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454B1 - 탱크 환기용 밸브 - Google Patents

탱크 환기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454B1
KR101687454B1 KR1020140157162A KR20140157162A KR101687454B1 KR 101687454 B1 KR101687454 B1 KR 101687454B1 KR 1020140157162 A KR1020140157162 A KR 1020140157162A KR 20140157162 A KR20140157162 A KR 20140157162A KR 101687454 B1 KR101687454 B1 KR 10168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ne
closing member
pressure
closu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475A (ko
Inventor
마르쿠스 팀머
슈테판 벡커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5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72Details of the fuel vapour pipes 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21), 폐쇄 부재(4), 밀봉 시트(5),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을 갖는, 탱크 환기용 밸브(1, 26, 40)에 관한 것이며, 두 개의 공간은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밀봉 시트(5)는 제어 개구(19)를 둘러싸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인장 수단(6)으로 밀봉 시트(5) 상에 밀봉 방식으로 놓여지고, 인장 수단(6)은 폐쇄 부재(4)를 밀봉 시트(5)에 대하여 폐쇄 위치로 미리 인장시키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제어 개구(19)를 폐쇄하고, 폐쇄 부재(4)는 제1 및 제2 공간(17, 18)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폐쇄 부재(4)는 개방 위치에서 밀봉 시트(5)로부터 상승되고, 제어 개구(19)는 개방되고, 제1 공간(17)은 제1 라인(2)에 연결되고, 제1 라인(2)은 신기에 연결 가능하고, 제2 공간(18)은 제2 라인(3)에 연결되고, 제2 라인(3)은 필터(7)에 부착 가능하며,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부압에 따라 폐쇄 부재(4)로 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탱크 환기용 밸브{VALVE FOR VENTILATION OF A TANK}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탱크 환기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 101 26 521 B4는 연료의 가스 방출이 증가된 탱크 내의 누설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에는, 탱크 및/또는 필터가 신기(fresh air)를 공급받을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탱크 환기용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밸브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기재된 밸브의 이점은 밸브의 개방 거동이 필터 내의 압력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밸브는 더욱 신속하게 그리고/또는 더욱 더 개방될 수 있다.
밸브의 추가 개방에 의해, 폐쇄 부재 및 밀봉 시트 사이에 입자가 부착될 수 없어 밸브가 시간이 지나면서 밀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는 필터로의 공급 라인 내의 부압에 따라 개방 과정에서 보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 내의 압력은 유리하게는 개방 과정을 보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연기관의 흡기관으로의 공급 라인 내의 부압에 따른 폐쇄 부재의 개방 거동은 개방 거동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보다 큰 힘이 폐쇄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에 이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는 이동 가능 작동 수단이 구비되는 압력 공간을 가지며, 작동 수단은 압력 공간 내의 압력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작동 수단의 이동은 폐쇄 부재로 전달된다. 따라서, 폐쇄 부재 및 압력 공간 내의 압력 사이에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작동 연결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수단은 압력 공간을 밀봉하는 멤브레인의 형태로 설계되며, 멤브레인은 로드를 통하여 폐쇄 부재에 작동되게 연결된다. 이는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신뢰성 있는 작동 수단을 제공한다.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추가 압력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추가 압력 공간은 필터에 연결된다. 추가 압력 공간은 제2 멤브레인에 의해 한정되며, 제2 멤브레인은 제1 공간에 인접한다. 스위치는 추가 압력 공간 내에 구비되며, 제2 멤브레인은 추가 압력 공간 내의 소정의 부압의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추가 압력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추가 압력 공간은 필터에 연결된다. 추가 압력 공간은 제2 멤브레인에 의해 한정되며, 제2 멤브레인은 제1 공간에 인접한다. 제2 멤브레인은 추가 압력 공간 내의 소정의 초과압의 경우 폐쇄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된 탱크 환기용 밸브가 제공 가능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필터 및 밸브를 갖는 탱크 환기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밸브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밸브의 상세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탱크 환기 시스템용 추가 밸브의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추가 밸브의 도면.
도 6은 제3 작동 상태에 있는 추가 밸브의 도면.
도 7은 제4 작동 상태에 있는 추가 밸브의 도면.
도 1은 라인(미도시)을 통하여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탱크(11)가 구비되는 탱크 환기 시스템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또한, 탱크(11)는 통기 라인(12)을 통하여, 예를 들면, 활성탄으로 채워진 필터(7)에 연결된다. 필터(7)는 기체 흐름으로부터 기체 연료를 여과하도록 활성탄을 사용한다. 필터(7)는 제한된 연료 저장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필터(7)는 때때로 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터(7)는 제1 라인(2), 밸브(1) 및 제2 라인(3)을 통하여 신기를 공급받는다. 신기의 흐름은 필터(7)를 통하여 전도되며, 저장된 연료가 활성탄으로부터 흡수되어 공급 라인(15)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흡기관으로 전도된다. 공급 라인(15)은 제어 장치에 의한 작동에 따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환 밸브(16)를 포함한다. 흡기관 내에 부압이 우세하며, 전환 밸브(16)가 개방되면 필터(7) 상으로 추가 안내된다.
밸브(1)는 제1 라인(2)이 개방되는 제1 공간(17)을 갖는 하우징(21)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밸브(1)는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제1 공간(17)에 연결되는 제2 공간(18)을 갖는다. 밀봉 시트(5)는, 예를 들면, 환형으로 제어 개구(19)를 둘러싼다. 또한, 제2 라인(3)은 제3 연결 라인(35)을 통하여 제3 압력 공간(36)에 연결된다. 제3 압력 공간(36)은 멤브레인(27)을 통하여 제1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다. 제2 공간(18)은 스프링(6)을 통하여 밀봉 시트(5)의 방향으로 폐쇄 위치로 미리 인장되는 폐쇄 부재(4)를 포함한다. 스프링(6)은,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며, 하우징(21)의 베이스(20)에 대해 지지된다. 끝단 측에서, 폐쇄 부재(4)는 폐쇄 상태에서 밀봉 시트(5) 상에 놓여지며 제어 개구(19)를 폐쇄하는 밀봉면(50)을 갖는다. 또한, 폐쇄 부재(4)는 안내 슬리브(23) 내에서 밀봉 방식으로 안내되는 슬리브부(22)를 갖는다. 폐쇄 부재(4)는 일측에서 폐쇄되는 슬리브를 구성한다. 안내 슬리브(23)는 베이스(20)까지 안내된다. 폐쇄 부재(4) 및 안내 슬리브(23)는 안내 공간(45)을 한정한다. 연결 라인(24)은 베이스(20)에 부착되며, 연결 라인(24)은 안내 공간(45)을 공급 라인(15)에 연결한다. 연결 라인(24)은 일종의 바이패스 유로를 구성한다. 연결 라인(24) 및 안내 공간(45)은,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압력에 따라 폐쇄 부재(4)에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도 1의 탱크 환기 장치는 아래와 같이 기능한다: 전환 밸브(16)가 개방되면, 내연기관의 흡입관 내의 부압은 공급 라인(15) 내의 부압을 발생시킨다. 이 부압은 연결 라인(24)을 통하여 안내 공간(45)으로 그리고 필터(7) 및 제2 라인(3)을 통하여 제2 공간(18)으로 추가 안내된다. 제1 라인(2)은 주위 압력으로 연결된다.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 사이 또는 제1 공간(17) 및 안내 공간(45) 사이의 압력차로 인해, 폐쇄 부재(4)가 스프링(6)의 프리텐션 힘에 반대되는 베이스(20)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 과정에서, 제어 개구(19)가 개방된다. 연결 라인(24)이 구비됨에 따라, 폐쇄 부재(4)의 개방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부압은 제2 공간(18) 내에서보다 안내 공간(23) 내에서 더 크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보다 큰 힘이 폐쇄 부재(4)에 작용한다. 따라서, 폐쇄 부재(4)는 연결 라인(24)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 시트(5)로부터 더 하측으로 멀리 끌어 당겨진다. 뿐만 아니라, 폐쇄 부재(4)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필터(7) 내로 흡입되는 체적 흐름과 무관한 소정의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폐쇄 부재(4)는 항상 밸브가 개방될 때 밀봉 시트(5)로부터 최소 거리만큼 멀리 이동된다. 폐쇄 부재(4)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개방 작동 중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도 2는 탱크를 환기시키고 필터(7)를 정화하는 장치를 도시하며, 이 장치는 실질적으로 도 1의 장치와 같이 구성되며, 제2 밸브(25)는 제1 라인(2) 및 제2 라인(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밸브(25)는 실질적으로 도 1의 밸브(1)에 따라 구성되지만, 폐쇄 부재(4)가 당김 로드(26)를 통하여 멤브레인(27)에 연결된다. 멤브레인(27)은 압력 공간(28)을 한정한다. 압력 공간(28)이 제2 연결 라인(31)을 통하여 제2 라인(3)에 연결된다. 폐쇄 부재(4)는 양측에서 폐쇄되는 관으로서 설계된다.
당김 로드(26)는 폐쇄 부재(4)의 베이스(32) 내에 홀(34)을 통하여 안내되며, 폐쇄 부재(4) 내의 자유단에서 정지면(33)을 갖는다. 당김 로드(26)는, 폐쇄 부재(4)가 당김 로드(26)의 이동과 무관하게 하우징의 베이스(20)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정지면(33)을 통하여 폐쇄 부재(4)의 베이스(32)에 연결된다. 또한, 폐쇄 부재(4)의 위치 및 당김 로드(26)의 위치에 따라, 정지면(33)이 폐쇄 부재(4)의 베이스(32)에 접촉할 수 있고, 베이스(30)의 방향으로 밀봉 시트(5)의 하측으로 폐쇄 부재(4)를 끌어 당길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간(17, 18) 사이의 차압이 보다 작은 경우에도 폐쇄 부재가 특히 최대 거리까지 밀봉 시트(5)로부터 더 멀리 끌어 당겨지도록, 압력 공간(28) 내의 부압에 의해, 폐쇄 부재(4)의 개방 거동이 보조된다. 압력 공간, 멤브레인 및 당김 로드는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압력에 따라 폐쇄 부재(4)에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멤브레인 대신에, 피스톤이 구비될 수도 있고, 피스톤의 위치는 압력 공간 내의 압력에 따라 변경된다.
도 3은 폐쇄 부재(4)의 하단의 확대도를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도시하며, 폐쇄 부재(4)는 슬리브 형상을 가지고, 당김 로드(26)가 안내되는 홀(34)이 베이스(32)에 구비된다.
그런 다음 전환 밸브(16)가 개방되면, 내연기관의 흡입관 내의 부압에 의해 필터(7) 및 제2 라인(3) 내에 부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부압이 제2 공간(18) 내에서도 우세하다. 제1 라인이 주위 압력에 연결되므로, 주위의 압력이 제1 공간(17) 내에 우세하다.
제2 연결 라인(31)으로 인해, 부압이 또한 압력 공간(28) 내에 우세하다. 대기압이 멤브레인(27) 위의 영역에 우세하므로, 멤브레인(27)은 하측으로, 즉, 밀봉 시트(5)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멤브레인(27)은 이에 대응하여 당김 로드(26)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정지면(33)은 폐쇄 부재(4)의 베이스(32)에 접촉하며 마찬가지로 폐쇄 부재(4)를 밀봉 시트(5)로부터 하측으로 멀리 끌어 당긴다. 또한, 제1 공간(17) 내의 대기압도 폐쇄 부재(4)의 끝단 측에 작용한다.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 사이 또는 상부 압력 공간(29) 및 하부 압력 공간(30)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폐쇄 부재(4)가 밀봉 시트(5)로부터 하측으로 멀리 끌어 당겨진다. 당김 로드(26)를 갖는 멤브레인(27)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폐쇄 부재(4)가 바람직하게는 제어 개구(19)를 통해 유동하는 체적 흐름과 무관하게 소정의 거리만큼 밀봉 시트(5)로부터 멀리 끌어 당겨진다. 폐쇄 부재(4)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개방 과정 중 최대 개방 위치까지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폐쇄 부재는 멤브레인(27)을 갖는 압력 공간(28)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 시트(5)로부터 더 멀리 끌어 당겨진다. 전환 밸브(16)가 폐쇄되면, 압력차가 다시 보상되고, 폐쇄 부재(4)는 스프링(6)에 의해 밀봉 시트(5) 상의 폐쇄 위치로 가압된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따라 설계될 수 있고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압력에 따라 폐쇄 부재(4)에 힘을 가하는 대응하는 수단(미도시)을 갖는 제3 밸브(40)의 확대된 단면을 도시한다. 제3 압력 공간(36)의 디자인이 도 4에 보다 정밀하게 도시된다. 제3 밸브(40)는 제1 공간(17)이 형성되는 하우징(21)을 갖는다. 제1 공간(17)은 제1 라인(2)을 통하여 주위 압력에 연결된다. 제1 공간(17)은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제2 공간(18)에 연결된다. 제어 개구(19)는 밀봉 시트(5)에 의해 둘러싸이며, 밀봉 시트(5)는 제2 공간(18) 내에 배치되는 폐쇄 부재(4)로 할당된다. 폐쇄 부재(4)는 제2 공간(18) 내에서 이동축(41)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폐쇄 부재(4)는 끝단 측에 판 형상의 디자인을 가지며, 스프링(6)에 의해 밀봉 시트(5) 상으로 미리 인장된다.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폐쇄 부재(4)는 제어 개구(19)를 폐쇄한다.
제2 공간(18)은 제2 라인(3)에 부착된다. 제2 라인(3)은, 예를 들면, 도 1에 따른 연료 탱크 또는 필터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라인(3)은 제3 연결 라인(35)을 통하여 제3 압력 공간(36)에 연결된다. 제3 압력 공간(36)은 제2 멤브레인(46)을 통하여 제1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다. 제2 멤브레인(46)은 이동축(41) 상에 배치되는 중앙에서 작동 요소(38)를 갖는다. 작동 요소(38)는 제1 공간(17) 내에 배치된다. 작동 요소(38)에 대향되게, 폐쇄 부재(4)는 끝단 측에 핀(37)을 갖는다. 도시된 상황에서, 작동 요소(38)는 핀(37)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상황에서, 대기압이 제1 공간(17) 내에서 우세하다. 대기압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낮지 않은 압력이 제2 공간(18) 및 제3 압력 공간(36) 내에서 우세하다. 따라서, 제2 공간(18) 내에 존재하는 부압은 제1 공간(17)에 대한 압력차에 의해 스프링(6)의 프리텐션 힘에 반대되게 밀봉 시트(5)로부터 폐쇄 부재(4)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작동 요소(38)에 대향되게, 제2 멤브레인(46)은 제3 압력 공간(36) 내에 배치되는 제2 작동 요소(47)를 갖는다. 제2 작동 요소(47) 위로, 스위치(42)가 하우징(21) 상에 형성된다. 스위치(42)는 제3 압력 공간(36) 내로 돌출한다.
도 5는 제2 상태에 있는 제3 밸브(40)를 도시하며, 제1 공간(17) 내에서 대기압이 우세하고, 제2 공간(18) 및 제3 압력 공간(36) 내에서 부압이 우세하다. 예를 들면, 연료 탱크 냉각에 의해 또는 필터가 흡입관으로의 연결을 통해 부압을 공급받는 것에 의해 부압이 발생된다. 도시된 상황에서, 제3 압력 공간(36) 및 제2 공간(18) 내의 부압은 제1 공간(17) 내의 압력에 대하여, 예를 들면, -2.5mbar이다. 이 상황에서, 도 4의 상황과 비교하여, 제2 멤브레인(46)은 스위치(42)의 방향으로 상측으로 이동된다. 제2 작동 요소(47)는 스위치(42)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라, 탱크 시스템 내에 누설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차량이 꺼진 이후, 탱크 내의 연료를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부압이 생성된다. 스위치(42)가 작동되지 않으면, 즉, 차량이 꺼진 이후 소정의 부압이 생성되지 않으면, 탱크 시스템이 밀폐되지 않는다.
도 6은 제3 압력 공간(36) 및 제2 공간(18) 내의 압력이 -6mbar인 추가적인 상황에 있는 제3 밸브(40)를 도시한다. 이 상황에서, 폐쇄 부재(4)는 밀봉 시트(5)로부터 이미 상승되어 있으며, 공기가 제1 공간(17)으로부터 제2 공간(18)을 통하여 제2 라인(3) 내로 유동한다.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 사이의 압력차가 저하되면, 폐쇄 부재가 스프링(6)의 프리텐션 힘에 의해 폐쇄 위치로 밀봉 시트(5) 상에 다시 가압된다.
도 7은 제2 라인(3)을 통하여, 초과압이 제2 공간(18) 및 제3 압력 공간(36) 내로 도입되고, 초과압이, 예를 들면, 제1 공간(17)의 압력에 대하여 +1mbar인 상황에 있는 제3 밸브(40)를 도시한다. 제2 멤브레인(46)은 폐쇄 부재(4)의 압력면(50)에 비하여 더 넓은 표면을 갖는다. 제3 압력 공간(36) 내의 초과압으로 인해, 제2 멤브레인(46)은 하측으로 이동되며, 작동 요소(38)는 핀(37)에 접촉된다. 이 과정에서, 제2 멤브레인(46)은 폐쇄 부재(4)를 베이스(20)의 방향으로 밀봉 시트(5)로부터 하측으로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제어 개구(19)를 개방시킨다. 그 결과, 공기가 제2 공간(18)으로부터 제1 공간(17)을 통하여 제1 라인(2) 내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황은, 예를 들면, 제2 라인(3)이 필터(7)를 통하여 연료 탱크에 연결되는 사용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탱크를 재 급유하는 것에 의해 초과압이 연료 탱크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3 압력 공간(36) 및 제1 공간(17) 사이의 압력차가 소정의 차이만큼 저하되면, 스프링(6)에 의해 폐쇄 부재(4)가 다시 밀봉 시트(5) 상으로 가압된다.
제2 라인(3) 또는 필터(7), 또는 내연기관의 흡입관으로의 공급 라인(15) 내에서의 부압이, 폐쇄 부재(4)의 개방 거동을 보조하기 위해 또는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체적 흐름과 무관하게 밀봉 시트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폐쇄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도록 밸브(1), 제2 밸브(25) 및 제3 밸브(40)가 설계된다.

Claims (7)

  1. 하우징(21), 폐쇄 부재(4), 밀봉 시트(5),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을 갖는, 탱크 환기용 밸브(1, 26, 40)이며, 상기 두 개의 공간은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밀봉 시트(5)는 제어 개구(19)를 둘러싸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인장 수단(6)으로 밀봉 시트(5) 상에 밀봉 방식으로 놓여지고, 인장 수단(6)은 폐쇄 부재(4)를 밀봉 시트(5)에 대하여 폐쇄 위치로 미리 인장시키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제어 개구(19)를 폐쇄하고, 폐쇄 부재(4)는 제1 및 제2 공간(17, 18)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폐쇄 부재(4)는 개방 위치에서 밀봉 시트(5)로부터 상승되고, 제어 개구(19)는 개방되고, 제1 공간(17)은 제1 라인(2)에 연결되고, 제1 라인(2)은 신기에 연결 가능하고, 제2 공간(18)은 제2 라인(3)에 연결되고, 제2 라인(3)은 필터(7)에 부착 가능하며,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부압에 따라 폐쇄 부재(4)로 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폐쇄 부재(4)로 힘을 가하는 수단은 안내 공간(45)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4)는 안내 공간(45) 내에서 밀봉 방식으로 안내되며, 연결 라인(24)은 안내 공간(45)과, 필터(7)로부터 엔진의 흡기관으로의 공급 라인(15) 사이에 구비되는, 탱크 환기용 밸브.
  2. 하우징(21), 폐쇄 부재(4), 밀봉 시트(5),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을 갖는, 탱크 환기용 밸브(1, 26, 40)이며, 상기 두 개의 공간은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밀봉 시트(5)는 제어 개구(19)를 둘러싸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인장 수단(6)으로 밀봉 시트(5) 상에 밀봉 방식으로 놓여지고, 인장 수단(6)은 폐쇄 부재(4)를 밀봉 시트(5)에 대하여 폐쇄 위치로 미리 인장시키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제어 개구(19)를 폐쇄하고, 폐쇄 부재(4)는 제1 및 제2 공간(17, 18)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폐쇄 부재(4)는 개방 위치에서 밀봉 시트(5)로부터 상승되고, 제어 개구(19)는 개방되고, 제1 공간(17)은 제1 라인(2)에 연결되고, 제1 라인(2)은 신기에 연결 가능하고, 제2 공간(18)은 제2 라인(3)에 연결되고, 제2 라인(3)은 필터(7)에 부착 가능하며,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부압에 따라 폐쇄 부재(4)로 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폐쇄 부재(4)로 힘을 가하는 수단은 압력 공간(28)을 포함하고, 압력 공간(28)은 제2 연결 라인(31)을 통하여 필터(7) 또는 제2 라인(3)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공간을 밀봉하며 이동 가능한 작동 수단(27)이 압력 공간(28) 내에 구비되고, 작동 수단(27)은 폐쇄 부재(4)에 작동되게 연결(26)되고, 작동 수단(27)은 압력 공간(28) 내의 압력에 따라 이동 가능하며, 작동 수단(27)의 이동은 폐쇄 부재(4)로 전달되는, 탱크 환기용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압력 공간(28)을 밀봉하는 멤브레인(27)의 형태로 설계되고, 멤브레인(27)은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로드(26)를 통하여 폐쇄 부재(4)에 작동되게 연결되는, 탱크 환기용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멤브레인(27) 및 로드(26)는 압력 공간(28) 내의 부압이 상기 폐쇄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는, 탱크 환기용 밸브.
  5. 하우징(21), 폐쇄 부재(4), 밀봉 시트(5), 제1 공간(17) 및 제2 공간(18)을 갖는, 탱크 환기용 밸브(1, 26, 40)이며, 상기 두 개의 공간은 제어 개구(19)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밀봉 시트(5)는 제어 개구(19)를 둘러싸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인장 수단(6)으로 밀봉 시트(5) 상에 밀봉 방식으로 놓여지고, 인장 수단(6)은 폐쇄 부재(4)를 밀봉 시트(5)에 대하여 폐쇄 위치로 미리 인장시키고, 폐쇄 부재(4)는 폐쇄 위치에서 제어 개구(19)를 폐쇄하고, 폐쇄 부재(4)는 제1 및 제2 공간(17, 18)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폐쇄 부재(4)는 개방 위치에서 밀봉 시트(5)로부터 상승되고, 제어 개구(19)는 개방되고, 제1 공간(17)은 제1 라인(2)에 연결되고, 제1 라인(2)은 신기에 연결 가능하고, 제2 공간(18)은 제2 라인(3)에 연결되고, 제2 라인(3)은 필터(7)에 부착 가능하며,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 부압에 따라 폐쇄 부재(4)로 힘을 가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추가 압력 공간(36)이 구비되고, 추가 압력 공간(36)은 제3 연결 라인(35)을 통하여 제2 라인(3) 또는 필터(7)에 연결되고, 추가 압력 공간(36)은 제2 멤브레인(46)에 의해 한정되고, 제2 멤브레인(46)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고, 스위치(42)가 추가 압력 공간(36) 내에 구비되며, 제2 멤브레인(46)은 추가 압력 공간(36) 내의 소정의 부압의 경우 스위치(42)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계되는, 탱크 환기용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추가 압력 공간(36)이 구비되고, 추가 압력 공간(36)은 제3 연결 라인(35)을 통하여 제2 라인(3) 또는 필터(7)에 연결되고, 추가 압력 공간(36)은 제2 멤브레인(46)에 의해 한정되고, 제2 멤브레인(46)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며, 제2 멤브레인(46)은 추가 압력 공간(36) 내의 소정의 초과압의 경우 폐쇄 부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계되는, 탱크 환기용 밸브.
  7. 삭제
KR1020140157162A 2013-11-15 2014-11-12 탱크 환기용 밸브 KR101687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2586.7 2013-11-15
DE102013112586.7A DE102013112586A1 (de) 2013-11-15 2013-11-15 Ventil für eine Tankbelüf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475A KR20150056475A (ko) 2015-05-26
KR101687454B1 true KR101687454B1 (ko) 2016-12-19

Family

ID=5317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162A KR101687454B1 (ko) 2013-11-15 2014-11-12 탱크 환기용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77677B2 (ko)
JP (1) JP6120378B2 (ko)
KR (1) KR101687454B1 (ko)
CN (1) CN104648128A (ko)
DE (1) DE1020131125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618Y2 (ja) * 1991-02-18 1997-09-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662A (en) * 1990-01-25 1996-06-11 G.T. Products, Inc. Fuel tank vent system and diaphragm valve for such system
JPH04105995A (ja) 1990-08-28 1992-04-07 Kyodo Printing Co Ltd 磁気バーコード付サーマルカード
US5495749A (en) * 1993-05-14 1996-03-05 Chrysler Corporation Leak detection assembly
JPH07180624A (ja) * 1993-12-24 1995-07-18 Mikuni Corp 燃料ガスの拡散防止装置
US5584278A (en) * 1994-12-15 1996-12-17 Nissan Motor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fuel vapor flow discharged from a fuel tank to a canister
DE19523935A1 (de) * 1995-06-30 1997-01-02 Bosch Gmbh Robert Pumpvorrichtung
US6283097B1 (en) * 1997-08-25 2001-09-04 John E. Cook Automotive evaporative emission leak detection system
JP2001050117A (ja) * 1999-08-09 2001-02-23 Aisin Seiki Co Ltd パージシステム用キャニスタ圧力封鎖弁
US6623012B1 (en) 1999-11-19 2003-09-23 Siemens Canada Limited Poppet valve seat for an integrated pressure management apparatus
DE10126521B4 (de) 2001-05-30 2006-05-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ankleckdiagnose bei erhöhter Brennstoffausgasung
FR2827635B1 (fr) * 2001-07-20 2003-12-26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fuite dans un vehicule
AU2004203116B2 (en) * 2003-08-04 2007-04-19 Honda Motor Co., Ltd. Fuel supply control system for engine
US7509982B2 (en) * 2003-10-10 2009-03-31 Vapor Systems Technologies, Inc. Vapor recovery system with improved ORVR compatibility and performance
US7216635B1 (en) * 2004-09-30 2007-05-15 Walbro Engine Management, L.L.C. Evaporative emission controls in a fuel system
US7971853B2 (en) * 2007-01-18 2011-07-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Friction spring for leak detection poppet
DE102010054668A1 (de) * 2010-12-15 2012-06-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rennkraftmaschine mit verbesserter Tankreinigung
US9206772B2 (en) * 2011-07-11 2015-12-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rticulating poppet to seal a natural vacuum leak detection device
JP6439625B2 (ja) * 2015-08-06 2018-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タンク密閉弁および蒸発燃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618Y2 (ja) * 1991-02-18 1997-09-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475A (ko) 2015-05-26
CN104648128A (zh) 2015-05-27
JP2015096728A (ja) 2015-05-21
US20150136249A1 (en) 2015-05-21
US9777677B2 (en) 2017-10-03
JP6120378B2 (ja) 2017-04-26
DE102013112586A1 (de)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44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US8573255B2 (en) Valve assembly for high-pressure fluid reservoir
JP4803461B2 (ja) 機械式作動隔離バルブを備えた燃料タンクエミッショ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10167820B2 (en) Fuel tank system
US94767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JP5749250B2 (ja) 高圧流体リザーバ用バルブアセンブリ
KR102079848B1 (ko) 증기 제어에 의한 차량 스토리지 시스템
JP6275634B2 (ja) 流量制御弁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JP5154506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20150096633A1 (en) Valve assembly
JP2004183663A (ja) 負圧作動式閉鎖バルブ並びに燃料蒸気の排出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9902258B2 (en) Fuel tank pressure regulator
JP5920324B2 (ja) 燃料貯留装置
KR20180110062A (ko) 증발 연료 처리 장치 및 증발 연료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봉쇄 밸브의 밸브 개방 개시 위치 학습 방법
KR101687454B1 (ko) 탱크 환기용 밸브
JP2012041047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
KR101567234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JP2000018112A (ja) 蒸発燃料制御装置
KR20060070883A (ko) 차량용 이지알 밸브
KR20180006633A (ko) 연료탱크 부압 제어 장치
JP2004300939A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KR20040033572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