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243B1 -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243B1
KR101688243B1 KR1020117017741A KR20117017741A KR101688243B1 KR 101688243 B1 KR101688243 B1 KR 101688243B1 KR 1020117017741 A KR1020117017741 A KR 1020117017741A KR 20117017741 A KR20117017741 A KR 20117017741A KR 101688243 B1 KR101688243 B1 KR 10168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te
reference signal
subfram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644A (ko
Inventor
아키히코 니시오
세이고 나카오
다이치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1011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 이 장치에 있어서, 설정부(105)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참조 신호의 배치 패턴에 근거하여,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리소스 블록 그룹을 서브프레임마다 설정한다. 배치부(106)는, 안테나(110-1~110-4)에 매핑된 심볼에 있어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참조 신호를 1프레임 내의 모든 리소스 블록에 배치한다. 한편, 배치부(106)는, 안테나(110-5~110-8)에 매핑된 심볼에 있어서, 설정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결과에 근거하여,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참조 신호를, 1프레임 내의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일부의 리소스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배치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참조 신호 배치 방법 및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LTE에서는, 하향 회선의 통신 방식으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고 있다. 3GPP-LTE에서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으로 생략)가 미리 정해진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여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 RS)를 송신하고,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이하, 단말로 생략)는 수신한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비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단말은,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적응 MCS(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Scheme) 제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송에 있어서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제어 또는 적응 스케줄링을 위한 수신 품질의 측정을 행한다. 그리고, 단말은 얻어지는 PMI 및 수신 품질 정보(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또한, 기지국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은 다이버시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지국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MIMO 송신)함으로써, 고속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다이버시티 송신된 신호를 단말이 오류 없이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기지국에서의 송신에 이용된 안테나군으로부터 단말까지의 채널 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 구비되는 모든 안테나로부터 RS가 서로 간섭 없이 송신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3GPP-LTE에서는, 기지국의 각 안테나로부터,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다른 타이밍 및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RS가 송신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에 3GPP-LTE에서 상정되고 있는 4안테나의 기지국(4Tx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2에 4Tx 기지국에서의 RS 송신 방법을 나타낸다(비특허 문헌 2 참조). 단, 도 2에 있어서, 세로축(주파수 영역)은 서브캐리어 단위이며, 가로축(시간 영역)은 OFDM 심볼 단위이다. 또한, R0, R1, R2, R3은 각각 안테나 0, 1, 2, 3(1번째, 2번째, 3번째, 4번째의 안테나)으로부터 송신되는 RS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굵은 선의 테두리로 둘러싸인 하나의 블록(주파수 영역에서 6서브캐리어, 시간 영역에서 14OFDM 심볼)의 단위를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 RB)이라고 부른다. 또, 3GPP-LTE에서는, 1RB가 12서브캐리어로 구성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1RB를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수를 6서브캐리어로 한다. 또한, 1RB를 구성하는 1서브캐리어×1OFDM 심볼의 단위를 리소스 엘리먼트(RE : Resource Element)라고 부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4Tx 기지국에서는, RS 송신에 따른 오버헤드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안테나 2(3번째의 안테나), 안테나 3(4번째의 안테나)으로부터의 RS(R2 및 R3)의 송신 빈도를 감소시키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RS는 기지국이 커버하는 셀 내의 모든 단말에 대하여 공통이며, 셀 고유 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라고 불린다. 또한, 기지국에서는, 빔 포밍 송신을 위해, 단말마다 고유의 웨이트를 곱한 RS(단말 고유 RS(UE Specific Reference Signal))가 추가로 송신되는 경우도도 있다.
상기와 같이, 3GPP-LTE에서의 기지국의 안테나수는 최대 4개이며, 3GPP-LTE에 대응하는 단말은,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4Tx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RS(도 2에 나타내는 R0~R3)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복조 및 하향 신호의 품질 측정을 행한다.
이에 비하여, 3GPP-LTE의 발전 형태인 LTE-advanced에서는, 최대 8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8Tx 기지국)이 검토되고 있다. 단, LTE-advanced에서도, 3GPP-LTE에서의 기지국(4Tx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단말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GPP-LTE에 따른 기지국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LTE-advanced에서는, 4Tx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단말(이하, LTE 단말이라고 한다) 및 8Tx 기지국에도 대응하는 단말(이하, LTE+ 단말이라고 한다. 또는 LTE-advanced 단말이라 칭하더라도 좋다)의 쌍방을 수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3GPP TS 36.213 V8.2.0 (ftp://ftp.3gpp.org/specs/2008-03/Rel-8/36_series/36213-820.zip)
(비특허 문헌 2) 3GPP TS 36.211 V8.2.0 (ftp://ftp.3gpp.org/specs/2008-03/Rel-8/36_series/36211-820.zip)
LTE-advanced에서, 다이버시티 송신된 신호를 LTE+ 단말이 오류 없이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8안테나분의 RS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RB에, 8안테나분의 RS인 R0~R7을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은 신호를 오류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서는, 각 안테나의 CQI 및 PMI를 서브프레임마다 얻을 수 있기 때문에, MIMO 전송에 의해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LTE 단말은 도 2에 나타내는 RS(R0~R3)의 배치 위치밖에 파악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 LTE 단말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RS, 즉, 도 3에 나타내는 R4~R7의 존재를 모른다. 그 때문에, LTE 단말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RS(R4~R7)가 배치된 RE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었다고 인식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 LTE 단말은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LTE 단말의 오류율 특성 및 처리량이 열화되어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참조 신호 배치 방법 및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참조 신호 배치 방법은, N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N개보다 많은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쌍방이 이용하는 제 1 참조 신호를, 1프레임 내의 모든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단말 장치만이 이용하는 제 2 참조 신호를, 1프레임 내의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일부의 리소스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도록 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는, N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N개보다 많은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쌍방이 이용하는 제 1 참조 신호, 및, 상기 제 2 무선 통신 단말 장치만이 이용하는 제 2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제 2 참조 신호의 배치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리소스 블록을 서브프레임마다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 1 참조 신호를 1프레임 내의 모든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제 2 참조 신호를, 1프레임 내의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일부의 리소스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는 배치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4Tx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4Tx 기지국에서의 RS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8Tx 기지국에서의 RS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LTE+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RS만이 배치되는 RB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RS가 배치되는 RB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1),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배치 방법 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과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과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RS의 다른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RS의 다른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RS의 다른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따른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따른 RS의 다른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은 8개의 안테나를 갖고, LTE 단말 및 LTE+ 단말에 대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1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가 복수의 RB로 분할된다. 즉, 1RB는, 1서브프레임의 일부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기지국(100)에 있어서, 부호화ㆍ변조부(101)는, 송신 데이터를 위한 부호화부(11) 및 변조부(12)를, 기지국(100)이 통신 가능한 단말의 수 N만큼 구비한다. 부호화ㆍ변조부(101)에 있어서, 부호화부(11-1~11-N)는, 단말 1~N의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12-1~12-N)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또, 부호화ㆍ변조부(101)는, 복호부(118-1~118-N)로부터 입력되는 CQI 정보에 근거하여, 부호화부(11) 및 변조부(12) 각각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즉, MCS)을 결정한다.
부호화ㆍ변조부(102)에 있어서, 부호화부(13)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RS 배치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14)는, 부호화 후의 RS 배치 정보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행하여 RS 배치 정보 심볼을 생성한다. 여기서, 기지국(100)은, RS 배치 정보를, BCH(Broadcast Channel)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이 커버하는 셀 내의 모든 LTE+ 단말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할당부(103)는, 복호부(118-1~118-N)로부터 입력되는 CQI 정보에 따라, 데이터 심볼 및 RS 배치 정보 심볼을, OFDM 심볼을 구성하는 각 서브캐리어에 할당하여 매핑부(104)에 출력한다.
매핑부(104)는, 할당부(103)로부터 입력되는 각 심볼을, 안테나(110-1~110-8)에 각각 매핑한다. 또한, 매핑부(104)는, 복호부(118-1~118-N)로부터 입력되는 PMI 정보에 근거하여, 각 안테나에서 이용하는 Precoding 벡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매핑부(104)는, 선택된 Precoding 벡터를, 각 안테나에 매핑된 심볼에 승산한다. 그리고, 매핑부(104)는, 각 안테나에 매핑된 심볼을 배치부(106)에 출력한다.
설정부(105)는, RS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안테나(110-5~110-8)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를 서브프레임마다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5)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 근거하여,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RB를 복수의 서브프레임마다 설정한다. 여기서, 설정부(105)가 이용하는 배치 패턴에서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가, 1프레임 내의 모든 RB에 배치되고,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가, 1프레임 내의 일부의 RB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부(105)는, 설정 결과를 배치부(106)에 출력한다.
배치부(106)는, 매핑부(104)로부터 입력되는 각 안테나에 매핑된 심볼에, 셀 고유 RS(R0~R7)를 각각 부가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치부(106)는, 안테나(110-1~110-4)에 매핑된 심볼에 있어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를 1프레임 내의 모든 RB에 배치한다. 한편, 배치부(106)는, 안테나(110-5~110-8)에 매핑된 심볼에 있어서, 설정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결과에 근거하여,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설정된 일부의 RB에 배치한다. 또한, 배치부(106)는, 설정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결과에 나타나는 RB 이외의 RB에 LTE+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 단말 고유 RS를 RB에 배치한다. 예컨대, 배치부(106)는, R4~R7을 단말 고유 RS로서 이용한다. 또, 배치부(106)는, 단말 고유의 웨이트를 곱한 R4~R7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배치부(106)는, RS 배치 후의 심볼열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7-1~107-8)에 출력한다.
IFFT부(107-1~107-8), CP(Cyclic Prefix) 부가부(108-1~108-8) 및 무선 송신부(109-1~109-8)는 안테나(110-1~110-8)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된다.
IFFT부(107-1~107-8)는, 심볼이 할당된 RB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하여 IFFT를 행하여, 멀티캐리어 신호인 OFDM 심볼을 생성한다. 그리고, IFFT부(107-1~107-8)는, 생성한 OFDM 심볼을 CP 부가부(108-1~108-8)에 각각 출력한다.
CP 부가부(108-1~108-8)는, OFDM 심볼의 후미 부분과 같은 신호를 CP로서 OFDM 심볼의 선두에 부가한다.
무선 송신부(109-1~109-8)는, CP 부가 후의 OFDM 심볼에 대하여 D/A 변환, 증폭 및 업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110-1~110-8)로부터 각 단말에 송신한다. 즉, 기지국(100)은 안테나(110-1~110-8)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한다.
한편, 무선 수신부(111)는, 최대 N개의 단말로부터 동시에 송신된 N개의 신호를 안테나(110-1~110-8)를 통해 수신하고, 이들 신호에 대하여 다운컨버트, A/D 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 제거부(112)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부(113)는, CP 제거 후의 신호에 대하여 FFT를 행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된 단말마다의 신호를 얻는다. 여기서, 단말마다의 신호에는 각각, 각 단말의 데이터 신호와, 각 단말의 CQI 정보 및 PMI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분리부(114)는, FFT부(113)로부터 입력되는 각 단말의 신호를, 각 단말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정보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부(114)는, 단말 1~N의 데이터 신호를 복조부(115-1~115-N)에 각각 출력하고, 단말 1~N의 제어 정보를 복조부(117-1~117-N)에 각각 출력한다.
기지국(100)은, 복조부(115-1~115-N), 복호부(116-1~116-N), 복조부(117-1~117-N) 및 복호부(118-1~118-N)를, 기지국(100)이 통신 가능한 단말의 수 N만큼 구비한다.
복조부(115-1~115-N)는, 분리부(1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116-1~116-N)는, 복조 후의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단말마다의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복조부(117-1~117-N)는, 분리부(114)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118-1~118-N)는, 복조 후의 제어 정보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복호부(118-1~118-N)는, 제어 정보 중 CQI 정보 및 PMI 정보를 부호화ㆍ변조부(101), 할당부(103) 및 매핑부(104)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단말(200)(LTE+ 단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단말(200)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202-1~202-8), CP 제거부(203-1~203-8), FFT부(204-1~204-8) 및 추출부(205-1~205-8)는, 안테나(201-1~201-8)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된다.
무선 수신부(202-1~202-8)는, 기지국(100)(도 4)으로부터 송신된 OFDM 심볼을 안테나(201-1~201-8)를 통해 수신하고, 이들 OFDM 심볼에 대하여 다운컨버트, A/D 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 제거부(203-1~203-8)는, 수신 처리 후의 OFDM 심볼로부터 CP를 제거한다.
FFT부(204-1~204-8)는, CP 제거 후의 OFDM 심볼에 대하여 FFT를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얻는다.
추출부(205-1~205-8)는, 복호부(211)로부터 입력되는 RS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FFT부(204-1~204-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셀 고유 RS(R0~R7) 및 단말 고유 RS(예컨대, 단말 고유의 웨이트를 곱한 R4~R7)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부(205-1~205-8)는, 셀 고유 RS를 채널 추정부(206) 및 측정부(212)에 출력하고, 단말 고유 RS를 채널 추정부(206)에 출력한다. 또한, 추출부(205-1~205-8)는, FFT부(204-1~204-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공간 수신 처리부(207)에 출력한다. 또, 단말(200)은, RS 배치 정보가 포함되는 BCH 신호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RS 배치 정보를 취득하더라도 좋다.
채널 추정부(206)는, 추출부(205-1~205-8)로부터 입력되는 셀 고유 RS 및 단말 고유 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여, 채널 추정 결과를 공간 수신 처리부(207)에 출력한다.
공간 수신 처리부(207)는, 채널 추정부(206)로부터 입력되는 채널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추출부(205-1~205-8)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 다시 말해, 안테나(201-1~201-8)로 각각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공간 분리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공간 수신 처리부(207)는, 분리된 데이터 스트림 중, 데이터 신호를 복조부(208)에 출력하고, RS 배치 정보를 복조부(210)에 출력한다.
복조부(208)는, 공간 수신 처리부(207)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209)는, 복조 후의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복조부(210)는, 공간 수신 처리부(207)로부터 입력되는 RS 배치 정보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호부(211)는, 복조 후의 RS 배치 정보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복호부(211)는, 복호 후의 RS 배치 정보를 추출부(205-1~205-8)에 출력한다.
한편, 측정부(212)는, 추출부(205-1~205-8)로부터 입력되는 셀 고유 RS(R0~R7)를 이용하여, 안테나(201-1~201-8)마다의 CQI의 측정 및,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PMI의 추정을 행한다. 그리고, 측정부(212)는, 측정한 CQI를 나타내는 CQI 정보 및 추정한 PMI를 나타내는 PMI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부호화부(215)에 출력한다.
부호화부(213)는,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214)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그리고, 변조부(214)는, 생성한 데이터 심볼을 다중부(217)에 출력한다.
부호화부(215)는, 측정부(212)로부터 입력되는 CQI 정보 및 PMI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변조부(216)는, 부호화 후의 제어 정보에 대하여 변조 처리를 행하여 제어 정보 심볼을 생성한다. 그리고, 변조부(216)는, 생성한 제어 정보 심볼을 다중부(217)에 출력한다.
다중부(217)는, 변조부(2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 및 변조부(216)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심볼을 다중하여, 다중 후의 신호를 IFFT부(218)에 출력한다.
IFFT부(218)는, 다중부(21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할당된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하여 IFFT를 행하여, IFFT 후의 신호를 CP 부가부(219)에 출력한다.
CP 부가부(219)는, IFFT부(2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후미 부분과 같은 신호를 CP로서 신호의 선두에 부가한다.
무선 송신부(220)는, CP 부가 후의 신호에 대하여 D/A 변환, 증폭 및 업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201-1)로부터 기지국(100)(도 4)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컨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이 5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0~4)으로 구성된다. 또한, 1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RB0~RB3의 4개의 RB에 균등하게 분할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RB는 6서브캐리어×1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 내의 미리 설정된 RE에 배치된다. 또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B 내의 미리 설정된 RE에 배치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R0~R3의 4개의 RS가 배치되는 RB(도 6)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RS로 나타내고, R0~R7의 8개의 RS가 배치되는 RB(도 7)를 8RS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 8에 있어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는, 1프레임 내의 모든 RB에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RS(R4~R7)는 8RS로 표시되는 RB에만 배치된다.
<배치 방법 1(도 8)>
본 배치 방법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1프레임 내의 일부의 RB에만 배치한다.
여기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1프레임 내의 일부의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만 고정적으로 배치하면, 기지국(100)은,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의 데이터 신호를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밖에 할당할 수 없게 된다. 예컨대, 1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서브프레임 4에 있어서, RB0~RB3 중, RB0 및 RB1에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가 고정적으로 배치되면, 기지국(100)은,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RB2 및 RB3에밖에 할당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1프레임 내의 일부의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만 고정적으로 배치하면, LTE 단말의 할당 가능한 RB가 한정되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가 열화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배치 방법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인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RB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RB0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4~R7이 RB1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R4~R7이 RB2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3에서는, R4~R7이 RB3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4에서는, R4~R7이 RB0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의 설정부(105)(도 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로서, 서브프레임 0에서는 RB0을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B1을 설정한다. 서브프레임 2~4에 대해서도 같다.
배치부(10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서브프레임 0의 RB0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하고, 서브프레임 1의 RB1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한다. 서브프레임 2~4에 대해서도 같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 내의 20개의 RB(「서브프레임 0~4의 5서브프레임」×「RB0~3의 4RB」) 중, 5RB에만 R4~R7이 배치된다. 즉, R4~R7이 배치되는 일부의 RB(도 8에 나타내는 8RS) 이외의 15RB(도 8에 나타내는 4RS)에서는, LTE 단말이 수신 가능한 R0~R3만이 송신된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R4~R7이 배치되는 일부의 RB(도 8에 나타내는 8RS) 이외의 RB(도 8에 나타내는 4RS)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은, R4~R7이 배치되어 있는 RE를 잘못하여 데이터 심볼로서 수신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류율 특성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4~R7이 배치되는 RB(도 8에 나타내는 8RS)는, 인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의 RB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4~R7은, 서브프레임 0에서는, RB0에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서브프레임 0에 인접하는 서브프레임 1에서는, RB0과 주파수 영역이 다른 RB1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R4~R7은, 서브프레임 1에 인접하는 서브프레임 2에서는, RB1과 주파수 영역이 다른 RB2에 배치된다. 서브프레임 3, 4에 대해서도 같다. 즉, R4~R7은, 서브프레임마다 1RB씩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시킨 RB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단말(200)(LTE+ 단말)은, 1서브프레임의 어느 1RB에서 8개의 셀 고유 RS(R0~R7)를 이용하여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연속하는 4서브프레임에서, 모든 RB0~3에 있어서의 CQI 및 PMI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LTE+ 단말)은, 얻어진 CQI 및 PMI를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피드백된 CQI에 근거하는 적응 MCS 제어를 행하고, 또한, 피드백된 PMI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MIMO 송신한다. 또, 단말(200)(LTE+ 단말)은, 각 서브프레임에서 얻어진 CQI 및 PMI를, 서브프레임마다 기지국에 피드백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 단말(200)(LTE+ 단말)에서는, 1서브프레임당 피드백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RB마다에 보다 새로운 CQI 및 PMI, 다시 말해, 정밀도가 좋은 CQI 및 PMI를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LTE+ 단말)은, RB0~RB3의 모든 CQI 및 PMI를 얻고 나서, CQI 및 PMI를 한 번에 기지국에 피드백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기지국(100)의 8개의 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전송(MIMO 송신)은 셀 반경이 작은 마이크로셀로 행해지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기지국(100)의 8개의 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전송은, 저속 이동의 LTE+ 단말만을 지원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RB에서의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하기 위해 4서브프레임의 긴 시간 간격을 요하는 경우에도, 4서브프레임에 걸친 채널 품질의 변동이 완만하기 때문에, CQI 측정 및 PMI 추정의 정밀도의 열화는 작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은, 단말(200)(LTE+ 단말)로부터의 충분한 정밀도의 CQI 및 PMI를 이용하여 적응 MCS 제어 및 MIMO 송신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R4~R7이 배치되지 않는 RB(도 8에 나타내는 4RS)에 단말(200)(LTE+ 단말)의 데이터를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100)은, 데이터 복조용의 단말 고유 RS(단말 고유의 웨이트를 곱한 R4~R7)를, 데이터를 할당한 RB에 배치하여 송신한다. 즉, 기지국(100)은, 단말 고유 RS를 이용함으로써, R4~R7이 배치된 RB(도 8에 나타내는 8RS)만이 아니고, 어느 RB0~3에서도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에서는, LTE+ 단말을 할당할 때의 스케줄러의 제약이 없어지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단말 고유 RS가 송신되는 RB는 기지국(100)이 어떤 RB에 LTE+ 단말을 할당하는지에 따라 변하고, 각 LTE+ 단말에서는 자단말에 할당된 RB에밖에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각 LTE+ 단말은, 자단말에 할당된 RB의 단말 개별 RS밖에 존재를 모른다. 다시 말해, 다른 LTE+ 단말은, 단말 고유 RS를 이용하여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배치 방법에서는,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하나의 RB에 셀 고유 RS가 송신되기 때문에, 다른 LTE+ 단말은 단말 고유 RS를 모르더라도,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1프레임 내의 복수의 RB 중, 일부의 RB에만 배치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 이외의 RB에서는,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LTE 단말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데이터 신호로서 잘못하여 수신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류율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배치 방법에서는,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지 않는 RB에서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 고유 RS를 RB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은, 모든 RB에서,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배치 방법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인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의 RB에 배치하고, 또한, 서브프레임마다 1RB만큼 시프트한 RB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은, 자장치의 데이터 신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RB에서도,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셀 고유 RS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LTE+ 단말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셀 고유 RS의 시프트량은 1RB가 아니더라도 좋다.
또, 본 배치 방법은, 셀마다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이 다른 RS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인접하는 2개의 기지국 중, 한쪽의 기지국이 도 8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다른 쪽의 기지국은 도 9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도 8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 1, 2, 3, 4의 차례로 RB0, 1, 2, 3, 0에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 1, 2, 3, 4의 차례로 RB0, 2, 1, 3, 0에 배치된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서는, R4~R7이, 1프레임 내에서, 서브프레임마다 복수 RB(여기서는, 2RB)씩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한 일부의 RB에 배치된다. 또는, 인접하는 2개의 기지국 중, 한쪽의 기지국이 도 8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다른 쪽의 기지국은 도 10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도 10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 1, 2, 3, 4의 차례로 RB1, 2, 3, 0, 1에 배치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의 RB0으로부터 1RB씩 시프트시킨 RB에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의 RB1로부터 1RB씩 시프트시킨 RB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셀에 있어서, 동일 시간 영역 및 동일 주파수 영역에 R4~R7이 배치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 고유 RS는 셀 내의 모든 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송신되기 때문에, 데이터 심볼보다 큰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 다시 말해, 셀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에서는, 자장치가 속하는 셀로부터의 셀 고유 RS만이 아니고, 인접셀로부터의 셀 고유 RS도 수신하기 때문에, 셀 고유 RS의 셀간 간섭이 커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셀마다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이 다른 배치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셀 고유 RS의 셀간 간섭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말에서의 CQI 측정 및 PMI 추정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4서브프레임으로 1프레임을 구성하고, 1프레임이, R4~R7을 모든 RB에 배치하는 배치 패턴의 1주기가 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핸드오버 등으로 인접셀로부터 이동해 온 LTE+ 단말은, 프레임 번호를 모르더라도 셀 고유 RS(R4~R7)를 수신할 수 있다.
<배치 방법 2(도 11)>
배치 방법 1에서는,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1RB에 배치한 것에 비하여, 본 배치 방법에서는,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복수의 RB에 배치한다.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저속인 경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품질의 변동은 완만하게 된다. 한편, 단말의 이동 속도가 보다 고속인 경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품질의 변동은 심해진다. 다시 말해, 단말의 이동 속도가 보다 고속인 경우에는, 서브프레임마다의 채널 품질의 변동이 심해진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 속도가 보다 고속인 경우, 긴 시간 간격만큼 앞의 서브프레임에서 얻은 RS를 이용하면, 현시점의 채널 품질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CQI 측정 및 PMI 추정의 정밀도가 열화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배치 방법에서는,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복수의 RB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RB0 및 RB1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4~R7이 RB2 및 RB3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R4~R7이 RB0 및 RB1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3에서는, R4~R7이 RB2 및 RB3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4에서는, R4~R7이 RB0 및 RB1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의 설정부(105)(도 4)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로서, 서브프레임 0에서는 RB0 및 RB1의 2RB를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B2 및 RB3의 2RB를 설정한다. 서브프레임 2~4에 대해서도 같다.
또한, 배치부(10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서브프레임 0의 RB0 내의 대응하는 각 RE 및 RB1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하고, 서브프레임 1의 RB2 내의 대응하는 각 RE 및 RB3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한다. 서브프레임 2~4에 대해서도 같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 내의 20개의 RB 중, 10RB에 R4~R7이 배치된다. 즉, R4~R7이 배치되는 일부의 RB(도 11에 나타내는 8RS) 이외의 10RB(도 11에 나타내는 4RS)에서는, LTE 단말이 수신 가능한 R0~R3만이 송신된다. 따라서, LTE 단말은, 배치 방법 1(도 8)과 같이 하여, 오류율 특성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배치 방법 1(도 8)에서는, 단말(200)(LTE+ 단말)은 4서브프레임으로 모든 RB의 셀 고유 RS(R0~R7)를 수신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도 11에서는, 단말(200)(LTE+ 단말)은 2서브프레임으로 모든 RB의 셀 고유 RS(R0~R7)를 수신할 수 있다. 환언하면, 배치 방법 1(도 8)에서는, 단말(200)(LTE+ 단말)은, 동일 RB에서, 4서브프레임마다 R4~R7을 수신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도 11에서는, 단말(200)(LTE+ 단말)은, 동일 RB에서, 2서브프레임마다 R4~R7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200)(LTE+ 단말)은, 배치 방법 1과 비교하여, 보다 짧은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새로운 R4~R7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배치 방법에서는, 배치 방법 1보다 짧은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모든 RB에서의 채널 품질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200)(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수신한 시각이 보다 새로운 서브프레임의 셀 고유 RS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품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200)은, CQI 측정 및 PMI 추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 대신에, 도 12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즉,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한 복수의 RB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RB0, 및, RB0과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한 RB2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4~R7이 RB1, 및, RB1과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한 RB3에 배치된다. 서브프레임 2~4에 대해서도 같다.
이와 같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한 복수의 RB에 배치하는 것으로, 기지국(100)으로서는,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할당할 수 있는 RB(도 12에 나타내는 4RS)도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이 된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성이 완만한 경우에도, 기지국(100)은, LTE 단말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된 RB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이 LTE 단말을 수신 품질이 나쁜 RB에 연속하여 할당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서는, 배치 방법 1(도 8)과 비교하여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수가 감소한다. 그러나, LTE 단말을 배치할 수 있는 RB는 서브프레임마다 변하기 때문에, 기지국(100)은, 연속하는 2서브프레임의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채널 품질이 좋은 RB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LTE 단말을 배치할 수 있는 RB수의 감소에 의한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의 열화는 작다.
이와 같이,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복수의 일부의 RB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배치 방법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이동 속도가 빠른 LTE+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은, 보다 새로운 서브프레임으로 수신한 RS, 다시 말해, 현시점에서의 채널 품질이 반영된 RS를 이용하여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서는, 기지국(100)은, 셀 내의 전파로의 상황(주파수 선택성)에 따라 도 11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과 도 12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을 전환하더라도 좋다. 즉, 기지국(100)의 설정부(105)는, 셀 내의 전파로의 상태에 따라, R4~R7이 배치되는, 동일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RB의 주파수 간격을 전환하더라도 좋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은, 전파로의 상황에 적합한 스케줄링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배치 방법 3(도 13)>
본 배치 방법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의 일부의 RB에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저속인 경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품질의 변동은 완만해진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저속인 경우, 긴 시간 간격만큼 앞의 서브프레임에서 얻은 RS를 이용하여 얻어진 채널 품질을 현시점의 채널 품질로서 사용하더라도 CQI 측정 및 PMI 추정의 정밀도는 열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배치 방법 1(도 8)과 같이, 서브프레임마다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RB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그래서, 본 배치 방법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의 일부의 RB에 배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을 2서브프레임으로 한다. 또한, 배치 방법 2(도 12)와 같이 하여,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한 복수의 RB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RB0 및 RB2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0으로부터 2서브프레임 간격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R4~R7이 RB1 및 RB3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2로부터 2서브프레임 간격의 서브프레임 4에서는, R4~R7이 RB0 및 RB2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의 설정부(105)(도 4)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로서, 서브프레임 0에서는 RB0 및 RB2의 2RB를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RB1 및 RB3의 2RB를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4에서는 RB0 및 RB2의 2RB를 설정한다. 한편, 설정부(105)는,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3에서는 R4~R7을 배치하는 RB를 설정하지 않는다.
또한, 배치부(10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서브프레임 0의 RB0 내의 대응하는 각 RE 및 RB2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하고, 서브프레임 2의 RB1 내의 대응하는 각 RE 및 RB3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하고, 서브프레임 4의 RB0 내의 대응하는 각 RE 및 RB2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프레임 내의 20개의 RB 중, 6 RB에만 R4~R7이 배치된다. 즉, R4~R7이 배치되는 일부의 RB(도 13에 나타내는 8RS) 이외의 14RB(도 13에 나타내는 4RS)에서는, LTE 단말이 수신 가능한 R0~R3만이 송신된다. 따라서, LTE 단말은, 배치 방법 1(도 8)과 같이 하여, 오류율 특성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단말(200)(LTE+ 단말)은 4서브프레임으로 모든 RB의 셀 고유 RS(R0~R7)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배치 방법 1(도 8)과 같이, 단말(200)(LTE+ 단말)은, 4서브프레임마다, 각 RB에서의 CQI 및 PMI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의 일부의 RB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LTE+ 단말에서의 CQI 측정 및 PMI 추정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1프레임 내의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수를 저감할 수 있고, LTE 단말로의 데이터 신호를 할당하는 RB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배치 방법에 의하면,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에 할당하는 RB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배치 방법 1과 같이,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배치 방법에서는,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을 2서브프레임으로 했지만,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은 2서브프레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지국(100)은,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을 LTE+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설정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낮을수록, 채널 품질의 변동이 완만하기 때문에, 소정의 서브프레임 간격을 보다 길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소정의 서브프레임의 간격은 단말마다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되더라도 좋고, 셀마다 통지하더라도 좋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배치 방법 1~3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기지국은,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이 없어지고, 또한,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파수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5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4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5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의 배치 방법 1~3을 셀 환경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 방법 1이 배치 방법 2보다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가 배치되는 RB수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으로, 배치 방법 2가 배치 방법 1보다 짧은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기지국이 모든 RB에서의 셀 고유 RS(R4~R7)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치 방법 1이 배치 방법 2보다 LTE 단말을 할당하는 1프레임 내의 RB수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한편으로, 배치 방법 2가 배치 방법 1보다 LTE+ 단말이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 품질을 갱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치 방법 3이 배치 방법 2보다 LTE 단말을 할당하는 1프레임 내의 RB수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한편으로, 배치 방법 2가 배치 방법 3보다 LTE+ 단말이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 품질을 갱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 및 배치 방법 2에서는,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1프레임 내의 RB수와, LTE+ 단말이 모든 RB의 채널 품질을 갱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간격 사이의 관계가 트레이트오프의 관계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설정부(105)(도 4)는, 실시의 형태 1의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 및 배치 방법 2를 셀 환경에 따라 전환하여,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의 설정부(105)에 있어서의 전환 방법 1,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 방법 1>
본 전환 방법에서는, 셀 내의 LTE 단말의 수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도 4)은, 단말 고유 RS인 R4~R7을 배치하는 것으로, 셀 고유 RS(R4~R7)가 배치된 RB 이외의 RB에서도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기지국(100)은, 셀 고유 RS(R4~R7)가 배치된 RB 이외의 RB에밖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수가 많을수록, LTE 단말이 할당 가능한 RB, 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 이외의 RB를 보다 많이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수가 많을수록,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를 보다 적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수가 적을수록,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200)(도 5)은, 보다 많은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LTE+ 단말의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가 향상된다.
그래서, 설정부(105)는, LTE 단말의 수가 많은 경우,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을 이용하여 R4~R7을 배치하는 RB를 설정하고, LTE 단말의 수가 적은 경우, 배치 방법 2를 이용하여 R4~R7을 배치하는 RB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5)는, LTE 단말의 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즉, 설정부(105)는, LTE 단말의 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로 전환하고, LTE 단말의 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배치 방법 2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 설정부(105)는, 셀 내의 LTE 단말의 수에 따라,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수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을 이용함으로써,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일부의 RB에 배치하면서,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배치 방법 2를 이용함으로써,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확보하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전환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은, 셀 내의 LTE 단말이 많은 경우,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우선하여 얻어지는 배치 방법으로 전환한다. 한편으로, 기지국은, 셀 내의 LTE 단말이 적은 경우, LTE+ 단말이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셀 고유 RS를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으로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우선하여 얻어지는 배치 방법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셀 내의 LTE 단말의 수와 관계없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를 확보하면서, LTE+ 단말에서의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환 방법 2>
본 전환 방법에서는, 셀 내의 LTE+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채널 품질의 변동이 심해지기 때문에, 단말(200)은, 정밀도를 열화시키지 않고서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짧은 시간 간격, 다시 말해, 보다 짧은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각 RB의 채널 품질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한편,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채널 품질의 변동이 완만해지기 때문에, 단말(200)은, 긴 시간 간격, 다시 말해, 긴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각 RB의 채널 품질을 갱신하더라도 정밀도를 열화시키지 않고서 CQI 측정 및 PMI 추정을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설정부(105)는,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을 이용하여 R4~R7을 배치하는 RB를 설정하고,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 배치 방법 2를 이용하여 R4~R7을 배치하는 RB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5)는, LTE+ 단말의 이동 속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즉, 설정부(105)는, 이동 속도가 임계값 이하인 LTE+ 단말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로 전환하고, 이동 속도가 임계값보다 큰 LTE+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배치 방법 2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 설정부(105)는, LTE+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라,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을 이용함으로써,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RB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배치 방법 2를 이용함으로써,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확보하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전환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은, 셀 내의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우선하여 얻어지는 배치 방법으로 전환한다. 한편으로, 기지국은, 셀 내의 LTE+ 단말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 LTE+ 단말이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셀 고유 RS를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으로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우선하여 얻어지는 배치 방법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셀 내의 LTE+ 단말의 이동 속도와 관계없이, 전환 방법 1과 같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를 확보하면서, LTE+ 단말에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의 설정부(105)에 있어서의 전환 방법 1, 2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셀 환경에 따라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을 전환한다. 이 때문에, 셀 환경에 따라,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있는 RB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LTE+ 단말에서의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100)(도 4)은, 배치 방법 1(배치 방법 3)의 배치 패턴 및 배치 방법 2의 배치 패턴을 전환할 때, 배치 패턴을 전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BCH 신호를 이용하여 모든 단말(200)(LTE+ 단말)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단,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배치 패턴 1~3은 공유되고 있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은, 배치 패턴을 전환할 때마다 배치 패턴을 단말(200)에 통지하지 않고, 셀 환경에 따라 배치 패턴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배치 패턴을 전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LTE+ 단말에 개별적으로 통지하더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3GPP-LTE에서는, RB에 LTE 단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이하의 3개의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첫 번째의 할당 방법(이하, type0 할당이라고 한다)은, 시스템 대역 내의 복수의 RB가 복수의 RB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있고, 기지국이, LTE 단말을 RB 그룹 단위로 할당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RB 그룹을 구성하는 RB수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다르다. type0 할당은, RB 할당의 자유도가 높고, 주파수 스케줄링에 의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적합하고, 높은 처리량을 얻을 수 있다.
두 번째의 할당 방법(이하, type1 할당이라고 한다)은, 시스템 대역 내의 RB 그룹의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일부의 RB 그룹 내에서, 기지국이 RB 단위로 단말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type1 할당에서는, 단말에 대하여 동시에 할당되는 RB의 조합이 한정되지만, RB 단위로 단말을 할당하기 때문에 RB 할당의 입도(粒度)가 잘게 되기 때문에, 송신 데이터량이 적은 단말에 대한 RB 할당에 적합하다.
세 번째의 할당 방법(이하, type2 할당이라고 한다)은, 기지국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하는 RB에 단말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type2 할당에서는, 기지국은, 단말이 할당된 RB의 개시점 및 종료점만을 단말에 통지하면 되기 때문에, RB의 할당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정보량이 적어진다. 또한, type2 할당에서는, type1 할당과 같이, 단말에 대하여 동시에 할당되는 RB의 조합이 한정되지만, RB 단위로 단말을 할당하기 때문에 RB 할당의 입도가 잘게 되기 때문에, 송신 데이터량이 적은 단말에 대한 RB 할당에 적합하다.
여기서, 기지국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가 배치되는 RB에는,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그 때문에, RB 그룹 단위로의 RB 할당을 행하는 type0 할당에서는, RB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RB 중 어느 하나에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가 포함되는 경우, 기지국은, 그 RB 그룹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다시 말해, type0 할당에서는, LTE 단말에 할당 가능한 RB 그룹이 제한되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이 커져버릴 수 있다.
예컨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서브프레임마다 1RB씩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시킨 RB에 배치되는 경우의 RS의 배치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1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RB0~RB7의 8개의 RB에 균등하게 분할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하나의 RB 그룹은 2개의 RB로 구성된다(즉, RB 그룹 사이즈 : 2RB).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0 및 RB1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고, RB2 및 RB3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고, RB4 및 RB5가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고, RB6 및 RB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0~R3의 4개의 RS가 배치되는 RB(도 6)를 4RS로 나타내고, R0~R7의 8개의 RS가 배치되는 RB(도 7)를 8RS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0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RB0 및 RB6의 2개의 RB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기지국은, RB0을 포함하는 RB 그룹(도 14에 나타내는 RB0 및 RB1로 구성되는 RB 그룹), 및, RB6을 포함하는 RB 그룹(도 14에 나타내는 RB6 및 RB7로 구성되는 RB 그룹)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0의 RB0~RB7의 8개의 RB 중,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가 2개(RB0 및 RB6)인 것에 비하여,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는 4개(RB0, RB1, RB6 및 RB7)가 된다.
이와 같이, type0 할당에서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인 것에 관계없이, LTE 단말이 할당되지 않는 RB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type0 할당은, 주파수 스케줄링에 의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RB 할당 방법이기 때문에,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은, LTE 단말의 처리량의 열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한다. 특히, RB 그룹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LTE 단말의 처리량의 열화는 보다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1프레임 내의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일부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RB에 배치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4와 같이, 1RB 그룹이 2개의 RB로 구성된다(RB 그룹 사이즈 : 2).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1프레임 내의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일부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RB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RB0 및 RB1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4~R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RB2 및 RB3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R4~R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RB4 및 RB5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3에서는, R4~R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RB6 및 RB7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의 설정부(105)(도 4)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 그룹으로서, 서브프레임 0에서는 RB0 및 RB1로 구성되는 RB 그룹을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B2 및 RB3을 구성하는 RB 그룹을 설정한다. 서브프레임 2 및 서브프레임 3에 대해서도 같다. 즉, 설정부(105)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를, RB 그룹 단위로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의 배치부(106)(도 4)는, 설정부(105)에서 설정된 RB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RB에 R4~R7을 배치한다. 다시 말해, 배치부(10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서브프레임 0의 RB0(및 RB1)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하고, 서브프레임 1의 RB2(및 RB3)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한다. 서브프레임 2 및 서브프레임 3에 대해서도 같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type0 할당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 그룹(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를 포함하는 RB 그룹)의 수는 하나가 된다. 즉,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수가 2개인 것에 대하여, type0 할당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수도 2개가 된다.
이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RB 그룹 단위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수와, type0 할당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수가 동일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에서는,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단말을 RB 그룹 단위로 할당하는 경우에도,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RB 그룹 단위에서의 RB 할당을 행하는 type0 할당은, 고속 전송을 행하는 LTE 단말의 처리량을 가장 향상시킬 수 있는 RB 할당 방법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이 완화되기 때문에, 고속 전송을 행하는 LTE 단말을 수용하는 셀에서는, LTE 단말이 할당되는 RB수가 감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을 RB 그룹 단위로 할당하는 경우 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은, 단말을 RB 그룹의 정수배의 단위로 할당하는 경우라도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4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8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3에서 설명한 RB 할당(type0 할당, type1 할당 및 type2 할당) 이외의 다른 RB 할당 방법으로서, Distributed RB 할당(주파수 홉핑)이 있다. Distributed RB 할당에서는, 기지국은, 하나의 단말을, 복수의 다른 RB에 분산하여 할당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서로 다른 2개의 RB에 분산되어 할당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말해, 예컨대, 1서브프레임 내에서 각 RB가 시간 영역의 전반 부분과 후반 부분으로 시간 분할되고, 기지국은, 하나의 단말을, 다른 2개의 RB 중 한쪽의 RB의 전반 부분 및 다른 쪽의 RB의 후반 부분에 분산하여 할당한다. 또한,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 다른 2개의 RB의 주파수 간격(RB 간격, 홉핑 간격 또는 Gap)은, 시스템 대역폭에 근거하여 미리 결정된다. 품질이 좋은 RB를 서브프레임마다 할당하는 주파수 스케줄링과 비교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Distributed RB 할당은, 예컨대, 한번 할당한 RB를 계속하여 사용하는 음성 패킷 전송용 Semi-persistent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 SPS)에 적합하다.
여기서, Distributed RB 할당에서는, 기지국이 하나의 LTE 단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LTE 단말을 할당하는 2개의 RB는, 쌍방모두 LTE 단말에 할당 가능한 RB, 다시 말해,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일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Distributed RB 할당에서는, Distributed RB 할당으로 미리 결정된 RB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2개의 RB 중 어느 하나에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가 포함되는 경우, 기지국은, 그 2개의 RB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다시 말해, Distributed RB 할당에서는, LTE 단말에 할당 가능한 RB가 제한되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이 커져버릴 수 있다.
예컨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서브프레임마다 1RB씩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시킨 RB에 배치되는 경우의 RS의 배치예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을 16RB(RB0~RB15)로 하고,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2개의 RB의 RB 간격(홉핑 간격)을 8RB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0~R3의 4개의 RS가 배치되는 RB(도 6)를 4RS로 나타내고, R0~R7의 8개의 RS가 배치되는 RB(도 7)를 8RS로 나타낸다. 또한, 예컨대, 도 16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2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RB2, RB8 및 RB14의 3개의 RB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16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2에 있어서, RB10을 이용하여 단말에 대한 Distributed RB 할당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단말에는, RB10의 전반 부분 또는 후반 부분, 및, RB10으로부터 홉핑 간격 8RB만큼 떨어진 RB2의 후반 부분 또는 전반 부분이 할당된다. 그러나, RB2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이기 때문에, 기지국은, RB2 및 RB10에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하여, 기지국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8 및 RB14에 더하여, RB8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0, 및, RB14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6에도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2의 RB0~RB15의 16개의 RB 중,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가 3개(RB2, RB8 및 RB14)인 것에 비하여,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는 6개(도 16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둘러싼 RB)가 된다.
이와 같이, Distributed RB 할당에서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인 것에 관계없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 Distributed RB 할당에서는,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이 커져, LTE 단말의 처리량 또는 음성 단말 수용수가 열화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홉핑 간격)만큼 떨어진 복수의 RB에 배치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6과 같이, 시스템 대역폭을 16RB(RB0~RB15)로 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을 8RB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8RB)만큼 떨어진 2개의 RB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RB0, 및, RB0으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8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1에서는, R4~R7이, RB1, 및, RB1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9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R4~R7이, RB2, 및, RB2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10에 배치되고, 서브프레임 3에서는, R4~R7이, RB3, 및, RB3으로부터 8RB만 떨어진 RB11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의 설정부(105)(도 4)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배치하는 RB로서, 서브프레임 0에서는 RB0 및 RB8을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1에서는 RB1 및 RB9를 설정한다. 서브프레임 2 및 서브프레임 3에 대해서도 같다. 즉, 설정부(105)는,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2개의 RB를,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홉핑 간격)과 동일한 RB만큼 떨어진 RB에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의 배치부(106)(도 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서브프레임 0의 RB0(및 RB8)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하고, 서브프레임 1의 RB1(및 RB9) 내의 대응하는 각 RE에 R4~R7을 각각 배치한다. 서브프레임 2 및 서브프레임 3에 대해서도 같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Distributed RB 할당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 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와의 주파수 간격이 8RB 인 RB)의 수는 2개가 된다. 즉,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수가 2개인 것에 대하여, Distributed RB 할당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의 수도 2개가 된다.
이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만큼 떨어진 복수의 RB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수와, Distributed RB 할당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수가 동일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100)에서는, LTE 단말을 할당할 수 없는 RB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Distributed RB 할당에 의해 단말을 RB에 할당하는 경우에도,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Distributed RB 할당은, 주로 음성 패킷 송신시에 이용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이 완화되기 때문에, 음성 통화를 행하는 LTE 단말을 수용하는 셀로서는, LTE 단말이 할당되는 수, 즉, 음성 단말 수용수가 감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만큼 떨어진 복수의 RB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의 1/N(단, N은 양의 정수)만큼 떨어진 복수의 RB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3GPP-LTE에서는,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홉핑 간격)은, RB 그룹을 구성하는 RB수의 정수배가 된다. 따라서, 기지국(100)이, 단말에 대하여, RB 그룹 단위로 Distributed RB 할당을 행하는 경우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RB 그룹 단위로 배치되고, 또한,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홉핑 간격)만큼 떨어진 RB 그룹에 배치되면 된다.
즉, 기지국(100)은, 1프레임 내의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홉핑 간격)만큼 떨어진 복수의 RB 그룹을 각각 구성하는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면 된다.
여기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하여, 서브프레임마다 1RB 그룹씩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시킨 RB에 RB 그룹 단위로 배치되는 경우의 RS의 배치예를 도 18에 나타낸다. 또, 하나의 RB 그룹은, 2개의 RB로 구성된다(다시 말해, RB 그룹 사이즈 : 2RB). 또한,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홉핑 간격)을 8RB로 한다. 즉, Distributed RB 할당에 있어서의 RB 간격(8RB)은, RB 그룹 사이즈(2RB)의 4배(정수배)가 된다.
따라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에서는, R4~R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RB0 및 RB1, 및, 그 RB 그룹(RB0 및 RB1)으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 그룹을 구성하는 RB8 및 RB9에 각각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1에서는, R4~R7이, 하나의 RB 그룹을 구성하는 RB2 및 RB3, 및, 그 RB 그룹(RB2 및 RB3)으로부터 8RB만큼 떨어진 RB 그룹을 구성하는 RB10 및 RB11에 각각 배치된다. 서브프레임 2 및 서브프레임 3에 대해서도 같다.
이에 의해,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단말을 RB 그룹 단위로 할당하는 것에 의한,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Distributed RB 할당에 의해 단말을 RB에 할당하는 것에 의한, LTE 단말을 할당하는 RB에 대한 스케줄링의 제약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및 본 실시의 형태의 조합은, LTE-advanced의 시스템에 적합하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RS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RB 그룹 단위의 RB 할당(type0 할당)을 이용하여 고속 전송을 행하는 LTE 단말을 수용하는 셀과, Distributed RB 할당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LTE 단말을 수용하는 셀에서 공통의 포맷을 이용하여 셀 고유 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4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16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1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5)
이동체 통신에서는, 하향 회선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전송되는 패킷(하향 회선 데이터)에 대하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가 적용되고, 패킷(하향 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상행 회선으로 기지국에 피드백된다. 단말은 패킷(하향 회선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ACK(Acknowledgment) 신호를, 오류가 있으면 NACK(Negative Acknowledgment) 신호를 응답 신호로서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NACK 신호가 피드백되면, 패킷(하향 회선 데이터)의 재송, 다시 말해, HARQ 재송을 행한다.
또한, 단말로부터 NACK 신호가 피드백된 경우, 기지국이 NACK 신호의 수신 후,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초회 송신시와 동일한 RB를 이용하여 패킷(재송 패킷)을 재송하는 synchronous/non-adaptive 재송이 있다. synchronous/non-adaptive 재송에서는, 패킷의 재송을 통지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재송 패킷에 대한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LTE 단말로의 초회 송신시의 패킷에 대하여,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가 할당된 것에 관계없이, 초회 송신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재송시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LTE 단말에 대하여 재송 패킷을 재송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RB(또는 RB 그룹)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HARQ에서의 재송 간격(즉,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과 동일한 시간 간격(즉,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100)의 설정부(105)에서 설정되는 셀 고유 RS의 배치 패턴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또한, HARQ(synchronous/non-adaptive 재송)에 있어서의 재송 간격을 4서브프레임으로 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가, 동일 서브프레임의 4개의 RB(또는, 2개의 RB 그룹)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0, RB1, RB8 및 RB9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0으로부터 4서브프레임(HARQ에서의 재송 간격)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4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2, RB3, RB10 및 RB11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1로부터 4서브프레임(HARQ 재송에 있어서의 재송 간격)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5에 배치된다. RB4~RB7 및 RB12~RB15에 대해서도 같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RB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HARQ에서의 재송 간격(즉, 재송 주기)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RB에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HARQ에서의 재송 간격만큼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경우는 없다. 다시 말해, 각 RB에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HARQ에서의 재송 간격만큼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에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확실히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기지국(100)은, 도 19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0의 RB2 및 RB3을 이용하여 LTE 단말에 패킷을 초회 송신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LTE 단말로부터 NACK 신호가 피드백된 경우에도, 기지국(100)은, 초회 송신시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서브프레임(HARQ에서의 재송 간격)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4에 있어서, LTE 단말에 재송 패킷을 확실히 재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HARQ에서의 재송 간격(재송 주기)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에 의해, 셀 고유 RS의 배치가 LTE 단말의 synchronous/non-adaptive 재송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HARQ에서의 재송 간격은 HARQ 프로세스수와 같다. 다시 말해, 예컨대, HARQ의 재송 간격이 8서브프레임인 경우에는, 단말당 8개의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시간 간격(즉,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송신 주기)을 HARQ 프로세스수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패킷의 1회째의 재송시에 대해서만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회째 이상의 재송 횟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각 재송 타이밍에 있어서 재송에 이용하는 RB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송신되는 RB가 겹치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HARQ의 재송 간격(송신 주기)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시간 간격은, HARQ의 재송 간격(송신 주기)의 정수배라도 좋고, HARQ의 재송 간격(송신 주기)의 1/N(N은 양의 정수)이라도 좋다. 또,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시간 간격이 HARQ의 재송 간격의 정수배일 때는, 재송에 이용하는 RB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송신하는 RB가 겹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재송에 이용하는 RB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송신하는 RB가 겹치는 확률은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8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16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1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6)
3GPP-LTE에서는, LTE+ 단말은, CQI를 기지국에 피드백할 때, 소정의 주기(이하, CQI 보고 주기)로, 복수의 RB를 묶은 서브밴드 단위로 CQI를 보고한다. 예컨대, 시스템 대역 내에 4개의 서브밴드가 존재하는 경우, LTE+ 단말은, 각각의 서브밴드의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4개의 CQI, 및, 시스템 대역 전체의 평균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평균 CQI를 CQI 보고 주기로 기지국에 보고한다.
또한, 각 LTE+ 단말은, 각 서브밴드를 구성하는 RB마다,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서브밴드의 CQI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LTE+ 단말이 각 서브밴드의 CQI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서브밴드를 구성하는 모든 RB에서 채널 품질이 측정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CQI 보고 주기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서브프레임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서브밴드 단위로 배치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100)의 설정부(105)에서 설정되는 셀 고유 RS의 배치 패턴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을 16RB(RB0~RB15)로 하고, 하나의 서브밴드는 4개의 RB로 구성된다(다시 말해, 서브밴드 사이즈 : 4RB).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밴드 0은 RB0~RB3으로 구성되고, 서브밴드 1은 RB4~RB7로 구성되고, 서브밴드 2는 RB8~RB11로 구성되고, 서브밴드 3은 RB12~RB15로 구성된다. 또한, CQI 보고 주기를 4서브프레임으로 한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밴드 0을 구성하는 RB0~RB3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0으로부터 4서브프레임(CQI 보고 주기)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4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밴드 1을 구성하는 RB4~RB7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1로부터 4서브프레임(CQI 보고 주기)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5에 배치된다. 서브밴드 2를 구성하는 RB8~RB11 및 서브밴드 3을 구성하는 RB12~RB15에 대해서도 같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R4~R7은, 기지국(100)으로부터 LTE+ 단말에 서브밴드 단위로 송신된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은, 하나의 서브밴드를 구성하는 모든 RB의 채널 품질을 1서브프레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밴드에 있어서, R4~R7은, CQI 보고 주기인 4서브프레임 간격으로 기지국(100)으로부터 LTE+ 단말에 송신된다. 다시 말해, 각 RB에서의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송신 주기는, CQI 보고 주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LTE+ 단말은, CQI 보고 주기인 4서브프레임에 걸쳐, 모든 서브밴드 0~3에 있어서의 모든 RB의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즉, LTE+ 단말은, 1회의 CQI 보고 주기(4서브프레임 간격)로, 4개의 서브밴드 0~3마다의 CQI 및 시스템 대역 전체(도 20에 나타내는 RB0~RB15)의 평균 CQI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은, 1회의 CQI 보고 주기로 시스템 대역 전체의 모든 CQI를 보고할 수 있기 때문에, CQI 보고의 지연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회의 CQI 보고 주기로 시스템 대역 전체의 모든 CQI를 보고하는 경우, 복수의 CQI 보고 주기로 시스템 대역 전체의 모든 CQI를 보고하는 경우보다 CQI의 데이터 사이즈는 보다 커진다. 여기서, 부호화 데이터 사이즈가 보다 클수록, 부호화 이득은 보다 커진다. 따라서, LTE+ 단말이 1회의 CQI 보고 주기로 시스템 대역 전체의 모든 CQI를 보고함으로써, 부호화 이득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CQI의 부호화 효율이 좋아진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각 RB에서는 CQI 보고 주기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하고, 또한, 각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밴드 단위로 배치한다. 이에 의해,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CQI 보고의 지연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각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밴드 단위로 배치되고, 또한, 각 서브밴드에서는 CQI 보고 주기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컨대, 도 20 대신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하는 서브밴드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한 RB 및 서브프레임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CQI 보고 주기가 정의되고, 그 중 하나를 단말마다 선택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복수의 CQI 보고 주기 중 하나의 CQI 보고 주기, 예컨대, 가장 전형적인 CQI 보고 주기와 동일한 송신 주기(시간 간격)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송신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CQI 보고 주기는, 보고 대상의 서브밴드의 모든 CQI가 보고되는 주기이면 되고, 예컨대, LTE+ 단말은, CQI 보고 주기 내에서, 각 서브밴드의 CQI를 시간 영역에서 연속하여 순서대로 보고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이, 각 서브밴드에서 생성한 모든 CQI를 보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LTE+ 단말은, 각 서브밴드에서 생성한 모든 CQI 중, 채널 품질이 보다 양호한 상위의 서브밴드의 CQI만을 보고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서브밴드를 구성하는 RB수(서브밴드 사이즈)와 RB 그룹을 구성하는 RB수(RB 그룹 사이즈)의 최소 공배수의 단위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실시의 형태 3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3GPP-LTE에서는, 서브밴드 사이즈는, RB 그룹 사이즈의 정수배이다. 따라서, 3GPP-LTE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서브밴드 단위로 배치하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서브밴드 사이즈와 RB 그룹 사이즈의 최소 공배수의 단위로 항상 배치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CQI 보고 주기 내의 1서브프레임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CQI 보고 주기 내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송신 주기를, CQI 보고 주기보다 빠르게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LTE+ 단말은, 각 RB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채널 품질의 평균치를 얻는 것에 의해, CQI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3GPP-LTE에서는, 상향 회선의 제어 채널(예컨대, PUCCH(Physical Dedicated Control Channel))로 송신할 수 있는 제어 신호의 비트수는 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3GPP-LTE에서는, N서브프레임마다 CQI가 하나씩 기지국에 보고되는 모드(Periodic의 UE selected subband feedback)가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 CQI가 보고되는 N서브프레임마다의 주기를 CQI 보고 주기로 한다. 이 CQI 보고 모드에서는, 시스템 대역을 M분할한 것 중의 하나의 대역(bandwidth part : 이하, 부분 대역이라고 한다) 중에서 가장 양호한 채널 품질의 서브밴드의 CQI가, CQI 보고 주기로 보고된다. 또한, 각 CQI 보고 주기에 있어서 CQI 보고의 대상이 되는 부분 대역은, N서브프레임마다 시프트한다. 다시 말해, 각 부분 대역마다 CQI를 측정하는 서브프레임(CQI 측정 서브프레임)이 다르다. 본 발명을 이 CQI 보고 모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각 서브프레임에서는, 각 부분 대역에 포함되는 서브밴드 단위로 배치하고, 또한, 각 서브밴드에서는, 각 부분 대역마다의 CQI 보고 주기(N서브프레임)의 M배의 주기((N×M)서브프레임)로 배치하면 된다. 다시 말해,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시간 간격을, 부분 대역에 있어서의 CQI 보고 주기의 M배로 하면 된다. 예컨대, N=4로 하고, M=2로 하는 경우, 다시 말해, 부분 대역마다의 CQI 보고 주기가 4서브프레임이 되고, 시스템 대역 전체가 부분 대역 0과 부분 대역 1로 분할되는 경우의 RS의 배치예를 도 22에 나타낸다. 또한, 도 22에서는, 서브프레임 0~3을 부분 대역 0의 CQI 측정 서브프레임으로 하고, 부분 대역 0에 관한 CQI는, CQI 측정 및 송신 준비에 걸리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보고된다. 또한, 서브프레임 4~7을 부분 대역 1의 CQI 측정 서브프레임으로 하고, 부분 대역 1에 관한 CQI는, 부분 대역 0과 같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보고된다. 다시 말해, CQI 보고 주기는 4서브프레임이 된다. 이 경우,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대역 0(서브밴드 0 및 서브밴드 1)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부분 대역 0의 CQI 측정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3 중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2에 배치된다. 또한, 부분 대역 1(서브밴드 2 및 서브밴드 3)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부분 대역 1의 CQI 측정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4~7 중 서브프레임 4 및 서브프레임 6에 배치된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8 이후에서는, 서브프레임 0~7의 셀 고유 RS의 배치가 반복된다. 다시 말해, 도 22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시간 간격은, 부분 대역마다의 CQI 보고 주기 N(=4서브프레임)의 M(=2부분 대역)배인 8서브프레임이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8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16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1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7)
3GPP-LTE에서는, 기지국은, 한번 할당된 RB를 소정의 주기(시간 간격)로 계속하여 사용하는 SPS에 의해, 일부의 LTE 단말을 RB에 할당한다. 여기서는, SPS에 의해 LTE 단말이 할당된 RB의 송신 주기를 SPS 송신 주기라고 한다. SPS에 의해 LTE 단말을 RB에 할당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마다 RB의 할당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LTE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나, LTE 단말과 LTE+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SPS 송신 주기의 어느 송신 타이밍에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에 LTE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에도, SPS 송신 주기의 별도의 송신 타이밍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에 LTE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SPS에 의해 할당된 LTE 단말에 대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RB(또는 RB 그룹)에 있어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SPS 송신 주기의 1/N(단, N은 양의 정수)의 시간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100)의 설정부(105)에서 설정되는 셀 고유 RS의 배치 패턴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또한, SPS 송신 주기를 8서브프레임으로 한다. 다시 말해, SPS에 의해 할당된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는, 8서브프레임마다 송신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가, 동일 서브프레임의 4개의 RB(또는, 2개의 RB 그룹)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0, RB1, RB8 및 RB9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0으로부터 8서브프레임(SPS 송신 주기)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8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B2, RB3, RB10 및 RB11에서는, R4~R7이, 서브프레임 2, 및, 서브프레임 2로부터 8서브프레임(SPS 송신 주기)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 10에 배치된다. RB4~RB7 및 RB12~RB15에 대해서도 같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RB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는, SPS 송신 주기(도 23에서는 8서브프레임)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RB에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SPS 송신 주기만큼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경우는 없다. 다시 말해, 각 RB에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SPS 송신 주기만큼 경과 후의 서브프레임에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확실히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기지국(100)은, 도 23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0의 RB2 및 RB3을 이용하여, SPS에 의해 할당된 LTE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면, 다음번 이후의 SPS 송신 타이밍(예컨대, 도 23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8)에도 LTE 단말에 송신 데이터를 확실히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SPS 송신 주기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에 의해, LTE 단말에 대하여 SPS에 의해 할당된 RB에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가 혼재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SPS에 의해 할당된 LTE 단말의 통신 품질의 열화를 막을 수 있어, LTE 단말의 처리량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SPS 송신 주기와 동일한 시간 간격(도 23에 나타내는 8RS의 송신 주기)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RB에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시간 간격은, SPS 송신 주기의 1/N(예컨대, 도 23에서는, 4서브프레임 간격 또는 2서브프레임 간격)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11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16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11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1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8)
3GPP-LTE에서는, 통지 정보는, 물리 리소스의 사용 방법에 따라,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1, 및, SIB2~SIB11(즉, SIB2 이후의 SIB)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IB는, 고정 서브프레임(예컨대, 서브프레임 0) 및 고정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한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로 송신된다. 또한, SIB1은, 고정 서브프레임(예컨대, 2프레임 간격의 서브프레임 5)으로 송신된다. 또한, SIB2 이후의 SIB는, SIB1 내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나타나는, 송신 가능한 서브프레임(SI-window) 중 어느 하나로 송신된다. SIB2 이후의 SIB의 경우,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그 서브프레임으로 통지되는 하향 회선의 제어 채널(예컨대, PDCCH(Physical Dedicated Control Channel))에 나타난다. 다시 말해, 단말은, 그 서브프레임으로 PDCCH를 수신할 때까지는, SIB2 이후의 SIB가 어느 서브프레임으로 송신될지 모른다. 또, PDCCH에는 SIB2 이후의 SIB가 어떤 RB를 이용하여 송신될지를 나타내는 정보도 포함된다.
여기서, 상술한 통지 정보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수신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지 정보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를 이용하여 송신되면, LTE 단말은 통지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통지 정보가 할당되는 서브프레임 및 RB에 따라 배치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셀 고유 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100)의 설정부(105)에서 설정되는 셀 고유 RS의 배치 패턴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우선,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배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통지 정보 송신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 정보(MIB 또는 SIB1)가 서브프레임 1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R4~R7은, 서브프레임 1 이외의 서브프레임, 다시 말해, 도 24에서는 서브프레임 0, 2~7에 배치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1에는, R4~R7이 배치되지 않는다. 또, 도 24에서는, R4~R7은,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 0, 2~7마다 주파수 영역에 2RB씩 시프트한 RB에 배치된다.
이어서, SIB2 이후의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SIB2 이후의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예컨대 실시의 형태 3(도 15) 또는 실시의 형태 4(도 18) 등과 같이 하여 RB에 배치된다. 한편, SIB2 이후의 SIB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 이외의 R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된다.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LTE+ 단말에서는 기지(旣知)이기 때문에, LTE+ 단말은,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CQI 측정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수신될 필요가 있는 MIB 또는 SIB1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통지 정보의 송신에 이용할 수 있는 RB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기지국(100)은, 통지 정보를 충분히 낮은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송신함으로써, 통지 정보의 오류율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SIB2 이후의 SIB에 대해서는, SIB2 이후의 SIB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 이외의 RB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여기서, SIB2 이후의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LTE+ 단말에서는 미지(未知)이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LTE+ 단말은, SIB2 이후의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통상의 CQI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LTE+ 단말에서는, PDCCH를 수신한 후에 CQI 측정을 행할지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없어, 단말 처리의 간소화 및 지연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IB2 이후의 SIB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RB에서 송신되기 때문에, LTE 단말에서도 통지 정보를 확실히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수신될 필요가 있는 통지 정보에 대하여, LTE+ 단말에서만 수신될 필요가 있는 통지 정보(LTE+ 단말용 통지 정보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LTE+ 단말에서는 기지이다. 또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의 배치도, LTE+ 단말에서는 기지이다. 따라서, LTE+ 단말용 통지 정보 SIB+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또는 RB), 및,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또는 RB)에 대하여 제약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통지 정보를 확실히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통지 정보의 오류율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SIB2 이후의 SIB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 이외의 RB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SIB2 이후의 SIB는, 예컨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된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으로 송신하더라도 좋다. 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SIB1로 통지되는 SI-window에 근거하여, SIB2 이후의 SIB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도 24에서는 서브프레임 1)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프레임마다 시프트한 RB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즉,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도 24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0, 2~7마다 주파수 영역에서 2RB씩 시프트한 RB에 배치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도 25에서는 서브프레임 1)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마다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한 RB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단,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배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도 25에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0~7마다 주파수 영역에서 2RB씩 시프트한 RB에 배치한다. 단,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1의 RB2 및 RB3(RB10 및 RB11)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셀마다 다른 경우에도,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될 수 있는 RB는 각 셀에서 동일하게 된다. 또한,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는, 통지 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특정한 주기로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하여, 각 셀에 위치하는 LTE+ 단말은,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 CQI의 측정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좋아, LTE+ 단말의 CQI 측정에 필요한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셀 사이에서의 RS끼리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셀 사이에서 서로 다른 RB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배치되는 RB의 관계(간섭 회피를 위한 RB의 배치 관계)는 통지 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셀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간섭 경감 효과를 열화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MIB 및 SIB1~SIB11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MBSFN(MBMS Single Frequency Network)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MBSFN 서브프레임)에서도,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MBSFN 서브프레임 이외의 서브프레임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를 8서브프레임으로 하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16개의 RB로 나누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고, 1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나누는 RB수는 1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셀 고유 RS(R0~R7) 중,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의 송신 전력은,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의 송신 전력보다 작더라도 좋다. 기지국이 4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LTE 단말 및 LTE+ 단말)은 셀 전체에 위치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에 비하여, 기지국이 8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고속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LTE+ 단말은 채널 품질이 양호한 셀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기지국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를,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의 송신 전력보다 작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RS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셀 고유 RS(R0~R7) 중,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R4~R7)의 1RB당 RS의 심볼수(다시 말해, RS의 배치 밀도)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R0~R3)의 배치 밀도보다 낮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 및 LTE+ 단말이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LTE 단말 및 LTE+ 단말이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N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단말, 및, N개보다 많은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에도 대응하는 단말이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통신 시스템 A에서 동작하는 단말 1, 및, 단말 1이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 A보다 앞의 버전의 통신 시스템 B에서만 동작하는 단말 2가 공존하는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R0~R3이, 4Tx 기지국 또는 8Tx 기지국이 구비하는 안테나 0~3(1번째~4번째의 안테나)으로부터 송신되는 RS이며, R4~R7이, 8Tx 기지국이 구비하는 안테나 4~7(5번째~8번째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RS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R0~R3은, LTE 단말 및 LTE+ 단말에서 수신되는 RS이면 되고, R4~R7은, LTE+ 단말에서만 수신되는 RS이면 된다. 예컨대, R4~R7은, 협조 송신하고 있는 다른 기지국 또는 릴레이국으로부터 LTE+ 단말에 송신되는 RS이더라도 좋다.
또한, 8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8Tx 기지국에서, 안테나수가 5개 이상 8개 미만인 경우 등, 다시 말해, R4~R7의 일부의 RS만이 송신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가, 서브프레임마다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하는 RB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서브프레임마다 주파수 영역에서 시프트하지 않는 RB, 다시 말해, 어떤 서브프레임에서도 고정인 RB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RB에 LTE 단말을 할당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여기서, 기지국이,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RB에 LTE 단말을 할당하면, LTE 단말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자국으로의 데이터로서 수신하여버려 수신 성능이 열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LTE 단말에 대한 성능 열화가 허용되는 경우 등에는, 기지국은,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를 배치하는 RB에, LTE 단말을 할당하더라도 좋다.
또한, 단말은 UE, 기지국은 Node B, 서브캐리어는 톤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CP는 가드인터벌(Guard Interval; GI)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셀 고유 RS는 공통 RS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참조 신호는 파일럿 신호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은 슬롯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안테나는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복수의 물리 안테나를 하나의 안테나 포트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키는 것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3GPP-LTE에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 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가중치 부여를 승산하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8개의 물리 안테나(물리 안테나 0~7)를 구비하는 기지국은, 물리 안테나 0, 4에서는, R0에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하고, R4에 R0의 가중치 부여와 직교하는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물리 안테나 1, 5에서는, R1에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하고, R5에 R1의 가중치 부여와 직교하는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한다. 또한, 물리 안테나 2, 6에서는, R2에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하고, R6에 R2의 가중치 부여와 직교하는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한다. 또한, 물리 안테나 3, 7에서는, R3에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하고, R7에 R1의 가중치 부여와 직교하는 가중치 부여(예컨대, 가중 계수(1, -1))를 곱해 송신한다. 이에 의해, LTE+ 단말은, R0 및 R4를 이용하여, 물리 안테나 0, 4로부터 자단말까지의 각각의 전파로를 분리하여 채널 추정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TE+ 단말은, R1 및 R5를 이용하여, 물리 안테나 1, 5로부터 LTE+ 단말까지의 각각의 전파로를 분리하여 채널 추정을 행할 수 있고, R2 및 R6을 이용하여, 물리 안테나 2, 6으로부터 LTE+ 단말까지의 각각의 전파로를 분리하여 채널 추정을 행할 수 있고, R3 및 R7을 이용하여, 물리 안테나 3, 7로부터 LTE+ 단말까지의 각각의 전파로를 분리하여 채널 추정을 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2개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가중치 부여가 곱해진 2개의 셀 고유 RS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RS 송신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LTE+ 단말이 고차 MIMO(8안테나 MIMO)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수신측(LTE+ 단말)에서 3GPP-LTE보다 많은 안테나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이 8안테나를 구성한 것에 비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8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3GPP-LTE를 4안테나로 하고, 고차 MIMO를, 3GPP-LTE에 대하여 4안테나 더 추가하여 합계 8안테나로 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3GPP-LTE를 2안테나로 하고, 고차 MIMO를, 3GPP-LTE에 대하여 2안테나 더 추가하여 합계 4안테나로 하더라도 좋다. 또는, 상기 쌍방의 조합으로 하더라도 좋고, 3GPP-LTE를 2안테나 또는 4안테나로 하고, 고차 MIMO를, 3GPP-LTE에 대하여 2안테나 추가 또는 4안테나 추가로 하더라도 좋다. 또는, 3GPP-LTE를 2안테나로 하고, 고차 MIMO를 3GPP-LTE 에 대하여 6안테나 더 추가하여 합계 8안테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안테나 포트의 개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제의 물리 안테나가 8개라고 해도, 3GPP-LTE용 셀 고유 RS(LTE 단말 및 LTE+ 단말의 쌍방에서 이용하는 셀 고유 RS)에 대하여 4안테나 포트를 정의하고, 고차 MIMO용 셀 고유 RS(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에 대하여 별도의 8안테나 포트를 정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기지국은, 3GPP-LTE용 셀 고유 RS에는 안테나 포트당 2개의 물리 안테나에 의해 가중치 부여하여 송신하고, 고차 MIMO용 셀 고유 RS에는 각 안테나로부터 가중치 부여 없이 송신한다고 하는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셀 고유 RS는 그 셀의 통지 정보(PBCH) 또는 PDCCH의 복조에 이용되는 RS로서 정의하더라도 좋고, 단말 고유 RS는 단말로의 송신 데이터의 복조에 이용되는 RS로서 정의하더라도 좋다.
또한,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 사이의 변환을 행하는 방법은, IFFT, FFT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및 단말뿐만 아니라, 모든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안테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안테나 포트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키는 것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3GPP-LTE에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 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가중치 부여를 승산하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CQI 및 PMI를 합쳐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라고 부르는 경우도도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LTE+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셀 고유 RS는 CQI 및 PMI의 측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CSI-RS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더라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더라도 좋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재구성형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09년 1월 29일 출원의 특허 출원 2009-018284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전부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8)

  1. CQI의 산출을 위한 제 1 참조 신호를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배치하고, CQI의 산출을 위한 제 3 참조 신호를 모든 서브프레임에 배치하는 배치부와,
    배치된 상기 제 1 참조 신호를, 제 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1 단말에 송신하고, 배치된 상기 제 3 참조 신호를,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갖고,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피지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1(SIB1)의 송신과 겹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송신되지 않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데이터의 복조를 위한 제 2 참조 신호를, 상기 데이터가 배치된 리소스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송신부는, 배치된 상기 제 2 참조 신호를, 상기 제 1 단말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참조 신호는, 단말에 고유한 참조 신호인 무선 통신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참조 신호는 셀에 고유한 참조 신호인 무선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참조 신호는 PBCH 또는 하향 제어 채널의 복조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상기 제 1 참조 신호의 하나의 리소스 블록당 심볼의 수가, 상기 제 3 참조 신호의 하나의 리소스 블록당 심볼의 수보다 적어지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수가, 상기 제 2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이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수보다 큰 무선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시스템은 LTE-Advenced이고, 상기 제 2 통신 시스템은 LTE인 무선 통신 장치.
  10.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되고, 제 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1 단말에 송신된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서브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단말에 송신된 제 3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제 1 참조 신호 및 상기 제 3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CQI를 산출하는 측정부
    를 갖고,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피지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1(SIB1)의 송신과 겹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송신되지 않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데이터가 배치된 리소스 블록에 배치되어 송신된 제 2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 2 참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더 갖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참조 신호는, 단말에 고유한 참조 신호인 무선 통신 장치.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참조 신호는 셀에 고유한 참조 신호인 무선 통신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참조 신호는 PBCH 또는 하향 제어 채널의 복조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상기 제 1 참조 신호의 하나의 리소스 블록당 심볼의 수가, 상기 제 3 참조 신호의 하나의 리소스 블록당 심볼의 수보다 적어지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수가, 상기 제 2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이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수보다 큰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시스템은 LTE-Advenced이고, 상기 제 2 통신 시스템은 LTE인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 2, 3,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소정의 주기로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 2, 3,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HARQ에 있어서의 재송 간격 또는 HARQ 프로세스의 수와 동일한 간격, HARQ에 있어서의 재송 간격 또는 HARQ 프로세스의 수의 정수배의 간격, 또는, HARQ에 있어서의 재송 간격 또는 HARQ 프로세스의 수의 1/N(N은 양의 정수)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1, 2, 3,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CQI를 보고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 또는, CQI를 보고하는 주기의 정수배의 주기로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1, 2, 3,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SPS 송신 주기와 동일한 주기, 또는, SPS 송신 주기의 1/N(N은 양의 정수)의 주기로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1, 2, 3,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셀에 고유한 참조 신호인 무선 통신 장치.
  24. 제 1, 2, 3,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CSI-RS인 무선 통신 장치.
  25. CQI의 산출을 위한 제 1 참조 신호를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배치하고, CQI의 산출을 위한 제 3 참조 신호를 모든 서브프레임에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제 1 참조 신호를, 제 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1 단말에 송신하고, 배치된 상기 제 3 참조 신호를,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단말에 송신하되,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피지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1(SIB1)의 송신과 겹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송신되지 않는
    무선 통신 방법.
  26.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되고, 제 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1 단말에 송신된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서브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단말에 송신된 제 3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 1 참조 신호 및 상기 제 3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CQI를 산출하되,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피지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1(SIB1)의 송신과 겹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송신되지 않는
    무선 통신 방법.
  27. CQI의 산출을 위한 제 1 참조 신호를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배치하고, CQI의 산출을 위한 제 3 참조 신호를 모든 서브프레임에 배치하는 처리와,
    배치된 상기 제 1 참조 신호를, 제 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1 단말에 송신하고, 배치된 상기 제 3 참조 신호를,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피지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1(SIB1)의 송신과 겹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송신되지 않는
    집적 회로.
  28. 일부의 서브프레임에 배치되고, 제 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1 단말에 송신된 제 1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서브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단말에 송신된 제 3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상기 제 1 참조 신호 및 상기 제 3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CQI를 산출하는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참조 신호는, 피지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 1(SIB1)의 송신과 겹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송신되지 않는
    집적 회로.
KR1020117017741A 2009-01-29 2010-01-28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688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8284 2009-01-29
JPJP-P-2009-018284 2009-01-29
PCT/JP2010/000499 WO2010087176A1 (ja) 2009-01-29 2010-01-28 参照信号配置方法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644A KR20110118644A (ko) 2011-10-31
KR101688243B1 true KR101688243B1 (ko) 2016-12-20

Family

ID=4239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741A KR101688243B1 (ko) 2009-01-29 2010-01-28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0) US8996049B2 (ko)
EP (2) EP4239935A1 (ko)
JP (6) JP5576301B2 (ko)
KR (1) KR101688243B1 (ko)
CN (2) CN102301628B (ko)
BR (1) BRPI1007299A8 (ko)
MX (1) MX2011007834A (ko)
RU (1) RU2534752C2 (ko)
WO (1) WO2010087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4212A (ja) * 2009-06-19 2011-01-06 Sharp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110255483A1 (en) * 2010-04-16 2011-10-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ignaling of Precoding Granularity for LTE and LTE-A
CN102377549A (zh) * 2010-08-17 2012-03-1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非自适应重传的方法和装置
JP5005082B2 (ja) * 2010-10-04 2012-08-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780901B2 (en) 2010-12-03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ing allocation and channel estim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EP3001721A1 (en) * 2011-05-03 2016-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s and methods for enabling measurements performed by a wireless device
CN102780532B (zh) 2011-05-09 2016-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测量的方法及装置
JP2013034111A (ja) 2011-08-02 2013-02-14 Sharp Corp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927801B2 (ja) 2011-08-02 2016-06-01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5914918B2 (ja) 2011-08-02 2016-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5779052B2 (ja) * 2011-09-09 2015-09-16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9686814B2 (en) * 2011-11-07 2017-06-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reference cell maintenance
JP2015502084A (ja) * 2011-11-14 2015-01-19 京セラ株式会社 マクロセル通信リソースを使用する端末間通信管理
US8948113B2 (en) * 2012-03-26 201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bundling in LTE using explicit signalling
JP6006332B2 (ja) * 2012-11-28 2016-10-12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プロセッサ、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端末
CN103873214B (zh) * 2012-12-14 2017-12-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5035578A1 (zh) 2013-09-11 2015-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方法和基站
US20150349929A1 (en) * 2014-06-02 2015-12-03 Abhijeet Bhorkar Evolved node-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communication
KR102280021B1 (ko) 2014-09-11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법
US20160227097A1 (en) 2015-02-04 2016-08-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that execute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linking with other apparatus
US11088790B2 (en) * 2015-08-21 2021-08-1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7453851B (zh) * 2016-05-30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cqi测量方法、装置及无线通信***
DE112016007002T5 (de) * 2016-06-22 2019-03-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unkkommunikationsvorrichtung, Funkstationsvorrichtung, Instrumentensteuerverfahren und Instrumentensteuerprogramm
KR102606781B1 (ko) * 2016-09-02 2023-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551206B1 (ko) * 2016-09-07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장치 및 방법
US10498593B2 (en) * 2016-09-07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and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3603274B1 (en) 2017-04-07 2023-10-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configuring resource, user equipment, network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0897743B2 (en) 2017-06-04 2021-01-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P4376370A2 (en) 2017-06-04 2024-05-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A184963S (en) 2017-07-13 2019-06-12 Chubby Gorilla Inc Bottle
CN110972324B (zh) * 2018-09-28 2021-09-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基站中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259A (en) * 1995-05-17 1997-09-30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ommunications channel for data services
WO2004084450A2 (en) 2003-03-13 2004-09-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799202B2 (ja) 2006-02-08 2011-10-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
JP4904994B2 (ja) 2006-08-25 2012-03-28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装置
CN101150571B (zh) * 2006-09-19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宽带单载波***的控制信令和参考信号的发送方法
WO2008100209A1 (en) * 2007-02-13 2008-08-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and efficient use of broadcast-only modes of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operation
ES2580157T3 (es) * 2007-02-28 2016-08-19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dispositivo de usuario, y método utilizado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WO2008115134A2 (en) * 2007-03-19 2008-09-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q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US8300658B2 (en) * 2007-03-21 2012-10-30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antenna channel quality data acquisition in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network using a multicast symbol
JP5196896B2 (ja) 2007-07-13 2013-05-15 花王株式会社 微細気泡前駆体の製造方法
CN101106395A (zh) * 2007-08-15 2008-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令和测量导频的发射方法
US8135359B2 (en) * 2008-01-04 2012-03-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ntenna configuration information
US8675537B2 (en) * 2008-04-0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BSFN subframes to send unicast information
WO2009139383A1 (ja) * 2008-05-13 2009-11-19 株式会社 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ユーザ装置及び方法
WO2010031439A1 (en) * 2008-09-19 2010-03-25 Nokia Siemens Networks Oy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element
US8315225B2 (en) * 2008-09-22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Aspects to support LTE-A downlink hi-order MIMO
US8315217B2 (en) * 2008-09-23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E e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23985B1 (ko) * 2008-12-12 2015-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품질 지시자를 이용한 제어 채널 요소 검출 방법 및 장치
US20100177807A1 (en) * 2009-01-09 2010-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wireless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US8937875B2 (en) * 2009-03-16 2015-01-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Radio reception apparatus,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253197B1 (ko) * 2010-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참조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T, "RS design for DL higher order MIMO in LTE-A", 3GPP TSG-RAN WG1 #55bis, R1-090481, 2009.01.19.*
LG Electronics,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Higher Order MIMO", 3GPP TSG-RAN WG1 #55bis, R1-090218, 2009.01.08.*
NTT DOCOMO, "Support of DL Higher-Order MIMO Transmission in LTE-Advanced", 3GPP TSG-RAN WG1 #55bis, R1-090317, 2009.0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58403B2 (en) 2021-03-23
EP2383918B1 (en) 2023-07-12
WO2010087176A1 (ja) 2010-08-05
EP4239935A1 (en) 2023-09-06
BRPI1007299A2 (ko) 2016-02-02
JP5568794B2 (ja) 2014-08-13
US20210184818A1 (en) 2021-06-17
JP5841203B2 (ja) 2016-01-13
CN105375964B (zh) 2019-02-01
CN105375964A (zh) 2016-03-02
US11991118B2 (en) 2024-05-21
JP6745485B2 (ja) 2020-08-26
US20190116015A1 (en) 2019-04-18
JP5576301B2 (ja) 2014-08-20
JP5844849B2 (ja) 2016-01-20
JPWO2010087176A1 (ja) 2012-08-02
CN102301628B (zh) 2016-01-20
US11728953B2 (en) 2023-08-15
US20170005771A1 (en) 2017-01-05
EP2383918A1 (en) 2011-11-02
US10547433B2 (en) 2020-01-28
JP2017188930A (ja) 2017-10-12
US9548849B1 (en) 2017-01-17
MX2011007834A (es) 2011-09-01
US9762370B2 (en) 2017-09-12
JP2014233079A (ja) 2014-12-11
US20170093548A1 (en) 2017-03-30
US11398891B2 (en) 2022-07-26
JP6198197B2 (ja) 2017-09-20
CN102301628A (zh) 2011-12-28
US20230336317A1 (en) 2023-10-19
US20110275396A1 (en) 2011-11-10
US9473282B2 (en) 2016-10-18
RU2534752C2 (ru) 2014-12-10
US20150131472A1 (en) 2015-05-14
JP2014200094A (ja) 2014-10-23
JP2013258772A (ja) 2013-12-26
RU2011131777A (ru) 2013-04-20
EP2383918A4 (en) 2015-09-02
KR20110118644A (ko) 2011-10-31
JP2016059052A (ja) 2016-04-21
US20200119888A1 (en) 2020-04-16
US20220321309A1 (en) 2022-10-06
US20170338933A1 (en) 2017-11-23
US10193679B2 (en) 2019-01-29
BRPI1007299A8 (pt) 2017-07-11
US8996049B2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1118B2 (en) Reference signal reception and CQI comput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N106911368B (zh) 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