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784B1 - 도포기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기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784B1
KR101676784B1 KR1020117025642A KR20117025642A KR101676784B1 KR 101676784 B1 KR101676784 B1 KR 101676784B1 KR 1020117025642 A KR1020117025642 A KR 1020117025642A KR 20117025642 A KR20117025642 A KR 20117025642A KR 101676784 B1 KR101676784 B1 KR 10167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wiping
wiping piece
container bod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618A (ko
Inventor
카즈오 스즈키
사토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20016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45D40/26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with adjustable wiping action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포기를 용기 본체에서 빼낼 때 잔류 내용물을 닦아낼 수 있음은 물론, 도포기를 삽입할 때 용기 본체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포기 부착 용기를 제공한다.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서 용기 본체 (1) 내에 삽입된 도포기(20), 및 용기 본체(1) 내측에 배치됨은 물론이고 내측에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가 삽입되어 내주부가 막대 형태 부재(22)의 외주면에 스쳐서 접촉하게 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환 형태의 와이핑 편(32)을 구비하는 도포기 부착 용기(A)에 있어서, 와이핑 편(32)의 내주부에 와이핑 편(32) 안쪽가장자리의 내측에 돌출한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포기 부착 용기{APPLICATOR-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본체 안에 수용된 액상이나 분말상 내용물을 대상물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를 갖는 도포기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4월 30일 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9-11146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원용한다.
이런 종류의 도포기 부착 용기로는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 본체 및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된 도포기를 구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도포기는 와이핑(wiping) 부재의 내측을 통해서 용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된 막대 형태 부재의 선단에 붓 형태, 브러시 형태, 스폰지 형태 등의 도포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 도포기 부착 용기의 사용 방법으로는 우선 도포기 선단의 도포부에 내용물을 부착시킨 후, 도포기를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 빼내고, 그 다음에 도포부에 부착된 내용물을 대상물에 도포한다.
전술한 도포기 부착 용기에서는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잔류 내용물이 부착되면, 도포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도포할 때, 막대 형태 부재에 부착된 잔류 내용물이 떨어지거나, 손 같은 곳에 묻을 염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 안쪽에 통 형태의 와이핑 부재를 장착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 와이핑 부재에는 직경 방향으로 안쪽에 돌출한 환 형태의 와이핑 편(片)이 제공되었다. 그리고, 와이핑 편 안쪽에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그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와이핑 편의 내주부가 스쳐 닿듯이 접촉한다. 이러한 와이핑 부재가 구비된 도포기 부착 용기에 의하면, 도포기를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 빼낼 때,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부착된 잔류 내용물을 와이핑 편에 의해 닦아낼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60-126109호
이러한 종래의 도포기 부착 용기는 도포기가 용기 본체 안에 삽입된 상태로는 와이핑 편 및 도포기에 의해 용기 본체 내부가 밀폐되므로, 도포기를 넣고 빼고 할 때마다 용기 본체 내부의 압력이 증감한다. 특히, 도포기를 삽입할 때에는 용기 본체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 후 도포기를 빼낼 때에는 용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분출되고, 그와 동시에 내용물이 용기 본체 밖으로 튀어나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포기를 용기 본체로부터 빼낼 때에 잔류 내용물을 닦아낼 수 있음은 물론, 도포기를 삽입할 때에 용기 본체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포기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된 도포기,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며 안쪽에 상기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내주부가 상기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스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환 형태의 와이핑 편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핑 편의 내주부에 그 와이핑 편 안쪽 가장자리의 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도포기를 와이핑 편의 안쪽에 삽입시키면서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하면, 와이핑 편에 형성된 돌기부가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의해 밀어 내려짐은 물론, 와이핑 편이 도포기의 외주면에 의해 축 방향 아래쪽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한다. 이때, 돌기부의 주변부에서는 와이핑 편과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틈이 생긴다. 따라서, 도포기를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할 때에 도포기와 와이핑 편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저항이 저하됨은 물론, 용기 본체 내 압력이 상기 틈으로 빠져나가서 용기 본체의 내압 상승이 억제된다.
한편, 도포기를 용기 본체 내부에서 빼낼 때에는 와이핑 편이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축 방향 위쪽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하며, 또한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가 와이핑 편의 내주부에 대해서 스치듯이 움직여서,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된 내용물이 와이핑 편에 의해 닦여진다. 이때, 돌기부가 와이핑 편의 안쪽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하여 있으므로, 도포기를 잡아뺄 때, 돌기부가 도포기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축 방향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핑 편이 위쪽으로 젖혀지듯이 수월하게 탄성 변형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에 한 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포기를 잡아뺄 때에,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의해 돌기부가 수월하게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는 상기 돌기부의 선단과 상기 와이핑 편의 안쪽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돌기부의 아랫면과 상기 와이핑 편의 안쪽 가장자리 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도포기를 빼내어,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의해 돌기부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졌을 때, 와이핑 편의 내주부가 전체 원주에 걸쳐서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부착된 내용물이 전체 원주에 걸쳐 쉽게 닦여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의 윗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도포기를 삽입하여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에 의해 와이핑 편이 아래쪽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했을 때, 돌기부 주위에서 와이핑 편과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틈이 확실하게 생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도포기를 삽입했을 때, 돌기부가 용이하게 밀어 내려짐은 물론, 도포기를 잡아뺄 때, 돌기부가 쉽게 밀어 올려진다. 즉, 돌기부가 상하로 각각 변형되기 쉬우므로, 도포기를 넣고 빼고 할 때에, 돌기부가 도포기를 걸리게 하는 일 없이, 와이핑 편이 쉽게 탄성 변형된다.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에 의하면, 도포기를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용기 본체 내부의 지나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포기를 용기 본체에서 빼낼 때에 내용물이 용기 본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도포기 부착 용기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기 부착 용기를 구성하는 와이핑 부재를 축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포기 부착 용기를 구성하는 와이핑 부재를 축 방향 위쪽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포기 부착 용기에서, 도포기를 축 방향 아래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도포기와 와이핑 편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포기 부착 용기에서, 도포기를 축 방향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도포기와 와이핑 편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A)는 바닥이 있는 통 형태의 용기 본체(1), 이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10), 캡(10)에 고정되는 막대 형태의 도포기(20), 및 용기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통 형태의 와이핑 부재(30)를 구비한다. 이들 용기 본체(1), 캡(10), 도포기(20) 및 와이핑 부재(30)는 각기 공통 축 상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그 공통 축을 축선(L1)이라 하고, 축선(L1) 방향을 따라 캡(10) 쪽을 상측이라 하며, 축선(L1)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쪽을 하측이라 하고, 또한 축선(L1)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 한다.
용기 본체(1)는 화장액, 약물액, 접착액, 세정액 등과 같은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몸통부(3)의 상단(도 1에서 상측)에, 위쪽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 형태로 직경이 작아지는 어깨부(4)가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또한 이 어깨부(4)의 상단에 용기 본체(1)의 축선(L1)을 따라 위쪽을 향해 뻗은 거의 원통형의 개구부(2)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A)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화장액의 구체 예로는 예를 들면,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글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캡(10)은 개구부(2)의 수나사(2A)에 나사식으로 결합 가능한 암나사(11A)가 형성된 부착용 통부(11)를 갖추며, 이에 의해 개구부(2)에 탈착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캡(10)은 부착용 통부(11)의 상단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축선(L1)을 따라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용 통부(12)를 갖추고 있다.
도포기(20)는 고정용 통부(12)의 내측에 끼워 맞춰지는 큰 직경의 원주형태를 갖는 감합부(21), 감합부(21)의 하단면 중앙부분에 아래로 달려있는 막대 형태 부재(22), 및 막대 형태 부재(22)의 선단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도포부를 구비한다. 이 도포기(20)는 캡(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선(L1)을 따라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캡(10)을 개구부(2)에 장착한 상태에서 막대 형태 부재(22)가 와이핑 부재(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1)의 내측에 삽입된다. 도시하지 않은 도포부의 구체 예로는 예를 들면, 붓 형태, 브러시 형태, 스폰지 형태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도포기(20)에는 캡(10)을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장착한 상태로,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서 와이핑 편(32)의 하단보다도 축선(L1)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단부(段部, 23)가 형성되어 있다. 막대 형태 부재(22)에 있어서, 축선(L1) 방향 위쪽에서 단부(23)에 연결되는 부분(24)은 축선 (L1) 방향 아래쪽에서 단부(23)에 연결되는 부분(25)보다도 외부 직경이 작아져 있다.
와이핑 부재(3)는 니트릴 고무(NB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연재질의 재료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2)에 고정되어 축선(L1) 방향으로 뻗은 통 형태 부재(31)와, 통 형태 부재(31)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환 형태의 와이핑 편(32)을 구비한다.
통 형태 부재(31)는 개구부(2)에 끼워 맞추고, 이 통 형태 부재(31)의 상단에는 직경 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플랜지(frange)부(33)가 제공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3)는 개구부(2)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개구부(2)에 대한 와이핑 부재(30)의 축선(L1)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통 형태 부재 (31)의 하부는 개구부(2) 보다 아래쪽에 돌출해 있고, 이 통 형태 부재(31)의 하부에는 직경 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환 형태의 스토퍼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36)는 개구부(2)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하측에서 근접 또는 접촉해 있고, 와이핑 부재(30)가 개구부(2)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통 형태 부재(31)에 있어서, 개구부(2)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와 하단 개구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전체 원주에 걸쳐 오목부(31b)가 형성되며, 개구부(2)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의 틈이 형성된다.
와이핑 편(32)은 통 형태 부재(31)의 내주면(31a)에서 축선(L1)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와이핑 편(32)은 통 형태 부재(31)의 내주면 (31a)에서 오목부(31b)와 대응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그 와이핑 편(32)은 용기 본체(1)의 축선(L1) 방향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용기 본체(1)의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하도록 직선상으로 뻗어있고, 와이핑 부재(30)의 축선(L1) 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핑 편(32)의 내측에는 전술한 도포기(20)가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의 직경, 즉 축선(L1) 방향 하단에서의 내부 직경 크기는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의 외부 직경 크기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핑 편(32)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를 와이핑 편(32)의 안쪽가장자리면(32a)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와이핑 편(32)은 도포기(20)가 축선(L1)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를 와이핑 편(32)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도포기(20)를 축선(L1)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와이핑 편(32)이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의해 용기 본체(1)의 축선(L1) 방향 하측에 젖혀지듯이 와이핑 편(32)이 탄성 변형된다(도 4 참조). 또한, 도포기(20)를 축선(L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와이핑 편(32)이 용기 본체(1)의 축선(L1) 방향 상측으로 젖혀지듯이 와이핑 편 (32)이 탄성 변형한다(도 5 참조).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에서의 안쪽 부분에 있는 윗면(32c), 즉 테이퍼 형상을 갖는 와이핑 편(32)에서의 내주면 하단 부분에는 와이핑 편(32) 안쪽 가장자리의 내측에 돌출한 돌기부(34)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4)는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형태 부재이고, 와이핑 편(32)의 내주부 윗면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튀어나와 있다. 이 돌기부(34)는 와이핑 편(32)에 대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선단이 와이핑 편(32) 안쪽가장자리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돌기부(34)의 선단과 와이핑 편(32)의 안쪽가장자리 사이에는 돌기부(34)의 아랫면(34a)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으로 이루어지는 단차(3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부(34)의 아랫면(34a)은 와이핑 편(32)의 안쪽가장자리면 (32a) 상단에서 직경 방형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0)을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장착한 상태에서, 와이핑 편(32)의 윗면(32c)이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서 단부(23)에 축선(L1) 방향 위쪽에서 연결되는 부분(24)에 맞닿아있다. 또한, 와이핑 편(32)의 안쪽가장자리면(32a) 및 돌기부(34)의 선단면(34b)은 단부(23)에 축선(L1) 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포기 부착 용기(A)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핑 편(32)에 형성된 돌기부(34)가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 의해 밀어 내려짐은 물론, 와이핑 편(32)이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의해 용기 본체(1)의 축선(L1) 방향 하측으로 젖혀지듯이 와이핑 편 (32)이 탄성 변형한다. 이때, 통 형태 부재(31)의 외주면 중, 와이핑 편(32)이 연결되는 부분에 오목부(3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31b)의 형성 부분이 변형되기 쉽게 되어있으므로, 와이핑 편(32)이 탄성 변형되기 쉽다. 또한, 이때 돌기부(34)의 주변부에서는 와이핑 편(32)과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포기(20)를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 도포기(20)와 와이핑 편(3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저하함은 물론, 용기 본체(1) 내의 압력이 상기 틈으로 빠져나가서 용기 본체(1)의 내압 상승이 억제된다.
여기서,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포기 (20)를 삽입하여,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 의해 와이핑 편(32)이 하측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했을 때, 돌기부(34)의 주위에서 와이핑 편(32)과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 사이에 틈이 확실히 형성된다.
또한,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을 따라 뻗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부(34)가 아래쪽으로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도포기(20)를 삽입했을 때, 돌기부(34)가 도포기(20)를 걸리게 하는 일 없이, 돌기부(34)가 쉽게 밀어 내려져 와이핑 편(32)이 수월하게 탄성 변형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기(20)를 용기 본체(1)의 내부에서 빼낼 때는 와이핑 편(32)이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의해 축 방향 상측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함은 물론,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 (22)가 와이핑 편(32)의 내주부에 대해서 스치듯이 움직이고,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부착된 내용물이 와이핑 편에 의해 닦여진다. 이때,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 안쪽가장자리의 내측에 돌출해 있으므로, 도포기(20)를 빼낼 때, 돌기부(34)가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의해 축 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핑 편(32)이 쉽게 상측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한다. 또한, 통 형태 부재(31)의 외주면 중, 와이핑 편(32)이 연결되는 부분에 오목부(3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핑 편(32)이 축 방향 상측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할 때, 통 형태 부재(31)에 있는 오목부 (31b)의 형성부분은 직경이 넓어지도록 변형한다. 이렇게 하여, 와이핑 편(32)이 축 방향 상측으로 젖혀지듯이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포기 (20)를 빼낼 때,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 의해 돌기부(34)가 쉽게 위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돌기부(34)의 선단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 사이에, 돌기부(34)의 아랫면(34a)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으로 이루어지는 단차(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포기(20)를 빼내어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 의해 돌기부(34)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졌을 때, 와이핑 편(32)의 내주부가 전체 원주에 걸쳐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 부착된 내용물이 전체 원주에 걸쳐 문질러 떨어짐이 쉽게 된다.
또한,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부(34)가 위를 향해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도포기(20)를 빼냈을 때, 돌기부(34)가 도포기(20)를 걸리게 하는 일 없이, 돌기부(34)가 쉽게 밀어 올려져 와이핑 편(32)이 쉽게 반전 변형한다.
상기 도포기 부착 용기(A)에 의하면, 도포기(20)를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삽입했을 때, 돌기부(34)의 주변부에서는 와이핑 편(32)과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1)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도포기(20)를 용기 본체(1)에서 빼낼 때 내용물이 용기 본체(1)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에 한 개만 형성되어 있고, 도포기(20)를 빼낼 때 돌기부(34)가 쉽게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므로, 도포기(20)를 빼내기가 용이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34)의 선단과 와이핑 편(32)의 안쪽가장자리 사이에 돌기부 (34)의 아랫면(34a)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으로 이루어지는 단차(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포기(20)를 빼낼 때, 와이핑 편(32)의 내주부가 전체 원주에 걸쳐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 외주면(22a)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도포기(20)의 막대 형태 부재(22)에 부착된 내용물을 전체 원주에 걸쳐 닦아낼 수 있고, 내용물이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포기(20)를 넣고 빼고 할 때, 돌기부(34)가 도포기(20)를 걸리게 하는 일 없이, 와이핑 편(32)이 쉽게 탄성 변형되므로, 도포기(20)를 쉽게 넣고 빼낼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포기(20)를 빼내는 과정에서, 돌기부(34)의 선단면(34b)이 단부(23)에 걸림으로써, 이 돌기부(34)가 단부(23)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와이핑 편(32)이 용기 본체(1)의 축선(L1) 방향 위쪽으로 젖혀져 올려진다. 이렇게 하여, 와이핑 편(32)에 의해 도포기(20)의 외주면에 부착된 잔류 액체를 한층 확실하게 닦아낼 수 있다.
또한, 와이핑 편(32)이 용기 본체(1)의 축선(L1) 방향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용기 본체(1)의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하도록 직선상으로 뻗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34)의 선단면(34b)이 단부(23)에 걸렸을 때, 그 와이핑 편에 휘는 힘을 더할 수 있고, 도포기(20)를 빼내는 과정에서 와이핑 편(32)을 쉽고 확실하게 상기 축선(L1) 방향 위쪽으로 젖혀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34)의 아랫면(34a)이 와이핑 편 (32)의 안쪽가장자리면(32a) 상단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34)의 아랫면(34a)이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의 축 방향 중간 부분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한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기 형태에서는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으로 안쪽 부분의 윗면(32c)에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부(34)의 윗면(34c)이 와이핑 편(32)의 테이퍼 형상을 갖는 윗면의 직경 방향 중간 부분에서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연장되듯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에 돌기부(34)가 형성되며, 돌기부(34)의 윗면(34c)이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 상단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한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34)의 선단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 사이에 돌기부(34)의 아랫면(34a)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 (32a)으로 이루어지는 단차(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면(32a)에 돌기부(34)가 형성되고, 돌기부(34)의 선단과 와이핑 편(32)의 안쪽 가장자리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34)가 와이핑 편(3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듯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핑 편(32)의 테이퍼 형상을 갖는 윗면을 따라 돌기부(34)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와이핑 편(32)의 윗면과 돌기부(34)의 윗면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핑 편(32)에 돌기부(34)가 한 개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와이핑 편(32)에 복수 개의 돌기부(3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핑 편(32)이 아래쪽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둥근 원판 형태의 와이핑 편이 축선(L1)에 대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핑 편(32)이 와이핑 부재(30)의 축 방향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개구부(2)의 내측에 와이핑 편(32)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와이핑 편(32)이 와이핑 부재(30)의 축 방향 하단이나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한, 와이핑 편(32)이 개구부(2)의 아래쪽이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에 장착된 와이핑 부재에 와이핑 편(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와이핑 편(32)을 용기 본체(1)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개구부(2)의 내측에 와이핑 편을 형성함으로써, 와이핑 부재를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기(20)의 감합부(21)가 캡(10) 내측에 끼워 맞춰지고, 캡(10)에 도포기(20)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캡(10)과 도포기(20)가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고, 도포기(20)로 내용물을 도포할 때, 도포기(20)의 상단부를 쥘 수도 있다. 더욱이, 캡(10)과 도포기(20)를 일체화된 성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핑 부재(30)의 통 형태 부재(31)의 외주면에 오목부(31b)를 형성하여 통 형태 부재(31)와 개구부(2) 사이에 직경 방향의 간극(틈)을 형성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에 환 형태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통 형태 부재(31)와 개구부(2) 사이에 직경 방향의 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오목부는 환 형태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전혀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 형태 부재(31)에 스토퍼부(36)를 제공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스토펴부(36)를 제공하지 않은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상 내용물이 용기 본체(1)의 내측에 수용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는 액체상 내용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분말상 내용물이 용기 본체(1)의 내측에 수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주요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적절히 치환 가능하며, 또한 상기 변형 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도포기 부착 용기에 의하면, 도포기를 용기 본체에서 빼낼 때 잔류 내용물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도포기를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용기 본체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포기를 용기 본체에서 빼낼 때 내용물이 용기 본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액, 약물액, 접착액, 세정액 등과 같은 액상 내용물, 또는 분말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도포기 부착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용기 본체
2 : 개구부
20 : 도포기
22 : 막대 형태 부재
32 : 와이핑 편(片)
34 : 돌기부
35 : 단차

Claims (9)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된 도포기, 및
    상기 용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환상의 와이핑 편(片)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핑 편의 내측에 상기 도포기의 막대 형태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와이핑 편의 내주부가 상기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스쳐 접촉하는 도포기 부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편의 내주부에 그 와이핑 편 안쪽가장자리의 내측에 돌출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핑 편의 내측에 상기 막대 형태 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막대 형태 부재에 의해 밀어 내려짐과 동시에 상기 와이핑 편이 상기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축선 방향 하측으로 젖혀지듯이 상기 와이핑 편이 탄성변형하고, 상기 와이핑 편의 윗면이 상기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아, 상기 돌기부의 주변부에서 상기 와이핑 편과 상기 막대 형태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도포기 부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도포기 부착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선단과 상기 와이핑 편의 안쪽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돌기부 아랫면과 상기 와이핑 편의 안쪽 가장자리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기 부착 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포기 부착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와이핑 편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포기 부착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7025642A 2009-04-30 2010-04-15 도포기 부착 용기 KR101676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1462 2009-04-30
JP2009111462A JP5386225B2 (ja) 2009-04-30 2009-04-30 塗布具付容器
PCT/JP2010/002746 WO2010125758A1 (ja) 2009-04-30 2010-04-15 塗布器付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618A KR20120016618A (ko) 2012-02-24
KR101676784B1 true KR101676784B1 (ko) 2016-11-17

Family

ID=4303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642A KR101676784B1 (ko) 2009-04-30 2010-04-15 도포기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26206B2 (ko)
EP (1) EP2425740B1 (ko)
JP (1) JP5386225B2 (ko)
KR (1) KR101676784B1 (ko)
CN (1) CN102413730B (ko)
WO (1) WO2010125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392B2 (en) * 2009-11-19 2014-11-18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Wiper member for a container
FR2978738B1 (fr) * 2011-08-04 2014-10-24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muni d'un moyen d'etancheite
KR101246144B1 (ko) * 2012-10-24 2013-03-22 김길수 분말과 액상 공용 화장품 용기
US9004075B2 (en) * 2013-04-02 2015-04-14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Wiper for a cosmetic container
DE202013006927U1 (de) * 2013-08-02 2014-11-03 Geka Gmbh Einstückiger Applikator mit Fensterkappe
JP6795288B2 (ja) * 2015-05-29 2020-1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付き容器
KR102096491B1 (ko) * 2017-03-03 2020-04-0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뭉침을 방지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00035111A (ko) * 2017-09-14 2020-04-01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장품 용기용 패킹 및 화장품 용기
KR101866140B1 (ko) * 2017-09-18 2018-06-08 김상선 2단 와이퍼 패킹 성형하는 3단 고무금형 제작 방법
EP3479726B1 (en) * 2017-11-07 2021-06-23 Lumson S.p.A. Wiper device
ES2811516T3 (es) * 2017-11-07 2021-03-12 Lumson Spa Dispositivo limpiador
JP6606657B2 (ja) * 2018-01-23 2019-11-20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容器
FR3089768B1 (fr) 2018-12-13 2022-02-18 Qualipac Sa Organe d’essorage pour un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étique
JP7421952B2 (ja) 2020-02-27 2024-01-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CN113384061A (zh) * 2020-03-12 2021-09-14 加利派公司 用于化妆品包装和涂抹的设备的擦拭器构件
FR3117321B1 (fr) * 2020-12-14 2022-12-23 Qualipac Sa Essoreur pour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JP7466509B2 (ja) 2021-10-08 2024-04-12 株式会社アルビオン 化粧品容器及び当該化粧品容器用のしごき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972A (en) 1992-12-18 1994-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wiper mascara package having residual chamber with bypass channel
CN1863470A (zh) * 2003-10-06 2006-11-15 查理·张 液体涂抹器
JP2007021052A (ja) 2005-07-21 2007-02-01 Tokyo Parts Kk 液体化粧料用塗布具付き容器
JP2010246655A (ja) 2009-04-14 2010-11-04 Figla Co Ltd 液体化粧料塗布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624A (en) * 1981-09-25 1983-09-13 Montgomery Robin M Cosmetic applicator and container system
DE3305669A1 (de) * 1983-02-18 1984-08-23 COFA Cosmetic-Fabrikations-GmbH, 6120 Michelstadt Behaelter fuer eine applikatormasse, insbesondere fuer ein toiletten- oder kosmetikerzeugnis
JPS60126109A (ja) 1983-12-14 1985-07-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セツト器
JPS60126109U (ja) 1984-02-02 1985-08-24 井上エムテ−ピ−株式会社 マスカラあるいはアイライナ−用シゴキ部材
JPS62127214A (ja) 1985-11-29 1987-06-09 Asahi Glass Co Ltd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法
JPH0433794Y2 (ko) * 1986-02-05 1992-08-12
JPS63169010A (ja) 1987-01-05 1988-07-13 Toshiba Corp 箔巻変圧器
JPH0523131Y2 (ko) * 1987-04-24 1993-06-14
JPH0744248Y2 (ja) * 1987-11-20 1995-10-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料塗布具付容器
JPH084886Y2 (ja) * 1989-03-30 1996-02-14 竹内工業株式会社 液体化粧料等の収納容器
JPH0317721A (ja) 1989-06-14 1991-01-25 Nec Corp 信号同期化回路
DE4441639A1 (de) * 1994-11-23 1996-05-30 Ahrens Hans Joachim Dipl Phys Pinselflasche mit Verlängerung
US5597254A (en) * 1995-09-25 1997-01-28 The Bridgeport Metal Goods Manufacturing Company Wiper with vanes for use with viscous cosmetics
US6502584B1 (en) 1997-09-08 2003-01-07 Geka Manufacturing Ltd. Mascara applicator assembly having inturning wiper fingers
US5875791A (en) 1998-04-30 1999-03-02 Charles Chang Mascara container and applicator
DE60022828T2 (de) 1999-07-07 2006-07-06 Geka Brush Gmbh Kosmetikeinheit und deren Zusammensetzung
JP3854824B2 (ja) * 2001-07-11 2006-12-06 株式会社新和製作所 液体化粧料塗布具
US6974271B2 (en) * 2001-11-26 2005-12-13 Key Beaute, Inc. Device for dispensing mascara
JP2003180447A (ja) 2001-12-21 2003-07-02 Kao Corp マスカラ化粧用具
FR2855380B1 (fr) 2003-05-27 2006-09-1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comportant un organe d'essorage
KR101149780B1 (ko) * 2004-03-18 2012-06-08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도포체 부착 용기
FR2888097B1 (fr) 2005-07-06 2007-10-0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 organe d'essorage
US7278798B1 (en) 2006-06-16 2007-10-09 Risdon International, Inc. Wiper for cosmetics bottle
JP4995034B2 (ja) 2007-10-26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Uwb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る非接触idシステム
JP5370655B2 (ja) * 2009-04-15 2013-12-18 花王株式会社 液状化粧料塗布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972A (en) 1992-12-18 1994-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wiper mascara package having residual chamber with bypass channel
CN1863470A (zh) * 2003-10-06 2006-11-15 查理·张 液体涂抹器
JP2007021052A (ja) 2005-07-21 2007-02-01 Tokyo Parts Kk 液体化粧料用塗布具付き容器
JP2010246655A (ja) 2009-04-14 2010-11-04 Figla Co Ltd 液体化粧料塗布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5758A1 (ja) 2010-11-04
US8926206B2 (en) 2015-01-06
KR20120016618A (ko) 2012-02-24
JP5386225B2 (ja) 2014-01-15
CN102413730A (zh) 2012-04-11
JP2010259545A (ja) 2010-11-18
EP2425740A1 (en) 2012-03-07
US20120039660A1 (en) 2012-02-16
EP2425740A4 (en) 2016-01-20
CN102413730B (zh) 2016-01-27
EP2425740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784B1 (ko) 도포기 부착 용기
US9004075B2 (en) Wiper for a cosmetic container
JP2003047524A (ja) 取り付けの簡単な拭い取り装置
JP2003310346A (ja) 液体容器
US10568406B2 (en) Bottle for a cosmetic product, and applicator assembly comprising a bottle of this kind and an applicator for said cosmetic product
JP5994250B2 (ja) 液状化粧料塗布容器
JP5927446B2 (ja) 化粧料容器
JP6173890B2 (ja) 塗布具付容器
JP2009285182A (ja) 塗布具付容器
JP2008194195A (ja) 液状化粧料容器
JP5026030B2 (ja) 化粧料塗布具
CN110267565B (zh) 容器
JP2016220972A (ja) 塗布具付き容器
JP2003319823A (ja) 刷毛等の塗布具付き容器
JP7466509B2 (ja) 化粧品容器及び当該化粧品容器用のしごき部材
JP7421940B2 (ja) 塗布容器
JP7278942B2 (ja) 塗布具付容器
JP2009201963A (ja) 塗布具付容器
JP5409266B2 (ja) 塗布具付容器
JP2017202097A (ja) 化粧料容器
JP6932424B2 (ja) 繰出し容器、及び、内容物入り繰出し容器の製造方法
KR200484252Y1 (ko) 패킹을 이용한 마스카라
JP5362376B2 (ja) 化粧料塗布容器
JP2023176118A (ja) 塗布具付き容器
JP2006167319A (ja) 液状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