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539B1 -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39B1
KR101721539B1 KR1020100012932A KR20100012932A KR101721539B1 KR 101721539 B1 KR101721539 B1 KR 101721539B1 KR 1020100012932 A KR1020100012932 A KR 1020100012932A KR 20100012932 A KR20100012932 A KR 20100012932A KR 101721539 B1 KR101721539 B1 KR 10172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screen
charge amou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100A (ko
Inventor
김현경
이원
윤경식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39B1/ko
Priority to EP11742429.1A priority patent/EP2534564B1/en
Priority to US13/023,035 priority patent/US8644846B2/en
Priority to AU2011215107A priority patent/AU2011215107B2/en
Priority to PCT/KR2011/000801 priority patent/WO2011099737A2/en
Priority to CN201180008702.9A priority patent/CN102754064B/zh
Publication of KR2011009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00A/ko
Priority to US14/142,335 priority patent/US2014011551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6Mounting or replacement of th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7Prot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친환경적(eco-friendly) 행동을 안내하는 UI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은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태양광 충전 방식을 이용하는 횟수의 증가와 배터리 소모량 감소 등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친환경적(eco-friendly) 행동을 안내하는 UI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 온난화 현상 등 환경 문제가 부각되면서 모든 산업 분야에서 친환경적(eco-friendly) 사업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전자 기기로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바꿀 만큼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만약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친환경적 행동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면 환경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친환경적(eco-friendly) 행동을 안내하는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은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걸음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걸음수에 따라 가상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가상 세계 맵을 표시하고, 가상 세계 맵 중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생성된 가상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환경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 표시부; 태양광을 수집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충전되는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환경 모드(eco mode)로의 진입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형태로서 검정색(black)을 더 많이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보다 밝기를 어둡게 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 표시부;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으로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실행된 복수의 어플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 상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 표시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 및 상기 모션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걸음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걸음수에 따라 가상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을 표시하고, 가상 세계 맵 중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생성된 가상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 표시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 및 상기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환경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수신한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태양광 충전 방식을 이용하는 횟수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능 별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을 원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 신속하게 종료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환경 관련 뉴스 또는 환경 오염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환경 문제를 지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걷기 운동을 유도하여 환경 문제 개선과 함께 사용자의 건강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또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UI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3*4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태양광 패널(미도시), 모션 센서부(미도시) 및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미도시)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태양광 패널(미도시)은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 또는 다수면에 형성되며, 태양광에 노출 시, 태양광 수집을 개시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모션 센서부(미도시)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c sens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센서부(미도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모션 입력 시,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부(미도시)가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에는 가속도 변화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제어부(160)는 감지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션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가 GPS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GPS 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는 주변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을 확인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가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는 주변에 위치하는 AP(Access Point)에 접속하고, 접속한 AP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접속한 AP를 확인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태양광 패널(미도시) 통해 충전되는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하고,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 측정 시, 입력부(140)를 통해 전원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고, 전원을 오프 하고, 입력부(140)를 통해 전원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전원을 온 하고 현재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고, 전원 오프 전에 체크한 배터리 레벨과 상기 전원 온 이후 체크한 배터리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환경 모드(eco mode)로의 진입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형태로서 검정색(black)을 더 많이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보다 밝기를 어둡게 하여 표시하거나, 현재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된 경우 현재 표시된 화면에 포함된 아이콘의 일부를 생략하여 표시하거나, 현재 아이콘들이 면 이미지로 표시된 경우 면 이미지의 아이콘을 선 이미지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로의 진입 명령 입력을 판단할 때,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환경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고,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표시된 아이콘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거나,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환경 모드로 설정된 화면으로의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환경 모드로의 진입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으로 실행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실행된 복수의 어플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 상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목록 상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기능 종료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전부를 종료시키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배터리 체크 메뉴 진입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목록 상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색상이 구분되도록 표시하거나, 동작 속도가 다른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배터리 체크 메뉴 진입 아이콘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배터리 소모량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 표시 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중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기능 종료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모션 센서부(미도시)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걸음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걸음수에 따라 가상 아이템을 생성하고,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을 표시하고, 가상 세계 맵 중 판단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생성된 가상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판단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한 환경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수신한 환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환경 정보 표시 시,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범위에 따라 환경 정보를 분류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역 범위 명칭을 표시하고,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지역 범위 명칭 중 어느 하나의 지역 범위 명칭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선택된 지역 범위 명칭으로 분류된 환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휴대 단말기(100)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친환경적 행동을 안내하는 UI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를 통해 사용자의 친환경적 행동을 안내하는 UI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가 태양광 충전 방식을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된다. 제1실시예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는 태양광 패널(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201단계에서 태양광 패널(미도시)은 태양광 충전을 개시한다. 태양광 패널(미도시)이 태양광에 노출되면 태양광을 수집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2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전원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203단계에서 태양광 충전량을 측정하고, 204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양광 충전량은 'mAh' 또는 'W'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충전량은 화석 연료 이미지(석탄 이미지, 석유 이미지 등) 또는 나무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석 연료 이미지에는 태양광 충전으로 절약될 수 있는 화석 연료의 양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나무 이미지에는 태양광 충전으로 절약될 수 있는 나무의 양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석 연료 이미지가 석탄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우, 화석 연료의 양은 '그램(g)' 또는 '킬로그램(kg)' 등의 무게 단위로 표시될 수 있으며, 화석 연료 이미지가 석유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우, 화석 연료의 양은 '밀리리터(ml)' 또는 '리터(l)' 등의 부피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나무의 양은 무게 단위, 부피 단위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루 수 단위로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양광 충전량은 일(day) 단위, 주(week) 단위, 월(month) 단위, 연(year)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가 출시된 이후부터 태양광 충전량의 누적량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 리셋(reset) 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태양광 충전량의 리셋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0부터 태양광 충전량의 누적량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203단계에서 태양광 충전량 대신 태양광 충전 시간을 측정하고, 204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측정된 태양광 충전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태양광 충전 시간은 '시간(hour) 단위', '분(minute) 단위' 또는 '초(second)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저장부(130)에는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이 상기 저장된 임계 충전량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임계 충전량은 제어부(16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건에 해당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친환경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태양광 충전량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여야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160)는 206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아이템 육성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나무', '꽃'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아이템 육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씨앗' 또는 '뿌리'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후 태양광 충전 시,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아이템을 변형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씨앗' 또는 '뿌리'가 자라 '나무' 또는 '꽃'이 되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30)는 복수 개의 임계 충전량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을 측정하고, 제1임계 충전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고, 제2임계 충전량에 도달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기존에 표시되어 있던 이미지에 새로운 아이템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가 태양광 충전량이 제2임계 충전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나무가 자라고 있는 이미지 옆에 뿌리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이 임계 충전량에 도달할 때마다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아이템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여러 그루의 나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이 임계 충전량에 도달할 때마다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기존에 표시되어 있던 이미지를 삭제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가 태양광 충전량이 제2임계 충전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나무 이미지를 삭제하고 화석 연료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양광 충전량은 포인트로 전환되어 컨텐츠 구매의 지불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현재까지 누적된 태양광 충전량에 관한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태양광 충전량 데이터를 포인트로 전환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게 된다. 태양광 충전량이 전환된 포인트로 구매 가능한 컨텐츠는 친환경적 성격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 꽃 등의 이미지, 환경 문제와 관련된 음악 컨텐츠가 친환경적 성격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3의 [a]는 태양광 충전량을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의 [a]의 화면은 사용자가 태양광 충전량을 '일(day)', '주(week)', '월(month)'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도 3의 [a]의 화면은 충전 시간과 충전량을 함께 표시하고 있으며, 충전 시간은 '시간(hour)' 단위로, 충전량은 'mAh' 단위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a]의 화면은 월(month) 단위 태양광 충전량 메뉴에서 주(week) 별 태양광 충전량의 통계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a]의 화면은 'Growing Trees'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Growing Trees' 아이콘은 나무 육성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이 임계 충전량에 도달하지 못할 때에는 'Growing Trees'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다가 태양광 충전량이 임계 충전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Growing Trees'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Growing Trees' 아이콘은 휴대 단말기(100)가 나무 육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려준다.
도 3의 [b]는 나무 육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다. 도 3의 [b]의 화면은 현재의 태양광 충전량 수치와 나무가 자라고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다. 태양광 충전 시, 제어부(160)는 태양광 충전량을 확인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태양광 충전량에 따라 태양광 충전량 수치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나무 이미지의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또한 도 3의 [b]의 화면은 'Set Idle Screen' 아이콘과 'Set Lock Screen'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Set Idle Screen' 아이콘은 대기 화면을 나무 육성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에 해당하며, 'Set Lock Screen' 아이콘은 잠금 화면을 나무 육성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에 해당한다. 상기 아이콘들은 사용자가 '화면 설정 메뉴'에 진입하지 않고도 바로 대기 화면이나 잠금 화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나무 육성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태양광 충전량 수치와 변화되는 나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태양광 충전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나무나 꽃 등이 자라는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등 감성적 보상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태양광 충전 방식을 자주 사용할 동기를 심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는 환경 모드(eco mode)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환경 모드는 일반 모드(normal mode)에서보다 전력 소모가 감소되도록 설정된 모드에 해당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환경 모드로의 진입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환경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고,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40)는 터치 패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부(140)에 환경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기 화면, 메뉴 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이 여러 개의 면으로 구성된 경우, 어느 하나의 면이 환경 모드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면들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환경 모드 화면으로의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140) 및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화면 전환을 위한 터치 위치 이동 동작(드래그(drag), 플릭(flick))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화면을 전환시켜 표시한다. 표시해야할 화면이 환경 모드 화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환경 모드 화면을 표시하면서 휴대 단말기(100)를 환경 모드로 전환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환경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일반 모드의 화면보다 검정색(black)이 더 많이 포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색상은 소비 전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색상들 중 검정색의 소비 전력이 가장 낮으며, 녹색(green), 적색(red), 청색(Blue), 흰색(white) 순으로 소비 전력이 높아진다. 저장부(130)에는 동일한 형태의 화면에 대해 일반 모드와 환경 모드에 따라 화면 색상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로 설정된 화면 색상 정보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4의 [a]는 일반 모드에서의 배경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의 배경 화면은 적색, 청색, 흰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는 환경 모드에서의 배경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배경 화면은 검정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화면이 전체적으로 검정색 계열로 표시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하며, 이로써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밝기(brightness)를 어둡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화면의 밝기는 소비 전력에 영향을 미치며, 밝기가 밝을수록 소비 전력이 높으며, 밝기가 어두울수록 소비 전력이 낮다. 저장부(130)에는 동일한 형태의 화면에 대해 일반 모드와 환경 모드에 따라 화면 밝기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로 설정된 화면 밝기 정보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일반 모드의 화면보다 아이콘의 개수가 적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개수는 소비 전력에 영향을 미친다.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적을수록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아이콘의 개수가 많을수록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 저장부(130)에는 동일한 형태의 화면에 대해 일반 모드와 환경 모드에 따라 아이콘 개수 정보 또는 아이콘 배열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로 설정된 아이콘 개수 정보 또는 아이콘 배열 정보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5의 [a]는 일반 모드에서의 메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의 메뉴 화면에는 총 16개의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b]는 환경 모드에서의 메뉴 화면에 해당하며, 여기서 메뉴 화면에는 9개의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일반 모드에서보다 아이콘의 개수가 적은 화면을 표시하며, 이로써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면 이미지를 선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때보다 선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때에 소비 전력이 감소된다. 저장부(130)에는 동일한 형태의 이미지에 대해 면 이미지와 선 이미지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면 이미지를 선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또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의 [a]는 일반 모드에서의 메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의 메뉴 화면에는 아이콘들이 면으로 구성된 이미지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의 [b]는 환경 모드에서의 메뉴 화면에 해당하며, 아이콘들은 선으로 구성된 이미지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면 이미지를 선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며, 이로써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환경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6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종료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소비 전력이 가장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 환경 모드 설정 메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환경 모드 설정 메뉴에는 환경 모드 진입 시 종료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해 환경 모드 진입 시 종료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환경 모드에서 현재 구동 중인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GPS 통신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가 환경 모드에 진입 시,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 모듈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동이 종료되는 통신 모듈은 현재 구동 중인 통신 모듈들 중 소비 전력이 가장 높은 통신 모듈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통신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환경 모드 설정 메뉴에는 환경 모드 진입 시 구동이 종료되는 통신 모듈을 설정하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해 환경 모드에서 구동이 종료되는 통신 모듈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제어부(160)가 입력부(140)를 통해 환경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통신 모듈의 구동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전력 소모가 낮은 환경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환경 모드 진입을 위한 UI를 제공한다. 환경 모드 진입을 위한 UI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 사용자가 자주 볼 수 있는 화면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환경 모드 전환 선택을 유도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환경 모드로 진입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력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는 배터리 체크 메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 체크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배터리 소모량을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뉴에 해당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배터리 체크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배터리 체크 메뉴로의 진입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고,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40)는 터치 패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부(140)에 배터리 체크 메뉴 진입을 위한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상기 배터리 체크 메뉴로의 진입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실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실행 화면상에 배터리 체크 메뉴로의 진입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며,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상에 배터리 체크 메뉴로의 진입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에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이 표시되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텍스트, 아이콘 또는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가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배터리 체크 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배터리 소모량으로 구성된다. 배터리 소모량은 숫자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배터리 소모량이 숫자로 표시되는 경우, 소비 전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가 소모하는 전체 전력량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소모하는 전력량이 차지하는 비율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배터리 소모량이 이미지로 표시되는 경우, 막대 이미지, 눈금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소모하는 전력량이 많을수록 이미지의 크기, 길이, 색상 등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배터리 체크 메뉴에 어플리케이션 종료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어플리케이션 종료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어플리케이션 종료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을 통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바로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목록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배터리 소모량으로 구성된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또는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상에 배터리 소모량을 표시하거나 배터리 소모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을 구분하고 각각의 레벨에 대해 색상을 지정하며,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어플리케이션 명칭이 표시되는 영역)을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배터리 소모량 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고, 제1단계에 적색, 제2단계에 주황색, 제3단계에 노란색, 제4단계에 녹색을 지정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며, 제1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축소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로 구성되는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경우에도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통화 기록 보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며,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이 제2단계,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이 제1단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이 제3단계, 통화 기록 보기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이 제4단계로 지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 표시 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주황색,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적색,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노란색, 통화 기록 보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녹색으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을 구분하고 각각의 레벨에 대해 애니메이션 동작 속도를 지정하며,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또는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 표시 시,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에 따라 동작 속도를 다르게 하여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바람개비가 회전하는 이미지, 사람이 달리는 이미지 등의 동적 이미지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축소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로 구성되는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각각의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들 상에 각각 바람개비 이미지를 표시하고,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바람개비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 표시 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두 종료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빠른 종료를 유도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의 [a]는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에 해당한다. 도 7의 [a]에서 현재 'Music', 'Browser', 'Talk', 'Contact'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의 [a]에는 어플리케이션 마다 인디케이터 영역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Music'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주황색, 'Browser'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적색, 'Messenger'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노란색, 'Contact'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색상은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을 나타낸다. 적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순으로 배터리 소모량의 레벨의 순위가 매겨지는 경우, 사용자는 인디케이터 영역의 색상을 보고 'Browser'의 배터리 소모량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가장 많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의 [a]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종료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종료 아이콘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종료 아이콘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한다. 또한 도 7의 [a]에는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전체를 종료하는 'End All'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종료하는 아이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종료 명령을 입력하지 않고도 한 번에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신속한 종료는 전력 소모 감소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b]는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의 [b]의 화면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바람개비 형태의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바람개비 이미지는 'Browser', 'Music', 'Messenger', 'Contact' 순으로 회전 속도가 감소되어 표시된다. 사용자는 바람개비의 회전 속도를 보고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Browser'의 배터리 소모량이 가장 많고, 'Contact'의 배터리 소모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의 [c]는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의 [c]의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목록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터리 소모량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c]에서 배터리 소모량은 일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이미지들이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렬로 배열되는 개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이미지의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c]에는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 순서대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나열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을 통해 '3G call'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소모량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의 [c]에서 'Browser'와 'Music'에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을 통해 'Browser'와 'Music'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아이콘을 입력하여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에서 바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의 [c]의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에는 'Multitasking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Multitasking 아이콘'은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으로의 복귀를 위한 아이콘에 해당하며, 사용자는 'Multitasking 아이콘'을 입력하여 표시 화면을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 배터리 체크 메뉴 화면에서 배터리 소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기 화면들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배터리 소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화면들에 어플리케이션 종료 아이콘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들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사용자의 걷기 운동을 유도하는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4실시예는 모션 센서부(미도시) 및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된다. 제4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UI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모션 센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를 측정하며 측정된 걸음 수에 관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로서 GPS 모듈을 포함하고, 모션 센서부(미도시)로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8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802단계에서 GPS 모듈을 제어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8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804단계에서 가속도 센서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한다. 제어부(160)는 805단계에서 측정된 가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걸음을 내딛을 때마다 가속도가 급격히 변하며, 제어부(160)는 가속도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을 체크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판단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160)는 806단계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걸음수에 대응하여 가상 아이템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 아이템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원료(화석 연료, 나무)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가상 아이템을 생성한 후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생성한 가상 아이템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가상 아이템이 '나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걷기 운동을 함으로써 절약될 수 있는 개수만큼의 나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걸음수에 따라 나무의 크기 또는 종류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걸음수에 대응하는 나무의 크기 또는 종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한 후,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걸음수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종류로 나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 사용자가 걷는 운동을 통해 소모하는 칼로리, 사용자가 걷는 운동을 통해 절감할 수 있는 CO2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80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아이템 활용 기능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 활용 기능은 생성된 아이템을 이용하는 일종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아이템 활용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면, 808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 및 현재 위치 선택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으로 지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809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 선택 아이콘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현재 위치 선택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81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 중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상 아이템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지구 이미지 중 서울이 위치하는 영역에 나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809단계에서 현재 위치 선택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811단계에서 가상 세계 맵 중 일정 영역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가상 세계 맵 중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면, 81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가상 아이템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구 이미지에서 아마존이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아마존 영역에 나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807단계에서 아이템 활용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81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 중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상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판단한 후, GPS 모듈을 제어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가상 아이템을 생성한 후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가상 세계 맵을 표시한 후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 아이템이 표시된 가상 세계 맵은 대기 화면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생성된 가상 아이템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걷기 운동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가상 아이템은 포인트로 전환되어 컨텐츠 구매의 지불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생성된 가상 아이템의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가상 아이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포인트로 전환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공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에 해당한다. 도 9의 [a]는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9의 [a]의 화면에는 나무 이미지와 걷기 운동으로 절약될 수 있는 나무의 개수가 표시되어 있다. 나무의 개수는 걸음 측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절약되는 나무의 개수와 절약된 나무의 개수 누적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a]의 화면에는 '나무 심기'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도 9의 [a]에서 '나무 심기'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전환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9의 [b]는 상기 설명한 아이템 활용 기능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9의 [b]의 화면에는 지구 이미지와 현재 위치를 선택하는 'Plant current place'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서울'에 위치한 상태에서 'Plant current place'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지구 이미지에서 서울에 해당하는 영역에 나무를 표시한다. 반면 사용자가 지구 이미지에서 일정 영역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선택된 영역에 나무를 표시한다. 도 9의 [c]는 도 9의 [b]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아마존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Plant in Amazon'이라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걸음수에 따라 가상 아이템을 생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생성된 가상 아이템을 활용하는 기능까지 제공한다. 특히,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 아이템이 가상 세계 중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 세계를 꾸미는 재미와 생성된 가상 아이템의 포인트로의 전환은 걷기 운동의 동기를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환경 문제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5실시예는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된다. 제5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5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친환경 위젯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친환경 위젯은 대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소정의 그래픽으로서 친환경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아이콘 역할을 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기반 통신 모듈부(미도시)로서 GPS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10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친환경 위젯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친환경 위젯이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친환경 위젯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1002단계에서 GPS 모듈을 제어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10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1004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웹(web) 서버 또는 왑(wap)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 및 뉴스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웹 서버 또는 왑 서버에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으며, 뉴스 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다.
10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 및 뉴스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60)가 날씨 정보만을 요청한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만을 수신하며, 뉴스 정보만을 요청한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뉴스 정보만을 수신한다.
1006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날씨 정보 표시 선택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날씨 정보 표시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007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수신한 날씨 정보를 표시한다. 만약 제어부(160)가 100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날씨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60)는 1006단계를 생략하고 1007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날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1006단계에서 날씨 정보 표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뉴스 정보 표시 선택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뉴스 정보 표시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1009단계에서 지역 범위에 따라 뉴스 정보를 분류한다. 지역은 국가, 주, 도시, 스트리트(street) 등의 지역 범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넓은 지역 범위에서부터 좁은 지역 범위까지 뉴스 정보를 분류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구분한 지역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1010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지역 범위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어느 하나의 지역 범위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1011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선택된 지역 범위에 해당하는 뉴스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가 1005단계에서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뉴스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60)는 1006단계 및 1008단계를 생략하고 1009단계 내지 1011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는 다른 지역의 날씨 정보 또는 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지역 명칭 입력 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통해 날씨 정보 또는 뉴스 정보를 알고자 하는 지역 명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웹 서버 또는 왑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 명칭을 송신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입력한 지역 명칭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 또는 뉴스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수신한 날씨 정보 또는 뉴스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지역 범위 별로 분류하여 뉴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에 해당한다. 도 11의 [a]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날씨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1의 [a]의 화면에는 현재 날씨, 온도, 자외선 지수, 주간 날씨 등이 표시되어 있다. 도 11의 [b]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뉴스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1의 [b]의 화면에서 지역 범위는 '메탄동'으로 선택되어 있다. 도 11의 [b]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뉴스는 '메탄동'에 관한 환경 뉴스에 해당한다. 도 11의 [c] 역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뉴스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하며, 지역 범위는 '수원'으로 선택되어 있다. 도 11의 [c]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뉴스는 '수원'에 관한 환경 뉴스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환경 오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GPS 모듈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판단한 후,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웹 서버 또는 왑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 오염 정보를 요청한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환경 오염 정보를 수신한 후,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환경 오염 정보를 표시한다. 환경 오염 정보에는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의 지도, 환경 오염 상태 정보, O3, CO2, SO2 등의 기체 농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는 다른 지역의 환경 오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지역 명칭 입력 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통해 환경 오염 정보를 알고자 하는 지역 명칭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웹 서버 또는 왑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 명칭을 송신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 명칭에 해당하는 환경 오염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환경 오염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2는 환경 오염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2의 화면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명칭('Quai Branly st. Paris')과 현재 위치에 관한 맵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화면에는 'Good', 'Moderate', 'Unhealthy for Sensitive', 'Unhealthy', 'Very Unhealthy'와 같은 환경 오염 상태의 레벨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레벨 정보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화면에는 O3, SO2, CO2, NO3, Dust, API 등과 같은 공기 오염 물질에 관한 데이터도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화면에는 다른 지역의 환경 오염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도 표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날씨 정보, 뉴스 정보 또는 환경 오염 정보를 위젯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며, 뉴스 정보는 지역 범위 별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환경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처리부
130 : 저장부
140 : 입력부
150 : 표시부
160 : 제어부

Claims (23)

  1. 태양광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의 측정은
    전원 오프(OFF) 명령 입력 시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 1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
    전원 온(ON) 명령 입력 시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 2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배터리 레벨과 제 2 배터리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 1 배터리 레벨 및 제 2 배터리 레벨은 상기 전원 오프(OFF) 및 전원 온(ON) 명령 입력에 따라 각각 순차적으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충전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태양광 충전으로 절약될 수 있는 양의 연료 또는 나무 양으로 표현되는 연료 또는 나무 이미지로 태양광 충전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입력부;
    표시부;
    태양광을 수집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광 패널;및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충전되는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측정된 태양광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또는 임계 충전 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OFF) 명령 입력 시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 1 배터리 레벨과 전원 온(ON) 명령 입력 시의 제 2 배터리 레벨을 순차적으로 체크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레벨과 제 2 배터리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배터리 레벨 및 상기 제 2 배터리 레벨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전원 오프(OFF) 및 전원 온(ON) 명령이 각각 입력되면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00012932A 2010-02-11 2010-02-11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21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32A KR101721539B1 (ko) 2010-02-11 2010-02-11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EP11742429.1A EP2534564B1 (en) 2010-02-11 2011-02-0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user interface
US13/023,035 US8644846B2 (en) 2010-02-11 2011-02-0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user interface
AU2011215107A AU2011215107B2 (en) 2010-02-11 2011-02-0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user interface
PCT/KR2011/000801 WO2011099737A2 (en) 2010-02-11 2011-02-0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user interface
CN201180008702.9A CN102754064B (zh) 2010-02-11 2011-02-08 用于提供生态友好用户接口的移动设备和方法
US14/142,335 US20140115517A1 (en) 2010-02-11 2013-12-27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32A KR101721539B1 (ko) 2010-02-11 2010-02-11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00A KR20110093100A (ko) 2011-08-18
KR101721539B1 true KR101721539B1 (ko) 2017-03-30

Family

ID=4435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32A KR101721539B1 (ko) 2010-02-11 2010-02-11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644846B2 (ko)
EP (1) EP2534564B1 (ko)
KR (1) KR101721539B1 (ko)
CN (1) CN102754064B (ko)
AU (1) AU2011215107B2 (ko)
WO (1) WO20110997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482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047192A (ko) * 2011-10-31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 전압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53059A (ko) * 2011-11-14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게이징 방법 및 장치
JP2013162239A (ja) * 2012-02-02 2013-08-19 Sharp Corp 抑止装置、抑止装置の制御方法、被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30324059A1 (en) * 2012-06-01 2013-12-05 Petari USA, Inc. Wireless device with hybrid energy charging
JP5957350B2 (ja) * 2012-09-27 2016-07-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40087729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CN103941954B (zh) * 2013-01-17 2018-06-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展示界面的方法和装置、用户界面交互的方法和装置
US9824387B2 (en) * 2013-03-15 2017-11-21 Proximity Concepts, LL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proximity, mapping, indexing, mobile, advertising and/or other features
CN103513765A (zh) * 2013-04-27 2014-01-1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电子设备中气象数据的显示方法和装置
US8972760B1 (en) * 2013-12-20 2015-03-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cond launcher
JP6498208B2 (ja) * 2014-01-10 2019-04-10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ユー 太陽エネルギーの収集効率向上のための画像修正方法及び装置
CN104238876A (zh) * 2014-08-29 2014-12-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应用程序图标的显示方法
USD762692S1 (en) 2014-09-02 2016-08-0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6134775A (ja) * 2015-01-20 2016-07-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4965699A (zh) * 2015-06-08 2015-10-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70000196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의 속성 기반의 상태 변화 효과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59928B2 (en) * 2015-06-29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es Corporation Reconfigur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interface device deterioration
US9959374B2 (en) * 2015-11-04 2018-05-01 Scepter Incorporated Atmospheric sensor network and analytical information system related thereto
CN105978078B (zh) * 2016-06-15 2018-09-11 广州高新兴机器人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和红外定位的轮式机器人自动充电的方法
CN110851213B (zh) 2016-09-23 2024-01-30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信息的显示方法以及终端
US20180217964A1 (en) * 2017-02-02 2018-08-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ntent-aware energy savings for web browsing utilizing selective loading priority
USD824944S1 (en) * 2017-02-10 2018-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3092884A1 (en) * 2018-03-27 2019-10-03 Spacedraft Pty Ltd A media content planning system
JP7140540B2 (ja) * 2018-05-07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2128884B1 (ko) * 2019-10-22 2020-07-01 캐롯손해보험 주식회사 사용자 임의 선택성 기반의 보험 스위칭 시스템
US20230367460A1 (en) 2022-05-10 2023-11-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JP7449436B1 (ja) 2023-09-01 2024-03-13 株式会社ほぼ日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2772A (ja) 2006-08-09 2008-02-21 Kyocera Corp 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4857A (en) * 1994-04-15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or communication apparatus
JP3636219B2 (ja) * 1994-09-09 2005-04-06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装置用電源投入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US20030045315A1 (en) * 2001-08-31 2003-03-06 Yojak Vasa Multi-icon display
KR100426518B1 (ko) 2001-12-14 2004-04-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충전방법
US20060095864A1 (en) * 2004-11-04 2006-05-0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an application characteristic using a sensory perceptible representation
KR20060080987A (ko) 2005-01-06 2006-07-12 주식회사 팬택 충전 시간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14722B1 (ko) 2005-02-11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걸음을 기반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060184792A1 (en) * 2005-02-17 2006-08-17 Scalable Software Protecting computer systems from unwanted software
CN1882129A (zh) * 2005-06-13 2006-12-20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电池图标的实现方法
KR100780438B1 (ko) 2006-08-22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US20080143291A1 (en) * 2006-09-08 2008-06-19 Kuo-Len Li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 Solar Energy Charging Function
US8355709B2 (en) * 2006-10-23 2013-01-15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o launch an application locally or remotely as a webapp
US8030800B1 (en) * 2009-04-08 2011-10-04 William J Terrell Integrated power sourc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00281481A1 (en) * 2009-04-30 2010-11-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within a computing device
US8280456B2 (en) * 2009-08-14 2012-10-02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620879B2 (en) * 2009-10-13 2013-12-31 Google Inc. Cloud based file storage service
US8749484B2 (en) * 2010-10-01 2014-06-10 Z124 Multi-screen user interface with orientation based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2772A (ja) 2006-08-09 2008-02-21 Kyocera Corp 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4564B1 (en) 2019-10-09
WO2011099737A3 (en) 2012-01-05
US20110195723A1 (en) 2011-08-11
WO2011099737A2 (en) 2011-08-18
CN102754064B (zh) 2017-05-10
US8644846B2 (en) 2014-02-04
KR20110093100A (ko) 2011-08-18
AU2011215107B2 (en) 2015-11-26
EP2534564A2 (en) 2012-12-19
CN102754064A (zh) 2012-10-24
EP2534564A4 (en) 2014-01-01
AU2011215107A1 (en) 2012-08-09
US20140115517A1 (en)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539B1 (ko)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934467B (zh) 基于手势和/或位置来预获取信息
TWI547836B (zh) 用以提供增強型使用者介面之方法與裝置
RU2618386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рабочего стола
US8924550B2 (en) Monitoring application program resource consumption
US8762053B1 (en)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US8433512B1 (en)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CN101498586B (zh) 应用智能导游***进行景区信息预览及游览路线规划方法
CN116233306A (zh) 一种熄屏显示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5683904A (zh) 用于关键词图形选择的方法和装置
US20120158520A1 (en) Context aware advertisement delivery
EP3066714A1 (en) Solar charger energ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US9626454B1 (en) Local query suggestions
CN107302638A (zh) 一种音量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8933861A (zh) 应用图标排序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06527656B (zh) 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8074009B (zh) 一种运动路线的生成方法、装置、移动终端和服务器
Khan et al. Sensors are power hungry: An investigation of smartphone sensors impact on battery power from lifelogging perspective
CN106250542A (zh) 一种推荐程序的方法及终端
CN106716518A (zh) 在省电模式下将内容显示在显示器上
CN107748679A (zh) 一种运行限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635060A (zh) 共享地图发布方法和装置
CN106791153A (zh) 应用推送消息分类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8917766A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CN102902698A (zh) 移动运算装置的内容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