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46B1 -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46B1
KR101811546B1 KR1020160171557A KR20160171557A KR101811546B1 KR 101811546 B1 KR101811546 B1 KR 101811546B1 KR 1020160171557 A KR1020160171557 A KR 1020160171557A KR 20160171557 A KR20160171557 A KR 20160171557A KR 101811546 B1 KR101811546 B1 KR 10181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fence
mobile terminal
location
servic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9352A (en
Inventor
전병국
조성국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9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G01S19/12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wherein the cooperating elements are telecommunicatio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04W4/04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혼합 측위 기술을 이용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지오펜스 영역이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를 적용함으로써 지오펜스 서비스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사용자의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며, 서비스 제공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이며, 건물 내에서의 층간 이동을 인식하는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using a hybrid positioning technique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module and a WiFi module. The geofence area is divided into a geofence area By applying geo-fence, which can be moved to different locations, it is possible to broaden the application range of geofence service, increase user's service reliability, reduce power consumption by providing service, and provide 3D geofence service to recognize interlayer movement in a building can do.

Description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Objects

본 발명은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를 이용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object Internet that performs a geofence service using a movable geofence that is positionally changed according to a moving path of a moving object.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GPS가 탑재되면서 실생활의 다양한 영역에 위치 기반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알려주는 길안내(내비게이션) 서비스와 함께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지오펜스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지오펜스 서비스는 관심지역(Point of Interest;POI)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정된 반경(지오펜스 영역) 안으로 사용자가 진입하거나 이탈시 문자 메시지로 알려주며, 이미 광고 시장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As most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GPS, location-based services are being used in various areas of real life. A geofence servic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has appeared along with a navigation service (navigation service) which indicates an optimal route to a desired destination. The geofence service is already actively used in the advertisement market by informing the user of entering or leaving a preset radius (geofence area) based on a point of interest (POI) by a text message.

종래에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오펜스 영역들을 사전에 설정해 두고, 이러한 지오펜스 영역들에 진입한 경우 문자 메시지로 알려주기 때문에 서비스 범위가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된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ast, geofence areas that can receive a geofence service are set in advance, and when they enter these geofence areas, they are informed by a text message that the service range is dependent on the service provider, The service is performed only in the service area.

또한, 실내로 들어가면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이 불가능하고, 실내 공간이 대형화됨에 따라 실내에서의 지오펜스 서비스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using GPS when entering the room, and as indoor space becomes larger, the necessity of geofence service in the room is increasing.

또한,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의 소모 전력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거나 보조 배터리를 구비해야 하는 사용상 불편이 따른다. Further, in order to continuously tra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erform the geofence servi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user needs to secure enough battery capacity, There is an inconvenience.

또한 인터넷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에서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 ICT 기기 대부분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조명, 가전, 시설물의 제어시스템 등 다양한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됨에 따라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는 사물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통신 환경에서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현장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evices that can freely use the Internet can accommodate most of ICT devices such as tablet PCs, smart TVs, etc. in smartphones, and various objects such as automobiles, lighting, appliances, There is a growing demand in the field of performing geofence services in a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called the Internet, which connects people and objects, objects and objects.

한국등록특허 제10-1504555호(2015.03.23. 공고)Korean Patent No. 10-1504555 (Announcement on March 23, 20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1450호(2015.10.06.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11450 (published October 10, 2015)

없음none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를 도입하여 지오펜스 서비스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the utilization range of the geofence service by introducing a mobile geofence that changes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 내에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치 측정이 애매한 장소로서 실외와 실내의 경계 영역에서 사용자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service by accurately identifying a user's location in a boundary area between an outdoor area and an indoor area as a place where the location measurement is ambiguous even though it exists in a mobile geofenc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 지속 시간을 한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rminal by temporarily applying a mobile geofence duration time-shifted according to a movement path of the mobile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은, 실외 또는 실내에서 위치 측정을 위한 위치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데이터에 따라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을 휴대한 이동 객체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3차원 지오펜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위치 데이터로서 실내에서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에 직접 전달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로서 실외에서 수집된 GPS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오펜스 반경을 포함한 지오펜스 데이터를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맥 어드레스 정보와 지오펜스 데이터를 근거로 3차원 공간상 상기 이동 단말 위치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변경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업 데이트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을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을 근거로 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타임스탬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타임스탬프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시간이 경과하면 지오펜스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이동 단말에서 GPS 데이터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는 실외와 실내의 경계 영역에서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의 수신강도를 이용하여 실외 또는 실내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an Internet, including a mobile terminal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location data for location measurement in an outdoor or indoor environment; And setting a geofence area based on the lo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object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set geofence area or not, Wherein the mobile terminal directly transmit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collected in the room as the location data to the 3D geophensis server, The 3D geofence server transmits geofence data including GPS data collected outdoors as position data and geofence data including a geofence radius set by the user to the 3D geofence server,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geofence data The moving type geofence area is se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search,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updated by monitor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ving type geofence area is reset. A time stamp is set in order to temporarily apply the geofence service, and the geofence service is deactivated when a predetermined time is set by the set time stamp, and the GPS data and the MAC addres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outdoor and the indoor, which can simultaneously collect the indoor and outdoor areas, by us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signal.

또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수집하는 무선 액센트 포인트 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라 복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우선순위 신호그룹과 차순위 신호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우선순위 신호그룹과 차순위 신호그룹이 모두 생성되는 경우 실내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우선순위 신호그룹이 생성되나 상기 차순위 신호그룹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실외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priority signal group and an order signal group are generated for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rength of a wireless accent point signal collec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determines that the priority signal group is an outdoor zone if the priority signal group is generated but the next signal group is not generated.

또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정보는 맥어드레스와 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includes a MAC address and layer informa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오펜스 서비스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에 근거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일방적인 서비스 제공 방식에 비하여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쿠폰이나 이벤트를 문자 메시지로 푸시하여 알려주는 광고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eofence service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a mobile geofence that changes position according to a movement path of a moving object in a state where a geofence service is activa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advertisement field which enhances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compared to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informs by pushing a coupon or an event by a text messag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를 적용하는 가상의 지오펜스 영역에 대해 타임 스탬프를 설정하고, 타임 스탬프에 기반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자동으로 비활성화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ime stamp is set for a virtual geofence area to which a mobile geofence is applied, which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geofence service is automatically deactivated based on the time stamp, Power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이동 객체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위치 추적이 가능한 사물로서 무인 자율 자동차, 선박, 자전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와 협력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moving object is at least one of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a ship, and a bicycle, which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apable of tracking a position, and is provided with a geofenc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the 3D geofence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지오펜스 영역에 위치한 건물의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시 적용하는 AP(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종래기술에서 지오펜스 서비스를 위하여 지오펜스 영역들이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지오펜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과 3차원 지오펜스 서버가 협력하여 이동형 지오펜스 설정 및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과 3차원 지오펜스 서버가 협력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여러 상황에 해당하는 각각의 예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하는 이동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가상의 지오펜스 영역에 예시적으로 표시한 건물의 실외와 실내의 경계 영역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위치를 잘못 인식하는 인식 오류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식별 알고리즘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여러 상황에 해당하는 각각의 예시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한적 속성을 갖는 지오펜스 서비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한적 속성을 갖는 지오펜스 서비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여러 상황에 해당하는 각각의 예시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3D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P (wireless access point) to be used when providing a geofence ser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f a building located in a geofence area,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ofence service FIG. 2C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vable ge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geofence setup and update process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3D geofence ser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 geofenc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3D geofence ser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10B show exemplary screens cor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whe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an application.
1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pplied to a mobile 3D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ype of recognition error that erroneously recognizes a user's location mov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outdoor and indoor areas of a building, which is exemplarily shown in a virtual geofence area.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to 19 show exemplary screens cor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whe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geofence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geofence service having a timed attribu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ofence service operation having a timed attribu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to 30 show exemplary screens cor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whe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이하 서비스 시스템이라 한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3D geofence servic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이동 객체(사람이나 사물)이 휴대한 이동 단말(1),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 사물(20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system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1 carried by a moving object (person or objec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1000, an object 2000,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1)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 described herein may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tablet PCs,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1)은 무선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a storage unit,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상기 구성요소 중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방송 수신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according to technical standard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a communication method.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AN(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or externall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Examples of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 a WAN (Wireless LAN), a Wi-Fi (Wi-Fi), and the lik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e technique.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can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infrared communication.

위치 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GPS 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은 와이파이(Wi-Fi) 모듈을 활용하면, 와이파이(Wi-Fi) 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 정보 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r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there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FI modul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by using the GPS modul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a Wi-Fi module,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transmitting 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a Wi-Fi module Can be obtaine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replace or additionally perform any of the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neede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입력부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The input unit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cameras . The camera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serves as a channel with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se interfac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 ≪ / RTI > The mobile terminal can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저장부는 이동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이동 단말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storage unit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reside on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time of departure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e.g., phone call incoming /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 origination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driven by the control unit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단말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Such a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so,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시스템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 단말(1)이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와 협력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는 것일 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단말(1)이 단독으로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사물(2000)이 통신망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1) 및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와 협력하는 것으로 사물 인터넷에 연계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사물(2000)이 제외된 상태로 지오펜스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service system, so that the service system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1, it is illustrated that the mobile terminal 1 performs a geofenc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the 3D geofence server 1000, and only the mobile terminal 1 performs a geofence service as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1, an object 200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operates with a mobile terminal 1 and a 3D geofence server 1000 to show an example linked to a thing Internet. The Geofence service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이동형 지오펜스를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형 지오펜스를 적용받는 지오펜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인식할 뿐 아니라 도 2a에서 지오펜스 영역에 위치한 실내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건물 내에서의 층간 이동을 식별하는 등 3차원 공간에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 위치 정보는 건물의 해당 층에 설비된 와이파이(Wi-Fi) 공유기들에 부여된 무선 AP(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Mac address)와 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형 지오펜스는 실제 지형에 구획된 가상의 영역으로 사람과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가상의 영역이 변경되는 점에서 지오펜스 영역이 고정된 일반적인 고정 지오펜스와 차이가 있다.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a mobile geofence that changes position according to a moving path of a person or an object. The service system not only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mobile terminal enters or exits to the geofence area to which the mobile geofence is applied, but also identifies the interlayer movement in the building using th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located in the geofence area in FIG. A geofence ser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MAC address and lay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access point) assigned to the Wi-Fi routers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floor of the building. In this paper, a moving geophone differs from a general fixed geophone in which a geophone area is fixed in that a virtual area is changed according to a moving path of a person and an object.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의 고정 지오펜스 영역들(ZIO-SET1)(ZIO-SET2)은 고정 객체(Static object)나 이동 객체(Movable object)에 대응하는 관심지역(POI)으로 사전 설정되며, 이러한 고정 지오펜스 영역들(ZIO-SET1)(ZIO-SET2)에서 이동 객체 예를 들어 사람이 진입 또는 이탈 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2B, the fixed geophone areas ZIO-SET1 (ZIO-SET2) in the prior art are pre-set in a region of interest (POI) corresponding to a static object or a moving object And performs a notification service when a moving object, for example, a person enters or exits from the fixed geofence areas ZIO-SET1 (ZIO-SET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지오펜스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이나 사물과 같은 이동 객체(Movable object)가 처음 위치에서 이동하는 경우 가변 지오펜스 영역(ZIO-MOV)이 변경될 수 있다. 가변 지오펜스 영역(ZIO-MOV)은 고정 객체에 대응하여 설정된 고정 지오펜스 영역(SET1)과 교차될 수 있고, 사람이나 사물에 종속되어 변경되는 가변 지오펜스 영역(ZIO-MOV)과 고정 지오펜스 영역(ZIO-SET1)의 교차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이 고정 지오펜스 영역(ZIO-SET1)과 가변 지오펜스 영역(ZIO-MOV)의 교차 영역 발생 시, 교차 영역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교차 영역에 특정 사물이 존재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켜 이동하는 사물에 대하여 맞춤형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2C, when a moving object such as a person or an object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variable geometry area ZIO-MOV is changed . The variable geofence area ZIO-MOV may intersect a fixed geofence area SET1 set corresponding to the fixed object, and may include a variable geometry area ZIO-MOV that is changed depending on a person or object,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area (ZIO-SET1) can be changed. When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intersection area between the fixed geofence area ZIO-SET1 and the variable geometry area ZIO-MOV, if the intersection area exceeds a certain ran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ustomized geofence service can be performed on moving objects by generating an event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는 이동가능한 사물 예를 들어 통신망에 연결되어 위치 추적이 가능한 무인 자율 자동차, 선박,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 객체에 대해 이동 경로에 따라 가변 지오펜스 영역(ZIO-MOV)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변 지오펜스 영역(ZIO-MOV)을 기반으로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The geofe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moving object such as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a ship, a bicycle, etc., which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track a location, and a variable geofence area (ZIO-MOV) And can perform geofence service based on the set variable geofence area (ZIO-MOV).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과 3차원 지오펜스 서버가 협력하여 이동형 지오펜스 설정 및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geofence setup and update process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3D geofen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1A)은 실시간 현위치 전달 모듈(90)과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의 이동 단말(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병합하여 하나의 통합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A may include a real-time position transmitter 90 and a three-dimensional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The mobile terminal 1A may combine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mobile terminal 1 of FIG. It can be composed of one integrated module.

상기 실시간 현위치 전달모듈(90)은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GPS 데이터(위도와 경도 좌표)를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에 전달하고 또는 와이파이 공유기에 접속되면 맥어드레스(Mac address)를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A)의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에 전달한다. 상기 실시간 현위치 전달모듈(90)은 GPS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1A)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 수집 수단의 역할을 한다.The real-time current position transfer module 90 transmits the GPS data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periodically collected to the 3D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or transmits the Mac address to the 3D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when it is connected to the Wi- To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of the geofence server 1000A. The real-time current position transfer module 90 serves as position data collec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A by performing functions of a GPS module and a Wi-Fi module.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은 GPS 데이터, 지오펜스 반경, 타임스탬프, 디바이스 정보(이동 단말의 식별 번호 등)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데이터를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에 전달한다. 이러한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및 저장부의 각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형 지오펜스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 지오펜스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의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응용 프로그램 및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의 기능,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A)와 협력하여 이동 단말(1A)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3D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transmits geofence data including GPS data, a geofence radius, a time stamp, and devic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etc.) to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may integrate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may include an input unit A function of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for performing a geofence service to a screen, a function of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data including an application, and a function of a storage unit in cooperation with the 3D geofence server 1000A, And a controller for upd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실시간 현위치 전달 모듈(90)과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은 도 1의 이동 단말(1)을 구성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한 맥어드레스와 지오펜스 데이터를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The real-time position transmitter 90 and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stituting the mobile terminal 1 of FIG. 1, The MAC address and the geofence data to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respectively.

상기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은 이동 단말(1A)로부터 와이파이 맥어드레스(Mac address)와 지오펜스 데이터를 전달받아 다양한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먼저 이동 단말(1A)이 접속된 와이파이 정보,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 결과는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에 의해 위치 분석 모듈(1200)에 전달된다. 위치 분석 모듈(1200)은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로부터의 호출(invoke)에 응답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위치를 분석하는 것으로, 실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이동 단말(1A)로부터 전달받은 와이파이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에 구축된 맥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와 맵핑한다.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에 구축된 맥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는 건물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맥어드레스(Mac address)와 층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분석 모듈(1200)은 맵핑을 통해 사용자가 건물 내에 몇 층에 있는지 식별하고, 지속적으로 와이파이 접속 상황을 체크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황을 식별한 뒤 이동 단말(1A)을 통해 알려주게 된다.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receives a WiFi MAC address and geofenc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A and performs various geofence services.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firstly transmits WiFi information, The geophone database 1300 is updated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The updat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position analysis module 1200 by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The location analysis module 1200 analyzes the location of a user to perform a geofence service in response to a call from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When the user exists in the room, And map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constructed in the geofence database 1300 based on the receive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he MAC address information constructed in the geofence database 1300 is composed of a MAC address and layer information for a WiFi access point AP of the building. The location analysis module 1200 identifies the user on the floor in the building through the mapping, continuously checks the Wi-Fi connection status, identifies the user's moving situation, and informs the us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A.

또한 위치 분석 모듈(1200)은 실외에서 수집된 위도 좌표와 경도 좌표로 이동 단말(1A)의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과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의 지오펜스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동 단말(1A)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지오펜스 정보를 근거로 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The location analysis module 1200 also updates the geofence information of the 3D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and the geofence database 1300 of the mobile terminal 1A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collected outdoors. The mobile terminal 1A can perform the geofence service based on the last updated geofence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과 3차원 지오펜스 서버가 협력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 geofence service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3D geofen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A)은 3차원 이동형 지오펜스를 이용한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A)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A)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형 지오펜스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S2). 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terminal 1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ad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geofence ser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moving type geofence. This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from the 3D geofence server 1000A. The mobile terminal 1A can access the 3D geofence server 1000 using an application. With the application activated, the user can switch to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portable geofence (S2).

상기 설정 화면으로 전환되면 이동형 지오펜스의 반경과 지오펜스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날짜와 시간, 그리고 지오펜스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타임스탬프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동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은 기준좌표(이동형 지오펜스의 중심)에서 일정 거리(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오펜스 반경) 떨어진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좌표는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 단말(1A)의 위치 정보(위도 좌표 및 경도 좌표)로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When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setting screen, the user can set the radius of the mobile geofence, the date and time for activating the geofence service, and the time stamp for temporarily applying the geofence service. The movable type geofence area set by the setting operation can be set to a certain distance (a geofence radius set by the user)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s (the center of the movable type geofence). Here, the reference coordinates may be specifi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coordinates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mobile terminal 1A carried by the user or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한편 설정 동작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 단말(1A)의 위치 측정 결과에 따라 이동형 지오펜스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mobile geofence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of the mobile terminal 1A carried by the user.

실외로 판단된 경우, 이동 단말(1A)의 실시간 현위치 전달모듈(90)에서 수집된 GPS 데이터와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91)에 저장된 지오펜스 반경, 타임스탬프,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 지오펜스 데이터를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로 전달한다(S3)(S4).If it is judged that it is outdoors, the GPS data collected by the real-time current position transfer module 90 of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geofence radius, timestamp, and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And transfers the data to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S3) (S4).

한편 이동 단말(1A)에서 위치 측정 기능을 수행하여 실내로 판단된 경우에는, 실시간 현위치 전달모듈(90)의 와이파이 모듈의 기능을 이용하여 수집한 실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맥어드레스 정보를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1100)에 전달한다(S3)(S5). 여기서 맥어드레스 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맥어드레스와 층 정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1A performs the location measurement function,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indoor wireless access point (AP) collected using the function of the WiFi module of the real- To the geofence task module 1100 (S3) (S5). The MAC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 MAC address and layer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한편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에는 위치 정보로서 맥어드레스 정보와 지오펜스 데이터를 저장한다(S6). 이와 같이 이동형 지오펜스 설정 동작이 이루어지면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의 위치 분석 모듈(1200)은 이동형 지오펜스의 위치 변경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이동 단말(1A)을 휴대한 사용자 위치를 모니터링하게 된다(S6). On the other hand, the geofence database 1300 store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and the geofence data as location information (S6). When the mobile geofence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analysis module 1200 of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1000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user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1A by analyz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geofence is changed (S6).

상기 모니터링 동작 과정에서 위치 분석 모듈(1200)이 실시간 현위치 전달 모듈(90)과 3차원 지오펜스 정보모듈(9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라 위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위치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위치 분석 모듈(1200)에 의해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와 이동 단말(1)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 과정에 의하여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이 달라지게 된다(S8).In the monitoring operation, the position analysis module 1200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real-time current position transfer module 90 and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information module 91. When the location change of the user occurs, the location analysis module 1200 can update the data stored in the geofence database 1300 and the mobile terminal 1. The moving geofence area is changed by the updating process (S8).

상기 S8 단계에서 위치 변경된 이동형 지오펜스 또는 기 설정된 이동형 지오펜스의 영역에서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오펜스 서비스는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형 지오펜스에 존재하는 상점에서 발행한 쿠폰, 광고 문자를 이동 단말(1A)에 전송할 수 있다(S9).The geofence service can be performed in the area of the mobile geofence or the mobile geofence that has been changed in step S8. The geofence service may include a series of processes for delivering a push message to a user located within the mobile geofence area. For example, the geofence service may transmit a coupon or an advertisement character, which is issued from a shop existing in a mobile geofence, (S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여러 상황에 해당하는 각각의 예시 화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applica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respective exemplary screens cor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도 5는 건물 5층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의 화면이다. 화면에 표시된 알림창(NW1)을 통해 이동 단말(1A)로부터 수집한 사용자가 실내이고 건물 5층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알림창(NW1)에서 설정 버튼(BT1)을 선택하면 지오펜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5 is a screen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on the fifth floor of the building. The user who is col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via the notification window NW1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doors and is located at the fifth floor of the building. If the setting button BT1 is selected in the notification window NW1, the screen for setting the geofence information can be switched.

도 6은 지오펜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보여준다. 설정 화면에는 이동형 지오펜스 설정에 관련된 기능 버튼들을 표시하는 버튼 설정부(BT2)와, 이동형 지오펜스(ZIO-MOV)의 반경을 설정하는 설정부(F1)를 포함할 수 있다.6 shows a screen for setting the geofence information. The setting screen may include a button setting unit BT2 for displaying function buttons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portable geofence and a setting unit F1 for setting the radius of the moving type geofence unit ZIO-MOV.

설정부(F1)는 지도상에서 기준 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떨어진 가상의 영역을 구획한다. 기준 좌표는 위치 측정된 이동 단말(1A) 위치에 근거하여 설정되는데, 확보된 GPS 데이터로 산출하거나 실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산출할 수 있다. 일정 거리는 지오펜스 반경을 의미하며 사용자에 의해 지오펜스 기능의 적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F1 divides an imaginary area that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s on the map. The reference coordinates are se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mobile terminal 1A, and can be calculated from the secured GPS data or calculated as Wi-Fi access points in the room. The constant distance means the geofence radius, and you can set the geofence function coverage by the user.

상기 설정 화면에는 이동형 지오펜스의 지속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임 스탬프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F2)와, 설정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F3)와, 사용자 위치 정보로서 위도와 경도 좌표를 표시하는 알림 메시지 표시부(F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부(F1)를 통해 설정된 이동형 지오펜스 반경이 30 meter 이고, 지오펜스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설정된 날짜와 시간은 2016-10-23 16 : 40 로 되어 있다. The setting screen includes a status display part F2 for displaying whether the time stamp for activating the time stamp for setting the duration of the portable geofence is activated, a time display part F3 for displaying the set date and time, And an alert message display unit F4 for displaying the hardness coordinates. For example, the portable geofence radius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F1 is 30 meters, and the date and time set for activating the geofence service are 2016-10-23 16:40.

이동 단말(1A)을 휴대한 사용자가 5층에서 계단으로 걸어 내려가거나 엘리베이터 등 승강 설비를 이용하여 1층으로 내려가고 이동 단말(1A)은 1층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경우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를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로 전달할 수 있다.When a user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1A descends from the fifth floor to the stairs or descends to the first floor using an elevator or elevator and the mobile terminal 1A accesses the first floor WiFi access point, To the 3D geofence server 1000, the MAC address of the 3D geofence server 1000.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는 전달받은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와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1300)에 저장된 지오펜스 정보를 이용하여 맵핑하여 얻은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1A)에 전송한다. 위치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이동 단말(1A)에서는 도 7의 예시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The 3D geofence server 10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mapping using the MAC address of the received access point and the geofe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geofence database 1300 to the mobile terminal 1A.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mobile terminal 1A may display the example screen of Fig.

도 7은 건물 5층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1층으로 이동했을 경우의 화면이다. 화면에 나타난 알림창(NW2)에서 이동 단말(1A)로부터 수집한 사용자가 실내이고, 1층에 위치하는 것을 알려준다. 사용자가 5층에서 1층으로 수직 이동하는 층간 이동시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지도상에서 이동형 지오펜스(ZIO-MOV)의 위치 변동은 크게 발생하지 않으며, 지도상에서 사용자 위치(Us1)가 이동형 지오펜스(ZIO-MOV) 안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 is a scree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fift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n moved to the first floor. And informs that the user who has col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in the notification window NW2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doors and is located on the first floor. When the user moves vertically from the fifth floor to the first floor,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movable type geofence (ZIO-MOV) does not occur largely on the map as shown in FIG. 8, and the user position Us1 on the map moves to the moving type geofence ZIO-MOV).

사용자가 건물 밖으로 나가서 이동 단말(1A)이 GPS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경우, 이동 단말(1A)은 GPS 데이터를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에 전달하고, 3차원 지오펜스 서버(1000)는 현위치를 업데이트한다. 실외로 이동했을 경우, 이동 단말(1A)의 화면에 나타난 알림창(NW3)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가 실외라는 것을 알려준다. When the user leaves the building and the mobile terminal 1A can receive the GPS signal, the mobile terminal 1A transmits the GPS data to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1000, and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1000 Update the current loc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A moves outdoors, it informs the user through the notification window NW3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A that the user's location is outdoors.

실외에서 움직이는 이동 단말(1A)로부터 수집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분석 모듈(1200)에 의한 위치 추적이 이루어지는 위치 측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A position measurement function for performing position tracking by the position analysis module 1200 using GPS data col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A moving outdoors can be performed.

실외에서 사용자 이동 범위가 좁은 경우, 예를 들어 도 10a에서 사용자(Us1) 위치가 점선 화살표를 따라 위치 변동(Pt1-> Pt2-> Pt3)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0b의 (a)(b)(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도상에 이동형 지오펜스(ZIO-MOV) 내에 표시되는 사용자는 위치 변동이 크지 않으며, 알림 메시지 표시부(F5)(F6)(F7)에 현위치 정보로서 위도(latitude) 좌표와 경도(longitude) 좌표를 각각 나타내어 사용자가 쉽게 식별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b의 (a)에서 알림 메시지 표시부(F5)에 위도 좌표 37.6194729, 경도 좌표 127.0605450, 현재시간 오후 3:07:09, (b)에서 알림 메시지 표시부(F6)에는 위도 좌표 37.6195520, 경도 좌표 127.0604603, 현재시간 오후 3:07:35, (c)에서 알림 메시지 표시부(F7)에는 위도 좌표 37.6196119, 경도 좌표 127.0605399, 현재시간 오후 3:07:50 를 표시한다.When the user moving range is outdoors, for example, in Fig. 10A, the position of the user (Us1) may occur along the dotted arrow (Pt1-> Pt2-> Pt3). As shown in Figs. 10 (b), 10 (b) and 10 (c), the user displayed on the map in the portable geophone (ZIO-MOV) ), Latitude coordinates and longitude coordinates are displayed a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latitude coordinates and the longitude coordinates. For example, in the notification message display unit F5 in FIG. 10B, the latitude coordinates 37.6194729, the longitude coordinates 127.0605450, the current time 3:07:09 PM, the notification message display unit F6 in latitude coordinates 37.6195520, The coordinates 127.0604603 and the current time 3:07:35 PM, the notification message display unit F7 displays the latitude coordinates 37.6196119, the longitude coordinates 127.0605399, and the current time 3:07:50 pm in the notification message display unit F7.

상기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형 지오펜스에 존재하는 상점에서 발행한 쿠폰, 광고 문자 메시지를 이동 단말(1)에 전송하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A push message can be delivered to a user located in the mobile geo-fence area, and a geofence service can be performed to transmit, for example, a coupon or an advertisement text message issued from a shop existing in a mobile geofence to the mobile terminal 1 hav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앞서 서술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하는 상기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이라고 해도 위치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있다. 예를 들어 GPS 신호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신호가 동시 감지되는 실내와 실외의 경계 영역에서 사용자 위치를 부정확하게 식별하게 되는 위치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a position recognition error may occur even in the movable type geofenced area where the position varies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a person or an object. For example, a location recognition error may occur which incorrectly identifies a user's loca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where both a GPS signal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signal are simultaneously detec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 3차원 지오펜스 서버, 사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objects, and the like.

[제2 실시예]에서 적용하는 이동 단말(1B)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B applied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PC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glass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1B)은 무선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B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a storage unit,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components is omitted because they are redunda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상기 위치 인식 오류를 줄이기 위한 동작 과정을 수행하며,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for reducing the position recognition error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B)은 GPS 모듈(10), 와이파이 모듈(20), 수신감도 감지부(30), 위치 식별부(40), 저장부(50), 지오펜스 매니저(60), 애플리케이션(70), 터치패널(80)을 포함할 수 있다.11, the mobile terminal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module 10, a Wi-Fi module 20, 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unit 30,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A storage unit 50, a geofence manager 60, an application 70, and a touch panel 80, as shown in FIG.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각 층에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고,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맥주소(MaC Address)와 건물의 각 층의 정보가 맵핑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부(50)에 저장하고 이러한 관련 정보를 위치 식별부(40)가 조회할 수 있는 동작 조건이 구비된 것으로 사전에 전제되어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re installed in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 database in which the MAC address (MaC Addres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information of each layer of the building are mappe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And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it is presupposed that the operating condition that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can inquire about such 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in advance.

상기 수신감도 감지부(30)는 실내 와이파이 공유기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에 대한 수신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위치 식별부(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unit 30 may detect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for an access point (A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oor Wi-Fi router and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

상기 저장부(50)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동형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50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geofence service, and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mobile geofence service.

상기 GPS 모듈(10)은 실외에서 수신한 GPS 위성 신호로부터 획득한 GPS 신호를 위치 식별부(40)에 제공한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20)은 건물 안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와이파이 공유기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 신호를 위치 식별부(40)에 제공한다. The GPS module 10 provides the GPS signal acquired from the GPS satellite signal received outdoors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The Wi-Fi module 20 provides an access point (AP) signal received from the Wi-Fi router as a wireless access point in the buil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상기 지오펜스 매니저(60)는 위치 식별부(40)에 의해 인식된 정보에 따라 이동형 지오펜스를 설정하고,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형 지오펜스의 위치를 가변하는 일련의 지오펜스 서비스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부(40)와 지오펜스 매니저(60)는 [제1 실시예]의 3차원 지오펜스 서버의 기능을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일 수 있다.The geofence manager 60 sets a moving type geofen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location identifying unit 40 and performs a series of geofence service processes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type geofence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path of a person or an object Can be managed.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and the geofence manager 60 may replace or add the functions of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70)는 지오펜스 매니저(60)와 협력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application control unit 70 cooperates with the geofence manager 60 to perform an operation of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application.

상기 터치패널(8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81)와 표시부(8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8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81 and a display unit 82.

한편 상기 위치 식별부(40)는 GPS 신호, 액세스 포인트(AP) 신호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의 수신강도를 이용하여 위치 식별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1B)에 대해 와이파이 공유기가 사용 인증이 되지 않아도 스캔(scan) 범위에서 파악되는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의 수신강도를 이용하여 위치 식별하는 무인증 위치 인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identifies the location us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GPS signal, the access point (AP) signal, and the access point (AP) signal, the WiFi router is not used for the mobile terminal 1B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nauthorized location recognition service for identifying a location by using the reception intensity of an access point (AP) signal grasped in a scan range.

상기 위치 식별부(40)는 제공받은 GPS 신호와 액세스 포인트(AP) 신호를 이용하여 관리 대상인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B)이 GPS 모듈(10)과 와이파이 모듈(20)을 동시 구동한 결과 와이파이 공유기에 연결되면 저장부(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액세스 포인트(AP)의 맥주소에 일치하면 실내로 인식하고, 와이파이 공유기에 연결되지 않으면 실외로 인식한다. 즉 위치 식별부(40)는 GPS 신호만 단독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와 달리 액세스 포인트(AP) 신호만 단독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The location identifying unit 40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a person or object to be managed by using the provided GPS signal and an access point (AP)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B is connected to the Wi-Fi router through the simultaneous driving of the GPS module 10 and the Wi-Fi module 20, the mobile terminal 1B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AP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torage unit 50 If it is not connected to the Wi-Fi router, it recognizes it as outdoor. That is, when the GPS signal alone is provided, the location identifying unit 40 recognizes that the user is located outdoors. Otherwise, when the AP signal is provided alone, the location identifying unit 40 recognizes that the user is located indoors do.

이와 관련된 위치 식별부(40)의 위치 식별 알고리즘은 다음의 [위치 식별 알고리즘 1]과 같다.The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related to this is the same as the following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위치 식별 알고리즘 1 : Indoor/outdoor_location_awareness][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Indoor / outdoor_location_awareness]

BEGINBEGIN

receive the signals of GPS and WiFi simultaneously; receive the signals of GPS and WiFi simultaneously;

set the default coordinate of the building from GPS; set the default coordinate of the building from GPS;

IF (GPS is available AND any WiFi AP are not connected)  IF (GPS is available AND any WiFi AP are not connected)

THEN notify “Outdoor”;   THEN notify "Outdoor";

ELSE IF (GPS is not available AND any WiFi AP are connected)   ELSE IF (GPS is not available AND any WiFi AP are connected)

THEN { set the default coordinate of the building on the Google    THEN {set the default coordinate of the building on the Google

map;           map;

notify “Indoor”;           notify "Indoor";

shows the floor number which a WiFi AP of the strongest RSSI           shows the floor number which a WiFi AP of the strongest RSSI

matches the MaC address from the DB;          matches the MAC address from the DB;

set the context_switch;          set the context_switch;

         }

ELSE IF (GPS is available AND any WiFi AP are connected)    ELSE IF (GPS is available AND any WiFi AP are connected)

THEN { set the context_switch;    THEN {set the context_switch;

call the Algotithm_2;           call the Algotithm_2;

         }

ELSE unavailable;   ELSE unavailable;

IF (context switch)  IF (context switch)

THEN { re-process a WiFi AP of the strongest RSSI;    THEN {re-process a WiFi AP of the strongest RSSI;

shows the new floor number;            shows the new floor number;

         }

ENDEND

상기 [위치 식별 알고리즘 1]에 따르면 동일한 층 내부에서의 위치 이동은 액세스 포인트(AP)를 기준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즉 수신강도(RSSI)의 수치가 가장 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AP)의 맥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하여 층간 이동이 없음을 인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the position movement within the same layer can be grasped on the basis of the access point (AP), that is, the access point (AP) located in the area having the largest value of the RSSI, Matching the MAC address in the database to recognize that there is no inter-layer movement,

[위치 식별 알고리즘 1]에 따르면 다른 층으로 위치 이동하는 층간 이동이 발생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 신호가 미치지 않는 음영지역이 대부분 존재하게 되므로, 이에 착안하여 음영지역에 대한 콘택트 스위치(context switch)가 동작하기 때문에, 층간 이동이 이루어진 후 탐색되는 차후 수신강도(RSSI)의 수치가 가장 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AP)의 맥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하여 해당 층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when an inter-layer movement that moves to another layer occurs, most of the shaded areas where the AP signal does not exist exist. Therefore, a context switch for the shaded area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layer can be recognized by matching the MAC address of the AP with the value of the next highest received RSSI to be searched after the interlayer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database.

이와 같이 [위치 식별 알고리즘 1]에 따르면 실내와 실외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지만, 실내와 실외의 모호한 지역 예를 들면 와이파이 공유기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GPS 수신할 수 있는 건물 1층의 실내 창가와 건물 외벽의 1층의 실외 창가에 있을 때에는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기가 어렵다. 즉 지오펜스 서비스가 실행되는 가상의 지오펜스 영역에 존재하는 건물의 경계 영역에서 위치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인식 오류의 여러 가지 유형을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the indoor and the outdoor, bu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indoor and outdoor ambiguous areas such as the access point (AP) of the Wi-Fi rout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indoor and outdoor when it is located in an outdoor window on the first floor of an indoor window and a building exterior wall. That is, a location recognition error may occur in a boundary area of a building existing in a virtual geofence area where a geofence service is executed. Various types of such location recognition erro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위치인식 오류 상황 #1)(Loca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1)

액세스 포인트(AP)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외에서 사용자(U1)가 소지한 이동 단말(1B)에 탑재된 지오펜스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건물(Bd) 내부의 실내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파선으로 나타낸 P1), 실제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GPS 신호 수신에 의존하여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o the indoor window inside the building Bd after driving the geofence servic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B owned by the user U1 in an outdoor area where the access point (AP) signal is not received , It can be mistakenly recognized that the user is indoors but is located outdoors depending on the reception of the GPS signal.

(위치인식 오류 상황 #2)(Posi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2)

액세스 포인트(AP)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외에서 사용자(U1)가 휴대한 이동 단말(1B)에 탑재된 지오펜스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건물(Bd) 외부의 실외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파선으로 나타낸 P2), 실제로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내에 설비된 와이파이 공유기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에 의존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geofence servic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B carried by the user U1 is driven outdoors in which the AP signal is not received and then moved to the outdoor window outside the building Bd P2). However, the user can mistakenly recognize that he / she is located indoors but relies on an access point (AP) signal received from a Wi-Fi router installed in the room.

(위치인식 오류 상황 #3)(Posi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3)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에서 사용자(U2)가 소지한 이동 단말(1B)에 탑재된 지오펜스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건물(Bd) 내부의 실내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일점쇄선으로 나타낸 P3), 실제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GPS 신호 수신에 의존하여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geofence servic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B carried by the user U2 is driven in the room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and then moved to the indoor window inside the building Bd ), It can be mistakenly recognized that the user is indoors but is located outdoors depending on the reception of the GPS signal.

(위치인식 오류 상황 #4)(Loca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4)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에서 사용자(U2)가 소지한 이동 단말(1B)에 탑재된 지오펜스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건물(Bd) 외부의 실외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일점쇄선으로 나타낸 P4), 실제로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내에 설비된 와이파이 공유기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에 의존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geofence servic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B owned by the user U2 is driven in the room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and then moved to the outdoor window outside the building Bd ), It is possible to erroneously recognize that the user is located indoors but relies on an access point (AP) signal received from a Wi-Fi router installed in the room.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인식 오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위치 식별부(40)는 와이파이 모듈(20)을 통해 제공된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AP)를 그룹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외 또는 실내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위치 식별부(40)는 다음의 [위치 식별 알고리즘 2]를 이용하여 위치 식별한다. 12, the location identifying unit 40 detects a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rength of an access point (AP) signal provided through the Wi-Fi module 20, And can be used to identify outdoors or indoors. That i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40 identifies the location using the following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위치 식별 알고리즘 2 : Access Point Grouping Context][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Access Point Grouping Context]

BEGINBEGIN

search the database to match for all the scanned APs; search the database to match all the scanned APs;

set the Context; set the Context;

IF (RSSI >= -75db)  IF (RSSI > = -75db)

THEN the AP includes the priority group;    THEN the AP includes the priority group;

ELSE IF (RSSI < -75db AND RSSI >= -90db)    ELSE IF (RSSI <-75db AND RSSI> = -90db)

THEN the AP includes the next ranking group;             THEN the AP includes the next ranking group;

ELSE call the Algorithm_1;             ELSE call the Algorithm_1;

/* In/outdoor location analysis *// * In / outdoor location analysis * /

IF (the priority group has one more APs AND the next group has one  IF (the priority group has one more APs AND the next group has one

more APs)    more APs)

THEN notify “Indoor”;    THEN notify "Indoor";

ELSE IF (the priority group has one more APs AND the next group has    ELSE IF (the priority group has one more APs AND the next group has

no one AP)              no one AP)

THEN notify “Outdoor”;          THEN notify "Outdoor";

ELSE set the default coordinate of the building on the Google          ELSE set the default coordinate on the Google

map;               map;

ENDEND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건물 내부에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1, ap2, ap3, ap4)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Us)가 건물 내부에서 모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이동 단말(1)을 이용하여 탐색한 수신강도에 따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신호그룹(GP)은 이동 단말(1A)에 가까이 위치한 2개의 액세스 포인트(ap1, ap2)를 포함하며, 차순위 신호그룹(Gn)은 이동 단말(1B)에서 멀리 위치한 2개의 액세스 포인트(ap3, ap4)를 포함한다. 우선순위 신호그룹(GP)의 액세스 포인트(ap1, ap2)로부터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 신호(SS)는 수신강도가 크고 강하고, 차순위 신호그룹(Gn)의 액세스 포인트(ap3, ap4)로부터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 신호(WS)는 수신강도가 작고 약하다.Referring to FIG. 13,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p1, ap2, ap3, and ap4 are installed in a building. The user Us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rength searched for using the mobile terminal 1 for all access points in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includes two access points ap1 and ap2 positioned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1A, and the next signal group Gn includes two access points located away from the mobile terminal 1B Points ap3 and ap4. The access point signal SS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s ap1 and ap2 of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has a strong reception intensity and is strong and the access point AP3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s ap3 and ap4 of the next- The signal WS has a small reception strength and a weak reception strength.

본 발명자에 의한 모의 실험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AP)의 수신강도(RSSI)는 5m 이내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는 -75db 이상이었으며, 수신강도(RSSI)가 -76db 부터 -90db 까지는 신호 측정은 가능하나 연결을 시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수신강도(RSSI)의 설정 범위는 시험 대상과 사용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According to the simulation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point (AP) has an access point (RSSI) of -75 db or more within 5 m and a signal intensity of -76 db to -90 db at the receiving strength (RSSI) I did not tr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tting range of the RSSI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est subject and the usage environment.

상기 [위치식별 알고리즘 2]에 따르면 수신강도(RSSI)의 범위가 설정되면 신호의 수신강도가 강한 1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가 우선순위 신호그룹(GP)으로 결정되고, 그 외의 약한 수신강도의 액세스 포인트(AP)가 차순위 신호그룹(Gn)으로 결정된다. 건물 실내 창가에서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우선순위 신호그룹(GP)과 차순위 신호그룹(Gn)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실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실외 창가에서는 우선순위 신호그룹(GP)이 생성되지만 차순위 신호그룹(Gn)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의 그룹화 상태에 따라 실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if the range of the reception strength (RSSI) is set, one or more access points (AP) having strong signal reception strength are determined as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The access point AP of the access point AP is determined as the next-highest signal group Gn. Since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and the order signal group (Gn) are generated for all the access points in the building indoor window,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room is indoors in consideration of this. In addition, since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is generated in the building outdoor window but the order signal group Gn is not genera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utdoor unit is outdoors according to the grouping state of these access points.

상기 [위치식별 알고리즘 2]를 적용하면 도 2의 (위치인식 오류상황 #1)에 대처할 수 있다. 실내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파선으로 나타낸 P1)에 우선순위 신호그룹(GP)과 차순위 신호그룹(Gn)이 모두 생성되므로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2 (posi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1) of FIG. 2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Since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and the order signal group Gn are both generated in the case of moving to the indoor window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P1), it can be correctly recognized that the signal is located in the room.

다른 예로서 도 12의 (위치인식 오류상황 #2)에 대처할 수 있다. 실외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파선으로 나타낸 P2) 우선순위 신호그룹(GP)에 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지만 차순위 신호그룹(Gn)이 생성되지 않는다. 즉, 우선순위 신호그룹(GP)만이 생성되므로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posi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2) of Fig. The number of access points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may be different in the case of moving to the outdoor window (P2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but the next signal group Gn is not generated. That is, since only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is generated, it can be correctly recognized as being located outdoors.

또 다른 예로서 도 12의 (위치인식 오류상황 #3)에 대처할 수 있다.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실내에서 건물 실내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일점쇄선으로 나타낸 P3) GPS 신호가 감지되지만 우선순위 신호그룹(GP)과 차순위 신호그룹(Gn)이 모두 생성되므로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posi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3) of Fig. When the GPS signal is detected, the GPS signal is detected but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and the next signal group (Gn) are generated in the room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P3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t can be correctly recognized.

또 다른 예로서 도 12의 (위치인식 오류상황 #4)에 대처할 수 있다.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실내에서 건물 실외 창가로 이동하는 경우(일점쇄선으로 나타낸 P4) GPS 신호가 감지되고 동시에 우선순위 신호그룹(GP)이 생성되고 차순위 신호그룹(Gn)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position recognition error situation # 4) of Fig. When the GPS signal is detected, the priority signal group (GP) is generated and the next signal group (Gn) is not generated when the GPS signal is detected from the room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P4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t can be correctly recognized as being located.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여러 상황에 해당하는 각각의 예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FIGS. 14 to 19 show exemplary screens cor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when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도 14를 참고하여 지오펜스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을 초기 구동한 경우의 예시화면으로, 실외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때 알림창의 설정버튼(B1)을 클릭하면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맵핑하여 도 15의 예시 화면과 같이 나타낸다. 도 15의 예시 화면에 맵핑된 위치(B2)는 GPS 신호의 음영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2~5m 오차가 있을 수 있다. 14 is an exemplary screen in the case where the application of the geofence service is initially operated, and indicates that it is located outdoors. At this time, when the setting button B1 of the informing window is clicked, the current position is mapped on the map and shown as an example screen of Fig. The position (B2) mapped on the example screen of FIG. 15 may have an error of 2 to 5 m when it corresponds to the shaded area of the GPS signal.

사용자가 실외에서 건물 근처로 이동하는 경우, 도 16의 예시 화면과 같이, 화면 상단 영역(B3)의 상태 표시줄에 와이파이 공유기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감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식별 알고리즘 2]을 적용한 결과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감지되고 GPS 신호가 동시에 감지되는 상황에서 사용자(Us1)가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B4). When the user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building outdoors, as shown in the example screen of FIG. 16, it can be seen that the access point signal is being detected from the Wi-Fi router on the status bar of the upper screen area B3. As a result of applying the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the access point signal is detected and the GPS signal is simultaneously detected, and the user Us1 is correctly recognized as being located outdoors (B4).

다른 예로서, 도 17의 예시 화면에 따르면 건물 1층의 실내 입구에서 실행한 경우로서, 와이파이 공유기에 연결되어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GPS 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식별 알고리즘 2]을 적용한 결과 사용자(Us1)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B5). 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example screen of Fig. 17, when it is executed at the indoor entrance of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it can be connected to the Wi-Fi router to receive the access point signal and simultaneously receive the GPS signal. As a result of applying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it is correctly recognized that the user (Us1) is located indoors (B5).

다른 예로서, 도 18의 예시 화면에 따르면 건물 5층 실내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장소에서 실행한 경우로서, [위치 식별 알고리즘 1]을 적용한 결과 사용자(Us1)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B6). 이때 GPS 신호가 측정되지 않기 때문에 지도상에 사용자의 좌표를 표시하기 어렵지만, 건물 중앙에 기본 좌표값을 맵핑하여 지도 상에 핀(B7)을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내 5층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B6), GPS 신호 측정이 되지 않는 정보를 토스트 메시지로 표시한다(B8).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screen of Fig. 18, when the user has performed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in the place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fifth floor room of the building, (B6). At this time, since the GPS signal is not measured,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coordinates of the user on the map, but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in B7 on the map by mapping the basic coordinate values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Furth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fifth floor of the room is displayed (B6),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GPS signal is not measured is displayed as a toast message (B8).

다른 예로서, 도 19의 예시 화면에 따르면, 건물 5층 실내 창가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는 장소에서 실행한 경우로서, 각 층별 액세스 포인트의 맥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 매칭시켜 층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Us1)가 5층에 위치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B9). 또한 사용자(Us1)가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GPS 신호 측정이 되는 정보를 알림 메시지로 표시한다(B10).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example screen of Fig. 19, when the GPS signal is received in the fifth floor indoor window of the building, the MAC address of the access point for each floor can be matched to the database, It can be displayed that the user Us1 is located in the fifth floor (B9). Further,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Us1 is located indoors,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GPS signal measurement is displayed as a notification message (B10).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ofenc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터치패널(8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애플리케이션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지오펜스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00). 이에 따라 GPS 모듈(10)과 와이파이 모듈(20)은 GPS 신호와 액세스 포인트(AP) 신호를 각각 탐색한다(S111)(S113).When the user inputs an execution command through the user interface 81 of the touch panel 80, the application for the geofence service is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70 (S100). Accordingly, the GPS module 10 and the Wi-Fi module 20 search for a GPS signal and an access point (AP) signal, respectively (S111) (S113).

위치 식별부(40)는 GPS 신호, 액세스 포인트(AP) 신호, 및 액세스 포인트(AP) 신호의 수신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를 식별하는데, GPS 신호와 액세스 포인트(AP) 신호 중 어느 하나만이 감지되는 경우 [위치식별 알고리즘 1]에 따라 위치 식별하고(S112), GPS 신호와 액세스 포인트(AP)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 [위치식별 알고리즘 2]에 따라 위치 식별한다(S114).The location identifying unit 40 identifies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GPS signal, the access point (AP) signal, and the access point (AP) signal, wherein only one of the GPS signal and the access point (S112). In the case where both the GPS signal and the access point (AP) signal are detected, the position i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S114).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앞서 서술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하는 상기 이동형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가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서비스 지속 시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increased when the mobile geofence service is vari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a person or an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service duration by using a time stamp as a method for temporarily maintaining the geofence servic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 3차원 지오펜스 서버, 사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objects, and the like.

[제3 실시예]에서 적용하는 이동 단말(1C)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C applied in the third embodiment may be a cellular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PC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glass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1C)은 무선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The mobile terminal 1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a storage unit,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components is omitted because they are redundant.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한적 속성을 갖는 지오펜스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21 is a block diagram of a geofence service apparatus having a timed attribu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시한적 속성을 갖는 이동 단말(1C)을 포함한다.Th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C having a timed attribute.

상기 이동 단말(1C)은 네트워크 매니저(10-1), 지오펜스 매니저(20-1), 및 지오펜스 저장소(30-1), GPS 모듈(40-1), 사용자 인터페이스(50-1), 알람부(60-1), 애플리케이션 제어부(70-1)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1C includes a network manager 10-1, a geofence manager 20-1 and a geofence storage 30-1, a GPS module 40-1, a user interface 50-1, An alarm unit 60-1, and an application control unit 70-1.

네트워크 매니저(10-1)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대상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1C)에 내장된 GPS 모듈(40-1)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탐색하는 로케이션 서비스(11-1)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탐색주기를 5초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 환경에 따라 위치탐색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로케이션 서비스(11-1)는 위치탐색주기마다 탐색된 사용자 위치를 지오펜스 모니터(22-1)에 전달한다.The network manager 10-1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using the GPS information and searches for the user location using the data provided from the GPS module 40-1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1C And a location service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ation search period is set to 5 second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cation search peri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The location service 11-1 delivers the user location searched for every location search cycle to the geofence monitor 22-1.

지오펜스 매니저(20-1)는 로케이션 서비스(11-1)로부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가상의 지오펜스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는 지를 알려주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한다.The geofence manager 20-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service 11-1 and receives a geofenc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leaves the geofence area according to a result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virtual geofence area. Service.

지오펜스 매니저(20-1)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타임스탬프를 설정하는 타임스탬프 핸들러(21-1)를 포함한다. 또한 지오펜스 매니저(20-1)는 지오펜스 모니터(22-1), 지오펜스 전환 서비스(23-1), 지오펜스 설정기(24-1), 및 알림 핸들러(25-1)를 포함한다.The geofence manager 20-1 includes a time stamp handler 21-1 for setting a time stamp to temporarily maintain the geofence service. The geofence manager 20-1 also includes a geofence monitor 22-1, a geofence switching service 23-1, a geofence configurer 24-1, and a notification handler 25-1 .

이동 단말(1C)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도 22의 S200, S210). 이 지오펜스 서비스의 활성화 상태에서 지오펜스 매니저(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지오펜스 영역과 타임스탬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C can be activated to activate the geofence service (steps S200 and S210 in FIG. 22). In the activated state of the geofence service, the geofence manager 20-1 can receive the user command through the user interface 50-1 and perform the geofence area and time stamp setting.

먼저, 지오펜스 설정기(24-1)는 지오펜스 영역의 모양을 지정할 수 있다(도 22의 S216). 도 2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초기 구동하여 활성화한 상태에서 도구 아이콘(A1, A2)을 이용하여 가상의 지오펜스 영역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오펜스 영역은 이동형 지오펜스로서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가변할 수 있다.First, the geofence setting unit 24-1 can specify the shape of the geofence area (S216 in FIG. 22). As illustrated in FIG. 23, the virtual geofence area can be set to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by using the tool icons A1 and A2 while the application is initially activated and activated. Such a geofence area is a movable geofence, and the location of the geofence area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a person or an object.

도구 아이콘(A1)을 선택하면, 도 2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예시 화면(A3)에는 지도 위에 원형 지오펜스 영역(A4)이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이때 지오펜스 영역(A4)의 반경을 나타내는 숫자(A5)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tool icon A1 is selected, as shown in Fig. 24, the example screen A3 overlaps and displays the circular geometric area A4 on the map. At this time, the number A5 indicating the radius of the geofence area A4 can be displayed together.

타임스탬프 핸들러(21-1)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허용하는 시간 범위를 정의하는 타임스탬프의 생명주기를 설정한다(도 22의 S211). 도 24에서 날짜 지정버튼(B11)을 선택하면, 도 2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달력 화면(B14)이 제공되고, 화면(B14)에서 하나의 일짜(실시예에서 24일)를 해당 날짜로 지정할 수 있다. 도 24에서 시간 지정버튼(B12)을 선택하여 해당 시간을 지정하고, 설정 버튼(B13)을 선택하여 타임스탬프 생명주기의 설정 동작을 마치게 되면, 타임스탬프 핸들러(21-1)는 지정된 날짜와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부터 지오펜스 서비스를 만료까지 남아있는 잔여시간을 밀리 초(ms)로 계산한다(도 22의 S212).The time stamp handler 21-1 sets the life cycle of the time stamp that defines the time range for allowing the geofence service (S211 in FIG. 22). When the date designation button B11 is selected in Fig. 24, the calendar screen B14 is provided as illustrated in Fig. 25, and one date (24 days in the embodiment) can be designated as the date on the screen B14 have. When the time designation button B12 is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time is designated in FIG. 24 and the setting button B13 is selected to complete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time stamp life cycle, the time stamp handler 21-1 stores the designated date and time The remaining time remaining from the current time to the expiration of the geofence service is calculated in milliseconds (S212 in FIG. 22).

도 2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면 상단(B15)에는 지정된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고, 화면 중앙(B16)에는 남아있는 잔여시간이 시-분-초 형식으로 표시된다. 또한 예시 화면(A3)의 정보 표시영역(B17)에는 지오펜스 영역(A4)에 대한 정보로서 위도와 경도, 반경, 밀리 초로 계산된 잔여시간을 제공한다.As illustrated in Fig. 26, the designated date and time ar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B15, and the remaining time remaining in the screen center B16 is displayed in the hour-minute-second format.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B17 of the example screen A3 provides the remaining time calculated as latitude and longitude, radius, and millisecond as information on the geofenced area A4.

지오펜스 저장소(30-1)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지오펜스 정보로서 지오펜스 영역의 생성일자, 형태, 위치 정보 및 타임스탬프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The geofence storage 30-1 stores geofence information such as creation date, typ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stamp setting information as geofence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geofence service.

타임스탬프 핸들러(21-1)는 설정된 잔여시간을 일정 시간마다 갱신한다(도 22의 S214). 즉 잔여시간(Gt)을 1밀리 초(ms)씩 감산한다. 그 감산 결과 잔여시간(Gt)이 0으로 되면 지오펜스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이벤트를 지시하는 알람 메시지를 알림 핸들러(25-1)와 지오펜스 모니터(22-1)에 전달한다(도 22의 S213, S215).The time stamp handler 21-1 updates the set remaining time every predetermined time (S214 in FIG. 22). That is, the remaining time Gt is subtracted by 1 millisecond (ms). When the remaining time Gt becomes 0 as a result of the subtraction, an alarm message indicating a release event for releasing the geofence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notification handler 25-1 and the geofence monitor 22-1 S213, and S215).

지오펜스 모니터(22-1)는 관리 대상의 사용자 위치를 능동적으로 감시한다. 지오펜스 모니터(22-1)는 탐색된 사용자가 지오펜스 영역(A4) 안으로 들어오거나 지오펜스 영역(A4) 밖으로 나가면 이런 상황을 지오펜스 전환 서비스(23-1)에 전달한다(도 22의 S217, S218). 이 진입 상황 또는 진출 상황에 대응하여 지오펜스 전환 서비스(23-1)는 지오펜스 서비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기 위한 이벤트를 지시하는 트리거를 발생하여 알림 핸들러(25-1)에 전달한다(도 22의 S2119). 이때 알림 핸들러(25-1)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70-1)는 약정된 신호를 송수신하고 알람부(60-1)를 통하여 관리 대상의 위치 및 상황, 지오펜스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 등을 알려준다(도 22의 S215, S220). 일 예로서 탐색된 사용자가 지정된 지오펜스 영역(A4) 안으로 진입하는 경우, 도 27의 예시 화면(C1)과 같이 관리 대상의 사용자가 지오펜스 영역(A4) 안으로 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른 예로서, 탐색된 사용자가 지정된 지오펜스 영역(A4) 밖으로 진출하는 경우, 도 28의 예시 화면(C2)과 같이 관리 대상의 사용자가 지오펜스 영역(A4) 밖으로 진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The geofence monitor 22-1 actively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user to be managed. The geofence monitor 22-1 transmits this situation to the geofence switching service 23-1 when the searched user enters the geofenced area A4 or goes out of the geofenced area A4 (step S217 in Fig. 22 , S218). In response to the entry state or advance state, the geofence switching service 23-1 generates a trigger indicating an event for switching to either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geofence service, and transmits the trigger to the notification handler 25-1 (S2119 in Fig. 22).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handler 25-1 and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70-1 transmit and receive the agreed signals and notify the position and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whether or not the geofence service is activated through the alarm unit 60-1 22, S215, S220). As an example, when the discovered user enters the designated geofenced area A4, a guidance message is displayed to confirm that the user to be managed has entered the geofenced area A4 as shown in the example screen C1 of FIG. do.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iscovered user advances out of the designated geofenced area A4, a guidance message that confirms that the user to be managed has advanced outside the geofenced area A4 as shown in the example screen C2 in Fig. 28 Display.

알람부(60-1)가 터치패널의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에 부가하여 이동 단말(1C)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현재 상황을 알릴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the alarm unit 60-1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C to inform the current situation.

잔여시간(Gt)이 0에 도달하여 타임스탬프 핸들러(21-1)가 지오펜스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이벤트를 알림 핸들러(25-1)에 전달하고, 알림 핸들러(25-1)는 타임스탬프의 생명주기 종료를 애플리케이션 제어부(70-1)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70-1)는 알람부(60-1)를 통해 도 29의 예시 화면(C3)과 같이 지오펜스 서비스 만료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도 30의 예시 화면(C4)과 같이 지오펜스 서비스가 해제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도 22의 S221).When the remaining time Gt reaches 0, the time stamp handler 21-1 transmits a release event for releasing the geofence service to the notification handler 25-1, and the notification handler 25-1 transmits a time stamp To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70-1.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70-1 displays a geofence service expiration message like the example screen C3 of FIG. 29 through the alarm unit 60-1. In addition, as shown in the example screen C4 of FIG. 30, the state in which the geofence service is released and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can be displayed and confirmed (S221 in FIG. 2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정한 타임스탬프의 생명주기에 의해 허용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동형 지오펜스 서비스 완료를 통지하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자동으로 지오펜스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1C)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me allowed by the life cycle of the set time stamp has elapsed, an alarm message for notifying completion of the mobile geofence service is transmitted and the geofence service is automatically disable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1C can be reduced.

1 : 이동 단말
90 : 실시간 현위치 전달 모듈
91 : 3차원 지오펜스 정보 모듈
1000 : 3차원 지오펜스 서버
1100 : 지오펜스 태스크 모듈
1200 : 위치 분석모듈
1300 : 지오펜스 데이터베이스
2000 : 사물
1: mobile terminal
90: Real-time position transmitter module
91: 3D Geofence Information Module
1000: 3D geofence server
1100: Geofence Task Module
1200: Position analysis module
1300: Geofence database
2000: Things

Claims (4)

실외 또는 실내에서 위치 측정을 위한 위치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데이터에 따라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을 휴대한 이동 객체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지오펜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3차원 지오펜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위치 데이터로서 실내에서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에 직접 전달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로서 실외에서 수집된 GPS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오펜스 반경을 포함한 지오펜스 데이터를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3차원 지오펜스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맥 어드레스 정보와 지오펜스 데이터를 근거로 3차원 공간상 상기 이동 단말 위치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변경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업데이트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을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이동형 지오펜스 영역을 근거로 하여 지오펜스 서비스를 한시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타임스탬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타임스탬프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시간이 경과하면 지오펜스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이동단말은,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는 수신강도 감지부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맥주소와 건물 각 층의 정보를 맵핑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GPS 신호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제공받아 위치 인식하는 위치식별 알고리즘 1과 상기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수신강도가 크고 거리가 가까운 우선순위 신호그룹과 수신강도가 작고 거리가 먼 차순위 신호그룹 중 어느 하나의 신호그룹으로 지정하여 위치 인식하는 위치식별 알고리즘 2를 이용하는 위치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식별부는, 상기 우선순위 신호그룹에 속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와 상기 차순위 신호그룹에 속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내 창가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GPS 신호와 상기 우선순위 신호그룹에 속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외 창가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
A mobile terminal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position data for position measurement outdoors or indoors; And
A geofence area i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o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geofence area is set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moving object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set geofenced area or not Dimensional geofence server for performing a geofence service,
Wherein the mobile terminal directly transmits th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collected in the room as the location data to the 3D geofence server and transmits the GPS data collected in the outdoor as the location data and the geofence radius set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geofence data to th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er,
The 3D geofence server sets a mobile geofence area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MAC address information and the geofe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updated to updat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geofence area is reset, and a time stamp is set to temporally apply the geofence service based on the reset mobile geofence area , The geofence service is deactivated when a time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set time stamp passes,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reception strength detector for detecting a reception intensity of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 signals installed in a room, a storage for storing a MAC addres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a database mapped with information of each building floor, A loc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1) for receiving a GPS signal and / or a radio access point signal alone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radio access point; and a priority signal group having a high reception intensity and a short distance and a small reception intensity And a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using a posi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2 for specifying a position of a signal group among a group of far-order signal groups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Wherei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receives a wireless access point signal belonging to the priority signal group and a wireless access point signal belonging to the next signal group and recognizes that the user is located at an indoor window when receiving the GPS signal, And receives a signal and a wireless access point signal belonging to the priority signal group, recognizes that the user is located at an outdoor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71557A 2016-02-23 2016-12-15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KR1018115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16 2016-02-23
KR1020160021416 2016-02-23
KR1020160021415 2016-02-23
KR1020160021415 2016-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52A KR20170099352A (en) 2017-08-31
KR101811546B1 true KR101811546B1 (en) 2017-12-20

Family

ID=59761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557A KR101811546B1 (en) 2016-02-23 2016-12-15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KR1020160171558A KR101850221B1 (en) 2016-02-23 2016-12-15 A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With Rule-based Context-Aware Computing For The Internet Of Thing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558A KR101850221B1 (en) 2016-02-23 2016-12-15 A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With Rule-based Context-Aware Computing For The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115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485B1 (en) 2021-03-09 2022-08-22 주식회사 로지스텍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estination entry/exit state of vihicles using gps and geo-fe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8315B (en) * 2017-12-22 2020-07-24 长春理工大学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verage of area of Internet of things
KR20190100786A (en) * 2018-02-21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geofencing based on payment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013909B1 (en) * 2018-04-02 2019-08-2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Life Log Smart Educ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US11308789B2 (en) 2018-05-30 2022-04-19 Amotech Co., Ltd. Method for providing low-power IoT communication-based geo-fence service on basis of context awareness information of position tracking device
WO2019231233A1 (en) * 2018-05-30 2019-12-05 주식회사 아모텍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e service
KR20190136961A (en)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아모텍 A loca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geo-fence service
KR102027113B1 (en) * 2018-07-13 2019-10-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A data managing system and a data managing method
US10859992B2 (en) * 2018-10-15 2020-12-08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based geo-fencing system
KR102083359B1 (en) * 2018-12-26 2020-03-02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APPARATUS FOR SMART IoT CONNECTED POLE EMBODIED WITH GENERAL APPLICABLE EXPANDABILITY
CN111194006B (en) * 2020-01-02 2021-06-29 西安广和通无线软件有限公司 Dynamic geo-fenc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321392B1 (en) * 2020-01-06 2021-11-03 정규홍 Iot device and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mobility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service using the same
KR102106771B1 (en) * 2020-02-25 2020-05-06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APPARATUS FOR SMART IoT CONNECTED POLE BASED ON ADAPTIVE PROTOCOL WITH USER ORIENTATION
KR102473020B1 (en) * 2020-03-06 2022-11-30 이원석 Active Setting Mehtod for Geofence Areas
CN111432333A (en) * 2020-03-31 2020-07-17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102484733B1 (en) * 2020-11-06 2023-01-0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ethod for provide waiting tim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20220105450A (en) * 2021-01-20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to tag location information to metadata of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485B1 (en) 2021-03-09 2022-08-22 주식회사 로지스텍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estination entry/exit state of vihicles using gps and geo-f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221B1 (en) 2018-04-19
KR20170099352A (en) 2017-08-31
KR20170099353A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46B1 (en) A Mobile Three-Dimensional Geofence Service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KR101728123B1 (e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by Using Earth&#39;s Magnetic Fields
CN105203100B (en) Intelligently guiding user takes the method and device of elevator
US9539164B2 (en) System for indoor guidance with mobility assistance
US9508269B2 (en) Remote guidance system
US9277524B2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1997005751A1 (en) System for displaying position of mobile terminal
JP6087693B2 (en)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specific position based on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for each channel
CN103649770B (en) The location estimation of mobile device
JPH10126843A (en) Position determining system for emergency radio communication
US20190023528A1 (en) Wireless beacon and sensor node network application for the optimization and automation of on-site hoist operation and vertical transportation
KR20140128171A (en) An appratus for guiding a loc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US10397750B2 (en) Method, controller, telepresence robot,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JP6716892B2 (en)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KR101583586B1 (en) Solution for providing real-time positioning and escaping route correspond to disaster
KR20150073574A (en) Terminal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for indoor us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service for indoor 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50514A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603712B1 (en) Method for indoor positioning and, system thereof
KR101796276B1 (en) Pedestrian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for the blind
CN103245345A (en) Indoor navigation system, indoor navigation method and indoor searching method based on image sensing technology
EP2843589B1 (en) A method and platform for sending a message to a communication device associated with a moving object
TW201527783A (en) Bluetooth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003244739A (en) Destination arrival guidance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US10172760B2 (en) Responsive route guidance and identification system
KR101645816B1 (en) Navigation System By User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