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657B1 -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657B1
KR101722657B1 KR1020150164073A KR20150164073A KR101722657B1 KR 101722657 B1 KR101722657 B1 KR 101722657B1 KR 1020150164073 A KR1020150164073 A KR 1020150164073A KR 20150164073 A KR20150164073 A KR 20150164073A KR 101722657 B1 KR101722657 B1 KR 10172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shaft
seat back
fram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인
김경식
이종곤
안홍우
전의식
Original Assignee
(주)알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가 filed Critical (주)알가
Priority to KR102015016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60N2/4805
    • B60N2/4808
    • B60N2/4823
    • B60N2/483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트백의 접힘과 펼침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시트백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하여 전방시트와 후방시트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쿠션, 길이방향의 일측이 시트 프레임과 회동 결합되는 시트백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백, 시트백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의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그리고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시 연동되어 헤드레스트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가이드 프레임은 배면과 양측면을 갖고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본체부,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부에 각각 끼워지며 구동부의 일단과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연결되는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헤드레스트의 폴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가이드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는 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Headrest adjustment apparatus Working with Seat Back}
본 발명은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및 해외 자동차 시장은 다양한 소비자층의 확산 및 레저 활동의 증가로SUV(Sport Utility Vehicle), CUV(City Utility Vehicle), 해치백 스타일의 점유율이 차츰 넓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차량의 후방시트(rear seat)에는 트렁크 적재공간 확보 등의 편의성을 위하여 약 6:4 분할형 시트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일반 세단차종에도 적재공간 확보를 위해 후방시트백의 분할형 시트옵션이 적용된 차종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량의 기능성 시트에 대한 주요기능을 살펴보면, 차량의 실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특히 후방시트의 접힘(folding)구조를 통한 효율적인 공간 활용으로 승객의 승차 및 수화물의 적재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분할형 후방시트가 적용된 차종의 적재공간 확보를 위해 시트백을 접는 경우 후방시트의 헤드레스트(headrest)가 전방시트에 간섭됨으로 인해 완전 접힘이 되지 않아 시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트백의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레스트 및 전방시트 위치를 재조정한 상태에서 후방시트를 접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트백의 접힘과 펼침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시트백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하여 전방시트와 후방시트간의 간섭을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쿠션, 길이방향의 일측이 시트 프레임과 회동 결합되는 시트백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백, 시트백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의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그리고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시 연동되어 헤드레스트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가이드 프레임은 배면과 양측면을 갖고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본체부,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부에 각각 끼워지며 구동부의 일단과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연결되는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헤드레스트의 폴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가이드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는 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양측면의 상부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 가이드 슬롯, 그리고 제1 가이드 슬롯의 하부에 이격되어 양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는 제1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 슬롯과 제2 가이드 슬롯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슬롯과 제2 가이드 슬롯은 각각의 일측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슬롯은 일측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동일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슬롯의 일측이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방향에 위치되고 제1 가이드 슬롯의 타측이 양측면의 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슬롯은 일측의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다른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슬롯은 양측면의 폭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2 가이드 샤프트를 고정 지지하는 제1 곡선부, 그리고 제1 곡선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양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 곡선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양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가이드 샤프트에 타단이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의 하향 경사 이동시 완충력과 가이드 샤프트의 원위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는 양측면의 제1 결합구멍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며, 시트백의 접힘시 제1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장되고, 시트백의 펼침시 신축되어 제1 가이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스프링, 그리고 양측면의 제2 결합구멍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며, 시트백의 접힘시 제2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장되고, 시트백의 펼침시 신축되어 제2 가이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의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제1 결합구멍은 제1 가이드 슬롯의 일측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제2 결합구멍은 제2 가이드 슬롯의 제1 곡선부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시 발생되는 이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내부에 와이어를 포함하며, 링크부와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와 가이드 샤프트의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로 결합될 수 있고, 와이어의 경사각도는 제1 곡선부의 경사각도 보다 더 크게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이식 시트의 시트백에 연동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방시트와 후방시트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실시되었던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대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시트의 시트백 접힘 및 펼침시 시트백 회전으로 인해 후방시트의 헤드레스트와 전방시트의 시트백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시트와헤드레스트의 불필요한 접촉을 감소시켜 전방시트의 시트백과 후방시트의 헤드레스트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트의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가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시트의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백(20)의 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100)에는 헤드레스트(3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시트백(20)은 시트쿠션(10)에 회동 결합된다. 시트백(20)은 전방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시트쿠션(10)에 결합된다. 시트백(20)의 회동으로 시트백(20)이 접히게 되면 헤드레스트(30)는 시트백(20)의 접힘(folding)동작에 연동되어 가이드 프레임(100)에 안내되며, 하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된다. 그리고 시트백(2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 헤드레스트(30)는 시트백(20)의 펼침(unfolding)동작에 연동되어 가이드 프레임(100)에 안내되며,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된다. 즉, 시트백(2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동작에 연동되어 헤드레스트(30)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가 시트백 프레임(22)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백(20), 가이드 프레임(100), 구동부를 포함한다.
시트백(20)은 길이방향의 일측이 시트쿠션(10)의 시트 프레임(미도시)과 회동 결합되는 시트백 프레임(22)을 내부에 포함하며,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시트쿠션(10)에 접히는 등받이 부분이다. 여기서, 시트백(20)의 회동은 시트백 프레임(22)의 회동을 말한다. 시트백(20)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30)가 결합된다. 헤드레스트(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시트백 프레임(22)에 고정되어 헤드레스트(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00)은 시트백 프레임(22)의 타측에 고정축(24)으로 결합되어 헤드레스트(30)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메인 프레임이다. 가이드 프레임(100)은 본체부(110), 가이드 샤프트(140), 폴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배면(113)과 양측면(116)을 갖고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10)의 양측면(116)에는 연결구멍(24a)이 구비된다. 연결구멍(24a)에는 고정축(24)이 결합되어 시트백 프레임(22)에 본체부(110)가 고정된다. 본체부(110)는 양측면(116)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부(120)를 갖는다. 가이드부(120)는 제1 가이드 슬롯(122)과 제2 가이드 슬롯(124)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슬롯(122)과 제2 가이드 슬롯(124)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슬롯(122)과 제2 가이드 슬롯(124)은 각각의 일측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슬롯(122)은 양측면(116)의 상부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슬롯(122)은 일측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동일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슬롯(122)은 일측과 타측의 위치가 각각 가이드 프레임(100)의 배면(113)방향에서 양측면(116)의 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롯(124)은 제1 가이드 슬롯(122)의 하부에 이격되어 양측면(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 가이드 슬롯(124)은 일측의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다른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 슬롯(124)은 일측의 위치에서 양측면(116)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 곡선부(124a), 제1 곡선부(124a)의 길이보다 더 길게 양측면(116)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 곡선부(124a)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 곡선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곡선부(124a)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116)의 폭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θ2)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곡선부(124a)는 가이드 샤프트(140)가 걸려서 고정된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40)는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부(120)에 각각 끼워지는 로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4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40)는 제1 가이드 샤프트(142),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폴 가이드부(150)는 헤드레스트(30)의 폴(32)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가이드 샤프트(14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140)의 이동에 연동된다.
한편, 탄성부(130)는 양측면(116)에 일단이 결합되고, 가이드 샤프트(140)에 타단이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140)의 하향 경사 이동시 완충력과 가이드 샤프트(140)의 원위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130)는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시트백 프레임(22)과 가이드 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시트백 프레임(22)의 접힘시 연동되어 이동되는 헤드레스트(30)의 위치 이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는 시트백 프레임(22)의 회동시 케이블(160)과 링크부(102, 104)의 기구적인 결합으로 작동되는 기계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링크부(102, 104), 케이블(160), 고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102, 104)는 시트백 프레임(22)에 결합되며, 시트백 프레임(22)의 회동시 발생되는 이동력을 증대시키는 부분이다. 링크부(102, 104)는 레버(Lev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102, 104)는 시트백(20)의 회동력을 케이블(160)을 통해 가이드 샤프트(140)로 전달되도록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링크부(102, 104)는 시트백(20) 접힘시 시트백(20)의 이동력을 증대시켜 전달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가이드 프레임(100)에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140)의 록킹 상태를 자동 해제시킬 수 있다. 링크부(102, 104)는 시트백프레임(22)에 고정되는 제1 링크 플레이트(102)와 핀 결합으로 회동되는 제2 링크 플레이트(104)를 포함할수 있다. 케이블(160)은 내부에 와이어(160a)를 포함하며, 링크부(102, 104)와 가이드 프레임(100)의 사이에 결합되어 가이드 샤프트(140)에 이동력을 전달한다. 고정부(114)는 가이드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케이블(160)의 일측을 고정한다. 고정부(114)는 링크부(102, 104)에도 구비되어 케이블(160)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14)와 가이드 샤프트(140)의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160a)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160a)는 고정부(114)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이 가이드 샤프트(140)를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11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60a)는 고정부(114)와 고정 플레이트(112)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θ1)를 갖고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60a)의 경사각도(θ1)는 제1 가이드 슬롯(122)의 경사각도(θ) 보다 더 크게 기울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슬롯(122)의 경사각도(θ)는 제1 곡선부(124a)의 경사각도(θ2) 보다 더 크게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60a)의 경사각도(θ1)는 제1 곡선부(124a)의 경사각도(θ2) 보다 더 크게 기울어질 수 있다. 와이어(160a)의 경사각도(θ1)를 제1 곡선부(124a)의 경사각도(θ2) 보다더 크게 기울어지게 구비함으로써 와이어(160a)를 당길 때 제1 곡선부(124a)에 걸려 지지되는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시트쿠션(10) 방향으로 용이하게 당기면서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곡선부(124a)의 경사각도(θ2)는 시트백의 펼침시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시트백의 접힘시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제2 곡선부(124b)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각도이면 충분하다.
한편, 구동부는 시트백(20)을 접을 때에는 헤드레스트(30)를 연동시켜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하고, 시트백(2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때에는 헤드레스트(30)가 상향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면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시트백 프레임(22)의 회동을 센서로 감지하여 전동모터를 구동시켜 헤드레스트(30)의 위치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00)은 탄성부(130)의 결합을 위해 양측면(116)에 각각 결합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의 고정 결합을 위해 가이드 프레임(100)의 양측면(116)에는 제1 결합구멍(116a)과 제2 결합구멍(116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구멍(116a)은 제1 가이드 슬롯(122)의 일측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2 결합구멍(116b)은 제2 가이드 슬롯(124)의 제1 곡선부(124a)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32)은 양측면(116)의 제1 결합구멍(116a)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 샤프트(142)에 결합되며,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1 가이드 샤프트(142)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장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신축되어 제1 가이드 샤프트(142)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34)은 양측면(116)의 제2 결합구멍(116b)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 샤프트(144)에 결합되며,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2 가이드 샤프트(144)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장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신축되어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될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작동에 따른 시트백(20)과 헤드레스트(30)의 연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헤드레스트(30)가 시트백(20)에 결합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헤드레스트(30)는 안전규정에 맞게 적절한 높이로 시트백(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30)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 시트백(20)의 가이드 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시트백(20)이 펼쳐진 상태에서 가이드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탄성부(130)는 가이드 샤프트(140)를 사선방향(시트쿠션(10)의 머리 방향)으로 당기고 있다. 따라서,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이 신축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 슬롯(124)의 제1 곡선부(124a)에 제2 가이드 샤프트(144)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30)가 내려오지 않는다. 즉, 제2 스프링(134)의 압축력에 의해 제2 가이드 샤프트(144)는 제1 곡선부(124a)의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 가이드 슬롯(124)의 제1 곡선부(124a)는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60a)가 작동하기 전에는 제1 곡선부(124a)에 제2 가이드 샤프트(144)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샤프트(144)는 제2 가이드 슬롯(124)의 제1 곡선부(124a)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하강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클라이너를 조작하여 시트백(20)을 시트쿠션(10)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시트백(20)을 시트쿠션(10) 방향으로 접는 경우 시트백(20)의 접힘동작에 연동하여 시트백 프레임(22)에 결합되는 링크부(102, 104)가 회동된다. 그리고 시트백(20)의 접힘과 함께 와이어(160a)를 하향 경사지게 당기게 되어 헤드레스트(30)를 고정하는 가이드 프레임(10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즉, 시트백(20)이 접히게 되면 와이어(160a)와 링크부(102, 104)가 연동된다. 그리고 고정부(114)와 고정 플레이트(112) 사이에 구비된 와이어(160a)도 연동되어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시트쿠션(10) 방향으로 경사지게 당기면서 하강시킨다. 만약, 와이어(160a)가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경사지게 당기지 않고 수직한 방향으로만 당기게 되면 제2 가이드 샤프트(144)는 제2 가이드 슬롯(124)의 제1 곡선부(124a)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160a)를 이용하여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제1 곡선부(124a)로부터 제2 곡선부(124b)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제1 곡선부(124a)의 경사각도(θ2)보다 더 큰 경사각도(θ1)로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당겨야 한다. 즉, 시트백(20)의 접힘동작에 연동되는 와이어(160a)가 사선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당겨지면서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제1 곡선부(124a)로부터 제2 곡선부(124b)로 이동되도록 이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제1 가이드 샤프트(142)는 제1 가이드 슬롯(122)을 따라 하강된다. 제1 가이드 슬롯(122)에는 제1 곡선부(124a)와 같은 걸림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별다른 저항 없이 하강될 수 있다. 다만, 제1 가이드 샤프트(142)와 제2 가이드 샤프트(144)는 각각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의 완충 효과로 인해 하강이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20)의 접힘동작에 의해 와이어(160a)가 제2 가이드 샤프트(144)를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동시키고 제2 가이드 샤프트(144)가 제2 가이드 슬롯(124)을 따라 하강 이동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샤프트(142)도 제1 가이드 슬롯(122)을 따라 하강 이동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 샤프트(142)와 제2 가이드 샤프트(144)에 결합된 폴 가이드도 하강된다. 그러면, 폴 가이드에 고정되는 헤드레스트(30)도 하강된다.
만약, 제1 가이드 슬롯(122)이 제2 가이드 슬롯(124)과 같이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가이드 샤프트(140)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슬롯(122)은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 샤프트(142)는 가해지는 이동력이 아래쪽으로 향하면 경사진 방향을 따라 하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백(20)의 접힘시 제2 가이드 샤프트(144)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제1 가이드 슬롯(122)과 제2 가이드 슬롯(124)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번의 조작으로 시트백(20)의 접힘과 헤드레스트(30)의 위치 조절 동작을 연동시켜 헤드레스트(30)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시트백(20)을 원래의 위치로 펼치는 경우, 시트백(20)이 계속 뒤로 젖혀지면서 링크부(102, 104)는 원래의 위치로 회동된다. 그러면, 와이어(160a)에 전달된 장력에 의해 헤드레스트(30)를 고정하던 힘이 해제되며, 압축상태인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레스트(30)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된다. 즉, 시트백(20)의 펼침 동작에 연동되어 제1 스프링(132)과 제2 스프링(134)의 복원력이 발생하며, 제1 가이드 샤프트(142)와 제2 가이드 샤프트(144)는 제1 가이드 슬롯(122)과 제2 가이드 슬롯(124)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제1 가이드 샤프트(142)와 제2 가이드 샤프트(144)에 결합된 폴 가이드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헤드레스트(30)도 시트백(20)의 접힘 이전 위치의 높이로 자동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시트백(20)의 펼침시 헤드레스트(30)의 높이가 원래의 위치로 자동 조절되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사용하면 시트백(20)의 회동에 따라 케이블(160)의 당김과 풀림 작용으로 폴 가이드가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기 때문에 시트백(20) 접힘 및 펼침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이 필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시트백(20)의 회전 운동만으로 헤드레스트(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시트쿠션 20 ; 시트백
22 ; 시트백 프레임 30 ; 헤드레스트
100 ; 가이드 프레임 110 ; 본체부
112 ; 고정 플레이트 114 ; 고정부
120 ; 가이드부 122 ; 제1 가이드 슬롯
124 ; 제2 가이드 슬롯 124a ; 제1 곡선부
124b ; 제2 곡선부 130 ; 탄성부
132 ; 제1 스프링 134 ; 제2 스프링
140 ; 가이드 샤프트 150 ; 폴 가이드부
160 ; 케이블 160a ; 와이어

Claims (11)

  1. 시트쿠션의 시트 프레임과 회동 결합되는 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백,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의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그리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시 연동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배면과 양측면을 갖고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본체부,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구동부의 일단과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연결되는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의 폴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는 폴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양측면의 상부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 가이드 슬롯,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의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양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각각의 일측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4. 삭제
  5. 제3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은 일측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동일한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의 타측이 상기 양측면의 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시트백 연동형헤드레스트 조절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일측의 중심선과 타측의 중심선이 서로 다른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상기 양측면의 폭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 샤프트를 고정 지지하는 제1 곡선부, 그리고
    상기 제1 곡선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상기 양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곡선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양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하향 경사 이동시 완충력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원위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양측면의 제1 결합구멍에 일단이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백의 접힘시 상기 제1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장되고, 상기 시트백의 펼침시 신축되어 상기 제1 가이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스프링, 그리고
    상기 양측면의 제2 결합구멍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백의 접힘시 상기 제2 가이드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신장되고, 상기 시트백의 펼침시 신축되어 상기 제2 가이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결합구멍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의 일측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구멍은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제1 곡선부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10. 제6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시 발생되는 이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
    내부에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 곡선부의 경사각도 보다 더 크게 기울어진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20150164073A 2015-11-23 2015-11-23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72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073A KR101722657B1 (ko) 2015-11-23 2015-11-23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073A KR101722657B1 (ko) 2015-11-23 2015-11-23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657B1 true KR101722657B1 (ko) 2017-04-03

Family

ID=5858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073A KR101722657B1 (ko) 2015-11-23 2015-11-23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009A (ko) 2022-06-20 2023-12-2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085A (ko) * 2008-08-27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KR20100041330A (ko) * 2008-10-14 2010-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오토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20110023201A (ko) * 2009-08-31 2011-03-08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자동변경 장치
KR20110062445A (ko) *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085A (ko) * 2008-08-27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KR20100041330A (ko) * 2008-10-14 2010-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오토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20110023201A (ko) * 2009-08-31 2011-03-08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자동변경 장치
KR20110062445A (ko) *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009A (ko) 2022-06-20 2023-12-2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024B2 (en) Seat lock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AU2023204131A1 (en)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US805219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9663005B2 (en) Vehicle seat
US6192565B1 (en) Automotive seat assembly having a rectractable headrest
US8540308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5382709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US8336955B2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4580218B2 (ja) 自動車用リヤシートバックのバックボード展開構造
US9789789B2 (en) Vehicular seat
US8579374B2 (en) Vehicle seat
KR10157549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풀림 방지 장치
KR101586947B1 (ko) 시트백 폴딩 장치
KR101722657B1 (ko)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65992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987953B2 (en) Vehicle seat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US10315540B2 (en) Inertia stop link for stadium style seat cushion stowed positioning
KR101640684B1 (ko) 리어시트의 시트백 록킹장치
KR102546264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JP5343710B2 (ja) オットマン装置
KR101562617B1 (ko) 가변 지지구를 갖는 카시트
KR1015848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레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