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79B1 -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79B1
KR101719779B1 KR1020150160630A KR20150160630A KR101719779B1 KR 101719779 B1 KR101719779 B1 KR 101719779B1 KR 1020150160630 A KR1020150160630 A KR 1020150160630A KR 20150160630 A KR20150160630 A KR 20150160630A KR 101719779 B1 KR101719779 B1 KR 101719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electromagnetic field
sound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치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치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치스톤
Priority to KR102015016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2Binaural
    • H04B5/00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출력되는 음향을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와 같은 텔레코일이 적용된 보청기 사용시 히어링 루프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HEARING AID SYSTEM USING A TELECOIL}
본 발명은 청력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각종 음향기기에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출력되는 음향을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와 같은 텔레코일이 적용된 보청기 사용시 히어링 루프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텔레코일은 수화부(receiver)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자기신호(magnetic signal)로 변환하는 장치로, 변환된 자기신호는 청각장애인이 착용한 청각보조기 내의 유도코일로 제공되어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음향신호로 출력되며, 이와 같은 텔레코일을 사용함으로 별도의 오디오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도 일정범위 내에서 유선연결 없이 청취가능하다.
이는 인근의 보청기의 T-코일과 유도 결합을 위해 설계되는 텔레코일 또는 T-코일이라고도 하는 히어링 루프와 같은 별개의 자기장 방출 수단을 설치하고, 오디오장치의 음향을 상기 히어링 루프에 인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전자기장을 형성함으로 범위 내 보청기 착용자들이 일괄적으로 음향을 청취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라디오와 MP3 플레이어를 거치면서 최근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까지 점차 음향기기가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히어링 루프를 이용한 방식은 목걸이나 구조물에 매설되는 거추장스러운 루프가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포켓용 보청기 등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에서 유선 타입의 보청기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에 의해 사용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실정이며, 특히 종래의 히어링 루프의 구조적인 제약으로 스테레오 음향의 청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6362호 (2005.11.0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을 향상시켜 히어링 루프 없이도 다양한 음향기기의 출력단자에 연결함으로 사용 가능하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출력되는 음향을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스테레오 음향의 청취가 가능한 청력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청력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단자연결부와, 상기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신호변환부를 구비하는 신호전송부; 상기 제1신호변환부에서 발생된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코일로 이루어져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변환부와,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음향신호로 전환하는 음향입력부와, 변환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음향입력부 또는 제2신호변환부의 음향신호 중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음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모드변환부를 구비하는 신호수신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단자연결부에서 입력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하는 채널분리부와, 각 채널에 따라 생성된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을 위한 강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신호변환부는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제2신호변환부와 출력부가 2개씩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음향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변환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 추가로 구비되는 신호수신부를 통해 전자기장신호의 수신 및 음향신호의 변환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형으로 휴대가 매우 간편하며, 히어링 루프의 설치 없이도 종래의 음향기기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 고품질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향기기의 음향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전자기장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고 주변 소음과 무관한 선명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및 이와 동등한 기능의 각종 모바일 단말기, 테블릿 PC를 비롯하여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 각종 휴대용 음향기기(200)에 연결되는 신호전송부(110)와, 이어폰 형태의 신호수신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출력되는 음향을 듣도록 하게 된다.
이때 단순하게 음향기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무선신호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아닌 특별히 청각장애인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텔레코일을 사용함으로 보청기와 같이 청력을 보조하면서 동시에 음향기기(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신호전송부(110)는 통상의 이어폰 연결단자에 해당하는 음향기기(200)의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텔레코일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되며, 이를 위해 단자연결부(111)와, 제1신호변환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연결부(111)는 말 그대로 음향기기(20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는 상기 단자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는 일명 텔레코일로 불리는 구성으로 HAC 관련 규정을 만족하는 수백∼수십㏀의 임피던스를 갖는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연결부(111)로 인가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별도의 전원이나 증폭 수단 없이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생성된 전자기장 신호의 도달범위는 수십㎝ 이내로 통상의 무선통신수단과 비교하여 비교적 짧다.
실질적으로 별도의 전원이나 신호 증폭 없이 안정적인 음향신호가 전달되는 거리는 십수 ㎝ 수준으로 청각 장애인이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하여 사용함에 있어, 통상의 경우와 같이 휴대전화기를 안면에 밀착시키는 자세로 사용시 불편함 없이 음향의 청취 및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전자기장의 도달범위가 짧음에 따라 텔레코일이 적용된 보청기를 착용한 타인에게 의도치 않게 통화내용이나 음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신호전송부(11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게 되며, 통상 십수 미터의 전파도달 범위를 갖는 블루투스 등을 활용한 무선이어폰과는 달리 음향기기(200)의 음향을 청취하는데 신호전송부(110)와 신호수신부(120) 모두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신호수신부(120)는 보청기의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됨으로 상기 신호전송부(110)를 통해 전달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제2신호변환부(121)와, 음향입력부(123)와, 모드변환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는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코일로 이루어지며,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와는 반대되는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음향입력부(123)는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음향신호로 전환하는 일종의 마이크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이 청각 장애인을 위한 청각보조를 위한 목적으로 쓰임에 따라 상기 음향기기(200)의 음향 외에도 평상시 보청기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외부 음향 청취를 위한 음향입력부(123)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부(122)는 변환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의 음향신호 및 음향입력부(123)의 음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부(122)가 이어폰과 같이 사용자의 귀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교적 작은 출력으로도 청각장애를 갖는 사용자가 충분히 청취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형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을 통해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120)에 별도의 가변저항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도 있으나, 통상 상기 음향기기(200)에 기본적으로 음량설정 기능이 구비됨에 굳이 신호수신부(120) 측에서 음량을 제어할 필요성은 낮다.
상기 모드변환부(124)는 상기 음향입력부(123) 또는 제2신호변환부(121)의 음향신호 중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될 음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구성으로, 평상시 상기 음향입력부(123)의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 상기 신호수신부(120)를 보청기의 용도로 활용하고, 음향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거나 휴대전화기에 상기 신호전송부(110)를 연결함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의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 2가지 기능을 일체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텔레코일을 활용하여 음향기기(200)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되 스테레오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신호전송부(110)는 채널분리부(113)와, 강도조절부(11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채널분리부(113)는 상기 단자연결부(111)에서 입력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음향기기(200)의 음향 출력단자가 스테레오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단자연결부(111)가 스테레오 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음향을 구분하여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채널분리부(113)를 통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강도조절부(114)를 통해 한 쌍의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각 채널에 따라 생성된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강도조절부(114)는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출력되는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을 통해 전자기장의 도달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쌍의 제1신호변환부(112)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좌측 채널의 전자기장과 우측 채널의 전자기장의 강도를 다르게 하게 된다 이때, 통상 성인의 양쪽 귀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양 채널의 전자기장 도달범위에 차이가 나도록 한쪽의 제1신호변환부(112)에 가변저항을 두어 전자기장을 약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제1신호변환부(112, 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신호수신부(120)는 상기 제2신호변환부(121, 121')와 출력부(122, 122')가 2개씩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음향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자세와 같이 상기 신호전송부(110)가 설치된 음향기기(200)를 한 손에 들고 한쪽 귀 근처에 갖다댄 상태에서 상기 신호전송부(110)에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음향을 위해 각각 구비된 제1신호변환부(122, 122')의 전자기장의 도달범위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이때 양쪽 귀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한쪽 제1신호변환부(121')의 전자기장의 강도를 약하게 함으로, 근접한 제2신호변환부(121)에만 전자기장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쪽 제2신호변환부(121')에는 동일한 채널의 전자기장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일한 음향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다수의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전송부(110)가 확장부(130)를 통해 복수로 확장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 텔레코일을 활용하는 주된 방식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전자기장을 방출하는 히어링 루프를 매설함으로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일괄적으로 청취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는 히어링 루프의 시공에 따른 많은 번거로움을 가져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신호전송부(110)를 확장 연결하는 방식으로 강연이나 세미나를 비롯하여 다양한 공공시설에서 간편하게 다수의 사용자에게 청각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전송부(110)의 단자연결부(111)에 연결되는 확장부(130)가 구비되며, 음향기기(200)에 연결된 신호전송부(110)와 확장부(130)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되 복수의 확장부(130)의 병렬연결을 비롯하여 상기 확장부(130)간의 직렬연결을 통해 연속적인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확장부(130)는 상기 신호전송부(110)와 동일한 구성인 채널분리부(132)와 제1신호변환부(131)와 강도조절부(133)를 구비함으로 상기 신호전송부(1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동일한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구비되는 신호수신부를 통해 전자기장신호의 수신 및 음향신호의 변환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신호전송부 111: 단자연결부
112: 제1신호변환부 113: 채널분리부
114: 강도조절부 120: 신호수신부
121: 제2신호변환부 122: 출력부
123: 음향입력부 124: 모드변환부
130: 확장부 131: 제1신호변환부
132: 채널분리부 133: 강도조절부
200: 음향기기

Claims (3)

  1. 청력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단자연결부(111)와, 상기 단자연결부에서 입력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하는 채널분리부(123)와, 각 채널에 따라 생성된 전자기장의 강도조절을 위한 강도조절부(124)와, 2개가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별도의 전원이나 증폭 수단 없이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신호변환부(112, 112')를 구비하는 신호전송부(110);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코일로 이루어져 별도의 전원 없이 수신된 전자기장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변환부(121, 121')와, 변환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22, 122')가 각각 2개씩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음향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신호수신부(120);
    상기 신호전송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변환부(11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좌측 및 우측 채널로 분리된 각 음향신호를 전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추가로 구비되는 신호수신부를 통해 전자기장신호의 수신 및 음향신호의 변환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확장부(1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50160630A 2015-11-16 2015-11-16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KR101719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30A KR101719779B1 (ko) 2015-11-16 2015-11-16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30A KR101719779B1 (ko) 2015-11-16 2015-11-16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79B1 true KR101719779B1 (ko) 2017-04-04

Family

ID=5858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30A KR101719779B1 (ko) 2015-11-16 2015-11-16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62A (ko) 2005-09-06 2005-11-09 장순석 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텔레코일 리시버
JP2007325042A (ja) * 2006-06-02 2007-12-13 Mimii Denshi Kk 無線通信装置
KR101236443B1 (ko) * 2012-07-27 2013-02-25 (주)알고코리아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무선 귓속형 보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62A (ko) 2005-09-06 2005-11-09 장순석 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텔레코일 리시버
JP2007325042A (ja) * 2006-06-02 2007-12-13 Mimii Denshi Kk 無線通信装置
KR101236443B1 (ko) * 2012-07-27 2013-02-25 (주)알고코리아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무선 귓속형 보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992B2 (en)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8840B1 (ko) 휴대용 전자장치에 결합된 보청기
US20160234609A1 (en) Binaural hearing system and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beamformer unit
US20100329491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KR101771607B1 (ko) 듀얼 청음장치
JP2008118636A (ja) 基地局としての遠隔操作部を有する聴取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通信方法
EP3386216B1 (en)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and a corresponding method
US20080240477A1 (en)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KR20170012440A (ko)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갖는 개인 통신 디바이스
US20160088403A1 (en) Hearing assistive device and system
EP1670283A1 (en) Bluetooth headset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TWM563122U (zh) 聽力輔助裝置
KR102561956B1 (ko) 마이크가 내장된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스테레오 타입의 디지털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5270B1 (ko) 유무선 이어셋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US20230099728A1 (en) System for locating an electronic accessory device
EP3072314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US11856370B2 (en) System for audio rendering comprising a binaural hearing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KR101719779B1 (ko)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KR20110080306A (ko)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1164970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보청장치
KR20170001815U (ko) 호환성이 개선된 텔레코일을 활용한 청력보조 시스템
CN103181199B (zh) 具有电话和听力装置的通信***以及传输方法
US966829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