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590B1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590B1
KR101719590B1 KR1020140183712A KR20140183712A KR101719590B1 KR 101719590 B1 KR101719590 B1 KR 101719590B1 KR 1020140183712 A KR1020140183712 A KR 1020140183712A KR 20140183712 A KR20140183712 A KR 20140183712A KR 101719590 B1 KR101719590 B1 KR 10171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information
live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032A (ko
Inventor
지로 시모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쵤상장치는,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1 촬상 유닛과는 다른 제2 촬상 유닛과, 상기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1 라이브 화상 위에, 상기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2 라이브 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라이브 화상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과 함께 제1 정보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경우에, 촬영에 관한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중첩하는 표시 상태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표시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촬상 유닛을 갖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화 및 스마트폰에는, 촬영자로부터 보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통상의 카메라(메인 카메라)와 함께, 촬영자 자신이나 촬영자측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서브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메인 카메라와 서브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는 것에 의해, 메인 카메라와 서브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을 행하고, 각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합성해서 기록하는, 소위 동시 촬영(simultaneous shooting) 기능이 실현된다. 동시 촬영 기능을 사용하면, 유저는, 메인 카메라와 서브 카메라의 라이브 뷰(live view) 화상을 보면서, 피사체의 구도 등에 맞추어 촬영자의 표정 등도 확인하여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이 동시 촬영 기능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일반적으로 메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인 배경 영역에 서브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이 작은 사이즈로 중첩된 구성이다. 이 동시 촬영 기능에 관련하여, 일본국 특개 2005-094741호 공보에는, 메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중의 피사체가 숨겨져 있지 않도록, 메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에 대해서 얼굴 검출을 행하여, 얼굴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서브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자의 화상을 합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동시 촬영 기능을 사용해서 촬영을 행하는 경우, 액정 패널 등의 전자 뷰 파인더(view finder) 상에는, 메인 카메라로부터의 라이브 뷰 화상인 배경 영역에 서브 카메라로부터의 라이브 뷰 화상이 배치된 합성 화상이 스루 더 렌즈(through-the-lens) 표시된다. 이 때문에, 촬영자는 피사체뿐만 아니라 자신의 표정 등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개 2005-094741호 공보에서는, 촬영자의 화상과 피사체의 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할 때의 위치 관계가 고정이기 때문에, 촬영자의 화상이 피사체의 화상, 포커스 프레임 등의 다른 정보의 표시 등으로 숨겨져 있거나, 피사체의 화상이 촬영자의 화상, 다른 정보의 표시 등으로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과 정보를 중첩해서 표시할 때의 상하의 위치 관계를 촬영 상태에 따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어떤 화상이 또 다른 화상, 정보 표시 등으로 숨겨져 있지 않게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1 촬상 유닛과는 다른 제2 촬상 유닛과, 상기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1 라이브 화상 위에, 상기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2 라이브 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라이브 화상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과 함께 제1 정보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2 촬상 유닛으로 동시 촬영에 있어서 촬영 처리 전의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중첩하는 표시 상태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표시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 상기 제1 촬상 유닛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1 라이브 화상과, 상기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2 라이브 화상과, 제1 정보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위에 상기 제2 라이브 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하고, 상기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2 촬상 유닛으로 동시 촬영에 있어서 촬영 처리 전의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중첩하는 표시 상태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표시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화상과 정보를 중첩해서 표시할 때의 상하의 위치 관계를 촬영 상태에 따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어떤 화상이 또 다른 화상, 정보 표시 등으로 숨겨지지 않도록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기본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a는 도 4의 스텝 S407에 있어서의 얼굴 검출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b는 도 4의 스텝 S414에 있어서의 촬영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c는 도 4의 스텝 S416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스루 더 렌즈 표시 제어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레이어(layer) 우선도 설정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레이어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다양한 조건 및 구조에 의존해서 적절히 변형 또는 변경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의 일부를 적절히 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을, 예를 들면, 정지 화상 및/또는 동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장치 구성>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표시부(101)는 화상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LCD)의 표시장치이다. 셔터 버튼(102)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전환 버튼(103)은 각종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다. 커넥터(107)는 접속 케이블(108)과 디지털 카메라(10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조작부(104)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및 터치패널 등의 조작부재로 이루어진다. 콘트롤러 휠(106)은 조작부(104)에 포함되는 회전가능한 조작부재이다. 전원 스위치(105)는, 전원 온과 전원 오프를 전환한다. 기록 매체(109)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디스크 등의 매체다. 기록 매체 슬롯(110)은 기록 매체(109)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 매체 슬롯(110)에 격납된 기록 매체(109)는,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덮개(111)는 기록 매체 슬롯(110)을 덮는다. 서브 카메라(112)는, 촬영자 자신이나 촬영자측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다. 뷰파인더(113)는 촬영자가 뷰파인더를 통해서 보면서 피사체측을 촬영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촬영자의 눈이 뷰파인더(113)와 접촉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눈 검출 유닛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에는, 촬영자로부터 보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메인 카메라 모듈(이하, 메인 카메라)과, 촬영자 자신이나 촬영자측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서브 카메라 모듈(이하, 서브 카메라)이 탑재되어 있다. 메인 카메라는, 촬영 렌즈 203, 셔터 204, 촬상부 205로 이루어지는 제1 촬상 광학계를 구비한다. 서브 카메라는 촬영 렌즈 233, 셔터 234, 촬상부 235로 이루어진 제2 촬상 광학계를 구비한다.
촬영 렌즈 203, 233의 각각은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셔터 204, 234의 각각은 조리개 기능을 구비한다. 촬상부 205, 235의 각각은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 등으로 구성된다.
A/D 변환기(206)는, 촬상부 205, 23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배리어(20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메인 카메라측의 촬영 렌즈(203)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를 덮는 것에 의해, 촬영 렌즈 203, 셔터 204, 및 촬상부 205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의 오염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화상처리부(207)는, A/D 변환기(206)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209)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 보간 및 축소 등의 리사이즈(resizing) 처리나 색 변환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207)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부(201)가 노광 제어 및 측거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Through the lens) 방식의 AF(Automatic Focus)처리, AE(Automatic Exposure)처리, EF(flash-pre-emission) 처리가 행해진다. 화상처리부(207)는 또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TTL 방식의 AWB(Automatic White Balance) 처리도 행하고 있다.
이때, A/D 변환기(206) 및 화상처리부(207)를 촬상부 205, 235마다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A/D 변환기(206)로부터의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07) 및 메모리 제어부(209)를 통해서, 또는, 메모리 제어부(209)를 통해서 메모리(210)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210)는, 촬상부 205 및 A/D 변환기(206)로부터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101)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10)는, 소정 매수의 정지 화상뿐만 아니라 소정 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신장부(217)는,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ADCT) 등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또는 압축한 화상 데이터를 신장한다. 압축/신장부(217)는, 셔터 204, 234를 트리거로서 사용해서, 메모리(21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로드해서 압축 처리를 행하고, 처리가 끝난 경우에는 결과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또한, 후술하는 동시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행한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부(209)가 메모리(210)에 기억되어 있는 메인 카메라로 촬영된 제1 화상(이하, 메인 카메라 화상)과 서브 카메라로 촬영된 제2 화상(이하, 서브 카메라 화상)을 후술하는 표시시의 상하 관계를 결정하는 레이어(layer) 우선도에 따라 합성하고, 압축/신장부(217)에 의해 압축 처리가 끝났을 때 결과의 합성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또한, 압축/신장부(217)는, 기록 매체(109)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신장 처리를 행하고, 처리가 끝났을 때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압축 신장부(217)에 의해 메모리(21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화해서 기록 매체 I/F(216)를 통해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210)는 화상 표시용의 메모리로서도 기능한다. D/A 변환기(208)는, 메모리(21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101)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해서, 메모리(210)에 기록된 화상 표시용의 데이터는 D/A 변환기(208)를 통해서 표시부(101)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101)는, LCD 등의 표시기에 대해, D/A 변환기(208)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A/D 변환기(206)에 의해 일단 변환되어, 메모리(210)에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D/A 변환기(208)에 의해서 아날로그 변환하고, 그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101)에 순차적으로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 파인더(EVF) 기능을 실현하여, 라이브 뷰 화상(이하, 라이브 화상)의 스루 더 렌즈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불휘발성 메모리(213)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예를 들면, EEPROM이다. 불휘발성 메모리(213)에는,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용의 상수 및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이란, 후술하는 각종 플로차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하고, 불휘발성 메모리(21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플로차트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212)는, 예를 들면, RAM이며, 시스템 메모리(212)에는,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용의 상수 및 변수와, 불휘발성 메모리(213)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을 전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1)는 메모리(210), D/A 변환기(208), 표시부(101) 등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211)는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과,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계측부다.
모드 전환 버튼(103), 제1 셔터 스위치(102a), 제2 셔터 스위치(102b), 및 조작부(104)는 시스템 제어부(201)에 각종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모드 전환 버튼(103)은, 시스템 제어부(201)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화상 기록 모드, 및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는, 자동 촬영 모드, 자동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촬영 씬마다 다른 설정이 구성되는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 AE 모드, 커스텀 모드, 메인 카메라와 서브 카메라가 동시에 촬영을 행하는 동시 촬영 모드 등이 포함된다. 모드 전환 버튼(103)을 이용해서, 모드는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환된다. 또는, 모드 전환 버튼(103)을 이용해서, 정지 화상 기록 모드로 전환한 후에,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다른 조작부재를 사용해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기록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셔터 스위치(102a)는,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릴리즈 버튼(102)의 조작 도중, 즉 반 눌러진 채(촬영 준비 지시)로 ON이 되어,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를 수신하면, 메인 카메라와 서브 카메라에 AF(Automatic Focus)처리, AE(Automatic Exposure)처리, AWB(Automatic White Balance)처리, EF(Flash pre-emission)처리 등을 개시시킨다.
제2 셔터 스위치(102b)는, 셔터 릴리즈 버튼(102)의 조작이 완료하면, 즉 셔터 릴리즈 버튼(102)이 완전히 눌러지면(촬영 지시), ON이 되어,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을 수신하면, 촬상부 205, 235의 각각으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109)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를 개시한다.
조작부(104)의 각 조작부재에는, 표시부(101)에 표시된 다양한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황마다 적절한 기능이 할당되어서, 조작 부재가 각종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이들 기능 버튼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백(back) 버튼, 화상 스크롤(scrolling) 버튼, 점프 버튼, 내로 다운(narrow-down) 버튼, 및 속성 변경 버튼이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이 눌러지면 각종 설정이 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101)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과, (상하 좌우의) 4방향 버튼 및 SET 버튼을 사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콘트롤러 휠(106)은, 조작부(104)에 포함되는 회전가능한 조작부재이며, 방향 버튼과 함께 선택 항목을 지정할 때 등에 사용된다. 콘트롤러 휠(106)이 회전하면, 회전량에 따라 전기적인 펄스 신호가 발생하고, 이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이 펄스 신호에 의해, 콘트롤러 휠(106)이 회전한 각도와, 몇 번 회전했는지 등을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 휠(106)은 회전을 검출할 수 있는 조작부재이면 어떤 조작 부재여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예를 들면, 유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콘트롤러 휠(106) 자체가 회전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다이얼 조작 부재여도 된다. 또한, 그것은 콘트롤러 휠(106) 자체는 회전하지 않고, 콘트롤러 휠(106) 위에서의 유저의 손가락의 회전 등의 조작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소위, 터치 휠)일 수도 있다.
전원 제어부(214)는, 예를 들면 전지 검출 회로, DC-DC 컨버터, 전력이 공급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로 구성되고, 전지의 장착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 잔량을 검출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214)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201)의 지시에 따라 DC-DC 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동안, 기록 매체(109)를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215)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1차 전지, NiCd 전지나 NiMH 전지나 Li 전지 등의 2차전지, 또는 AC 어댑터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I/F(interface)(216)은,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109)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109)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기본동작>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기동으로부터 종료까지의 기본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21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판독해서 시스템 제어부(201)가 실행할 때 실현된다.
또한, 서브 카메라는, 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카메라와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을 행하지만, 특히 서브 카메라에 특유한 처리에 대해서는 보충하면서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 스위치(105)가 온되면, 도 3에 나타낸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플래그, 제어 변수 등을 초기화하고, 스텝 S302에서는, 기록 매체(109)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에 관한 관리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303, 스텝 S305, 및 스텝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모드 전환 버튼(103)의 설정 위치를 판정한다. 스텝 S303에서 정지 화상 기록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4로 진행하여, 도 4에서 후술하는 정지 화상 기록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305에서 동화상 기록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6로 진행하여, 동화상 기록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307에서 재생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8로 진행하여, 재생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303, S305, 및 S307에서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화상 기록 모드, 및 재생 모드의 어느 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9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는 기타의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기타의 모드 처리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109)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송신을 행하는 송신 모드 처리, 외부기기로부터 파일을 수신해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수신 모드 처리 등이다.
스텝 S304, S306, S308, S309에서 각 모드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가 스텝 S310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는 전원 스위치(105)의 설정을 판정하고,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3으로 되돌아가고, OFF로 설정되어 있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11로 진행한다.
스텝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종료 처리를 행한다. 종료 처리에는, 예를 들면, 표시부(101)의 표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하고, 배리어(202)를 닫아 촬상부 205를 보호하는 처리와, 플래그, 제어 변수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값, 설정 모드를 불휘발성 메모리(213)에 기록하고,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유닛으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처리가 포함된다.
스텝 S311의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한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도 4 및 도 5a-5c를 참조하여, 도 3의 스텝 S304의 정지 화상 기록 모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4의 처리는, 모드 전환 버튼(103)에 의해 또 다른 동작 모드로의 전환이 지시된 경우나 전원 스위치(105)가 오프된 경우에 인터럽트 처리 등에 의해 종료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스텝 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영 모드를 확정한다. 촬영 모드의 확정은, 불휘발성 메모리(213)로부터 전회의 정지 화상 기록 모드 처리의 종료 시점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그 촬영 모드를 시스템 메모리(212)에 저장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촬영 모드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하의 촬영 모드를 갖는다.
오토 촬영 모드: 카메라의 각종 파라미터가, 측광에 의해 취득된 노출 값에 근거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모드.
메뉴얼 모드: 카메라의 각종 파라미터를 유저가 자유롭게 변경가능한 모드.
씬 모드: 촬영 씬에 적합한 셔터 속도, 조리개 값, 스트로보 발광 상태, 감도 설정 등의 조합이 자유롭게 설정된다.
동시 촬영 모드: 메인 카메라의 촬영과 동시에 서브 카메라의 촬영도 행하여, 서브 카메라 화상을 메인 카메라 화상에 중첩해서 1개의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모드.
스텝 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표시부(101)에 대하여 촬상부 205를 이용해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의 스루 더 렌즈 표시를 행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동시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촬상부 205, 235로 촬상한 메인 카메라 화상과 서브 카메라 화상을 메모리 제어부(209)에 의해 합성하고, 거의 실시간의 라이브 화상이 기록 매체(109)에 저장되지 않고 스루 더 렌즈 표시된다. 촬영자는, 이 합성 화상을 보고, 화각의 확인 및 촬영의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표정 등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스텝 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전원 제어부(214)를 이용해서 전원부(215)의 잔류 용량이나, 기록 매체(109)의 유무나 잔류 용량이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에 문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4로 진행하여, 표시부(101)에 화상이나 음성을 이용해서 소정의 경고를 표시하고, 처리가 스텝 S401로 되돌아가고,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5로 진행한다.
스텝 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유저 설정에 따라 불휘발성 메모리(213)에 저장된 촬영 설정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전개해서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7로 진행하고, 설정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6로 진행하여, 설정된 촬영 파라미터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루 더 렌즈 표시되는 라이브 화상 중에서 인물의 얼굴을 검출한다(얼굴 검출 처리). 시스템 제어부(201)는, 얼굴 검출 처리에 있어서 인물의 얼굴이 검출된 경우, 검출한 얼굴의 위치 좌표, 사이즈(폭, 높이), 검출 개수, 신뢰성 계수 등을 얼굴 정보로서 시스템 메모리(212)에 기억한다. 얼굴 검출 처리에 있어서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스템 메모리(212)의 위치 좌표, 사이즈(폭, 높이), 검출 개수, 신뢰성 계수 등의 영역에 0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도 5a를 참조하여, 스텝 S407에 있어서의 얼굴 검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메모리(210)에 기억되어 있는 라이브 화상 데이터(스텝 S531)를 판독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밴드패스 필터를 적용하고(스텝 S532, S533), 엣지 성분을 검출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검출된 엣지 성분의 패턴 매칭을 행하여(스텝 S534), 눈, 코, 입, 및 귀의 후보군을 추출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패턴 매칭에 의해 추출된 눈의 후보군 중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예를 들면, 2개의 눈 사이의 거리, 기울기 등)을 만족시키는 것을, 눈의 쌍이라고 판단하고, 눈의 후보군을 눈의 쌍이 있는 것만으로 좁힌다(스텝 S535).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1)는, 좁혀진 눈의 후보군과 그것에 대응하는 얼굴을 형성하는 다른 파트(코, 입, 귀)를 대응시키고, 또한, 미리 설정된 비얼굴 조건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얼굴을 검출하고(스텝 S536), 검출 결과에 따라 얼굴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537).
이와 같이 스루 더 렌즈 표시되는 라이브 화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얼굴 등의 피사체의 특징량을 추출하여 피사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생성된 피사체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얼굴의 위치 좌표 및 사이즈에 따라, 표시부(101)에 얼굴 프레임 등을 라이브 화상에 중첩시켜서 표시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 정보로서 얼굴 정보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자동차나 전차 등의 움직이고 있는 물체를 추미하는 피사체로서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촬영 준비 지시 접수).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FF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5로 되돌리는 한편, ON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10에서는 촬영 준비 동작이 행해진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측거 처리를 행해서 촬영 렌즈 203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추고(AF 처리), 측광 처리를 행해서 조리개 값 및 셔터 스피드를 결정한다(AE 처리). 이때, 측광 처리에 있어서, 필요하면 플래시의 설정도 행해진다. 또한, 스텝 S407에서 얼굴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한 얼굴의 범위를 이용해서 측거를 행하는 얼굴 AF를 행하고, 포커스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한 얼굴에 AF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시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서브 카메라측에서도 마찬가지로 촬영 준비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11, S4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과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의 ON/OFF 상태를 판정한다.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N일 때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ON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13로 진행한다. 그 후,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FF로 전환되면(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ON되지 않고,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도 OFF로 전환된 경우), 처리가 스텝 S405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N,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가 OFF인 동안에는, 스텝 S411, S412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4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표시부(101)를 스루 더 렌즈 표시 상태로부터 고정색 표시 상태(예를 들면, 흑 1색의 표시)로 설정한다.
스텝 S4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노광 처리와 현상 처리를 포함하는 촬영 처리를 실행한다. 노광 처리에서는, 촬상부 205 및 A/D 변환기(206)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가, 화상처리부(207) 및 메모리 제어부(209)를 통해서, 또는 A/D 변환기(206)로부터 직접 메모리 제어부(209)를 통해서, 메모리(210)에 직접 기록된다. 또한, 현상 처리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가, 메모리 제어부(209)와, 필요에 따라 화상처리부(207)를 이용해서, 메모리(21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각종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도 5b을 참조하여, 스텝 S414에 있어서의 촬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시스템 타이머(211)로부터 촬영 일시를 취득하고, 그것을 시스템 메모리(212)에 기억한다(스텝 S541).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 S410에서 결정되어 시스템 메모리(212)에 기억된 조리개 값에 따라, 셔터 204의 조리개 기능을 조절하고, 촬상부 205의 노광을 개시한다(스텝 S542, S543).
시스템 제어부(201)는, 촬상부 205의 노광이 종료하면(스텝 S544), 셔터 204을 닫고(스텝 S545), 촬상부 205로부터 전하 신호를 판독하며, A/D 변환기(206), 화상처리부(207), 메모리 제어부(209)를 통해서, 또는 A/D 변환기(206)로부터 직접 메모리 제어부(209)를 통해서, 메모리(21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스텝 S546).
시스템 제어부(201)는, 메모리 제어부(209)를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화상처리부(207)를 통해서, 메모리(21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압축 신장부(217)에 의해 압축 처리 등의 화상처리를 행하고(스텝 S547), 처리가 종료했을 때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10)에 순차 기록한다. 동시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압축 처리된 메인 카메라 화상 및 서브 카메라 화상을 합성하여,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스텝 S54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메모리 제어부(209)에 의해 메모리(21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D/A 변환기(208)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01)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해서, 메모리(21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208)를 통해서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스텝 S4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 S414의 촬영 처리를 이용해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퀵 리뷰(quick review) 표시를 행한다. 퀵 리뷰 표시란, 촬영 화상의 확인을 위해, 피사체의 촬영 후에 그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리뷰 시간)동안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01)에 표시하는 처리다.
스텝 S4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 S414의 촬영 처리를 이용해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동시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서브 카메라로 촬영된 서브 카메라 화상 데이터를 메인 카메라 데이터와 관련시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여기에서, 도 5c을 참조하여, 스텝 S416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c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소정의 파일명 생성 룰에 따라 파일명을 생성하고(스텝 S551), 스텝 S414의 촬영 처리에서 시스템 메모리(212)에 기억한 촬영 일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552).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화상 데이터의 파일 사이즈를 취득하고(스텝 S553),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가 기록 매체(109)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554). 판정의 결과,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555로 진행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556로 진행한다.
스텝 S55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예를 들면, 100GAN0N 등의 디렉토리를 기록 매체(109)에 작성한다.
스텝 S55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 S414의 촬영 처리로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촬영 일시, 파일 사이즈, 촬영 조건 등으로 구성되는 파일 헤더를 작성한다.
스텝 S55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 S551 내지 스텝 S553에서 생성 및/또는 취득한 파일명, 촬영 일시 정보, 및 데이터 사이즈를 이용해서 디렉토리 엔트리를 생성하고, 화상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스텝 S4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의 ON/OFF 상태를 판정하여,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OFF로 전환되는 것을 기다린다.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OFF가 될 때까지 상기 퀵 리뷰 표시를 계속시킨다. 즉, 스텝 S416의 기록 처리가 종료했을 때에,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OFF로 전환될 때까지 표시부(101)에의 퀵 리뷰 표시를 계속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저는, 셔터 릴리즈 버튼(102)의 완전 누름 상태를 계속함으로써, 퀵 리뷰 표시를 사용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조심스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417에서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OFF로 전환되면, 즉, 유저가 셔터 릴리즈 버튼(102)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 등으로 해서 완전 누름 상태가 해제되면, 처리가 스텝 S418로 진행한다.
스텝 S4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미리 정해진 퀵 리뷰 표시의 리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리뷰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리뷰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기다리고, 리뷰 시간이 경과하면 처리가 스텝 S419로 진행한다.
스텝 S4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표시부(101)를 퀵 리뷰 표시로부터 스루 더 렌즈 표시 상태로 되돌린다. 이 처리에 의해, 퀵 리뷰 표시를 이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확인한 후, 표시부(101)의 표시 상태는 다음의 촬영을 위해 촬상부 205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순차 표시하는 스루 더 렌즈 표시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스텝 S4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의 ON/OFF 상태를 판정하고, ON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11로 되돌아가고, OFF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5로 되돌아간다. 즉, 시스템 제어부(201)는, 셔터 릴리즈 버튼(102)의 반누름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N) 경우에는, 다음의 촬영에 대비한다(스텝 S411). 한편, 셔터 릴리즈 버튼(102)이 떼어진(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OFF) 경우에는, 일련의 촬영 동작을 종료하고, 촬영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 S405).
<라이브 화상의 표시 처리>
다음에, 도 6 내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도 4의 스텝 S402에 있어서의 동시 촬영 모드시의 라이브 화상의 스루 더 렌즈 표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동시 촬영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을 온하거나, 또 다른 모드로부터 동시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도 6의 처리가 개시된다. 동시 촬영 모드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면(710)에, 메인 카메라로 촬영된 제1 라이브 화상(이하, 메인 라이브 화상)(711)과 서브 카메라로 촬영된 제2 라이브 화상(이하, 서브 라이브 화상)(712)이 표시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601,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화상처리부(207)를 이용해서, 메모리(210)에 저장된 메인 카메라 화상 데이터 및 서브 카메라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메인 라이브 화상(711)과 서브 라이브 화상(712)을 생성한다.
스텝 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메인 카메라 화상 데이터에 대한 도 4의 스텝 S407에 있어서의 얼굴 검출의 결과로서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604로 진행하고, 얼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605로 진행한다.
스텝 S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검출된 얼굴의 위치 좌표 및 사이즈(폭, 높이)에 따라, 라이브 뷰 화면(710)의 메인 라이브 화상(711)에 얼굴 프레임(713)을 중첩해서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정보(제1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 S6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라이브 뷰 화면(710)에 촬영 파라미터 등의 OSD(on-screen display)(714)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문자열 등으로 이루어진 OSD 데이터(제2 정보)를 생성한다. OSD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촬영 모드, 배터리 잔량, 셔터 속도, 노출값, ISO 감도, 화이트 밸런스, 플래시 ON/OFF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S601 내지 S605에서, 메인 라이브 화상(711), 서브 라이브 화상(712), 얼굴 프레임(713) 및 OSD(714)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이들 항목을 표시부(101)에 표시할 때의 레이어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이때, 레이어의 우선도는, 메인 라이브 화상(711), 서브 라이브 화상(712), 얼굴 프레임(713) 및 OSD(714)을 중첩해서 표시할 때의 상하 관계를 나타내고, 우선도가 높을수록 더 위쪽에 레이어가 배치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스텝 S606, 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OSD(714)의 레이어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설정하고, 메인 라이브 화상(711)의 레이어의 우선도를 최하위로 설정한다. 이것은, 메인 라이브 화상(711)이 라이브 뷰 화면(710)의 거의 전체에 표시되는 사실로 인해, 메인 라이브 화상(711)이 최하층에 표시되지 않으면, 서브 라이브 화상(712) 및 OSD(714)가 숨겨져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스텝 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의 ON/OFF 상태를 판정하여, ON인 경우(촬영 준비 동작시)에는, 처리가 스텝 S609로 진행하고, OFF인 경우(촬영 대기시)에는, 처리가 스텝 S6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 프레임(723)의 레이어 우선도가 서브 라이브 화상(722)의 레이어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촬영 준비 동작시의 레이어 우선도를 설정한다. 촬영 준비 동작시에는, 얼굴 프레임(723)은 반드시 확인되어 하고, 촬영자는 얼굴 프레임(723)을 보고 최종적으로 촬영 지시를 행하기 때문에, 서브 라이브 화상(722) 위에 얼굴 프레임(723)이 표시되도록 레이어 우선도가 설정된다. 도 10b는, 도 7b의 라이브 뷰 화면(720)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어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촬영 준비 상태에서는, 얼굴 프레임의 레이어 1022의 우선도가 2번째로 설정되고, 서브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1023의 우선도가 3번째로 설정된다.
한편, 스텝 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라이브 화상(732)의 레이어 우선도가 얼굴 프레임(733)의 레이어 우선도보다 높아지도록 촬영 대기시의 레이어 우선도를 설정한다. 촬영 대기시에는, 얼굴 프레임(733)의 위치는 이동/변경되고, 최종적으로 얼굴 프레임의 위치가 확정될 때까지는 얼굴 프레임(733)의 레이어가 매우 중요하기 않기 때문에, 서브 라이브 화상(732)의 아래에 얼굴 프레임(733)의 레이어가 표시되도록 레이어 우선도가 설정된다. 도 10a는, 도 7c의 라이브 뷰 화면(730)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어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촬영 대기시에는, 서브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1012의 우선도가 2번째로 설정되고, 얼굴 프레임의 레이어 1013의 우선도가 3번째로 설정된다.
스텝 S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1)는, 스텝 S609 또는 스텝 S610에서 설정된 레이어 우선도에 따라, 모든 레이어의 화상과 OSD를 중첩해서 표시부(101)에 표시한다. 이때, 스텝 S606, S607에 따라, 도 10a의 촬영 대기시와 도 10b의 촬영 준비 동작시에는, OSD의 레이어 1011, 1021의 우선도는 최상위로 설정되고, 메인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1014, 1024는 최하위로 설정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때, 스텝 S610에서의 촬영 대기시의 레이어 우선도의 설정 방법에 관해서는, (1) 우선도가 고정인 경우, (2) 메인 라이브 화상의 얼굴의 좌표 위치, 사이즈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 (3) 유저에게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이 생각된다.
상기 (1)에서는, 도 7c에 나타낸 라이브 뷰 화면(730)과 같이, 대기 준비 동작시에는 메인 라이브 화상(731)의 얼굴 프레임(733) 아래에 숨겨져서 전체가 보이지 않는 서브 라이브 화상(732)이 보이게 되므로, 촬영자는 자신의 표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에서는, 도 8a 및 도 8b의 라이브 뷰 화면 810, 8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 라이브 화상 812과 메인 라이브 화상의 얼굴 영역 811이 중첩된 범위에 따라 레이어 우선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얼굴 프레임 823에 표시되는 대상의 얼굴 821과 서브 라이브 화상 822가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이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에는, 얼굴 프레임 823의 레이어 우선도를 서브 라이브 화상 822의 레이어 우선도보다도 높게 한다. 한편,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얼굴 811과 서브 라이브 화상 812가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이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얼굴 프레임의 레이어 우선도를 서브 라이브 화상 812의 레이어 우선도보다도 낮게 한다. 이때, 메인 라이브 화상의 얼굴의 좌표 위치 및 사이즈의 적어도 어느 한 개에 따라 레이어 우선도를 결정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메인 라이브 화상의 얼굴의 사이즈가 해당 화상 전체를 덮도록 충분히 큰 경우에는, 얼굴 위치에 관계없이 얼굴 프레임을 서브 라이브 화상보다도 하층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메인 라이브 화상의 얼굴 프레임에 표시되고 있는 얼굴 위치가 서브 라이브 화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얼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얼굴 프레임을 서브 라이브 화상보다도 높게 설정해도 된다.
상기 (3)에서는, 도 9a에 나타낸 레이어 우선도 설정 화면(910)으로부터, 유저가 메뉴 항목 911, 912을 선택하고, 얼굴 프레임이나 서브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우선도를 높게 할지를 미리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9a의 레이어 우선도 설정 화면(910)에서 유저가 얼굴 프레임 레이어(911)를 선택한 경우에는, 촬영 대기시에는 항상 얼굴 프레임의 레이어 우선도가 서브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우선도보다도 높아진다. 한편, 서브 라이브 화상 레이어(912)를 선택한 경우에는, 서브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우선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유저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레이어 우선도의 결정 방법으로서는 다른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 방법 중 어느 한 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b에 나타낸 레이어 우선도 설정 화면(920)으로부터, 유저가 메뉴 항목 921, 922, 923을 선택하여, 얼굴 프레임과 서브 라이브 화상 중의 하나의 레이어 우선도를 높게 하거나, 조건에 따라 우선도를 높게 하는 레이어를 결정해도 된다. 도 9b의 레이어 우선도 설정 화면(920)에서 유저가 조건부 우선(922)을 선택한 경우에는, 촬영 동작중의 조건에 따라 얼굴 프레임의 레이어 우선도와 서브 라이브 화상의 레이어 우선도의 어느 쪽을 높게 할지를 카메라가 자동으로 판정한다. 한편, 얼굴 프레임 레이어 우선(921)이나 서브 라이브 화상 레이어(923)를 선택한 경우에는, 레이어 우선도를 높게 하고 싶은 것을 유저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라이브 화상, 얼굴 프레임, 서브 라이브 화상, 및 OSD를 중첩해서 표시할 때의 상하의 위치 관계를 촬영 상태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촬영자가 피사체와 자신의 표정 등과 함께,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피사체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타이밍에서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 휴대 게임기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해서 본 발명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1개의 장치를 이용해서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보다는, 복수의 장치, 예를 들면, 복수의 촬상부를 갖는 촬상장치, 표시부를 갖는 표시장치, 제어부를 갖고 촬상장치와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접속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본 발명을 실현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1 촬상 유닛과는 다른 제2 촬상 유닛과,
    상기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1 라이브 화상 위에, 상기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2 라이브 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라이브 화상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과 함께 제1 정보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2 촬상 유닛으로 동시 촬영에 있어서 촬영 처리 전의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중첩하는 표시 상태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표시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유닛은 피사체측에서 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제2 촬상 유닛은 촬영자측에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촬영 대기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고, 촬영 준비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촬영 대기 상태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조작을 접수한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1 촬상 유닛에 대해 오토포커스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촬영 대기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오토포커스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에 제2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를,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촬영 지시에 응답해서, 상기 제1 촬상 유닛 및 상기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서로 관련지어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더 구비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중의 피사체에 관한 정보와, 피사체의 위치 또는 피사체의 포커스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능은, 촬영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중의 피사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능을 이용해서 특정된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것을 수행하는, 촬상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중의 피사체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중의 피사체의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것을 수행하는, 촬상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촬상장치에 설정된 촬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가 촬영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중의 피사체와 상기 제2 라이브 화상이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이 미리 결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고, 상기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촬상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설정을 유저에게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는 제시 유닛을 더 구비하는, 촬상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화상 표시 데이터, 제2 화상 표시 데이터, 및 제1 정보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데이터 생성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데이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를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촬영에 관한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중첩할 때 표시 데이터 간의 상하 위치 관계를 제어하는, 촬상장치.
  14.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 상기 제1 촬상 유닛과는 다른 방향으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1 라이브 화상과, 상기 제2 촬상 유닛에 의해 촬상된 제2 라이브 화상과, 제1 정보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제1 라이브 화상 위에 상기 제2 라이브 화상을 중첩해서 표시하고, 상기 제1 촬상 유닛과 상기 제2 촬상 유닛으로 동시 촬영에 있어서 촬영 처리 전의 미리 결정된 기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위에 중첩하는 표시 상태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라이브 화상 아래에 표시하는 표시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5. 컴퓨터에 청구항 14에 기재된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183712A 2013-12-24 2014-12-19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9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6131A JP6247527B2 (ja) 2013-12-24 2013-12-24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JP-P-2013-266131 201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032A KR20150075032A (ko) 2015-07-02
KR101719590B1 true KR101719590B1 (ko) 2017-03-24

Family

ID=5340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712A KR101719590B1 (ko) 2013-12-24 2014-12-19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7888B2 (ko)
JP (1) JP6247527B2 (ko)
KR (1) KR101719590B1 (ko)
CN (1) CN1047353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899B1 (ko) * 2014-03-12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CN106605196B (zh) 2014-09-02 2018-11-09 苹果公司 远程相机用户界面
EP3958557A1 (en) 2015-04-23 2022-02-23 Apple Inc. Digital viewfinder user interface for multiple cameras
CN111312132B (zh) * 2015-11-10 2023-08-22 佳能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9854156B1 (en) 2016-06-12 2017-12-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DK180859B1 (en) 2017-06-04 2022-05-23 Apple Inc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US11112964B2 (en) 2018-02-09 2021-09-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0375313B1 (en) 2018-05-07 2019-08-06 Apple Inc. Creative camera
DK201870623A1 (en) 2018-09-11 2020-04-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US10645294B1 (en) 2019-05-06 2020-05-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321857B2 (en) 2018-09-28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JP7280698B2 (ja) 2019-01-11 2023-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17562A (ko) *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내에서 보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054973B1 (en) 2020-06-01 2021-07-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US11212449B1 (en) 2020-09-25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US11778339B2 (en) 2021-04-30 2023-10-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US11539876B2 (en) 2021-04-30 2022-12-2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JP2023025414A (ja) * 2021-08-10 2023-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741A (ja) 2003-08-14 2005-04-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2007129332A (ja) 2005-11-01 2007-05-24 Canon Inc マルチ画面における各画像に対する操作方法および装置
JP2011013243A (ja)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564A (ja) 1993-07-27 1995-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会議装置
JP2003134358A (ja) * 2001-10-19 2003-05-09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3948387B2 (ja) * 2002-10-24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2005073161A (ja) * 2003-08-27 2005-03-17 Canon Inc 処理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4957943B2 (ja) 2005-09-07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116514B2 (ja) * 2008-03-11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0147808A (ja) * 2008-12-18 2010-07-0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CN102055834B (zh) * 2009-10-30 2013-12-11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双摄像头拍照方法
JP2013017125A (ja) * 2011-07-06 2013-01-24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モニタリング画像の表示方法
JP5950755B2 (ja) * 2012-08-21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N102984355A (zh) * 2012-11-08 2013-03-20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及其双摄像头实现方法
KR102010955B1 (ko) * 2013-01-07 2019-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2145190B1 (ko) * 2013-11-06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5877406B2 (ja) * 2013-12-06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102187236B1 (ko) * 2013-12-17 2020-1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741A (ja) 2003-08-14 2005-04-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2007129332A (ja) 2005-11-01 2007-05-24 Canon Inc マルチ画面における各画像に対する操作方法および装置
JP2011013243A (ja)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5317A (zh) 2015-06-24
KR20150075032A (ko) 2015-07-02
JP6247527B2 (ja) 2017-12-13
JP2015122670A (ja) 2015-07-02
CN104735317B (zh) 2018-09-25
US9667888B2 (en) 2017-05-30
US20150181135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590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124700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957822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pickup apparatus arranged to detect an attitude
US9992405B2 (en) Image captur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5850110B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显示控制设备的控制方法和记录设备的控制方法
JP618028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11761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635281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903874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923213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prioritizing shooting parameter setting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86161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218607B (zh) 摄像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5116494B2 (ja) 撮像装置
US11625948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detected subject and method for the same
JP575503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834311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ssigning functions to directional operating portio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8107560A (ja) 撮像装置
US1019408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shoots moving image for predetermined time period at the time of shooting still image,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270454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4023076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