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193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93B1
KR101700193B1 KR1020100056442A KR20100056442A KR101700193B1 KR 101700193 B1 KR101700193 B1 KR 101700193B1 KR 1020100056442 A KR1020100056442 A KR 1020100056442A KR 20100056442 A KR20100056442 A KR 20100056442A KR 101700193 B1 KR101700193 B1 KR 10170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member
keypad
lower plat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6432A (en
Inventor
이보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93B1/en
Publication of KR2011013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that is portable and portable and can be used by an individu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inside a portable terminal body, reducing material costs, and improving mass productivity.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that is portable and portable and can be used by an individu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inside a portable terminal body, reducing material costs, and improving mass productivity.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portab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it is portable.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bination of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or video shooting, playing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game or broadcasting, etc. .

그리고,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기능 등을 겸비하여, 통신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수단 이외에도 각종 데이터 처리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구비하여 컴퓨터 등과 구별이 모호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s communication mean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like, and have a variety of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multimedia function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means, which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computers and the like obscure.

일반적으로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 타입, 바 타입(풀터치 스크린 타입 포함) 및 슬라이드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folder type, a bar type (including a full touch screen type), and a slide type.

여기서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두 개의 하우징(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서로 힌지연결되어 본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is typically constructed with two housings (upper housing and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hinged to each other to fold or unfold the main body.

또한 일반적으로 숫자, 문자 등이 인쇄된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의 하단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는 단말기 본체가 접혀질 때,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대향되는 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받게 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a cushioning member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using, which is generally provided with operation buttons printed with numbers, characters and the like. The cushioning member is provided to absorb a shock that is received when the opposing face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ome into direct contact when the terminal body is folded.

여기서, 종래에는 완충부재를 하부 하우징에 조립할 때, 길이가 긴 완충부재를 준비하여,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는 구멍에 상기 완충부재를 관통시켜 조립한 후, 완충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잘라냄으로써 마무리 작업을 하는 방식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완충부재를 준비하는 이유는, 완충부재의 일부가 하부 하우징의 구멍에 들어간 후에 펜치와 같은 도구로 완충부재의 후단을 잡아당겨 억지끼움 방식으로 하부 하우징의 구멍에 조립시키기 위해서이다.Conventionally, when a cushioning member is assembled to a lower housing, a cushioning member having a long length is prepared, the cushioning member is passed through a hole passing through the lower housing, and the cushioning member is cut off from a lower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The way of doing work was done. The reason for preparing the cushioning member having such a long length is that the rear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is pulled by a tool such as a pliers after the part of the cushioning member has entered the hole of the lower housing to assemble into the hole of the lower housing in a forced fit manner .

즉, 종래의 경우에는 완충부재의 조립에만 필요한 부위가 완충부재에 존재하였고, 이러한 부위는 완충부재의 조립 후에는 잘라내어 지고 폐기되므로 재료비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a portion necessary for assembling the cushioning member exists in the cushioning member, and since such a portion is cut off after disassembling the cushioning member, the material cost rises.

한편, 상기와 같은 완충부재의 조립은 모두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행하여 지기 때문에, 완충부재를 조립한 후 조립에만 필요한 부위를 잘라낼 때 양산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듯 양산 편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하우징 내부에 다른 부품들을 배치 내지 조립하기 위한 배치설계를 할 때, 잘려진 완충부재의 단부 주변으로 일정한 여유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즉, 하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이나 안테나 모듈 등의 배치를 설계할 때 상기와 같은 양산 편차로 인한 여유공간을 회피하여 설계하여야 하는데, 이는 불필요하게 단말기 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ushioning member is manually assembled by a person, the mass production deviation occurs when the cushioning member is assembled and then a portion necessary for assembling is cut. In this case, when a layout design for arranging or assembling other components in the lower housing is performed, a certain clearance must be secured around the ends of the cushioning members. That is, when designing a layout of a printed circuit board or an antenna module disposed in the lower housing,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pace avoiding the above-mentioned mass production deviation. This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body unnecessarily there was.

나아가,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완충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거치게 되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양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Further, since a separate process for assembling the cushioning member has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defects may occur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greatly improve the mass productivity.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이나 안테나 모듈 등의 부품을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할 때 회피하여야 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to be avoided when a component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or an antenna module is disposed inside a terminal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를 절감시키고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ducing the material cost for manufacturing the buffer member and improving the mass productivity.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가 구비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변위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대변위 또는 차폐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은 상기 키패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body having a keypad for user input, a second body selectively displacing or shield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ody relative to the first body, And a cush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main body, wherein one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keypad.

여기서,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돔 스위치 및 상기 돔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전극부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돔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돌기가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The keypad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eypa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an electrode unit selectively contacting the dome switch, wherein the keypad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the other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나아가,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uffer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late.

또한,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may extend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은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by an adhesive tape.

또한, 상기 완충부재 및 하부 플레이트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ffer member and the lower plate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by an adhesive.

한편, 상기 제1 본체의 상단과 상기 제2 본체의 상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hinge uni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uffer member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keypad.

나아가,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좌측 우측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uffer member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right of the left side of the keypad, respectively.

한편,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ffer member may be protruded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keypad.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변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본체, 복수 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키패드 및 일단이 상기 제2 본체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키패드의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ing a first front case and a first rear case provided below the first front case and including a first rear case forming an inner space together with the first front case, A main body, a second body displaceably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an upp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a lower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he keypad being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And a cushioning member which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whos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of the keypad.

여기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그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late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나아가,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and the lower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연결부는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lower plate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front case.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so that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is expos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인쇄회로기판이나 안테나 모듈 등의 부품을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할 때 회피하여야 할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즉 내부부품의 배치를 위한 요구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단말기 본체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pace to be avoided when the components such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antenna module are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space required for the placement of the internal components is minimized, It can be made slim and the internal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완충부재의 제조비용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uffer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불량률이 줄어드는 등 양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reduce the defective rate, and improve the mass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7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지 도면에 도시된 전화기로서의 휴대폰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as a telephon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etc.,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functional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th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 practic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merg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GPS module 115.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5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artificial satellites.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audio / video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it is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it may b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 audio I / I / O (input / output) terminals, and earphones.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d an alarm unit 153.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it displays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Also,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t the same time.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and inputting a key signal.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output module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the vibration by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 In this case, they (151, 152)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53.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 / RTI >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and a ROM. Als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separately from software in the controller 180. [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도록 한다.In the foregoing,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outward form.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우징이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특히, 그 중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or more housings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et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In particular,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본체(100A), 상기 제1 본체(100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제2 본체(100B) 및 상기 제1 본체(100A)과 제2 본체(100B)의 상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00C)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in body 100A, a second main body 100B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a hinge portion 100C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hinge portion 100C.

따라서 제2 본체(100B)은 힌지부(100C)에 의해 제1 본체(100A)에 대해 상대변위됨으로써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게 된다. 즉, 제2 본체(100B)이 제1 본체(100A)에 대해 상대적 회전운동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접철식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main body 100B is selectively displaced relative to the first main body 100A by the hinge portion 100C, thereby selectively opening or shiel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100A. That is, the second body 100B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body 100A, thereby forming a folding-type structur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lded or unfolded.

제1 본체(100A)이 제2 본체(100B)과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차폐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100B)이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개방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ain body 100A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main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main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main body 100A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폐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개방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shield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in a communication mode mainly in an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after an operation of a user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2 본체(100B)에 관련된 구성을 제1 본체(100A)에 관련된 구성에 앞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econd main body 100B will be described befor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first main body 100A for convenience.

상기 제2 본체(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case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main body 100B may be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2 본체(100B), 구체적으로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51-1), 제1 음향 출력 모듈(152-1), 제1 카메라 모듈(121-1)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module 151-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and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body 100B, specifically, the second rear case 100B-2.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51-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The first display module 151-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51-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모듈(151-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odule 151-1 is superimposed on the touch pad in a layer structure, so that the first display module 151-1 can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

상기 제1 음향 출력 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module 121-1 may be adapted to photograph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제2 본체(100B)과 마찬가지로, 제1 본체(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second main body 100B, the case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may b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제1 본체(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1), 완충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user input unit 130-1 and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1.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 또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2),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2, the microphone modul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부(130-1, 130-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는 점에서,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user input units 130-1 and 130-2 are operated by a manipulating portion 130 in order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함과 아울러, 숫자, 문자, 또는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1 input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also inputs numbers, characters, or symbols.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숫자, 문자 또는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부(130-1)가 키패드(200)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20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215)을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1 for inputting a command, a number, a character or a symbol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is constituted by a keypad 200 or the like,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15 to be pressed by the user.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패드(200)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215)을 구비하여 이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키패드(200)를 터치패널로 구현하여 정전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keypad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ethod of pressing the keypad 200 with a plurality of the operation buttons 215. Alternatively, the keypad 20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May be used.

한편, 상기 조작버튼(215) 각각은 키패드(20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조작버튼(215)이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Each of the operation buttons 21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pad 200 and may be provided in a manner that each operation button 215 is attached thereto.

각각의 조작버튼(215)은 숫자, 문자 또는 심볼(symbol) 등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조작버튼(215)에 표시된 숫자, 문자 또는 심볼(symbol)은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광 투과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Each operation button 215 is displayed with numbers, characters, or symbols. Numbers, charact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operation buttons 215 may be provided in a light-transmissive manner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상기 조작버튼(215)을 광 투과성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조작버튼(215)에 조명기능을 제공하여, 어두운 장소에서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위하여 조작버튼(215)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미적 아름다움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operation button 215 is made light-transmissive is that the operation button 215 is provided with a lighting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215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even in a dark place, It is because beauty can be planned.

제2 사용자 입력부(13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2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상기 완충부재(300)는 제2 본체(100B)의 상대변위에 의해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때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완충부재(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buffer member 300 serves to attenuate the shock whe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main body 100A is shielded by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second main body 100B.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ffer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voice, sound, etc. of the user.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etc.),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rear case 100A-2.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for charging.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본체(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121-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be further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rear case 100A-2 of the first main body 100A.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see FIG. 2), and has a different pixel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have.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has a general object It is often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1-3 and a mirror 121-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flash 121-3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mirror 121-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152-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100A-2.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은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 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see FIG. 2),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한편, 제2 본체(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1-2)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isplay module 151-2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f the second main body 100B.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1-2)도 제1 디스플레이 모듈(151-1, 도 2 참조)과 마찬가지로 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Like the first display module 151-1 (see FIG. 2), the second display module 151-2 may include an LCD or the like.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1-2)은 일반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51-1)에 비해 그 크기가 작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51-2) 상에는 예컨대, 전계 세기, 배터리 잔량, 시간 및 날짜를 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도모한다.The size of the second display module 151-2 is gener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isplay module 151-1. On the second display module 151-2, for exampl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the remaining battery level, the time and the date are displayed on a single screen, thereby facilitating the user's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완충부재(300)의 기능을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buffer member 30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보다 상세히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다.4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hield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의 일단은 키패드(200)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혀있을 때, 제1 본체(100A)의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2 본체(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상기 완충부재(300)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keypad 200.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lded,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first front case 100A-1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of the second main body 100B They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buffer member 300.

그러므로, 완충부재(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혀있는 상태에서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 구비된 키패드(200)의 조작버튼(215)이 원하지 않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ld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cond rear case 100B-2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keypad 200 provided in the first front case 100A-1 Thereby preventing the button 215 from being depressed undesirably.

또한, 완충부재(300)의 일단은 제1 본체(100A)의 외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본체(100B)이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도록 단말기가 펼쳐져 있다가, 제2 본체(100B)이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단말기가 접힐 때, 상기 본체들의 무게와 회동속도에 의한 강한 충격은 상기 완충부재(300)에 의해 흡수되어 감쇄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urethane rubber. When the terminal is folded so that the second main body 100B open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the terminal is folded so that the second main body 100B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 strong impact due to the weight of the bodies and the rotation speed is absorbed by the buffer member 300 and attenua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200)가 구비되는 제1 본체(100A), 상기 제1 본체(100A)에 대해 상대변위되어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는 제2 본체(100B) 및 상기 제1 본체(100A)에 구비되어 제2 본체(100B)의 상대변위에 의해 제1 본체(100A)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때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300)의 일단은 제1 본체(100A)의 외부로 돌출되고(도 2 참조), 완충부재(300)의 타단은 키패드(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5,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A having a keypad 200 for user input, a second body 100A relatively displaced relative to the first body 100A, A second body 100B that selectively opens or shuts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100A and a second main body 100B which is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100A, (See FIG. 2), and one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300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main body 100A (see FIG. 2), and the cushioning member 300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keypad 2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키패드(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돔 스위치(415) 및 상기 돔 스위치(415)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전극부(435)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415 and an electrode unit 435 tha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415, And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oard 400.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돔 스위치(415) 및 상기 돔 스위치(415)를 고정시키는 클리어 필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돔 스위치 어레이(410), 돔 스위치(415)의 가압에 따라 돔 스위치(415)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전극부(435)가 구비되며 상기 돔 스위치 어레이(410) 하부에 구비되는 기판부(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includes a dome switch array 410 including a dome switch 415 and a clear film for fixing the dome switch 415, And a substrate unit 430 provided below the dome switch array 410 and provided with an electrode unit 435 for selectively making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415.

한편, 상기 키패드(200)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215)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돔 스위치(415)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돌기(255)가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keypad 200 includes a lower plate 250 having an upper plate 210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15 and a plurality of button protrusions 255 for pressing the dome switch 415 .

구체적으로, 상기 키패드(200)의 상면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210)와 고무 등의 연한 재질로 된 하부 플레이트(250)가 접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20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210 made of plastic or metal, and a lower plate 250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210)에 구비되는 조작버튼(215)에는 직접 숫자, 문자 또는 심볼 등을 새겨넣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외에 다양한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와 하부 플레이트(250) 사이에 상기 조작버튼(215)에 표시될 숫자, 문자 또는 심볼 등이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인쇄된 별도의 키 패드 필름이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button 215 provided on the upper plate 210 is directly embossed with numbers, letters, or symbols. However, various forms can be adopted. For example, a separate keypad fil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50 so that light, such as numbers, characters or symbols, to be displayed on the operation buttons 215 can be transmitted It is possible.

상기 하부 플레이트(250)의 배면에는 인쇄회로기판(400)의 돔 스위치(415)를 가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버튼돌기(255)가 돔 스위치(415)의 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50)는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utton protrusions 255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50 so as to press the dome switch 415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ome switch 415. The lower plate 250 may be made of soft rubber or the like.

상부 플레이트(210)와 하부 플레이트(250)로 구성되는 상기 키패드(200)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100A)의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키패드(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01)의 둘레로 단차를 두어 형성되는 안착부(103)가 형성되어, 키패드(200)가 상기 안착부(10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도 6 참조).The keypad 200 including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5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case 100A-1. Specifically, an opening 101 is formed in the first front case 100A-1 of the first main body 100A so that the keypad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a step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101 The keypad 20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03 (see FIG. 6).

또한,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안착부(103)의 하부에 장착되므로, 키 패드(200)의 조작버튼(215)을 가압하는 경우, 대응되는 돔 스위치(415)가 가압되어 전극부(435)와 접촉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When the operation button 215 of the key pad 200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dome switch 415 is pressed to the electrode unit (not shown) 43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는 키패드(200)의 좌우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keypad 200, respectively.

완충부재(300)를 복수 개 구비하여 충격력 흡수 감쇄의 기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혀있을 때의 제2 본체(100B)의 수평방향 균형을 보조하기 위해서이다.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300 are provid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absorbing impact force and assist in balanci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00B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lded.

또한, 키패드(200)의 상부 플레이트(210)에는 완충부재(300)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관통홀(2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210 of the keypad 2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13 so that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is expos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의 본래적 기능인 본체 차폐시 충격력 흡수 및 감쇄를 달성하려면, 완충부재(300)가 키패드(200)의 상부로 돌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ushioning member 300 must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keypad 200 in order to achieve the impact absorption and attenuation during the body shielding,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완충부재(300)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uffer member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100A)의 우측 하부를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우측면도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Specifically, the lower right side view of the first main body 100A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s a right side view.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키패드(200)의 하부 플레이트(250)를 기준으로 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다.7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Specifically, the keypad 200 is cut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25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 및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함께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를 포함하는 제1 본체(100A), 제1 본체(100A)에 변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본체(100B, 도 5 참조), 복수 개의 조작버튼(215)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250)를 포함하며, 내부공간(S)의 상부에 구비되는 키패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ont case 100A-1 and a first front case 100A-1 provided below the first front case 100A-1, A first main body 100A including a first rear case 100A-2 that forms an inner space S together with a first main body 100A and a second main body 100B which is displaceably engaged with the first main body 100A, 5), an upper plate 210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15 and a lower plate 25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10, And may include a keypad 200

상기 내부공간(S)은 각종 내부부품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안테나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인 안테나 볼륨(A)을 포함한다.The inner space S is a space for mounting various internal components, and includes an antenna volume A as a space for mounting the antenna modul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완충부재(300)는 그 일단이 제1 본체(100A)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키패드(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완충부재(300)의 양단 중 일단은 제1 본체(100A)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 즉 상단을 의미하고, 타단은 키패드(2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부분, 즉 하단을 의미한다.The cushioning member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end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the other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keypad 200. [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one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300 has one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that is, the upper end, and the other end is a portion fixed to one side of the keypad 200 , That is, the bottom.

즉, 완충부재(300)의 일단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에 의해 제2 본체(100B, 도 5 참조)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타단은 키패드(200)의 일측에 고정된다.That is,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00B (see FIG. 5) by opening and clo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keypad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완충부재(300)는 그 타단이 제1 본체(100A)을 관통하지 않고 키패드(200)의 일측에 연결되므로, 완충부재(300)가 내부공간(S)의 영역을 점유하지 않는다.Since the other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keypad 2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main body 100A, Quot; area ".

즉, 종래의 경우와 같이 완충부재의 단부가 제1 본체을 관통하여 형성되지 않으므로, 보다 넓은 내부공간(S)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모듈이 설치되기 위한 안테나 볼륨(A)이 확대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 자체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슬림한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end of the buffer member is not formed through the first body as in the conventional case, a wider internal space S can be secured. Accordingly, the antenna volume A for installing the antenna module is enlarged. As a result, the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tself can be designed compactly, and further, a slim thickness can be realized.

한편, 상기 완충부재(300)의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완충부재(300)는 하부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완충부재(300)를 하부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완충부재(300) 및 하부 플레이트(250)를 동일하게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member 3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late 250. Therefore, in order to integrally form the buffer member 300 with the lower plate 250,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member 300 and the lower plate 250 are formed of the same rubber material.

이와 같이 완충부재(300)가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면, 종래의 경우처럼 완충부재를 별도로 조립하는 공정이 제거되므로 공정이 간소화된다. 즉, 하부 플레이트(250)는 금형으로 형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상기 완충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금형을 제작하면, 하부 플레이트(250) 제조시 동시에 완충부재(300)를 제조할 수 있고, 별도의 조립 공정이 필요없어지기 때문이다.When the cushioning member 30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the process of separately assembling the cushioning member as in the conventional case is eliminated,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That is, since the lower plate 250 is formed of a metal mold, when the metal mol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buffer member 30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The buffer member 300 can be manufactured, and a separate assembling process is not required.

또한, 종래에는 완충부재의 조립공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행해져 불량품의 제조율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하부 플레이트(250)의 제작시 동시에 완충부재(300)가 제조되므로 양품 수율이 뛰어나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양산성이 증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shioning member 300 is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lower plate 250 is manufactured, the yield of the non-defective product can be reduced. Can be greatly improved. That is, the mass productivity is increased.

나아가, 완충부재(300) 자체를 별도로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없고, 종래의 경우처럼 조립만을 위해 존재하고 조립 후에는 잘라내어져 폐기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된다.Further,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old for separately fabricating the buffer member 300 itself, and it exists for assembly only as in the conventional case, and after the assembly,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because there is no waste part.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50)는 그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완충부재(3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완충부재(300)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251)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25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7, the lower plate 25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251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25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25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51.

이때, 상기 완충부재(300)와 하부 플레이트의 연결부(25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251 of the buffer member 300 and the lower plate is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5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251)를 통해 완충부재(300)를 하부 플레이트(250)의 하단 부근, 즉 키패드(200)의 하단 부근에 형성하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혀있는 상태에서 제1 본체(100A)과 제2 본체(100B) 사이의 틈이 최소화될 수 있다.Since the buffer member 300 is formed near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250, that is, near the lower end of the keypad 20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51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250,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the second main body 100B can be minimized.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00A)과 제2 본체(100B)은 각각 그 상단이 힌지연결되어 회동하게 되므로, 동일한 높이의 완충부재(300)가 제1 본체(100A)의 상단에 구비되면, 힌지부(100C)를 중심으로 제1 본체(100A)과 제2 본체(100B)이 이루는 각도가 더 커지게 된다.4,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ushioning member 300 of the same heigh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0A, The angle between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the second main body 100B becomes larger around the hinge portion 100C.

따라서, 완충부재(300)는 키패드(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member 3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keypad 200.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의 타단은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제1 본체(100A)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by an adhesive tape.

구체적으로는 완충부재(300)의 타단은 제1 본체(100A)의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 형성되는 안착부(103, 도 6 및 도 5 참조)에 부착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의 연결부(251) 역시 제1 프론트 케이스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03)에 부착된다.Concretely,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is attached to a seating portion 103 (see Figs. 6 and 5) formed in the first front case 100A-1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lso, the connection portion 251 of the lower plat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front case, more specifically, to the seating portion 103.

이와 같이 완충부재(300)의 타단 및/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연결부(251)를 접착테이프로 안착부(103)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완충부재(300)가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인해 투여되는 노력이 감소된다.Since the cushioning member 300 is fixed only by attaching the other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300 and / or the connecting portion 251 of the lower plate to the seat 103 with the adhesive tape, The effort to be administered is reduc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도 6 및 도 7에서는, 완충부재(300)가 하부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완충부재(300)의 타단이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0)를 별도로 제조하여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켜도 무방하다.6 and 7, the buffer member 3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late 250. However, if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As shown in the figure,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with an adhesive.

즉, 완충부재(300)는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접착테이프에 의한 부착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완충부재(300)의 일단은 제1 본체(100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손톱 등에 의해 쉽게 떼어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300)를 별도로 제조하여 하부 플레이트(250)의 일측에 부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buffer member 300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by an adhesive. Attachment by the adhesive tape may be considered, but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300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0A and may easily be peeled off by a nail or the like. Therefore, when the buffer member 300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50,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100 : 휴대용 단말기 100A : 제1 본체
100B : 제2 본체 100C : 힌지부
200 : 키패드 210 : 상부 플레이트
250 : 하부 플레이트 251 : 연결부
300 : 스토퍼
100: portable terminal 100A: first main body
100B: Second body 100C: Hinge part
200: keypad 210: upper plate
250: lower plate 251:
300: Stopper

Claims (16)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키패드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돔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버튼 돌기가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
상기 키패드가 구비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변위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는 제2 본체;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돔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전극부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중첩되는 상기 제1 본체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일체의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용 단말기.
A keypad for user input;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keypad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 lower plate provided on the keypad an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 projections for pressing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 first body having the keypad;
A second body that is relatively displaced relative to the first body to selectively open or shiel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ody;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eypad and having an electrode portion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And
And a buffer member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body overlapping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buffer member and the low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 buffer member has a first end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은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by an adhesive t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상단과 상기 제2 본체의 상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inge unit pivotally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좌측 우측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right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key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protruded higher than a surface of the keypad.
제1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변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본체;
복수 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키패드; 및,
일단이 상기 제2 본체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완충부재;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돔 스위치 및 상기 돔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전극부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중첩되는 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일체의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A first main body including a first front case and a first rear case provided below the first front case and forming an inner space together with the first front case;
A second body displace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 upp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a lower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he keypad being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And
A buffer member having one end selectivel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eypa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an electrode portion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Wherein the buffer member includes a region overlapp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buffer member and the lower plate are formed of an integral rubber materi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그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ower plate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ffer member.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연결부는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plat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front cas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완충부재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such that one end of the buffer member is exposed.
KR1020100056442A 2010-06-15 2010-06-15 Mobile terminal KR101700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442A KR101700193B1 (en) 2010-06-15 2010-06-1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442A KR101700193B1 (en) 2010-06-15 2010-06-15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32A KR20110136432A (en) 2011-12-21
KR101700193B1 true KR101700193B1 (en) 2017-01-26

Family

ID=4550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442A KR101700193B1 (en) 2010-06-15 2010-06-15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9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52Y1 (en) 2002-07-30 2002-11-04 주식회사 팬택 Bumper Structure for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565166B1 (en) * 2004-11-19 2006-03-30 지우산업주식회사 Cussion pad of a portable phone and its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480B1 (en) * 1998-09-02 2001-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ylindrical display for pen-sized computing
KR100487614B1 (en)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hake holding construction in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52Y1 (en) 2002-07-30 2002-11-04 주식회사 팬택 Bumper Structure for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565166B1 (en) * 2004-11-19 2006-03-30 지우산업주식회사 Cussion pad of a portable phone and its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32A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0844B1 (en) Mobile terminal
US8958855B2 (en)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member
EP2587775B1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663056B1 (en) Mobile terminal
KR101570416B1 (en) Mobile terminal
KR10197708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KR20090129202A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029722B2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760747B1 (en) Mobile terminal
KR101949733B1 (en) Mobile terminal
KR101700193B1 (en) Mobile terminal
KR20090080426A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40268B1 (en) Mobile terminal
KR101512042B1 (en) Mobile terminal
KR101721876B1 (en) Mobile terminal
KR101430188B1 (en) Mobile terminal
KR10160474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20130090594A (en) Mobile terminal
KR20130035114A (en) Mobile terminal
KR101934291B1 (en) Mobile terminal
KR10151302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75088A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85348B1 (en) Mobile terminal
KR101595351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