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825B1 -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 Google Patents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825B1
KR101708825B1 KR1020160087015A KR20160087015A KR101708825B1 KR 101708825 B1 KR101708825 B1 KR 101708825B1 KR 1020160087015 A KR1020160087015 A KR 1020160087015A KR 20160087015 A KR20160087015 A KR 20160087015A KR 101708825 B1 KR101708825 B1 KR 10170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ire
connection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근
Original Assignee
안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근 filed Critical 안성근
Priority to KR102016008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버팀보; 상기 강관버팀보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는 잭; 상기 잭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일단부에는 흙막이 벽체와 마주접하는 띠장을 결속하기 위한 회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강관 버팀보가 설치되는 상기 흙막이 벽체 지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소정의 콘크리트 블록이 매설되고, 상기 강관버팀보의 타단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록 상에 결속되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 크기나 형상 구조 등에 대비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이면서, 설계 강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용성이 있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Module of variable temporary retaning wall}
본 발명은,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강관버팀보를 이용하여 터파기 가시설 작업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가속 및 경제 성장에 따라 근래 들어서는 고층빌딩 및 아파트뿐만 아니라 교량 등의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이 대형화 추세에 따라 건설현장의 굴착공사또한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흙막이 지보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지하구조물의 터파기를 위한 가시설 작업시 흙막이를 지지하는 2단이나 대단면의 강관버팀보 같이 자중이 큰 경우에 강관버팀보 및 주형보의 처짐을 방지하여 강관버팀보나 주형보의 설계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강관버팀보의 수평설치 간격의 확대시공을 가능케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한 강관버팀보는 주형보의 설계 강성을 확보를 주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그 크기나 형상 등의 대한 구조에 대비하여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그 문제점은 여전히 온전하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흙막이를 지지하는 구조물 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간혹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붕괴나 유동의 전후징조를 사전에 쉽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순간적으로 급작스럽게 붕괴나 유동이 발생되어 인명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흙막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0419호
본 발명은, 터파기를 위한 가시설 작업시 보다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강관버팀보 및 주형보를 이용한 처짐 방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버팀보; 상기 강관버팀보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는 잭; 상기 잭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일단부에는 흙막이 벽체와 마주접하는 띠장을 결속하기 위한 회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강관 버팀보가 설치되는 상기 흙막이 벽체 지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소정의 콘크리트 블록이 매설되고, 상기 강관버팀보의 타단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록 상에 결속되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그 크기나 형상 구조 등에 대비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이면서, 설계 강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용성이 있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흙막이를 지지하는 구조물 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순간적이고 급작스런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변형예에 따른 압축하중이 가해지는 강관이음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압축하중이 가해지는 강관이음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따른 압축하중이 가해지는 강관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장력감지유닛의 구성도로서 설치예시도이다.
도 5a는 도 5에 따른 인장력감지유닛의 구성도로서 설치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립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장력감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리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단면도로서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단면도로서 사용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2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강관버팀보는 양단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열을 이루며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이음강관 및 제2이음강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음강관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이음강관의 양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2이음강관 양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연결유닛과 열을 이룰 수 있도록 밀착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유닛 및 상기 제1이음강관 양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연결유닛과 상기 한 쌍의 제1연결유닛과 각각 접하고 있는 한 쌍의 제2연결유닛을 일열로 관통하여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제2연결유닛에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이음강관 양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연결유닛과 상기 한 쌍의 제2연결유닛과 각각 접하고 있는 한 쌍의 제1연결유닛을 일열로 관통하여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제1연결유닛에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제2연결유닛의 내측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제1이음강관의 양측 단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수연결유닛과, 상기 제1수연결유닛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이음강관의 중심부 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제1암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유닛은, 상기 제1수연결유닛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강관의 중심부 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제2암연결유닛과, 제1암연결유닛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강관의 양측 단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수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제2연결유닛의 측부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암연결유닛은, 상기 제1이음강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외주면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1수연결유닛은, 상기 제1이음강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외주면에 한 쌍이 설치되되 상기 제1암연결유닛과 상기 제1이음강관의 외주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암연결유닛은, 상기 제2이음강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외주면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2수연결유닛은, 상기 제2이음강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외주면에 한 쌍이 설치되되 상기 제2암연결유닛과 상기 제2이음강관의 외주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강관버팀보는 흙막이 벽체(P) 사이에 설치되며, 잭(20)은 상기 강관버팀보의 일단부 상에 결속된다. 회동유닛(30)은 상기 잭(20)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며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띠장(40)은 일단부가 상기 회동유닛(30) 상에 결속되며, 타단부는 흙막이 벽체(P)와 마주접하여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강관 버팀보가 설치되는 상기 흙막이 벽체(P) 지면(B)에는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형성된 소정의 콘크리트(C) 블록이 매설된다. 상기 강관버팀보의 타단부는 상기 콘크리트(C)블록 상에 결속된다. 연직보강체(15)는 상기 콘크리트(C) 블록 내에는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강관버팀보의 타단부는 상기 연직보강체(15)와 결속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강관버팀보는 상기 강관버팀보는 양단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열을 이루며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이음강관 및 제2이음강관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강관버팀보(10)는 양단부가 대향되게 밀착되는 복수의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연결유닛(200)은 상기 제1이음강관(100) 양단부에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연결유닛(300)은 상기 제1연결유닛(200)과 대향되게 밀착되도록 제2이음강관(100')의 양단부에 이격 배치된다. 연결와이어(400)는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연결유닛(200),(300)을 상호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유닛(200)은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 중에서 제1이음강관(100) 양단부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해당 내측에는 상기 연결와이어(4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홀(4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해당 상면 양측부에는 상기 제1이음강관(100)과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결합 고정되는 복수개의 볼트홀(110)이 각각 형성되며, 해당 하면은 상기 제1이음강관(100)의 외경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제1연결유닛(200)은 상기 제1이음강관(100)의 단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수연결유닛(210)이 상기 제1이음강관(100)의 일단부측에 설치되고, 제1이음강관(100)의 중심부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제1암연결유닛(220)이 상기 제1이음강관(100)의 타단부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제1수연결유닛(210) 및 제1암연결유닛(220)은 후술하는 제2연결유닛(300)의 제2암연결유닛(320) 및 제2수연결유닛(310)과 대응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이들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상기 제2연결유닛(300)은 상기 제1연결유닛(200)과 대향되도록 상기 제1이음강관(100) 양단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2이음강관(100') 대향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해당 내측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200)을 관통한 연결와이어(400)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와이어관통홀(4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해당 상면 양측부에는 상기 제2이음강관(100')과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결합 고정되는 복수개의 볼트홀(110)이 각각 형성되며, 해당 하면은 상기 제2이음강관(100')의 외경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2연결유닛(300)은 상기 제1연결유닛(200)이 설치된 제1이음강관(100) 양단부에 밀착된 한 쌍의 제2이음강관(100') 대향단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수연결유닛(310)과, 상기 제1연결유닛(200)이 설치된 제1이음강관(100) 양단부에 밀착된 한 쌍의 제2이음강관(100') 중심부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제2암연결유닛(320)으로 구성되는 바, 이들 상기 제2수연결유닛(310) 및 제2암연결유닛(320)은 상기 제1연결유닛(200)의 제1암연결유닛(220) 및 제1수연결유닛(210)에 각각 대향 배치되어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이 상호연결되는 경우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한편, 상기 제1연결유닛(200) 및 제2연결유닛(300)은 연결와이어(40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와이어(400)는 한 쌍의 제1연결유닛(200)의 와이어관통홀(4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유닛(200)의 제1이음강관(100)에 대향배치된 한 쌍의 제2이음강관(100')의 제2연결유닛(300)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양단부를 갖는다. 즉, 하나의 연결와이어(400)는 상기 한 쌍의 제1연결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연결유닛(200)의 양단부에 배치된 각각의 제2연결유닛(300)을 상호 연결하며 고정하므로, 단부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특히, 양단부가 대향되게 밀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의 양단부에는 복수개의 제1수연결유닛(210') 및 제1암연결유닛(220)과 제1수연결유닛(210) 및 제1암연결유닛(220')이 교호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 사이에 긴밀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하중이 가해지는 강관이음구조의 경우 복수개의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연결유닛(200),(300)이 연결와이어(400)를 통해 상호 연결되므로 연결와이어(400)의 이완 상태를 통해 버팀보 상태를 미연에 확인하고 버팀보의 성능을 향상시켜 흙막이 공사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용접 또는 플랜지부를 통해 상호 연결된 강관을 회수하는 경우 이음부에 손상이 발생되거나, 용접으로 인한 부품 관리 비용이 상승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장력감지유닛의 구성도로서 설치예시도이다.
한편, 상기 연결와이어 상에는 부가적으로 안전을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로서 인장력감지유닛(50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력감지유닛(500)은 상기 제1이음강관(100) 및 상기 제2이음강관(100') 상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음강관(100) 및 상기 제2이음강관(100') 상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와이어(400) 상에 발생되는 인장력 값을을 감지한다. 특히, 측정된 인장력 값이 기설정된 일정 값을 초과하면, 시각적 및 청각적 수단으로 외부에 알리게 된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장력감지유닛(500)에서 로드셀(520)은, 인장력을 받으면 그 압축 변화량을 전기적으로 검출해내는 센서로서, 그 변형량을 주지의 변형측정장치(51)에 연결하여 전기신호로 검출한 뒤 컴퓨터 장치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바꾸면 인장력이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변형측정장치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결하여 화상에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로드셀(520)의 일측에는 연결와이어(400)에 걸려 있는 인장력을 로드셀(520)에 전달하기 위한 척킹장치가 설치된다. 즉, 상기 척킹장치는 상기 로드셀(520)의 연결와이어 인입구멍(520a)에 인입되어 빠져나온 연결와이어(400)의 단부를 척킹하여 연결와이어(400)에 걸려있는 장력을 상기 로드셀(520)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상기 척킹장치는, 웨지(530)와, 이 웨지(530)와 테이퍼 결합되는 관통된 테이퍼구멍(541)을 갖고 상기 로드셀(520)의 일측면에 접촉 설치되는 웨지소켓(5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웨지(530)는, 도 7과 같이 원주상에 복수개로 분할되고 외주면이 테이퍼 진 복수개의 분할웨지(531)와, 이들 분할웨지(531)를 원주상에 탄성력으로 정열시키는 탄성링(532)과, 상기 탄성링(532)에 의해 복수개의 분할웨지(531)가 정열되었을 때 연결와이어(400)의 직경보다 적어도 작은 직경으로 중앙에 형성된 웨지구멍(533)을 갖고 있다. 웨지구멍(533)은 연결와이어(400)의 표면 구조에 따라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웨지(530)의 외주면이 테이퍼진 이유는 최초에 탄성링(532)의 탄성력으로 연결와이어(400)을 물고나서 소켓(540)의 테이퍼구멍(541)으로 점진적으로 들어갈 때 분할웨지 (531)를 반경 중심방향으로 더욱 조여 수십톤의 힘이 걸려 있는 연결와이어(510)이 웨지 (531)로부터 이탈되어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링(532)은 원형으로서 스프링 강선이나 고무로 제작될 수 있고, 폐쇄형이 아닌 절단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와이어 인입구멍(520a)에는 상기 연결와이어(400)이 삽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522도 5)을 갖는 나사축(52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나사축(52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와이어 인입구멍(520a)에 도 6와 같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나사축(522)이 추가되는 이유는 연결와이어(400)이 인장구조물에서 적게나마 유동을 할 때 연결와이어(400)이 직접 로드셀(520)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드셀(520)의 손상과 측정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설치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400)의 일단이 고정될 고정부재(5)(5인장구조물의 일부에 포함됨)에 형성된 관통구멍(5도 5)에 연결와이어(400)의 일단부를 삽입 시키고, 고정부재(5)의 배면측에서 나사축(522), 로드셀(520), 웨지소켓(540)및 웨지 (530)를 순차적으로 연결와이어(400)에 삽입한다. 이때 나사축(522)과 로드셀(520)은 서로 나사결합된 후 동시에 케이블(1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연결와이어(400)을 적당히 당기면 도 6와 같이 웨지(530)가 웨지소켓 (540)에 테이퍼로 결합되고, 소켓(540)의 로드셀(520)의 배면측에 접하고, 로드셀(520)의 타면은 고정부재(5)측에 맞닿게 된다.
다음, 연결와이어(400)에 주 인장력이 작용하면 그 힘은 연결와이어(400)을 물고 있는 웨지(530)와 웨지소켓(540)을 통해 로드셀(520)에 축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로드셀(520)은 압축 변형되고, 이 변형량은 전기적 신호로서 로드셀 (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지의 변형측정장치(51)에 송출된다. 이 변형측정장치 (51)에서는 이 신호를 증폭 변환시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이러한 측정 데이터는 다수개의 연결와이어로부터 각 측정 지점에서 항시 얻을 수 있으므로 이들 수치를 비교해보면 불균형된 인장력을 갖는 연결와이어을 찾아낼 수 있고, 이의 장력을 조절하면 전체적으로 균형된 장력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집중적으로 인장력이 가해져 피로한계에 도달한 연결와이어을 찾아내어 이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척킹수단은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분할된 한쌍의 블록을 구비하고, 이 한쌍의 블록의 분할면에 연결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연결와이어 조임구멍을 형성하고, 한쌍의 블록을 체결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조임구멍에 연결와이어이 척킹된다. 즉, 연결와이어의 고정시킬 부위를 조임구멍이 감싸도록 한쌍의 블록을 연결와이어에 배치하고, 다수의 체결볼트와 너트로 블록을 체결하여 조임구멍이 연결와이어을 조임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장력감지유닛(500)의 사시도 및 조립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정면도이다. 주요 특징은 도 8, 9와 같이 로드셀(520)을 고정부재(5)측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와이어(400)의 끊어지 중간에 변형될 로드셀(520')을 연결시켜 인장력을 측정하게 되어 있다. 즉, 도 9와 같이 로드셀(520')과, 로드셀(520')을 연결와이어(400)에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소켓(50,51)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셀(520')은 원통형으로서 양단부 외주면에 각기 수나사부(520b)를 갖고, 상기 연결와이어(400)의 인장 측정이 이루어질 연결 부분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소켓(50,51)은 상기 로드셀(522)의 양단측 수나사부(520b)에 각기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구멍(50도 5)과, 이 나사구멍(50a)에서 동축으로 연장된 테이퍼구멍(50도 6)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소켓(50,51)에 고정될 연결와이어(400)의 연결단부는 테이퍼형태로 확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인장력감지유닛(500)는 도 9,6과 같이 한쌍의 연결소켓(50,51)을 각기 양측 연결와이어(400)의 단부에 삽입시켜 연결소켓(50,5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연결와이어(400)의 단부가 연결소켓(50,51)으로부터 당김방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원추형태로 제작하는 한방법은 연결와이어(400)의 단부측 소선들을 풀어헤친 후 원추형 형틀에서 납이 포함된 용융 금속을 부어넣어 응고시켜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한쌍의 연결소켓(50,51)의 사이에 로드셀(520')을 위치시키고, 로드셀 (520')의 양단부측 수나사부(522도 6)에 각각 연결소켓(50,51)의 나사구멍(50도 5)을 나사결합시켜서 도 9와 같이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와이어(400)에 장력(F,F)이 걸리면, 그 장력은 로드셀(520')의 양측에 배치된 연결소켓(50,51)을 통해 로드셀(520')을 인장시킨다.
따라서 로드셀(520')에는 인장력에 따른 변형량이 발생하고, 이 변형량은 전기적 신호값으로 로드셀(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지의 변형측정장치(51)에 송출된다. 이 변형측정장치(51)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측정 데이터가 얻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장력을 조절하여 균일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집중적으로 장력을 받는 연결와이어은 파괴전에 교체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예시도로서, 제 1실시예의 척킹수단이 변형된 것이다. 즉, 제 1실시예는 구조용 연결와이어(400)의 단면구조가 웨지(530)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지만 제 3실시예의 도 11에 도시된 연결와이어(400)는 소선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연결와이어(400)의 단부와 일단부가 단조가공으로 연결되고 타단부에 수나사를 형성하는 나사봉(526)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봉(526)에는 상기 연결와이어(400)에 걸려 있는 장력을 상기 고정지지부(5)의 배면에 위치된 상기 로 드셀(520)에 전달하는 체결너트(527)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연결와이어(4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나사봉(526)과 체결너트(527)를 매개로 로드셀(520)을 압축시켜 인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예시도로서, 도 9의 변형예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서 양단부 외주면에 수나사부(520b)를 갖고, 상기 연결와이어(400)의 인장 측정이 이루어질 연결 부분에 위치되는 로드셀(520')과, 일측단에 상기 로드셀(520')의 양단측 수나사부(520b)에 각기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구멍(50도 5')과 타측단에 소켓나사구멍(50도 6')을 각기 갖는 한쌍의 연결소켓(50' ,5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와이어(400)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소켓나사구멍 (50b')에 나사결합되는 연결소켓(540,40')이 구비되어, 연결와이어(400)의 양측에서 인장력이 발생할 때 상기 로드셀(522)에서 전기적 장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540,540')과 연결와이어(400)과의 연결은 단조가공으로 결합되어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결와이어의 구조에 관계없이 인장력을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장력감지유닛(500)의 상기 알림음출력수단(600)과 상기 광출력수단(700)은 상기 제1이음강관(100)과 상기 제2이음강관(100') 상에 각각 별도 또는 셋트로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와이어(400)상에 인장력이 발생되되, 상기 인장력감지유닛(500)에 의하여 특정한 값을 초과하는 인장력이 발생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알림음출력수단과(600)과 상기 광출력수단(700)은 상기 인장력감지유닛(500)상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무선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알림음출력수단(600)과 상기 광출력수단(700)이 상기 인장력감지유닛(500)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소정거리 떨어져 구비된 채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이음강관(100)과 상기 제2이음강관(100') 상에서 상기 인장력감지유닛(500)의 주변으로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미도시)이 구비되고, 노출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핀(미도시)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부터 가변된다. 따라서, 연결와이어(400)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음강관(100) 및 제2이음강관(100') 등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공은 둘레방향을 따라 허니컴 형상의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은 다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허니컴 구조를 통하여 강관(300)을 경량화 시키면서 내구성의 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제1이음강관
100' : 제2이음강관
110 : 볼트홀
200 : 제1연결유닛
300 : 제2연결유닛
400 : 연결와이어
410 : 와이어관통홀
500 : 인장력감지유닛

Claims (5)

  1.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버팀보; 상기 강관버팀보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는 잭; 상기 잭의 일단부 상에 결속되며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동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회동유닛 상에 결속되며, 타단부에는 흙막이 벽체와 마주접하는 띠장을 포함하며,
    상기 강관 버팀보가 설치되는 상기 흙막이 벽체 지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소정의 콘크리트 블록이 매설되고, 상기 강관버팀보의 타단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록 상에 결속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강관버팀보의 타단부는 상기 연직보강체와 결속되며,
    상기 강관버팀보는 양단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열을 이루며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이음강관 및 제2이음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음강관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이음강관의 양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2이음강관 양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연결유닛과 열을이룰 수 있도록 밀착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1이음강관 양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1연결유닛과 상기 한 쌍의 제1연결유닛과 각각 접하고 있는 한 쌍의 제2연결유닛을 일열로 관통하여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제2연결유닛에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이음강관 양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연결유닛과 상기 한 쌍의 제2연결유닛과 각각 접하고 있는 한 쌍의 제1연결유닛을 일열로 관통하여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제1연결유닛에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제2연결유닛의 내측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제1이음강관의 양측 단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수연결유닛과, 상기 제1수연결유닛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이음강관의 중심부 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제1암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유닛은, 상기 제1수연결유닛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강관의 중심부 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제2암연결유닛과, 제1암연결유닛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강관의 양측 단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수연결유닛과,
    상기 제1이음강관 및 상기 제2이음강관 상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음강관 및 상기 제2이음강관 상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와이어 상에 발생되는 인장력 값을 감지하되, 측정된 인장력 값이 기설정된 일정 값을 초과하면, 시각적 및 청각적 수단으로 외부에 알리기 위한 인장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감지유닛은,
    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 인입구멍을 갖고, 상기 와이어이 고정될 어느 일단측 고정지지부의 배면에 위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케이블 인입구멍에 인입되어 빠져나온 와이어의 단부를 척킹하여 와이어에 걸려있는 장력을 상기 로드셀에 전달하여, 상기 로드셀에서 전기적 장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척킹수단과,
    상기 전기적 장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장력 값이 기설정된 일정 값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의 제어하에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출력수단과,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인입구멍에는 상기 와이어를 삽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을 갖는 나사축이 나사결합되어 와이어의 움직임에 의한 로드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강관과 상기 제2이음강관 상에서 상기 인장력감지유닛의 주변으로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노출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핀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부터 가변되어 가이드되는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KR1020160087015A 2016-07-08 2016-07-08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KR10170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15A KR101708825B1 (ko) 2016-07-08 2016-07-08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15A KR101708825B1 (ko) 2016-07-08 2016-07-08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825B1 true KR101708825B1 (ko) 2017-03-08

Family

ID=5840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015A KR101708825B1 (ko) 2016-07-08 2016-07-08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01A (ko) *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스트링 고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47A (ja) * 1991-12-27 1993-07-20 Haseko Corp 山留め壁の支保構造
KR100450575B1 (ko) * 2002-08-20 2004-10-06 한국산업안전공단 관로 굴착작업용 간이 흙막이 벽체
KR20150010419A (ko) 2013-07-19 2015-01-28 (주)써포텍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버팀보 연결구조
KR101538162B1 (ko) * 2014-10-14 2015-07-21 주식회사 백년 설치 해체가 용이한 원가절감형 흙막이 및 시공방법
KR101624102B1 (ko) * 2015-07-16 2016-05-25 박강호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47A (ja) * 1991-12-27 1993-07-20 Haseko Corp 山留め壁の支保構造
KR100450575B1 (ko) * 2002-08-20 2004-10-06 한국산업안전공단 관로 굴착작업용 간이 흙막이 벽체
KR20150010419A (ko) 2013-07-19 2015-01-28 (주)써포텍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버팀보 연결구조
KR101538162B1 (ko) * 2014-10-14 2015-07-21 주식회사 백년 설치 해체가 용이한 원가절감형 흙막이 및 시공방법
KR101624102B1 (ko) * 2015-07-16 2016-05-25 박강호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01A (ko) *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스트링 고정 장치
KR102610088B1 (ko) * 2022-01-24 2023-12-06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스트링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3553B1 (en) An assembly of an end-fitting and a flexible pipe
US4280363A (en) System for measurement of force with directionally orientated strain gauges
US20110259115A1 (en) Structural load monitoring using collars and connecting elements with strain sensors
US6901818B1 (en) Tension measuring device for mooring line
CN104895334B (zh) 预应力实时监测夹片锚具及其锚具张锚方法
CN108869881B (zh) 一种管道减隔震装置及其施工方法
CN206469864U (zh) 一种用于桥梁结构健康监测的智能螺栓
JP2008303573A (ja) 耐震補強ケーブル
KR101708825B1 (ko)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KR102203819B1 (ko) 교량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7490513A (zh) 一种斜安装螺栓拉伸能力的试验方法及试验装置
JP2001133392A (ja) アンカー材の定着力測定方法
CN217006730U (zh) 一种弯折拉索与索夹组装件抗滑移承载力试验***
CN213867805U (zh) 一种用于可回收锚杆的自解锁锚具
JP5482526B2 (ja) 応力解放法による鉄塔部材の応力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212254018U (zh) 一种基于光纤光栅的吊索桥的监测结构
JP2004077289A (ja) 分割型環状弾性体
CN107473108B (zh) 一种塔吊塔身竖向连接安全监测装置及其使用和预警方法
KR102598223B1 (ko) 스프링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스프링 조인트
CN221095231U (zh) 一种自带安全检测***的锚桩法反力架
CN205741913U (zh) 斜拉索夹板
KR102394763B1 (ko) H빔과 기둥의 파손감지방법
CN210005218U (zh) 一种结构失稳监测和控制集成化部件
CN220437371U (zh) 一种水工建筑物钢筋混凝土用动态监测装置
KR20210101120A (ko) 기둥 파손감지 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