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82B1 -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 Google Patents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82B1
KR101690782B1 KR1020150062870A KR20150062870A KR101690782B1 KR 101690782 B1 KR101690782 B1 KR 101690782B1 KR 1020150062870 A KR1020150062870 A KR 1020150062870A KR 20150062870 A KR20150062870 A KR 20150062870A KR 101690782 B1 KR101690782 B1 KR 10169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e
unit
projecting pin
sp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1135A (en
Inventor
최귀남
심남구
정영묵
Original Assignee
(주)익산하이테크
(주)한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산하이테크, (주)한나산업 filed Critical (주)익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6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82B1/en
Publication of KR2016013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8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with resilient means, e.g.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사용자의 인체무게에 따른 바닥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신발 밑창이 노면과 요철형태로 접촉할 수 있어 일반상태의 노면에서 착용가능함은 물론 경사길이나 미끄러운 노면 등 다양한 노면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조작하여 착용한 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다님을 제공하도록,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를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non-slip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shock absorption and slip prevention function, Shoes which are composed of a body part, a sole, and an insole so as to be worn on the user's foot so as to provide safety and efficiency to the wearer after being worn by setting and manipulating according to various road conditions such as slopes or slippery road surfaces And a guide pa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ar region, the guide path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recessed inwardly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guide groove being divided into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An air pocket space is formed in an area of the sole corresponding to the air intake space, A sole body formed so as to form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air pocket space through which air can move; A first spike unit mounted in a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front region of the sole body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pin that is linearly movab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and protruding from the sole body toward the ground; And a second spike unit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rea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cond protruding pin which is linearly movable in the up-down and up-down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sole main body toward the ground, ; An air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an up / down mo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in by manipulating operation of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spike unit of the spike unit; A rectangular control strap passing through the spike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pin of the second spike uni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a rear end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ole body to fix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And a pulling means for shifting the first projecting p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et the second projecting pin in a projectable manner.

Description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anti-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사용자의 인체무게에 따른 바닥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신발 밑창이 노면과 요철형태로 접촉할 수 있어 일반상태의 노면에서 착용가능함은 물론 경사길이나 미끄러운 노면 등 다양한 노면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조작하여 착용한 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다니는 것이 가능한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non-slip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shock absorption and slip prevention function, A slippery road surface,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slip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be safely and efficiently carried out after being set and operated according to various road surface conditions such as an inclined road or a slippery road surface.

일반적으로 운동화, 구두, 작업화, 등산화 등의 신발은 주로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가죽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부가 발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고, 신발 몸체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인체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밑창이 일체로 부착고정되며, 밑창의 상부에는 발바닥이 접하여 발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깔창이 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로 놓이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출시 착용한 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사용된다.Generally, shoes such as sneakers, shoes, work shoes, shoe boots, etc., are mainly composed of synthetic resin, synthetic fibers, leather, etc., and the bottom of the shoe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sole for supporting the user's body weight And the upper part of the sole is in contact with the sole so that the insole can be detached from the body part to provide comfort for the foot, so that the insole can be safely walked after being worn by the user.

그런데 기존 신발의 경우에는 밑창의 저면에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게 요철형상의 바닥면을 형성토록 성형하지만 밑창은 신발의 특성상 소정의 강성과 함께 완충작용을 요구함에 따라 대부분 고무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겨울철 눈이 내린 눈길이나 얼음이 언 빙판길 및 경사진 산악 길 등의 노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함에 따라 보행 중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shoes, the bottom of the sole is formed so as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asperity so as not to slip when walking, but since the sole requires a predetermined stiffness and buffering ac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e, There is a problem that slippery slippage occurs frequently on walking due to the snowy roads or ice that snow can not prevent from sliding on the road surface such as unfreezing road and sloping mountain road.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신발의 하부 밑창에 단순히 철심을 박아서 착용자의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신발들이 유통되고 있으나, 이처럼 철심이 박힌 신발의 경우 눈길이나 빙판길, 산악길이 아닌 일반적인 길에서도 신고 다녀야만 하여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보행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recent years, shoes that prevent the slip of the wearer from walking by simply putting an iron core on the bottom of the shoe have been circulated.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iron-core shoe, it is necessary to wear it even on a general road other than an ey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lking distance is very uncomfortable.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68093호(2002.08.27.)에는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신발의 밑창 내에 형성된 안내홀과, 안내홀과 동일한 위치에 천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고정지지판과, 고정지지판의 천공부에 고정되며 밑창의 안내홀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안내봉과, 고정지지판의 안내봉에 끼워져 상하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와, 고정판지지판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이동되도록 끼워지게 형성되며, 돌기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밀침수단을 갖는 이동상판으로 구성됨에 따라 겨울철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악길을 안전하게 걸을 수 있음은 물론 일반 신발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가 공지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68093 (Aug. 27, 2002) discloses a device for preventing slippage of a shoe, which comprises a guide hole formed in a sole of a shoe, A guide bar fixed to the perforation of the stationary support plate and fixed to the guide hole of the stationary support plate, a protrusion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bar of the stationary support plate, And a moving upper plate having pushing means form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protruding por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afely walk the snowy road, the ice road and the mountainous road in the winter, Slip prevention device is known.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신발은 기능을 변경설정하기 위해선 당김줄을 당김 조작해야만 하여 당김줄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당김줄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그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신발기능적인 수명이 매우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hoes described above, when the pulling string is pulled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the pulling string due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pulling string in order to change the function, the function of the pulling string is lost so that the function life of the shoe is very short .

또한 종래에는 신발의 밑창 내에 별도의 내부구성을 내장함은 동시에 내장재가 금속소재로 적용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은 소요됨은 물론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신발이 무게가 무거워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동시에 밑창이 쿠션감 없이 딱딱하여 보행이 매우 불편하며, 나아가 장시간 동안 신발을 착용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신발착용을 기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a separate internal structure is incorporated in the sole of the shoe, the interior material is applied as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Also, the weight of the shoe is heavy, So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walk, and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wear shoes for a long time.

그리고 종래에는 당김줄의 당김 조작에 따라 신발 밑창의 전체적인 영역에 구비된 모든 돌기부가 돌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설정하지 못함에 따라 착용자의 보행상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all the protrusions provid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hoe sole are protruded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pulling string, so that it is impossible to set according to various road surface conditions, resulting in inconvenience of the wearer's walk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809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680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 밑창에 스파이크가 돌출가능하되 돌출 여부를 조작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신발의 내부구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품의 제작비용을 줄이면서 우수한 신발착용감을 도모하며, 스파이크의 돌출 여부에 따른 조작 설정이 간단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눈길 및 빙판길, 산악길에서 미끄러지는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도모함은 물론 일상 보행시에도 착용가능하여 제품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sole which is capable of protruding spikes, It is easy to set up according to whether spikes protrude or not. It provides convenience of use, prevents danger of slipping on snowy roads, ice roads and mountainous roads, so it can be safely walked, And to provide a shoe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capable of enhancing practicality of a produc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밑창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위치한 스파이크를 영역별로 구분조작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오르막이나 내리막 등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spikes located in the front region and the rear region of the sole can be divided and manipulated by region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hoe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that can be flexibly set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road conditions such as an uphill or downhill .

본 발명이 제공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은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를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composed of a body part, a sole and an insole so as to be worn on a user's foot. The shoe is divided into a front area and a rear area, And an air pocket space is formed in the sole of the sol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el position so as to receive air, A sole body formed so as to form an air flow path that is a path through which air can mov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ocket space; A first spike unit mounted in a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front region of the sole body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pin that is linearly movab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and protruding from the sole body toward the ground; And a second spike unit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rea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cond protruding pin which is linearly movable in the up-down and up-down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sole main body toward the ground, ; An air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an up / down mo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in by manipulating operation of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spike unit of the spike unit; A rectangular control strap passing through the spike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pin of the second spike uni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a rear end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ole body to fix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And a pulling means for movably moving the first projecting p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et the projecting pin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in a configurable manner.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이 에어압착영역 및 유동영역으로 상하 구획구분되며 하부에 상기 제1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1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제1유닛케이스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부를 에어압착영역과 유동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유동영역을 향해 하향팽창하여 상기 제1돌출핀을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제1가이드공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에어팽창막으로 구성한다.The first spike unit is fixed on the sole body, the inner side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by an air squeezing region and a flow region, and a first guide ho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o guide a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projecting pin Wherein the first unit case and the first unit case are divided into an air squeeze region and a flow region, 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squeezed region, the first unit case is expanded downward toward the flow region, And an air expanding film projecting from the first guide hole of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에어팽창막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에어압착영역을 향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air expansion membrane can be configured in a hemispherical shape which is provided in the first unit case and convex upward toward the air-squeezed region of the first unit case.

또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유동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유동 여부를 지지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의 공기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돌출핀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spike unit is disposed in the flow area of the first unit case to support the first protruding pin. When the air pressure in the air-tightening area is removed, the first protruding pin is moved upward And a restoring spring for restoring the state.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2돌출핀을 수용하되 하부에 상기 제2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2가이드공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수용가능한 수용공을 형성하는 제2유닛케이스와, 상기 제2유닛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되 상기 제2돌출핀의 상향이동가능한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반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핀에는 상부에 상기 띠조작부 중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를 수용하는 경유로를 형성한다.The second spike unit includes a second guide hole fixedly installed on the sole body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pin in an inner side and guiding a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protrusion pin in a lower portion, And a resilient spring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unit case and supports the second projecting pin and generates a restoring force capable of moving upward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And the second projecting pi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with a light oil passage passing through the one of the band control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band to receive the control band.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조절띠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재를 구비한다.And the second spike unit is fixedly mounted on the control band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second unit case and the second projecting pin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pike unit, And a fix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in.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할 때 상기 제2유닛케이스 상에 접촉하여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단을 구성하고, 상기 접촉지지단과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지지단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를 구성한다.Wherein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member constitutes a contact support end which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unit case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second unit case and the light oil passage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And a spring member configured to restor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pport end between the contact supporting end and the second unit case.

상기 에어조정부는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밑창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유입밸브와, 상기 밑창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밀폐시키고 외력으로부터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밀봉부재와, 상기 밑창본체의 에어포켓공간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누름 작용하여 압축된 상기 밀봉부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에어유동로 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배출가능하되 공기배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에어제어밸브로 이루어진다.An air inlet valve provided on the sole body corresponding to the air pocket space and configured to introduce air into the air pocket space from the outside, and an air inlet valv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ole body to seal the air pocket space, A restoring member provided in the air pocket space of the sole body for transmitting a restoring force to the sealing member pressed by the user due to a human body load; And an air control valve which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air to be moved along the air flow path and being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set whether air is discharged or not.

상기 에어조정부에는 상기 밑창본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포켓공간에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유동로를 통해 이동하되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를 배출가능토록 상기 에어유동로와 상기 에어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에어배출로를 형성한다.Wherein the air adjusting unit is formed on the sole main body and moves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pocket space through the air flow path so that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flow path can be discharged, As shown in Fig.

상기 조절띠는 상기 당김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주조절띠와,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이 위치한 상기 주조절띠의 한쪽 끝단마다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탄성조절띠로 구성한다.Wherein the control band comprises a main control b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pulling means and extended along the guide path and extend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pike unit, And an elastic adjustment strap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조절띠는 외부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조성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복층을 구비한다.The control strip has a coating layer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agent composed of an acrylate resin on an outer surface.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고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에 따라 외주연 상에 상기 조절띠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되는 회전감개부재를 포함한 권선형으로 구성한다.The pull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wire-winding type including one end of the control band and a rotation-detecting member provided to be rotatable from the user and adapted to wind or unwind the control strip on the outer periphery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되 신발 몸체부의 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한 탈부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ulling means may be of a detachable type including a detachable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hoe body portion while fixing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상기 당김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파스너로 이루어진다.
The pulling means comprises a Velcro tape or a snap fastener.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하면 밑창의 전방영역에 위치하여 공기주입 여부로 제어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함께 밑창의 후방영역에 위치하여 띠 당김 조작으로 제어되는 제2스파이크유닛을 구성하므로,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전후 영역별 탄력적으로 설정함에 따라 신발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shoe having the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ike unit, which is locat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sole and is controlled to be inflated with air, is disposed in the rear region of the sole, Therefore, the user is able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the shoe while improving the fit of the user as the user flexibly sets the shoe in accordance with various road conditions.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하면 공기 및 띠를 설정조작하여 돌출핀이 돌출토록 구성하므로,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악길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보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일반적인 길 보행시에도 항시 착용할 수 있어 신발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착용자로부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having the shock absorbing and non-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and the belt are set and operated to protrude the projecting pi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n an eye, an ice path and a mountain road, And can be worn at all times when walking on a general road, thereby improving the practicality of the shoe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from the wear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은 스파이크의 돌출 여부를 설정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띠 형태로 구성하므로 사용 중 고착화를 방지하면서 신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e having the anti-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nd-lik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setting of whether or not the spike protrudes, the life of the shoe can be prolonged while preventing sticking during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은 조절띠에 피복층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조절띠의 강성을 높여 안정적인 당김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oe having the non-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the cover layer on the control strip, the rigidity of the control strip can be increased to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while performing a stable pull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밑창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밑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스파이크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스파이크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스파이크유닛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2스파이크유닛의 사용사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조절띠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당김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당김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ol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enlarged 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irst spike unit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first spike unit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first spike unit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of the second spike unit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rol strip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pulling means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pulling means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를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A footwear comprising a body part, a sole, and an insole so as to be worn on a user's foot, the footwea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eiving recesses which are divided into a front area and a rear area, And an air pocket space is formed in the so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heel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ir, A sole body formed so as to form an air flow path; A first spike unit mounted in a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front region of the sole body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pin that is linearly movab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and protruding from the sole body toward the ground; And a second spike unit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rea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cond protruding pin which is linearly movable in the up-down and up-down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sole main body toward the ground, ; An air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an up / down mo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in by manipulating operation of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spike unit of the spike unit; A rectangular control strap passing through the spike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pin of the second spike uni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a rear end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ole body to fix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And a pulling means for shifting the second projecting pi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et the second projecting pin in a projectable manner.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Next, preferred embodiments of a shoe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3), 밑창(5), 깔창(7)으로 구성되는 신발(S)에 있어서, 밑창본체(100)와, 스파이크부(200)와, 에어조정부(300)와, 띠조작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n embodiment of a shoe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non-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3, a sole 5, an insole 7, The shoe body S includes a sole body 100, a spike portion 200, an air adjusting portion 300, and a belt manipulating portion 400. [

본 발명에서 신발은 어느 하나의 신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인 운동화, 구두, 등산화, 워킹화, 기능화 등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포함하는 의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the shoe shapes, but includes shoes of various types such as general shoes, shoes, hiking, walking, and functionalization.

상기 밑창본체(10)는 일반적인 신발의 몸체부(3) 하단에 일체로 부착하여 신발(S)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의 앞 부분을 지탱하기 위한 전방영역(C1)과 발뒤꿈치를 지탱하기 위한 후방영역(C2)으로 구분하고, 신발(S)에 따라 내구성 소재로 구성된 뒷굽이 적용되는 경우 후방영역(C2)의 바닥면에 부착된 구조로 구성한다.The sole body 1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a general shoe body 3 to support a sole of the user wearing the shoe S and includes a front region C1 for suppor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foot, And a rear region C2 for supporting the heel and a bottom portion of the rear region C2 when a heel made of a durable material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hoe S,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크부(2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용홈(130)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ole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30 recessed inwardly in a lower portion of the sole body 100 so that the spike portion 200 can be positioned Respectively.

상기에서 수용홈(130)은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방영역(C1) 및 후방영역(C2)으로 구분하여 고르게 구비된다.The receiving groove 130 is divided into a front region C1 and a rear region C2 of the sole body 100 and is uniformly provided.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로(140)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로(14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후방영역(C2)에 구비한 상기 수용홈(130)마다 연통하도록 형성된다.The sol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guide path 14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guide path 140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groove 130 provided in the rear region C2 of the sole main body 100.

상기 가이드로(140)는 상기 띠조작부(400) 중 하기 조절띠(41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경로를 이룬다.The guide path 14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lower control band 410 of the band control unit 400 can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5)의 영역(후방영역(C2))에 형성되는 에어포켓공간(110)과,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연통하여 밑창의 전방영역(C1)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에어유동로(1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sole body 100 includes an air pocket space 110 formed in a region (rear region C2) of the sole 5 corresponding to a user's heel position, And an air flow path 120 extending to the front region C1 of the sho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hoe 110.

상기에서 밑창본체(100)는 에어포켓공간(110)과 상기 에어유동로(120) 및 상기 수용홈(130)과 상기 가이드로(140)가 형성된 구조로 성형구성된다.The sole body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pocket space 110, the air flow path 120, the receiving groove 130, and the guide path 140 are formed.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수용가능하여 압축공기를 저장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은 상기 밑창본체(100) 내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가능한 공간을 이루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구성한다.The air pocket space 110 is capable of receiving air from outside to form a space capable of storing compressed air. That is, the air pocket space 110 constitutes a spac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n the sole body 100 and accommodat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상기 에어유동로(120)는 상기 밑창본체(100) 내에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의 한쪽에 연통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The air flow path 120 is formed so as to guide air in the sole body 100 and guide the flow direction of air through one side of the air pocket space 110.

상기 에어유동로(120)는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을 기점으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룬다.The air flow path 12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first spike unit 210 starting from the air pocket space 110.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를 비롯하여 상기 에어포켓공간(11) 및 상기 에어유동로(120), 상기 수용홈(130), 상기 가이드로(140)의 구성들은 모두 일체로 성형제작하여 구성한다.The overall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sole body 100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air pocket space 11, the air flow path 120, the receiving groove 130, and the guide path 140 are integrally formed .

상기 밑창본체(100)에는 신발(S)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밑창본체(100)를 외부로부터 구획하도록 감싸 신발(S)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외피체(150)를 구비한다.The shoe sole body 100 includes a shroud body 150 which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shoe S and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shoe S to wrap the shoe sole body 100 from the outside.

상기 스파이크부(20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부에 뾰족하게 돌출되어 보행시 신발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pike part 200 protrudes to the bottom of the sole body 100 to prevent slippage of the shoe during walking.

상기 스파이크부(20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방영역(C1) 및 후방영역(C2)에 걸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고르게 구비토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유동로(120)에 연통하여 내측에 공기가 유입가능하게 형성한다.The spike part 200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ole body 100 so that a plurality of spike parts 200 ar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across the front area C1 and the rear area C2 of the sole body 100 , And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th (120) so that air can flow inward.

상기 스파이크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밑창본체(100)의 전방영역(C1)에 위치한 수용홈(130)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100)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211)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210)과, 상기 밑창본체(100)의 후방영역(C2)에 위치한 수용홈(130)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100)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221)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220)으로 구성된다.2, the spike part 20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130 located in the front region C1 of the sole body 100 and is linearly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 sole body 130, The first spike unit 210 includes a first spike unit 210 having a first protruding pin 211 protruding toward the ground from the bottom of the sole body 100, And a second spike unit 220 having a second protruding pin 221 that is linearly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and protruding from the sole body 100 toward the ground.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제1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행시 상기 밑창본체(100)의 하면이 접하는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제1돌출핀(211)을 중심으로 제1유닛케이스(213)와 에어팽창막(215)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pike unit 210 includes the first protruding pin 211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toward the grou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body 100 when walking. And a first unit case 213 and an air expansion membrane 215 as a center.

상기 제1돌출핀(211)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에 위치하되 상기 에어조정부(300)를 조작설정함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구조를 이룬다.The first projecting pin 211 is located in the first unit case 213.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unit case 213 by operating the air adjusting unit 300, Thereby forming a flowable structure.

예를 들면, 상기 에어조정부(300)로부터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조작하면 도 4의 (a)에서처럼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서 생성된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면 상기 에어조정부(300)로부터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조작하면 도 4의 (b)에서처럼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서 생성된 공기가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ir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spike unit 210 from the air adjusting unit 300, air generated in the air pocket space 110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 4 (a) The first protruding pin 211 is retained in the first unit case 213. If the first protruding pin 211 is operated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ike unit 210 from the air adjusting unit 300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protrudes from the first unit case 213 as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pocket space 110 flows into the first unit case 213 as shown in FIG. State.

상기 제1돌출핀(211)은 물과 같은 유체와의 접촉에 의해 부식이 진행됨이 없도록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rojecting pin 21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so that corrosion does not proceed by contact with a fluid such as water.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는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돌출핀(211)은 물론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구비토록 수용한다.The first unit case 21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ole body 100 and accommodates the air expanding film 215 as well as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therein.

상기 제1유닛케이스(63)는 내측이 에어압착영역(213a) 및 유동영역(213b)으로 상하 구획구분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는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경계로 상하로 나눠지되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통해 공기가 유입가능한 공간을 이루는 에어압착영역(213a)과, 상기 에어팽창막(215)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을 수용하고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하로 유동가능한 공간을 이루는 유동영역(213b)을 구비토록 구성한다.The first unit case 63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by an air squeeze region 213a and a flow region 213b on the inner side. That is, the first unit case 213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with the air expansion membrane 215 as a boundary, and the first unit case 21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air inflation membrane 215 and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path 120 And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is located below the air expanding film 215 and accommodates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so that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can move up and down And a flow region 213b that forms a space.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에는 상기 제1돌출핀(21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핀(211)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1가이드공(214)을 구비한다.The first unit case 213 has a first guide hole 214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and capable of guiding upward and downward linear mo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또한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하부와 상기 밑창본체(100)의 외피체(150) 사이에는 패킹부재(219)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패킹부재(219)는 상기 제1돌출핀(211)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내측이 중공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와 상기 외피체(150)의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acking member 219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unit case 213 and the outer body 150 of the sole body 100. That is, the packing member 219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is hollowed in the inside to be vertically flowabl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nit case 213 and the outer casing 150, .

상기와 같이 제1유닛케이스(213)에 패킹부재(219)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기밀을 유지하여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packing member 219 in the first unit case 213,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first unit case 213 and to achieve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spike unit 210 Do.

상기 에어팽창막(215)은 박막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내부를 에어압착영역(213a)과 유동영역(213b)으로 구획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213a)을 향한 공기의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한다.The air expansion membrane 215 is formed in a thin film shape and fixed inside the first unit case 213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unit case 213 is divided into the air compression area 213a and the flow area 213b, And is formed so as to be infl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ir is supplied toward the air squeeze region 213a.

상기 에어팽창막(215)은 상기 에어압착영역(213a)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유동영역(213b)을 향해 하향팽창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을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제1가이드공(214)으로부터 돌출시키게 형성한다.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compression region 213a, the air expansion membrane 215 expands downward toward the flow region 213b, so that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unit case 213 1 guide hole 214. [0051] As shown in Fig.

상기에서 에어팽창막(215)은 우수한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expanding film 215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rubber having excellent elasticity.

또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제2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팽창막(215)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팽창막(215)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에어압착영역(213a)을 향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spike unit 210, as shown in Fig. 5, the air expanding film 215 is hemispherically convex upward. That is, the air expansion membrane 215 is provided in the first unit case 213 and has a semispherical shape convex upward toward the air compression area 213 a of the first unit case 213.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스파이크유닛(210)을 구성하게 되면, 에어팽창막(215)에 대한 상향 팽창력을 높여 하향이동된 제1돌출핀(211)의 우수한 복원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By forming the first spike unit 21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pward expans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air expanding film 215 and to achieve an excellent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moved downward Do.

또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의 제3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케이스(213)의 유동영역(213b)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원스프링(217)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spike unit 210 is located in the flow region 213b of the first unit case 213 to support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And further comprises a restoring spring 217 constituted.

상기 복원스프링(217)은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개방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에어압착영역(213a)의 공기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돌출핀(211)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storing spring 217 releases the air in the sole body 100 by opening the air control valve 340. When the air pressure in the air squeezed area 213a is removed,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storing the state of the image pickup device 211 to move upward.

상기한 제3실시예와 같이 제1스파이크유닛(210)을 구성하게 되면, 에어팽창막(215)의 팽창력에 복원스프링(217)의 복원력이 더해져 제1돌출핀(211)의 보다 우수한 복원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217 is added to the expansion force of the air expanding film 215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It is possible to plan.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밑창본체(100)로부터 지면을 향해 하측으로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221)을 중심으로 제2유닛케이스(223)와 반발스프링(22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7, the second spike unit 220 includes a second unit case 223 around a second projecting pin 221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ole body 100 toward the ground, And a resilience spring 225 are provided.

상기 제2돌출핀(221)은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띠조작부(400)의 설정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상기 띠조작부(400) 중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지면 상기 제2돌출핀(221)은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구조를 이룬다.The second protruding pin 221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unit case 223 and can protrude outward of the second unit case 223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band control unit 400 is performed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control strip 410 is pulled out by operating the pulling means 420 of the band control unit 400,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can be vertically and vertically projected from the second unit case 223 As shown in Fig.

예를 들면, 도 7의 (a)에서처럼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조절띠(410)가 팽팽해짐에 따라 상기 제2돌출핀(221)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7의 (b)에서처럼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가 풀리는 경우 상기 조절띠(410)가 느슨해짐에 따라 상기 제2돌출핀(221)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when the user operates the pulling means 420 to pull the control strip 410,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When the user operates the pulling means 420 to release the control strip 410 as shown in FIG. 7B, the control strip 410 (see FIG. 7B)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held in the second unit case 223.

상기 제2돌출핀(221)에는 상부에 상기 띠조작부(400) 중 상기 조절띠(4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410)를 수용하는 경유로(222)를 구비한다. 즉 상기 당김수단(420)으로부터 상기 조절띠(410)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상에 위치한 상기 조절띠(410)가 팽팽해지면서 상기 제2돌출핀(221)이 하강토록 누르는 힘이 적용하게 된다.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provided at its upper portion with a gas passage 222 passing through the length of the control strip 410 of the strip control unit 400 to receive the control strip 410. That is, 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pulling means 420 to the control strip 410, the control strip 410 located on the light oil passage 222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stretched, 2 projecting pin 221 is lowered.

상기 제2돌출핀(221)은 유체(물이나 기름 등)와의 접촉에 의해 부식이 진행됨이 없도록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금속재질을 사용하거나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우 지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해야만 하는 기능적인 특성상 강성이 보다 우수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so that corrosion does not proceed due to contact with fluid (water, oil, or the like)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the second protruding pin 221 should preferabl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due to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 that it must continuously contact the ground.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는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 공간에 상기 제2돌출핀(221)은 물론 상기 반발스프링(225)이 수용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The second unit case 223 is fixed on the sole body 10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and the repulsion spring 225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하부에는 상기 제2돌출핀(22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핀(221)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2가이드공(224)을 구비한다.A second guide hole 22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nit case 223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and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do.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측벽면에는 상기 조절띠(4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410)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공(226)을 구비한다. 즉 상기 조절띠(410)는 상기 수용공(226)을 통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내측으로 유입 수용되되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를 경유한다.The side wall of the second unit case 223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hole 22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strip 410 to receive the control strip 410. That is, the control strip 41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unit case 223 through the receiving hole 226, and passes through the light oil path 222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상기 반발스프링(225)은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출핀(221)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The rebound spring 225 is positioned within the second unit case 223 to support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상기 반발스프링(225)은 상기 제2돌출핀(221)의 상향이동가능한 복원력을 생성시킨다. 즉 상기 띠조작부(400)의 당김수단(420)을 조작하여 상기 조절띠(410)를 느슨하게 함에 따라 상기 제2돌출핀(221)에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2돌출핀(221)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bound spring 225 generates an upwardly movabl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That is, when the force to press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removed by loosening the control belt 410 by operating the pulling means 420 of the belt manipulating part 400,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moved upward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storing the state to move.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에는 상기 띠조작부(400)를 통해 하강하여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221)의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하는 고정지지부재(227)를 구성한다.The second spike unit 220 is provided with a fixing support member 220 which is lowered through the belt manipulation unit 400 and fixes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protruding from the second unit case 223 so as to maintain a protruding state, (227).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는 상기 띠조작부(400)의 조절띠(4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2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띠(4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수용공(226) 및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상에 내삽가능하게 형성된다.The fixed support member 227 is fixed on the control band 410 of the belt manipulation unit 400 and supports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projected from the second unit case 223 And is linear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strip 410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interpolated on the light receiving passage 226 of the second unit case 223 and the light oil passage 222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지면서 상기 제2돌출핀(221)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진 만큼 상기 고정지지부재(227)가 상기 제2돌출핀(221)을 향해 직선이동되어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및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수용공(22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로부터 상기 제2돌출핀(221)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토록 고정지지하게 된다.For example, as the user operates the pulling means 420, when the control strip 410 is pulled and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lowered, the control strip 410 is pulled by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are linearly moved toward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and inserted into the gas passage 222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and the receiving hole 226 of the second unit case 223, So that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fixedly supported from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so as to maintain the protruded state.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한쪽(제2돌출핀(221)이 위치한 쪽) 끝단은 상기 경유로(222)를 향해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게 반원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s located) forms a semicircular curved surface so as to smoothly enter the light oil path 222.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는 상기 제2돌출핀(221)을 지지해야하는 특성상 강성이 우수한 금속재료(합금강, 스테인리스강 등)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lloy steel, stainless steel,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rigidity due to the property of supporting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에는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전후 직선이동을 안내하여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게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안내로(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unit case 223 is provided with a guide path 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so as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forward and backward desirable.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수용공(226) 및 상기 제2돌출핀(221)의 경유로(222) 상에 내삽할 때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상에 접촉하여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단(228)을 구성한다. 즉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져 이동하는 상기 고정지지부재(227)가 상기 경유로(222) 및 상기 수용공(226)에 모두 내삽된 위치에서 상기 접촉지지단(228)이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상에 걸려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를 멈춤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second unit case 223 and the second unit case 227 ar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on the receiving hole 226 of the second unit case 223 and the light oil passage 222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223, which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in which the control strip 410 is pulled and moved, is inserted into both the light oil passage 222 and the receiving hole 226, the contact support end 228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unit And is held on the case 223 so as to be able to hold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in a stopped state.

또한 상기 접촉지지단(228)과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지지단(228)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229)를 구성한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229)는 상기 조절띠(410)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재(227)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한쪽(제2돌출핀(221) 위치의 반대쪽)으로 밀어내는 복원력을 형성하므로 상기 고정지지부재(227)를 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 spring member 229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support end 228 and the second unit case 223 to restor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pport end 228. That is, the spring member 229 urges the restoring force to be pushed to one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in respons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as the control strip 410 is pulled So that the fixed support member 227 is restored.

상기 에어조정부(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크부(200)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211)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에어유입밸브(310)와, 밀봉부재(320)와, 복원부재(330)와, 에어제어밸브(3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air adjusting unit 300 operates to set whether or not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spike unit 210 of the spike unit 200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projecting pin 211 And includes an air inlet valve 310, a sealing member 320, a restoring member 330, and an air control valve 340.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외부로부터 상기 밑창본체(10)의 에어포켓공간(110)을 향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ir inflow valve 310 functions to inflow air from the outside toward the air pocket space 110 of the sole body 10.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대응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측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보행시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압축된 후 인체하중을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로부터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The air inlet valve 310 is installed on the sole body 100 corresponding to the air pocket space 110. That is, the air inlet valve 310 is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sole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air pocket space 110. The air inlet valve 310 is configured to lift the human body load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user's body load at the time of walking Air is filled in the air pocket space 110 from the air inlet valve 310. [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는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되 상기 밑창본체(100) 상에 복수 개(도 3에서는 3개)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inlet valve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air inlet valve 310 on the sole body 100, and a plurality of air inlet valves 310 may be provided on the sole body 100 (three in FIG. 3).

상기에서 에어유입밸브(310)는 단지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을 향해 공기의 유입만을 도모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한 방향(유입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 구조의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구성한다.The air inlet valve 310 is configured to only allow the inflow of air toward the air pocket space 110, and is configured using a check valv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ir can flow in only one direction (inflow direction) do.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은 상기 밀봉부재(320)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밀봉부재(32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상부에 부착하여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이 밀봉된 구조를 이루도록 밀폐시킨다.The air pocket space 110 constitutes a closed space by the sealing member 320. That is, the sealing member 32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body 100 to seal the air pocket space 110 to have a sealed structure.

상기 밀봉부재(320)는 얇은 두께의 막 형태를 이루고, 상측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복원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밀봉부재(320)는 사용자 보행시 인체하중에 의해 압축되어 눌리되 사용자가 발을 들어올려 인체하중을 제거함에 따라 복원되어 상기 에어유입밸브(310)에 의한 에어 유입을 도모한다.The sealing member 320 has a thin film shape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recover from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hat is, the sealing member 320 is compressed and pressed by the human body load during the user's walking, and is restored as the user lifts the foot and removes the human body load, so that air is inflowed by the air inflow valve 310.

상기에서 밀봉부재(320)로는 니트릴(nitrile)이나 비톤(viton), 실리콘고무 등의 강한 탄성을 갖는 소재를 적용하여 구성한다.The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ong elasticity such as nitrile, viton, or silicone rubber.

상기 복원부재(330)는 상기 밑창본체(100)의 에어포켓공간(110) 내에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The restoring member 330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air pocket space 110 of the sole body 100.

상기 복원부재(330)는 상기 밀봉부재(320)를 복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복원부재(330)는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누름 작용하여 압축된 상기 밀봉부재(320)가 빠르게 복원됨에 따라 상기 에어유입밸브(310)를 통한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 공기가 빠르게 채워지도록 상기 밀봉부재(320)에 복원력을 전달한다.The restoring member 330 functions to restore the sealing member 320. That is, the restoring member 330 is pressed by the user's body load, and as the compressed sealing member 320 is quickly restored, the air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air pocket space 110 through the air inlet valve 310 And transmits a restoring force to the sealing member 320 so as to be filled.

상기에서 복원부재(330)는 소정의 관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성한다.The restoring member 330 is constructed by applying a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inertia force.

상기 에어조정부(30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포켓공간(110)에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통해 이동하되 공기가 상기 밑창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경로인 에어배출로(350)를 구비한다.3, air generated in the air pocket space 110 is moved through the air flow path 120,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dy 100 And an air discharge path 350,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air can be blown.

상기 에어배출로(350)는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가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에어유동로(120)와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경로를 이룬다.The air discharge path 350 extends along the air flow path 120 so as to interconnect the air flow path 120 and the air control valve 340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along the air flow path 120.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통해 상기 에어유동로(120) 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경우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경유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따라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통해 배출가능하게 구비된다.The air control valve 340 is provided to communicate on the air flow path 120 through the air discharge path 350. That is, in the case of air moving along the air flow path 120, the air moves along the air discharge path 350, and the air moved along the air discharge path 350 flows through the air control valve 340 As shown in FIG.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통해 이동된 공기의 배출만을 도모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이 차단된 구조로서, 공기가 한 방향(배출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 구조의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구성한다.The air control valve 340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only through the air discharge path 350. That is, the air control valve 340 is constructed by using a check valv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flow of air from outside is blocked, and in which air can flow in only one direction (discharge direction).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상기 밑창본체(100) 내에서 외부를 향한 공기배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개방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따라 이동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내 공기를 제거하므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을 향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를 폐쇄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에어배출로(350)를 따라 이동된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밑창본체(100) 내 상기 에어유동로(120)를 따라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210)까지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The air control valve 340 is formed in the sole body 100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set whether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the air control valve 340 is opened, air moved along the air discharge path 3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remove air in the sole body 100, When the air control valve 340 is set in the closed state, the discharge of the air moved along the air discharge path 350 is cut off, The air moves to the first spike unit 210 along the air flow path 120.

상기 에어제어밸브(340)는 버튼조작구조나 슬라이드조작구조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ir control valve 340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utton operation structure and a slide operation structure.

상기 띠조작부(400)는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제2돌출핀(221)에 대한 돌출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조작설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The band control unit 4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second spike unit 220 to project from the second protrusion pin 221 by a user.

상기 띠조작부(400)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을 향해 연장형성된 조절띠(410)와, 상기 조절띠(410)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구조의 당김수단(420)으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2 and 9, the band control unit 400 includes a control band 410 extending toward the second spike unit 220 and a control unit 41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winding and releasing the control band 410 And pulling means 420.

상기 조절띠(410)는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창본체(100)의 가이드로(140)에 내삽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한다.The control strip 4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nd shap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path 140 of the sole body 100.

상기와 같이 조절띠(410)를 장방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사용 중 고착화를 방지하면서 신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strip 4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nd shape, it is possible to prolong the life of the shoe while preventing sticking during use.

상기 조절띠(410)는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제2돌출핀(221)에 연결되되 상기 제2돌출핀(221)을 경유하도록 구성한다.The control strip 4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otruding pin 221 of the second spike unit 220 and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protruding pin 221.

상기 조절띠(4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당김수단(420)에서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주조절띠(411)와,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이 위치한 상기 주조절띠(411)의 한쪽 끝단마다 연장형성되는 탄성조절띠(412)로 구분하여 이루어진다.3, the control band 410 may include a main control band 411 extending from the pulling means 420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pike unit 220 and a second control band 411 extending from the second spike unit 220 And an elastic control band 41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main control band 411.

상기 주조절띠(411)는 상기 당김수단(420)에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로(140)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한다.The main control band 41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pulling means 420 and extended along the guide path 140.

상기 탄성조절띠(412)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고무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조절띠(412)의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탄성조절띠(412)는 상기 당김수단(420)의 조작으로 상기 주조절띠(411)에 전달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신장하여 늘어나고, 상기 당김수단(420)의 조작으로 상기 주조절띠(411)에 전달된 힘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된다.The elastic control band 41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e.g., rubber) and is provid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control band 412. That is, the elastic control band 412 is elongated and stretched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band 411 by the operation of the pulling means 420, (411) is remov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상기 조절띠(4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조성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복층(414)을 구비한다.8, the control strip 410 has a coating layer 414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material composed of an acrylate resin on the outer surface.

상기 피복층(414)은 상기 조절띠(41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상기 피복층(414)을 전체적으로 구비토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조절띠(410) 중에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상기 조절띠(410)가 꺾이면서 지속적으로 마찰현상이 발생하는 부분에만 상기 피복층(414)을 국부적으로 구비토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ver layer 414 may be formed to cover the cover layer 414 by applying a coating agent on the control strip 410. When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strip 410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locally form the coating layer 414 only in a portion where friction occurs continuously.

상기에서 피복층(414)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면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반면 상기 조절띠(410)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피복층(414)을 국부적으로 구성하면 상기 조절띠(410)의 전반적인 수명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제품의 제작단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covering layer 414 is formed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adjusting strap 410 while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f the covering layer 414 is locally configured, the overall service life of the adjusting strap 4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while it is relatively reduced.

상기 피복층(414)에 사용되는 코팅제의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조성한다.As the acrylate resin of the coating agent used for the coating layer 414, melamine acrylate resin is used.

상기에서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우수한 접착성으로 상기 조절띠와의 부착효율을 증진시키고, 높은 강도 및 안정적인 팽창수축성을 갖는다.The melamine acrylate resin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adhesion and improves the adhesion with the control strip, and has high strength and stable expansion shrinkage.

상기와 같이 조절띠(410)에 피복층(414)을 구비토록 구성하게 되면, 조절띠(410)의 강성을 높여 안정적인 당김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cover layer 414 is provided on the control strip 41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control strip 410 to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while performing a stable pulling function.

상기 당김수단(42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가능하게 상기 밑창본체(100)의 외측 후방에 구비토록 설치된다.The pulling means 420 is installed on the outer rear side of the sole body 100 so as to be operable by a user.

상기 당김수단(420)은 상기 조절띠(410) 중 상기 주조절띠(411)의 일단을 고정토록 연결되고, 상기 조절띠(4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전방 또는 후방 중 사용자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조절띠(4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221)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한다.The pulling means 4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control strip 411 of the control strip 410 so as to fix the one end of the main control strip 410 and moves the control strip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trol strip 41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pin 221 can be set.

상기 당김수단(420)의 제1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는 회전감개부재(421)를 포함한 권선형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ulling means 420 is of a wire-wound type including a rotation detecting member 421 which is rotatably operated by a user.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는 상기 조절띠(410)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회전방향에 따라 외주연 상에 상기 조절띠(41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220)의 제2돌출핀(221)을 제어한다.The rotation stopper member 421 is provided to fix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410 and to wind or unwind the control strip 4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user, And controls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of the unit 220.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당김수단(420)인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도록 조작하면 상기 조절띠(410)가 상기 회전감개부재(421) 상에 감기면서 당겨져 상기 제2돌출핀(221)을 돌출시키고,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조절띠(410)가 상기 회전감개부재(421)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제2돌출핀(221)을 상기 제2유닛케이스(223) 내 원상태로 복귀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on detent member 421, which is the pulling means 420,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 strip 410 is pulled and pulled on the rotation detent member 421, When the projecting pin 221 is protruded and the rotation detecting member 42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 strip 410 is released from the rotation detecting member 421 to rotate the second projecting pin 221 Unit case 223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당김수단(420)의 제2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띠(410)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되 신발 몸체부(3)의 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423)를 포함한 탈부착형으로 이루어진다.10,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ulling means 420 includes a detachable member 423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hoe body 3, while fixing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410, As shown in FIG.

상기 탈착부재(423)는 상기 조절띠(4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접합체(424)와, 상기 접합체(424)에 탈부착가능하게 상기 신발 몸체부(3)의 후면에 구비되는 접합부(425)로 구성한다.The detachable member 423 includes a joint body 424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trol band 410 and a joint portion 42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oe body 3 detachably attached to the joint body 424 .

상기 당김수단(420)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파스너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당김수단(420)의 경우 도 10에서는 벨크로테이프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지만 스냅파스너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ulling means 420 is constructed using a Velcro tape or a snap fastener. That is, in the case of the pulling means 420,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Velcro tape is applied in FIG. 1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structure of the snap fastener.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하면 밑창의 전방영역에 위치하여 공기주입 여부로 제어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함께 밑창의 후방영역에 위치하여 띠 당김 조작으로 제어되는 제2스파이크유닛을 구성하므로, 다양한 노면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전후 영역별 탄력적으로 설정함에 따라 신발의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according to the shoe having the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ike unit, which is locat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sole and is controlled to be inflated with air, is positioned in the rear region of the sole, So that the user can flexibly set the front and rear regions flexibly in accordance with various road conditions,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the shoe while improving the wearer's comfor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공기 및 띠를 설정조작하여 돌출핀이 돌출토록 구성하므로, 눈길이나 빙판길 및 산악길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보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일반적인 길 보행시에도 항시 착용할 수 있어 신발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착용자로부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air and the belt are set and operated so that the projecting pin protrude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n snowy roads, ice roads and mountain roads and to walk safely,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the shoe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from the wear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hoe having the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밑창본체 110 : 에어포켓공간
120 : 에어유동로 130 : 수용홈 140 : 가이드로
150 : 외피체 200 : 스파이크부 210 : 제1스파이크유닛
211 : 제1돌출핀 213 : 제1유닛케이스 213a : 에어압착영역
213b : 유동영역 214 : 제1가이드공 215 : 에어팽창막
217 : 복원스프링 219 : 패킹부재 220 : 제2스파이크유닛
221 : 제2돌출핀 222 : 경유로 223 : 제2유닛케이스
224 : 제2가이드공 225 : 반발스프링 226 : 수용공
227 : 고정지지부재 228 : 접촉지지단 229 : 스프링부재
300 : 에어조정부 310 : 에어유입밸브 320 : 밀봉부재
330 : 복원부재 340 : 에어제어밸브 350 : 에어배출로
400 : 띠조작부 410 : 조절띠 411 : 주조절띠
412 : 탄성조절띠 414 : 피복층 420 : 당김수단
421 : 회전감개부재 423 : 탈착부재 35a : 접합체
35b : 접합부 C1 : 전방영역 C2 : 후방영역
100: Outsole body 110: Air pocket space
120: air flow path 130: receiving groove 140: guide
150: jacket body 200: spike part 210: first spike unit
211: first projecting pin 213: first unit case 213a: air-
213b: flow region 214: first guide hole 215: air expansion membrane
217: restoring spring 219: packing member 220: second spike unit
221: second projecting pin 222: light oil passage 223: second unit case
224: second guide ball 225: rebound spring 226: receiving ball
227: fixed support member 228: contact support end 229: spring member
300: air adjusting part 310: air inlet valve 320: sealing member
330: restoration member 340: air control valve 350: air discharge path
400: belt control part 410: regulating belt 411: main control belt
412: elastic control strip 414: coating layer 420: pulling means
421: Rotation Retracting Member 423: Desorption member 35a:
35b: connecting portion C1: front region C2: rear region

Claims (14)

사용자 발에 착용가능하게 몸체부, 밑창, 깔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전방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구분되되 하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며, 후방영역의 상기 수용홈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통하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 공기를 수용가능하게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인 에어유동로가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밑창의 영역에서부터 전방영역을 향해 연장 형성토록 성형구성되는 밑창본체와;
상기 밑창본체의 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돌출핀을 구비하는 제1스파이크유닛과,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영역에 위치한 수용홈 내에 장착되고 내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되 상기 밑창본체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돌출핀을 구비하는 제2스파이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파이크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 공기의 주입 여부를 조작설정하여 상기 제1돌출핀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에어조정부와;
상기 스파이크부 중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제2돌출핀에 연결되도록 경유하고 밑창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방형의 조절띠와, 상기 밑창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띠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띠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돌출핀의 돌출 여부를 설정가능하게 조작하는 당김수단으로 구성되는 띠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이 에어압착영역 및 유동영역으로 상하 구획구분되며 하부에 상기 제1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1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제1유닛케이스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부를 에어압착영역과 유동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유동영역을 향해 하향팽창하여 상기 제1돌출핀을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제1가이드공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에어팽창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은, 상기 밑창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2돌출핀을 수용하되 하부에 상기 제2돌출핀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제2가이드공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수용가능한 수용공을 형성하는 제2유닛케이스와, 상기 제2유닛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되 상기 제2돌출핀의 상향이동가능한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반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핀에는 상부에 상기 띠조작부 중 상기 조절띠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조절띠를 수용하는 경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A footwear comprising a body part, a sole, and an insole to be worn on the user's foot,
And a guide path which is divided into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and has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concaved inward at the lower portion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ar region, An air passage space is formed in the region of the sole so as to be capable of accommodating air and an air flow path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is movabl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ocket space is extended from a region of the sole corresponding to the heel position toward a front region A sole body configured to be molded;
A first spike unit mounted in a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front region of the sole body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pin that is linearly movab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and protruding from the sole body toward the ground; And a second spike unit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located in a rea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cond protruding pin which is linearly movable in the up-down and up-down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sole main body toward the ground, ;
An air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an up / down mo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in by manipulating operation of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spike unit of the spike unit;
A rectangular control strap passing through the spike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pin of the second spike unit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sole; And a pulling means for movably moving the control str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etably operate the projecting pin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The first spike unit is fixed on the sole body, and the inner side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by an air squeezing region and a flow region, and a first guide hol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o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projecting pin Wherein the first unit case is divided into an air squeeze region and a flow region, 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squeezed region, the first unit case is expanded downward toward the flow region, And an air expansion membrane projecting from the first guide hole of the case,
The second spike unit includes a second guide hole fixedly installed on the sole body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pin on the insid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protrusion pin on the bottom, A second unit case which is provided in the second unit case and which supports the second projecting pin and generates a restoring force capable of moving the second projecting pin upward; Including,
And the second projecting pin includes a light oil passag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and control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band to receive the control ban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팽창막은, 상기 제1유닛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에어압착영역을 향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expanding film has a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provided in the first unit case, the air expanding film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convex upward toward the air pressure area of the first unit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제1유닛케이스의 유동영역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돌출핀을 지지하되 상기 에어압착영역의 공기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돌출핀을 상향이동토록 상태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pike unit is located in a flow region of the first unit case and supports the first projecting pin and restores the state of the first projecting pin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in the air-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non-slip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spr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에는 상기 조절띠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돌출핀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pike unit is fixedly mounted on the control band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second unit case and the second projecting pin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pike unit, And a fix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i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수용공 및 상기 제2돌출핀의 경유로 상에 내삽할 때 상기 제2유닛케이스 상에 접촉하여 걸리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단을 구성하고,
상기 접촉지지단과 상기 제2유닛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지지단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member constitutes a contact support end which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unit case when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second unit case and the light oil passage of the second projecting pin,
And a spr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support end and the second unit case to restor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pport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정부는, 상기 에어포켓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밑창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유입밸브와, 상기 밑창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밀폐시키고 외력으로부터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밀봉부재와, 상기 밑창본체의 에어포켓공간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체하중에 의해 누름 작용하여 압축된 상기 밀봉부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에어유동로 상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배출가능하되 공기배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에어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adjusting unit includes an air inlet valve installed on the sole body corresponding to the air pocket space and allowing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toward the air pocket space, A restoring member which is provided in the air pocket space of the sole body and transmits a restoring force to the sealing member which is pressed by a user's body load and is compressed; And an air control valve which is formed to be capable of discharging air to be moved along the air flow path and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set whether air is discharged or no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정부에는 상기 밑창본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포켓공간에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유동로를 통해 이동하되 상기 에어유동로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를 배출가능토록 상기 에어유동로와 상기 에어제어밸브를 연결하는 에어배출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ir adjusting unit is formed on the sole main body and moves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pocket space through the air flow path so that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flow path can be discharged, And an air discharge path connecting the air discharge passage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띠는, 상기 당김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하되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의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주조절띠와, 상기 제2스파이크유닛이 위치한 상기 주조절띠의 한쪽 끝단마다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탄성조절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band comprises a main control b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ulling means and extended along the guide path and extending to a position of the second spike unit, A shoe having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comprising an elastic control strap extending at one en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띠는 외부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조성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복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trip comprises a coating layer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agent composed of an acrylate resin to an outer surface of the sho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고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가능하게 구비하되 회전방향에 따라 외주연 상에 상기 조절띠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되는 회전감개부재를 포함한 권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means comprises a rotation detecting member which is fixed to one end of the control band and is rotatably operable by a user and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wound or unwound on the outer periphery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Absorbent and non-slip sho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조절띠의 한쪽 일단을 고정하되 신발 몸체부의 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한 탈부착형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means includes a detachable member including a detachable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a rear portion of the shoe body portion while fixing one end of the control strip, and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anti-slip func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은 벨크로테이프 또는 스냅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ulling means is a Velcro tape or a snap fastener.
KR1020150062870A 2015-05-06 2015-05-06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KR1016907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70A KR101690782B1 (en) 2015-05-06 2015-05-06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70A KR101690782B1 (en) 2015-05-06 2015-05-06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35A KR20160131135A (en) 2016-11-16
KR101690782B1 true KR101690782B1 (en) 2017-01-03

Family

ID=5754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70A KR101690782B1 (en) 2015-05-06 2015-05-06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7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83B1 (en) * 2016-06-17 2018-06-07 주식회사 트렉스타 Spike shoes
CN108646420B (en) * 2018-07-27 2024-02-06 歌尔科技有限公司 Wear equipment and damping protective structure thereof
CN109222318B (en) * 2018-09-30 2024-01-09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Easy putting on and taking off children's shoes
CN115005554B (en) * 2022-06-16 2023-10-31 杭州炫驰智能科技有限公司 Anti-slip light soft comfortable and elastic walking shoes and use method thereof
CN117694647B (en) * 2024-02-01 2024-04-19 晋江市鑫铭鞋材科技有限公司 High-friction anti-slip rubber sole for oil ground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1999A (en) * 2011-05-02 2012-11-29 Nelson Eric Spike adjustment mechanism and spiked sho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093A (en) 2001-02-20 2002-08-27 강대식 apparatus for preventing shoes from being slided
KR20100120474A (en) * 2009-05-06 2010-11-16 주식회사 신원주공 Device for preventing effectively slip of shoes on the snow or the ice
FI123280B (en) * 2011-06-10 2013-01-31 Sievin Jalkine Oy PROCEDURE FOR CONTROL OF MOVING MOVEMENT MECHANISM FOR SHOES AND SHOES
KR20140000104A (en) * 2012-06-22 2014-01-02 정환호 Boots eisen functio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1999A (en) * 2011-05-02 2012-11-29 Nelson Eric Spike adjustment mechanism and spiked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35A (en)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82B1 (en)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US1145769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daptive fluid system
US10631589B2 (en) Ski boots
US2980926A (en) Fin shoe
WO2015176214A1 (en) Dog shoe
US20070252351A1 (en) Wheeled footwear
KR101591036B1 (en)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KR101591040B1 (en) Shoes Having a Function of Sliding Prevention
KR100576352B1 (en) A sliding prevention boots with crampons
CH712179B1 (en) Sports footwear, in particular ski or snowboard boot.
CN111920139A (en) Man business leather shoes
CA2564152A1 (en) Weight-activated tying shoe
CN217958942U (en) Breathable slipper
CN220236176U (en) Slipper capable of preventing water accumulation in shoe
KR200340757Y1 (en) Sliding prevention shoes
CN114081234A (en) Anti-skid shoes
US868135A (en) Overshoe.
KR200192507Y1 (en) A shoes for a nonskid
KR20240000732U (en) Sole for anti-slip
KR101121257B1 (en) Footwear Capable of Absorbing Cross Shock
CA2541456A1 (en) Wheeled footwear
KR20050034512A (en) Sliding prevention shoes
ITUD20060010A1 (en) SPORTS FOOTWEAR AS A SKI OR SIMILAR BOOT
ITMO20130005A1 (en) SHOE WITH ADJUSTABLE STIFFING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