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593B1 -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 Google Patents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593B1
KR101699593B1 KR1020140195066A KR20140195066A KR101699593B1 KR 101699593 B1 KR101699593 B1 KR 101699593B1 KR 1020140195066 A KR1020140195066 A KR 1020140195066A KR 20140195066 A KR20140195066 A KR 20140195066A KR 101699593 B1 KR101699593 B1 KR 10169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le
insertion hole
femal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352A (ko
Inventor
김학응
Original Assignee
김학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응 filed Critical 김학응
Priority to KR102014019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5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와 잠금장치가 이용되는 행거에 있어서, 강판재의 특정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구성없이도 잠금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시건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정핀 없는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삽입홀을 포함하는 암체결부; 및 후크 형태로 구성되고, 암체결부와 제1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삽입홀에 삽입되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후크가 암체결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수체결부;를 포함하고, 수체결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면 제2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며, 고정핀이나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고, 탄성력에 의해 체결되는 잠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장치의 기하학적 형상과 강판재 자체에서 발생하는 탄성을 활용하여 잠금이 수행되므로, 볼트와 너트(개당 약 60원) 또는 고정핀(개당 약 40원)과 같은 별도의 로커가 배제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LOCKING APPARATUS AND PIPE HANGER USING STRUCTURE AND ELASTICITY}
본 발명은 잠금장치와 잠금장치가 이용되는 행거에 있어서, 강판재의 특정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구성없이도 잠금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시건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 없는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오피스 빌딩이나 주상복합 건물은, 전기배선을 위한 전선관과 소방급수, 급/배기 및 중앙공급식 냉방설비에 연결된 냉매관 등의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콘크리트 슬라브로 구성되는 각 층의 천장에 배치하게 된다.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천장에 배치하는 이유는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는 행거에 거치된다. 이러한 행거로는 측면행거와 수직행거가 대표적이다. 측면행거의 경우, 천장의 저면에 적당한 길이의 전산볼트를 수직으로 현수되게 설치한 후, 그 전산볼트의 측면부에 금속소재의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를 결합함으로써 공중으로 가설되는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측면행거가 지탱하게 된다. 수직행거의 경우, 그 전산볼트의 하단부에 수직행거를 결합함으로써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441501
이러한 측면행거 또는 수직행거와 같은 배관재 행거는 반원 형태로 구성되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이러한 2개의 반원형 부재가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에서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수직행거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종래의 수직행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행거의 체결을 위해서 볼트-너트 체결이나 복잡한 잠금장치를 구현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배관재 행거뿐만 아니라 밴드 클램프 등에서도 일측에 잠금장치가 구성되며, 이러한 잠금장치는 볼트-너트 체결이나 복잡한 잠금장치로 구현될 수밖에 없었다.
헌데 볼트-너트 체결은 배관재의 체결과 체결해제를 수시로 반복해야하는 경우에 상당한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반드시 요구되므로 실질적인 공기 증대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배관재를 거치하고 잠궈버린 행거는 잠금을 해제하고 배관재에 2차적인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상당한 불편이 있다.
특히 시스템 에어컨 배관 시공에 있어, 냉매용 동파이프는 행거에 거치한 후 각각의 분기관과 조립, 용접, 보온재 덧씌우기와 테이핑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고, 드레인 호스에는 보온재 덧씌우기와 전선에 합체 후의 테이핑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는 바, 최소 두세번의 잠금과 해제가 반복된다. 또한 난방용 배관은 거치 후 보온재 덧씌우기와 테이핑 과정으로 최소 한두 번의 잠금과 해제가 반복된다. 따라서 행거의 잠금과 해제가 용이해야할 필요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정핀이나 스프링을 이용한 행거의 잠금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3, 4, 5는 종래의 고정핀이나 스프링을 이용한 행거의 잠금장치이다.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이나 스프링을 이용한 행거의 잠금장치는 체결의 반복성 측면에서 볼트-너트 체결을 이용한 행거의 잠금장치보다 향상된 형태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상당히 복잡한 구조로 구성될 수밖에 없어, 단가상승은 물론 고정핀이나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부착해야했으므로 불량률이 증대되었고 결속력 저하로 인해 작업자의 불만으로 이어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기하학적 암수형상으로 성형된 판재의 단면과 단면이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체결되고, 별도의 볼트와 너트 스프링 또는 고정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이도 의도치 않은 잠금해제가 불가하며, 의도적으로는 자유롭게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홀을 포함하는 암체결부; 및 후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암체결부와 제1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암체결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수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며, 별도의 고정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체결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부 일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특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와 상기 삽입홀의 내부 타측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수체결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삽입홀의 내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수체결부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체결부는, 일단에 상기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제1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는 상기 삽입홀의 일측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수체결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제2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암체결부에 삽입될 때,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삽입홀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홀의 타측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수체결부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제3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암체결부에 삽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삽입홀의 타측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수체결부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의 전산볼트에 연결되고, 지지대상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 부분의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 상기 본체의 타단에 구성되고, 삽입홀을 포함하는 암체결부; 및 상기 클램프의 타단에 구성되며, 후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암체결부와 제1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암체결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수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며, 별도의 고정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체결되는 잠금장치를 이용한 행거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성되고, T자 형태로 구성되는 수연결부; 및 상기 클램프의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수연결부가 삽입되는 암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연결부와 상기 암연결부가 체결되면, 상기 수연결부의 일측과 상기 암연결부의 사이에 특정 공간이 발생되며, 사용자가 상기 암연결부를 밑면을 밀어올리면 상기 특정 공간이 좁아지면서 상기 암체결부와 상기 수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결장치의 기하학적 형상과 강판재 자체에서 발생하는 탄성을 활용하여 잠금이 수행되므로, 볼트와 너트(개당 약 60원) 또는 고정핀(개당 약 40원)과 같은 별도의 로커가 배제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로커의 배제는 제작 단가 측면에서 상당한 경제적 이득을 가져오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너트의 체결과정이 생략되고, 강판재 자체에서 발생하는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이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천장 배관 작업의 상당한 편의를 가져오며, 공기단축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재 행거뿐만 아니라 밴드 클램프 등에 이용되는 모든 시건장치에 간편하고 저렴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수직행거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종래의 수직행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4, 5는 종래의 고정핀이나 스프링을 이용한 행거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암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암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측면행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수직행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 및 해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 및 해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수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수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수연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암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행거의 암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잠금장치
잠금장치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는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암체결부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체결부(1)는 상부 공간(A)과 하부 공간(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 공간(A)은 수체결부(2)의 삽입 및 이탈(잠금해제)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하부 공간(B)은 수체결부(2)가 체결되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의 2개의 삽입홀은 수체결부(2)가 삽입 및 이탈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의 4개의 체결홀은 수체결부(2)의 체결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의 삽입홀에 삽입된 수체결부(2)의 삽입부는 수체결부(2)가 구성된 클램프나 본체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 안착 및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에서 2개의 삽입홀은 좌측에서부터 제1삽입홀(21)과 제2삽입홀(30)으로 구성되고, 삽입홀의 좌측에 제1체결홀(10)이 구성될 수 있다.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서 4개의 체결홀은 좌측에서부터 제1체결홀(10), 제2체결홀(20), 제3체결홀(24), 제2삽입홀(30)로 구성될 수 있다.
암체결부(1)의 제1삽입홀(21)에는 수체결부(2)의 제1삽입부(40)가 삽입되고, 암체결부(1)의 제2삽입홀(30)의 상부 공간(A)에는 수체결부(2)의 제2삽입부(50)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체결홀(10)에는 수체결부(2)의 제1돌기(43)가 체결되고, 제2체결홀(20)에는 제1삽입부(40)의 체결공간(C)이 체결되고, 제3체결홀(24)에는 제2돌기(53)가 체결되며, 제2삽입홀(30)의 하부 공간(B)에는 제2삽입부(50)의 체결공간(C)이 체결된다.
암체결부(1)의 제1체결홀(10)과 제2체결홀(20) 사이에 제1체결기둥(16)이 구성될 수 있고, 암체결부(1)의 제2체결홀(20)과 제3체결홀(24)의 사이에는 돌출부(22)가 구성될 수 있으며, 암체결부(1)의 제3체결홀(24)과 제2삽입홀(30)의 사이에는 제2체결기둥(26)이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기둥(16)에는 제1삽입부(40)의 제1골(42)이 체결되고, 제2체결기둥(26)에는 제2삽입부(50)의 제2골(52)이 체결될 수 있다. 암체결부(1)의 제1,2체결기둥(16, 26)은 체결된 수체결부(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2체결기둥(16, 26)은 예기치 못한 또는 의도치 않은 외력으로 인해 수체결부(2)가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서 좌우/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 및 방지함은 물론, 클램프의 수체결부(2)가 탄성량을 넘어 암체결부의 돌출부(22) 상부 공간(A)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수체결부(2)의 이탈 경로인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안정적인 체결력을 제공한다.
암체결부(1)의 제2체결홀(20)과 제3체결홀(24)의 사이에는 돌출부(22)가 구성된다. 돌출부(22)는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부 공간(B)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2)는 수체결부(2)의 제1삽입부(40)가 삽입 및 이탈되는데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으면서 수체결부(2)의 좌우 이동을 차단시켜, 체결된 수체결부(2)의 의도치 않은 잠김해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암체결부(1)의 제2체결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2)는 수체결부(2)에 탄성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에 수체결부(2)를 삽입하게 되면 수체결부(2)의 제1삽입부(40)의 꼭지점부 밑면이 돌출부(22)의 상단면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돌출부(22)의 높이(수체결부(2)의 삽입 궤적의 단차)만큼 수체결부(2)에 탄성력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은 이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128462709-pat00001
위 수학식 1에서 F는 수체결부(2)에 발생되는 탄성력, k는 수체결부(2)가 연결된 본체 또는 클램프의 탄성계수, x는 돌출부(22)의 높이에 의해 형성되는 수체결부(2)의 삽입 궤적의 단차를 의미한다.
수체결부(2)의 삽입 궤적의 단차(x)와 관련하여, 행거의 본체 또는 클램프에 구성되는 수체결부(2)를 암체결부(1)에 아무런 외력없이 클램핑하였을 경우의 암체결부(1)와 접하게 되는 수체결부(2)의 위치와, 수체결부(2)에 외력을 가하여 당긴 후 수체결부(2)를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에 삽입하는 경우의 암체결부(1)와 접하게 되는 수체결부(2)의 위치의 차이가 바로 수체결부(2)의 삽입 궤적의 단차(x)가 된다.
작업자가 암체결부(1)에 수체결부(2)의 삽입부를 체결공간(C)과 체결통로(D)의 경계선까지 밀어넣게 되면, 제2삽입부(50)의 우측에 구성된 제3슬라이드부가 암체결부(1)의 제2삽입홀(30)의 우측벽에 맞닿게 되면서, 수체결부(2) 전체가 체결통로(D)에 의해 유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암체결부(1)가 수체결부(2)의 체결통로(D)에 진입됨과 동시에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제1삽입부(40)의 밑면이 돌출부(22)의 상단면에서 좌측의 제2체결홀(20)로 이탈됨으로써 수체결부(2)에 저장되어있던 상기 탄성력이 발현되어 수체결부(2)의 체결공간(C)이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어 암/수체결부가 결속 및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의 회복과 더불어, 행거에 배관재 등이 거치된 후 결속되면, 수체결부가 구성된 클램프는 배관재의 하중 또는 보온재 등에 의해 본체의 하부 및 바깥쪽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암체결부에 체결된 수체결부의 체결공간(C)이 더욱 공고하게 형상맞춤되어 고정력이 자연스럽게 강화되게 된다.
돌출부(22)는 암체결부(1)의 후방으로 약간의 경사(예를 들면 후방으로 약 1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수체결부(2)의 제1삽입부(40)의 끝단 꼭지점이 돌출부(22)에 접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행거는 전산볼트와 연결되는 본체 및 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본체의 타단에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잠금장치에 대한 설명의 편의상 탄성력의 방향이 하방을 향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암체결부(1)가 행거의 클램프에, 수체결부(2)가 행거의 본체에 구성되면 행거 재질인 강판재의 탄성력의 방향이 상방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암체결부(1)의 체결부 구성을 상하 및 좌우가 뒤바뀐 구조로, 수체결부(2)는 좌우가 뒤바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수체결부(2)와 관련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체결부(2)는 제1삽입부(40)와 제2삽입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체결부(2)는 암체결부(1)와 체결되는 전방 공간인 체결공간(C) 및 암체결부(1)의 체결기둥이 제1,2골(42, 52)에 체결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간인 체결통로(D)가 후방에 구획될 수 있다.
제1삽입부(40)는 삽입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삼각머리 형태(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고, 제1슬라이드부(41), 제1골(42), 제1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부(40)의 제1슬라이드부(41)는 체결공간(C)에 구성되어 수체결부(2)의 삽입과 관련이 있다. 제1골(42)과 제1돌기(43)은 체결공간(C)에 구성되어 수체결부(2)의 체결과 관련이 있으며, 체결시 고정력을 확보해줄 수 있다. 체결통로(D)는 제1골(42)과 제1돌기(44)가 암체결부(1)의 제1체결기둥(16)과 제1체결홀(10)에 체결되기 위하여 암체결부(1)가 좌측방으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통로이다.
제1슬라이드부(41)는 제1삽입부(40)의 좌측 상단에 구성된 경사방향을 좌측으로 하는 경사면이고, 삽입시 암체결부(1)의 제1삽입홀(21)의 좌측벽에 맞닿아 수체결부(2)의 우측방 삽입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게 된다.
제1골(42)은 암체결부(1)의 제1체결홀(10)과 제2체결홀(20) 사이에 구성되는 제1체결기둥(16)과 체결된다. 제1골(42)은 수체결부(2)의 좌우 이동과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오목부이며, 제1골(42)의 좌측 단부에는 제1돌기(43)가 돌출구성되어 암체결부(1)의 제1체결홀(10)에 체결되고 좌우 및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삽입부(50)도 제1삽입부(40)와 마찬가지로 삽입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삼각머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슬라이드부(51), 제2골(52), 제2돌기(53) 및 제3슬라이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삽입부(50)의 제2슬라이드부(51)는 체결공간(C)에 구성되어 수체결부(2)의 삽입에 관련이 있다. 제2골(52)과 제2돌기(53)은 체결공간(C)에 구성되어 수체결부(2)의 체결과 관련이 있고, 수체결부(2) 체결시 고정력을 확보해준다. 체결통로(D)는 제2골(52)과 제2돌기(53)가 암체결부(1)의 제2체결기둥(26)과 제3체결홀(24)에 체결되기 위하여 암체결부(1)가 좌측방으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통로이다.
제2슬라이드부(51)는 제2삽입부(50)의 우측 상단에 구성된 경사방향을 우측으로 하는 경사면이고, 암체결부(1)의 제2삽입홀(30)의 상부 공간(A)의 우측벽에 맞닿아 수체결부(2)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수체결부(2)의 강판재를 우측으로 지나치게 비틀어 암체결부(1)에 삽입시키게 될 때 수체결부(2)의 안정적인 삽입을 유도하며, 제1슬라이드부(41)의 슬라이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1삽입부(40)와 함께 제2삽입부(50)를 동시에 암체결부(1)의 삽입홀에 삽입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슬라이드부(54)는 삽입홀에 삽입된 제1삽입부(40)와 제2삽입부(50) 모두를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 밀어넣을 때, 수체결부(2)와 암체결부(1)의 결속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3슬라이드부(54)는 체결통로(D)에 구성되며, 암체결부(1)의 제2삽입홀(30)의 우측벽에 맞닿아 수체결부(2)를 좌측방향으로 밀어주어 암/수체결부의 체결을 유도하게 된다.
제3슬라이드부의 시작점(55)은 수체결부(2)가 암체결부(1)에 삽입되는 단계와 체결되는 단계의 경계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작점(55)이 암체결부(1)와 접한 이후에는 제3슬라이드부(54) 및 강판재의 탄성력에 의해 수체결부(2)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암체결부(1)에 체결되게 된다.
제2골(52)은 암체결부(1)의 상부 공간(A)에 삽입된 후 수체결부(2)의 좌측방향 슬라이딩으로 제3체결홀(24)과 제2체결기둥(26)에 결속될 수 있다. 이는 수체결부(2)의 좌우 이동과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오목부이다.
제2돌기(53)는 제2골(52)의 좌측 단부에 돌출 구성되고, 암체결부(1)의 제3체결홀(24)에 체결되어 수체결부(2)의 체결시 좌우/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암체결부(1)에서 제1체결홀(10)는 특정 폭(w)과 특정 높이(h)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기둥(16)은 특정 너비(b)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홀(21)은 특정 폭(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홀(20)은 특정 폭(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체결홀(24)은 특정 폭(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체결기둥(26)은 특정 너비(b')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삽입홀(30)은 특정 폭(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체결부(2)에서 제1삽입부(40)의 체결공간(C) 측의 너비는 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40)의 체결통로(D) 측의 너비는 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돌기(43)의 너비는 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골(42)의 너비는 b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삽입부(50)의 체결공간(C) 측의 너비는 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슬라이드부(54)를 포함하는 제2삽입부(50)의 체결통로(D) 측의 너비도 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돌기(53)의 너비는 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골(52)의 너비는 b'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체결부의 변형예에 관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체결부는 제1삽입부(40)와 제2삽입부(50)의 체결공간(C)의 사면(41, 51)이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의 변형예와 관련하여,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암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잠금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와 원리는 동일하나 변형된 형태의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른 암체결부(3)와 관련하여, 암체결부(3)는 상부 공간(A)과 하부 공간(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 공간(A)은 수체결부(4)의 삽입 및 이탈(잠금해제)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하부 공간(B)은 수체결부(4)가 체결되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체결부(3)의 상부 공간(A)의 삽입홀은 수체결부(4)가 삽입 및 잠금이 해제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암체결부(3)의 하부 공간(B)의 체결홀은 수체결부(4)의 체결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암체결부(3)는 수체결부(4)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210), 수체결부(4)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100), 제2체결홀(200), 제3체결홀(240), 제2삽입홀(300), 돌출부(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체결부(4)는 제1삽입부(400)와 제2삽입부(500)가 하나의 삽입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체결부(4)는 암체결부(3)와 체결되는 전방 공간인 체결공간(C) 및 암체결부(3)의 체결기둥이 제1,2골(420, 520)에 체결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간인 체결통로(D)로 구획될 수 있다.
수체결부(4)는 제1슬라이드부(410), 제1골(420), 제1돌기(430), 제2슬라이드부(510), 제2골(520), 제2돌기(530), 제3슬라이드부(540), 시작점(5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암체결부(3)에서 제1체결홀(100)는 특정 폭(ww)과 특정 높이(hh)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기둥(160)은 특정 너비(bb)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홀(210)은 특정 폭(w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홀(200)은 특정 폭(w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체결홀(240)은 특정 폭(w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체결기둥(260)은 특정 너비(bb')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삽입홀(300)은 특정 폭(ww'''')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체결부(4)에서 삽입부의 체결공간(C) 측의 너비는 w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400)의 체결통로(D) 측의 너비는 w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돌기(430)의 너비는 w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골(420)의 너비는 bb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슬라이드부(540)를 포함하는 제2삽입부(500)의 체결통로(D) 측의 너비도 w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돌기(530)의 너비는 ww'''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골(520)의 너비는 bb'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암체결부(3)와 수체결부(4)의 체결관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암체결부(1)와 수체결부(2)의 체결관계와 원리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잠금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좌측방향으로 탄성복귀되면서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우측방향으로 탄성복귀되면서 체결되는 잠금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체결부가 연결되는 판재는 강판재로 기재하였으나, 강판재가 아닌 탄성이 있는 다른 재질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잠금장치의 탄성의 조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는 체결을 위하여 볼트와 너트 또는 고정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배제하는 대신, 본체 또는 클램프를 구성하는 강판재의 탄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탄성은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수체결부(2)가 암체결부(1)에 자연스럽게 접할 때 수체결부(2)의 단부가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접하여야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수체결부(2)의 제1삽입부(40) 최전방 꼭지점부의 밑단이 암체결부(1)의 돌출부(22) 상단에 위치된 때의 위치와 하부 공간(B)에 안착된 때의 위치의 단차만큼의 탄성력이 수체결부(2)의 체결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차는 체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의 좌우위치와 제1삽입부의 꼭지점부에서 체결공간(C)까지의 거리의 차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수체결부의 삽입궤적이 잘 나타내주며, 역으로 돌출부(22)의 높이를 정한 뒤 연결부의 위치와 꼭지점부에서 체결공간(C)까지의 거리를 정할 수도 있다.
배관재 행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이용한 배관재 행거와 관련하여,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측면행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수직행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는 측면행거(1000)와 수직행거(1100)로 구성될 수 있다. 행거에서 전산볼트에 장착되는 부분은 본체(600), 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본체를 체결하는 부분은 클램프(700)로 정의한다.
측면행거(1000)의 경우, 본체(600)의 일측에 암체결부(1)가 구성될 수 있고, 클램프(700)의 일단에 수체결부(2)가 구성될 수 있고, 클램프(700)의 일측에 손잡이부(750)가 구성될 수 있다. 본체(600)의 일단에 수연결부(610)와 연결대(620)가 구성될 수 있고, 클램프(700)의 타단에는 수연결부(610)가 회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암연결부가 구성될 수 있다.
수직행거(1100)의 경우, 본체(600)의 일측에 수체결부(2)가 구성될 수 있고, 클램프(700)의 일단에 암체결부(1)가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700)의 일측에 손잡이부(750)가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및 해제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 및 해제방법과 관련하여,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체결부(2)는 암체결부(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며, 수체결부(2)를 우측방향으로 비틀어 삽입홀에 진입시키고(도 14(a)), 탄성이 발생하며 시작점(55)이 암체결부(1)의 일측에 접할 때까지 수체결부(2)를 암체결부(1)에 삽입하고(도 14(b)), 수체결부(2)가 암체결부(1)에 삽입된 채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고(도 14(c)), 발생된 탄성에 의하여 수체결부(2)의 체결공간(C)이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으로 체결(도 14(d))되는 방법으로 잠금장치가 체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해제방법은 상기 체결방법의 반대로 시행하는 것으로 설명을 갈음할 수 있다. 즉 수체결부의 체결통로(D)를 암체결부에 밀착시킨 후 삽입하고, 상부 공간(A)으로 올려 우측으로 비트는 순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 및 해제 모습과 관련하여,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 및 해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체결 및 해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체결부(1)의 삽입홀에 수체결부(2)의 제3슬라이딩부(54)의 시작점(55)이 접촉된 상태를 수체결부(2)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의 암체결부(1)에 대응되는 수체결부(2)의 위치는 특정 길이만큼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가 되고, 암체결부(1)에 대응되는 수체결부(2)의 각도는 경사방향을 우측으로 하는 특정 각도를 갖게 된다.
수체결부(2)의 시작점(55)이 제2삽입홀(30)의 우측 벽에 맞닿게 되면 우측으로 비틀어져 삽입되는 수체결부(2)의 제1돌기(43)가 암체결부(1)의 제1체결기둥(16)에 간섭받지 않게 되고, 제3슬라이드부(54)는 암체결부(1)의 제2삽입홀(30)의 우측 벽에 맞닿아 슬라이딩되어 수체결부(2)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수체결부(2)의 이동이 완료되면 수체결부(2)에 적용된 탄성의 회복으로 수체결부(2)의 체결공간(C)이 암체결부(1)의 하부 공간(B)에 내려앉아 잠금장치의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과정에서도 도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체결부(2)의 위치 및 각도로 해제될 수 있다.
연결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이용되는 행거의 연결부와 관련하여,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수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수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수연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암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행거의 암연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행거는 전산볼트와 연결되는 본체(600), 본체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본체를 체결하는 클램프(700)를 포함할 수 있고, 클램프(700)와 본체(600)의 회동가능한 연결부는 수연결부(610)와 암연결부(710)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연결부(610)에 관하여, 수연결부는 T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대(620)와 연결되어 본체(60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대(620)의 폭은 암연결부(710)의 홀의 폭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연결부(61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암연결부(710)에 관하여, 암연결부는 클램프(700)에 구성될 수 있고, 수연결부(610)가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T자형으로 구성되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암연결부의 구멍에서 폭이 넓은 부분은 수연결부(610)가 안착되는 제1,2안착홈(720, 730)이 구성될 수 있다. 제2안착홈(730)은 제1안착홈(720) 보다 더 길이가 길게 구성될 수 있으며, 수연결부(610)의 절곡부에 대응된다. 이러한 수연결부(610)의 절곡부와 제2안착홈(730)의 사이에는 일정 이격 공간이 발생되게 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작업자가 제2안착홈(730)의 밑면을 체결된 암수체결부 방향으로 밀어서 클램프를 제끼는 방법으로 잠금장치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잠금장치 체결해제가 용이하도록 제2안착홈(730)이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7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배관재 행거의 잠금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밴드 클램프 등 시건장치가 포함될 수 있는 장치에의 적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암체결부
2: 수체결부
3: 암체결부
4: 수체결부
10: 제1체결홀
16: 제1체결기둥
20: 제2체결홀
21: 제1삽입홀
22: 돌출부
24: 제3체결홀
26: 제2체결기둥
30: 제2삽입홀
40: 제1삽입부
41: 제1슬라이드부
42: 제1골
43: 제1돌기
50: 제2삽입부
51: 제2슬라이드부
52: 제2골
53: 제2돌기
54: 제3슬라이드부
55: 시작점
100: 제1체결홀
160: 제1체결기둥
200: 제2체결홀
210: 제1삽입홀
220: 돌출부
240: 제3체결홀
260: 제2체결기둥
300: 제2삽입홀
400: 제1삽입부
410: 제1슬라이드부
420: 제1골
430: 제1돌기
500: 제2삽입부
510: 제2슬라이드부
520: 제2골
530: 제2돌기
540: 제3슬라이드부
550: 시작점
600: 본체
610: 수연결부
620: 연결대
700: 클램프
710: 암연결부
720: 제1안착홈
730: 제2안착홈
740: 돌출부
750: 손잡이
1000: 측면행거
1100: 수직행거

Claims (7)

  1. 삽입홀을 포함하는 암체결부; 및
    후크 형태로 구성되는 수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의 후크는 삼각머리와 상기 삼각머리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는 상기 돌기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우측으로 어긋난 방향인 제1방향으로 원위치에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암체결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1방향에서 좌측으로 탄성복귀하려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암체결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원위치에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복귀력이 작용되며,
    별도의 고정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탄성복귀력에 의해 체결되는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부 하부측에서 내측 상부방향으로 특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상부 공간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와 상기 삽입홀의 내부 타측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수체결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수체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상기 상부방향의 반대인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에 의해 상기 상부방향으로 발생된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삽입홀의 내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수체결부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결부는, 일단에 상기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삼각머리의 좌측에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는 상기 삽입홀의 일측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수체결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삼각머리의 우측에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암체결부에 삽입될 때,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삽입홀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홀의 타측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수체결부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삼각머리의 하단 우측에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3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암체결부에 삽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삽입홀의 타측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수체결부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천정의 전산볼트에 연결되고, 지지대상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 부분의 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
    상기 본체의 타단에 구성되고, 삽입홀을 포함하는 암체결부; 및
    상기 클램프의 타단에 구성되며, 후크 형태로 구성되는 수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의 후크는 삼각머리와 상기 삼각머리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체결부는 상기 돌기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우측으로 어긋난 방향인 제1방향으로 원위치에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암체결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1방향에서 좌측으로 탄성복귀하려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암체결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수체결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원위치에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복귀력이 작용되며,
    별도의 고정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탄성복귀력에 의해 체결되는 잠금장치를 이용한 행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성되고, T자 형태로 구성되는 수연결부; 및
    상기 클램프의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수연결부가 삽입되는 암연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연결부와 상기 암연결부가 체결되면, 상기 수연결부의 일측과 상기 암연결부의 사이에 특정 공간이 발생되며,
    사용자가 상기 암연결부를 밑면을 밀어올리면 상기 특정 공간이 좁아지면서 상기 암체결부와 상기 수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KR1020140195066A 2014-12-31 2014-12-31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KR10169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066A KR101699593B1 (ko) 2014-12-31 2014-12-31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066A KR101699593B1 (ko) 2014-12-31 2014-12-31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352A KR20160081352A (ko) 2016-07-08
KR101699593B1 true KR101699593B1 (ko) 2017-01-24

Family

ID=5650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066A KR101699593B1 (ko) 2014-12-31 2014-12-31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1778A (ko) 2022-12-01 2024-06-10 김인수 탄성 고정 클립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고 고정력이 우수한 배관용 행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832A (ja) * 1999-04-06 2000-10-20 Inaba Denki Sangyo Co Ltd 長尺体支持具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6-07 최규섭 배관용 원터치 행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501Y1 (ko) 2008-03-07 2008-08-22 이재열 전산볼트 직선삽입식 측면 행거
KR20100010367U (ko) * 2009-04-14 2010-10-22 구성회 천정 배관용 행거
WO2011033932A1 (ja) * 2009-09-18 2011-03-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832A (ja) * 1999-04-06 2000-10-20 Inaba Denki Sangyo Co Ltd 長尺体支持具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6-07 최규섭 배관용 원터치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1778A (ko) 2022-12-01 2024-06-10 김인수 탄성 고정 클립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고 고정력이 우수한 배관용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352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7200B2 (en) Multi-fit clip
US7325776B2 (en) Suspensory fastener for piping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US5819374A (en) Clip fastener for radiant tubing and other thin objects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KR101699593B1 (ko)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KR102417802B1 (ko) 일체형 논-슬립 와셔
TW583802B (en) Container for elongated obj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507406A (zh) 具有两个固定件的落地式卫生用具
JP5886677B2 (ja) 緊締具、連結具、及び柵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JP5766998B2 (ja) 配管用サドルおよび配管敷設方法
JP4676351B2 (ja) 配管類固定具
JP7325746B2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JP6415873B2 (ja) 長尺体カバー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100158A (ko) 측 방향 슬라이딩 체결방식으로 잠김 조립되는 분리형 너트
JP2005312215A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KR200483237Y1 (ko) 배관 고정 장치
US74785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profiles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JP5572888B2 (ja) 支持ブロック連結具
JP5415188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JP5183523B2 (ja) グレーチング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