235b)에 걸림되면, 상기 레일결합부(226)가 상기 레일안내부(236) 및 상기 체결격벽부(230a) 내주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L)가 권취 및 풀림되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릴부(220)가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결합부(226)가 상기 레일안내부(236)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됨에 따라 별도의 회전축(도 2의 61 참조) 없이도 상기 릴부(22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구성 부품의 감소를 통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릴부(220) 내측, 즉 매듭수용홈(228)에 배치되는 와이어(L) 간 연결부분에 대한 회전축의 간섭이 제거되므로 와이어(L)의 설치 및 교체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3b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어부(240)는 기어몸체부(240a), 탄성날개부(240c), 그리고 승강고정연장부(240b)를 포함하며,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탄성적인 소재인 강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어몸체부(240a)는 상기 승강홀(231)을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승강홀(231)의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으로 구비되되, 하강시 상기 릴부(22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면부에 기어형합부(244)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기어결합부(224) 및 상기 기어형합부(244)는 상호 형합 삽입되는 기어홈/기어돌기 또는 상호 형합 물림되는 기어돌기/기어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릴부(220)의 기어결합부(224)는 일방향(R)측 단부가 수직단차형으로 형성되되 타방향(CR)측 단부가 경사형으로 형성된 기어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형합부(244)는 일방향(R)측 단부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되 타방향(CR)측 단부가 수직단차형으로 형성된 기어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하강시 각 기어돌기의 경사부가 상호 접촉되어 부드럽게 물림될 수 있으며, 타방향(CR) 회전시 각 기어돌기의 단차면이 상호 접촉되어 승강기어부(240)의 회전력이 릴부(220)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외주에는 안착단턱(247)이 돌설되되, 상기 안착단턱(247)의 외주를 따라 상기 탄성날개부(240c)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단턱(247)의 하면부를 따라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날개부(240c)는 상기 안착단턱(247)의 외주에 연결된 타방향(CR)측 단부로부터 일방향(R)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원호형으로 구비되어 일방향(R)측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날개부(240c)의 일방향(R)측 단부에는 상기 래칫형 기어(233)에 일방향(R)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는 래칫결합부(243)가 구비된다.
즉, 상기 래칫결합부(243)는 일방향(R)측 단부가 수직단차형으로 형성되되 타방향(CR)측 단부가 경사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엇니로 구비되며, 상기 래칫형 기어(233)는 일방향(R)측 단부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되 타방향(CR)측 단부가 수직단차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기엇니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래칫결합부(243)는 상기 탄성날개부(240c)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발 지지되어 상기 래칫형 기어(233)에 물림된다.
상세히, 상기 래칫결합부(243)에 일방향(R)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래칫결합부(243) 및 상기 래칫형 기어(233)의 수직단면이 상호 접촉되어 맞물림됨에 따라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일방향(R)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칫결합부(243)에 타방향(CR) 회전력이 가해지면, 상기 래칫결합부(243) 및 상기 래칫형 기어(233)의 경사면이 상호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되 상기 탄성날개부(240c)가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탄발 변형되어 클릭감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타방향(CR)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날개부(240c)는 상기 안착단턱(247)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날개부(240c) 및 상기 안착단턱(247) 사이에는 상기 탄성날개부(240c)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되 상기 래칫결합부(243) 및 상기 래칫형 기어(233) 간의 안정적인 물림이 유지되도록 보조탄성편(미도시) 내지 변형제한돌기(미도시)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몸체부(240a)가 외력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기어결합부(224) 및 상기 기어형합부(244)가 밀착되어 물림되며 상기 기어몸체부(240a) 및 상기 릴부(22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몸체부(240a)가 타방향(CR) 회전되면, 상기 릴부(220)가 상기 기어몸체부(240a)와 함께 타방향(CR) 회전되어 와이어(L)가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임대상물을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는 등으로 와이어(L)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릴부(220)에 일방향(R) 회전력이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릴부(220)는 상기 기어몸체부(240a)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릴부(220)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결합부(224)의 수직단차면을 통해 기어형합부(244) 및 상기 기어몸체부(240a)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기어몸체부(240a)는 상기 탄성날개부(240c)에 의해 일방향(R)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릴부(220)의 일방향(R) 회전이 제한되고, 기권취된 와이어(L)가 풀림되지 않고 권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어몸체부(240a)가 외력에 의해 상승되면 상기 기어결합부(224) 및 상기 기어형합부(244)가 분리되고 상기 릴부(220)가 상기 기어몸체부(240a)로부터 독립되어 자유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L)를 당기면 릴부(220)에 권취된 와이어(L)가 풀림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는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승강시 상기 승강홀(231) 테두리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탄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홀(231) 테두리는 상기 구획판(230b)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홀(231) 테두리의 상하면은 상기 구획판(230b)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 연결된 구획판(230b)의 상하면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는 반경방향 두께가 좁고 원주방향 폭이 넓은 원호형으로 구비되어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되, 복수 형성된 각각이 상호 동일한 각도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는 외면부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와 접하도록 배치되되 내면부가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안착단턱(247)의 하면부에 하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는 상기 릴부(220)의 자유회전을 위해 기어결합부(224) 및 기어형합부(244)가 분리되도록 승강기어부(240)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면부는 반경방향 외측면을 의미하며, 내면부는 반경방향 내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는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와 대면되는 외면부에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승강시 상기 승강홀(231) 테두리의 상하면과 대향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돌기(241)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돌기(241)는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승강시 상기 승강홀(231) 테두리의 상하면에 탄발 지지되며, 상기 걸림돌기(241)에 의해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승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41)는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외면으로부터 최대외경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내면으로부터 기어몸체부(240a) 외주까지의 간격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발 변형되며, 상기 걸림돌기(241)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를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41)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를 통과하면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복원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41)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41)는 상기 기어결합부(224) 및 상기 기어형합부(244)가 상호 물림되는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하강위치에서 상단부가 상기 승강홀(231) 테두리 하면부에 탄발 걸림되도록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하강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241)는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지지되며, 상기 걸림돌기(241)의 상단부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 하면부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승강기어부(240)에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탄성력 이하의 상측 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241)의 탄발 걸림 상태가 유지되어 승강기어부(240)가 상승되지 않는다. 즉, 상기 승강기어부(240)에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상측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하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기어형합부(244) 및 상기 릴부(220)의 기어결합부(224)가 안정적으로 물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방향(CR) 회전을 통해 와이어(L)가 권취되되 일방향(R) 회전이 제한되어 권취된 와이어(L)가 풀림되지 않는 릴부(220) 및 승강기어부(240)의 일체 회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직접 조작이 아닌 운동 충격 등으로 승강기어부(240)가 상승되는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승강기어부(240)의 오작동에 따른 갑작스러운 와이어(L)의 풀림 및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41) 및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 즉 구획판(230b)의 반경방향 내측단의 상하방향 두께 합은 상기 승강기어부(240) 내지 기어몸체부(240a)의 승강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간격은 릴부(220) 및 승강기어부(240)가 일체 회전되도록 기어결합부(224) 및 기어형합부(244)가 밀착되는 승강기어부(240)의 위치로부터 릴부(220)가 승강기어부(240)로부터 독립되어 자유회전되도록 기어결합부(224) 및 기어형합부(244)가 분리된 승강기어부(240)의 위치까지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때, 기어결합부(224) 및 기어형합부(244)가 분리되도록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상승되면, 상기 걸림돌기(241)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걸림돌기(241)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 상면부에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상승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241)는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지지되며, 상기 걸림돌기(241)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 상면부에 탄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상승상태, 즉 상기 릴부(220)의 자유 회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승강기어부(240)를 상측으로 일회 당겨주기만 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와이어(L)를 당겨풀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L)의 해제 완료시 상기 승강기어부(24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기어결합부(224) 및 기어형합부(244)가 결합된 상태로 손쉽게 전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상단부, 즉 안착단턱(247)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승강고정연장부(240b)가 하우징부(230)의 승강홀(231) 테두리에 탄발 걸림되어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승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승강기어부(240)의 승강상태 유지를 위한 회전축(도 2의 61 참조), 탄성부재(도 2의 59 참조) 등과 같은 추가 부품이 제거되므로 부품 수가 5개 이내로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가 상기 릴부(220)의 상단부를 구속하도록 돌설된 구획판(230b)의 내측단, 즉 승강홀(231)의 테두리와 대면되도록 연장되어 승강고정연장부(240b)에 돌설된 걸림돌기(241)가 승강홀(231) 테두리에 탄발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단턱/홈 등과 같이 걸림돌기(241)의 탄발 걸림을 위한 별도의 돌출 또는 함몰 구조가 요구되지 않아 하우징부(230)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230)의 성형 및 제조 난이도가 감소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4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상기 승강고정날개부(240b)의 탄발 변형을 유도하는 구배면(241b,24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는 상기 구획판(230b)의 반경방향 내측단부, 즉 상기 구획판(230b)의 반경방향 내측단면 및 그에 연결된 상하단 테두리부분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41)의 상단부측 구배면(241b)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구배지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241)의 하단부측 구배면(241c)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구배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구배면(241b,241c)의 동일한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구배면(241b,241c)이 상기 승강홀(231)의 테두리와 접하여 부드럽게 슬라이드되어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의 반경방향 외측 탄발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릴부(220)의 자유 회전 및 일방향(R) 회전 구속 상태 전환을 위한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승강 동작이 한층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25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승강기어부(240)는 상기 커버부(250)에 의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승강 및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250)는 뒤집어진 용기형으로 구비되되, 측벽부(250a)가 상기 하우징부(230)의 상단부를 초과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230)의 상단부 및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탄성날개부(240c)가 상기 측벽부(250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상면부에는 커버체결부(242)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250)의 상판(250b) 하면부에는 기어조립탄성편(252)이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어조립탄성편(252)의 외면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기어조립돌기(252a)가 돌설되고, 상기 커버체결부(242)는 상기 기어조립탄성편(252)의 원주방향 폭에 대응되는 원주방향 폭을 갖는 홈 내지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체결부(242)의 상단부에는 상기 기어조립돌기(252a)가 걸림되는 단턱이 구비되되, 상기 기어조립돌기(252a)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250)의 상판(250b) 하면부까지의 간격은 상기 단턱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상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어조립돌기(252a)가 상기 단턱에 걸림되면 상기 커버부(250)의 상판(250b)과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상면부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기어조립탄성편(252)의 원주방향 양단부가 상기 커버체결부(242)의 양단에 구속되므로 상기 승강기어부(240) 및 상기 커버부(250)가 일체로 회전 및 승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부(250)의 상판(250b) 하면부에 상기 커버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상면부에 기어조립탄성편이 돌설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50)의 측벽부(250a) 내주에는 상기 체결격벽부(230a)의 외면에 돌설된 체결단턱(232)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돌기(251)이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부(250)의 측벽부(250a)는 상기 체결단턱(23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250a)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후크돌기(251)가 상기 체결단턱(232)의 하단에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돌기(251)는 하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단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턱(232)은 상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단부가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돌기(251)의 경사진 하단부가 체결단턱(232)의 경사진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후크돌기(251)가 체결단턱(232)의 하부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돌기(251)의 평탄한 상단부가 상기 체결단턱(232)의 평탄한 하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커버부(250) 및 상기 하우징부(230)가 안정적으로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하우징부(230), 승강기어부(240), 커버부(250) 등의 구성 부품이 인접한 두개의 부품을 상하방향으로 가압하는 단순한 과정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돌기(251)는 상기 체결단턱(232)에 후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몸체부(240a)의 승강간격에 대응되는 유격간격(b)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격간격(b)은 상기 후크돌기(251)가 상기 체결단턱(232)의 하부에 위치된 후크 결합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50)의 상하 방향 최대 승강범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기어결합부(224) 및 기어형합부(244)가 밀착되는 승강기어부(240)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후크돌기(25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체결단턱(232)의 하단까지의 간격이 상기 승강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부(250)의 측벽부(250a) 길이 및 후크돌기(251)의 위치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크돌기(251)의 상단부가 상기 체결단턱(232)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어부(240) 및 상기 릴부(220)가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돌기(251)의 상단부가 상기 체결단턱(232)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기어부(240) 및 상기 릴부(2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230) 및 상기 커버부(250)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어부(240)가 상기 릴부(220)와 결합되는 하강위치로부터 상기 릴부(220)로부터 분리되는 상승위치까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격간격(b)은 상기 기어결합부(224) 및 상기 기어형합부(244)의 맞물림 간격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격간격(b)에 따른 커버부(250)의 승강시 상기 승강기어부(240) 및 상기 릴부(220)의 결합 및 분리 상태가 정확하게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칫형 기어(233) 및 상기 래칫결합부(243)는 커버부(250)의 최대 상승시 분리되고, 상기 커버부(250)의 하강시 재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래칫형 기어(233) 및 상기 래칫결합부(243) 간의 맞물림 높이(a)가 상기 유격간격(b)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칫형 기어(233) 및 래칫결합부(243)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커버부(250)가 승강되고 릴부(220) 및 승강기어부(240)의 결합 및 분리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200)를 구성하는 하우징부(230), 승강기어부(240), 커버부(250), 베이스바디부(210)가 인접한 두 부품을 상하방향으로 가압하는 단순한 후크 결합으로 조립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됨과 더불어, 외력을 통한 조작시 고정수단으로 사용된 금속재 부품으로 인한 수지재 부품의 파손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릴부(220)의 자유 회전 및 일방향 회전 상태 전환을 위해 승강되는 승강기어부(240)가 승강고정연장부(240b)를 통해 승강홀(231)의 테두리에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승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강상태에서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되고, 승강기어부(240)의 상승상태에서 와이어의 손쉬운 해제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고정연장부(240b)가 승강기어부(240)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승강기어부(240)의 하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도 2의 59 참조)와 같은 구성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200)는 신발에만 사용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모자, 헬멧, 벨트, 장갑, 가방과 같은 악세서리, 스노우 보드, 수상 스키와 같은 운동기구, 그 외 의복 등 와이어 내지 끈을 조임으로써 착용되는 다수의 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여타의 장치에의 적용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0: 와이어 조임장치 210: 베이스바디부
220: 릴부 230: 하우징부
240: 승강기어부 250: 커버부

Claims (5)

  1. 상면부에 수용격벽부가 구비된 베이스바디부;
    상기 수용격벽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시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릴부;
    하단부가 상기 수용격벽부에 결합되되 내주 상단부에 래칫형 기어가 돌설된 체결격벽부와, 상기 릴부의 상단이 구속되도록 상기 래칫형 기어의 하부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중앙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구획판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어 하강시 상기 릴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외주에 안착단턱이 돌설된 기어몸체부와, 상기 안착단턱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래칫형 기어에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날개부와, 상기 안착단턱의 하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승강홀 테두리의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탄발 지지되는 승강고정연장부를 포함하는 승강기어부; 및
    상기 승강기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 및 회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고정연장부는 상기 승강홀 테두리와 대면되도록 연장되되, 외면부에 상기 기어몸체부의 승강시 상기 승강홀 테두리의 상하면과 대향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홀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상기 승강고정연장부의 탄발 변형을 유도하는 구배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측벽부 내주에는 상기 체결격벽부의 외면에 돌설된 체결단턱에 후크 결합되되 후크 결합시 상기 체결단턱으로부터 상기 기어몸체부의 승강간격에 대응되는 유격간격을 갖도록 후크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부의 상면부 및 상기 구획판의 하면부에는 상기 릴부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상호 맞물림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및 레일안내부가 구비되되,
    상기 릴부의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관통 구속되되 구속된 각각이 회전시 상호 분리 권취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엇갈림 배치된 한쌍의 와이어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격벽부의 내주에는 상기 릴부의 하단부가 탄발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릴조립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160159822A 2016-11-29 2016-11-29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2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22A KR101723579B1 (ko) 2016-11-29 2016-11-29 와이어 조임장치
PCT/KR2017/010154 WO2018101588A1 (ko) 2016-11-29 2017-09-18 와이어 조임장치
US15/576,994 US10609988B2 (en) 2016-11-29 2017-09-18 Wire tightening apparatus
JP2018530691A JP6813581B2 (ja) 2016-11-29 2017-09-18 ワイヤー締め装置
EP17875060.0A EP3549473A4 (en) 2016-11-29 2017-09-18 WIRE TENSIONING DEVICE
CN201780001712.7A CN108377640B (zh) 2016-11-29 2017-09-18 金属线拧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22A KR101723579B1 (ko) 2016-11-29 2016-11-29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579B1 true KR101723579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22A KR101723579B1 (ko) 2016-11-29 2016-11-29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9988B2 (ko)
EP (1) EP3549473A4 (ko)
JP (1) JP6813581B2 (ko)
KR (1) KR101723579B1 (ko)
CN (1) CN108377640B (ko)
WO (1) WO2018101588A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68B1 (ko) 2017-03-13 2017-08-01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KR20170106370A (ko) * 2015-10-07 2017-09-20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KR20170122462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0485472Y1 (ko) * 2017-10-19 2018-01-11 찐쨩쓰헝즈쎄예 유우쌘꿍쓰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KR101839798B1 (ko) 2016-11-30 2018-03-20 김진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WO2018101588A1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20180062475A (ko) * 2016-11-30 2018-06-11 김진호 릴시스템의 와이어 묶는방법
KR101954753B1 (ko) 2017-12-13 2019-03-07 김진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KR20200028701A (ko) * 2018-09-07 2020-03-17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US20200128918A1 (en) * 2018-10-30 2020-04-30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KR20200112923A (ko) * 2018-03-09 2020-10-05 셴젠 핏고 테크놀로지 컴패니 리미티드 로프밴드 조절 장치 및 어셈블리
KR20200126596A (ko) 2019-04-30 2020-11-09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KR20200127353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WO2020251341A1 (ko)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및 와이어 릴
KR20200142915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KR20210004018A (ko) 2019-07-03 2021-01-1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릴
KR20210145945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신경 다이얼 보호 장치
KR20220000782U (ko) * 2020-09-28 2022-04-05 푸더 리 노브장치
KR20220161702A (ko) * 2021-05-31 2022-12-07 소윤서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7014B2 (en) 2016-11-11 2023-03-21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US11751634B2 (en) 2016-11-11 2023-09-12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EP3551004A1 (en) * 2016-12-09 2019-10-16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TWI719354B (zh) * 2018-10-30 2021-02-21 陳金柱 緊固裝置
USD907992S1 (en) * 2018-11-30 2021-01-19 Sug Whan Kim String fastener
WO2020223631A1 (en) * 2019-05-01 2020-11-05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JP2022530682A (ja) * 2019-05-03 2022-06-30 プライ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回転式クロージャ用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9217036A1 (de) * 2019-11-05 2021-05-06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Drehelement
EP4275540A1 (en) * 2021-01-08 2023-11-15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TWI809367B (zh) * 2021-03-31 2023-07-21 陳金柱 緊固裝置
US11647813B1 (en) * 2022-06-01 2023-05-16 Chunming Rao Quick lac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98B1 (ko) 2009-12-31 2010-04-20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US20150007422A1 (en) * 2013-07-02 2015-01-08 Boa Technology Inc. Tension limiting mechanisms for closure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KR20160021431A (ko) * 2013-06-05 2016-02-25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통합된 폐쇄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KR101661233B1 (ko) * 2016-06-20 2016-09-29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558B1 (en) * 1997-08-22 2001-09-18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EP2789251A1 (en) * 2004-10-29 2014-10-15 Boa Technology, Inc. Tightening mechanism for use with a footwear lacing system
KR101040372B1 (ko) * 2010-07-21 2011-06-10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053551B1 (ko) * 2010-11-04 2011-08-0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US8353087B2 (en) * 2011-03-07 2013-01-15 Chin-Chu Chen Closure device
KR101249420B1 (ko) *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550444B1 (ko) * 2014-12-10 2015-09-09 구연욱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KR101648815B1 (ko) * 2014-12-16 2016-08-17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CN106919220B (zh) * 2015-12-25 2018-06-05 陈金柱 紧固装置
KR101648816B1 (ko) * 2016-02-11 2016-08-17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WO2017138686A1 (ko) * 2016-02-11 2017-08-17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US10918165B2 (en) * 2016-11-11 2021-02-16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723579B1 (ko) * 2016-11-29 2017-04-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EP3551004A1 (en) * 2016-12-09 2019-10-16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CN106723663B (zh) * 2017-01-24 2019-05-24 深圳市悠宁科技有限公司 鞋带收放装置
TWM563427U (zh) * 2017-12-07 2018-07-11 王孟淳 捲線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98B1 (ko) 2009-12-31 2010-04-20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KR20160021431A (ko) * 2013-06-05 2016-02-25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통합된 폐쇄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US20150007422A1 (en) * 2013-07-02 2015-01-08 Boa Technology Inc. Tension limiting mechanisms for closure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KR101661233B1 (ko) * 2016-06-20 2016-09-29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303B1 (ko) 2015-10-07 2019-02-18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KR20170106370A (ko) * 2015-10-07 2017-09-20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KR20170122462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101871890B1 (ko) 2016-04-27 2018-06-2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WO2018101588A1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39798B1 (ko) 2016-11-30 2018-03-20 김진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KR20180062475A (ko) * 2016-11-30 2018-06-11 김진호 릴시스템의 와이어 묶는방법
KR101763868B1 (ko) 2017-03-13 2017-08-01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KR200485472Y1 (ko) * 2017-10-19 2018-01-11 찐쨩쓰헝즈쎄예 유우쌘꿍쓰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KR101954753B1 (ko) 2017-12-13 2019-03-07 김진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KR102385716B1 (ko) * 2018-03-09 2022-04-12 셴젠 핏고 테크놀로지 컴패니 리미티드 로프밴드 조절 장치 및 어셈블리
KR20200112923A (ko) * 2018-03-09 2020-10-05 셴젠 핏고 테크놀로지 컴패니 리미티드 로프밴드 조절 장치 및 어셈블리
KR20200028701A (ko) * 2018-09-07 2020-03-17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KR102132999B1 (ko) * 2018-09-07 2020-07-10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US11064767B2 (en) * 2018-10-30 2021-07-20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US20200128918A1 (en) * 2018-10-30 2020-04-30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US11730236B2 (en) 2018-10-30 2023-08-22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KR20200126596A (ko) 2019-04-30 2020-11-09 하민우 와이어 조임장치
KR102224456B1 (ko) * 2019-05-02 2021-03-08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KR20200127353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KR102208341B1 (ko) 2019-06-14 2021-01-2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KR20200142915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WO2020251341A1 (ko)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권취 조절장치 및 와이어 릴
KR20210004018A (ko) 2019-07-03 2021-01-1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릴
US11390486B2 (en) 2019-07-03 2022-07-19 Shinkyung Inc. Wire reel
KR20210145945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신경 다이얼 보호 장치
KR20220000782U (ko) * 2020-09-28 2022-04-05 푸더 리 노브장치
KR200495556Y1 (ko) * 2020-09-28 2022-06-22 푸더 리 노브장치
KR20220161702A (ko) * 2021-05-31 2022-12-07 소윤서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566328B1 (ko) * 2021-05-31 2023-08-14 소윤서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9473A4 (en) 2020-07-08
JP2019503738A (ja) 2019-02-14
CN108377640B (zh) 2021-04-30
US10609988B2 (en) 2020-04-07
JP6813581B2 (ja) 2021-01-13
WO2018101588A1 (ko) 2018-06-07
EP3549473A1 (en) 2019-10-09
US20190008236A1 (en) 2019-01-10
CN108377640A (zh)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57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438572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10368613B2 (en) Wire tightening apparatus
KR102128867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1607690B1 (ko) 와이어 릴
KR10166123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07484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0535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64881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04801B1 (ko) 와이어 조임장치
CN108024599B (zh) 系带儿卷绕装置及利用该装置的鞋和衣服
KR101661233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23578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71890B1 (ko) 와이어 조임 장치
KR10155044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TWM507670U (zh) 繩索調整扣具
EP4136998A1 (en) Wire tightening device
KR10213299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63868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200126596A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170010681A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218924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91098B1 (ko) 와이어 조임장치
JP2022054379A (ja) ダイヤルタイプのワイヤー締付装置
KR102368924B1 (ko) 끈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