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52B1 -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852B1
KR101683852B1 KR1020100061324A KR20100061324A KR101683852B1 KR 101683852 B1 KR101683852 B1 KR 101683852B1 KR 1020100061324 A KR1020100061324 A KR 1020100061324A KR 20100061324 A KR20100061324 A KR 20100061324A KR 101683852 B1 KR101683852 B1 KR 10168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orce
rear wheel
hydraulic press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39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한 제동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제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전기적 신호로 모터에 전달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모터구동력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동력을 전륜에 전달하는 전륜 제동부;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해서만 제동유압이 제공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후륜제동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를 제공하여, 높은 제동력을 요구하는 전륜에는 전동식 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제동력을 요구하는 후륜에는 유압식 제동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엔진의 부압을 이용하는 배력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제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Hybrid brak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차량의 제동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동방식을 이용하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동장치란, 운동하고 있는 기계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차량의 제동장치는 일반적으로, 유압식 제동장치와 전동식 제동장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유압식제동장치란,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배력장치에 의하여 배력한 후, 마스터 실린더에 전달하고, 마스터 실린더에서는 제동유압을 전륜 및 후륜에 위치한 제동 실린더에 전달하여 전륜 및 후륜과 함게 회전하는 디스크 또는 드럼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뜻한다.
이러한, 유압식제동장치는 제동력이 크고 안정성이 좋으나, 정밀하게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장착부품들이 증가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한편, 전동식 제동장치란,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전기적 신호로 해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륜 및 후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에 마찰재를 가압합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뜻한다.
이러한, 전동식 제동장치는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보급화가 진행됨에 따라, 최근에는 유압식제동장치를 대신하는 제동장치로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전동식 제동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전동식 제동장치는 빠른 응답특성으로 인하여 제동효율면에서 우수한 특징을 가지며, ABS(Anti- lock B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ESP(Electronic Stability Process)와 같은 차량의 전자시스템과 연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차량에 있어서, 이러한 제동장치는 운전자의 생명과 연관되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제동장치의 안정성은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어야 한다.
동시에, 제동효율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엔진기술발달에 따라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차량을 제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데, 갈수록 연료소비효율을 중시하는 자동차 업계를 고려할 때, 최대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제동 시스템이 요구된다.
때문에, 차량의 제동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제동효율을 극대화하여 제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가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 대응하여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안전한 제동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제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전기적 신호로 모터에 전달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모터구동력으로 제1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제동력을 전륜에 전달하는 전륜 제동부;와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해서만 제동유압이 제공되어 제2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제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후륜제동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륜제동부는, 페달과 직접 접속되어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그대로 전달받고, 후륜 캘리퍼에 제동유압을 제공하는 마스터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륜에 설치된 센서그룹으로부터 오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후륜에 제동유압을 보완하는 제동유압보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동유압보완부는, 후륜 캘리퍼와 연결되고, 제동유체(制動流體)가 충진된 축압기와 상기 축압기에 연결되어 후륜 캘리퍼에 제동유압 송급력을 부가하는 펌프와 상기 후륜 캘리퍼와 축압기 사이의 연결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라인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온.오프 및 상기 제어밸브의 개방 및 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륜제동부는, 모터와 제동대상체 사이에 설치되고, 자기 배력을 갖도록 웨지형상을 갖는 가압부재를 통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는, 높은 제동력을 요구하는 전륜에는 전동식 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제동력을 요구하는 후륜에는 유압식 제동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엔진의 부압을 이용하는 배력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제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후륜의 제동유압을 보완하는 제동유압보완부를 마련하여, 차량의 제동 안전성을 더욱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배력장치가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일실시예에 구성되는 제동유압보완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제동유압보완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제동유압보완부에 의해 제동유압이 보완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동시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특징에 관하여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중심이 노면보다 높기 때문에, 제동시에 전방으로 회전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전륜의 부하가 증가하고, 후륜의 부하가 감소하는 동적인 부하전달이 발생한다.
이러한 부하전달로 인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일한 제동압력을 가하더라도 전륜과 후륜사이의 노면과 접지력 차이 때문에, 후륜의 슬립이 전륜보다 커지게 되어 차량의 안전성을 해치게 된다.
보통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륜의 제동력과 후륜의 제동력의 비율을 조절하여 제동시 조향성 및 차체방향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안전성 및 제동효율을 위해서는 전륜에 많은 제동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 배분 구조에 기초하여 높은 제동력을 요구하는 전륜에는 제동성능이 뛰어난 전동식 제동장치를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제동력을 요구하는 후륜에는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유압식 제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기본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배력장치가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100)는 전륜제동부(110)와 후륜제동부(120)와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전륜제동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제동부(110)는 전륜(F)과 차량의 페달(P)사이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륜(F)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전륜제동부(110)는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해 발생되는 페달의 변위를 페달에 설치된 변위센서로부터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ECU(Electric Control Unit) 또는 HECU(Hydraulic Electric Control Unit)와 같은 제어부(140)에 전달하며, 제어부(140)는 해당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각 전륜의 마찰패드와 연결된 모터(M)에 인가하고, 모터(M)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적 구성으로, 전륜(F)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에 마찰패드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륜(F)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동장치를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식 제동장치라 한다.
본 발명의 마찰패드의 가압구조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크의 일측면, 양측면 또는 원주면을 가압하여 제동을 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모터(M)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적 구성 또한, 차체 형상이나 주행조건 및 제동효율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구성을 가지는 전륜제동부(110)는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제동거리 단축은 물론, 빗길이나 빙판길에서도 떨림이나 미끄럼 없는 부드러운 제동수행이 가능하고, 유압식으로 구성되는 제동부에 비해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륜제동부(110)를 전기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차량의 전륜부근에 설치되었던 후술할 부스터(booster) 및 유압라인을 제거하여, 차량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 전륜 공간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기존의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제공하는 만큼의 제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모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실시예의 상기 전륜제동부(110)에서는 자기배력효과를 가진 웨지(wedg)형상의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제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여기서, 자기배력(Self Reinforcement)이란, 디스크의 회전에너지를 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하여 제동력을 높이는 것으로, 제동면과 경사면을 갖는 웨지 형상 구조로 인하여, 가압부재가 디스크의 회전방향으로 따라 움직이려는 힘이 제동력에 부가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웨지(wedg)형상의 가압부재는 모터와 마찰패드 사이에 설치되고, 제동면과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가진다. 이러한 가압부재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역학적 기구수단의 형태와 경사면의 형태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륜제동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제동부(110)는 후륜(R)과 차량의 페달(P)사이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그대로 제동유압으로 변환하고, 각 후륜에 설치된 캘리퍼(122)내부의 제동실린더(미도시)에 전달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후륜(F)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답력(踏力)이 페달(P)에서 마스터 실린더(121)로 전달되고, 마스터 실린더(121)에서 제동유압을 각 후륜(F)까지 설치된 유압라인을 따라 캘리퍼(122)내부의 제동실린더까지 송급하여, 전륜(F)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또는 드럼에 마찰패드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후륜(R)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후륜제동부(120)는, 도 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도 2의 A에 위치하는 부스터와 같은 배력장치가 제거되고, 페달(P)과 마스터 실린더(121)가 푸쉬로드(C)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때문에,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해서만 후륜(R)을 제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부스터란, 차량 엔진의 부압을 이용하여 페달(P)을 밟을 때, 마스터 실린더(121)에 가해지는 힘을 배력시키는 장치로서, 운전자의 작은 답력(踏力)에도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진공식 부스터는 원통형 하우징 내부가 다이아프램으로 전.후 공간으로 구획되고, 전방공간이 엔진의 흡기매니폴드와 연통되거나 별도의 펌프와 연통되어 필요시 진공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공간의 진공상태와 후방공간의 대기압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힘을 마스터 실린더(121)에 전달하는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식 부스터는 엔진의 흡기매니폴드의 부압 또는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여 하기 때문에, 제동시에 에너지 소모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식 제동장치를 낮은 제동력이 요구되는 후륜에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부스터와 같은 배력장치를 제거하여, 제동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후륜제동부(120)는 차량전체의 연비를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비교적 큰 부피를 갖는 부스터를 제거하고, 이에 따른 배관을 제거함으로써, 차량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 전륜 공간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전륜(F)과 달리 후륜(R)에는 위와 같은 유압방식의 제동구성을 갖는 별도의 후륜제동부(120)를 구비하여, 전기적 신호 오류에 따른 비상시에도 후륜(R)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차량전체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동유압보완부(130)와 더불어 자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상기 후륜제동부(120)는 제동력 배분 비중이 낮은 후륜에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배력과정없이 제동유압을 전달하기 때문에, ECU 또는 HECU에서는 전체 차량의 제동력 배분관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후륜제동부(120)를 고려하여 전륜 제동부(110)의 동작 기준값을 설정하고,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동유압보완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의 일실시예에 구성되는 제동유압보완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동유압보완부(130)는 상술한 전륜제동부(110)에 보완적으로,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한 제동력에 더하여 후륜(R)에 제동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제동유압보완부(130)는 전륜(F)에 설치된 센서그룹(S)으로부터 오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륜제동부(110)의 제동성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페달(P)에 의한 제동력 이외에, 차량이 요구하는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후륜의 캘리퍼(122)내의 제동실린더에 제동유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센서그룹(S)이란, 전륜(F)의 회전속도, 회전위치 및 제동압(이하, 전륜의 동작 데이터라 한다.)과 모터의 회전에 대응한 직선운동하는 기구들의 변위 및 이에 따른 마찰재와 가압부재등의 변위(이하, 모터의 동작 데이터라 한다.)를 검출하는 센서들을 뜻한다.
그리고, 오류감지신호란, 상술한 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전륜의 동작데이터와 모터의 동작데이터들과, 후술할 제어부(140)의 입력데이터(모터의 토크, 회전각 변위등)에 대응하는 기준출력값(전륜의 동작데이터와 모터의 동작데이터들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허용오차를 벗어난 오차가 발생할 때, 생성되는 신호를 뜻한다.
상기 제동유압보완부(130)는 상술한 오류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동작신호를 인가받으면, 보완적으로 제동유압을 공급한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제동유압보완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제동유압보완부에 의해 제동유압이 보완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제동유압보완부(130)는 도 4 및 도 5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바람직하게는 축압기(131)와 펌프(132) 및 제어밸브(13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에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술한 후륜제동부(120)와 연결된 유압라인에 배치되는 각종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센서들은 생략한 것으로,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 축압기(131)는 내부에 제동유체(制動流體)가 일정한 초기압력으로 충진된 탱크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경우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스프링방식이나, 내부에 고무주머니(bladder)가 설치되는 블레더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축압기(131)는 후륜 캘리퍼(122)의 제동실린더와 유압라인으로 연결된다.
상기 펌프(132)는 상기 축압기(131) 및 후륜 캘리퍼(122)와 연결되어 후륜 캘리퍼(122)에 제동유체(制動流體)가 송급될 수 있도록 송급력을 부가한다.
상기 제어밸브(133)는 상기 후륜 캘리퍼(122)와 축압기(131) 사이에 위치하는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밸브(133)는 전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후술할 제어부(140)의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동유압보완부(13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펌프(132)의 온.오프 및 상기 제어밸브(133)의 개방 및 차단은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조절된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밸브(133)가 상기 후륜 캘리퍼(122)와 축압기(131)사이에 위치하는 유압라인을 오프상태로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센서그룹(S)에서 오류감지신호가 입력되고, 오류감지신호의 타당성을 판단하여, 비상상황이라고 인식하면, 먼저 상기 제어밸브(133)들을 온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유압라인을 개방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펌프(132)를 구동시켜 상기 후륜 캘리퍼(122)에 제동유체(制動流體)를 강제적으로 송급함으로써, 후륜(R)에 제동유압을 보완적으로 공급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는 전기적 오류, 구동 소프트웨어, 또는 모터등의 하드웨어적 오류에 의하여 전륜(F)제동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한 후륜(R)제동력을 보완하여 추가적인 제동력을 부가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페달(P)의 위치변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륜제동부(110)의 모터(M)를 제어하여,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전륜(F)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술한 센서그룹(S)으로부터 전송된 오류감지신호의 타당성을 판단하고, 상기 전륜제동부(110)에 문제가 발생되어서 비상상황이라 판단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유압보완부(130)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에 설치된 각 ECU(Electric Control Unit) 또는 HECU(Hydraulic Electr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 통괄적인 개념의 구성요소로서,
페달(P)에 설치된 변위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모터(M)를 제어하여 제동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륜제동부(110)가 최적화된 제동성능을 갖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전륜제동부 120 : 후륜제동부
121 : 마스터 실린더 122 : 후륜 캘리퍼
130 : 제동유압보완부 131 : 축압기
132 : 펌프 133 : 제어밸브
140 : 제어부

Claims (5)

  1.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전기적 신호로 모터에 전달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모터구동력으로 제1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제동력을 전륜에 전달하는 전륜 제동부;
    운전자의 답력(踏力)에 의해서만 제동유압이 제공되어 제2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제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후륜제동부;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제동부는,
    모터와 제동대상체 사이에 설치되고 자기 배력을 갖도록 웨지형상을 갖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를 통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후륜제동부는,
    페달과 직접접속되어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그대로 전달받고, 후륜 캘리퍼에 제동유압을 제공하는 마스터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페달과 상기 마스터 실린더가 푸쉬로드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에 설치된 센서그룹으로부터 오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후륜에 제동유압을 보완하는 제동유압보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제동유압보완부는,
    후륜 캘리퍼와 연결되고, 제동유체(制動流體)가 충진된 축압기;
    상기 축압기에 연결되어 후륜 캘리퍼에 제동유압 송급력을 부가하는 펌프;및
    상기 후륜 캘리퍼와 축압기 사이의 연결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라인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온.오프 및 상기 제어밸브의 개방 및 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5. 삭제
KR1020100061324A 2010-06-28 2010-06-28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KR10168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24A KR101683852B1 (ko) 2010-06-28 2010-06-28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24A KR101683852B1 (ko) 2010-06-28 2010-06-28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39A KR20120000839A (ko) 2012-01-04
KR101683852B1 true KR101683852B1 (ko) 2016-12-20

Family

ID=4560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24A KR101683852B1 (ko) 2010-06-28 2010-06-28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47B1 (ko) 2014-04-25 2015-07-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544B1 (ko) * 2007-03-28 2008-10-1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복합제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644A (ja) * 1993-10-25 1995-05-09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輌のブレーキシステム
KR970020817A (ko) * 1995-10-31 1997-05-28 한승준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JP3535345B2 (ja) * 1997-06-16 2004-06-07 日信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544B1 (ko) * 2007-03-28 2008-10-1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복합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39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4526A1 (zh) 电液耦合线控助力制动***及方法
JP5960461B2 (ja) ブレーキ装置
CN102256839B (zh) 用于机动车的制动装置以及用于其控制的方法
JP5107075B2 (ja) 制動装置
EP2615004B1 (en) Vehicle brak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brake device
CN113966290B (zh) 制动***和制动***的控制方法
CN102991479A (zh) 用于混合动力电动车辆的再生制动***及相应方法
JP2009541132A (ja) 組み合わせ車両ブレーキ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US20150061362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US20160272176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12007392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a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475475B2 (en) Hydraulic brake system
CN102164792A (zh) 具有能液压和机电致动的轮制动器的混合式车辆制动***
JP2014051285A (ja) 自動車の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油圧装置、並びにブレーキ装置の操作方法
US20140346851A1 (en) Brake device
JP5807805B2 (ja) 車両の回生ブレーキ制御装置
CN106004826A (zh) 用于新能源汽车再生制动的半解耦制动***
JP2007276683A (ja)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683852B1 (ko) 차량용 복합식 제동장치
JP5287672B2 (ja) 制動制御装置
KR101294126B1 (ko) 회생 제동 시스템
JP2015110361A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CN101758824B (zh) 用于控制再生的液压制动装置的方法和再生的液压制动装置
KR20150099937A (ko)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CN103847711A (zh) 助力制动***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