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059B1 -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059B1
KR101685059B1 KR1020130103336A KR20130103336A KR101685059B1 KR 101685059 B1 KR101685059 B1 KR 101685059B1 KR 1020130103336 A KR1020130103336 A KR 1020130103336A KR 20130103336 A KR20130103336 A KR 20130103336A KR 101685059 B1 KR101685059 B1 KR 10168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nanoparticles
organic solvent
acid
electrolytic solution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596A (ko
Inventor
최민영
송용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3010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5/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 powders or porous metal masses
    • C25C5/02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 powders or porous metal masses from solu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해질이 초순수(DI-water)에 용해된 전해 용액, 및 그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고,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고, 상기 분산제가 계면활성 기능을 갖거나, 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기계 용매가 채워져 있는 반응용기; 상기 전해 용액 내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전극; 전기분해 반응을 위해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상기 전해 용액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Metal Nanoparticle Ink}
본 발명은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인쇄회로기판은 수지필름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동박을 리소그라피(lithography) 공정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동박으로 회로 패턴을 만들기 위해서는 포토레지스터의 도포, 건조, 노광, 세정, 에칭, 포토레지스터 제거 등의 리소그라피 공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각종 장비 및 공정이 수반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기기의 경박단소화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고밀도, 고집적화되어, 피치가 미세화된 회로 패턴이 필요하나, 종래 인쇄회로기판에 적용되는 실크스크린 방식의 인쇄기법으로는 회로 패턴의 미세화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잉크젯을 통한 비접촉식 직접 프린팅에 의해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 도입되어, 쉽게 미세 회로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공정을 간단히하고 제조시간을 단축하게 되었다.
이에,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한 나노입자 잉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노입자 잉크를 이용한 프린팅 기술은 기존의 리소그래피를 통한 패터닝 기술에 비해 비용절감, 대면적 기판 적용 가능성 및 회로의 유연성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므로 최근 크게 각광 받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8704호에는 파우더 상태의 금속 나노입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 상태의 금속 나노입자를 잉크용매 및 보조 용매와 함께 비드밀에 투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잉크용매에 균일하게 분산 및 분쇄시켜 혼합 용액을 얻는 비드밀 단계; 및 상기 비드밀을 통해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혼합 용액을 분별증류하여 상기 보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는 우수한 분산성, 젯팅성, 낮은 비저항을 보유한 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를 제조할 수 있으나, 원심 분리와 비드밀 공정을 수행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이 발생하고, 추가적인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회수하여 금속 나노입자 잉크로 제조하기까지 원심 분리와 비드밀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장치 및 방법적인 특징을 도출하여 발명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활용 가능하고 경쟁력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8704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심 분리 및 비드 밀링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상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 수 및 제조 시간을 단축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해 용액에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하고, 금속 나노입자를 잉크 용매로 이동시켜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해질이 초순수(DI-water)에 용해된 전해 용액, 및 그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고,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고, 상기 분산제가 계면활성 기능을 갖거나, 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기계 용매가 채워져 있는 반응용기; 상기 전해 용액 내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전극; 전기분해 반응을 위해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상기 전해 용액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해질이 초순수에 용해되어 있고, 반응용기 하부에 채워진 전해 용액에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금속 이온을 환원시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 상부에 채워져 있고,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는 유기계 용매로 금속 나노입자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계 용매에 포함하는 분산제로 이동된 금속 나노입자를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전해 용액을 제거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유기계 용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유기계 용매에 잉크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및 분별 증류(fractional distillation)를 수행하여 상기 유기계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잉크 용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해질이 초순수에 용해되어 있고, 반응용기 하부에 채워진 전해 용액에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금속 이온을 환원시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는 잉크 용매로 금속 나노입자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된 금속 나노입자를 상기 잉크 용매에 포함하는 분산제로 분산시키는 단계; 및 분별 증류를 수행하여 상기 전해 용액을 제거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잉크 용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계의 전해 용액과 유기계 용매로 이루어진 2층의 2상(Two phase) 구조를 반응용기 내에 배치하여, 전해 용액에서 금속 나노입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금속 나노입자를 유기계 용매로 이동시키고, 유기계 용매에 잉크 용매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서 유기계 용매를 분별 증류로 제거함으로써, 원심 분리 및 비드 밀링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 공정상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을 줄이고, 제조 공정 수 및 제조 시간을 단축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해 용액에서 형성된 금속 나노입자를 잉크 용매에 이동시키고, 분별 증류 방법에 의해 전해 용액을 증발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수행하여,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의 감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 제조장치에서 금속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장치는 반응용기(100), 제1 및 제2 전극(131,132), 환원제 공급장치(300)를 포함한다.
반응용기(100) 내부에는 전해질이 초순수(DI-water)에 용해된 전해 용액(110)이 채워져 있고, 그 전해 용액(110) 상부에 분산제가 용해된 유기계 용매(120)가 채위져 있다. 즉, 수계의 전해 용액(110)이 반응용기(100) 내부 공간의 하부에 1층으로 위치되고, 유기계 용매(120)가 반응용기(100) 내부 공간의 상부에 2층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전해 용액(110)과 유기계 용매(120)는 액체의 밀도차에 의해 수계의 전해 용액(110)과 유기계 용매(120)는 계면을 이루며 층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반응용기(100)의 하측에는 전해 용액(110)을 간접 가열하기 위해 히팅장치(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반응용기(100)의 외측에는 냉각수를 흐르게 하여 전해 용액(1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순환방식의 수냉식 냉각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은 질산, 포름산(form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타타르산(tatar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헥산산(hexanoic acid)으로 구성되는 산, 상기 산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NH3), 트리에틸아민(TEA: triethyl amine), 및 피리딘(pyridine)의 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해질은 친환경적 전해질로서 구연산(citric acid)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글라이신(glycine) 등의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분산제는 유기계 분산제로 BYK Chemie사의 Byk™, Evonik사의 Tego™, Lubrizol사의 Solsperse™(특히, Solsperse™ 32600), Tamo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해 용액(110) 내에 합성하고자 하는 금속 나노입자와 같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전극(131,132)이 유기계 용매를 통과하여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극(131,132)은 판 형상, 원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전극(131,132)의 재료로는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는 재료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금속 나노입자가 전기분해를 통하여 제조될 때, 금속 나노입자는 Ag, Pt, Au, Mg, Al, Zn, Fe, Cu, Ni 및 Pd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일 수 있다.
반응용기(100)는 전해 용액(110)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교반기는 반응용기(100) 내부의 하부에 배치된 마그넷 조각(160)을 반응용기(100)의 외부에 배치된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용기(100)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전극(131,132)을 지지하기 위한 전극지지 하우징(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전극지지 하우징은 제1 및 제2 전극(131,132)을 절연상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전극(131,132)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전극(131,132)에는 전기분해에 필요한 교류(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 전원장치(150)가 연결되어 있다.
교류 전원장치(150)는 제1 및 제2 전극(131,132)에 미리 설정된 파형과 주파수를 가지며 미리 원하는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설정할 수 있는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전원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교류 전원의 파형은 예를 들어, 싸인파(sine wave), 구형파(square wave), 삼각파(triangle wave), 톱니파(sawtooth wave) 등의 모든 파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지 생성되는 금속 나노입자의 수율(yield)과 입자의 형상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상술된 전극지지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반응용기(100) 내부로 환원제를 투입하기 위한 환원제 투입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환원제 투입구에 환원제 투입관이 삽입되어 있고, 환원제 투입관은 전기분해 반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도록 환원제(310)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장치(300)에 연결되어 있다.
즉, 환원제 공급장치(300)는 환원제(310)를 보관하는 환원제 탱크(320)와, 환원제 투입관에 설치되어 환원제(130)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펌프(33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환원제로는 히드라진(hydrazine: N2H4), 차아인산 나트륨(sodium hypophosphite: NaH2PO2),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NaBH4), 디메틸아민 보란(DMAB: dimethylamine borane: (CH3)2NHBH3),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HCHO), 및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환원제는 친환경 환원제로서 예컨대, 히드라진(Hydrazine)과 같은 유기물 이온 환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물 이온 환원제는 반응 중 질소 가스와 물을 생성하여 모두 소모됨으로 반응 종결 후에는 유해하지 않다.
그리고, 분산제가 계면활성 기능을 갖거나, 또는 유기계 용매에 계면활성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 기능 또는 계면활성제는 유기계 용매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수계의 전해 용액에서 생성된 금속 나노입자를 유기계 용매로 이동하게 한다.
계면활성제는 유기계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황산 도데실 나트륨(sodium dodecylsulfate), 디부틸세바케이트(dibutyl sebacate), 테트라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octylammonium bromide, 헥사데실피리디움 클로라이드 모노하이드레이드(hexadecylpyridium chloride monohydrate), 치오글라이콜릭애시드(thioglycolic acid)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초순수(DI-water)는 수돗물이나 생수에 상존하는 음이온 및 양이온이 거의 없는 3차 증류수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계의 전해 용액과 유기계 용매로 이루어진 2층의 2상 구조를 반응용기 내에 배치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전해 용액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금속 나노입자를 전해 용액에서 유기계 용매로 이동시켜, 후술된 바와 같이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유기계 용매에 잉크 용매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서 유기계 용매를 분별 증류로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원심 분리 및 비드 밀링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 공정상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을 줄이고, 제조 공정 수 및 제조 시간을 단축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 제조장치에서 금속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반응용기(100) 내부의 제1 및 제2 전극(131,132)에 교류 전원을 인가한다. 제1 전극(131)은 애노드(Anode)이고, 제2 전극(132)은 캐소드(Cathode)로, 전해 용액(110)에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이온(171)을 생성한다. 환원제 공급장치에서 환원제가 연속적으로 전해 용액(110)에 공급되고, 공급되는 환원제에 의해 생성된 금속 이온(171)은 환원되어 금속 나노입자(172)로 형성된다. 형성된 금속 나노입자(172)는 분산제의 계면활성 기능, 또는 유기계 용매에 포함된 계면활성제에 의해 수계의 전해 용액에서 유기계 용매(120)로 이동한다.
여기서, 유기계 용매(120) 내에서 분산제에 캡핑된 상태로 금속 나노입자(173)는 분산된다. 즉, 분산제는 유기계 용매에서 금속 나노입자가 전극으로 되돌아가서 부착되거나 금속 나노입자 간의 응집 작용으로 침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캡핑(capping)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은 먼저, 전해질이 초순수에 용해되어 있고, 반응용기 하부에 채워진 전해 용액에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이온을 생성한다(S100). 이공정은 전해 용액에 위치된 제1 및 제2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해 용액에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은 직류(DC) 전원 또는 교류(AC) 전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교류 전기분해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 다음, 생성된 금속 이온을 환원시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한다(S110). 그후, 반응용기 상부에 채워져 있고,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는 유기계 용매로 금속 나노입자를 이동시킨다(S120). 이때, 형성된 금속 나노입자를 분산제의 계면활성 기능, 또는 유기계 용매에 포함된 계면활성제에 의해 수계의 전해 용액에서 유기계 용매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반응용기는 전해질이 초순수에 용해된 전해 용액, 및 그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고,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고, 분산제가 계면활성 기능을 갖거나, 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기계 용매가 채워져 있고, 유기계 용매를 통과하여 전해 용액 내에 합성하고자 하는 금속 나노입자와 같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전극이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전해 용액에 환원제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유기계 용매에 포함하는 분산제로 이동된 금속 나노입자를 분산(S130)시킨 후, 전해 용액을 제거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유기계 용매를 추출한다(S140).
계속, 추출된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유기계 용매에 잉크 용매를 혼합(S150)하여 교반한 후, 분별 증류(fractional distillation)를 수행하여 유기계 용매를 제거하고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잉크 용매를 추출한다(S160). 즉, 유기계 용매와 잉크 용매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별 증류로 유기계 용매를 잉크 용매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기계 용매로 비등점이 110℃인 톨루엔을 적용하고, 잉크 용매로 비등점이 250℃인 TGME(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용매를 적용한 경우, 비등점이 낮은 톨루엔을 분별 증류로 증발시키면,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TGME만 남아 있게 됨으로써,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가 쉽게 제조된다.
여기서, 유기계 용매는 잉크 용매의 비등점 보다 낮은 비등점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은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이온을 생성하고(S200), 생성된 금속 이온을 환원시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S210)한 다음,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는 잉크 용매로 금속 나노입자를 이동시키고(S220), 이동된 금속 나노입자를 잉크 용매에 포함하는 분산제로 분산(S230)시킨 후, 분별 증류를 수행하여 전해 용액을 제거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잉크 용매를 추출한다(S240).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장치는 전해질이 초순수에 용해된 전해 용액, 및 그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고,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고, 분산제가 계면활성 기능을 갖거나, 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잉크 용매가 채워져 있는 반응용기; 상기 전해 용액 내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전극; 전기분해 반응을 위해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상기 전해 용액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전기반응에 의해 금속 나노이온을 생성하고, 금속 나노이온을 환원시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하고, 금속 나노입자를 잉크 용매에 이동시킨 다음, 분별 증류에 의해 전해 용액을 증발시키면, 잉크 용매에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를 제조하게 되는 것으므로, 제조 공정이 제1실시예보다 간단하여 제조 비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잉크 용매로는 초순수와 섞이지 않는 옥틸 알코올(octyl alcohol)와 같은 알코올류와,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트라이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TGME),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methyl ether acetate) 등의 글리콜류와, 글리세린(glycerine), 메탄(methane),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부탄(butane),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노난 (nonan), 데칸 (decane), 언데칸 (undecane), 도데칸 (dodecane) 등의 알킬계와, 싸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심 분리 및 비드 밀링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 공정상 금속 나노입자의 손실을 줄이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100:반응용기 110:전해 용액
120:유기계 용매 131,132:제1 및 제2 전극
150:교류 전원장치 160:마그넷 조각
171:금속 이온 172:금속 나노입자
300:환원제 공급장치 310:환원제
320:환원제 탱크 330:펌프

Claims (13)

  1. (a) 전기분해용 반응용기의 하부에 채워지고 전해질이 초순수에 용해되어 있는 전해 용액의 전기분해에 의해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금속 이온을 환원제로 환원시켜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반응용기 상부에 채워져 있고, 상기 전해 용액과 계면을 이루는 유기계 용매로 금속 나노입자를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유기계 용매에 포함되며,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분산제로 상기 이동된 금속 나노입자를 분산시키는 단계;
    (e) 상기 전해 용액을 제거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유기계 용매를 추출하여 얻는 단계;
    (f) 상기 추출된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유기계 용매에 잉크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및
    (g) 분별 증류(fractional distillation)를 수행하여 상기 유기계 용매를 제거하고,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잉크 용매를 추출하여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황산 도데실 나트륨(sodium dodecylsulfate), 디부틸세바케이트(dibutyl sebacate), 테트라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octylammonium bromide, 헥사데실피리디움 클로라이드 모노하이드레이드(hexadecylpyridium chloride monohydrate), 치오글라이콜릭애시드(thioglycolic aci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질산, 포름산(form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타타르산(tatar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헥산산(hexanoic acid)으로 구성되는 산, 상기 산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NH3), 트리에틸아민(TEA: triethyl amine), 및 피리딘(pyridine)의 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BYK Chemie사의 Byk™, Evonik사의 Tego™, Lubrizol사의 Solsperse™, Tamo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히드라진(hydrazine: N2H4), 차아인산 나트륨(sodium hypophosphite: NaH2PO2),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NaBH4), 디메틸아민 보란(DMAB: dimethylamine borane: (CH3)2NHBH3),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HCHO), 및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용매는 상기 잉크 용매보다 비등점이 낮은,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03336A 2013-08-29 2013-08-29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KR10168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36A KR101685059B1 (ko) 2013-08-29 2013-08-29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36A KR101685059B1 (ko) 2013-08-29 2013-08-29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96A KR20150025596A (ko) 2015-03-11
KR101685059B1 true KR101685059B1 (ko) 2016-12-09

Family

ID=5302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36A KR101685059B1 (ko) 2013-08-29 2013-08-29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47B1 (ko) 2015-10-27 2017-04-13 (주) 나노기술 금속 나노입자 제조장치
CN110586952B (zh) * 2018-06-22 2022-06-24 天津理工大学 纳米金属粉及其导电油墨的室温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01655A1 (en) * 2007-10-09 2009-04-16 Nanomas Technologies, Inc. Conductive nanoparticle inks and pastes and applications using the same
KR101334877B1 (ko) * 2009-09-18 2013-11-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교류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77056B1 (ko) 2011-06-14 2014-03-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9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Metal particle-free inks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KR101633152B1 (ko) 인쇄법용 잉크 및 그에 이용되는 금속 나노 입자, 및 배선, 회로 기판, 반도체 패키지
CN102558954B (zh) 一种适用于印制电子的纳米铜油墨的制备方法
KR101685059B1 (ko)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제조방법
JP2010059535A (ja) 銅ナノ粒子の低温還元焼結のための還元剤及びこれを用いた低温焼結方法
KR20160013261A (ko) 무전해 구리 도금용 전처리액 및 무전해 구리 도금방법
JP2016066800A (ja) 基板上に導体が配列された装置および導体を形成する方法
JP5772539B2 (ja) 酸化銅ペースト及び金属銅層の製造方法
JP2016138314A (ja) 微細構造へのめっき方法
EP3248713B1 (en) Electroconductive microparticles
Rivera et al. Ultra-fast extraction of metals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high power ultrasound in a calcium chloride-based deep eutectic solvent
JP2014051569A (ja) 導電性銅インク組成物
JP5369456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低粘度分散液
JP2013008907A (ja) 導電性ペースト用酸化銅粉末、導電性ペースト用酸化銅粉末の製造方法、導電性ペースト及び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銅配線層
JP5024521B2 (ja) 高温高濃度過硫酸溶液の生成方法および生成装置
WO2013141174A1 (ja) 導電インク、導体付き基材及び導体付き基材の製造方法
US9499913B2 (en) Electroless deposition of continuous platinum layer using complexed Co2+ metal ion reducing agent
CN204982050U (zh) 一种碱性蚀刻液氨气回收装置
KR20160000872A (ko) 수중방전을 이용한 구리 나노입자와 나노잉크의 제조방법
KR101808745B1 (ko)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6365544B2 (ja) 金属ナノ粒子の連続的な製造方法
KR101472634B1 (ko) 금속 나노입자 및 그 표면 처리 방법
KR101333342B1 (ko) 금속 분말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
JP6152744B2 (ja) 金属ナノ粒子の製造方法
WO2021090893A1 (ja) 導電性パターン付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