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823B1 - Adhesive tapes - Google Patents

Adhesive ta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823B1
KR101680823B1 KR1020150022242A KR20150022242A KR101680823B1 KR 101680823 B1 KR101680823 B1 KR 101680823B1 KR 1020150022242 A KR1020150022242 A KR 1020150022242A KR 20150022242 A KR20150022242 A KR 20150022242A KR 101680823 B1 KR101680823 B1 KR 10168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s
adhesive tape
patter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9929A (en
Inventor
곽영진
박영규
김재우
최요석
장주영
Original Assignee
(주)애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원 filed Critical (주)애니원
Priority to KR102015002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823B1/en
Publication of KR2016009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9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07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2201/12
    • C09J220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09J2205/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 및 기재층 상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점착층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제1 채널들 및 제2 채널들을 포함하는 주 채널들, 및 제1 채널들 및 상기 제2 채널들의 교차 영역에서 분기되어 확장되는 서브 채널을 포함한다. 서브 채널 확장을 통해 충격 흡수 및 기포 배출을 위한 공간이 추가로 확보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includes a base lay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base layer. The adhesive layer includes mai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hannels and second channel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subchannels branched from the first channels and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second channels. Sub-channel expansion can provide additional space for shock absorption and bubble discharge.

Description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S}Adhesive Tape {ADHESIVE TAPES}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tap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tructured adhesive tape.

최근 모바일 폰,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패널(TSP) 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 있어서, 부품들의 접합 혹은 적층을 위해 예를 들면,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한 점착 테이프가 적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displays, touch screen panels (TSP), and the like, adhesive tapes includ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are applied for bonding or laminating components.

상기 점착 테이프가 상기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향상된 점착력과 함께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물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포함되는 점착층의 조성 및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 When the adhesive tape is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physical properties for absorbing an external impact are required together with an improved adhesive force. Accordingly, efforts have been made to optimize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tape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adhesive tape.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점착층 내부에 필러를 삽입한 양면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double-sided tape in which a filler is inserted into an adhesive layer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71361호(2014.12.11)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71361 (Dec. 11, 2014)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내충격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tape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 및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제1 채널들 및 제2 채널들을 포함하는 주 채널들, 및 상기 제1 채널들 및 상기 제2 채널들의 교차 영역에서 분기되어 확장되는 서브 채널을 포함한다.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includes mai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hannels and second channel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subchannels branched and extended in an intersection region of the first channels and the second channel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교차 영역 마다 정의된 엠보-셀(embo-cell)을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tacky layer may comprise an emboss-cell defined for each of the intersecting region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엠보-셀은 상기 주 채널 및 상기 서브 채널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엠보-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패턴, 및 상기 중앙 패턴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주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emboss-cell may include protrusions defined by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and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central patter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mboss-cell,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s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은 사각형 상면의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변 패턴은 사다리꼴 상면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enter pattern may have a columnar top surface, and the peripheral pattern may have a trapezoidal top surfac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또는 상기 제2 채널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엠보-셀 내부로 확장되는 분기 채널들, 및 상기 엠보-셀 내부에서 상기 분기 채널들과 병합되어 상기 분기 채널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병합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ubchannel is branched from the first channel or the second channel and extends into the embo-cell, and merges with the branch channels in the embo-cell And a merging channel for connecting the branch channels to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분기 채널들은 각각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의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branch channels may each extend from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은 상기 병합 채널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변 패턴은 상기 주 채널, 상기 분기 채널 및 상기 병합 채널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enter pattern may have a shape surrounded by the merge channel. The peripheral pattern may have a shape surrounded by the main channel, the branch channel, and the merge channe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의 너비 대비 상기 주 채널의 너비의 비율은 약 1.5 내지 약 2 범위일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subchannel to the width of the main channel may range from about 1.5 to about 2.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 대비 상기 서브 채널의 너비의 비율은 약 5/4 내지 약 5 범위일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subchannel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may range from about 5/4 to about 5.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엠보-셀에 있어서 상기 주 채널 및 상기 서브 채널의 총 부피 대비 상기 돌출부의 총 부피의 비율은 약 1 내지 약 1.3 범위일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ratio of the total volume of the protrusions to the total volume o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s in one emboss-cell may range from about 1 to about 1.3.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감압성 점착제(PSA)를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ubstrate layer comprises a plastic material, and the adhesive layer may compris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을 구획하는 채널부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부는 엠보 셀을 정의하는 주 채널 및 상기 주 채널부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채널이 상기 주 채널로부터 확장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점착 테이프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점착 테이프의 부착 공정시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tape includes projections and includes a channel portion that defines the projections. The channel unit may include a main channel defining an embossed cell and a subchannel branched from the main channel unit. The subchannels can be radially extended from the main channel, thereby effectively dispers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adhesive t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adhesive tape whil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bubbles in the step of adhering the adhesive tape.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일 엠보-셀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n embo-cell of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respectively.
5 is a process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 및 도 2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I-I'라인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1 and 2 are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of the line I-I 'in Fig. 1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기재층(100a)의 제1 면(100a) 또는 제2 면(100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두 방향을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1 and FIG. 2, two direction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00a or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base layer 100a an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r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efin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100) 상에 적층된 점착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adhesive tape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110 stacked on a substrate layer 100.

기재층(100)은 상기 점착 테이프의 지지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기재층(100)은 점착성 및 박리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100)은 예를 들면,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계열, 폴리카보네이트 계열, 폴리이미드 계열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layer 100 may be provided as a support layer of the adhesive tape. The base layer 10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and peelability. The substrate layer 100 may include plastic materials such as polyester-based, polycarbonate-based, polyimide-based, and the like,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재층(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층(110)의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은 각각 기재층(110)의 상면 및 저면에 대응될 수 있다.The substrate layer 100 may include a first side 100a and a second side 100b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base layer 110 may correspond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base layer 110, respectively.

점착층(110)은 예를 들면 기재층(100)의 제1 면(100a)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점착층(110)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층(110)은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base layer 100,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n acrylic or silicone adhesive. In some embodiments, the tackifier layer 110 may be formed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층(110)은 상부에 돌출부(120) 및 채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0) 및 상기 채널부는 점착층(110)의 상기 상부에 각각 복수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adhesive layer 110 may include a protrusion 120 and a channel portion at the top. The projec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portion may be regularly arranged in plur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110, respectively.

돌출부(120)는 중앙 패턴(123) 및 중앙 패턴(123)을 둘러싸는 주변 패턴(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부는 주 채널(130) 및 서브 채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20 may include a center pattern 123 and a peripheral pattern 125 that surrounds the center pattern 123. The channel portion may include a main channel 130 and a subchannel 14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 채널(130)은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primary channel 130 may include a first channel 133 and a second channel 135. The first channel 133 and the second channel 135 may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채널(133)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채널(135)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hannels 133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b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channels 135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채널들(133) 및 제2 채널들(135)이 서로 교차하면서 교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부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된 엠보-셀(embo-cell)이 정의될 수 있다.Thus, the intersections are formed with the first channels 133 and the second channels 135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For each of the intersections, for example, an embo- cell can be defined.

상기 엠보-셀 마다 중앙 패턴(123) 및 주변 패턴(125)을 포함하는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셀 마다 하나의 중앙 패턴(123) 및 중앙 패턴(123) 주위에 배열된 4개의 주변 패턴들(125)이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120 including a center pattern 123 and a peripheral pattern 125 may be formed for each embossed cell. 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1, one center pattern 123 for each emboss-cell and four surrounding patterns 125 arranged around the center pattern 123 may be formed .

중앙 패턴(123) 및 주변 패턴(125)은 각각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앙 패턴(123)의 상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변 패턴(125)의 상면은,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enter pattern 123 and the peripheral pattern 125 may each have a polygonal columnar shape. In some embodiments, the top surface of the central pattern 123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for example, a square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attern 125 may have, for example, a trapezoidal shape.

이 경우, 주변 패턴(125)의 상기 상면은 윗변, 밑변 및 2개의 빗변들을 포함하며, 주변 패턴(125)의 상기 상면의 윗변은 중앙 패턴(123)의 상기 상면의 일 변과 실질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패턴(123) 주위로 4개의 주변 패턴들(125)이 실질적으로 중앙 패턴(123)을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attern 125 includes an upper side, a base and two hypotenuses, a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attern 125 is substantially oppos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attern 123 . Thus, four peripheral patterns 125 around the center pattern 123 can be arranged to substantially surround the central pattern 123. [

하나의 상기 엠보-셀 마다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로부터 분기되어 확장되는 서브 채널(140)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채널(140)에 의해 상기 엠보-셀에 포함된 돌출부(120)가 서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A subchannel 140 branched from the first channel 133 and the second channel 135 may be formed for each emboss-cell. The protrusions 120 included in the emboss-cell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sub-channel 140.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을 포함하는 주 채널(130)에 의해 상기 엠보-셀이 구획되며, 상기 엠보-셀 내부에서는 서브 채널(140)에 의해 돌출부(120)가 중앙 패턴(123) 및 주변 패턴(125)으로 구획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cell is divided by the main channel 130 including the first channel 133 and the second channel 135, and the sub-channel 140 is formed inside the embo-cell. The protrusion 120 can be partitioned into the center pattern 123 and the peripheral pattern 125.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브 채널(140)은 분기 채널(143) 및 병합 채널(145)로 구분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subchannel 140 may be divided into a branch channel 143 and a merge channel 145.

분기 채널(143)은 제1 채널(133) 또는 제2 채널(135)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엠보-셀 내부로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분기 채널(143)은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의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엠보-셀 마다 4개의 분기 채널들(143)이 형성될 수 있다.The branch channel 143 may have a shape branched from the first channel 133 or the second channel 135 and extending into the embo-cell. In some embodiments, the branch channel 143 may extend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channel 133 and the second channel 13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four branch channels 143 may be formed for one emboss-cell.

분기 채널(143)은 제1 채널(133) 또는 제2 채널(135)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대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기 채널(143)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 약 45도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The branch channel 143 may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hannel 133 or the second channel 135. In one embodiment, the branch channel 143 may exten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relative to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상기 엠보-셀의 중앙부에는 병합 채널(145)이 형성될 수 있다. 병합 채널(145)에 의해 상기 엠보-셀에 포함된 분기 채널들(143)이 서로 병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A merging channel 145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mboss-cell. The branch channels 143 included in the embo-cell may be mer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erge channel 145.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앙 패턴(123)은 병합 채널(14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패턴(123)은 사각형 상면을 가질 수 있으며, 병합 채널(145)은 사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엠보-셀에 포함된 주변 패턴들(125)의 빗변들은 분기 채널(14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entral pattern 123 may be surrounded by the merge channel 145.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pattern 123 may have a rectangular top surface, and the merging channel 145 may have a rectangular ring shape. The hypotenuses of the peripheral patterns 125 included in the emboss-cell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ranch channel 143 therebetween.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을 포함하는 주 채널(130)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상기 엠보-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엠보-셀은 점착 층(110)이 부착된 전자 제품과 같은 대상체 상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흡수하는 내충격 단위로서 기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comprise a plurality of the embo-cells defined by the main channel 130 including the first channel 133 and the second channel 135 have. The emboss-cell can function as an impact resistant unit that absorbs impacts on a target object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to which the adhesive layer 110 is attached.

상기 점착 테이프는 주 채널(130)로부터 상기 엠보-셀 내부로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서브 채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 층(110) 상기 대상체 상에 부착될 때 발생하는 기포, 불순물 가스 등의 배출 통로가 방사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140)에 의해 돌출부(120)가 팽윤될 수 있는 공간이 추가로 확보됨으로써 상기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may include a sub-channel 140 that extends radially from the main channel 130 into the emboss-cell. Accordingly, the discharge passage of bubbles, impurity gas, and the like that occurs when the adhesive layer 110 is adhered to the object can be radially expanded. Further, the space for swelling the projecting portion 120 by the sub-channel 140 is further secured, so that the impact resistance property of the adhesive tape can be further improved.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엠보-셀의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 or structure of the emboss-cell of the adhesive tap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 및 도 4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일 엠보-셀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n embo-cell of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respectively.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120)에 포함되는 중앙 패턴(123) 및 주변 패턴(125)의 너비는 각각 제1 너비(W1) 및 제2 너비(W2)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너비(W1)는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중앙 패턴(123) 상면의 한 변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너비(W2)는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주변 패턴(125) 상면의 높이(윗변 및 밑변 사이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3 and 4, the widths of the central pattern 123 and the peripheral pattern 125 included in the protrusion 120 may be expressed as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width W2, respectively. The first width W1 may be defined as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attern 123 having a square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width W2 may be defined, for example, as the height (length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attern 125 having a trapezoidal shape.

또한, 서브 채널(140)(분기 채널(143) 또는 병합 채널(145))의 너비는 제3 너비(W3)로 표시되며, 주 채널(130)(제1 채널(133) 또는 제2 채널(135))의 너비는 제4 너비(W4)로 표시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ubchannel 140 (the branch channel 143 or the merge channel 145) is represented by a third width W3, and the width of the main channel 130 (the first channel 133 or the second channel 135) may be expressed as a fourth width W4.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너비(W1) 및 제2 너비(W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너비(W1) 및 제2 너비(W2)는 각각 약 30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width W2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valu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width W2 may each have a value ranging from about 300 micrometers (m) to about 500 m.

주 채널(130)의 너비인 제4 너비(W4)는 서브 채널(140)의 너비인 제3 너비(W3)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fourth width W4, which is the width of the main channel 130, may be greater than the third width W3, which is the width of the subchannel 140.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3 너비(W3)의 값이 지나치게 줄어드는 경우 실질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돌출부(120)를 형성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제3 너비(W3)의 값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 돌출부(120)에 포함된 중앙 패턴(123) 및 주변 패턴(125)의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체에 대한 점착층(110)의 점착면이 감소되어 소정의 점착력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protrusion 120 having a substantially predetermined height if the value of the third width W3 is excessively reduced. When the value of the third width W3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height of the central pattern 123 and the peripheral pattern 125 included in the protrusion 120 may not be uniformly formed. In this case,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10 to the object may be reduced, so that the predetermined adhesive force may not be secured.

또한, 제4 너비(W4)의 값이 지나치게 줄어드는 경우, 기포 제거 및 돌출부(120) 팽창을 통한 충격 흡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엠보-셀들 간에 균일한 이격 거리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4 너비(W4)의 값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점착면이 감소되어 원하는 점착력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alue of the fourth width W4 is excessively reduced, the shock absorbing space due to bubble removal and expansion of the protrusion 120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Further, a uniform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emboss-cells may not be ensured. 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of the fourth width W4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adhesion surface may be decreased and the desired adhesion may not be secured.

상술한 측면을 고려하여, 제4 너비 대 제3 너비의 비율(W4/W3)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율은 약 1.5 내지 약 2 사이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Considering the above aspects,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ratio of the fourth width to the third width (W4 / W3), and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ratio can be adjusted to a range between about 1.5 and about 2 hav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너비(W3)은 약 50 ㎛ 내지 약 100 ㎛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4 너비(W4)는 약 100 ㎛ 내지 약 200 ㎛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width W3 may have a value between about 50 microns and about 100 microns. The fourth width W4 may have a value between about 100 [mu] m and about 200 [mu] 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높이는"h"로 표시될 수 있다. 돌출부(120)의 높이는 제3 너비(W3)와의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3 너비(W3) 대 높이(h)의 비율(W3/h)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 돌출부들(120)의 높이의 편차가 야기되어 점착면이 감소할 수 있다. 제3 너비(W3) 대 높이(h)의 비율(W3/h)이 지나치게 감소하는 경우 돌출부들(120)의 측벽(150) 프로파일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20 can be denoted by "h ".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2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with the third width W3. If the ratio (W3 / h) of the third width W3 to the height h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120 may be varied to reduce the adhesive surface. The profile of the sidewall 150 of the protrusions 120 may be non-uniformly formed when the ratio W3 / h of the third width W3 to the height h is excessively reduc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돌출부(120)의 높이(h)는 약 20 ㎛ 내지 약 40 ㎛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너비(W3) 대 높이(h)의 비율(W3/h)은 약 5/4 내지 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 120 may be set to a value between about 20 microns and about 40 microns. In this case, the ratio (W3 / h) of the third width (W3) to the height (h) may have a value between about 5/4 and 5.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측벽(150)은 기재층(100)의 제1 면(100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돌출부(120)의 측벽(150)은 기재층(100)의 제1 면(100a)에 대해 예를 들면, 약 60도 내지 약 90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sidewalls 150 of the protrusions 120 may have a profile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100a of the substrate layer 100. In some embodiments, the sidewalls 150 of the protrusions 120 may have a profile that is inclined at an angle between about 60 degrees and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100a of the substrate layer 10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엠보-셀 마다 돌출부(120)의 총 부피 및 상기 채널부의 총 부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점착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내충격성 및 기포 방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술한 너비들의 범위를 통해, 돌출부(120) 대 상기 채널부의 부피비는 약 1 내지 약 1.3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total volume of the protrusions 120 and the total volume of the channel portio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for each emboss-cell, thereby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bubble releasing characteristic while securing the adhesive strength. In some embodiments, through the range of widths described above, the volume ratio of the protrusions 120 to the channel portion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about 1 to about 1.3.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 및 상기 채널부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하여, 돌출부들(120)을 통한 접착 면적 확보, 및 상기 채널부를 통한 충격 분산/기포 방출 공간이라는 상충되는 두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widths and heights of the protrusions 120 and the channel portion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atisfy two conflicting effects of ensuring an adhesion area through the protrusions 120 and impact dispersion / bubble release space through the channel por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an be produced.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5 is a process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5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전사 패턴을 포함하는 주형을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10, a mold including a transfer pattern can be manufactured.

상기 전사 패턴이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점착 테이프에 형성될 돌출부(120) 및 상기 채널부로 변환될 이미지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The transfer pattern may mean a protrusion 120 to be formed on the adhesive tap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an image pattern to be converted into the channel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면 구리를 포함하는 필름 혹은 플레이트 상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전사 패턴의 이미지 혹은 레이-아웃을 인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채널부로 전사될 부분을 예를 들면, 습식 식각 처리 또는 부식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전사 패턴이 형성된 주형이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n image or a lay-out of the transfer pattern can be printed using a laser, for example, on a film or plate containing copper. Thereafter, the portion to be transferred to the channel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can be removed by, for example, wet etching or etching. Thus, a mold having the transfer pattern including a predetermined protruding pattern can be manufactured.

S20 단계에서, 상기 주형에 이형지를 합지하여 상기 전사 패턴을 상기 이형지로 인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형지는 상기 전사 패턴의 역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20, the transfer pattern may be printed on the release paper by laminating the release paper to the template. Accordingly, the release paper may include a reverse-phase pattern of the transfer pattern.

도 6을 참조하면, S20 단계에 따라 제조된 이형지(50)는 융기부(53) 및 오목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release paper 50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ep S20 may include a protrusion 53 and a recess 55.

이후, S30 단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50) 상에 PSA 조성물을 코팅하여 점착층(110)을 형성하고, 점착층(110) 상에는 예를 들면 PET 필름을 적층하여 기재층(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온도로 열처리를 통해 점착층(110)을 경화시킬 수 있다.6, a PSA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release paper 50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and a PET film, for example, is laminat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100) can be formed. Thereafter, the adhesive layer 110 can be cured through heat treatmen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층(110)의 코팅 전에 이형지(50)의 표면을 예를 들면, 실리콘(Si) 및/또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여 예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형지(50)의 후속 박리 공정을 촉진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50 may be pretreated with, for example, silicon (Si) and / or polyethylene (PE) before coating the adhesive layer 110. Accordingly, the subsequent peeling process of the release paper 50 can be promoted.

이형지(50) 상에 점착층(110)이 코팅 됨에 따라, 이형지(50) 상부에 형성된 상기 역상 패턴이 점착층(110) 내부로 인쇄 또는 전사될 수 있다. As the adhesive layer 110 is coated on the release paper 50, the reverse-phase pattern formed on the release paper 50 may be printed or transferred into the adhesive layer 110. [

이형지(50)의 융기부(53)가 전사된 점착층(110) 부분은 상기 채널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는 제1 채널(133) 및 제2 채널(135)을 포함하는 주 채널(130), 및 분기 채널(143) 및 병합 채널(145)을 포함하는 서브 채널(14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110 onto which the protrusion 53 of the release paper 50 is transferred may be defined as the channel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nnel unit includes a main channel 130 including a first channel 133 and a second channel 135, and a subchannel 140 including a branch channel 143 and a merge channel 145, As shown in FIG.

이형지(50)의 오목부(55)가 전사된 점착층(110) 부분은 돌출부(120)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는 중앙 패턴(123), 및 중앙 패턴(123)을 둘러싸는 주변 패턴(12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110 to which the concave portion 55 of the release paper 50 is transferred may be defined as the protrusion 120. [ The projection 120 may be formed to include a center pattern 123 and a peripheral pattern 125 that surrounds the center pattern 123, as described above.

이후, S40 단계에서, 이형지(50)를 점착층(110)으로부터 박리하여 상술한 돌출부(120) 및 상기 채널부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S40, the release paper 50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110 to produce the adhesive tape including the projec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portion.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예를 참조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특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perimental examples.

실험예: 점착테이프의 내충격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of adhesive tape

실시예Example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SA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 및 채널부를 포함하는 점착층 샘플을 67 mm x 67 mm의 사이즈로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층 샘플에 포함된 돌출부(120) 및 상기 채널부의 사이즈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되었다.A PSA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was used to prepare a sample of the adhesive layer comprising the protrusions 120 and the channel portion in a size of 67 mm x 67 mm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izes of the projections 120 and the channel portions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sample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15015510451-pat00001
Figure 112015015510451-pat00001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와 동일한 PSA 조성물 및 동일한 사이즈로 주 채널(즉, 제1 채널 및 제2 채널)만이 형성된 점착층 샘플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의 점착층 샘플에 있어서, 상기 주 채널의 너비는 120 ㎛로 제조되었으며, 상기 주 채널에 포함된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교차 영역에는 800 ㎛의 너비를 갖는 정사각형 상면의 돌출부가 형성되었다.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30 ㎛로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비교예의 점착층 샘플은 실시예의 점착층 샘플에서 서브 채널 및 주변 패턴이 생략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었다.A PSA composition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ample in which only the main channels (i.e.,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were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examples were prepared. Specifically,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ampl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width of the main channel was made to be 120 μm, and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included in the main channel was formed as a protrusion of a square top surface having a width of 800 μm .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was 30 mu m. Thu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ampl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produced so that the sub-channel and the peripheral patter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ample of the example had the omitted shape.

점착층 샘플의 내충격성 평가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of adhesive layer samples

강철 플레이트를 충격량 측정 센서 상에 배치하고, 55g의 강철구를 50 cm 높이에서 상기 강철 플레이트 상에 직접 낙하시켜 상기 센서를 통해 제1 충격력(F1)을 측정하였다.A steel plate was placed on the impact amount measuring sensor, and a 55 g steel ball was directly dropped onto the steel plate at a height of 50 cm to measure the first impact force (F 1 ) through the sensor.

한편, 상기 강철 플레이트 상에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층 샘플을 부착시키고, 상기 점착층 샘플로부터 50 cm 높이에서 상기 강철구를 낙하시킨 후,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제2 충격력(F2)을 측정하였다.The second impact force (F 2 ) measured through the sensor after dropping the steel ball at a height of 50 cm from the sample of the adhesive layer was measured on the steel plate, Were measured.

측정된 상기 충격력을 통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층 샘플의 충격 흡수율을 각각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The impact absorption rates of the adhesive layer samp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respectively calculated through the measured impact forc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112015015510451-pat00002
Figure 112015015510451-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점착층 샘플의 경우 비교예서보다 현저히 향상된 충격 흡수율을 기록하였다. 이로부터, 점착층에 주 채널로부터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서브 채널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가 팽창될 수 있는 공간이 추가로 확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점착층의 내충격성이 현저히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above Table 2, in the case of the adhesive layer sample of the examples, the shock absorption rate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was recorde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can be expanded is further ensured by further forming a subchannel radially extending from the main channel in the adhesive layer, whereby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is remarkably increased have.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층에 포함되는 엠보-셀의 돌출부를 주채널로부터 분기 확장되는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보다 세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 테이프의 내충격성 및 내기포성 등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는 모바일 폰, OLED 장치 또는 LCD 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TSP 등에 포함되는 각종 부품들의 점착부재로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the protrusion of the emboss-cell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can be further subdivided using a subchannel that branches off from the main channel. This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tape. The adhesive tape can be effectively applied as an adhesive member for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 OLED device, or an LCD device, or a TSP.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50: 이형지 53: 융기부
55: 오목부 100: 기재층
100a: 제1 면 100b: 제2 면
110: 점착층 120: 돌출부
123: 중앙 패턴 125: 주변 패턴
130: 주 채널 133: 제1 채널
135: 제2 채널 140: 서브 채널
143: 분기 채널 145: 병합 채널
150: 측벽
50: release paper 53: ridge
55: concave portion 100: substrate layer
100a: first surface 100b: second surface
110: adhesive layer 120:
123: center pattern 125: surrounding pattern
130: Main channel 133: First channel
135: Second channel 140: Subchannel
143: Branch channel 145: Merge channel
150: side wall

Claims (11)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적층되며,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제1 채널들 및 제2 채널들을 포함하는 주 채널들; 및
상기 제1 채널들 및 상기 제2 채널들의 교차 영역에서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교차 영역 마다 정의된 엠보-셀(embo-cell)을 포함하고, 상기 엠보-셀은 상기 주 채널 및 상기 서브 채널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엠보-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패턴 및 상기 중앙 패턴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주변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패턴 및 상기 주변 패턴의 너비는 각각 30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이고, 상기 주 채널의 너비는 100 ㎛ 내지 200 ㎛이고, 상기 서브 채널의 너비는 50 ㎛ 내지 100 ㎛인 점착 테이프.
A base layer;
A substrate layer laminated on the substrate layer,
Mai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hannels and second channel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And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 sub-channel that is branched and radially extended at an intersection region of the first channels and the second channels,
Wherein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n emboss-cell defined for each of the intersecting regions, the emboss-cell includes protrusions formed by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and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The protrusion includes a central patter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mboss-cell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s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Wherein the widths of the central pattern and the peripheral pattern are 300 to 500 占 퐉, the width of the main channel is 100 to 200 占 퐉, and the widths of the subchannels are 50 to 100 占 퐉.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은 사각형 상면의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변 패턴은 사다리꼴 상면의 기둥 형상을 갖는 점착 테이프.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pattern has a pillar shape of a square upper surface, and the peripheral pattern has a columnar shape of a trapezoidal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또는 상기 제2 채널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엠보-셀 내부로 확장되는 분기 채널들; 및
상기 엠보-셀 내부에서 상기 분기 채널들과 병합되어 상기 분기 채널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병합 채널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2. The method of claim 1,
Branch channels branched from the first channel or the second channel and extending into the embo-cell; And
And a merging channel merging the branch channels in the embo-cell to connect the branch channels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채널들은 각각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의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점착 테이프.6. The adhesive tape of claim 5, wherein the branch channels each extend from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은 상기 병합 채널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변 패턴은 상기 주 채널, 상기 분기 채널 및 상기 병합 채널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entral pattern has a shape surrounded by the merged channel,
Wherein the peripheral pattern has a shape surrounded by the main channel, the branch channel, and the merged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의 너비 대비 상기 주 채널의 너비의 비율은 1.5 내지 2 범위인 점착 테이프.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sub-channel to the width of the main channel is in the range of 1.5 to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 대비 상기 서브 채널의 너비의 비율은 5/4 내지 5 범위인 점착 테이프.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tio of a width of the sub channel to a height of the projection is in a range of 5/4 to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엠보-셀에 있어서 상기 주 채널 및 상기 서브 채널의 총 부피 대비 상기 돌출부의 총 부피의 비율은 1 내지 1.3 범위인 점착 테이프.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total volume of the protrusions to the total volume of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s in one emboss-cell is in the range of 1 to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감압성 점착제(PSA)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a plastic material, and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
KR1020150022242A 2015-02-13 2015-02-13 Adhesive tapes KR101680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242A KR101680823B1 (en) 2015-02-13 2015-02-13 Adhesive ta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242A KR101680823B1 (en) 2015-02-13 2015-02-13 Adhesive ta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29A KR20160099929A (en) 2016-08-23
KR101680823B1 true KR101680823B1 (en) 2016-11-29

Family

ID=5687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242A KR101680823B1 (en) 2015-02-13 2015-02-13 Adhesive ta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8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94A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스마트 Adhesive sheet applied with barri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69292B1 (en) * 2019-01-11 2019-04-17 주식회사 스마트 Adhesive sheet applied with barri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29501B1 (en) * 2022-01-18 2024-01-25 정재광 Adhesive sheet with barrier microchannel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61B1 (en) 2014-03-18 2014-12-11 (주)앤디포스 Double-sided tape for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29A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091U (en) Curved cover glass protective film and apparatus for attaching the same
KR101427845B1 (en) Pane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2918650B1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double-sided adhesive sheet with release film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CN102707509B (en)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0823B1 (en) Adhesive tapes
TW201835610A (en) Display part protector for a smart device and method of adhering the display part protector to the smart device
WO2019114387A1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0767094A (en) Flexible cover plate and flexible display screen
CN105182629A (en)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8010438B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module
CN109659331B (en) AMOLED light-emitting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8550556A (en) Protective film and its display panel for flexible substrate
KR101769014B1 (en) Anti-scattering parts attached display device having curved shape and method of attaching the parts
CN112270890A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96048B2 (en) Image area extracting method, image area extracting program, image area extracting system, and image area extracting device
US9721824B2 (en) Wafer bonding method and device with reduced thermal expansion
JP2007264308A (en) Method of laminating plate member
US1140914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 plate having a side wall par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bumps with a same height and arranged at interv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75252A (en) Waterproof tape comprising micro-emboss on secondary adhes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13642B1 (en) Protecting sheet hav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y of edge por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096501B1 (en) Protecting sheet hav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y of edge por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694181B1 (en) Microstructured adhesive tape, release liner and preparation method of adhesive tape
JP4832499B2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CN203882555U (en) Panel device with protection plate anti-explosion structure
CN112582328A (en) Transfe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