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459B1 -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 Google Patents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459B1
KR101691459B1 KR1020140089760A KR20140089760A KR101691459B1 KR 101691459 B1 KR101691459 B1 KR 101691459B1 KR 1020140089760 A KR1020140089760 A KR 1020140089760A KR 20140089760 A KR20140089760 A KR 20140089760A KR 101691459 B1 KR101691459 B1 KR 10169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
vegetation
draina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757A (ko
Inventor
정승일
안승훈
Original Assignee
(주) 이엑스알랜드스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엑스알랜드스케이프 filed Critical (주) 이엑스알랜드스케이프
Priority to KR102014008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4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식생을 위한 토양을 갖는 식생기반재를 거친 물이 담겨지기 위한 다수의 저수공간부와 각 저수공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기반재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각 저수공간부 저면부에 구비되어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기 위한 저수부, 및 상기 각 저수공간부의 저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각 저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물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상기 식생기반재로 공급되기 위한 비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된 물과 빗물 등을 저수하여 식생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보다 물공급량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저수된 물에 용해된 비료가 함께 공급되어 식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Reservoir insulation board for rooftop vegetation}
본 발명은 저배수단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상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에서 배수된 물과 빗물 등을 저수하여 식생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보다 물공급량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저수된 물에 용해된 비료가 함께 공급되어 식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녹화 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말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표면에서 분리된 인공구조물상의 조경시설 구조물로서, 자연지반에서 분리된 부분에 인공적인 지형지질로서의 지반을 새로이 조성하여 조경공간으로 이용하는 시설(Community Space Arrangement)이다.
이러한 옥상녹화 시스템은 건물 옥상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대기오염도가 감소되어 도시의 열섬현상이 완화되고, 태양열의 차단 및 단열작용으로 인해 건물의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약되며, 녹화시스템 수목의 광합성 및 증발작용으로 인해 도시 내의 습도가 조절된다.
종래 옥상녹화 시스템은 공개특허 2001-0065760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옥상바닥면으로부터 층별로 P.E. 필름, 단열용 판재, 구배조절용 E.P.S. 판넬조립체, 상하양면에 P.P.분리막이 형성된 PCV/P.O. 박막, E.P.S. 재질의 고밀도 단열재로서 홈을 갖춘 저,배수용 단열판, 여과투수용 P.P. 부직 및 식물성장 토양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옥상녹화 시스템은 저,배수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갈수기를 제외하곤 빈번한 관수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층으로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조성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하중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선된 보급형 옥상녹화 시스템은 건축물외피로부터 순차적으로 방수층, 저수층, 방근층, 필터층, 투수층, 식재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급형 옥상녹화 시스템은 비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온도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건축물 냉,난방 에너지가 절약되고, 녹지에 의한 일사의 반사 및 증발작용이 도시 열섬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빗물을 정화하여 재활용하는 별도의 제반요소가 포함되지 않아, 강우의 하계집중도가 높은 한국의 경우 토양을 적시고 남은 빗물은 배수층을 통해 방출되고, 이에 따라 인공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가 규칙적으로 필요하게 됨으로써,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빗물과 같이 자연적으로 공급되는 식생수를 활용하지 못해 별도의 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식생할 수 있는 식물이 한정됨에 따라, 빗물 활용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다양한 식물을 식생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물이 담겨지기 위한 다수의 저수공간부와 각 저수공간부 사이에 구비되어 식생기반재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갖는 몸체, 각 저수공간부 저면부에 구비되어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기 위한 저수부 및 각 저수공간부의 저면부에 구비되되, 각 저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물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식생기반재로 공급되기 위한 비료부로 구성되어 공급된 물과 빗물 등을 저수하여 식생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보다 물공급량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저수된 물에 용해된 비료가 함께 공급되어 식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식생을 위한 토양을 갖는 식생기반재를 거친 물이 담겨지기 위한 다수의 저수공간부와 각 저수공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기반재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각 저수공간부 저면부에 구비되어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기 위한 저수부, 및 상기 각 저수공간부의 저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각 저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물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상기 식생기반재로 공급되기 위한 비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벽과 저수공간부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교번 형성되고, 각 저수공간부의 양측에 위치된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해당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이 넘칠 경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되, 일체로 형성되고,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상부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상기 지지벽과 저수공간부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교번 형성되며, 각 저수공간부의 양측에 위치된 해당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해당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이 넘칠 경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하측면에는 상호 직교되는 다수의 하부배수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배수로와 상부배수로를 상호 연결시켜 상부배수로의 물을 하부배수로로 배수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결배수공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다수 개 구비되어 전후좌우로 배열되되, 상호 접하는 부분은 결합부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턱, 및 상기 제1결합턱의 상측으로 겹치도록 상기 두 개의 몸체 중 다른 한 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결합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턱 또는 제2결합턱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걸려지도록 다른 하나의 접촉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후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겹쳐진 상기 제1결합턱과 제2결합턱의 상면과 하면에 제2배수로가 더 형성되며, 상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는 상기 상부배수로와 연통되고, 하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는 상기 하부배수로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벽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지지블럭, 및 인접한 지지블럭의 전단 또는 후단을 연결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수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격벽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전측 또는 후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각 저수공간부는, 전측에서 후측 또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적어진다.
또한, 상기 비료부는, 지효성 비료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와 식생기반재 사이에 토양필터가 더 구비되되, 상기 토양필터는 각 저수공간부에 물이 최고지점까지 저수되어 있을 경우, 물과 용해된 비료를 흡수하여 상기 식생기반재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에 의하면, 공급된 물과 빗물 등을 저수하여 식생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보다 물공급량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저수된 물에 용해된 비료가 함께 공급되어 식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옥상에서도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열섬현상을 최소화시켜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10)은 몸체(100)와 저수부(200) 및 비료부(300)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식생을 위한 토양을 갖는 식생기반재(20)를 거친 물이 담겨지기 위한 다수의 저수공간부(102)와 각 저수공간부(102) 사이에 구비되어 식생기반재(2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10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저수부(200)는 몸체(100)의 각 저수공간부(102) 저면부에 구비되어 저수공간부(102)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저수부(200)는 고흡수성 수지로 제작되며, 저수공간부(102)의 물이 증발되어 없어지더라도 흡수한 물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어 식생기반재(20)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비료부(300)는 각 저수공간부(102)의 저면부에 구비되되, 각 저수부(200)의 하측에 위치되어 물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식생기반재(20)로 양분을 공급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저수부(200)와 비료부(300)는 각 저수공간부(102)의 절반높이 또는 절반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환경조건에 따라 설치되는 두께를 조절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벽(104)과 저수공간부(102)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교번 형성되고, 각 저수공간부(102)의 양측에 위치된 몸체(100) 상단부에는 배출공(106)이 형성되어 해당 저수공간부(102)에 저수된 물이 넘칠 경우, 배출공(106)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몸체(100)는 ,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로 구성되되, 일체로 형성되고,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사이에 상부배수로(130)가 형성된다.
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지지벽(104)과 저수공간부(102)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교번 형성되며, 각 저수공간부(102)의 양측에 위치된 해당 몸체(110, 120) 상단부에는 배출공(106)이 형성되어 해당 저수공간부(102)에 저수된 물이 넘칠 경우, 배출공(106)을 통해 배출된 후, 배수로(130)를 통해 배수된다.
또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하측면에는 상호 직교되는 다수의 하부배수로(140)가 더 형성되고, 하부배수로(140)와 상부배수로(130)를 상호 연결시켜 상부배수로(130)의 물을 하부배수로(140)로 배수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결배수공(150)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다수 개 구비되어 전후좌우로 배열되되, 상호 접하는 부분은 결합부(400)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결합부(400)는 제1결합턱(410)과 제2결합턱(420)으로 구성된다.
제1결합턱(410)은 인접한 두 개의 몸체(100) 중 어느 한 몸체의 일면에 돌출형되고, 제2결합턱(420)은 제1결합턱(410)의 상측으로 겹치도록 두 개의 몸체 중 다른 한 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턱(410)과 제2결합턱(420)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결합홈(430)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430)에 걸려지도록 다른 하나의 접촉면에 결합후크(440)가 돌출형성된다.
이 결합홈(430)과 결합후크(440)는 제1결합턱(410)과 제2결합턱(420)이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상하방향으로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겹쳐진 제1결합턱(410)과 제2결합턱(420)의 상면과 하면에 제2배수로(450, 460)가 더 형성되며, 상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450)는 상부배수로(130)와 연통되고, 하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460)는 하부배수로(140)와 연통된다.
여기서, 각 제2배수로(450, 460)를 연통시키는 제2연결배수공(470)이 다수 개 형성되어 상면 제2배수로(450)의 물이 하면 제2배수로(460)로 배수시키게 된다.
또한 지지벽(104)은 지지블럭(104a)과 격벽(104b)으로 구성된다.
지지블럭(104a)은 다수 개 구비되되,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격벽(104b)은 인접한 지지블럭(104a)의 전단 또는 후단을 연결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수공간부(102)를 구획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격벽(104b)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전측 또는 후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 격벽(104b)의 돌출 형상은 일정 호를 갖도록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중앙부가 직선형태(도면상 수직)로 돌출되고, 양단부는 직교(도면상 수평)되도록 형성 또는 일정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격벽(104b)의 상단부에는 인접한 저수공간부(102)를 연통시키는 연결로(104c)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각 저수공간부(102)는, 전측에서 후측 또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적어진다.
다시 말해, 몸체(100)의 상면 또는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상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각 저수공간부(102)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적어지게 형성되어 저수되는 물의 량의 다른 것이다.
여기서, 옥상은 배수를 위해 배수구쪽으로 구배가 형성되며, 이 구배에 의해 저수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00)의 전측이 배수구쪽에 위치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몸체(100)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제작되어 옥상의 단열효과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와 식생기반재(20) 사이에 토양필터(500)가 더 구비되되, 토양필터(500)는 각 저수공간부(102)에 물이 최고지점까지 저수되어 있을 경우, 물과 용해된 비료를 흡수하여 식생기반재(20)로 공급된다.
이러한 토양필터(500)는 식생기반재(20)로 공급되는 물과 비료의 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식생기반재(20)의 토양이 저수공간부(102)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 저배수단열판 20 : 식생기반재
100 : 몸체 102 : 저수공간부
104 : 지지벽 104a : 지지블럭
104b : 격벽 104c : 연결로
106 : 배출공 110 : 제1몸체
120 : 제2몸체 130 : 상부배수로
140 : 하부배수로 150 : 연결배수공
200 : 저수부 300 : 비료부
400 : 결합부 410 : 제1결합턱
420 : 제2결합턱 430 : 결합홈
440 : 결합후크 450, 460 : 제2배수로
470 : 제2연결배수공 500 : 토양필터

Claims (13)

  1.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되어 식생을 위한 토양을 갖는 식생기반재를 거친 물이 담겨지기 위한 다수의 저수공간부와 각 저수공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기반재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각 저수공간부 저면부에 구비되어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기 위한 저수부; 및
    상기 각 저수공간부의 저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각 저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물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상기 식생기반재로 공급되기 위한 비료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되, 일체로 형성되고,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상부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상기 지지벽과 저수공간부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교번 형성되며, 각 저수공간부의 양측에 위치된 해당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해당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이 넘칠 경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후,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과 저수공간부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교번 형성되고, 각 저수공간부의 양측에 위치된 몸체 상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해당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이 넘칠 경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하측면에는 상호 직교되는 다수의 하부배수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배수로와 상부배수로를 상호 연결시켜 상부배수로의 물을 하부배수로로 배수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결배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다수 개 구비되어 전후좌우로 배열되되, 상호 접하는 부분은 결합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턱; 및
    상기 제1결합턱의 상측으로 겹치도록 상기 두 개의 몸체 중 다른 한 몸체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결합턱;을 포함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턱 또는 제2결합턱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걸려지도록 다른 하나의 접촉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후크;를 더 포함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상기 제1결합턱과 제2결합턱의 상면과 하면에 제2배수로가 더 형성되며, 상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는 상기 상부배수로와 연통되고, 하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는 상기 하부배수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지지블럭; 및
    인접한 지지블럭의 전단 또는 후단을 연결하여 인접한 두 개의 저수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포함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전측 또는 후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각 저수공간부는,
    전측에서 후측 또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부는,
    지효성 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식생기반재 사이에 토양필터가 더 구비되되, 상기 토양필터는 각 저수공간부에 물이 최고지점까지 저수되어 있을 경우, 물과 용해된 비료를 흡수하여 상기 식생기반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KR1020140089760A 2014-07-16 2014-07-16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KR101691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60A KR101691459B1 (ko) 2014-07-16 2014-07-16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60A KR101691459B1 (ko) 2014-07-16 2014-07-16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57A KR20160009757A (ko) 2016-01-27
KR101691459B1 true KR101691459B1 (ko) 2017-01-02

Family

ID=5530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760A KR101691459B1 (ko) 2014-07-16 2014-07-16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68B1 (ko) * 2019-01-11 2019-07-03 주식회사 스마트아그로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521B2 (ja) * 1993-06-28 2000-04-04 東洋鋼鈑株式会社 複合樹脂被覆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750905B1 (ko) 2006-03-27 2007-08-22 신현성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521A (ja) * 1989-06-27 1991-02-07 Hitachi Ltd 等化器
KR100520420B1 (ko) * 2004-02-04 2005-10-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KR101051529B1 (ko) * 2009-02-13 2011-07-22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인공지반을 이용한 꽃밭의 조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521B2 (ja) * 1993-06-28 2000-04-04 東洋鋼鈑株式会社 複合樹脂被覆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750905B1 (ko) 2006-03-27 2007-08-22 신현성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57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905B2 (en) Greening system
US20120260572A1 (en) Construction Element Covered With Vegetation For Horizontal Pitched And/Or Vertical Surfaces Of Structures
DK2904895T3 (en) Vertical planting system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CN104389386B (zh) 节水型容器种植屋面
CN108678297A (zh) 一种智能排蓄水薄型屋顶花园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US10772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KR100965403B1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1691459B1 (ko)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CN104088410A (zh) 一种屋顶生物节能保温***
JP2008019552A (ja) 外断熱用の断熱基盤材
JP2008019552A5 (ko)
JP2004089209A (ja) 緑化装置
KR101304678B1 (ko)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Deska et al.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hydrogel amendment on the retention capacities of green roofs
JP2006322261A (ja) 建物屋上の冷却システム
CN208235260U (zh) 一种透水铺装用蓄渗两用格
CN211931548U (zh) 一种屋顶绿化盒
CN210987194U (zh) 一种建筑屋顶屋面绿色种植结构
CN207582830U (zh) 一种景观式组合型绿色屋顶***
JP2012010671A (ja) 緑化用パネル及び屋上緑化構造
EA032278B1 (ru) Система орошения, дренажа и подогрева
CN105386571A (zh) 一种生态型屋顶绿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