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064B1 -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064B1
KR101711064B1 KR1020140150293A KR20140150293A KR101711064B1 KR 101711064 B1 KR101711064 B1 KR 101711064B1 KR 1020140150293 A KR1020140150293 A KR 1020140150293A KR 20140150293 A KR20140150293 A KR 20140150293A KR 101711064 B1 KR101711064 B1 KR 10171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ound wave
user
radio wav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0514A (en
Inventor
신야 사쿠라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3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s derived from two or more separate position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소정 장소에 방문할 때,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있는 영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치는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음파 수신 유닛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A/D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점포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해 음성 신호에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 장치가 음파 및 전파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기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진동 또는 소리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 S1~S5). 이어서, 단말 장치는 발신기로부터 전파가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 유닛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스텝 S4). 발신기로부터 음파가 수신될 때, 단말 장치는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스텝 S5, S6).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음성 신호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을 때, 단말 장치는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방문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발신한다. The terminal device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rea in which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exists when the user visits the predetermined place. The terminal apparatus includes a sound wav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ound waves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performs A / D conversion processing on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and also performs code processing on the voice signal to obtai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When a terminal device receives a radio wave from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ound wave and a radio wave, the terminal generates, for example, vibration or sound to notify the user (steps S1 to S5). Subsequently, the terminal device activat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on the condition that a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so that the terminal device enters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sound wave (step S4). When a sound wave is received from a transmitter, the terminal performs a specific process based on the sound wave received (steps S5 and S6).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vice obtains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voice signal,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the visit status data including the obtained store identification code to the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a control method and a program for a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사람이 소정 장소를 방문하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detecting a person visiting a predetermined place.

사람이 휴대하는 단말 장치의 기능을 이용해서, 점포 또는 행사장(event site)과 같은 소정 장소에 사람이 방문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는 불가청음(즉, 초음파)을 이용해서, 손님이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에 개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식별 정보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장치로부터 손님이 휴대하는 포터블 단말기에 불가청음을 이용해서 발신된다. 단말 장치는 불가청음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추출해서 추출된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발신한다. A techniqu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person is visiting a predetermined place such as a shop or an event site using the function of a terminal device carried by a person is prop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252371 disclose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guest is visiting a specific place by using an unpleasant sound (i.e., an ultrasonic wav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252371,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installation devic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the customer using an audible sound. The terminal extra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udible noise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에 개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음파가 전파와 비교해서 벽 또는 문과 같은 장해물을 투과하는 능력이 낮다는 음파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서, 높은 정확도로 사람의 방문을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물리적 특성에 따르면, 방문을 검지하기 위해 필요되는 장소에 사람이 방문해도, 사람이 휴대하는 단말 장치가 음파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사람이 단말 장치를 휴대했을 때, 음파가 도달할 가능성이 적은 주머니 또는 가방의 내부와 같은 위치에 단말 장치가 종종 위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파를 사용하여 발신되는 정보를 이용해서 사람이 소정 장소에 방문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람은 단말 장치가 음파 도달 가능 위치에 위치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52371 호에 개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사람이 있는 동안, 사람의 존재 위치와 상관없이, 단말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는 동일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사람이 있는 위치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252371 uses a physical property of a sound wave that a sound wave has a low ability to transmit an obstacle such as a wall or a door as compared with a radio wave to discriminate a human visit with high accuracy . However, according to this physical characteristic, even if a person visits a place necessary for detecting a visit, a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person may not receive the sound wave. This is because, for example, when a person carries the terminal apparatus, the terminal apparatus is often located at a position such as the inside of the bag or bag where the sound wave is unlikely to reach.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person is visiting a predetermined place by using information transmitted using a sound wave, a person must pay attention so that the terminal apparatus is located at a sound-wave attainable position. Furth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252371, while a person is present in the sound-wave attainable regi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erminal device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person's present position. Therefore, for example, in a sound-wave attainable region, a position where a person is present is not 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 환경을 고려해서 달성되었으며, 사용자가 소정 장소를 방문할 때, 사용자가 있는 영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view of the above environment, and provides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rea when the user visits a predetermined pla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된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ound waves, a radio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radio waves,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notify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a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wave receiver is detected, And a start controller configured to start the sound wave receiver on condition that the code is det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스텝,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를 수신하도록 단말 장치 내의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radio wave and notifying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adio wave is detected, And activating a sound wave receiver in the terminal device to receive the sound wa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와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내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및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로서 컴퓨터가 기능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gram for controlling a computer in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sound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ound waves and a radio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radio waves,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notify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radio wave is detected, and a start controller configured to start the sound wave receiver on condition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detected.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 및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내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프로그램은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로서 컴퓨터가 기능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동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gram for controlling a computer in a terminal device including a sound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ound waves and a radio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radio waves,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notify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is detected, and a start controller configured to start the sound wave receiver on condition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detected. The program may be stored on a computer-oper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소정 장소에 방문할 때, 사용자가 있는 영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can receiv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when the user carrying the terminal device visits the predetermined place.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 장치와 관리 서버 간에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점포를 떠날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는 제 1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와 단말 장치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와 단말 장치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제 3 변형예에 따라, 단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4 변형예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4 변형예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4 변형예에 따라,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0은 제 4 변형예에 따라,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isi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a user carry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si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when visiting a sto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al change of a terminal device user when visiting a sto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sequence chart showing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when leaving the sh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user who carries a terminal apparatus when leaving the sh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when a shop is visi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user carrying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2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when a shop is visi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when leaving the sho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user who carries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17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isi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18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isi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when visiting a store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Fig.
2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when leaving the shop,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실내 또는 실외와 같은 소정 장소에의 사람의 방문을 검지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사람이 점포(200)를 방문하는 것을 검지한다. 점포(200)는 예를 들면 상점, 까페, 또는 레스토랑이지만, 점포의 종류는 그곳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사용자(U)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장치(10), 점포(200)에 설치되는 발신기(20), 및 점포 방문의 검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는 범용 서버(컴퓨터)와 동등한 하드웨어 자원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는 사용자(U)의 점포(200) 방문 이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예를 들면 점포(200)를 방문했던 사용자(U)에게 소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isi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detecting a person's visit to a predetermined place such as indoor or outdoor.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cts that a person visits the store 200. [ The store 200 is, for example, a shop, a café, or a restaurant, but the type of the store is not limited thereto. 1,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detection of a visit to a shop, a transmitter 20 installed in a shop 200, and a terminal device 10 carried by a user U And a management server 30 that manages the network. The management server 30 includes hardware resources equivalent to a general-purpose server (computer).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information on the user U's visit history of the store 200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service to the user U who visited the store 200, for example.

단말 장치(10)를 휴대한 사용자(U)는 점포(200)의 고객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는 사용자(U)의 손에 쥐어지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사용자(U)에 의해 휴대된다. 단말 장치(10)는 본 실시형태에서 스마트폰이다. 도 1은 대표적인 예로서, 점포(200)의 부지 내[예를 들면, 점포(200)의 실내]에 있는 하나의 단말 장치(10)와 점포(200)의 부지 외[예를 들면, 점포(200)의 실외]에 있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10)를 나타낸다. The user U carrying the terminal device 10 may be a customer of the store 200. [ The terminal device 10 is carried by the user U in such a manner that it is held in the hand of the user U or in a bag or bag. The terminal device 10 is a smartphone in the present embodiment. 1 show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 terminal device 10 in a shop 200 (for example, an inside of the shop 200) and a shop 200 outside the shop 200 (for example, a store 200 outdoors) of the terminal device 10 shown in Fig.

발신기(20)는 음파와 전파를 사용하여 위치 비컨으로서 기능하는 정보를 발신하는 장치이다. 발신기(20)는 전파를 발신(방사)하기 위한 전파 발신기로서 기능하는 안테나(21)와 음파를 발신(방사)하기 위한 음파 발신기로서 기능하는 스피커(22)를 포함한다. 전파는, 예를 들면 발신 위치로부터의 도달 가능한 거리(도달 가능 영역)와 벽, 문, 또는 파티션과 같은 장해물을 투과하는 능력에 있어서 음파와 다르다. 음파는 전파에 비해 직진성(straight travelling property)에 있어서 보다 뛰어나고, 회절될 가능성이 적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벽, 문, 또는 파티션과 같은 방음성을 갖는 장해물이 음파 도달 가능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유닛(영역 제한 유닛)으로서 사용될 때, 음파 도달 가능 영역은 비교적 쉽게 제어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0 is a de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functioning as a position beacon using sound waves and radio waves. The transmitter 20 includes an antenna 21 functioning as a radio wav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ating) radio waves and a speaker 22 serving as a sound wav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ating) sound waves. Propagation differs from sound waves, for example, in the ability to transmit obstacles such as reachable distance (reachable area) from a calling location and walls, doors, or partitions. Sound waves have better physical properties than straight propagation properties and less likely to be diffracted. Therefore, when an obstacle having a sound insulation property such as a wall, a door, or a partition is used as a unit (region restriction unit) for limiting a sound-attainable region, the sound-attainable region can be controlled relatively easily.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전파와 음파 간의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발신기(20)로부터 단말 장치(10)로 발신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점포(200)에의 사용자(U)의 방문을 검지한다.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detects the visit of the user U to the shop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to the terminal apparatus 10 by utiliz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radio wave and the sound wave .

도 2는 점포(200)의 고객으로 될 사용자(U)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cation of a user U who will be a customer of the store 200. FIG.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발신기(20)의 안테나(21)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TE)(이후 "전파 도달 가능 영역"이라 칭해진다)이 점포(200)의 부지와 점포(200)의 부지 외부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발신기(20)의 스피커(22)로부터 발신되는 음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TS)(이후 "음파 도달 가능 여역"이라 칭해진다)은 예를 들면 점포(200)의 부지에 형성된다. 발신기(20)는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전체 영역이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에 포함되도록 음파와 전파를 발신한다. 이 경우에는, 발신기(20)에 대한 사용자(U)의 상대적인 위치는 다음의 세가지 타입, 즉 "사용자 위치 Ⅰ", "사용자 위치 Ⅱ", 및 "사용자 위치 Ⅲ"로 분류될 수 있다.An area 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dio wave attainable area ") in which a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21 of the transmitter 20 can reach, for example, And an area outside the site of the store 200. An area 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und wave reachable range") in which a sound wave emitted from the speaker 22 of the transmitter 20 can reach is formed, for example, on the site of the shop 200. [ The transmitter 20 transmits a sound wave and a radio wave such that the entire area of the sound-wave reachable area TS is included in the radio wave-accessible area TE. In this cas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 U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r 20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user position I", "user position II", and "user position III".

"사용자 위치 Ⅰ"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 또한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에 위치한다.The "user position I" is located out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and outside the sound wave attainable region TS.

"사용자 위치 Ⅱ"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부이지만,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에 위치한다. The "user position II" is in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but is located outside the sound wave attainable region TS.

"사용자 위치 Ⅲ"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부, 또한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내부에 위치한다. The "user position III" is located in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area TE and inside the sound wave attainable area TS.

방문 검지 시스템(1)에서, "사용자 위치 Ⅰ"~"사용자 위치 Ⅲ" 중 "사용자 위치 Ⅲ"에 있는 사용자(U), 즉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 내에 있는 사용자(U)는 점포(200)에 방문한 사람으로 검지된다. In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the user U in the user position III in the "user position I" to the "user position III", that is, the user U in the sound-wave reachable area TS, ) Is detected as a person visited.

도 3은 방문 검지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Fig.

첫째, 발신기(2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20)는 그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안테나(21), 스피커(22), 및 발신 제어 유닛(23)을 포함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연산 처리 유닛, 연산 처리 유닛이 엑세스하는 메인 메모리, 및 발신기(20)에 할당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 메모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코드 메모리에 저장되는 식별 코드는 본 실시형태에서 점포(200)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식별 코드는 이후 "저장 식별 코드"라 불리운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20 will be described. 3, the transmitter 20 includes an antenna 21, a speaker 22,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as its hardware configuration. The origination control unit 23 includes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main memory accessed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and a code memory for storing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transmitter 20 It is a microcomputer. Th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code memory is used to uniquely identify the store 200 in this embodiment. This identification cod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rage identification code ".

발신 제어 유닛(23)은 전파와 음파를 사용하여 정보 발신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전파를 사용하는 정보 발신을 설명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블루투스(상세하게는 단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파를 안테나(21)로부터 발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신 제어 유닛(23)은 블루투스 LE(Low Energy)라 불리우는 규격에 따라, 코드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안테나(21)로부터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소정 주기로) 발신한다.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performs control relating to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radio waves and sound waves. Explan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radio waves.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transmits a radio wav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specificall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antenna 21.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transmits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read from the code memory periodically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cycle) from the antenna 21 in accordance with a standard called Bluetooth LE (Low Energy) .

음파를 사용하는 정보 발신을 설명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음파를 스피커(22)로부터 발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신 제어 유닛(23)은 음성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해서, 코드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스피커(22)로부터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소정 주기로) 발신한다. 예를 들면, 발신 제어 유닛(23)은 특정 확산 코드에 의해 점포 식별 코드를 변조해서, 변조 후에 확산 코드의 주파수가 고주파 밴드로 시프트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행 출원으로서 제출된 국제 공개 제 2010/016589 호를 보라). 발신 제어 유닛(23)은 점포 식별 코드가 중첩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22)에 공급해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음파를 발신한다.Describe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sound waves. The outgoing control unit 23 sends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22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transmits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read out from the code memory to the speaker 22 periodically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cycle) by us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modulates the spot identification code by a specific spreading code, and generates a voice signal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preading code is shifted to the high-frequency band after modulation (more specifically,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0/016589 submitted as a prior applica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supplies the generated voice signal, in which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is superimposed, to the speaker 22 to emit a sound wave representing the voice signal.

변조 후 확산 코드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발신 제어 유닛(23)은 사람에게 거의 들리지 않지만 불쾌감이나 위화감이 덜하고, 또한 가청 범위의 최대 극한값(예를 들면, 20㎑)을 포함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18㎑)보다 낮지 않은 가청 범위의 비교적 고주파인 주파수 범위로 주파수를 시프트한다. 가청 범위의 최대 극한값은 발신기(20)와 단말 장치(10)의 주파수를 샘플링하는 것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청 범위의 최대 극한값은 22.05㎑(샘플링 주파수가 44.1㎑일 때) 또는 24.0㎑(샘플링 주파수가 48.0㎑일 때)일 수 있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점포 식별 코드를 사람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의 음성 신호에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 제어 유닛(23)은 점포 식별 코드를 음악 또는 음성[예를 들면, 점포(200)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과 점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과 같은 가청음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에 중첩시킨다.In the frequency shift of the spreading code after modula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generates a frequency (for example, 20 kHz) including a maximum extreme value of the audible range (for example, 20 kHz) The frequency is shifted to a relatively high frequency range of the audible range which is not lower than 18 kHz. The maximum extreme value of the audible range may be determined based on sampl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20 and the terminal device 10. [ For example, the maximum extreme value of the audible range may be 22.05 kHz (when the sampling frequency is 44.1 kHz) or 24.0 kHz (when the sampling frequency is 48.0 kHz). The outgoing control unit 23 may superimpose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on the audio signal in the audible frequency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For example, the outgoing control unit 23 may store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as a voice signal indicating an audible sound such as music or voice (for example, a voice for guiding a product sold in the shop 200 and a service provided at a store) .

그런데, 점포 식별 코드가 중첩되는 주파수 밴드는 스피커(22)로부터 음파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주파수 밴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발신 제어 유닛(23)은 확산 스펙트럼 변조를 대신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또는 다른 변조 시스템에 의해 음파를 사용하여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발신기(2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0) 및 다른 외부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코드 메모리에 저장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얻거나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Incidentally,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is superimposed is capable of generating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22,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requency band. Further,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can transmit information using sound waves by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or other modulation system instead of spread spectrum modulation. The transmitter 20 can have the function of obtaining or updating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code memory by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other external devices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이어서,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는 그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제어 유닛(11), 무선 통신 유닛(12), 마이크로폰(13), A/D(Analog to Digital) 변환기(14), 메모리 유닛(15), 통지 유닛(16), 및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포함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ill be described. 3, the terminal device 10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 a microphone 13, an analog-to-digital (A / D) converter 14, A notification unit 15, a notification unit 16,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제어 유닛(11)은 CPU와 같은 연산 처리 유닛과 연산 처리 유닛이 엑세스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제어 유닛(11)은 프로그램을 작동시킴으로써 단말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무선 통신 유닛(12)은 예를 들면 통신 회로와 안테나를 포함하고 블루투스(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기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폰(13)은 음파를 검지하는 음파 검지기이다. 마이크로폰은 검지되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서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신호를 A/D 변환기(14)에 공급한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제어 유닛(11)에 공급한다. The control unit 11 is a microcomputer including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such as a CPU and a main memory accessed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device 10 by operating a progra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 is, for example, an interface that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and an antenna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functions as a radio wave receiver for receiving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The microphone 13 is a sonic detector for detecting sound waves. The microphone converts the sound wave detected as an electric signal into an audio signal of an analog format, and supplies an analog audio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14. The A / D converter performs A / D conversion processing f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supplies the digital audio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

메모리 유닛(15)은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장치를 갖는다. 메모리 유닛(15)은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15 has a memory device such as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or a flash memory. The memory unit 15 stores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and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as application programs to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1, for example.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은 점포에 방문하는 것을 검지하는 것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점포 식별 코드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대안적으로,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한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기 위한 엑세스 목적지(예를 들면, 통신 목적지의 주소)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은 관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서비스의 제공을 수신하기 위한 엑세스 목적지(예를 들면, 통신 목적지의 주소)의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은 이미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처리 및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통신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of detecting a visit to a store. In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for example,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is recorded. Alternatively, in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information of an access destination (for example, an address of a communication destination) for obtaining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ence by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recorded.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realizing a service-related func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In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for example, information of an access destination (for example, an address of a communication destination) for receiving a service provision is recorded. In addition,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realizes a function of executing a process for using a service already provided (for example, a display process of an image and a data communication process for a service).

통지 유닛(16)은 예를 들면 진동기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U)에게 소정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통지 유닛(16)은 사용자(U)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현상(phenomenon)을 발생시키고 사용자(U)에게 소정 정보를 통지하는 유닛일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은 예를 들면 통신 회로와 안테나를 포함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한다. The notification unit 16 includes, for example, a vibrator and a speaker, and functions as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U of certain information. The notification unit 16 may be a unit that generates a phenomen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U and informs the user U of certain information.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is, for example, an interface including a communication circuit and an antenna and connected to a network.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via the network.

단말 장치(10)는 상술한 하드웨어 구성에 더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device 10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a general smartphone such as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hardwar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킴으로써 통지 제어 유닛(111), 기동 제어 유닛(112), 및 처리 유닛(113)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처리 유닛(113)은 발신기(20)로부터 음파에 의해 발신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해 코드 처리를 수행하는 코드 처리 유닛(1131)을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11, the startup control unit 112 and the processing unit 113 by operating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The processing unit 113 includes a code processing unit 1131 that performs code processing to obtain a shop identification code that is originated by a sound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될 때, 통지 제어 유닛(111)(통지 제어기)은 통지 유닛(16)을 통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무선 통신 유닛(12)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의 작동 중에는 전파를 대기시켰다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한다. 통지 제어 유닛(111)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와 발신기(20)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여 그 거리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통지 제어 유닛(1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판별한다. 이어서, 통지 제어 유닛(11)에 의한 제어하에, 통지 유닛(16)은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When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receiv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11 (notification controller) transmits reception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via the notification unit 16 to the user (U).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 waits for the radio wave during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and receives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11 can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 and the transmitter 20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and notify the user of the distance.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Subsequently, under the control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the notification unit 16 notifies the user U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separated from the transmitte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기동 제어 유닛(112)(기동 제어기)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키고 중단시키는 기동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기동 제어 유닛(112)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한 것을 조건으로,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음파 수신 유닛(100)(사운드 수신기)은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음파를 수신하는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음파 수신 유닛(100)은 A/D 변환기와 코드 처리 유닛(1131)에 의해 실현된다. 음파 수신 유닛(100)이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A/D 변환기(14)는 A/D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코드 처리 유닛(1131)은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기동 제어 유닛(112)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와 발신기(20) 간의 거리를 추정하여 추정된 거리에 따라 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기동 제어 유닛(112)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판별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The start control unit 112 (start controller) performs startup control to start and stop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 For example, the start control unit 112 may be configured to start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to receive a sound wave, on condition that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has received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sound receiver) is a unit that receives sound waves when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Specifically,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realized by an A / D converter and a code processing unit 1131. [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the A / D converter 14 performs A / D conversion processing and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 performs code processing. The startup control unit 112 can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 and the transmitter 20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and perform the startup control according to the estimated distance.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tart-up control unit 112 may control the terminal device 10 to mak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0, o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0, provided that the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nd disrupt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0051]

처리 유닛(113)(프로세서)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발신기(20)로부터 음파를 수신했을 때, 수신된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처리 유닛(113)의 코드 처리 유닛(1131)은 A/D 변환기(14)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 처리함으로써 변조된 신호를 추출하고, 이어서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코드 처리에 있어서, 코드 처리 유닛(1131)은 추출된 신호에 디코드 처리를 수행해서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다. 이어서, 처리 유닛(113)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키고, 기동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처리 유닛(113)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한다. The processing unit 113 (processor) performs a specific process based on the received sound wave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receives the sound wave from the sender 20. For example,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 of the processing unit 113 extracts a modulated signal by performing a filtering process on a digital audio signal supplied from the A / D converter 14, and then performs code processing. In the code processing,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 performs decoding processing on the extracted signal to obtai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Subsequently, the processing unit 113 activates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corresponding to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by the code processing, and performs processing based on the activated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13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via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based on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의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visit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사용자(U)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10)가 본 발명에 따라 이후에 설명되는 처리 작동을 시작하기 전 상태에서, 사용자(U)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 또한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 위치 Ⅰ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Fig.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 U. Fig. In the state before the terminal device 10 starts the processing operation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U is located out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and also outside the sound wave attainable region TS It is assumed that it is in User Location I.

먼저,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메모리 유닛(15)에 저장된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시작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한 전파의 수신을 시작한다(스텝 S1).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에 의한 조작에 따라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기동시키거나 백그라운드에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킬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의 작동 중,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 처리를 수행한다. First,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starts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stored in the memory unit 15 and starts receiving radio waves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step S1). The control unit 11 can activate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or operate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in the back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by the user U. [ During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the control unit 11 performs processing to obtai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 스텝 S2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수신된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가 얻어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 수신의 유무를 판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사용자 위치 Ⅰ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2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Next,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has received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step S2). In the processing of step S2,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is obtained from the received radio wav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U is in the user position I,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NO " in step S2 processing and waits for reception.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와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인 사용자 위치 Ⅱ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고 전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 S2에서 YES). 스텝 S2의 처리에서 "YES"로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통지 유닛(16)에 의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 수신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은 진동기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스피커가 소정 사운드[예를 들면, 벨소리(ring alert) 또는 알람음(alarm tone)]를 출력하게 한다. 단말 장치(10)가 주머니 또는 가방 속 등에 위치되어 있다 해도,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로부터의 통지를 인식했을 때, 사용자는 단말 장치(10)가 주머니 또는 가방 속 등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도 단말 장치(10)를 꺼내 쥘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통지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전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단말 장치(10)의 스크린에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user U moves to the user location II which is out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area TE and the sound wave attainable area T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 obtains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and discriminates whether the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YES in step S2). The control unit 11 notifies the user U of the radio wave reception from the transmitter 20 by the notification unit 16 (step S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 may activate the vibrator or cause the speaker to output a predetermined sound (e.g., a ring alert or an alarm tone). Even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located in a pocket or a bag or the like, there is no problem in reception of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 When the user U recognizes the notific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 the user can take out the terminal device 10 even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located in a bag or a bag. Alternatively, or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the notification, an icon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10 to indicate that radio waves have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스텝 S4). 스텝 S4의 처리에 따라, 제어 유닛(11)은 A/D 변환기(14)를 기동시켜 A/D 변환 처리를 시작하고 또한 코드 처리를 시작한다. 도 5에 "기동 및 통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로 이동한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음파 수신 유닛(100)이 기동되어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단말 장치(10)의 스크린에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텝 S4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의거하여 전파의 수신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와 대응하는 관계를 갖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특정하고, 특정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킨다.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activat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to bring it into a waiting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step S4).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step S4, the control unit 11 starts the A / D converter 14 to start the A / D conversion processing and also starts the code proce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 has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into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as shown in Fig. 5 as "start and notify ", the control unit 11 judges And caus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to start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a sound wave. For example, an icon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arted and is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In the process of step S4, the control unit 11 specifies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having a relationship corresponding to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by reception of the radio wave based on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And activates the application program SA.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수신기(20)로부터 음파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 스텝 S5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기(20)로부터의 음파 수신의 유무를 판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사용자 위치 Ⅱ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5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Next,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a sound wave is received from the receiver 20 (step S5). In the processing of step S5,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und wave reception from the transmitter 20 depending on whether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has obtained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U is at user position II,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NO " in step S5 processing and waits for reception.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인 사용자 위치 Ⅲ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점포 식별 코드를 얻고 음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 S5에서 YES). 음파 수신 유닛(100)이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작동되고 있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따라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하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소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해 지정된 통신 주소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엑세스한다. 제어 유닛(11)은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와 통신하고, 도 6을 참조해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를 수행한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user U moves to the user position III within the radio wave-accessible area T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has obtained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ound wav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YES in step S5). The control unit 11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7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being operated and when the service application And executes a predetermined process based on the program SA (step S6).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30 via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specifi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The control unit 11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via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and performs processing based on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단말 장치(10)와 관리 서버(30) 간에 수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엑세스하고 방문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30)로 발신한다(스텝 S61). 방문 상황 데이터는 사용자(U) 방문의 상황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에 특정된 단말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점포 식별 코드가 얻어질 때마다, 또는 점포 식별 코드가 연속적으로 얻어지는 동안 소정 시간마다 방문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30)로 발신한다. 6 is a sequence chart showing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based on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and sends data indicating the visiting status to the management server 30 (step S61). The visiting status data represents the situation of the user U's visit and includes, for examp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telephone number) specified in the terminal device 10 and a shop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by code processing. The control unit 11 transmits the visiting status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 every time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obtained or the storage identification code is continuously obtained.

관리 서버(30)는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 상황 데이터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를 휴대한 사용자(U)의 점포에의 방문을 검지한다(스텝 S62). 스텝 S62의 처리에 있어서, 관리 서버(30)는 방문 검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처리에 있어서, 관리 서버(30)는 단말 식별 정보 및 점포 식별 코드와 관련된 방문 이력을 나타내는 방문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방문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방문 일자, 시간, 점포(200)에서 머무른 시간, 및 점포에 방문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0 detects a visit to the store of the user U carrying the terminal device 10 based on the visit situation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 (step S62). In the process of step S62, the management server 30 performs a database process of storing the visit detection result in the database. In the database pro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30 stores the visit history information indicating the visit history related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in the database. The visit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for example, a visit date, time, staying time at the store 200, an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store.

관리 서버(30)는 방문 상황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U)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소정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 장치(10)로 발신한다(스텝 S63). 관리 서버(30)에 의해 사용자(U)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예를 들면 쿠폰 또는 방문에 따른 포인트와 같은 금전적 가치의 제공, 사용자(U)를웹샵으로 안내하는 메세지[예를 들면,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발신, 및 컨텐츠의 분배(예를 들면, 상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광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서비스의 종류는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리 서버(30)는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 장치(10)에 발신할 경우, 단말 장치(10)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되는 소정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쿠폰 취소 처리 또는 쿠폰 발행 처리이다.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 provides the service to the user U as a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visiting status data, the management server 30 sends the service data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10 (step S63). The service provided to the user U by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be, for example, a provision of a monetary value such as a coupon or a point on a visit, a message directing the user U to the web shop Origina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nd distributing the content (for example, advertising content for guiding a product or service to a user). However, the specific types of services are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 transmits servic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10, the management server 30 performs predetermined processing that is generated when the terminal device 10 provides a service. This process is, for example, coupon canceling processing or coupon issuing processing.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이 네트워크 통신 유닛(17)을 통해 관리 서버(3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메모리 유닛(15)에 수신된 서비스를 저장한다. 사용자(U)가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제어 유닛(11)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의 실행 중에 메모리 유닛(15)으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처리 및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1 stores the received service in the memory unit 15 when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s the service data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via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 do. When the user U uses the provided service, the control unit 11 reads the service data from the memory unit 15 during execu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and performs processing for using the service (for example, display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이후, 사용자(U)가 점포(200)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leave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사용자(U)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10)가 이후에 설명되는 작동을 시작하기 전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U)는 사용자 위치 Ⅲ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Fig.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 U. Fig. It is assumed that the user U is in the user position III in the state before the terminal device 10 starts the operation described later.

먼저,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즉, 사용자 위치 Ⅱ 또는 사용자 위치 Ⅲ)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로부터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다. 따라서, 제어 유닛(11)은 스텝 S11의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처리가 대기된다.First,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reception of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is stopped (step S11). 8, when the user is in the radio wave achievable area TE (i.e., the user position II or the user position III), the control unit 11 extracts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 Therefore,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NO" in the process of step S11 and the process is awaited.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즉, 사용자 위치 Ⅰ)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었는지 판별한다(스텝 S11에서 YES). 이어서, 통지 유닛(16)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스텝 S12). 스텝 S12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스텝 S3의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U)에게 통지하는 것을 수행한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user U moves to the outside of the radio wave achievable area TE (i.e., the user location I).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whether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YES in step S11). Then, the notification unit 16 notifies the user U that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step S12). In the process of the step S12, the control unit 11 performs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U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 of the step S3.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한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이후나 또는 스텝 S12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U)에게 통지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3). 이 설정 시간은 예를 들면 5초이지만, 5초 이외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이 설정 시간은 고정되거나 또는 사용자(U)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judges whether or not the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was stopped or the user U was notified by the processing of the step S12 Step S13). This set time is, for example, 5 seconds, but may be a time other than 5 seconds. Further, this set time may be fixed or set by the user U.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별되었을 때(스텝 S13에서 NO),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스텝 S14에서 NO), 처리는 스텝 S13으로 돌아간다. 이후,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지 않으면서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별하고(스텝 S13에서 YES),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스텝 S15). 도 8에 "통지" 및 "중단"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내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이동했을 때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고, 또한 그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스텝 S15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작동되고 있던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종료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has received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step S14).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radio wave is not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NO in step S14),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3.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without receiving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YES in step S13), and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S15).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U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to the outside of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as indicated by "NOTIFICATION" and " (U), and also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reafter. In step S15, the control unit 11 can terminate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and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that were being operated.

한편, 제어 유닛(11)이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된 것을 판별했을 때(스텝 S14에서 YES), 처리는 스텝 S11로 돌아간다. 즉,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도 8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전파 도달 가능 영역 내로 돌아왔을 때,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다시 수신한다. 단말 장치(10)가 설정 시간 이내의 단기간 동안에만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사용자(U)가 단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이동하고 점포를 떠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유지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radio wav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before the set time has elapsed (YES in step S14),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 That is, the control unit 11 kee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For example, when the user U temporarily moves out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and then returns to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before the set time has elapsed,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in Fig. 8,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s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agai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U temporarily moves outside the radio wave reachable area TE and does not leave the store when the terminal device 10 does not receive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only for a short time within the set time It is considered.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11 kee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예를 들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에 도달하지 않는 장소이거나, 단말 장치(10) 또는 발신기(20)의 장해로 인해 단말 장치(10)가 일시적으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때, 사용자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단말 장치(10)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does not reach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or if the terminal device 10 temporarily radiates radio waves due to a failure of the terminal device 10 or the transmitter 20 The terminal device 10 can receive the electric wave again from the transmitter 20 before the preset time elapses even when the user temporarily moves to the outside of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상술한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음파를 사용하여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된 정보가 도달 가능한 영역(즉, 사용자 위치 Ⅲ)과 근접한 영역(즉, 사용자 위치 Ⅱ)에 사용자가 도달했는지 판별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10)는 사용자(U)에게 이 판별 사항을 통지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 사용자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된 음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에 접근한 것을 단말 장치(10)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사용자(U)가 인식했을 때, 사용자는 단말 장치(10)를 음파 수신 가능 상태로 설정한다(즉, 사용자 위치 Ⅲ). 사용자(U)의 이 작동에 따라, 단말 장치(10)가 음파를 사용하여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When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s a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the terminal device 10 uses the sound wav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to the reachable area (I.e., user location II) that is close to the user location (i.e., user location III). Subsequently, the terminal device 10 notifies the user U of this discrimination and activat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user U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reachable area of the sound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 the user can set the terminal device 10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I.e., user location III). According to this operation of the user U, the terminal device 10 is ready to receiv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using the sound waves.

또한, 음파 수신 유닛(100)을 항상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하지 않아도, 단말 장치(10)는 사용자가 발신기(20)에 접근할 때 발신기(20)로부터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는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의 기간을 감소시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파 대기 상태의 전력 소비는 음파 대기 상태의 전력 소비보다 작다. 특히, 블루투스 LE의 규격에 따르면 전력 소비는 단말 장치(10)가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때보다 작다. The terminal apparatus 10 can receive sound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ransmitter 20 without always putting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n a waiting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Therefore, the terminal device 10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period of waiting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Generally,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radio standby state is small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ound wave standby state.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LE,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er than when the terminal device 1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radio wave.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을 설명한다.A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한 후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 발신기(20)와 관리 서버(30)의 구성 및 작동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system in which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judged to be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after receiving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2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in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 및 처리 스텝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ent elements and process step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func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in terms of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구성에 더하여 센서 유닛(18)을 포함한다.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Fig. As shown in Fig. 9,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ensor unit 18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 주위(주변)의 휘도(brightness)를 검지하기 위한 휘도 센서이다.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 주위의 휘도를 나타내는 광량을 검지하고, 검지된 광량을 나타내는 광량 데이터를 제어 유닛(11)에 공급한다. The sensor unit 18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unit 18 is a lumin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brightness around (around) the terminal device 10. [ The sensor unit 18 detects the light amount indicating the brightness around the terminal device 10 and supplies the light amount data indicating the detected light amount to the control unit 11. [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킴으로써,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능적 구성에 더하여 판별 유닛(114)을 실현한다.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threshold value) 또는 그 이상일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이는, 단말 장치(10)가 비교적 밝은 환경에 위치될 때, 사용자(U)가 손으로 단말 장치(10)를 쥐고 있다고 가정되기 때문이다. 반면,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보다 적을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별한다. 이는, 단말 장치(10)가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 위치될 때,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를 주머니 또는 가방과 같은 곳 내에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를 휴대하고 있지 않다고 가정되기 때문이다. The control unit 11 implements the determination unit 114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by operating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The discrimination unit 114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When the light amount indicated by the light quantity data supplied from the sensor unit 18 is a threshold value or more, the discrimination unit 114 discriminat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This is becaus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U grasps the terminal device 10 by hand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located in a relatively bright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amount indicated by the light quantity data supplied from the sensor unit 18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discrimination unit 114 discriminat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not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This is because the user U carries the terminal device 10 in a place such as a bag or a bag or when the user U carries the terminal device 10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when the terminal device 10 is located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Is not assumed.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visit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스텝 S1~S3의 처리를 실행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사용자(U)는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는다. 이어서,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스텝 S7).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보다 적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7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대기한다. 반면, 센서 유닛(18)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량이 문턱값 또는 그 이상일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7 처리에 있어서의 "YES"를 판별하고,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즉,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고 사용자(U)가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은 후, 제어 유닛(11)이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이후, 제어 유닛(11)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스텝 S5 및 S6의 처리를 실행한다.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s S1 to S3 and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receives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and the user U is notified of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 Then, it is discriminated whether or no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step S7). When the light amount indicated by the light amount data supplied from the sensor unit 18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NO " in the step S7 processing and wai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light indicated by the light amount data supplied from the sensor unit 18 is a threshold value or more,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YES " in step S7 processing,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4 do.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after the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and the user U is notified of reception of the radio wave, the control unit 11 Activat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to bring it into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 executes the processes of steps S5 and S6 by the same proced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후,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로부터 실질적으로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을 때, 단말 장치(10)는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 따라서,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지 않아 음파 수신 유닛(100)이 기동되지 않는 동안의 기간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device 10 is in a state capable of substantially receiving a sound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after receiving the electric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 The terminal device 10 activat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Therefor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 during which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not activated because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not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can be saved.

그런데, 센서 유닛(18)은 휘도 센서 이외의 센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유닛(18)은 단말 장치(10)의 자세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경사도 센서, 지자기(geomagnetism)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하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U)가 손으로 단말 장치(10)를 쥐고 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자세가 사용자(U) 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센서 유닛(18)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자세 변화를 검지했을 때, 제어 유닛(11)의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대안적으로, 센서 유닛(18)은 사용자(U)가 손으로 단말 장치(10)를 쥐고 있을 때, 단말 장치(10)의 케이스에 작용하는 힘을 검지하는 센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힘이 단말 장치(10)의 케이스에 작용하는 문턱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을 센서 유닛(18)이 검지했을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Incidentally, the sensor unit 18 can be realized by a sensor other than the luminance senso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8 can be realized by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geomagnetism sensor, and an attitude sensor as a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terminal device 10. [ This is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osture of the terminal device 10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when the user U grasps the terminal device 10 by hand. In this case, when the sensor unit 18 detects the attitude change satisfying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e discrimination unit 114 of the control unit 11 judges that the terminal device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18 may be realized by a sensor that detects a force acting on the case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is holding the terminal device 10 by hand. In this case, when the sensor unit 18 detects that the for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pplied to the case of the terminal apparatus 10, the discrimination unit 114 judg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capable of receiving sound waves State.

대안적으로, 판별 유닛(114)은 센서 유닛(18)의 검지 결과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는 센서 유닛(18)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가 단말 장치(10)를 작동하고 있는 작동 상태이거나, 단말 장치(10)가 스크린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판별 유닛(114)은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다고 판별한다. Alternatively, the discrimination unit 114 can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without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18. In this case, the terminal apparatus 10 may not include the sensor unit 18.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user U is operating the terminal apparatus 10 or in a display state in which the terminal apparatus 10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114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 유닛(114)에 의해 수행되는 판별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a specific method of realizing the discrimination perform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114 as to whether or not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을 설명한다. A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를 수신할 때 수신한 데이터의 강도(즉,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 지점과 데이터 수신 지점 간의 거리가 추정(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작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0), 발신기(20), 및 관리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신기(20) 및 관리 서버(30)의 작동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For example, according to Bluetooth technology, it is known that the distance between an originating point and a data receiving point can be estimated (computed) based on the strength of data received (that is, the receiving strength of radio waves) when receiving data. The terminal apparatus 10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0 based on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the transmitter 2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s of the transmitter 2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 및 처리 스텝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후,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ent elements and process step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func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in terms of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은 사용자(U)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은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비교적 높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과,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비교적 낮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으로 구성된다.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보다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짧다. 이후,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에서의 전파의 수신 강도는 "높음"으로 나타내고,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에서의 전파의 수신 강도는 "낮음"으로 나타낸다.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 TE2)은 임의 레벨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분류될 수 있다.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 U. Fig. 11,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has a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1 with a relatively high receiving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and a radio wave attenuating region TE2 with a relatively low receiving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And a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2.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1 has a shorter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0 than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2. Then,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n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1 is indicated as "high" and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n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2 is shown as "low".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s TE1 and TE2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any level.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visit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스텝 S1~S3의 처리를 실행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이어서 사용자(U)는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는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의 외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 내로 이동할 때, 전파의 수신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1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s S1 to S3 and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and then the user U notifies reception of radio waves Receive. 11, the control unit 11 notifies the user U of the reception of radio waves when the user U moves from outside the radio wave-accessible area TE2 to the radio wave-accessible area TE2 .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8). 환언하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 내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이 아닌, 즉 수신 강도가 "낮음" 또는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것(스텝 S8에서 NO)을 판별했을 때 처리가 대기된다. 한편,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인 것(스텝 S8에서 YES)을 판별했을 때,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즉,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고 사용자(U)가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은 후,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짧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스텝 S5 및 S6의 처리를 실행한다.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s "high" (step S8).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U has moved into the radio wave achievable area TE1.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not "high ", i.e., the reception intensity is" low ", or the radio wave is not received (NO in step S8)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is "high" (YES in step S8),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0 i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after the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and the user U is notified of reception of the radio wave, (11) activate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to bring it into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sound waves.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s S5 and S6 by the same proced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leave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먼저,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 내에 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16의 처리에서 "YES"를 판별하고 처리가 대기된다. 이후,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2) 내로 이동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이 아닌 것을 판별하고(스텝 S16에서 NO) 통지 유닛(16)에 의해 사용자(U)에게 통지된다(스텝 S12). 1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As shown in Fig. First,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high" (step S16). When the user U is in the radio wave attainable area TE1,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YES " in the process of step S16 and the process is awaited. Thereafter, when the user U moves into the radio wave achievable area TE2,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not "high" (NO at step S16) ) Notification unit 16 notifies the user U (step S12).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7).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된 것을 판별했을 때(스텝 S17에서 YES), 처리가 대기된다. 반면, 제어 유닛(11)이 발신기(20)로부터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판별했을 때(스텝 S17에서 NO),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스텝 S15).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의 내부로부터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의 외부로 이동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Next,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step S17).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a radio wav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YES in step S17), the process wai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NO in step S17),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ption unit 100 (step S15). 11,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user U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1 to the outside of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1 .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있어서, 사용자(U)가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짧은 것을 판별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킨다. 사용자가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접근한 후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키기 때문에,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U)가 점포를 떠날 때,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발신기(20)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 또는 그 이상인 것이 판별되었을 경우, 사용자(U)는 이 판별 사항을 통지받는다. 따라서, 단말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보다 빠르게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U visits the store,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20) based on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n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 I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arted.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sound wave can be further reduced since the terminal device 10 start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after the user approaches the area where the sound wave can be receiv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er 20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when the user U leaves the store, You will be notified. Therefore, the terminal device 10 can notify the user U faster than the first embodiment and can interrupt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단말 장치(10)와 발신기(20) 간의 거리에 따른 단말 장치(10)의 작동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단말 장치(10)에 적용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 and the transmitter 20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1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변형예Variation exampl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manner. In addition, the modifications described below can be appropriately combined.

(제 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사용자(U)가 점포를 떠날 때,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이하에 설명되는 (제 1 작동예)~(제 3 작동예) 중 하나에 따라 작동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U)의 위치와 단말 장치(10)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기동 및 통지"는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 및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이 수행되는 타이밍을 의미한다. "통지"는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기 전에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가 수행되는 타이밍을 의미한다. "중단"은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는 타이밍을 의미한다. When the user U leaves the store,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modified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one of (first operation example) to (third operation example) described below.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user U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As shown in Fig. In Fig. 14, "activation and notification" means a notification to the user U when a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and a timing at which activation of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performed. "Notification" means a timing at which notification to the user U is performed before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opped. "Stop" means a timing at which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opped.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작동예)에서,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이동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2 작동예)에서, 사용자(U)가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의 외부로 이동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음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또한,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1 작동예)는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제어 유닛(11)이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 (제 2 작동예)와 다르다. 1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 has moved outside the radio wave-accessible area TE and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s from the transmitter 20 has been interrupted in the first operation example, The control unit 11 of the apparatus 10 notifies the user U of the discrimination and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 (Second operation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 moves out of the sound-wave achievable area TS and the reception of the sound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device 10 (11) notifies the user (U) of the discrimination. Fur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wave has not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First operation example) is that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of the electric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Operation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는 타이밍 및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타이밍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들은 전파 또는 음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고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점에 있어서 공통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leaves the store,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to the timing at which the terminal device 10 performs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U and the timing at which the terminal device 10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 However, these cases are common in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 notifies the user U and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provided that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or the sound wave is stopped.

사용자(U)는 단말 장치(10)가 작동될 제 1 실시형태 및 이 제 1 작동예~제 3 작동예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U can selectively set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10 is operated and one of the first operation example to the third operation example.

(제 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사용자(U)가 점포를 떠날 때,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이하에 설명되는 (제 4 작동예)~(제 6 작동예) 중 하나에 따라 작동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5는 사용자(U)의 위치와 단말 장치(10)의 작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hen the user U leaves the store, th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be modified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one of (Fourth operation example) to (Sixth operation example) described below.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user U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Fig.

(제 4 작동예)에서,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1)의 외부로 이동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5 작동예)에서, 발신기(20)로부터의 음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제어 유닛(11)은 판별 사항을 사용자(U)에게 통지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 (제 6 작동예)는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제어 유닛(11)이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 (제 5 작동예)와 다르다. When the user U is moved out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1 and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changed from "high" to "low" in the fourth operation example (fourth operation example)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notifies the user U of the discrimination. Then,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of the electric wave from the sender 20 is stopped. (Fifth operation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of the sound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the control unit 11 notifies the user U of the discrimination.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has changed from "high" to "low". (Sixth operation example) shows that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set time has passed after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electric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changed from "high" to "low" (Fifth operation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포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를 수행하는 타이밍 및 단말 장치(10)가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타이밍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하는 타이밍, 또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중단 타이밍을 판별하는 점에 있어서는 공통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leaves the store,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to the timing at which the terminal device 10 performs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U and the timing at which the terminal device 10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 However, it is common in that the terminal device 10 notifies the user U or the interruption timing of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based on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사용자(U)는 단말 장치(10)가 작동되는 제 3 실시형태와 이 제 4 작동예~제 6 작동예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U can selectively set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operated and the fourth operation example to the sixth operation example.

(제 3 변형예)(Third Modification)

복수의 점포가 모여있는 쇼핑몰에 있어서,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점포에 의해 형성되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In the shopping mall where a plurality of stores are gathered, for exampl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s formed by two or more stores can be overlapped.

도 16은 사용자(U)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포(200A)와 점포(200B)는 서로 가까운 것으로 가정한다. 발신기(20A)와 발신기(20B)는 각각 점포(200A)와 점포(200B) 내에 설치된다. 발신기(20A)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A)과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A)을 형성한다. 발신기(20B)는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B)과 음파 도달 가능 영역(TSB)을 형성한다. 또한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A)과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B)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Tov)을 형성한다. 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 U. Fig. As shown in Fig. 16, it is assumed that the shop 200A and the shop 200B are close to each other. The transmitter 20A and the transmitter 20B are installed in the shop 200A and the shop 200B, respectively. The transmitter 20A forms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A and the sound wave attainable region TSA. The transmitter 20B forms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B and the sound wave attainable region TSB. Further,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A and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B partially overlap to form the overlap region Tov.

이 경우, 중첩 영역(Tov)에 있는 사용자(U)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장치(10)는 각각의 발신기(20A, 20B)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A, 20B) 중 전파의 수신 강도가 보다 높은 쪽에 대응하는 전파에 의거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킨다. 이는, 사용자(U)가 보다 높은 전파의 수신 강도에 대응하는 발신기가 설치된 점포 내에 있거나, 이 점포를 방문하러 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 carried by the user U in the overlap area Tov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respective transmitters 20A and 20B.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activates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on the basis of radio waves corresponding to the radio waves with higher reception strengths of the radio waves of the transmitters 20A and 20B. This is becaus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user U is in the shop where the transmitter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s installed, or is going to visit the shop.

다른 방법으로서, 중첩 영역(Tov)에 있는 단말 장치(10)가 발신기(20A, 20B)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점포 식별 코드를 얻고, 얻어진 2개의 점포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킬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the terminal device 10 in the overlap area Tov obtains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the radio wave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s 20A and 20B, and based on the obtained two shop identification codes,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Can be activated.

또한, 3개 이상의 전파 도달 가능 영역이 중첩될 경우,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 중 전파의 수신 강도가 보다 높은 쪽에 대응하는 전파에 의거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장치(10)는 모든 발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점포 식별 코드를 얻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킬 수 있다. When three or mor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s are overlapped, the terminal apparatus 10 can activate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on the basis of the radio wave corresponding to the higher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n the transmitter 20 . Alternatively, the terminal device 10 can acquire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the radio waves received from all the senders and activate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제 4 변형예)(Fourth Modification)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음파 대신 광파에 의거하여 점포로의 방문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광파는 예를 들면 벽, 문, 또는 파티션과 같은 장해물을 투과하는 능력에 있어서 전파와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전파와 비교했을 때, 광파는 투과 능력이 보다 낮고, 직진성에 있어서 보다 뛰어나며, 회절될 가능성이 적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음파 대신 광파를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의 음파에 관한 구성은 광파에 관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후,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의 음파에 관한 구성이 광파에 관한 구성으로 대체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can detect a visit to a store based on a light wave instead of a sound wave. In addition, the light wave differs from the wave in its ability to transmit obstructions such as walls, doors, or partitions. In most cases, compared to radio waves, light waves have lower permeability, better linearity, and less physical property of being diffracted. When a light wave is used instead of a sound wave,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sound wave of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replaced with a structure related to the light wave.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sound waves of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replaced with a configuration related to light waves.

도 17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문 검지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20)는 스피커(22) 대신에, 광파를 방사하는 광파 발신 유닛으로서 발광 유닛(24)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10)가 광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거리 내의 발신기(20)로 접근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발신기(20)의 발광 유닛(24)으로부터 발신되는 광파를 수신한다. 발신기(20)의 발광 유닛(24)으로부터 발신되는 광파가 도달 가능한 영역(TL)(이후 "광파 도달 가능 영역"이라 칭해진다)은 예를 들면 점포(200)의 부지 내에 포함되고, 이 전체 영역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 내에 포함된다.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17, the transmitter 2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24 instead of the speaker 22 as a light wave transmitting unit that emits a light wave. The terminal device 10 receives the light wave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4 of the transmitter 20 when the terminal device 10 approaches the transmitter 20 within a distance that can communicate using the light wave. A region TL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ght wave reachable region") in which the light wav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4 of the transmitter 20 can reach is contained in the site of the store 200, Is included in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도 18은 방문 검지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Fig.

먼저, 발신기(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20)는 안테나(21), 발광 유닛(24), 및 발신 제어 유닛(23)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24)은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이며, 발신 제어 유닛(23)의 제어에 따라 광파를 발신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전파와 광파를 이용하여 정보 발신을 제어한다. 광파를 이용하는 정보 발신을 설명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명멸(blinking)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광파를 발광 유닛(24)으로부터 발신한다. 발신 제어 유닛(23)은 분배될 점포 식별 코드와 일의적으로 관련된 광파를 발신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20 will be described. 18, the transmitter 20 includes an antenna 21, a light emitting unit 24,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 The light emitting unit 24 is,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emits a light wave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controls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radio waves and light waves.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a light wave will be described. The emission control unit 23 emits, for example, a light wave formed by blinking infrared or visible light from the light-emitting unit 24. The outgoing control unit 23 sends a light wave uniquely associated with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to be distributed.

이어서, 단말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마이크로폰(13) 및 A/D 변환기(14) 대신 촬상(imaging) 유닛(19)을 포함한다. 촬상 유닛(19)은 촬상을 수행하기 위한 촬상 장치(디지털 카메라)이다. 촬상 유닛은 촬상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촬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처리를 수행하고 제어 유닛(11)에 데이터를 공급한다.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을 작동시켜 통지 제어 유닛(111), 기동 제어 유닛(112a), 및 처리 유닛(113a)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처리 유닛(113a)은 광파에 의해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점포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해 코드 처리를 수행하는 코드 처리 유닛(1131a)을 실현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8, the terminal device 10 includes an imaging unit 19 instead of the microphone 13 and the A / D converter 14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mage pickup unit 19 is an image pickup apparatus (digital camera) for performing image pickup. The image pickup unit performs image pickup processing for generating pickup data representing the picked-up image and supplies data to the control unit 11. [ The control unit 11 operates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to realiz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11, the startup control unit 112a, and the processing unit 113a. The processing unit 113a implements a code processing unit 1131a that performs code processing to obtai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by the light wave.

기동 제어 유닛(112a)은 광파 수신 유닛(100a)을 기동시켜,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게 한다. 광파 수신 유닛(11a)은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광파를 수신하는 유닛(광파 수신기)이다. 구체적으로, 광파 수신 유닛(100a)은 촬상 유닛(19) 및 코드 처리 유닛(1131a)에 의해 실현된다. 광파 수신 유닛(100a)이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촬상 유닛(19)은 촬상 처리를 수행하고 코드 처리 유닛(1131a)은 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The startup control unit 112a activates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to bring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into a waiting state for receiving the light wave on condition that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receiv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1a is a unit (light wave receiver) that receives a light wave when it is in a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light wave. Specifically,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is realized by the image pickup unit 19 and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a. When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enters the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light wave, the image pickup unit 19 performs image pickup processing and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a performs code processing.

광파 수신 유닛(100a)이 발신기(20)로부터 광파를 수신했을 때, 처리 유닛(113a)은 수신된 광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 처리 유닛(113a)의 코드 처리 유닛(1131a)은 촬상 유닛(19)으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점포 식별 코드를 얻는다. 처리 유닛(113a)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기동시키고 기동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에 의거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When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receives the light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the processing unit 113a performs a specific process based on the received light wave.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a of the processing unit 113a performs a process of analyzing the image pickup data supplied from the image pickup unit 19 to obtai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The processing unit 113a starts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corresponding to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by the code processing and performs processing based on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to be started.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visit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19는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은 스텝 S1~S3의 처리를 실행하고, 무선 통신 유닛(12)은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며, 사용자(U)는 전파의 수신을 통지받는다. 이어서, 광파 수신 유닛(100a)이 기동되어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된다(스텝 S4a). 스텝 S4a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에 의거하여, 전파의 수신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SA)을 특정하고, 특정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의 광파가 광파 수신 유닛(100a)에 의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a). 스텝 S5a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11)은 광파 수신 유닛(100a)이 코드 처리에 의해 점포 식별 코드를 얻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발신기(20)로부터의 광파 수신의 유무를 판별한다. 제어 유닛(11)은 발신기(20)로부터 광파가 수신된 것이 판별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5a에서 NO). 이후, 사용자(U)가 광파 도달 가능 영역(TL) 내로 이동하고 촬상 유닛(19)을 발신기(20)의 발광 유닛(24)쪽으로 향하게 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광파가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a에서 YES).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코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점포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한다. 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Fig.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device 10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s S1 to S3 and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receives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and the user U is notified of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 Subsequently,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is activated and enters a waiting state for receiving the light wave (step S4a). In step S4a, the control unit 11 specifies th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SA corresponding to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by reception of the radio wave based on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MA, Lt; / RTI >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ight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received by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step S5a). In the process of step S5a,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ght wave reception from the transmitter 20 depending on whether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has obtained the store identification code by code processing. The control unit 11 waits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light wav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NO in step S5a). Thereafter, when the user U moves into the light wave attainable region TL and directs the image pickup unit 19 to the light emitting unit 24 of the transmitter 20,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light wav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20, (Step S5a: YES).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 S6 by the same proced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ased on the shop identification code obtained by the code processing.

이어서, 사용자(U)가 점포(200)를 떠날 때 단말 장치(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user U leaves the store 200 will be described.

도 20은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2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10. Fig.

제어 유닛(11)은 촬상 유닛(19)이 광파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 사용자(U)가 전파 도달 가능 영역(TE)의 외부로 이동했을 때, 제어 유닛(11)은 스텝 S11의 처리에 있어서의 "NO"를 판별하고 발신기(2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중단된 것을 통지 유닛(16)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 S12). 이어서, 제어 유닛(11)은 무선 통신 유닛(12)에 의한 전파의 수신이 중단되거나, 또는 스텝 S12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U)에게 통지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3). 발신기(2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것이 판별되었을 때(스텝 S14에서 NO), 제어 유닛(11)은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13과 스텝 S14의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13에서 NO → 스텝 S14에서 NO → 스텝 S13에서 NO...). 발신기(20)로부터 전파를 다시 수신하지 않은 채 설정 시간이 경과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스텝 S13에서 YES), 제어 유닛(11)은 광파 수신 유닛(100a)을 중단시킨다(스텝 S15). 반면, 설정 시간의 경과 전에 전파가 다시 수신된 것이 판별되었을 때(스텝 S14에서 YES), 처리는 스텝 S11의 처리로 돌아간다. The control unit 11 judge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is stopped when the image pickup unit 19 is in the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light wave (step S11). When the user U moves outside the radio wave attainable region TE,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NO" in the process of Step S11 and stops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from the transmitter 20 The notification unit 16 notifies the user (step S12).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reception of the radio wave by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is stopped or the user U is notified in step S12 S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NO in step S14), the control unit 11 repeats the processing of step S13 and step S14 until the set time elapses (NO in step S13) NO in step S14? NO in step S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time has elapsed without receiving the electric wave again from the transmitter 20 (YES in step S13), the control unit 11 stops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step S15).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wave is received again before the elapse of the set time (YES in step S14),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 of step S11.

또한, 음파에 관한 구성 대신의 광파에 관한 구성은 각각의 제 2, 제 3 실시형태 및 상기 각각의 변형예의 방문 검지 시스템(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파에 관한 이 구성이 적용된 방문 검지 시스템(1)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변형예의 설명으로부터 추정될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wave instead of the sound wave configura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the variation detection systems 1,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to which this configuration relating to the light wave is applied will be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modification.

(제 5 변형예)(Fifth Modification)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파 수신 유닛(100)이 A/D 변환기(14), 코드 처리 유닛(1131)을 포함하지만, A/D 변환기(14)는 제외될 수 있다. 음파 수신 유닛(100)의 중단 중에라도, 제어 유닛(11)은 마이크로폰(13)에 의해 검지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A/D 변환기(14)로부터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었을 때, 코드 처리 유닛(1131)이 수신된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코드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1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구성을 제 2 실시형태의 단말 장치(10)에 적용했을 경우, 제어 유닛(11)은 음파 수신 유닛(100)의 중단 중에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단말 장치(10)가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유닛(11)이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의거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으로부터 단말 장치(10)를 꺼낼 때 생성되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운드를 검지했을 때, 단말 장치(10)가 음파 도달 가능 영역 내에 있다고 판별된다. 또한, 제 4 변형예에 따른 광파 수신 유닛(100a)이 촬상 유닛(19) 및 코드 처리 유닛(1131a)을 포함하지만, 촬상 유닛(19)은 제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파 수신 유닛(100)이 중단되었을 때, 코드 처리 유닛(1131a)이 수신된 촬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코드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1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ncludes the A / D converter 14 and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 but the A / D converter 14 can be excluded. The control unit 11 can obtain a digital audio signal from the A / D converter 14 on the basis of the sound wave detected by the microphone 13, even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opped. In this case as well,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opped, since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 does not perform the code processing based on the received speech signa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can be reduced .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1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terminal device 10 10) is within the sound-wave attainable region.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cts a sound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which is generated when the terminal apparatus 10 is taken out from the bag or bag, based on the audio signal supplied from the microphone 13, (10) is within the sound-wave attainable region. Further, the light wave receiving unit 100a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cation includes the image pickup unit 19 and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a, but the image pickup unit 19 can be excluded. In this case as well,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opp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can be reduced because the code processing unit 1131a does not perform code processing based on the received imaging data.

(제 6 변형예)(Sixth Modification)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점포(200)에의 사람의 방문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되는 장소로의 사람의 방문도 검지할 수 있다.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유원지와 같은 점포 이외의 상업 시설이나, 역 또는 관공서(town hall)와 같은 공공 시설, 사무실 또는 호텔 로비와 같은 많은 불특정 사람들이 드나드는 장소에 사람이 방문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문 검지 시스템(1)은 예를 들면 스탬프 랠리(stamp rally) 또는 워크 랠리(walk rally)에 있어서 소정 위치(체크 포인트)에 사람이 방문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방문 검지 시스템(1)은 회사, 공장, 또는 집과 같이 특정 사람이 드나드는 장소에 사람이 방문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can detect not only a person's visit to the store 200 but also a person's visit to a plac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visiting detection system (1) detects a visitor's visit to a commercial facility other than a store such as an amusement park, a public facility such as a station or a town hall, a place where a lot of unspecified persons such as an office or a hotel lobby enter and exit . Alternatively, the visiting detection system 1 can detect that a person is visi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check point) in, for example, a stamp rally or a walk rally. Alternatively,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may detect a person visiting a place where a particular person goes, such as a company, a factory, or a house.

방문 검지 시스템(1)에 의해 검지되는, 사람이 방문하는 장소에 관계없이, 발신기(20)는 단지 전파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자신의 장치 또는 그 설치 위치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점포 식별 코드를 발신하기 위해 필요된다. Regardless of the place visited by a person, which is detected by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the transmitter 20 uses only a radio wave or a sound wave to store a shop identification code for uniquely identifying the apparatus or its installation position It is necessary to send out.

대안적으로, 비교적 큰 범위의 전파 도달 가능 영역과 비교적 작은 범위의 음파 도달 가능 영역을 구별하도록, 발신기(20)는 각각의 이 영역에 다른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기(20)는 계층적으로 연관된 복수의 정보 중 전파를 사용하여 상위 레벨의 정보를, 음파를 사용하여 하위 레벨의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mitter 20 may send different information to each of these areas so as to distinguish between a relatively large range of radio wave reachable areas and a relatively small range of sound wave reachable areas. In this case, the transmitter 20 can transmit information at a higher level by using a radio wave among a plurality of hierarchically 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t a lower level by using a sound wave.

발신기(20)가 기차 또는 버스(또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또는 다양한 종류의 수송기)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정보를 발신하는 예를 설명한다. 차량 내부 영역과 차량의 외부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발신기(20)는 각각의 개별적인 영역에 있는 사용자(U)의 단말 장치(10)에 존재 영역에 대응하여 사용자(U)에게 유용한 정보를 발신한다.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transmitter 20 is installed in a vehicle such as a train or a bus (or various kinds of vehicles or various types of transporters) to transmit informa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in-vehicle area and the outside area of the vehicle, the transmitter 20 transmits useful information to the user U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area in the terminal device 10 of the user U in each individual area.

예를 들면, 발신기(20)는 차량 주변의 외부 공간(예를 들면, 입구와 가까운 공간)과 차량의 내부 공간(예를 들면, 객실)을 향해, 차량의 목적지 및 주요 경유 지점(예를 들면, 역 또는 버스 정류장)을 포함하는 이동 안내와 같은 정보를 안테나(21)로부터 발신한다. 또한, 발신기(20)는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다음 정류장 및 다음 정류장과 가까운 지리적 정보와 같은 정보를 스피커(22)로부터 발신한다. 이 점에 있어서, 발신기(20)는 차량 주변의 외부 공간을 향해 스피커(22)로부터 정보를 발신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transmitter 20 can transmit a vehicle's destination and a main route point (for example, a destination) to an external space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a space close to the entrance) , A station or a bus stop) from an antenna 21. [0050] In addition, the transmitter 20 sends information from the speaker 22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such as geographical information close to the next stop and the next stop. In this regard, the transmitter 20 does not transmit information from the speaker 22 toward the external space around the vehicle.

(제 7 변형예)(Seventh Modification)

단말 장치(10)로부터 관리 서버(30)에 발신되는 방문 상황 데이터는 점포와 관련된 마케팅을 위해 유용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sit status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 to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useful for marketing related to the store.

단말 장치(10)는 방문 상황 데이터 내에 사용자(U)를 특정할 수 있는 사용자 특정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ID 또는 성명), 사용자(U)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속성 정보는 나이, 성별, 직업, 및 취미와 같은 정보이다. 단말 장치(10)를 휴대한 사용자(U)가 전자 결재 서비스를 이용해서 점포(200)에서 전자 결재를 수행했을 때, 단말 장치(10)는 방문 상황 데이터 내에 지불 상태(구매한 상품 및 결재)를 나타내는 지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방문 상황뿐만 아니라 전파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방문 상황을 나타내는 방문 상황 데이터를 관리 서버(30)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는 사용자가 점포(200)에 실제로 방문했는지, 사용자가 점포에 들렀지만 실제로 그 안으로 들어오지 않았는지의 여부와 같은 보다 상세한 사용자(U)의 방문 상황을 검지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 may include user attribute information indicating attributes of the user U and user specifying information (e.g., a user ID or a name) capable of specifying the user U in the visit situation data. User attribu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such as age, sex, occupation, and hobbies. When the user U carrying the terminal device 10 performs electronic settlement in the shop 200 using the electronic approval service, the terminal device 10 displays the payment status (purchased goods and payment) in the visit status data, Payment information " Furthermore, the terminal device 10 can transmit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e visiting situation data indicating the visiting conditions specified based on the radio waves as well as the visiting conditions specified based on the sound waves.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detect a more detailed state of the user U's visit, such as whether the user has actually visited the store 200 or whether the user has visited the store but has not actually entered the store 200 .

관리 서버(30)는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방문 상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케팅에 관한 정보를 생성해서, 생성된 정보를 마케팅 회사의 컴퓨터 장치와 같은 소정 출력 목적지로 출력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30 analyzes the visit situation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 to generate information on marketing and output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output destination such as a computer device of a marketing company.

(제 8 변형예)(Modification 8)

발신기(20) 및 단말 장치(10)는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기(20)는 와이파이 규격 또는 다른 무선랜(Local Area Network)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21)로부터 전파를 발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0 and the terminal device 1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communication standard other than Bluetooth. For example, the transmitter 20 can send radio waves from the antenna 21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Wi-Fi standard or other local area network standards.

음파와 전파를 발신하는 기능을 갖는 발신기(20)를 실현하는 대신에, 발신기는 전파를 발신하는 발신기(전파 발신기) 및 음파를 발신하는 발신기(음파 발신기)를 분리적으로 구비하도록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파 발신기 및 음파 발신기는 점포(200) 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stead of realizing the transmitter 20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ound wave and a radio wave, the transmitter may be realized by separately providing a transmitter (a radio wave transmitter) that transmits radio waves and a transmitter (a sound wave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sound wave . In this case, the radio wave transmitter and the sound wave transmitter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shop 200.

발신기(20)는 이 안테나로부터 각각 다른 식별 코드를 발신하도록 다른 전파의 발신 강도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는 전파의 수신 강도에 의거하지 않고 소정 발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소정 발신기(20)(즉, 발신 위치)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radiated wave strengths to transmit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s from the antenna. In this case, the terminal apparatus 10 can estimate the distance to the predetermined transmitter 20 (that is, the calling pos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predetermined transmitter, not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

발신기(2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및 음파의 발신 경로의 매개체는 공기와 같은 기체에 한정되지 않고, 고체 또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um of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radio waves and the sound waves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is not limited to a gas such as air, but may include solid or liquid.

(제 9 변형예)(Ninth Modified Example)

방문 검지 시스템(1)은 복수의 점포(200)에의 사용자(U)의 방문을 검지하기 위해 복수의 발신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신기(20)는 점포(200)의 부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발신기(20)들은 점포(200) 부지 내의 다른 영역(예를 들면, 카운터)에 각각 다른 식별 코드를 발신할 수 있다. The visit detection system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ders 20 for detecting a visit of a user U to a plurality of stores 20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nsmitters 20 may be installed in the site of the store 200. In this case, the transmitters 20 can transmit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s to different areas (e.g., counters) within the site of the store 200.

상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0)가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코드 처리를 수행하지만, 단말 장치(10)는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한 코드 처리 이외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는 목소리 인식 처리 또는 음성 지문의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terminal device 10 performs code processing based on the received sound wave, but the terminal device 10 can perform processing other than the code processing based on the received sound wave.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 can perform a voice recognition process or a voice fingerprint analysis process.

사용자(U)가 점포를 방문했을 때, 단말 장치(10)가 사용자(U)에게 통지한 후 음파 수신 유닛(100)을 기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 및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 후에 수행될 수 있다. The case where the terminal U is notified to the user U and t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arted when the user U visits the store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notification to the user U and activation of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notification to the user U may be performed after activation of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

또한, 단말 장치(10)는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켰을 경우 사용자(U)에게로의 통지를 제외할 수 있다. Further, the terminal device 10 may exclude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U when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s stopped.

발신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수행되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 제어에 대해, 단말 장치(10)는 음파 수신 유닛(100)의 기동을 수행하지만 음파 수신 유닛(100)을 중단시키는 것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 executes the start of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but stops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in response to the start control of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0 It may not be performed.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폰 단말기, 태블릿 단말기, 개인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컴퓨터, 포터블 게임기, 또는 포터블 뮤직 플레이어와 같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다른 단말 장치(즉, 포터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but may be a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 tablet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mobile computer, a portable game machine, That is, a portable terminal device).

각각의 단말 장치(10)의 제어 유닛(11) 및 발신기(20)의 발신 제어 유닛(23)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복수의 프로그램의 조합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자원의 협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유닛(11) 및 발신 제어 유닛(23)의 기능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경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분배되거나, 자기 기록 매체[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Hard Disk Drive), FD(Flexible Disc) 등], 광학 기록 매체(광학 디스크 등), 광자기 기록 매체 또는 반도체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 of each terminal device 10 and the originating control unit 23 of the transmitter 20 can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rogra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hardware resources. When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11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3 are realized by a program, the progra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 or may be distributed over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tape, a hard disk drive, ), Etc.),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or a semiconductor memory.

1 : 방문 검지 시스템
10 : 단말 장치
11 : 제어 유닛
111 : 통지 제어 유닛
112, 112a : 기동 제어 유닛
113, 113a : 처리 유닛
1131, 1131a : 코드 처리 유닛
12 : 무선 통신 유닛
13 : 마이크로폰
14 : A/D 변환기
15 : 메모리 유닛
16 : 통지 유닛
17 : 네트워크 통신 유닛
18 : 센서 유닛
19 : 촬상 유닛
20 : 발신기
21 : 안테나
22 : 스피커
23 : 발신 제어 유닛
24 : 발광 유닛
30 : 관리 서버
100 : 음파 수신 유닛
100a : 광파 수신 유닛
200, 200A, 200B : 점포
1: Visit detection system
10: Terminal device
11: Control unit
111: Notification control unit
112, 112a: Start control unit
113, 113a: processing unit
1131, 1131a: code processing unit
12: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microphone
14: A / D converter
15: memory unit
16: Notification unit
17: Network communication unit
18: Sensor unit
19:
20: Transmitter
21: Antenna
22: Speaker
23: Outgoing control unit
24: Light emitting unit
30: Management server
100: sound wave receiving unit
100a: Light wave receiving unit
200, 200A, 200B: stores

Claims (17)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에 포함된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센서부의 검출 결과 또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판별 유닛, 및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 및 중단시키는 기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통지 후에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파 수신 가능 상태라고 판별할 때 중단 상태의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A sonic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onic waves,
A radio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radio waves,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notify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wave receiver is detected,
A discrimination unit configured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section or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Performs start-up control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sound wave recei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on the condition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detected and after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the discrimination unit judges tha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And a start controller configured to start the sound wave receiver in the stopped state.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파를 수신하는 스텝,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스텝,
센서부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 및
상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통지 후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파 수신 가능 상태라고 판별될 때 음파를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 내의 중단 상태인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a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A step of receiving radio waves,
A step of notifying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a received radio wave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section or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step of activating a sound wave receiver which is in an interrupted state in the terminal device so as to receive a sound wa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after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on condition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detect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기는 상기 음파 수신기의 기동 후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중단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ound wave receiver is stopped based on a radio wave received after activation of the sound wave recei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기는 상기 전파의 발신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그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중단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wave receiver is interrupted on condition that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ssion position of the radio wave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기는 상기 전파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설정 기간 동안 유지되었을 때 중단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wave receiver is stopped when a state in which the radio wave is not received is maintained for a set peri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의 도달 가능 영역 내에서 음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performing a specific process on the basis of a sound wave received by the sound wave receiver within the reachable area of the radio wave.
제 2 항에 있어서,
휘도 센서, 가속 센서, 경사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지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별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is in a sound wave receivable state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at least one of a luminanc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ilt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ttitude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상태, 또는 이미지가 상기 단말 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상태일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별되는 것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operating state operated by the user or in the display state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
음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음파 수신기와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내의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제어기;
센서부의 검출 결과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판별 유닛; 및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 및 중단시키는 기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식별 코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그리고 상기 사용자로의 통지 후에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음파 수신 가능 상태라고 판별할 때 중단 상태의 상기 음파 수신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동 제어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A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he computer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in a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a sound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sound waves and a radio wav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radio waves,
The program causing the computer to: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notify a user when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a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wave receiver is detected;
A discrimination unit configured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part and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And
Performs start control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sound wave recei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on condition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detected and after the notification to the user, the discrimination unit judges tha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And to act as a start controller configured to start the sound wave receiver in a stopped stat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기는 상기 음파 수신기의 기동 후,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에 의거하여 상기 음파 수신기를 중단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art controller stops the sonic receiver based on a radio wave received by the radio receiver after activation of the sonic receiv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기는 상기 전파의 발신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그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음파 수신기를 중단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art controller stops the sonic receiver on condition that the distance from the originating position of the radio wave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기는 상기 전파가 상기 전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설정 기간 동안 유지될 때 상기 음파 수신기를 중단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art controller stops the sonic receiver when a state in which the radio wave is not received by the radio receiver is maintained for a set peri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상기 전파의 도달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음파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음파에 의거하여 특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로서 더 기능하도록 하는 것인 프로그램.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gram causes the computer to function as:
And to perform specific processing based on the sound waves received by the sonar receiver within the reachable area of the radio wav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유닛은 휘도 센서, 가속 센서, 경사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프로그램.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crimin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of a luminanc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ilt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ttitude sensor, and the discrimination unit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sound wave receivable state The program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상태, 또는 이미지가 상기 단말 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상태일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가 음파 수신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프로그램.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crimination unit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apparatus is in an acoustic wave receivable state when the terminal apparatus is in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terminal apparatus is operated by the user or in a display stat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terminal apparatus .
KR1020140150293A 2013-10-31 2014-10-31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7110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7507 2013-10-31
JP2013227507A JP6160447B2 (en) 2013-10-31 2013-10-31 Terminal device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14A KR20150050514A (en) 2015-05-08
KR101711064B1 true KR101711064B1 (en) 2017-03-13

Family

ID=5190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293A KR101711064B1 (en) 2013-10-31 2014-10-31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17160A1 (en)
EP (1) EP2869080B1 (en)
JP (1) JP6160447B2 (en)
KR (1) KR101711064B1 (en)
CN (1) CN104601250B (en)
TW (1) TWI61578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412B2 (en) * 2015-02-25 2018-08-14 Ricoh Company, Ltd.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6631038B2 (en) * 2015-05-19 2020-01-15 株式会社リコー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891946B2 (en) * 2015-05-19 2021-06-18 株式会社リコー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information terminals, and programs
JP6505615B2 (en) * 2016-01-15 2019-04-24 株式会社リクルート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6907456B2 (en) * 2015-08-10 2021-07-21 株式会社リコー Output devic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620551B2 (en) * 2015-12-25 2019-12-18 株式会社リコー Output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ound wave out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6210294B (en) * 2016-06-30 2019-10-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Screen state method for handover control and device
CN106896356B (en) 2016-08-17 2019-11-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Determine method, position indicating method and its device and system of distance change
CN106355394A (en) * 2016-08-22 2017-01-25 广西咪付网络技术有限公司 Payment control method based on mobile intelligent terminal sensor
JP6666227B2 (en) * 2016-09-30 2020-03-13 株式会社Nttドコモ Judgment device
JP6923860B2 (en) * 2017-04-17 2021-08-25 株式会社スマート・ソリュ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Communication systems, communication methods, and programs
JP7286329B2 (en) * 2018-01-31 2023-06-05 株式会社東芝 radio system
JP7121963B2 (en) * 2020-09-29 2022-08-19 株式会社パークランド advertising system
JP7129743B1 (en) 2021-07-01 2022-09-02 株式会社電通 STORE APPLICATION CONTROL DEVICE, STORE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E APPLICATION CONTROL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2849A1 (en) * 2007-02-02 2008-10-23 Markus Buck Voice control system
US20110028160A1 (en) * 2009-07-29 2011-02-03 Cyriac Roeding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triggered rewards
US20130281084A1 (en) * 2012-04-24 2013-10-24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Providing derived location information for customer relationship in response to receipt of short range wireless beac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2895B2 (en) * 2011-06-03 2015-02-10 Apple Inc. Motion-based device operations
JP4535857B2 (en) * 2004-11-30 2010-09-01 スズキ株式会社 Vehicle sharing system
JP4634878B2 (en) * 2005-07-07 2011-02-16 株式会社東芝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049610A1 (en) * 2007-08-20 2009-02-26 Hill-Rom Services, Inc. Proximity activation of voice operation of hospital bed
US7710824B1 (en) * 2007-09-18 2010-05-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cation monitoring and sonar determination of presence
DK2065726T3 (en) * 2007-11-13 2012-05-21 Uni I Oslo High capacity ultrasonic zone localization system
JP5096128B2 (en) * 2007-12-25 2012-12-12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WO2010016589A1 (en) 2008-08-08 2010-02-11 ヤマハ株式会社 Modulation device and demodulation device
US20120158238A1 (en) * 2010-07-14 2012-06-21 Marcus Isaac Daley Location based automobile inspection
JP2012252371A (en) 2011-05-31 2012-12-20 Butterfl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2849A1 (en) * 2007-02-02 2008-10-23 Markus Buck Voice control system
US20110028160A1 (en) * 2009-07-29 2011-02-03 Cyriac Roeding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triggered rewards
US20130281084A1 (en) * 2012-04-24 2013-10-24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Providing derived location information for customer relationship in response to receipt of short range wireless beac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5788B (en) 2018-02-21
TW201531979A (en) 2015-08-16
JP6160447B2 (en) 2017-07-12
CN104601250A (en) 2015-05-06
KR20150050514A (en) 2015-05-08
EP2869080B1 (en) 2022-05-11
US20150117160A1 (en) 2015-04-30
JP2015088054A (en) 2015-05-07
CN104601250B (en) 2018-07-06
EP2869080A1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64B1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9787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features of wireless mobile devices
KR101625702B1 (en) Context-based interaction model for mobile devices
KR101811546B1 (en)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JP5971768B2 (en) Speech positioning using speech signal encoding and recognition
US20150065078A1 (en) Alarm system
JP2021100251A (en)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nic proximity service
JP4417531B2 (en) POSITION PROCESSING SYSTEM AND POSITION PROCESSING MOBILE UNIT DEVICE
JP2017116389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6781242B (en) The method for early warning and device of danger zone
US10441495B2 (en) Guiding people using acoustic signals
US20180012259A1 (en) Product display systems integrated with beacon technology to assist shopper navigation
JP2014192813A (en)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specific position on basis of received radio wave strength per channel
WO20131858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n object at distance
KR20120076509A (en)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navigation service
JP690706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671394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program,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01878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a user device based on sensor readings of the user device
KR20170087270A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lodging management and portable terminal
KR1022505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osition of terminal
KR10245299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based on a location
KR1011932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Environmental Information
KR100926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aging by using rssi and time delay algorithm
KR1008852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personal belongings loosing
CN111107457A (en)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headset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