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853B1 -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853B1
KR101717853B1 KR1020150124470A KR20150124470A KR101717853B1 KR 101717853 B1 KR101717853 B1 KR 101717853B1 KR 1020150124470 A KR1020150124470 A KR 1020150124470A KR 20150124470 A KR20150124470 A KR 20150124470A KR 101717853 B1 KR101717853 B1 KR 10171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data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617A (ko
Inventor
손상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853B1/ko
Priority to EP16179736.0A priority patent/EP3139187A1/en
Priority to JP2016164281A priority patent/JP6266060B2/ja
Priority to CN201610727607.9A priority patent/CN106483369B/zh
Priority to US15/254,869 priority patent/US10591521B2/en
Publication of KR2017002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4Smart metering supporting the carbon neutral operation of end-user application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외부 전력 공급원, 에너지 저장장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력을 인가하는 외부 전력 공급원,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제1 부하로 분배하는 분전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력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전력 측정 장치, 상기 분전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상기 제1 부하로 분배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2 전력 측정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3 전력 측정 장치, 및,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POWER MONITORING SYSTEM AND MHTHOD FOR MONITORING POWER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생활가전 및 정보가전기기 또한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춘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각 가정 및 사무실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융/복합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의 융/복합화 및 네트워킹 기능의 지원으로 인해 이러한 정보가전기기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전력 소모 및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그리고 사용자가 인식 하지 못하는 사이에 대기 전력이 소모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자신의 어떠한 기기가 어느 특정 기간 동안 얼마만큼의 전력을 소모하는지 알 수 없어 전기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별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기능과 관련하여 가정 및 건물 단위 별로 소모되는 전력량의 총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에 의하여 전자기기별로 특정기간을 정하여 전력 소모량 및 전력 소비 형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 전력 공급원(1)으로부터 각 가정(3)에 공급되는 전력은 각 가정(3)마다 마련되는 분전반(2)을 통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가전기기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분전반(2)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가정(3) 내의 가전기기들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전력의 사용 상태 및 사용 전력량을 확인하기 위한 전력 측정장치(4)를 구성한다.
상기한 전력 측정 장치(4)는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및 사용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를 통하여 개별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1) 외의 발전원 또는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가정(3) 내의 가전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외부 전력 공급원(1) 외의 발전원 또는 에너지원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들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부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은, 시스템에 에너지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부가적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감지는 불가능 하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정(3)의 내의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부가적으로 유입되는 전력량,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전력량까지 고려하여, 가정에서의 전력의 생산 및 소비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외부 전력 공급원 외에도 에너지 저장장치가 부가된 경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소비 상태 및 신재생 에너지원의 전력 생산 상태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력 공급원, 에너지 저장장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력을 인가하는 외부 전력 공급원,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제1 부하로 분배하는 분전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력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전력 측정 장치, 상기 분전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상기 제1 부하로 분배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2 전력 측정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3 전력 측정 장치, 및,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력 공급원, 에너지 저장장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력을 인가하는 외부 전력 공급원,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제1 부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분전반, 상기 분전반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분배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력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전력 측정 장치, 상기 분전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상기 제1 부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2 전력 측정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3 전력 측정 장치, 및,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4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6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8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10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 및 도13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 및 도15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17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 및 도19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결과 출력 동작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결과 출력 예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서버(10), 외부 전력 공급원(110), 분전반(120), 제1 부하(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ESS: Energy Storage System) 및 제2 부하(150)를 포함한다. 특히 외부 전력 공급원(110), 분전반(120)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출력단 또는 입력단에는 상기 장치들로 유입 또는 출력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는 상기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들로부터 측정된 부하 및 전력원의 전력 소비량, 유입량 또는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10)는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 전체의 공급 전력, 시스템 전체의 소비 전력, 시스템 내 개별 부하들의 소비 전력 및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출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 제어부(12), 저장부(13) 및 출력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전력 측정장치(171, 172,173) 또는 외부 장치 사이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이 이용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가 이용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전력 측정장치(171, 172,173)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량 데이터는, 전력 유입량, 전력 소비량, 전력 소비 패턴 및 개별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의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유입량, 전력 소비량 및 전력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수신한 전력량 데이터로부터 개별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별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개별 부하의 동작 상태 및 소비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력 유입량, 전력 소비량, 전력 소비 패턴, 개별 부하의 동작 상태 및 개별 부하의 소비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이란, 전력이 공급되는 특정 지점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에 연결된 개별 부하의 전력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수신한 전력량 데이터, 수신한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한 결과 및 해당 전력 측정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하거나, 출력부(14)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3)는 저장부(13)는 제어부(12)에서 실행되는 전력 사용 패턴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의 예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는 제어부(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전력량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영상 또는 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의 예로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10)를 제어하거나, 전력 유입량, 전력 소비량, 전력 소비 패턴, 개별 부하의 동작 상태 및 개별 부하의 소비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 전력 공급원(110), 분전반(120), 제1 부하(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ESS: Energy Storage System) 및 제2 부하(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 발명의 설명에서는 제1 부하(130) 및 제2 부하(150)가 전자기기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을 공급받아 소비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뜻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원(110)은 발전소와 같은 외부 전력 발전원으로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110)에서 유입되는 전력은 분전반(120)을 통하여 댁내 전자기기(130)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하들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력 공급원(110)에서 유입되는 전력은 에너지 저장장치(140)로 인가되어 에너지 저장장치(140)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력 공급원(110)에서 유입되는 전력은, 에너지 저장장치(140)를 통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로 공급될 수 있다.
분전반(120)은 분전반(120)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댁내의 전자기기(130)와 같은 다양한 부하로 인가되도록 분배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장치(140) (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일정 시점(또는 사용자 요청 시점)에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50)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야시간과 같이 전력 소비가 적거나 전력 사용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 수요량이 급증하거나 전력 사용 요금이 높은 시간대에 상기 저장된 전력을 일단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50)로 방전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 분전반(120)의 입력단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입력단에는 각각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 측정장치(171)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전자기기(130, 150)와 같은 복수의 부하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로 공급할 경우, 복수의 부하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의 전체 소비 전력량 및 전체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 측정장치(171)는 복수의 부하 각각의 전력의 소비패턴,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소비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복수의 부하 각각이 소비하는 전력량, 복수의 부하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에너지 저장 장치(14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력 측정장치(172)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분전반(120)에서 댁내 전자기기(130)로 분배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2 전력 측정장치(172)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댁내 전자기기(130)와 같은 복수의 부하로 공급할 경우 복수의 부하에서의 전체 소비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측정장치(172)는 복수의 부하 각각의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부하 각각의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복수의 부하 각각이 소비하는 전력량, 복수의 부하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및 복수의 부하 각각의 전력 소비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저장되는 전력량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 방전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 측정 장치(173)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저장되거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 방전 하는 전력량,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 측정 장치(173)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연결된 전자 기기(15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15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전자 기기(150)가 소비하는 전력량, 전자 기기(15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력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에 기초하여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모니터링 방법은 데이터가 수집되는 순서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데이터 수집 순서와 무관하게 각 전력 측정장치들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구성되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3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인가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총 전력 소비량 및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33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AC PASS 모드인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는 충전되는 전력이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는 바, 제어부(12)는 이를 감지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가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충전되는 전력이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으면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가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후, 도 3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350)
도 4는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는 모니터링 서버(10)는 분전반(120) 입력단에 구성되는 제2 전력 측정장치(172)로부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0)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입력단에 구성되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로부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제1 전력 측정장치(171)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2 전력 측정장치(151)의 제2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420)
이 경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분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 패턴, 및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430)
이 경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 및 전자기기(15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된 전자 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173)에서 감지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 장치(15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15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기기(150) 전체의 소비 전력량을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50)의 소비 전력량과 더함으로써,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2)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450)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AC PASS 모드인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는 충전되는 전력이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는 바, 제어부(12)는 이를 감지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가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는 것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AC PASS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4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460)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510)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구성되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5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인가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총 전력 소비량,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모드로 동작하는 바,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량은 0이 된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540)
구체적으로, 제1 전력량 데이터에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충전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후, 도 5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550)
도 6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모드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610)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는 모니터링 서버(10)는 분전반(120) 입력단에 구성되는 제2 전력 측정장치(172)로부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0)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입력단에 구성되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로부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제1 전력 측정장치(171)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2 전력 측정장치(151)의 제2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620)
이 경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분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630)
이 경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전력 소비량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173)에서 감지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6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 장치(15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기기(150) 전체의 소비 전력량을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소비 전력량과 더함으로써,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2)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65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가 충전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660)
도 7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방전 모드(발전원)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1 전력 측정 장치(171), 제2 전력 측정 장치(172)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710)
한편, 도 2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을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제2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5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7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730)
이 경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분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 패턴, 및 복수의 전자 기기(130)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7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방전량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전자 기기(130)들의 총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공급 전력을 뺌(-)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방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제2 전력 측정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75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전자 기기(130)들의 총 소비 전력량이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량보다 크면,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방전모드, 즉 발전원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방전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7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제2 전력량 데이터, 제1,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750)
도 8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방전 모드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2 전력 측정 장치(172), 제3 전력 측정 장치(173)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810)
한편, 도 2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제1 전력 측정장치(171)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2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2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820)
이 경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분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 패턴 및 복수의 전자기기(130)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830)
이 경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방전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173)에서 감지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8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방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85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로 인가되는 전력량이 음수이면, 에너지 저장장치(140)이 방전 모드, 즉, 발전원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방전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8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860)
도 9는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1 전력 측정 장치(171) 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910)
한편, 도 2에서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에너지 저장장치(13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9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 각각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이나 개별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소비하는(즉,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저장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9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하고,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전자기기(150)가 전력을 소비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후, 도 9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0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2 전력 측정 장치(172) 로부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3 전력 측정장치(173)로부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010)
한편, 도 2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제1 전력 측정장치(171)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전력량 데이터는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020)
이 경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분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 패턴, 및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030)
이 경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총 전력 소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한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 장치(173)에서 감지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0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량(즉,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충전량)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과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량을 더함으로써,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05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150)가 전력을 소비중이면,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모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10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106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전력 측정장치(171), 제2 전력 측정장치(172)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의 공급 전력량,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충전량 및 방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모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력 측정 장치(171), 제2 전력 측정 장치(172)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의 공급 전력량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전력 측정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장이나 수리에 관계 없이 전력의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력 측정장치(171), 제2 전력 측정장치(172)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를 모두 이용함으로써, 오차를 최소화 하여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서버(10), 외부 전력 공급원(110), 분전반(120), 전자기기(13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를 포함한다. 특히 외부 전력 공급원(110), 분전반(12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50)의 출력단 또는 입력단에는 상기 장치들로 유입 또는 출력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 17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는 상기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 174)들로부터 측정된 부하 및 전력원의 전력 소비량, 유입량 또는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10)는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 전체의 공급 전력, 시스템 전체의 소비 전력, 시스템 내 개별 부하들의 소비 전력 및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원(110)은 발전소와 같은 외부 전력 발전원으로서,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110)에서 유입되는 전력은 분전반(120)을 통하여 댁내 전자기기(130)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하들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력 공급원(110)에서 유입되는 전력은 분전반(120)을 통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로 인가되어 에너지 저장장치(140)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력 공급원(110)에서 유입되는 전력은, 분전반(12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를 통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로 공급될 수 있다.
분전반(120)은 분전반(120)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댁내의 전자기기(130)와 같은 다양한 부하나, 에너지 저장장치(140),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로 분배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장치(140) (ESS: Energy Storage System)는 분전반(1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일정 시점(또는 사용자 요청 시점)에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50)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야시간과 같이 전력 소비가 적거나 전력 사용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 수요량이 급증하거나 전력 사용 요금이 높은 시간대에 상기 저장된 전력을 일단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50)로 방전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 분전반(120)의 입력단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입력단,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입력단에는 각각 전력 측정장치(171, 172, 173, 174)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 측정장치(171)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전자기기(130, 150)와 같은 복수의 부하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로 공급할 경우, 복수의 부하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의 전체 소비 전력량 및 전체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 측정장치(171)는 복수의 부하 각각의 전력의 소비패턴,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소비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복수의 부하 각각이 소비하는 전력량, 복수의 부하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에너지 저장 장치(14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2 전력 측정장치(172)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유입되는 전력을 전자기기(130, 150)와 같은 복수의 부하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로 공급할 경우, 복수의 부하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의 전체 소비 전력량 및 전체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측정장치(171)는 복수의 부하 각각의 전력의 소비패턴,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소비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복수의 부하 각각이 소비하는 전력량, 복수의 부하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에너지 저장 장치(14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저장되는 전력량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 방전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 측정 장치(173)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저장되거나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서 방전 하는 전력량,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 측정 장치(173)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연결된 전자 기기(15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15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전자 기기(150)가 소비하는 전력량, 전자 기기(15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장치(15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4 전력 측정 장치(174)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연결된 전자 기기(150)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4 전력 측정 장치(174)는 에너지 저장 장치(140)에 연결된 전자 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150)의 전력의 소비 패턴은, 이후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됨으로써, 전자 기기(150)가 소비하는 전력량, 전자 기기(15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력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에 기초하여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모니터링 방법은 데이터가 수집되는 순서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데이터 수집 순서와 무관하게 각 전력 측정장치들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210)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구성되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 전자기기(150)의 입력단에 제4 전력 측정장치(174)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의 제4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제3,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2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인가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총 전력 소비량 및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23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240)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AC PASS 모드인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는 충전되는 전력이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는 바, 제어부(12)는 이를 감지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가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으면,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AC PASS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12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1250)
도 13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측정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 설명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은, 도 12에서 설명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410)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의 출력단에 구성되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에너지 저장 장치(14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 전자기기(150)의 입력단에 제4 전력 측정장치(174)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의 제4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제3,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4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인가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총 전력 소비량 및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모드로 동작하는 바,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량은 0이 된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43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440) 구체적으로, 제1 전력량 데이터에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충전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14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1450)
도 15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측정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서 설명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는, 도 14에서 설명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방전 모드(발전원)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측정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1 전력 측정 장치(171), 제3 전력 측정 장치(173) 및 제4 전력 측정 장치(174)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610)
한편, 도 11에서는, 분전반(12)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5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6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들을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630)
이 경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로 인입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4 전력 측정장치(174)의 제4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640)
이 경우, 제4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소비전력량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한 제1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감지한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 장치(174)에서 감지한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65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 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4 전력 측정장치(174)에서 감지된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소비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4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소비 전력량을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로 인가되는 전력량으로 뺌(-)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방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66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4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소비 전력량을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로 인가되는 전력량으로 뺀 값이 양수이면,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방전 모드, 즉, 발전원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방전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16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제3, 제4 전력량 데이터, 제1, 제3,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1670)
도 17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방전 모드(발전원)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 측정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측정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서 설명하는 제2, 제3,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에는, 도 16에서 설명하는 제1, 제3,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1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1 전력 측정 장치(171) 로부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810)
한편, 도 11에서는, 분전반(120)의 입력단에 제2 전력 측정장치(172)를,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입력단에 제3 전력 측정장치(173)를,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입력단에 제4 전력 측정장치(174)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의 제4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전력량 데이터,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제1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820)
이 경우,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총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 각각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1)에서 감지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83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이나 개별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소비하는(즉,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저장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8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하고,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전자기기(150)가 전력을 소비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후, 도 18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측정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제1 전력 측정장치(171)에서 측정한 제1 전력량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방법은, 제1 전력량 데이터 대신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에너지 저장장치(140)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에서 제2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2 전력량 데이터와 제3 전력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제2 전력 측정 장치(172) 로부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3 전력 측정장치(173)로부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910)
한편, 도 11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제1 전력 측정장치(171)를, 전자기기(150)의 입력단에 제4 전력 측정장치(174)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전력 측정장치(171)의 전력량 데이터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의 전력량 데이터는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2 전력 측정장치(172)의 제2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920)
이 경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분전반(120)으로 인가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량 데이터는,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 패턴, 및 복수의 전자기기(130)를 구성하는 개별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수집된 제3 전력 측정장치(173)의 제3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S1930)
이 경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총 전력 소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2 전력 측정 장치(172)에서 감지한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 측정 장치(173)에서 감지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전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9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량(즉,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충전량)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에 연결된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과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전자기기(150)의 전력 소비량을 더함으로써,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제3 전력 측정장치(173)에서 감지된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950)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에너지 저장장치(140)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150)가 전력을 소비중이면,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모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한 후,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상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을 판단한 후, 도 19에서의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 제2,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결과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동작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S196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전력 측정장치(171), 제2 전력 측정장치(172), 제3 전력 측정장치(173)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의 공급 전력량,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충전량 및 방전량, 복수의 전자기기(130) 들의 총 전력 소비량, 개별 전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개별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모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력 측정 장치(171), 제2 전력 측정 장치(172), 제3 전력 측정장치(173)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외부 전력 공급원(110)으로부터의 공급 전력량이나 에너지 저장장치(140)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전력 측정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고장이나 수리에 관계 없이 전력의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력 측정장치(171), 제2 전력 측정장치(172), 제3 전력 측정장치(173) 및 제4 전력 측정장치(174)를 모두 이용함으로써, 오차를 최소화 하여 시스템 내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결과 출력 동작 흐름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결과 출력 예시도 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10)의 저장부(13)에 저장된 전력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측정 및 취득되어 저장부(13)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의 출력 요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2110) 상기 출력 요청 신호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원격지의 단말기 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의 제어부(12)는 저장부(13)에 저장된 모니터링 결과를 추출하고(S2120) 도 22에서와 같은 그래프, 수치, 텍스트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전력량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2130) 도 22는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소비 전력량 또는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도시화 한 것이다. 그 예로, A 내지 C는 가전기기(130)들의 전력량의 예이고, D는 에너지 저장장치(140)의 전력량의 예이다. 가전기기들의 전력량 의 경우 NILM분석에 요구되는 전력량 데이터가 감지됨에 따라 전력량의 주기가 짧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 전력 공급원(110), 분전반(120), 전자기기(130) 및 에너지 저장장치(140) 에서 각각 전력량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추정하기 위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전력량 데이터를 추정하거나 측정하기 위한 동작 순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가변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모니터링 서버
110: 외부 전력 공급원 120: 분전반
130: 가전 기기 140: 에너지 저장장치
150: 전자기기

Claims (18)

  1. 외부 전력 공급원, 에너지 저장장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을 인가하는 외부 전력 공급원;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제1 부하로 분배하는 분전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력을 방전하고, 충전 및 AC PASS 모드, 충전 모드, AC PASS 모드 및 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전력을 인가받는 제2 부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전력 측정 장치;
    상기 분전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제1 부하로 분배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2 전력 측정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3 전력 측정 장치; 및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상기 충전 및 AC PASS 모드, 상기 충전 모드, 상기 AC PASS 모드 및 상기 방전 모드로 동작할 때 각각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AC PASS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전력을 소비하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충전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1 부하의 소비 전력량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방전 모드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전력량이 음수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방전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 및 상기 제2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중이고 상기 제2 부하가 전력을 소비중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는,
    상기 제1 부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1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상기 제2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는,
    상기 제1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1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AC PASS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충전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방전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0. 외부 전력 공급원, 에너지 저장장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을 인가하는 외부 전력 공급원;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제1 부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분전반;
    상기 분전반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분배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력을 방전하고, 충전 및 AC PASS 모드, 충전 모드, AC PASS 모드 및 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는 제2 부하;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전력 측정 장치;
    상기 분전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전반에서 상기 제1 부하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는 제2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2 전력 측정장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제3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3 전력 측정 장치;
    상기 제2 부하로 인가되는 제4 전력량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4 전력 측정 장치; 및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4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상기 충전 및 AC PASS 모드, 상기 충전 모드, 상기 AC PASS 모드 및 상기 방전 모드로 동작할 때 각각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전력이 없으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AC PASS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중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충전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4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2 부하의 소비 전력량이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인가되는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방전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 및 상기 제2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중이고 상기 제2 부하가 전력을 소비중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제3 전력 측정장치에 포함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 및 상기 제2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중이고 상기 제2 부하가 전력을 소비중이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각각은,
    상기 제1 부하,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1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 및 상기 제2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력량 데이터는,
    상기 제2 부하의 전력 소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4 전력량 데이터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부하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AC PASS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충전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방전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4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가 충전 및 AC PASS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제3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50124470A 2015-09-02 2015-09-02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KR10171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470A KR101717853B1 (ko) 2015-09-02 2015-09-02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EP16179736.0A EP3139187A1 (en) 2015-09-02 2016-07-15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thereof
JP2016164281A JP6266060B2 (ja) 2015-09-02 2016-08-25 電力監視システム
CN201610727607.9A CN106483369B (zh) 2015-09-02 2016-08-25 功率监视***及其用于监视功率的方法
US15/254,869 US10591521B2 (en) 2015-09-02 2016-09-01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470A KR101717853B1 (ko) 2015-09-02 2015-09-02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617A KR20170027617A (ko) 2017-03-10
KR101717853B1 true KR101717853B1 (ko) 2017-03-27

Family

ID=5673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470A KR101717853B1 (ko) 2015-09-02 2015-09-02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91521B2 (ko)
EP (1) EP3139187A1 (ko)
JP (1) JP6266060B2 (ko)
KR (1) KR101717853B1 (ko)
CN (1) CN106483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80B1 (ko) * 2021-11-26 2023-11-30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도시형 건물 환경의 정전 감지 및 절체 시스템
KR102673439B1 (ko) * 2023-11-10 2024-06-11 주식회사 감성 누진제 요금 적용 방지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156A (ja) * 2001-05-18 2002-11-29 Hitachi Maxell Ltd 充電電池あるいは充電電池パック
WO2011002735A1 (en) * 2009-07-01 2011-01-06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energy consumption and related operations
JP2011083085A (ja) * 2009-10-05 2011-04-2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
US9513141B2 (en) * 2009-12-02 2016-12-06 Nec Corporation Electric power measurement system, electric power measur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093956B1 (ko) * 2009-12-04 201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TWI423549B (zh) * 2010-07-02 2014-01-11 Univ Nat Chiao Tung 辨識電器狀態的電力監測裝置及其電力監測方法
JP5498300B2 (ja) * 2010-07-27 2014-05-21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機器制御システム
JP5598200B2 (ja) * 2010-09-16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49476A (ja) * 2011-05-30 2012-12-13 Panasonic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220058B1 (ko) * 2011-06-08 2013-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에너지 관리 방법
KR101220773B1 (ko) * 2011-06-14 2013-01-09 한국전기안전공사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관리기능을 갖는 지능형 분전반
KR101294807B1 (ko) 2011-06-28 2013-08-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EP2734849A1 (en) * 2011-07-19 2014-05-28 Koninklijke Philips N.V. Multi-modal data improvement for power disaggregation systems
JP5719716B2 (ja) * 2011-07-26 2015-05-2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877346B2 (ja) * 2011-10-24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プログラム、負荷制御システム
WO2013080308A1 (ja) * 2011-11-29 2013-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需要家エネルギ管理システム及び需要家エネルギ管理方法
JP6020880B2 (ja) * 2012-03-30 2016-11-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7537B2 (ja) * 2012-04-09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63215B2 (en) * 2012-07-14 2017-02-07 Causam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ly managing electric power supply for an electric power grid
JP6013076B2 (ja) * 2012-08-10 2016-10-25 京セラ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WO2014076832A1 (ja) * 2012-11-19 2014-05-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制御装置及び蓄電地制御方法
WO2014080599A1 (ja) * 2012-11-26 2014-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変換装置、計測点切替装置
JP5641083B2 (ja) * 2013-03-14 2014-12-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
US9442999B2 (en) * 2013-06-07 2016-09-13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employing graphical electric load categorization to identify on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electric load types
JP5936583B2 (ja) 2013-08-06 2016-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19253B1 (ko) 2013-08-29 2018-0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19530B1 (ko) 2013-09-17 2015-05-13 주식회사 티에스이에스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가정용 전력관리장치
KR101963445B1 (ko) * 2015-04-02 2019-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27390B1 (ko) * 2015-07-28 2017-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1521B2 (en) 2020-03-17
KR20170027617A (ko) 2017-03-10
CN106483369A (zh) 2017-03-08
US20170059634A1 (en) 2017-03-02
JP6266060B2 (ja) 2018-01-24
CN106483369B (zh) 2021-01-15
EP3139187A1 (en) 2017-03-08
JP2017051086A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5215B (zh) 功率计量***、用于监视负载消耗的功率的方法和***
CN106053934B (zh) 电力测量***和利用该***的负荷电力监测***及其操作方法
KR101717854B1 (ko)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TW201504979A (zh) 電器辨識裝置、方法及其系統
KR101727390B1 (ko)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Nardello et al. A low-cost smart sensor for non intrusive load monitoring applications
KR101717853B1 (ko)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KR101707745B1 (ko)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