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105B1 -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 Google Patent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105B1
KR101714105B1 KR1020127003228A KR20127003228A KR101714105B1 KR 101714105 B1 KR101714105 B1 KR 101714105B1 KR 1020127003228 A KR1020127003228 A KR 1020127003228A KR 20127003228 A KR20127003228 A KR 20127003228A KR 101714105 B1 KR101714105 B1 KR 10171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adhesive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9001A (en
Inventor
데이지 사카시타
가즈유키 츠치야
후미오 나이토
츠토무 가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2003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점착 시트(62)는 시트상의 기재(70)와 그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고무계 점착제층(82)을 구비한다. 기재(70) 중 적어도 점착제층(82)이 마련되는 개소의 표면 부분은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을 주체로 하고, 바이오매스도가 35% 이상 100% 미만인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adhesive sheet 62 includes a sheet-like base material 70 and a rubber-based adhesive layer 82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70 where at leas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2 is provided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mainly composed of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35% or more and less than 100%.

Description

점착 시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9-171886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그 출원된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ubstrate. 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9-171886, filed on July 23, 2009,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시트상 기재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는 포장용, 접합용, 표면 보호용, 마스킹용, 라벨용, 표시용, 청소용 등의 각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폴리머 성분 중의 주성분, 즉 5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의 종류로 분류해 예시하면, 고무계 점착제(즉,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비닐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여러 가지 점착제로부터, 용도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 상기 점착 시트의 기재는 종이, 직물,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이들의 복합체, 적층체 등의 여러 가지 시트재로부터 용도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점착 시트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을 들 수 있다.Background Ar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sheet-like base material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ackaging, bonding, surface protection, masking, labeling, display, Exampl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rubber-based polymer as a base polymer), an acrylic pressure- , Viny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depending on applications and purposes.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suitably selected from various sheet materials such as paper, woven fabric, plastic film, metal foil, composite thereof, laminate, and the like depending on applications and purposes. As technical literatures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3 can be mentioned.

일본 특허 출원 공개 2001-3192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1922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2521127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521127 일본 특허 출원 공개 2007-11753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17534

그러나,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와 점착제의 조합에 따라서는 시간 경과나 열 등에 의해 이 점착 시트의 품질이 크게 저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기재로서의 폴리올레핀 필름(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고무계의 점착제층을 마련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에서는 시간 경과나 열에 의해 점착 성능의 저하(예를 들면, 점착력의 대폭적인 저하), 외관 품질의 저하(예를 들면, 롤 형태의 점착 시트에서 권소(卷巢)가 발생하는 일) 등의 적어도 하나의 사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폴리올레핀은 수지 재료 중에서도 환경 부하가 적어 리사이클성이 뛰어나다는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는 재료이지만, 상기 사정으로부터 고무계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의 기재로서 이용하려면 신중을 요하는 것이었다.However,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qua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significantly deteriorated by the passage of time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 polyolefin film (typically a polyethylene film) as a base material, deterio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erformance (for example, (For example, a roll-lik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produced in a roll-shap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like. Polyolefin is a material having desirable properties in resin materials because of low environmental load and excellent recyclability. However, from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use the polyolefin as a base material of an adhesive sheet having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기재 상에 고무계 점착제층이 마련된 점착 시트로서, 이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구성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을 이용하고, 또한 품질 안정성이 뛰어난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which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ing polyolefin as a constituent component of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substrate and having excellent quality stability.

본 발명자는 폴리올레핀 필름 상에 고무계 점착제층을 마련한 구성의 점착 시트에서 품질의 저하가 생기는 것은 일반적인 고무계 점착제에 비교적 많이 포함되는 저분자량 성분(프로세스 오일, 점착 부여 수지 등)의 일부가 점착제층으로부터 기재(여기에서는 폴리올레핀 필름)로 이행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 점착제 구성 성분의 일부가 기재로 이행하여 점착제층으로부터 없어지면, 점착제의 조성이 당초의 성분비와는 상이한 것이 되어, 이것이 점착 특성(예를 들면,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 기재로 이행한 저분자량 성분은 이 기재의 팽윤을 일으키고, 그 팽윤은 기재의 치수 변화가 되어 현재화(顯在化)될 수 있다. 이러한 치수 변화는 점착 시트의 외관 품질의 저하(권소의 발생 등)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에 있어서, 고무계 점착제층의 구성 성분이 이행하기 어려운 재료를 여러 가지 검토했다. 그 결과, 소정의 중량비로 폴리젖산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nstituted by providing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polyolefin film results from the fact that a par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process oil, tackifier resin, etc.) (A polyolefin film in this case). If a par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shifts to the substrate and disappears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composi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ecome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mponent ratio, which may cause a deterio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y (for example, adhesion). Further, the low-molecular-weight component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causes swelling of the substrate, and the swelling can be changed to a dimensional change of the substrate. Such a dimensional change may cause a deterioration in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ccurrence of citation, etc.).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amined various materials which are difficult to transfer the constituents of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a resin material containing a polyolefin.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a resin material containing polylactic acid is suitable at a predetermined weight ratio,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즉,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시트상의 기재와 이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이다. 그리고,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점착제층이 마련되는 개소의 표면 부분은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젖산을 주체로 하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재료의 바이오매스도는 대략 35% 이상 100% 미만이다.That i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ncludes a sheet-like base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rubber-based polymer as a base polymer. The surface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at least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mainly composed of polyolefin (e.g., polyethylene) and polylactic acid. The biomass of the resin material is about 35% to less than 100%.

상기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기재는 적어도 고무계 점착제층에 접하는 표면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가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을 주체로 하는 수지 재료이다.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에 더해 폴리젖산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으로 함으로써, 고무계 점착제층의 구성 성분이 기재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해 점착 시트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폴리젖산은 식물 유래의 소재로부터 합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의 기재에 의하면 석유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수지 재료의 바이오매스도는 대략 35% 이상 1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폴리젖산을 포함하지 않는 기재(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필름)나 바이오매스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낮은 기재에 비해 점착 성능(예를 들면, 점착력)의 안정성을 큰 폭으로 높일 수 있다.The bas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a resin material composed mainly of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as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surface portion contacting at least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employing th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polylactic acid in addition to the polyolefi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ransition of the constituents of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substrate, and to stably maintain the qua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addition, since the polylactic acid can be synthesized from a plant-derived material,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petroleum used can be reduced. The biomass of the resin material is preferably about 35% or more and less than 100%. This makes it possible to greatly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adhesive performance (for example, adhesive force) as compared with a base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polylactic acid (for example, a polyolefin film) or a biomass degree that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또한, 여기서 수지 재료가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을 주체로 한다」란,이 수지 재료에 포함되는 폴리머 성분의 중량 가운데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의 합계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인 것을 말한다. 수지 재료 전체의 중량 중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의 합계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인 것은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을 주체로 하는 수지 재료 중 하나의 전형예이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바이오매스도란, 상기 수지 재료 전체의 중량(환언하면, 기재의 중량)에서 차지하는 폴리젖산의 중량의 비율(폴리젖산 함유율)을 말한다.The term "resin mainly composed of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means that the ratio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and the polylactic acid to the weight of the polymer component contained in the resin material is 50% or more. The ratio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and the polylactic acid i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material to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material is 50% or more is a typical example of the resin material mainly composed of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iomass refers to the ratio (weight ratio of polylactic acid) of the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in the weight of the whole resin material (in other words, the weight of the base material).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상기 수지 재료는 상기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젖산의 합계 중량에서 차지하는 상기 폴리젖산의 중량이 대략 40% 이상 80% 이하이다. 바이오매스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기재에 의하면, 고무계 점착제층을 마련했던 것에 기인하는 기재의 사이즈 변화를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the resin material has a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i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and the polylactic acid is about 40% or more and 80% or less. According to the base material having the biomass degree in the above range, the size change of the base material due to the provision of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highly suppressed.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예를 들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here is preferably applicable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ing a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as a base polymer.

본 명세서에 따르면, 또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의 점착 시트를 롤상으로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롤이 제공된다. 폴리머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의 수지 재료에 비해, 폴리올레핀에 더해 폴리젖산을 포함하는 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하면, 보다 코시가 강한 시트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폴리젖산은 딱딱하여 깨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바, 폴리젖산에 더해 올레핀을 포함하는 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하면, 상기 딱딱함 및 깨지기 쉬움이 개선된 (보다 유연한) 이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재의 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당한 코시(땅기는 힘)와 유연함을 겸비한 시트재(기재)는 롤 형태의 점착 시트(즉, 점착 시트 롤)를 구성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면, 점착 시트 롤의 제조시나 사용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양호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also provided an adhesive sheet roll in which any one of the adhesive sheets disclosed herein is wound in a roll. Compared to a resin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including a polyolefin (e.g., polyethylene) alone as a polymer component, a resin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containing polylactic acid in addition to polyolefin can form a sheet material that is more resistant to cosiness. Generally, the polylactic acid is hard and fragile. According to the resin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including olefin in addition to polylactic acid, the polylactic acid can be obtained by using a sheet made of this (more flexible) resin material having improved hardness and fragility The elasticity of the ash can be improved. Such a sheet material (substrate) having a suitable Kosi (grounding force) and flexibility is very suitable for constituting a roll-shap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For example, the handling property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adhesive sheet roll and at the time of use is good.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 롤의 바람직한 일 태양로서 상기 점착 시트가 상기 기재의 적어도 외측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방향으로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고, 최외주에 노출된 상기 점착제층을 피처리면에 누르면서 이 피처리면 상을 구르게 하여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롤의 지름 방향에 응력을 가하면서 구르게 하여 사용되는 점착 시트 롤에서는 적당한 코시와 유연함을 겸비한 기재가 이용되고 있는 것의 의의가 특별히 잘 발휘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disclosed 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rolled in a roll-like shape in a direction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t least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while pressing the pressure-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used by being rolled on a reverse sid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to be used while being subjected to stres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ll, the significance of using a substrate having appropriate cushioning and flexibility can be exhibited particularly well.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점착 시트의 1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다른 1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다른 1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다른 1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점착 시트 롤의 전형적인 사용 태양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점착 시트 롤의 전형적인 사용 태양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configuration exampl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ode of use of the adhesive sheet roll.
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typical use of the adhesive sheet roll.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것은 해당 분야에서의 종래 기술에 근거한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 상식에 근거해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lso, what i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os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design matter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ior art in the fiel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ased on the cont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 시트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고무계 점착제층을 가진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기재(지지체)의 한쪽 면에만 가지는 한면 점착 타입의 점착 시트여도 되고, 상기 점착제층을 기재의 양면에 가지는 양면 점착 타입의 점착 시트여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점착 시트의 개념에는 점착 테이프, 점착 라벨, 점착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점상(點狀), 스트라이프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인 패턴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 시트는 롤상이어도 되고, 매엽상(枚葉狀)이어도 된다. 혹은 추가로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가공된 형태의 점착 시트여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a substr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a on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ly one side of a substrate (support),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a double- The concep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eferred to herein may include what is referred to as an adhesive tape, an adhesive label, an adhesive film, or the lik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formed continuously, bu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in a regular or random pattern such as a dot shape or a stripe shap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lled or sheet-like. Alternatively, the adhesive sheet may be processed into various shapes.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도 1~도 4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 중 도 1, 도 2는 양면 점착 타입의 점착 시트의 구성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1)는 기재(10)의 양면(모두 비박리성)에 점착제층(21,22)이 마련되고, 이들 점착제층이 적어도 이 점착제층측이 박리면이 되고 있는 박리 라이너(31,32)에 의해 각각 보호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2)는 기재(10)의 양면(모두 비박리성)에 점착제층(21,22)이 마련되고, 이들 중 한쪽의 점착제층(21)이 양면이 박리면이 되고 있는 박리 라이너(31)에 의해 보호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점착 시트(2)는 이 점착 시트를 권회하여 다른 쪽의 점착제층(22)을 박리 라이너(31)의 이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점착제층(22)도 또 박리 라이너(31)에 의해 보호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may have, for example, a cross-sectional structure schematically shown in Figs. 1 to 4. Fig. 1 and 2 are structural examples of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21 and 22 on both surfaces (non-releasable properties) of the substrate 10, and the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are peeled off at least on the pressure- 31 and 32, respective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2 shown in Fig. 2 ha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21 and 22 on both surfaces (all non-releasable properties) of the substrate 10, and one of the pressure- And is protected by a release liner 31. [ This type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2 is obtained by wind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bringing the oth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22 into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e liner 31 so tha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22 is protected by the release liner 31 As shown in FIG.

도 3, 도 4는 한면 점착 타입의 점착 시트의 구성예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5)는 기재(10)의 일면(10A)(비박리성)에 점착제층(21)이 마련되고, 그 점착제층(21)의 표면(접착면)(21A)이 적어도 이 점착제층측이 박리면이 되고 있는 박리 라이너(31)로 보호된 구성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6)는 기재(10)의 일면(10A)(비박리성)에 점착제층(21)이 마련된 구성을 가진다. 기재(10)의 다른 면(10B)은 박리면이 되고 있어 점착 시트(6)를 권회하면 이 다른 면(10B)에 점착제층(21)이 맞닿게 되어 이 점착제층의 표면(접착면)(21B)이 기재의 다른 면(10B)으로 보호되게 되어 있다.Figs. 3 and 4 are structural examples of a one-sided adhesive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5 shown in Fig. 3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1 provided on one surface 10A (non-releasable property) of the substrate 10 and a surface (adhered surface) 21A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is protected with a release liner 31 which is a release surfa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6 shown in Fig. 4 has a constitution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1 is provided on one surface 10A (non-releasable property) of the substrate 10. The other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becomes a peeling surface and wh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6 is wou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2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10B so that the surfa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21B are protected by the other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상기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을 주체로 하는 수지 재료(이하,「PO/PLA 수지 재료」라고 하기도 함)를 사용한다. 기재 중 적어도 고무계 점착제층이 마련되는 개소의 표면 부분이 상기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한쪽 면의 표면 부분만이 상기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구조의 기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기재로는 PO/PLA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층과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층(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층, 종이, 직물, 금속박 등일 수 있음)이 적층된 구조의 기재가 예시된다.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기재 전체가 PO/PLA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기재는 생산성이 좋고, 또 온도나 습도의 변화가 있어도 기재가 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PO/PLA 수지 재료를 시트상으로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기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리사이클성의 관점에서는 전체가 PO/PLA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 또는 전체가 PO/PLA 수지 재료 및 다른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가 바람직하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a resin material mainly composed of a polyolefin and a polylactic aci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PO / PLA resin material ") is used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may be constituted by the resin material.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 substr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surface portion of this side is constituted by the resin material can be used. As a substrate having such a structure, a substr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ayer made of a PO / PLA resin material and a layer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or example, a layer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olefin, a paper, a cloth, .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entire substrate is composed of a PO / PLA resin material. The substrate having such a structure is preferable because productivity is good and the substrate is hard to warp even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changes. For example, a substrate formed by molding a PO / PLA resin material into a sheet form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recyclability, a substrate made entirely of a PO / PLA resin material or a substrate made entirely of a PO / PLA resin material and another resin material is preferable.

PO/PLA 수지 재료에서의 폴리올레핀은 α-올레핀을 주 모노머(모노머 성분 중의 주성분)로 하는 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에틸렌을 주 모노머로 하는 것(폴리에틸렌), 프로필렌을 주 모노머로 하는 것(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에틸렌과 다른 올레핀(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3~10인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여도 되며, 에틸렌과 올레핀 이외의 모노머(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가 2, 4~10인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여도 되며, 프로필렌과 올레핀 이외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PO/PLA 수지 재료는 이들 중 1종의 폴리올레핀만을 포함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해도 된다.The polyolefin in the PO / PLA resin material is a polymer having an? -Olefin as a main monomer (a main component in a monomer component).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lefins include those obtained by using ethylene as the main monomer (polyethylene) and those using propylene as the main monomer (polypropylene). The polyethylene may be a homopolymer of ethylene, or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other olefin (e.g., one or more kinds selected from? -Olefins having 3 to 10 carbon atoms), and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olefin other than olefin Or a copolymer of monomers (e.g., one or more kinds selected from ethylenic unsaturated monomers such as vinyl acet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hyl acrylate, and ethyl acrylate). The polypropylene may be a homopolymer of propylene, or may be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nother olefin (e.g., one or more kinds selected from? -Olefins having 2 to 4 carbon atoms) Or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 monomer other than an olefin. The PO / PLA resin material in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only one kind of polyolefin or two or more kinds of polyolefin.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PO/PLA 수지 재료에서의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이다. 상기 폴리에틸렌(PE)으로는 이른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들 중 1종(예를 들면, LDPE)을 단독으로 포함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포함해도 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olefin in the PO / PLA resin material is polyethylene. As the polyethylene (PE), it is possible to use so-called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One of them (for example, LDPE) may be contained singly or two or more kind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PO/PLA 수지 재료에서의 폴리젖산으로는 L-젖산의 단독 중합체(폴리-L-젖산), D-젖산의 단독 중합체(폴리-D-젖산), L체와 D체가 임의의 비율로 공중합된 랜덤 공중합체, L체와 D체의 블록 공중합체 등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해도 되고, 2종 이상(예를 들면, 폴리-L-젖산과 폴리-D-젖산)을 적절히 조합하여 포함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PO/PLA 수지 재료의 조제에 사용하는 폴리젖산은 임의의 비율로 폴리젖산을 포함하는 폴리젖산 함유 수지의 형태로 다른 재료와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젖산 함유 수지로는 상기 수지에 포함되는 폴리머 성분의 대략 5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 예를 들면 95중량% 이상)이 폴리젖산인 수지(폴리젖산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젖산 함유 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젖산의 비율은 통상 상기 수지의 바이오매스도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lactic acid in the PO / PLA resin material include homopolymers of L-lactic acid (poly-L-lactic acid), homopolymers of D-lactic acid (poly-D-lactic acid), copolymers of L- Random copolymers, block copolymers of L-isomer and D-isomer, and the like can all be used. One of them may be contained singly or two or more kinds (for example, poly-L-lactic acid and poly-D-lactic acid)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In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the polylactic acid used for preparing the PO / PLA resin material may be blended with other materials in the form of a polylactic acid-containing resin containing polylactic acid at an arbitrary ratio. The polylactic acid-containing resin is preferably at least about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at least 70%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at least 90% by weight, such as at least 95% by weight) of the polymer component contained in the resin, (Polylactic acid resin) can be preferably used. The ratio of the polylactic acid contained in the polylactic acid-containing resin can be generally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biomass of the resin.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PO/PLA 수지 재료는 바이오매스도가 대략 35% 이상 100% 미만(예를 들면, 대략 4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의 기재 표면 상에 고무계 점착제층이 마련된 구성의 점착 시트에 의하면, 폴리젖산을 포함하지 않는 기재나 바이오매스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낮은 경우에 비해, 점착 성능(예를 들면, 점착력)의 안정성을 큰 폭으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50℃에서 7일간 보존하는 전후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변화율이 ±15% 이내인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 또, 바이오매스도가 0%인 경우에 비해, 50℃에서 7일간 보존하는 전후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변화율이 반 이하로 억제된 점착 시트가 실현될 수 있다.The PO / PLA resin material in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preferably has a biomass degree of about 35% to less than 100% (for example, about 40% or more and 80% or less).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which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having such a compos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y (for example, The stability can be greatly increased.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rate of change of adhesive force before and after being stored at 50 占 폚 for 7 days is within ± 15% can be realized. Fur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iomass degree is 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which the change rate of the adhesive force before and after the storage at 50 占 폚 for 7 days is suppressed to half or less can be realized.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PO/PLA 수지 재료의 바이오매스도가 대략 40% 이상 100%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45% 이상 100% 미만)이다. 바이오매스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고무계 점착제층을 마련했던 것에 기인하는 기재의 사이즈 변화를 보다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기재 표면의 한쪽 면 및/또는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이 마련된 영역과 마련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는 구성의 점착 시트에서 특히 의의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점착 시트에서는 점착제층이 마련된 영역과 마련되지 않은 영역에서 기재의 사이즈 변화의 정도가 상이하면, 점착 시트에 주름이나 꼬임이 생겨 외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점착제층을 마련했던 것에 기인하는 기재의 사이즈 변화를 보다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은 또 한면 점착 타입의 점착 시트에서 특히 의의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점착 시트에서는 점착제층측의 면과 반대면에서 기재의 사이즈 변화의 정도가 상이하면 점착 시트에 휨이 생기고, 이에 의해 사용하기 편리한 정도나 외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the biomass of the PO / PLA resin material is from about 40% to less than 100% (more preferably from about 45% to less than 100%). By setting the biomass to the above range, the size change of the base material due to the provision of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suppressed to a higher degre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as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and /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region not provided. This is becaus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f the substrate differs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and the region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rovided, wrinkles or kinks may occu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fact that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base material due to the provi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urther suppressed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on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yp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such a constitution, whe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ize of the substrate is different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warped, thereby deteriorating the ease of use and appearance quality.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상기 기재의 전체가 PO/PLA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PO/PLA 수지 재료의 바이오매스도는, 예를 들면 대략 35% 이상 100% 미만(바람직하게는 대략 40% 이상 100% 미만)으로 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도가 대략 40% 이상 80% 이하(예를 들면, 대략 4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바이오매스로 함으로써,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재의 1종인 PE 라미네이트지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예를 들면, PE 라미네이트지의 ±10%의 두께)에 있어서, PE 라미네이트지에 비교적 가까운 코시 힘(예를 들면, PE 라미네이트지의 ±50%의 코시 힘)을 나타내는 기재가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는 지금까지 기재로서 PE 라미네이트지가 이용되어 왔던 분야에서 이 PE 라미네이트지의 대체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the entire substrate is formed of a PO / PLA resin material. The biomass of the PO / PLA resin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bout 35% or more and less than 100% (preferably about 40% or more and less than 10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iomass is about 40% or more and 80% or less (for example, about 40% or more and 70% or less). By using the biomas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hesive force comparatively close to the PE laminate paper (for example, 10% of the thickness of the PE laminate paper) to the same degree as that of the PE laminate paper, (For example, a Kosi force of 占 0% of the PE laminate paper) can be realiz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such a base material is preferable since i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PE laminate paper in the field where PE laminate paper has been used as the base so far.

또한, 상기 기재의 코시 힘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폭 20㎜, 길이 64㎜의 단책상(短冊狀)의 샘플을 말아 직경 20㎜, 폭 20㎜의 링을 형성한다. 그 링을 지름 방향으로 10㎜/분의 속도로 원형으로부터 평면상이 될 때까지 눌러 납작하게 했을 때의 최대 강도를 상기 샘플의 코시 힘으로 한다. 압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기재에서는 기재의 MD(흐름 방향)이 샘플의 길이 방향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샘플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o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a ring having a diameter of 20 mm and a width of 20 mm is formed by cutting a sample having a width of 20 mm and a length of 64 mm. The maximum strength when the ring is flattened by pressing it from the circle at a speed of 10 mm / min in the radial direction until it becomes a plane becomes the coercive force of the sample. In the base material produced by the extrusion mold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prepare the sample such that the MD (flow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mple.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PO/PLA 수지 재료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에 더해 임의 성분으로서 다른 폴리머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과 함께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PO/PLA 수지 재료 중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의 합계 중량이 대략 75% 이상(예를 들면, 대략 85% 이상)이다.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의 합계 중량이 PO/PLA 수지 재료의 대략 90% 이상이어도 되고, 실질적으로 100%여도 된다.The PO / PLA resin material in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may contain other polymers as op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polyolefins and polylactic acid. Such a polym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rmoplastic resins that can be molded together with a polyolefin and a polylactic acid.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in the PO / PLA resin material is at least about 75% (e.g., at least about 85%).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and the polylactic acid may be approximately 90% or substantially 100% of the PO / PLA resin material.

PO/PLA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올레핀과 폴리젖산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상용화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상용화제로는 공지 내지 관용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과 폴리젖산계 수지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과 아크릴 수지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젖산과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로 변성된 폴리올레핀, 이러한 관능기로 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결정성 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SEB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관능기 변성 SEBC(JSR 주식회사제, 상품명 「XDH-0612」),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스미토모화학 주식회사제, 상품명 「본드 퍼스트 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용화제의 사용량은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대략 3~15중량부(전형적으로는 대략 5~10중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용화제는 투명한 PO/PLA 수지 재료가 얻어지도록 배합되어도 되고, 혹은 백탁한 PO/PLA 수지 재료가 얻어지도록 배합되어도 된다. 백탁한 PO/PLA 수지 재료는 시트상으로 성형(예를 들면, 압출 성형)됨으로써, 종이를 닮은 감촉의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감촉의 기재는 점착 시트의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최외주에 노출된 점착제층을 피처리면에 누르면서 이 피처리면 상을 구르게 하여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예를 들면, 바닥면 등의 청소에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에서는 사용자가 종이에 유사한 감촉의 기재를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적당히 백탁한 기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사정상 좋다.The PO / PLA resin material may contain a compatibilizer which improves the compatibility of the polyolefin and the polylactic acid, if necessary. As the commercialization agen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lect and use a publicly known or generic product. Specifically, for example, a block or graft copolymer of a polyolefin and a polylactic acid resin, a block or a graft copolymer of a polyolefin and an acrylic resin, a polyolefin modified by a functional group having reactivity with a polylactic acid, Styrene-ethylene / butylene-crystalline polyolefin block copolymer (SEBC) and the like can be used. As commercial products, functional group-modified SEBC (trade name: "XDH-0612"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and ethylen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trade name: "Bond First E"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can be used. The amount of the compatibilizing agent to be used may be, for example, about 3 to 15 parts by weight (typically about 5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In addition, the compatibilizer may be blended so as to obtain a transparent PO / PLA resin material, or blended so as to obtain a cloudy PO / PLA resin material. The opaque PO / PLA resin material can be formed into a sheet-like shape (for example, by extrusion molding) to form a paper-like texture substrate. Such a touching substrate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give a good impression to the user of the adhesive sheet. Particularly, in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for exampl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used for cleaning the bottom surface) used by press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exposed on the outermost periphery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while rolling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Since it tends to like the base material of the texture, it is convenient for the base material to form a whitish substrate.

그 외, PO/PLA 수지 재료에는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various additives such as fillers (inorganic fillers, organic fillers, etc.), antioxidant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lubricants, plasticizers, colorants (pigments, dyes, etc.) Or may be blended.

상기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대략 5㎛~500㎛(바람직하게는 대략 10㎛~200㎛) 정도로 할 수 있다. 최외주에 노출된 점착제층을 피처리면에 누르면서 이 피처리면 상을 구르게 하여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예를 들면, 바닥면 등의 청소에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에서는 통상 기재의 두께를 대략 30㎛~300㎛(전형적으로는 대략 50~10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ay be, for example, about 5 탆 to 500 탆 (preferably about 10 탆 to 200 탆). (For exampl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used for cleaning the bottom surface or the like) to be used by pres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posed on the outermost periphery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while rolling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Mu] m to 300 mu m (typically about 50 to 100 mu m).

이러한 구성의 기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의 시트재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가 PO/PLA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는 이 수지 재료의 구성 성분(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폴리머나 상용화제 그 외의 첨가제)을 압출기에 투입해 용융 혼련하고, 그 혼련물을 이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여 냉각함으로써 성형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of the base material having such a constitution, conventionally known various sheet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s can be applied. For example, in a substrate made entirely of a PO / PLA resin material, the constituent components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and other polymers, compatibilizers and other additives used as needed) of the resin material are put in an extruder and melt- , And the kneaded material is extruded into a film form from a die of the extruder and cooled to form a molded product.

기재의 표면(특히, 점착제층이 마련되는 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하도제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의 기재 투묘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또, 한면 점착 타입의 점착 시트에서는 기재의 배면(점착제층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박리 처리는 공지 또는 관용의 박리 처리제(예를 들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등의 박리 처리제)를 이용해 실시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particular, the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may be subjected to a known or conventional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undercoating or the like. Such a surface treatment may be, for example, a treatment for enhancing the substrate anchoring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on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ype, a release treatment may be applied to impart releasability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Such a peel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 known or publicly known peeling agent (for example, a peeling agent such as a silicone system, a fluorine system or a long chain alkyl system).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폴리머 성분 중 주성분)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이다. 이들 고무계 점착제로는 점착 시트의 분야에서 공지 내지 관용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는 전형적으로는 고무계 폴리머와 점착 부여 수지(tackifier)와 프로세스 오일(연화제)을 주요한 성분으로서 함유한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which the rubber-based polymer is a base polymer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ymer component). Thes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in the fiel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publicly known ones. Such pressure-sensitive adhesives typically contain a rubber-based polymer, a tackifier, and a process oil (softening agent) as main components.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천연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등의 여러 가지의 고무계 폴리머일 수 있다. 이러한 고무계 폴리머의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점착제여도 되고, 2종 이상의 고무계 폴리머를 적절히 조합하여 포함하는 점착제여도 된다.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상기 고무계 점착제가 SIS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SIS계 점착제)이다.The base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rubbe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polyisobutylene, polyisoprene,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Rubber-based polymer.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single rubber polymer,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two or more rubber polymers suitably combin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ubber adhesive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IS adhesive) having SIS as a base polymer.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는 일반적인 로진계, 테르펜계, 탄화수소계, 에폭시계,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계, 페놀계, 케톤계 등의 각종 점착 부여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대략 50~200중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As the tackifier resin, various tackifying resins such as general rosin, terpene, hydrocarbon, epoxy, polyamide, elastomer, phenol, and keton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blending amount of the tackifier resin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may be, for example, about 50 to 200 parts by weight.

또, 상기 프로세스 오일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파라핀계, 나프텐계, 방향족계 등의 프로세스 오일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이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프로세스 오일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대략 50~200중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As the process oil, for example, general process oils such as paraffinic, naphthenic, and aromatic oi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process oil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may be, for example, about 50 to 200 parts by weight.

상기 점착제는 필요에 따라 고무계 이외의 폴리머(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머, 비닐계 폴리머 등)를 부차적인 폴리머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부차적인 폴리머 성분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은 5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전형적으로는 20중량부 이하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의 1 적합예로서 이러한 부차적인 폴리머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contain a polymer other than rubber (for example, acryl-based polymer, vinyl-based polymer, etc.) as a secondary polymer component, if necessary. The content of these secondary polymer components is suitably 5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and typical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One suitable examp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isclosed herein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tially containing no such secondary polymer component.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에는 추가로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활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이런 종류의 점착제에서의 통상의 종류 및 배합량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fillers (inorganic fillers, organic fillers, etc.), antioxidant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lubricants, ) And the like may be blended. The kinds and blending amounts of these additives can be the same as the usual kinds and blending amounts in this kind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점착 성분을 가열 용융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핫멜트형, 점착 성분의 수분산액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에멀젼형, 점착 성분의 유기용제 용액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용제형 등의 여러 가지의 타입의 점착제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핫멜트형의 점착제가 바람직하다.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hot-melt type in which an adhesive component is heated and melted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emulsion type in which an aqueous dispersion of a pressure-sensitive component is dried to form a pressure- And the like. Among them, a hot-melt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e.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대략 2㎛~200㎛(바람직하게는 대략 5㎛~100㎛) 정도로 할 수 있다. 최외주에 노출된 점착제층을 피처리면에 누르면서 이 피처리면 상을 구르게 하여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예를 들면, 바닥면 등의 청소에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에서는 통상 점착제층의 두께를 대략 5㎛~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는 대략 10㎛~30㎛이며, 예를 들면 대략 10㎛~20㎛로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about 2 탆 to 200 탆 (preferably about 5 탆 to 100 탆). (For example, an adhesive sheet roll used for cleaning the bottom surface or the like) to be used by pres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posed on the outermost periphery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while rolling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I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탆 to 50 탆, and is typically about 10 탆 to 30 탆, for example, about 10 탆 to 20 탆.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이러한 고무계 점착제층은 기재의 한쪽 면에만 마련되어도 되고, 기재의 한쪽 면 및 다른 쪽 면 각각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 기재의 한쪽 면에 고무계 점착제층이 마련되고, 다른 쪽 면에는 고무계 이외의 점착제(고무계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비닐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비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기재의 동일측 면에 고무계의 점착제층과 비고무계 점착제층이 범위를 상이하게 하여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고무계 점착제층 위에 겹쳐 비고무계 점착제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기재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고무계 점착제가 부여되어 있고, 그 고무계 점착제 아래에 있는 기재의 적어도 표면 부분이 PO/PLA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such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o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In addition,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ther than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ing a polymer other than a rubber-based polymer as a base polymer such a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vinyl pressure- A non-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provided. Further,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non-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ide of the substrate with different ranges, or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laminated on top of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it is sufficient if a rubber adhesive is appl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t least a surface portion of the substrate under the rubber adhesive is constituted by the PO / PLA resin material.

고무계 점착제층은 한쪽 면 및/또는 다른 쪽 면 중 전 범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 영역에만 마련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예를 들면, 기재의 형상이 장척상으로서, 그 긴 방향의 한쪽 끝 또는 다른 쪽 끝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띠 모양으로 남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점착제층이 연속하여(전면 도포) 형성된 모양의 점착 시트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적용 대상으로서, 점착제층이 스트라이프상으로 마련된 태양의 점착 시트가 예시된다. 이러한 구성의 점착 시트에서는 점착제층을 마련했던 것에 기인하는 기재의 사이즈 변화를 억제하는 의의가 특히 크다.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area of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or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ial area. The technique disclosed here is,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a substrate is elongated in shape and a region whe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in a long direction remains in a band shape, (Full-surface coating). As another preferable application, an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in a stripe form is exemplifi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such a constitution, the change of the size of the substrate due to the provi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articularly significant.

이하,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점착 시트 롤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is applied to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된 점착 시트 롤(60)의 전형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점착 시트 롤(60)은 PO/PLA 수지 재료를 장척 시트상(띠 모양)으로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기재(70)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82)이 형성된 점착 시트(62)를 그 점착제층(82)이 외측(롤의 외주측)을 향하도록 하여 권심(64)의 주위에 롤상으로 권회되어 이루어진다. 기재(70)의 폭은 통상 대략 2㎝~50㎝(예를 들면, 대략 5~3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권심(64)으로는 쿠션성이 있는 종이제(전형적으로는 골판지제)의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재질(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권심이어도 된다. 또, 권심(64)을 사용하지 않고 점착 시트(62)만을 롤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이른바 코어리스(coreless) 타입의 점착 시트 롤이어도 된다.Figs. 5 and 6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typical use state of the adhesive sheet roll 60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60 is prepared by form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62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2 formed on one side of a base material 70 formed by molding a PO / PLA resin material into a long sheet In the form of a roll around the core 64 so as to face the outer sid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roll). The width of the base material 70 is usually about 2 cm to 50 cm (for example, about 5 to 30 cm). As the core 64, a cushioning paper (typically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may be preferably used. Or a core made of another material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o-called coreless 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in which only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62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without using the core 64.

점착 시트(62)에는 점착 시트 롤(60)의 거의 일주(一周) 길이마다 절단용 틈(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이 틈은 점착 시트(62)의 긴 방향의 일단을 잔부로부터 절단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절단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긴 구멍이나 파형의 슬릿을 늘어놓은 것, 미싱눈 등의 간헐 슬릿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태양에서는 점착 시트(62)를 폭 방향(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상기 틈이 마련된다. 혹은 점착 시트(62)의 폭의 한쪽 끝으로부터 도중까지 늘어나 절단의 계기를 부여하도록 마련된 틈이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62 is provided with a cutting gap (not shown) for a length of almost one circumfere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60. The gap may be a cutting means used for easily cutting one end of the adhesive sheet 6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emainder, for example, a slit having a long hole or a waveform, an intermittent slit such as a sewing eye, or the like .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gap is provided so as to cross the adhesive sheet 62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gap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width of the adhesive sheet 62 to an intermediate position to give an occasion for cutting.

점착제층(82)은 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태양에서는 SIS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SIS계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SIS계 점착제로는 이런 종류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 내지 관용의 SIS계 점착제와 동일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재(70)의 한쪽 면(외측면)에는 그 전 범위에 점착제층(82)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를 제외한 범위에 점착제층(82)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태양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70)의 폭 방향의 양단을 따라서 점착제층(8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점착부(드라이 엣지)(72,7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비점착부(72,73)의 폭은 각각, 예를 들면 2㎜~10㎜ 정도일 수 있다. 비점착부(72,73)를 제외한 폭 중앙 부분에는 기재의 장척 방향을 따라서 스트라이프상으로 점착제층(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트라이프를 형성하는 각 점착제층(82)의 폭은 예를 들면 대략 0.5㎜~3㎜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82)의 피치는 예를 들면 대략 1㎜~4㎜로 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2 is made of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SIS as a base polymer. As the SIS-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the same SIS-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s those known or accept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is kind can be preferably use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2 may be formed on one sid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70, or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2 may be formed in a range except for a part thereof.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non-adhesive portions (dry edges) 72 and 73,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2 is not formed along both widthwise ends of the base material 70, are provided. The widths of the non-adhesive portions 72 and 73 may be, for example, about 2 mm to 10 mm, respective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2 is formed in a strip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at the center of the width except for the non-adhesive portions 72 and 73. The width of 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82 forming the stripe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0.5 mm to 3 mm. The pit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2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 mm to 4 mm.

이 점착 시트 롤(60)은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 롤(6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치구(9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 치구(90)는 점착 시트 롤(60)의 중심부(예를 들면, 권심(64)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회전부(92)와 이 회전부(92)의 회전축과 거의 수직으로 늘어나는 자루(柄)(93)를 가진다. 자루(93)의 선단은 그립부(94)가 되고 있다. 사용자(도시하지 않음)는 이 그립부(94)를 잡고 점착 시트 롤(60)의 외주를 대략 300g~2000g 정도(전형적으로는 주로 500g~1000g 정도)의 누르는 힘으로 피처리면(예를 들면, 바닥면)(96)에 꽉 누르면서 굴림으로써 이 피처리면 상의 이물(쓰레기 등)을 점착제층(82)으로 포착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60 is used by being mounted on a fixture 90 for rotatably hold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60. As shown in Fig. The jig 90 is provided with a rotary part 92 inserted into a central part of the adhesive sheet roll 60 (for example, a hollow part of the winding core 64), and a bag extend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part 92 (93). The distal end of the bag 93 serves as a grip portion 94. A user (not shown) grips the grip portion 94 and grips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60 with a pressing force of about 300 g to 2000 g (typically about 500 g to 1000 g) Foreign matter (such as refuse)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is captur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2 by pres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6 while pressing it.

여기서, 점착 시트 롤(60)은 권심(64)의 특성 및 점착제층(82)이 스트라이프상으로 마련되어 있음으로 인해 롤의 지름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쿠션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점착 시트 롤(60)의 외형을 어느 정도 피처리면(96)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 변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기재(70)의 재질이 딱딱하여 깨지기 쉬우면 상기 변형에 의해 기재(70)에 예기치 못한 균열이 들어가기도 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 본 실시태양에서는 기재(70)의 구성 재료로서 적당한 코시와 유연함을 겸비한 PO/PLA 수지 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사용 태양에도 아무런 문제점 없이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60 exhibits proper cushioning propert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ll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64 and the provis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82 in a stripe shape.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tour of the adhesive sheet roll 60 can be deformed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surface shape of the surface to be treated 96. However, if the material of the base material 70 is hard and fragile, unexpected cracks may enter the base material 70 due to the deformation. Regarding this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PO / PLA resin material having a suitable Kosi and flexibility is used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base material 7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use without any problem.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 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 part " and "%" are by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예 1:점착 시트 샘플의 제작>≪ Example 1: Production of adhesive sheet sample &

기재 샘플 1:Base Sample 1:

LDPE(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 「스미카센 F-208-3」을 사용했다. 이하 동일) 100부를 2축 압출기(주식회사 테크노벨의 제품번호 「KZW-15」를 사용했다. 이하 동일)에 투입해 가열 용융시키고, 온도 약 200℃, 압력 약 5~10MPa의 조건으로 압출하여 두께 60㎛~80㎛의 필름상으로 성형했다. 이에 의해, 폴리머 성분이 실질적으로 LDPE로 이루어진(바이오매스도 0.0%) 기재 샘플 1을 얻었다.100 parts of LDPE (trade name "Sumikasen F-208-3"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was put in a twin-screw extruder (product number "KZW-15" manufactured by TechNobel Co., Ltd.) Heated and melted and extruded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about 200 DEG C and a pressure of about 5 to 10 MPa to form a film of 60 mu m to 80 mu m in thickness. Thus, Base Sample 1 was obtained in which the polymer component substantially consisted of LDPE (0.0% of biomass).

기재 샘플 2:Base Sample 2:

LDPE 75부와 폴리젖산 수지(유니치카 주식회사의 상품명 「TERRAMAC(테라막) TP4000-CN」(바이오매스도 98.0%)을 사용했다. 이하, 샘플 3~10 및 샘플 12에서 동일) 20부와 상용화제로서의 관능기 변성 SEBC(JSR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XDH-0612」를 사용했다.) 5부를 2축 압출기에 투입해 혼련하고, 예 1과 동일하게 압출하여 필름상으로 성형했다. 이에 의해, 폴리머 성분이 실질적으로 LDPE 및 폴리젖산으로 이루어지고, 바이오매스도가 19.6%인 기재 샘플 2를 얻었다.75 parts of LDPE and 20 parts of a polylactic acid resin (trade name "TERRAMAC (Terraum) TP4000-CN" (biomass also 98.0%) of Unichica Corporation were used) 5 parts of a functional group-modified SEBC (trade name "XDH-0612"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was added to a twin-screw extruder, kneaded, and extrud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form a film. Thus, a base sample 2 having a polymer component substantially consisting of LDPE and polylactic acid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19.6% was obtained.

기재 샘플 3:Substrate Sample 3: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배합비(사용량 비)를 75:20에서 55:40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으로서 LDPE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며, 바이오매스도가 39.2%인 기재 샘플 3을 얻었다.Except that LDPE and polylactic acid were contained as the polymer components and the biomass ratio was 39.2%, in the same manner as in Sample 2, except that the blending ratio (ratio of the used amount) of the LDPE and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from 75:20 to 55:40. Sample 3 was obtained.

기재 샘플 4:Base Sample 4: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사용량 비를 50:45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고 하여, 폴리머 성분이 실질적으로 LDPE 및 폴리젖산으로 이루어지며, 바이오매스도가 44.1%인 기재 샘플 4를 얻었다.Same as Sample 2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amount of LDPE to tha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to 50:45. Thus, a base sample 4 having a polymer component substantially consisting of LDPE and polylactic acid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44.1% was obtained.

기재 샘플 5:Substrate Sample 5: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사용량 비를 47.5:47.5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으로서 LDPE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며, 바이오매스도가 46.6%인 기재 샘플 5를 얻었다.A base sample 5 containing LDPE and polylactic acid as a polymer component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46.6%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ample 2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amount of the LDPE to the amoun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to 47.5: 47.5.

기재 샘플 6:Substrate Sample 6: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사용량 비를 45:50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으로서 LDPE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며, 바이오매스도가 49.0%인 기재 샘플 6을 얻었다.Substrate Sample 6 containing LDPE and polylactic acid as the polymer component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49.0%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2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amount of LDPE to the amoun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to 45:50.

기재 샘플 7:Base Sample 7: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사용량 비를 40:55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으로서 LDPE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며, 바이오매스도가 53.9%인 기재 샘플 7을 얻었다.Substrate Sample 7 containing LDPE and polylactic acid as a polymer component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53.9%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2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amount of LDPE to the amoun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to 40:55.

기재 샘플 8:Substrate Sample 8: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사용량 비를 35:60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으로서 LDPE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며, 바이오매스도가 58.8%인 기재 샘플 8을 얻었다.Substrate Sample 8 containing LDPE and polylactic acid as a polymer component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58.8%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Sample 2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amount of LDPE to the amoun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to 35:60.

기재 샘플 9:Base Sample 9:

LDPE와 폴리젖산 수지의 사용량 비를 15:80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샘플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으로서 LDPE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며, 바이오매스도가 78.4%인 기재 샘플 9를 얻었다.Substrate Sample 9 containing LDPE and polylactic acid as a polymer component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78.4%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Sample 2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amount of LDPE to the amount of the polylactic acid resin was changed to 15:80.

기재 샘플 10:Substrate Sample 10:

폴리젖산 100부를 2축 압출기에 투입해 가열 용융시키고, 온도 약 200℃, 압력 약 5~10MPa의 조건으로 압출하여 두께 60㎛~80㎛의 필름상으로 성형했다. 이에 의해, 바이오매스도가 98.0%인 기재 샘플 10을 얻었다.100 parts of polylactic acid were put into a twin-screw extruder, heated and melted, and extruded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about 200 ° C and a pressure of about 5 to 10 MPa to form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μm to 80 μm. Thus, a base sample 10 having a biomass degree of 98.0% was obtained.

기재 샘플 11:Base Sample 11:

대조를 위해, 두께 50㎛의 순백지의 한면에 두께 20㎛의 폴리에틸렌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기재(합계 두께 70㎛의 PE 라미네이트지)를 준비했다.For comparison, a base material (PE laminate paper with a total thickness of 70 mu m)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laminated with a polyethylene film was prepared on one side of a pure white paper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점착 시트 샘플 1~11:Adhesive sheet samples 1 to 11:

상기 기재 샘플 1~11의 한쪽 표면(기재 샘플 11에서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핫멜트형의 점착제를 가열 용융 상태로 도포함으로써, 두께 약 20㎛의 균일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점착제로는 SIS(일본 제온 주식회사의 상품명 「퀸탁 3433N」)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이 베이스 폴리머 100부와 점착 부여 수지(도넨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 「에스코렛트 1310」) 100부와 프로세스 오일(재팬켐텍 주식회사의 상품명 「나이후렉스 222B」) 60부로 이루어지는 SIS계 점착제(이하, 이것을 점착제 A-1이라고 함)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기재 샘플에 대응하는 점착 시트 샘플 1~11을 제작했다.
A hot-melt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in a heated and melted state to on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Base Samples 1 to 11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olyethylene film was laminated in the base sample 11), thereby forming a uniform pressure- did. 100 parts of this base polymer and 100 parts of a tackifier resin (trade name " Escoreet 1310 " manufactured by Tonen Chemical Co., Ltd.) and a process oil (trade name: Japan Chemtech Co.,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sure-sensitive adhesive A-1) composed of 60 parts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rade name " NAFIREX 222B " Thus, the adhesive sheet samples 1 to 1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ase samples were produced.

<예 2:점착력 변화율 평가>≪ Example 2: Evaluation of rate of change of adhesive force &

초기 점착력:Initial adhesion:

상기에서 제작한 각 점착 시트 샘플을 23℃, RH 50%의 환경하에 1일간 유지했다. 그 후, 각 점착 시트 샘플로부터 25㎜ 폭의 단책상의 시험편을 2매 잘라내고(즉 n=2), 2㎏의 롤러를 1 왕복시켜 스테인리스(SUS:BA304) 판에 압착했다. 이것을 23℃에 30분간 유지시킨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해 JIS Z 0237에 준거하여 온도 23℃, RH 50%의 측정 환경에서 인장 속도 300㎜/분의 조건으로 180°당겨 벗겨 점착력(초기 점착력 F1)을 측정했다.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amples prepared above was kept at 23 캜 and 50% RH for 1 day. Thereafter, two pieces of test specimens of 25 mm width were cut out from 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amples (that is, n = 2), and a 2 kg roller was reciprocated one time and pressed onto a stainless steel (SUS: BA304) plate. After maintaining this at 23 占 폚 for 30 minutes, it was peeled off at 180 占 under the condition of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in a measuring environment of 23 占 폚 and 50% RH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using a tensile tester to obtain an adhesive force (initial adhesive force F1) .

시간 경과 후 점착력:Adhesion after time:

상기에서 제작한 각 점착 시트 샘플을 50℃의 건조기 내에 7일간 유지했다. 그 후, 각 점착 시트 샘플(시간 경과 후 샘플)로부터 25㎜ 폭의 단책상의 시험편을 2매 잘라냈다(즉 n=2). 이들 시험편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점착력과 동일하게 하여 180°당겨 벗겨 점착력(시간 경과 후 점착력 F2)을 측정했다.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amples prepared above was kept in a dryer at 50 캜 for 7 days. Thereafter, two sheets of test specimens of 25 mm width were cut out from each of the adhesive sheet samples (after elapse of time) (that is, n = 2). These test pieces were peeled off by 180 °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initial adhesive force to measure the adhesive force (adhesive force F2 after elapse of time).

점착력 변화율:Adhesive force change rate:

각 점착 시트 샘플에 대해, 상기에서 얻어진 초기 점착력 F1 및 시간 경과 후 점착력 F2를 다음 식:(F2-F1)/F1×100;에 대입하여 점착력 변화율(%)을 구했다.
For each of the adhesive sheet samples, the initial adhesive force F1 obtained above and the adhesive force F2 after elapse of time were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equation: (F2-F1) / F1 100;

점착 시트 샘플 1~10의 초기 점착력, 시간 경과 후 점착력 및 점착력 변화율을 각 점착 시트 샘플의 개략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샘플 10의 시간 경과 후 점착력에서 수치의 뒤에 붙인 기호 #는 측정시에 있어서 이 샘플이 기재 파괴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샘플 10은 실제로는 시간 경과 후에도 초기에 필적하는 높은 강도로 점착되어 있는 것이라고 추찰된다.Table 1 shows the initial adhesive force of adhesive sheet samples 1 to 10, the adhesive force after a lapse of time, and the rate of change of adhesive force, together with the schematic constitution of each adhesive sheet sample. Further, symbol # after the numerical value of the adhesive force after elapse of the sample 10 indicates that the base material of this sample is destroyed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ample 10 is actually adhered at a high intensity comparable to the initial value even after a lapse of time.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1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도 35% 이상의 PO/PLA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를 구비한 점착 시트 샘플 3~9는 모두 점착력 변화율이 ±15% 이내였다. 즉, 바이오매스도 35% 이상의 PO/PLA 수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점착력 변화율을 현저하게(샘플 1, 2의 반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amples 3 to 9 each having a base made of a PO / PLA resin material having a biomass of 35% or more also exhibited an adhesive force change rate of within ± 15%.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PO / PLA resin material having a biomass of 35% or more makes it possible to remarkably decrease the rate of change of adhesive force (half of the sample 1 or 2).

<예 3:기재 치수 변화 시험>≪ Example 3: Substrate size change test &

기재 샘플 1~11을 기재의 압출 방향에 따르는 길이가 200㎜가 되도록 절단해 시험편을 제작했다. 이들 시험편에 대해, 절단 직후의 길이(초기 길이 B1)와 50℃의 건조기 내에 7일간 보존한 후의 길이(시간 경과 후 길이 B2)를 측정했다. 얻어진 측정 결과를 다음 식:(B2-B1)/B1×100;에 대입하여 기재 샘플의 치수 변화율 D1(%)을 산출했다.Base samples 1 to 11 were cut so that the length along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was 200 mm to prepare test pieces. For these test pieces, the length (initial length B1) immediately after cutting and the length (length B2 after elapse of time) after being stored in a dryer at 50 캜 for 7 days were measured. The obtained measurement result was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formula: (B2-B1) / B1 * 100;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D1 (%) of the base sample was calculated.

또, 점착 시트 샘플 1~11을 기재의 압출 방향에 따르는 길이가 200㎜가 되도록 절단해 시험편을 제작하고, 절단 직후의 길이(초기 길이 C1)와 50℃의 건조기 내에 7일간 보존한 후의 길이(시간 경과 후 길이 C2)를 측정했다. 얻어진 측정 결과를 다음 식:(C2-C1)/C1×100;에 대입하여 점착 시트 샘플의 치수 변화율 D2(%)를 산출했다.The adhesive sheet samples 1 to 11 were cut so that the length along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substrate was 200 mm to prepare test pieces. The length (initial length C1) immediately after cutting and the length after 7 days of storage in a dryer at 50 占 폚 And the length C2 after the passage of time was measured. The obtained measurement result was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formula: (C2-C1) / C1 100;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D2 (%)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ample was calculated.

그리고, 기재 단독으로의 치수 변화율 D1과 이 기재에 점착제층을 마련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의 치수 변화율 D2의 차이 (D2-D1)에 의해, 점착제층의 형성이 치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The influence of the form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dimensional change rate was evaluated by the difference (D2-D1) between the dimensional change rate D1 of the substrate alone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D2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pressure-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예 4:기재의 ≪ Example 4: 코시Kosi 힘 평가> Strength evaluation>

기재 샘플 1~11의 코시의 힘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즉, 각 기재 샘플을 폭(TD) 20㎜, 길이(압출 방향, 즉 MD의 길이)가 64㎜가 되도록 재단해, 이것을 말아 직경 20㎜, 폭 20㎜의 링을 형성했다. 그 링을 지름 방향으로 10㎜/분의 속도로 원형으로부터 평면상이 될 때까지 눌러 납작하게 하여 이때의 최대 강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The strength of Kosi of Base Samples 1 to 11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each substrate sample was cut so that the width (TD) was 20 mm and the length (length in the extrusion direction, i.e., MD) was 64 mm, and a ring of 20 mm in diameter and 20 mm in width was formed. The ring was flattened from the circular shape at a speed of 10 mm / min in the radial direction until it became flat, and the maximum strength at that time was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2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도가 40% 이상인 샘플 4~9는 모두 점착제층의 형성에 따른 치수 변화율의 차이가 ±0.3% 이내였다. 즉, 바이오매스도 40% 이상의 PO/PLA 수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치수 변화율의 차이를 현저하게(샘플 1~3의 반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치수 변화율 차는 PE 라미네이트지(샘플 11)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뛰어난 수준이다. 바이오매스도가 45% 이상인 샘플 5~9에서는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 바이오매스도가 40% 이상 80% 이하인 기재 샘플 4~9는 모두 PE 라미네이트지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두께의 차이가 ±10㎛ 이내)에 있어서, PE 라미네이트지와의 코시 힘의 차이가 ±50% 이내였다. 또한, 기재 샘플 1, 10은 투명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기재 샘플 2~9는 모두 백탁하고 있으며, 종이를 닮은 외관 및 감촉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바이오매스도가 40% 이상 7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기재 샘플 4~8은 특히 감촉이 양호(PE 라미네이트지에 가까운 감촉)했다.
As shown in Table 2, samples 4 to 9 having a biomass degree of 40% or more had a difference in dimensional change ratio within ± 0.3%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by using the PO / PLA resin material having a biomass of 40% or more,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can be remarkably reduced (half of the samples 1 to 3). This difference in dimensional change is excellent compared to PE laminate paper (Sample 11). Particularly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Samples 5 to 9 in which the biomass degree was 45% or more. Base samples 4 to 9 having a biomass degree of 40% or more and 80% or less were all of the same thickness as the PE laminate paper (within ± 10 μm in thickness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of the cohesive force with the PE laminate paper was ± 50%. Further, in contrast to the substrate samples 1 and 10 which were transparent, all of the substrate samples 2 to 9 were opaque, and the appearance and feel of the substrate resembled paper. Base samples 4 to 8, in which the biomass degree was in the range of 40% or more and 70% or less, were particularly good in texture (feeling similar to PE laminated paper).

<예 5:점착 시트 샘플의 제작>≪ Example 5: Production of adhesive sheet sample &

기재 샘플 12:Base Sample 12:

LDPE 35부와 기재 샘플 2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젖산 수지 60부와 기재 샘플 2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상용화제 5부를 2축 압출기에 투입해 가열 용융시키고, 온도 약 200℃, 압력 약 5~10MPa의 조건으로 압출하여 두께 60㎛~80㎛의 필름상으로 성형했다. 이에 의해, 폴리머 성분이 LDPE 및 폴리젖산 수지로 이루어지고, 바이오매스도가 58.8%인 기재 샘플 12를 얻었다.35 parts of LDPE and 60 parts of the same polylactic acid resin as used for the base material sample 2 and 5 parts of the same compatibilizing agent as used for the base material sample 2 were charged into a twin-screw extruder and heated and melted.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about 200 ° C and a pressure of about 5 to 10 MPa To form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mu m to 80 mu m. Thus, a base sample 12 having a polymer component composed of LDPE and a polylactic acid resin and having a biomass degree of 58.8% was obtained.

기재 샘플 13:Base sample 13:

사용하는 폴리젖산 수지를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 「LACEA(레이시아) H-400」(바이오매스도 100%)로 변경했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샘플 1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이 LDPE 및 폴리젖산으로 이루어지고, 바이오매스도가 60.0%인 기재 샘플 13을 얻었다.The polylactic acid resin to be used was changed to "LACEA H-400" (100% of biomass) by Mitsui Chemicals, Inc. With respect to the other points,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12, a base sample 13 in which the polymer component was composed of LDPE and polylactic acid and the biomass degree was 60.0% was obtained.

기재 샘플 14:Substrate Sample 14:

사용하는 폴리젖산 수지를 절강해정생물재료사의 상품명 「REVODE(레보더) 101」(바이오매스도 100%)로 변경했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샘플 1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머 성분이 LDPE 및 폴리젖산으로 이루어지고, 바이오매스도가 60.0%인 기재 샘플 14를 얻었다.The poly lactic acid resin used was changed to REVODE 101 (biomass, 100%), trade name of Zhejiang Haidian Biomaterials Co., Ltd. With respect to the other points,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12, the base material sample 14 in which the polymer component was composed of LDPE and polylactic acid and the biomass degree was 60.0% was obtained.

점착 시트 샘플 12~14:Adhesive Sheet Samples 12-14:

상기 기재 샘플 12~14의 한쪽 표면에 핫멜트형의 점착제를 가열 용융 상태로 도포함으로써 두께 약 20㎛의 균일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점착제로는 SIS(일본 제온 주식회사의 상품명 「퀸탁 3450」)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이 베이스 폴리머 100부와 점착 부여 수지(도넨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 「에스코렛트 1310」) 100부와 프로세스 오일(재팬켐텍 주식회사의 상품명 「나이후렉스 222B」) 60부로 이루어진 SIS계 점착제(이하, 이것을 점착제 A-2라고 함)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기재 샘플에 대응하는 점착 시트 샘플 12~14를 제작했다.
A hot-melt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each of the base samples 12 to 14 in a heated and melted state to form a unifor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占 퐉. 100 parts of this base polymer and 100 parts of an adhesion-imparting resin (trade name " Escoreet 1310 " of Donen Chemical Co., Ltd.) and a process oil (trade name: Japan Chemtech Co.,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2) consisting of 60 parts of a thermosetting resin (trade name " NAFIREX 222B " In this way, the adhesive sheet samples 12 to 14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ase samples were produced.

<예 6:점착력 변화율 평가>≪ Example 6: Evaluation of rate of change of adhesive force &

점착 시트 샘플 12~14에 대해, 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초기 점착력, 시간 경과 후 점착력 및 점착력 변화율을 구했다. 그 결과를 각 점착 시트 샘플의 개략 구성과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The initial adhesive force, the adhesive force after a lapse of time, and the rate of change in adhesive force were determined for the adhesive sheet samples 12 to 14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together with the schematic constitution of each adhesive sheet sample.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3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도 35% 이상의 PO/PLA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를 구비한 점착 시트 샘플 12~14는 폴리젖산의 종류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두 점착력 변화율이 ±15% 이내였다. 즉, 바이오매스도 35% 이상의 PO/PLA 수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점착력 변화율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amples 12 to 14 each having a base made of a PO / PLA resin material having a biomass of 35% or more showed a change in adhesive force within 15% regardless of the type of polylactic acid .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by using PO / PLA resin material of 35% or more in biomass, the rate of change of adhesive force can be remarkably reduced.

<예 7:기재 치수 변화 시험>≪ Example 7: Substrate size change test &

기재 샘플 12~14에 대해, 예 3과 동일한 기재 치수 변화 시험을 실시해 점착제층의 형성이 치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Substrate Samples 12 to 14 were subjected to the same dimensional change test as in Example 3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form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dimensional change ratio.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예 8:기재의 ≪ Example 8: 코시Kosi 힘 평가> Strength evaluation>

기재 샘플 12~14에 대해, 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코시 힘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Coating force was measured for Base Samples 12 to 14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4
Figure 112012009617932-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도가 40% 이상인 샘플 12~14는 모두 점착제층의 형성에 따른 치수 변화율의 차이가 ±0.5% 이내이며, 상기 치수 변화율의 차이를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기재 샘플 12~14는 모두 PE 라미네이트지(샘플 11)와의 코시 힘의 차이가 ±50% 이내였다. 또, 기재 샘플 12~14는 모두 백탁하고 있으며, 종이를 닮은 양호한 외관 및 감촉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As shown in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ples 12 to 14 having a biomass degree of 40% or more were all within ± 0.5% in the dimensional change rat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dimensional change rate could be suppressed to a high degree . In addition, the base samples 12 to 14 were all within ± 50% of the cohesive force difference with the PE laminate paper (sample 11). The base samples 12 to 14 were all opaque and showed good appearance and texture similar to paper.

1, 2, 5, 6 점착 시트
10 기재
21, 22 점착제층
31, 32 박리 라이너
60 점착 시트 롤
62 점착 시트
70 기재
82 점착제층
1, 2, 5, 6 adhesive sheet
10 substrate
21, 2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1, 32 peeling liner
60 Adhesive sheet roll
62 adhesive sheet
70 substrate
8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laims (6)

시트상의 기재와 이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이며,
상기 기재 중, 적어도 상기 점착제층이 마련되는 위치의 표면 부분은 폴리올레핀 및 폴리젖산을 포함하고, 바이오매스도가 35% 이상 100% 미만인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지 재료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및 상기 폴리젖산의 합계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수지 재료에 포함된 폴리머 성분 중 50% 이상이며,
상기 고무계 폴리머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폴리이소부틸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점착 시트.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 sheet-like base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rubber-based polymer as a base polymer,
Wherein at least a surface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containing polyolefin and polylactic acid and having a biomass of not less than 35% and less than 100%
The proportion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and the polylactic acid in the resin material is 50% or more of the polyme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resin material,
Wherein the rubber-based polymer is at least one adhes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polyisobutylene,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and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he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의 바이오매스도가 40% 이상 80% 이하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mass of the resin material is 40% or more and 80% or les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yolefin is polyethylen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as a base polym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점착 시트를 롤상으로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obtained by wi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roll for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상기 기재의 적어도 외측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방향으로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고, 최외주에 노출된 상기 점착제층을 피처리면에 누르면서 이 피처리면 상을 구르게 하여 이용되는 점착 시트 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s rolled in a roll shape in a direction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on at least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is rolled on the surface to be treated while press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expos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KR1020127003228A 2009-07-23 2010-06-01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7141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1886 2009-07-23
JP2009171886 2009-07-23
PCT/JP2010/059276 WO2011010507A1 (en) 2009-07-23 2010-06-01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001A KR20120039001A (en) 2012-04-24
KR101714105B1 true KR101714105B1 (en) 2017-03-08

Family

ID=4349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228A KR101714105B1 (en) 2009-07-23 2010-06-01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95398B2 (en)
KR (1) KR101714105B1 (en)
CN (1) CN102482537B (en)
WO (1) WO20110105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0539B2 (en) * 2013-01-25 2017-03-22 株式会社ニトムズ Adhesive cleaner for organic dirt removal
CN105517478B (en) * 2013-09-04 2019-05-07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Bond cleaner
JP6556055B2 (en) * 2013-10-15 2019-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CN105754525B (en) * 2016-04-11 2017-10-31 昆山臻睿电子有限公司 A kind of dust rubber tire and its manufacture method
JP2020152853A (en) * 2019-03-22 2020-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KR102509609B1 (en) * 2019-12-23 2023-03-14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Eco-friendly recyclable self-adhesive protection film
JP7406194B2 (en) 2020-01-21 2023-12-27 谷口産業株式会社 How to install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weed control she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847A (en) 1999-05-17 2000-11-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Resin composition
JP2008266404A (en) 2007-04-18 2008-11-06 Lintec Corp Adhesive sheet for label 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127B2 (en) 1987-06-26 1996-07-31 勇藏 森 Strain-free precision processing method by radical reaction
JP3666172B2 (en) * 1997-03-17 2005-06-29 東レ株式会社 Naturally decomposa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JP4807481B2 (en) * 1999-05-27 2011-11-02 吉野化成株式会社 Adhesive sheet or tape with identification
JP3908876B2 (en) 1999-07-23 2007-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Base film for adhesive tape and adhesive tape or sheet
JP2004034631A (en) * 2002-07-08 2004-02-05 Nitto Denko Corp Surface protection film for optical film
GB0302935D0 (en) * 2003-02-10 2003-03-12 Ucb Sa Labels
JP2005002269A (en) * 2003-06-13 2005-01-06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05307124A (en) * 2004-04-26 2005-11-04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Adhesive tape
US7744975B2 (en) * 2004-07-02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aminant removal tape roll with sheet removal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987312B2 (en) * 2005-02-04 2012-07-25 三井化学株式会社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4834377B2 (en) 2005-10-31 2011-12-14 株式会社ニトムズ Adhesive tape roll
CN101316708B (en) * 2005-11-30 2012-08-22 三菱树脂株式会社 Thermally shrinkable polyolefin film, molded article using the film, thermally shrinkable label, and container
EP2267091A1 (en) * 2008-03-26 2010-12-29 Lintec Corporation Adhesive 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847A (en) 1999-05-17 2000-11-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Resin composition
JP2008266404A (en) 2007-04-18 2008-11-06 Lintec Corp Adhesive sheet for label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2537A (en) 2012-05-30
CN102482537B (en) 2014-02-26
JP5595398B2 (en) 2014-09-24
WO2011010507A1 (en) 2011-01-27
JPWO2011010507A1 (en) 2012-12-27
KR20120039001A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105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2532243C (en) Adhesive product and transferring instrument
JP3908876B2 (en) Base film for adhesive tape and adhesive tape or sheet
JP6097005B2 (en) Easy tear label
US20080087370A1 (en) Splicing Tape
JP5328557B2 (en) Laminated film for surface protection
JP2015518514A (en) Packaging tape
EP2574649A2 (en) Tape comprising recycled paper
JP2011510143A (en) Support film especially for adhesive tape and use thereof
JP2009030057A (en) Tear propagation-resistant adhesive tape
JP2007131846A (en) Adhesive tape with tear propagation resistance
JP6004479B2 (en) Film for connecting adhesive tape and carrier tape
JP7166798B2 (en) Adhesive tape
JP2018154052A (en) Molding mat
KR102033651B1 (en) Multilayer adhesive bonding element
WO1997006947A1 (en) Packing material, base material for adhesive tape, or separator
JP2011016859A (en) Sheet-shaped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having the same
JP6218513B2 (en) Base film for emergency bandage and emergency bandage
JP5948912B2 (en) Easily tearable embossed film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JP5771380B2 (en) Co-extrud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
JP2015182342A (en) Sealant film for cover tape and cover tape
JP2010006927A (en) Surface protective film
JP2017016151A (en) Easy-to-tear label
WO2021230313A1 (en) Double-sided adhesive film
JP2011016860A (en) Sheet-shaped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