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72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723B1
KR101711723B1 KR1020150027926A KR20150027926A KR101711723B1 KR 101711723 B1 KR101711723 B1 KR 101711723B1 KR 1020150027926 A KR1020150027926 A KR 1020150027926A KR 20150027926 A KR20150027926 A KR 20150027926A KR 101711723 B1 KR101711723 B1 KR 10171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ontacts
viewed
width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745A (ko
Inventor
시게하루 아오키
다카시 도쿠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송 경로를 짧게 함과 함께, 인접하는 콘택트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고속 신호의 양호한 전송을 실현하는 커넥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에, 상대측 커넥터의 수용 방향에 직교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제 2 하우징이 장착된다. 각 콘택트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접촉부 및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갖는다. 제 2 및 제 1 하우징은 접촉부 및 접속부를 각각 유지한다. 수용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치수 A 와 수용 방향과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치수 B 는, 예를 들어 A > B 로 설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8,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 (910) 에 대해 끼워 맞출 수 있는 잭형 커넥터 (930A) 가 알려져 있다 (2010-272320호 공보 참조). 커넥터 (930A) 는 커넥터 (910) 와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이다.
커넥터 (930A) 는 콘택트 (931A) 와, 콘택트 (931A) 를 지지하는 본체 (932A)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932A) 는, 커넥터 (910) 의 본체 (912) 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 통형상의 끼워 맞춤부 (933A) 와, 끼워 맞춤부 (933A) 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사각 통형상의 통형상부 (951) 을 갖는다.
콘택트 (931A) 는, 커넥터 (910) 의 콘택트 (911) 에 접속되는 접속부 (936A) 와, 회로 기판 상의 도체에 납땜되는 리드부 (937) 와, 접속부 (936A) 와 리드부 (937) 의 사이에서 Y1-Y2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신축부 (954) 를 갖는다. 신축부 (954) 는 대략 N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2 개의 되접힘 부분을 갖는다.
신축부 (954) 의 일단부는 끼워 맞춤부 (933A) 에 유지되고, 신축부 (954) 의 타단부는 통형상부 (951) 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신축부 (954) 가 Y1-Y2 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끼워 맞춤부 (933A) 가 통형상부 (951) 에 대해 Y1-Y2 방향으로 상대 변위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 (910) 와 커넥터 (930A) 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 (930A) 를 설계 변경함으로써, 신축부 (954) 가 X1-X2 방향으로 신축되어 끼워 맞춤부 (933A) 가 통형상부 (951) 에 대해 X1-X2 방향으로 상대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커넥터 (910) 와 커넥터 (930A) 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끼워 맞춤부 (933A) 가 통형상부 (951) 에 대해 X1-X2 방향으로 상대 변위되었을 때, 인접하는 콘택트 (931A) 로부터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워 고속 신호를 전송하기 어려워진다.
또, 신축부 (954) 는 대략 N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송 경로가 길기 때문에, 전기 특성이 나빠서 고속 신호를 전송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전송 경로를 짧게 함과 함께, 인접하는 콘택트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고속 신호의 양호한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접속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수용 방향과 직교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갖고, 각 콘택트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수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A 로 하고, 상기 수용 방향과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B 로 했을 때, A > B 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A 는 B 의 약 2 배 이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접속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수용 방향과 직교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갖고, 각 콘택트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수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A 로 하고, 상기 수용 방향과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B 로 했을 때, A < B 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A 는 B 의 약 1/2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가,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에 연속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직선부의 타단에 연속되는 제 2 만곡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의 폭 치수가 상기 접촉부의 폭 치수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방향이 적어도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이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가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2 열로 나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경로를 짧게 함과 함께, 인접하는 콘택트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고속 신호의 양호한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밝혀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나타내는 V-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단, 콘택트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도 6 은 도 4 에 나타내는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4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제 2 하우징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에 나타내는 XIII-X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2 에 나타내는 XIV-X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종래의 커넥터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커넥터에 다른 커넥터를 끼워 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고속 전송용 커넥터이고, 하우징 (30) 과, 하우징 (30) 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 (50) 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 (50) 는 콘택트 배열 방향 (콘택트의 배열 방향) (DC) 을 따라 2 열로 나열되어 있다.
하우징 (30) 은, 도시되지 않은 프린트 기판 (접속 대상물) 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31) 과, 상대측 커넥터 (도시하지 않음) 를 수용할 수 있고, 상대측 커넥터의 수용 방향 (DI) 에 직교하는 이동 방향 (DR) (이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 배열 방향 (DC) 및 후술하는 전후 방향 (DF) 의 양 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게 제 1 하우징 (31) 에 장착된 제 2 하우징 (32) 을 갖는다. 이 「직교」에는, 엄밀한 의미로 직각으로 교차된다고는 할 수 없는 교차도 포함된다. 제 1 하우징 (31) 과 제 2 하우징 (32) 은 모두 절연성 수지제이다.
도 3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31) 은 사각 통형상으로, 수용 공간 (31A) 을 갖는다. 제 1 하우징 (31) 내벽면의 상대되는 2 면에는, 각각 콘택트의 배열 방향 (DC) 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 (31B)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31B) 의 상단은 제 1 하우징 (31) 의 상면에 도달하고, 오목부 (31B) 의 하단은 제 1 하우징 (31) 의 하면에 도달한다. 또, 2 개의 오목부 (31B) 의 상대되는 면에는,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을 따라 복수의 압입 홈 (31C) 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31) 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홈 (31D)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 (31D) 은 각각 압입 홈 (31C) 에 통하고 있다.
제 1 하우징 (31) 의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의 일단부의 내부 바닥면에는 수용 오목부 (31E) 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 (31) 의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의 타 단부의 내부 바닥면에는 수용 오목부 (31F)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31E) 의 깊이는 수용 오목부 (31F) 의 깊이보다 깊다. 또, 제 1 하우징 (31) 의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의 양 단부의 바닥면에는 압입 구멍 (31G)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 참조). 각 압입 구멍 (31G) 에는 홀드 다운 (33) 이 압입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31) 의 바닥면의 대각 위치에는 돌기부 (31H, 31I)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31H, 31I) 는 제 1 하우징 (31) 을 프린트 기판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돌기부이다.
제 2 하우징 (32) 은 삽입부 (32A) 와 끼워 맞춤부 (32B) 를 갖는다. 삽입부 (32A) 는 측벽부 (32C) 와 측벽부 (32D) 와 격벽부 (32E) 와 돌출부 (32F) 와 돌출부 (32G) 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 (32C) 는 사각 통형상이고, 공동 (空洞) (32H) 을 갖는다. 측벽부 (32D) 는 사각 통형상이고, 공동 (32I) 을 갖는다. 콘택트 배열 방향 (DC) 에 있어서, 측벽부 (32C) 와 측벽부 (32D) 는 대향한다. 격벽부 (32E) 는 판형상이고, 측벽부 (32C) 와 측벽부 (32D) 사이의 공간을 2 개로 구획한다. 돌출부 (32F) 는 측벽부 (32C) 의 하부로부터 콘택트 배열 방향 (DC) 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32F) 의 두께는 수용 오목부 (31E) 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다. 돌출부 (32G) 는 측벽부 (32D) 의 하부로부터 콘택트 배열 방향 (DC) 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32G) 의 두께는 수용 오목부 (31F) 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다. 돌출부 (32F) 는 이동 방향 (DR) 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 오목부 (31E) 에 수용되고, 돌출부 (32G) 는 이동 방향 (DR) 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 오목부 (31F) 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1) 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후, 돌출부 (32F) 및 돌출부 (32G) 는 이동 방향 (DR) 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제 2 하우징 (32) 을 상방 (수용 방향 (DI) 과 반대 방향) 으로 잡아 당겨도 제 2 하우징 (32) 은 제 1 하우징 (31) 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 제 2 하우징 (32) 을 콘택트 배열 방향 (DC) 에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시키려 해도, 제 2 하우징 (32) 은 거의 회전하지 않는다.
끼워 맞춤부 (32B) 는 바닥면부를 갖는 사각 통형상이다. 끼워 맞춤부 (32B) 의 바닥부가 삽입부 (32A) 의 상부에 연속된다. 끼워 맞춤부 (32B) 는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32J) 을 갖는다. 끼워 맞춤부 (32B) 의 내벽면의 상대되는 2 면에는, 각각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을 따라 복수의 홈 (32K) 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 (32K) 은 수용 방향 (DI) 으로 연장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 (32B) 의 바닥면부에는 복수의 압입 구멍 (32L)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압입 구멍 (32L) 은 각각 수용 방향 (DI) 으로 연장되어 홈 (32K) 에 통하고 있다.
도 1 ∼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 (50) 는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을 따라 소정 간격 (이 실시형태에서는 등간격) 으로 나열되어 있다. 콘택트 (50) 는, 금속 판을 소정 형상으로 타발 (打拔) 한 후, 그 타발한 것을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도 8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50) 는 접촉부 (51) 와 접속부 (52) 와 연결부 (53) 를 갖는다. 접촉부 (51) 는 접촉부 본체 (51A) 와 압입부 (51B) 를 갖는다. 접촉부 본체 (51A) 는 끼워 맞춤부 (32B) 의 홈 (32K) 에 배치되고, 제 2 하우징 (32) 의 수용 공간 (32J) 에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된다. 압입부 (51B) 는 접촉부 본체 (51A) 에 연속된다. 압입부 (51B) 는 돌기부 (51C) 를 갖는다. 압입부 (51B) 가 제 2 하우징 (32) 의 끼워 맞춤부 (32B) 의 압입 구멍 (32L) 에 압입됨으로써, 콘택트 (50) 는 제 2 하우징 (32) 에 유지된다 (도 5 참조).
접속부 (52) 는 접속부 본체 (52A) 와 압입부 (52B) 를 갖는다. 접속부 본체 (52A) 는 대략 크랭크 형상이고, 접속부 본체 (52A) 의 일부분이 제 1 하우징 (31) 의 홈 (31D) 에 배치되고, 접속부 본체 (52A) 의 나머지 부분이 제 1 하우징 (31)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다. 압입부 (52B) 는 접속부 본체 (52A) 에 연속된다. 압입부 (52B) 의 일부분이 제 1 하우징 (31) 의 압입 홈 (31C) 에 압입됨으로써, 콘택트 (50) 는 제 1 하우징 (31) 에 유지된다 (도 5 참조).
연결부 (53) 는 대략 S 자형이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접촉부 (51) 와 접속부 (52) 를 연결시킨다. 연결부 (53) 는 직선부 (53A) 와 제 1 만곡부 (53B) 와 제 2 만곡부 (53C) 를 갖는다. 직선부 (53A) 는 수용 방향 (DI) 에 대해 약간 경사져 있다 (도 5, 도 9 참조). 제 1 만곡부 (53B) 는 직선부 (53A) 의 일단으로부터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되어 접촉부 (51) 의 압입부 (51B) 에 연속된다. 제 2 만곡부 (53C) 는 직선부 (53A) 의 타단으로부터 제 1 만곡부 (53B) 와 반대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되어 접속부 (52) 의 압입부 (52B) 에 연속된다. 또한, 연결부 (53) 의 형상으로는 대략 S 자형 이외에 대략 Z 자형 등의 여러 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커넥터 (1) 와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 콘택트 (50) 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 (도 9 참조) 에 있어서, 수용 방향 (DI) 에 있어서의 연결부 (53) 의 치수를 A 로 하고, 수용 방향 (DI) 과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 (직교 방향) (DF) 에 있어서의 연결부 (53) 의 치수를 B 로 했을 때, 치수 A 는 치수 B 보다 크다. 치수 A 는 치수 B 의 약 2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A 는 치수 B 의 약 7 배이다.
연결부 (53) 의 직선부 (53A) 중앙부의 폭 치수 (D) 는 직선부 (53A) 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다.
연결부 (53) 의 직선부 (53A) 의 양 단부의 폭 치수 (C) 는 접촉부 (51) 의 접촉부 본체 (51A) 의 폭 치수 (E) 보다 크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조립 수순에 대해서 도 5, 도 6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캐리어 (도시하지 않음) 에 연속된 상태의 홀드 다운 (33) 을 제 1 하우징 (31) 의 압입 구멍 (31G) 에 압입한다.
다음으로, 홀드 다운 (33) 으로부터 캐리어를 분리한다.
그 후, 제 1 하우징 (31) 의 수용 공간 (31A) 에 제 2 하우징 (32) 을 삽입한다. 이 때, 제 2 하우징 (32) 의 돌출부 (32F) 를 제 1 하우징 (31) 의 수용 오목부 (31E) 에, 제 2 하우징 (32) 의 돌출부 (32G) 를 제 1 하우징 (31) 의 수용 오목부 (31F) 에 각각 삽입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콘택트 (50) 의 압입부 (51B) 를 제 2 하우징 (32) 의 압입 구멍 (32L) 에, 복수의 콘택트 (50) 의 압입부 (52B) 를 제 1 하우징 (31) 의 압입 홈 (31C) 에 각각 압입한다. 이 때, 복수의 콘택트 (50) 는 캐리어 (도시하지 않음) 에 연속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콘택트 (50) 로부터 캐리어를 분리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커넥터 (1) 와 상대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 예를 들어 커넥터 (1) 와 상대측 커넥터의 위치가 콘택트 배열 방향 (DC) 및 전후 방향 (DF) 의 양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도 11 ∼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제 2 하우징 (32) 이 제 1 하우징 (31) 에 대해 콘택트 배열 방향 (DC) 및 전후 방향 (DF) 의 양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커넥터 (1) 와 상대측 커넥터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일방 열의 콘택트 (50) (도 13 의 우측 열의 콘택트 (50)) 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 (1) 와 상대측 커넥터를 끼워 맞추기 전,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50) 의 연결부 (53) 의 제 1 만곡부 (53B) 와 제 2 만곡부 (53C) 는 수용 방향 (DI) 에서 대향하고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 (50) 는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을 따라 등간격으로 나열되고, 콘택트 (50) 를 전후 방향 (DF) 으로부터 보았을 때, 콘택트 (50) 의 연결부 (53) 의 직선부 (53A) 는 수용 방향 (DI) 에 평행하다.
커넥터 (1) 와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고, 제 2 하우징 (32) 이 콘택트 배열 방향 (DC) 으로 콘택트 (50) 의 1 피치분만큼 이동하면, 도 14,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50) 의 연결부 (53) 의 직선부 (53A) 가 수용 방향 (DI) 에 대해 경사지고, 콘택트 (50) 의 제 1 만곡부 (53B) 와, 콘택트 배열 방향 (DC) 에서 인접하는 다른 콘택트 (50) 의 제 2 만곡부 (53C) 가 수용 방향 (DI) 에서 대향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B 는 치수 A 의 약 1/7, 즉 치수 A 와 치수 B 의 차이가 가능한 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수용 방향 (DI) 에서 대향하는 제 1 만곡부 (53B) 및 제 2 만곡부 (53C) 의 전후 방향 (DF) 에 있어서의 길이는 모두 짧고, 또한 일방의 콘택트 (50) 의 제 1 만곡부 (53B) 와, 인접하는 타방의 콘택트 (50) 의 제 2 만곡부 (53C) 의 수용 방향 (DI) 에 있어서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일방의 콘택트 (50) 는 타방의 콘택트 (50) 로부터 전기적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타방 열의 콘택트 (50) (도 13 의 좌측 열의 콘택트 (50)) 에 있어서는, 제 2 하우징 (32) 이동시, 콘택트 (50) 의 제 1 만곡부 (53B) 와, 콘택트 배열 방향 (DC) 에서 인접하는 다른 콘택트 (50) 의 제 2 만곡부 (53C) 가 수용 방향 (DI) 에서 대향하지 않고, 또한 수용 방향 (DI) 에 있어서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타방의 콘택트 (50) 는 인접하는 타방의 콘택트 (50) 로부터 전기적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하우징 (32) 이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이나 전후 방향 (DF) 으로 이동했을 때, 콘택트 (50) 가 콘택트 배열 방향 (DC) 에서 인접하는 다른 콘택트 (50) 로부터 전기적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고속 신호의 양호한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B 를 치수 A 의 약 1/7 로 하였으므로, 종래의 커넥터 (도 18, 도 19 참조) 의 전송 경로에 비해 전송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의 전기 특성이 양호해져 고속 신호의 양호한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53) 의 직선부 (53A) 중앙부의 폭 치수 (D) 를 직선부 (53A) 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하였으므로, 연결부 (53) 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제 1 만곡부 (53B) 와 제 2 만곡부 (53C) 에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연결부 (53) 의 직선부 (53A) 의 양 단부의 폭 치수 (C) 를 접촉부 (51) 의 접촉부 본체 (51A) 의 폭 치수 (E) 보다 크게 하여 전기 특성을 합칠 수 있으므로, 고속 전송용의 커넥터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의 제 2 하우징 (32) 이 제 1 하우징 (31) 에 대해 콘택트 배열 방향 (DC) 및 전후 방향 (DF) 의 양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했지만, 제 2 하우징 (32) 이 제 1 하우징 (31) 에 대해 적어도 콘택트 배열 방향 (DC) 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16, 도 17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커넥터는, 하우징 (30) 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우징 (도시하지 않음) 과, 그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 (25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콘택트 (250) 의 연결부 (253) 는 알파벳의 N 이라는 문자를 상기시키는 형상이다.
연결부 (253) 는 직선부 (253A) 와 제 1 만곡부 (253B) 와 제 2 만곡부 (253C) 를 갖는다. 제 1 만곡부 (253B) 는 직선부 (253A) 의 일단으로부터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되어 접촉부 (51) 의 압입부 (51B) 에 연속된다. 제 2 만곡부 (253C) 는 직선부 (253A) 의 타단으로부터 제 1 만곡부 (253B) 와 반대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되어 접속부 (52) 의 압입부 (52B) 에 연속된다.
콘택트 (250) 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 (도 16 참조) 에 있어서, 수용 방향 (DI) 에 있어서의 연결부 (253) 의 치수 A 는, 전후 방향 (DF) 에 있어서의 연결부 (253) 의 치수 B 보다 작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A 는 치수 B 의 약 1/2 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A 를 치수 B 의 약 7 배로 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A 를 치수 B 의 약 1/2 로 했지만, 치수 A 와 치수 B 의 비율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콘택트 (50) 가 수용 방향 (DI) 에 있어서 대향하는 부분을 갖는 커넥터에서는, 치수 A 를 치수 B 보다 크게 하면 되고,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콘택트 (50) 가 전후 방향 (DF) 에 있어서 대향하는 부분을 갖는 커넥터에서는, 치수 A 를 치수 B 보다 작게 하면 된다.
또, 조작력을 저감시키거나 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연결부 (53, 253) 의 직선부 (53A, 253A) 중앙부의 폭 치수 (D) 를 작게 할 필요는 없고, 직선부 (53A, 253A) 의 중앙부의 폭 치수 (D) 는 직선부 (53A, 253A) 의 양 단부의 폭 치수 (C) 와 동일 폭이어도 된다. 즉, 직선부 (53A, 253A) 의 폭은 일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 (50, 250) 를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을 따라 2 열로 나열했지만, 콘택트 (50, 250) 를 콘택트 배열 방향 (DC) 을 따라 1 열로 나열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를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서술했지만, 비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접속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수용 방향과 직교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갖고,
    각 콘택트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수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A 로 하고, 상기 수용 방향과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B 로 했을 때, A > B 이고,
    상기 연결부는 S 자형이고,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에 연속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직선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부에 연속되는 제 2 만곡부를 갖고, 상기 제 1 만곡부와 상기 제 2 만곡부는 상기 수용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A 는 B 의 2 배 이상인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은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은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폭 치수보다 큰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폭 치수보다 큰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이 적어도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인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2 열로 나열되어 있는 커넥터.
  9.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접속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수용 방향과 직교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갖고,
    각 콘택트는,
    상기 제 2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에 유지되며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수용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A 로 하고, 상기 수용 방향과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치수를 B 로 했을 때, A < B 이고,
    상기 연결부는 N 자형이고,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에 연속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직선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부에 연속되는 제 2 만곡부를 갖고,
    상기 제 1 만곡부 및 그것에 연속되는 상기 접촉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만곡부 및 그것에 연속되는 상기 접속부의 일단부가, 상기 직교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A 는 B 의 1/2 이하인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은 커넥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중앙부 이외의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은 커넥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폭 치수보다 큰 커넥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의 폭 치수가 상기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접촉부의 폭 치수보다 큰 커넥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이 적어도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인 커넥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가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2 열로 나열되어 있는 커넥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27926A 2014-03-18 2015-02-27 커넥터 KR101711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5114A JP6553843B2 (ja) 2014-03-18 2014-03-18 コネクタ
JPJP-P-2014-055114 2014-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745A KR20150108745A (ko) 2015-09-30
KR101711723B1 true KR101711723B1 (ko) 2017-03-13

Family

ID=5259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926A KR101711723B1 (ko) 2014-03-18 2015-02-27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0958B2 (ko)
EP (1) EP2922150B1 (ko)
JP (1) JP6553843B2 (ko)
KR (1) KR101711723B1 (ko)
CN (1) CN104934744B (ko)
TW (1) TWI6422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121A (ko) * 2019-08-29 2021-03-1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662633B2 (ja) * 2015-12-28 2020-03-1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KR102673383B1 (ko) * 2016-10-12 2024-06-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 실장형 커넥터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15609B2 (ja) * 2017-01-11 2018-10-3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TWI640131B (zh) * 2017-03-31 2018-11-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Board to board connector module
JP6785184B2 (ja) * 2017-04-27 2020-11-1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6400818B1 (ja) * 2017-11-17 2018-10-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CN107819230A (zh) * 2017-12-15 2018-03-20 惠州市奥罗拉科技有限公司 一种双排针结构的插座连接器及其保护结构
JP6582083B2 (ja)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82082B2 (ja)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109303B2 (ja) * 2018-08-07 202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TWI712227B (zh) * 2018-09-11 2020-12-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及連接機構總成
JP7207975B2 (ja) * 2018-11-29 2023-01-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705619B (zh) * 2019-03-26 2020-09-21 美商莫仕有限公司 連接器
TWI711232B (zh) * 2019-06-17 2020-11-2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110444932B (zh) * 2019-07-26 2024-06-11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6687790B1 (ja) 2019-07-26 2020-04-2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1650284S (ko) * 2019-07-29 2020-01-20
JP7206170B2 (ja) * 2019-09-02 2023-01-17 京セラ株式会社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CN110932007B (zh) * 2019-11-25 2021-05-1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接触件模块及使用该接触件模块的连接器
CN113270756B (zh) * 2020-02-14 2023-05-23 山一电机株式会社 高速传输用连接器的壳体以及高速传输用连接器
JP7393980B2 (ja) * 2020-03-05 2023-12-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付電気コネクタ
TWI730705B (zh) * 2020-04-01 2021-06-11 格稜股份有限公司 浮動式連接器及其絕緣底座
US11695228B2 (en) * 2020-10-12 2023-07-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TWI753658B (zh)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電極結構之浮動連接器
JP7377187B2 (ja) * 2020-12-02 2023-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0943A (ja) 2008-03-21 2009-10-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992A (en) * 1892-04-19 Charles geschwindster
US4586772A (en) * 1983-06-13 1986-05-06 Amp Incorporated Improved card edge connector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2568142B2 (ja) * 1991-12-30 1996-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JP2527144Y2 (ja) * 1992-11-19 1997-02-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ント回路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3228460B2 (ja) * 1996-08-08 2001-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4365949B2 (ja) * 1999-08-25 2009-11-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4214092A (ja) * 2003-01-07 2004-07-29 Jst Mfg Co Ltd 可動型コネクタ用補強タ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動型コネクタ
US6908326B2 (en) * 2003-08-08 2005-06-21 J. S. T. Mfg. Co., Ltd. Floating connector
JP3905518B2 (ja) * 2004-01-23 2007-04-1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6988900B1 (en) * 2004-12-17 2006-01-24 Scinetific-Atlanta, Inc. Surface mount connector assembly
US7114963B2 (en) * 2005-01-26 2006-10-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assembly
JP4319166B2 (ja) * 2005-05-12 2009-08-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遊動型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4969838B2 (ja) * 2005-11-28 2012-07-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TWI321873B (en) * 2006-07-10 2010-03-11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High speed connector
JP4439557B2 (ja) * 2007-11-22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272320A (ja) 2009-05-20 2010-12-02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装置
US9083130B2 (en) * 2010-02-15 2015-07-14 Molex Incorporated Differentially coupled connector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17472B2 (ja) * 2011-03-07 2015-05-1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99191B1 (ja) * 2013-01-28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70600B2 (en) * 2013-01-30 2014-10-28 Samtec, Inc.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s
JP5491664B1 (ja) * 2013-07-19 2014-05-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M472992U (zh) * 2013-08-02 2014-02-21 Hon Hai Prec Ind Co Ltd 浮動式電連接器
JP5946804B2 (ja) * 2013-08-09 2016-07-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68405B2 (ja)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325720B1 (ja) * 2017-06-06 2018-05-1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多接点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0943A (ja) 2008-03-21 2009-10-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121A (ko) * 2019-08-29 2021-03-1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KR102408947B1 (ko) 2019-08-29 2022-06-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0958B2 (en) 2019-11-26
KR20150108745A (ko) 2015-09-30
JP2015176861A (ja) 2015-10-05
EP2922150A3 (en) 2016-05-25
CN104934744B (zh) 2019-03-05
EP2922150B1 (en) 2019-01-16
JP6553843B2 (ja) 2019-07-31
CN104934744A (zh) 2015-09-23
US20150270658A1 (en) 2015-09-24
TW201547133A (zh) 2015-12-16
TWI642242B (zh) 2018-11-21
EP2922150A2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723B1 (ko) 커넥터
US1087963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3733435B (zh) 多极连接器
JP2018010724A (ja) シールド板付き電気コネクタ
EP2846409A2 (en) Connector
JP201611548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110237107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417072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KR20170066621A (ko) 커넥터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9071184A (ja) コネクタ
WO2014047547A1 (en) Floating low profile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20180021895A (ko) 플러그 커넥터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US9685725B2 (en) Connector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18170174A (ja) 多接点コネクタ
JP2006147372A (ja) コネクタ
JP2006253142A (ja) 差込コネクタのためのばね形ソケット
KR101320597B1 (ko)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US8956191B2 (en) Connector
JP2002050420A (ja) 基板用コネクタ
JP4827106B2 (ja) コネクタ装置
US20230327355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