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94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94B1
KR101698494B1 KR1020150113392A KR20150113392A KR101698494B1 KR 101698494 B1 KR101698494 B1 KR 101698494B1 KR 1020150113392 A KR1020150113392 A KR 1020150113392A KR 20150113392 A KR20150113392 A KR 20150113392A KR 101698494 B1 KR101698494 B1 KR 101698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ils
hook
sta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승
홍성렬
문성철
전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to KR102015011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회로 기판과 코일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모터는 복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 일면이 상기 고정자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타면 측에 고정되는 금속의 공통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공통 브라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도통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과 코일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장치로서, 가정용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자와, 고정자에 권선되는 코일과, 고정자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어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자와, 고정자의 일측에 제공되는 PCB를 포함한다. PCB에는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각종 회로소자, 예를 들어 PWM 드라이버 IC, 저항 및 콘덴서 등이 실장되며, 고정자의 코일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회전자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3상모터에서는, 고정자에 U, V, W의 3상으로 이루어지는 3상의 코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3상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U, V, W의 3상의 코일을 서로 도통시키는 공통(common) 단자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 같은 공통 단자를 형성하기 위해, U상의 코일, V상의 코일 및 W상의 코일의 단부를 모두 접촉시키고 한꺼번에 솔더링하여 3상의 코일이 모두 결선된 부분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히 3상 코일의 단부를 한꺼번에 솔더링하여 공통 단자를 형성하는 경우,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적합한 납량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결국 솔더링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코일들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공통 단자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코일들의 단부를 모아서 솔더링 시 작업성이 떨어지며, 솔더링이 완료된 후에도 솔더링된 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제작시간, 불량률, 제작공정 등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4131호 (2009년 7월 6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상모터에서 U, V, W상 코일이 모두 결선되는 공통 단자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 일면이 상기 고정자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타면 측에 고정되는 금속의 공통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공통 브라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도통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상기 공통 브라켓은, 상기 복수의 코일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접속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 브라켓은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홈에 삽입될 때 상기 후크부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홈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는 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코일은 복수의 상기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각각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압착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코일을 파지할 수 있는 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코일은 U상, V상 및 W상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일들이 공통 브라켓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공통 단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코일들의 단부를 모아서 솔더링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코일과 공통 브라켓 간의 접속이 파손될 염려가 없어 공통 단자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통 브라켓이 회로 기판의 개구부를 막도록 형성되는바, 샤프트 측에 제공되는 윤활유 등이 회로 기판 측으로 흘러와 불량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통 브라켓과 돌출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를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통 브라켓과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포함되는 공통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통 브라켓에 코일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을 포함한 모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통 브라켓과 돌출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조를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공통 브라켓과 돌출부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모터(1)는 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터 하우징(10)과, 모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자(110) 및 고정자(120)와, 회전자(110)에 연결되는 샤프트(130)와, 모터(1)의 제어를 위한 회로 기판(210)과, 고정자(120)에 권선된 복수의 코일(140)을 서로 도통시키기 위한 공통 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120)는 중공 형상의 쉘(shell) 형태로서, 모터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자(120)는 중앙부에는 회전자(110)를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120)는 내측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티스(teeth)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티스는 고정자(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티스에는 코일(140)이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코일(140)은 후술되는 회로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될 때, 코일(140)은 회전자(110)의 영구자석과 상호작용하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자(120)에는 복수의 코일(140)이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상의 코일(140u)과, V상의 코일(140v)과, W상의 코일(140w)이 고정자(120)에 권선되어 다상 모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U, V, W의 3상으로 이루어지는 3상의 코일(140u, 140v, 140w)들은 서로 다른 티스에 권선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코일은 접지코일(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120)의 내부 공간에는 회전자(11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자(110)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구자석을 통해 고정자(120)에 권선된 코일(140)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자(110)의 중앙에는 샤프트(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30)는 회전자(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30)의 일측 단부는 모터 하우징(1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샤프트(130)는 베어링 등을 통해 모터 하우징(10)에 지지될 수 있다.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에 권선된 코일(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140)에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회로 기판(210)의 상기 전기신호에 따라, 회전자(11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회로 기판(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각종 회로소자(31), 예를 들어 드라이버 IC, 저항 및 콘덴서 등이 실장되고, 상기 회로소자(3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패턴(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 기판(210)은 회로 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자(120)의 상부 및 하부는 샤프트(130)의 축방향에 대한 양측 단부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를 지칭하도록 한다.
일례에 따르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에 대해 회전자(110)의 샤프트(130)가 인출되는 측과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샤프트(130)가 하부로 인출되게 형성되고,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의 상부에 설치되었다. 이와는 달리, 샤프트(130)가 상부로 인출되게 구성된 경우,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에 대해 회전자(110)의 샤프트(130)가 인출되는 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회로 기판(210)의 중심에는 샤프트(130)가 삽입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210)은 고정자(120)의 일측 단부와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210)과 고정자(120) 사이에는 별도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회로소자(31)와 회로패턴(32)은 회로 기판(210)의 일면에 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210)은 그에 실장된 회로소자(31)와 회로패턴(32)이 고정자(120)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회로 기판(210)의 반대면, 즉 고정자를 향하는 면에도 홀센서 등의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홀센서 등의 회로소자와 고정자(120) 사이에는 별도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3상 모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U, V, W상의 코일들(140u, 140w, 140w)이 서로 도통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회로 기판(210)과 고정자(120) 사이에 실질적으로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코일(140)들은 회로 기판(210)을 관통하여 회로 기판(210)의 상부로 인출된 후 회로 기판(210)의 상부에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로 기판(210)에는 복수의 코일(14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211)는 회로 기판(210)의 가장자리가 일부 절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211)는 회로 기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1)의 주변에는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20)는 개구부(211)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되고, 회로 기판(210)의 상면, 즉 고정자(120)와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회로 기판(210)의 상면 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개구부(211)에 삽입되어 개구부(211) 측면에 밀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사출 형성된 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210)에 접착될 수 있다. 또는, 회로 기판(210)과 함께 이종사출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돌출부(220)는, 개구부(211)의 둘레에서 회로 기판(210)의 일면 상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개구부(211)의 가장자리 중 회로 기판 측의 일부에만 돌출부(220)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었다.
개구부(211)를 통과한 복수의 코일(140)은 회로 기판(210)의 상측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금속의 공통 브라켓(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서로 도통될 수 있다. 즉, U, V, W상의 코일들(140u, 140v, 140w)이 모두 공통 브라켓(400)에 접속됨으로써 공통(common)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브라켓(400)은 회로 기판(210)의 개구부(211) 주변에 형성된 돌출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20)와 결합되어, 공통 브라켓(400)은 개구부(211)와 중첩되도록 회로 기판(2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공통 브라켓(400)은 고정자의 반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로 기판(21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210)의 개구부(211)를 통과한 코일들(140)이 각각 공통 브라켓(400)에 접속될 수 있고, 금속 재질의 공통 브라켓(400)에 의해 서로 도통될 수 있다.
상기의 연결 브라켓(300)을 형성하는 금속은 구리와 같이 높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브라켓(3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전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재질로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공통 브라켓(400)은 베이스부(410), 연결부(420) 및 후크부(4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410)는 복수의 코일(140)이 개구부(211)를 통과하여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공통 브라켓(400)이 회로 기판(210) 상에 고정될 때 개구부(211)와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410)는 금속의 판 형상 부재일 수 있으며, 개구부(211)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다. 베이스부(410)는 회로 기판(210)의 상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회로 기판(210)의 상면에 접하도록 놓일 수도 있다. 또는, 베이스부(410)는 개구부(211)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일례에 따르면, 베이스부(410)는 개구부(211)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 개구부(211) 전체를 가릴 수 있다. 동시에,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410)의 하면이 회로 기판(210)의 상면과 밀착되고 베이스부(410)의 측면이 돌출부(220)와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211) 또는 회로기판과 공통 브라켓(400)의 베이스부(41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베이스부(410)는 샤프트 측에 제공되는 그리스 오일(grease oil) 등이 회로 기판(210)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410)는 결국 회로 기판(210)에 실장된 회로소자들이 쇼트 되는 것과 같은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410)에는 복수의 관통홀(4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40)들은 베이스부(4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V, W상의 코일들(140u, 140v, 140w) 각각에 대응하는 세 개의 관통홀(440)이 일직선 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관통홀(440)의 내경은 코일(140)의 외경보다 크거나 그와 같을 수 있다.
코일들(140)은 각각 관통홀(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부(410)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40)이 관통홀(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140)의 단부가 베이스부(410)에 점 용접(spot welding)될 수 있다. 또는, 코일(140)이 베이스부(410)에 솔더링 될 수도 있다. 관통홀(440)은 그에 내삽된 코일(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일(140)을 공통 브라켓(400)에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으며, 접속이 완료된 후에도 코일(140)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 접속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20)는 베이스부(410)와 후술되는 후크부(43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부(410)와의 사이에 소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베이스부(4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420)는 베이스부(410)의 일측 단부로부터 베이스부(410)에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420)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430)는 돌출부(220)와 체결됨으로써 공통 브라켓(400)을 회로 기판(210)에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후크부(430)는 연결부(420)의 단부에서 다시 베이스부(410)를 향해 연장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후크부(430)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었다.
상기의 베이스부(410), 연결부(420) 및 후크부(430)는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일체의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금속 판재가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절곡 및 가공되어 베이스부(410), 연결부(420) 및 후크부(430)를 포함한 공통 브라켓(400)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420) 및 후크부(430)는 베이스부(410)와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410)는 통전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데 반해, 연결부(420)와 후크부(43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20)와 후크부(430)는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부(420)의 단부가 접착제 등을 통해 베이스부(410)에 접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부(410)에 직접 연결부(420)와 후크부(430)가 사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후크부(430)와의 체결을 위해, 돌출부(220)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홈(22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홈(225)은 돌출부(220)의 단부에서 회로 기판(210)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후크홈(225)은 공통 브라켓(400)의 후크부(430)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후크부(430)가 제공되는 경우, 후크홈(225) 또한 동일한 개수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브라켓(400)은 그것의 후크부(430)가 돌출부(220)의 후크홈(22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2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후크부(430)는 후크홈(225)과 형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후크부(430)가 후크홈(225)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420)는 돌출부(220)의 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부(410)는 연결부(42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바, 베이스부(410)가 돌출부(2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회로 기판(2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후크홈(225)의 내부에는 돌기부(227)가 형성될 수 있고, 후크부(430)에는 상기 돌기부(227)와 체결되는 돌기홈(437)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홈(225)과 후크부(430)의 고정은 상기 돌기부(227)와 돌기홈(437)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227)는 후크홈(225)의 내측면으로부터 후크홈(225)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기홈(437)은 후크부(430)가 후크홈(225)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부(227)와 마주보게 되는 후크부(4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7)의 상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게 후크부(430)의 돌기홈(437) 하부에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430)가 후크홈(225)에 삽입되면, 후크부(43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후크부(430)의 경사면이 돌기부(227)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간 뒤 돌기부(227)가 돌기홈(437)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227)에 의해 돌기홈(437)의 상방 이동이 제한되므로, 후크부(430)가 후크홈(225)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후크부(430)와 후크홈(225)과 고정되는 방식이 상술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것과는 반대로, 후크부(430)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후크홈(225)에 돌기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크부(430)와 후크홈(225)이 억지끼움 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브라켓(400)을 회로 기판(210)에 고정시키고, 상기 공통 브라켓(400)에 복수의 코일(140)을 각각 접속시켜 복수의 코일(140)을 서로간에 도통시킴으로써 공통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코일들(140)을 공통 브라켓(400)에 각각 접속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코일들(140)의 단부를 모아서 솔더링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고, 완성된 공통 전극의 내구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코일(140)이 공통 브라켓(400)의 관통홀(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되므로, 코일(140)과 공통 브라켓(400) 간의 접속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140)과 공통 브라켓(400) 사이의 접속이 파손되거나 접속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을 포함한 모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포함되는 공통 브라켓(400a)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도 5의 공통 브라켓(400a)에 코일(140)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부(410)에 형성된 관통홀(440) 둘레에는 보스부(4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450)는 베이스부(410)의 일면으로부터 각 관통홀(44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될 수 있으며, 압착되어 관통홀(440)에 삽입된 코일(140)을 파지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보스부(450)는 공통 브라켓(400a)이 돌출부(220)에 결합되었을 때 회로 기판(21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스부(450)는 베이스부(410)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140)이 관통홀(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보스부(450)를 압착하여 코일(140)이 관통홀(440) 내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보스부(450) 상부에 점 용접(141)을 수행함으로써 코일(140)과 베이스부(410)의 접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보스부(450)가 형성됨에 따라, 점 용접을 수행하기에 앞서 코일(1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용접 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스부(450) 또한 베이스부(410)와 같이 통전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보스부(450)와 코일(140)이 접촉하는 부분에 의해 베이스부(410)와 코일(140)간 통전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코일(140)간 도통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모터 10: 모터 하우징
110: 회전자 120: 고정자
130: 샤프트 140, 140u, 140v, 140w: 코일
210: 회로 기판 211: 개구부
220: 돌출부 225: 후크홈
227: 돌기부 400, 400a: 공통 브라켓
410: 베이스부 420: 연결부
430: 후크부 437: 후크홈
440: 관통홀 450: 보스부

Claims (7)

  1. 복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
    일면이 상기 고정자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타면 측에 고정되는 금속의 공통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공통 브라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도통되는 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브라켓은,
    상기 복수의 코일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접속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 브라켓은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홈에 삽입될 때 상기 후크부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홈에 걸리는 모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코일은 복수의 상기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용접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각각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압착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코일을 파지할 수 있는 보스부가 형성되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U상, V상 및 W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모터.
KR1020150113392A 2015-08-11 2015-08-11 모터 KR101698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92A KR101698494B1 (ko) 2015-08-11 2015-08-11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92A KR101698494B1 (ko) 2015-08-11 2015-08-11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494B1 true KR101698494B1 (ko) 2017-01-20

Family

ID=5798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92A KR101698494B1 (ko) 2015-08-11 2015-08-11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5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고아정공 모터 및 모터 저온구동 시 진동 및 소음 감소를 위한 베어링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80U (ja) * 1993-10-19 1995-05-19 国産電機株式会社 電動機用固定子
KR19980025897U (ko) * 1996-11-06 1998-08-05 김광호 브러시리스 모터
JPH10336936A (ja) * 1997-05-28 1998-12-18 Kokusan Denki Co Ltd 電動機のステータ
KR20090074131A (ko) 2009-06-11 2009-07-06 효성정밀 주식회사 비엘디씨 타입 블로어 모터
KR2010007345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아모텍 커버 일체형 구조를 갖는 슬림형 스테이터, 슬림형 모터 및이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의 직결형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80U (ja) * 1993-10-19 1995-05-19 国産電機株式会社 電動機用固定子
KR19980025897U (ko) * 1996-11-06 1998-08-05 김광호 브러시리스 모터
JPH10336936A (ja) * 1997-05-28 1998-12-18 Kokusan Denki Co Ltd 電動機のステータ
KR2010007345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아모텍 커버 일체형 구조를 갖는 슬림형 스테이터, 슬림형 모터 및이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의 직결형 구동장치
KR20090074131A (ko) 2009-06-11 2009-07-06 효성정밀 주식회사 비엘디씨 타입 블로어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5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고아정공 모터 및 모터 저온구동 시 진동 및 소음 감소를 위한 베어링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900B1 (ko) 전기 기기, 그리고 전기 기기 제조 방법
KR101185791B1 (ko) 모터
US6020660A (en) Dynamoelectric machine
JP6349719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
KR101699704B1 (ko) 보빈을 보유하기 위한 클립을 갖는 무브러시 직류 액추에이터
KR20150003354A (ko) 차량의 조립체들을 구동하기 위한 dc 모터
CN107851918B (zh) 连接端子组件及使用该组件的电动驱动装置
JP6281250B2 (ja) モータ
US8410649B2 (en)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 unit, blower, and electric device
US11569702B2 (en) On-vehicle brushless mo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066738A (zh) 用于电机的壳体部件
JP6248433B2 (ja) モータ
CN113541402B (zh) 马达
JP2017221083A (ja) インバータ一体形回転電機
US11881747B2 (en) Motor
KR101698494B1 (ko) 모터
JP5731861B2 (ja) 給電手段、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
KR102325134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KR101726698B1 (ko) 모터
JP6229331B2 (ja) モータ
CN108886295B (zh) 马达和马达的制造方法
JP2013150505A (ja) 電動機、空気調和機、および電動機の製造方法
JP6998098B1 (ja) ステータとこのステータを用いたモータ、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KR20180047042A (ko) Bldc 모터
US10958140B2 (e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