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887B1 -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887B1
KR101670887B1 KR1020100025138A KR20100025138A KR101670887B1 KR 101670887 B1 KR101670887 B1 KR 101670887B1 KR 1020100025138 A KR1020100025138 A KR 1020100025138A KR 20100025138 A KR20100025138 A KR 20100025138A KR 101670887 B1 KR101670887 B1 KR 10167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adhesive
layer
display device
arr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977A (ko
Inventor
홍왕수
백승진
김장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887B1/ko
Priority to US12/970,810 priority patent/US8203778B2/en
Publication of KR2011010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977A/ko
Priority to US13/473,414 priority patent/US84466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3/00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13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the semiconductor element being formed on a first substrate and thereafter transferred to the final cell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02F1/16766Electrodes for active matr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Abstract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어레이 기판 및 전기영동필름을 접착제로 합착하여 제조하는데, 고온에서 열처리 하여 접착력을 갖게하는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어레이 기판과 전기영동필름의 정열 오류가 있을 때, 재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영동 필름 접착 공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고온 접착제를 이용한 전기영도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영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캡슐 타입의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음의 전하로 대전된 백색의 잉크 입자와 양의 전하로대전된 검은색의 잉크 입자와, 투명 유전유체를 감싸는 마이크로 캡슐과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양 전극 사이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양 전극에 방향성 전계를 인가하여 시인 방향(VIEW DIRECTION)으로 백색 잉크 입자가 모이면 백색이 표시되고, 반대로 검은색 잉크 입자가 모이면 검은색이 표시되는 원리로 구동한다. 즉, 시인 방향으로 움직인 백색 잉크 입자들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반사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기영동층이 형성된 전기영동필름과 구동 회로가 실장된 어레이 기판의 합착을 통해 제조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온 조건에서 접착력이 발생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캡슐 필름과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이 최적의 정열상태에서 합착된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 제조 방법은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고, 전자 영동층을 가지는 전기영동필름을 상기 어레이 기판 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중첩 및 정렬하고, 상기 접착제를 60oC 이상 150o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 하여 접착력을 갖게 한다.
상기 접착제는 2가지 이상의 화학종을 포함하며, 상기 2가지 이상의 화학종은 페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2가지 이상의 화학종을 포함하며, 상기 2가지 이상의 화학종은 폴리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충전제를 0% 초과 15% 이하의 조성 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고무를 40% 이상 80% 이하의 조성 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비스페놀 A 타입 등의 페놀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0% 초과 50%이하의 조성 분율의 에폭시 페놀 수지, 0% 초과 15% 이하의 조성 분율의 실리콘 충전제, 및 40% 이상 80% 이하의 조성 분율의 아크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전자 영동층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 영동 필름과 상기 어레이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비스페놀 A 타입 등의 페놀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페놀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에폭시 페놀 수지를 0% 초과 50%이하의 조성 분율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0% 초과 15% 이하의 조성 분율의 실리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40% 이상 80% 이하의 조성 분율의 아크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접착력이 발생하는 접착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전기영동필름과 어레이 기판간의 정렬 오류가 발생할 경우, 언제든지 재작업이 가능케 하여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4a는 접착제 조성물 중 비스페놀(Bisphenol) A type의 화학 구조식이다.
도 4b는 접착제 조성물 중 에폭시 수지의 화학 구조식이다.
도 5는 종류별 접착제의 표면 SEM 사진과 AFM 사진이다.
도 6은 종류별 접착제의 온도 대비 중량 변화 비율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상세한 설명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기영동 표시패널(300)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영동 표시패널(300)은 어레이 기판(100)과 전기영동필름(200)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1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소스 배선(DL)들과 게이트 배선(GL)들에 의해 화소부(P)들이 정의되어 있다. 각 화소부(P)에는 해당하는 게이트 배선(GL) 및 소스 배선(DL)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된 전기영동 캐패시터(EPC) 및 상기 전기영동 캐패시터(EPC)에 병렬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DA)과 인접하여 상기 표시 영역(DA)의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 영역(OA)과, 상기 소스 배선들(DL)의 일단부에 대응하고 상기 구동부(410)가 배치되는 제1 주변 영역(PA1)과,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제2 주변 영역(PA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주변 영역(PA2)은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회로부(GIC)가 집적되는 회로 영역(CA)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 영역(OA)에는 차광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상기 게이트 회로부(GIC)를 커버하는 차광막이 형성된다.
상기 차광 전극에는 상기 전자 영동층이 블랙 계조를 표시하도록 블랙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테두리 영역(OA)이 블랙 계조로 표시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상기 차광막에 의해 상기 회로 영역(CA)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 회로부(GIC)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광에 의한 상기 게이트 회로부(GIC)의 오동작을 막는다.
상기 전기영동필름(200)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베이스 기판 위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공통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전자 영동층이 형성된다. 상기 전자 영동층은 양(+) 전하 및 음(-) 전하로 대전된 전자영동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영동필름(200)은 상기 어레이 기판(100)의 표시 영역(DA)과 제2 주변 영역(PA2) 및 테두리 영역(OA)에 오버랩 되도록 접착된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어레이 기판(100) 및 전기영동필름(200)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100)은 제1 베이스 기판(10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01)은 상기 표시 영역(DA), 상기 테두리 영역(OA) 및 상기 회로 영역(C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은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절연층(120), 채널부(CH),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 보호 절연층(150), 제1 유기 절연층(160) 및 화소 전극(PE)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해당하는 게이트 배선(GL)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120)은 상기 게이트 배선(GL) 및 게이트 전극(GE) 위에 형성된다. 상기 채널부(CH)는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형성된 활성층(131)과 n+ 이온이 고농도로 도핑된 저항성 접촉층(n+ a-Si)(132)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은 상기 채널부(CH) 위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채널부(CH)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스 전극(SE)은 해당하는 소스 배선(DL)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콘택홀(CT)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GE), 채널부(CH),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 절연층(150) 및 제1 유기 절연층(16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DE)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콘택홀(CT)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은 투명한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콘택홀(CT)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 위에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영역(OA)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120), 보호 절연층(150) 및 제1 유기 절연층(16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 위에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차광 전극(191)이 형성된다. 상기 차광 전극(191)에는 블랙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블랙 계조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회로층(GCL), 제2 유기 절연층(180) 및 차광막(192)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회로층(GCL)은 게이트 금속층(110), 상기 게이트 절연층(120), 상기 채널층(130), 소스 금속층(140), 상기 보호 절연층(150) 및 콘택 전극(172)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회로층(GC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L)과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유기 절연층(180)은 투명한 유지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차광막(192)은 상기 차광 전극(191)과 동일한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차광막(192)은 상기 게이트 회로층(GCL)을 덮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게이트 회로층(GCL)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상기 게이트 회로부(GIC)가 광에 의해 누설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유기 절연층(180)은 상기 콘택 전극(172)과 상기 차광막(19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상기 테두리 영역(OA)에 형성된 제1 유기 절연층(160)과 평탄화를 도모한다.
상기 전기영동필름(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 공통 전극(210) 및 전자 영동층(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광 투과율, 내열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PET)로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210)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화소 전극(PE)과 대향하는 전극으로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투명한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산화주석인듐(Indium Tin Oxide, ITO), 산화아연인듐(Indium Zinc Oxide, IZO), 아몰퍼스 산화주석인듐(amorphous Indium Tin Oxide, a-IT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영동층(240)은 복수의 마이크로캡슐(230)과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230)을 묶는 바인더를 포함한다. 각 마이크로캡슐(230)은 양(+) 전하 및 음(-) 전하로 대전된 전기영동 입자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로캡슐(230)은 음 전하(-) 또는 양 전하(+)로 대전된 백색 잉크 입자(231)와 상기 백색 잉크 입자(231)와 반대되는 전하로 대전된 검은색 잉크 입자(232) 및 투명 유전체(233)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백색 잉크 입자(231)는 양 전하(+)로 대전되고, 상기 검은색 잉크 입자(232)는 음 전하(-)로 대전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백색 잉크 입자(231)가 상측에 위치하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백색 잉크 입자(231)에 의해 직접 반사되어 백색을 표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의 표시 영역(D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게이트 회로층(GCL)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제1 금속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배선(GL)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게이트 금속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금속층(110)은 상기 게이트 회로부(GIC)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패턴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게이트 절연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20)은 상기 표시 영역(DA), 테두리 영역(OA) 및 회로 영역(CA)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20) 위에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형성된 활성층(131)과 n+ 이온이 고농도로 도핑된 저항성 접촉층(n+ a-Si)(132)을 순차적으로 증착 및 패터닝하여 상기 표시 영역(DA)에 채널부(CH)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 채널층(13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테두리 영역(OA)에는 상기 활성층(131) 및 저항성 접촉층(132)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채널부(CH) 및 채널층(130)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제2 금속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상기 표시 영역(DA)에 소스 배선(D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상기 소스 금속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소스 금속층(140)은 상기 게이트 회로부(GIC)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소스 패턴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상기 보호 절연층(150)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 절연층(150)은 상기 표시 영역(DA), 테두리 영역(OA) 및 회로 영역(CA)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이후, 투명한 유기 절연물질로 상기 표시 영역(DA) 및 테두리 영역(OA)에 제1 유기 절연층(160)을 형성한다. 반면,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표시 영역(DA)에 형성된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 및 보호 절연층(150)을 패터닝하여 콘택홀(CT)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 형성된 상기 보호 절연층(150) 및 게이트 절연층(120)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콘택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상기 콘택홀들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화소 전극(PE)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콘택 전극(172)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게이트 회로층(GCL)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영역(OA)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120), 상기 보호 절연층(150) 및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의 상기 회로 영역(CA)에 투명한 유기 절연물질로 제2 유기 절연층(180)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유기 절연층(180)은 상기 콘택 전극(172)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영역(OA)에 형성된 상기 제1 유기 절연층(160)과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유기 절연층(180) 위에 불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상기 테두리 영역(OA)에 차광 전극(191)을 형성하고, 상기 회로 영역(CA)에 차광막(192)을 형성한다. 상기 차광 전극(191)에는 블랙 계조 데이터가 인가되어 상기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차광막(192)은 상기 게이트 회로층(GCL)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회로층(GCL)으로 광이 입사된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광 전극(191) 및 차광막(19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어레이 기판(100)이 완성된다. 상기 전자 영동층(240)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영동필름(200)은 라미네이팅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100)에 부착된다. 상기 전기영동필름(200)은 상기 어레이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DA), 테두리 영역(OA) 및 회로 영역(CA)이 덮히도록 부착된다.
상기 전기영동필름(200)을 상기 어레이 기판(100)에 라미네이팅할 때,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때 약 25um 두께의 접착제를 기준으로 접착력을 보호하는 상하부 커버 필름이 있어, 우선적으로 상부 커버 필름을 탈착한 후, 전기영동필름(200)과 1차 라미네이팅을 진행하고, 하부 커버 필름을 탈착한 뒤 어레이 기판(100)과 2차 라미네이팅을 진행한다. 2차 라미네이팅시에는 전기영동필름(200)과 어레이 기판(100)이 정렬되어야 한다. 전기영동필름(200)과 어레이 기판(100)는 고가의 반제품 상태이므로 정렬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재 작업을 통해 원가 수거 및 수율 향상을 도모해야 하는데, 접착제의 강한 접착력으로 인해 재 작업을 위한 탈착 시 자재 손상등으로 재활용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500)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후 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500)는 고온에서 접착력을 나타내는 물질로 저온 또는 상온에서는 접착력이 없거나 작은 것이 특징이며, 고온으로 경화 공정을 진행하면 전기영동필름(200)과 어레이 기판(100)이 단단하게 부착된다. 즉, 상온 또는 저온에서 전기영동필름(200)과 어레이 기판(100)을 정렬시키고, 고온에서 경화시켜 오정렬 없이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온에서 진행되는 정렬 단계에서는 양쪽 표면이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촉하더라도 탈착이 용이하므로, 오정렬이 발생하더라도 탈착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500)는 OH 반응기를 갖는 페놀 수지(Phenolyic resin)와, 벤젠 성분을 갖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를 포함한다. 페놀 수지(Phenolyic resin)의 일예로 비스페놀 A 타입일 수 있으며, 예컨대 화학 구조식은 도 4a에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에폭시 수지(Epoxy resin)의 일예의 화학 구조식은 도 4b에 나타내었다. 50oC ~150oC의 고온에서 페놀 수지(Phenolyic resin)의 OH기와 에폭시(Epoxy)기가 반응하여 그물 모양의 단단한 에폭시 페놀 수지(Epoxy phenol resin)을 형성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500)는 페놀 수지(Phenolyic resin)와 에폭시 수지(Epoxy resin)가 열반응으로 결합된 에폭시 페놀 수지(Epoxy phenol resin)와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실리콘 충전제 이상 3가지 물질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때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는 저탄성 물질로 매트릭스를 이루어 스트레스 감소 역할을, 실리콘 충전제는 접착력 향상에 기여한다.
에폭시(Epoxy)량이 많아지면 내열성은 증가하는 반면, 접착력이 떨어지고 배출 가스(Out gas)량이 많아지며, 아크릴(Acryl)량이 많아지면 내열성이 저하된다. 실리콘 충전제는 1 마이크로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양이 많아지면 분산이 잘 안되고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접착제의 질을 떨어뜨리므로 접착제에 투입 시 10 Wt%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 3가지 조성물에 대한 투과도, 탈착성, 가스 배출(Out gas) 특성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2개의 Glass 내에 필름을 삽입한 뒤, 150oC에서 경화하고 440nm 광을 이용하여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탈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40oC의 상온 영역에서 수직각을 유지하며 필름을 떼어 내는 T-peeling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가스 배출(Out gas)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중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X1는 에폭시 페놀 수지(Epoxy Phenol Resin)이 30 Wt%,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가 60 Wt%, 실리콘 충전제(Si Filler)가 10 Wt% 조성에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ner) 사이즈가 500nm이며, X2는 에폭시 페놀 수지(Epoxy Phenol Resin)이 10 Wt%,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가 90 Wt%, 실리콘 충전제(Si Filler)가 10 Wt% 조성에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ner) 사이즈는 100nm, X3는 에폭시 페놀 수지(Epoxy Phenol Resin)이 20 Wt%,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가 80 Wt%, 실리콘 충전제(Si Filler)가 10 Wt% 조성에 에폭시 경화제(Epoxy hardner) 사이즈가 10nm이다.
[표 1]
Figure 112010017872976-pat00001
가스 배출(Out gas) 특성을 보면, 중량의 -1%, -3%, -5% 감소 시점 온도가 X1, X3 조성의 시료에서 X2 조성의 시료 보다 낮게 측정되기 때문에 X1, X3 시료의 열안정성이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온에서 필름의 탈착을 위한 작업성의 경우 X1, X3에서 상대적으로 X2보다 양호하며, X3에 PET 베이스 필름을 조합하였을 경우 0.3N/m로 매우 양호한 탈착성을 갖는다.
투과도 결과를 살펴보면 X3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아크릴 고무(Acryl rubber)와 에폭시 수지(Epoxy resin)의 상분리의 경우 X1 조성의 시료에서 잘 이루어 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X1, X3 시료에서의 표면 SEM 사진과 AFM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6은 온도 vs. 중량 변화 비율을 나타내었다. 조성비 차이에 따른 내열성을 판단할 때, X1 시료에서 가장 우수한 내열 특성을 나타내었다.
100: 어레이 기판 200: 전기영동필름
191: 차광 전극 192: 차광막
GIC: 게이트 회로부 GP: 게이트 패드부
230: 마이크로캡슐 240: 전자 영동층
231, 232: 전기영동 입자들 410: 구동부

Claims (11)

  1.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고,
    전자 영동층을 가지는 전기영동필름을 상기 어레이 기판 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중첩 및 정렬하고,
    상기 접착제를 60oC 이상 150o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 하여 접착력을 갖게 하고,
    상기 접착제는 0% 초과 50%이하의 조성 분율의 에폭시 페놀 수지, 0% 초과 15% 이하의 조성 분율의 실리콘 충전제, 및 40% 이상 80% 이하의 조성 분율의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페놀 수지는 비스페놀 A 타입의 페놀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7. 삭제
  8. 게이트 배선과 소스 배선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전자 영동층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 및
    상기 전기 영동 필름과 상기 어레이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0% 초과 50%이하의 조성 분율의 에폭시 페놀 수지, 0% 초과 15% 이하의 조성 분율의 실리콘 충전제, 및 40% 이상 80% 이하의 조성 분율의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페놀 수지는 비스페놀 A 타입의 페놀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25138A 2010-03-22 2010-03-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38A KR101670887B1 (ko) 2010-03-22 2010-03-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2/970,810 US8203778B2 (en) 2010-03-22 2010-12-16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3/473,414 US8446662B2 (en) 2010-03-22 2012-05-16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38A KR101670887B1 (ko) 2010-03-22 2010-03-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977A KR20110105977A (ko) 2011-09-28
KR101670887B1 true KR101670887B1 (ko) 2016-11-10

Family

ID=4464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138A KR101670887B1 (ko) 2010-03-22 2010-03-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203778B2 (ko)
KR (1) KR101670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5811B (zh) * 2011-11-23 201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纸有源基板及其制造方法和电子纸显示屏
KR101926071B1 (ko) 2012-09-10 2018-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3221203B3 (de) * 2013-10-18 2014-12-31 Hahn-Schickard-Gesellschaft für angewandte Forschung e.V.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echanischen 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KR101832522B1 (ko) * 2013-11-29 2018-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형성용 조성물, 광경화전 가공용 점착 필름, 접착 필름 및 전자종이 표시장치
CN107636525A (zh) * 2015-07-08 2018-01-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电泳隐私装置
JP2021057531A (ja) * 2019-10-01 2021-04-08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部品及び表示装置
CN110967889A (zh) * 2019-12-23 2020-04-0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30056775A (ko) * 2020-09-29 2023-04-27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광학 디스플레이 및 그 내부에 사용하기 위한 열 민감도가 낮은 복합 재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4655A (ja) * 2004-12-01 2006-06-15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2009103919A (ja) * 2007-10-23 2009-05-14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9145873A (ja) * 2007-11-19 2009-07-0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601A (ja) * 1997-06-02 1998-12-18 Canon Inc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法
US6825829B1 (en) * 1997-08-28 2004-11-30 E Ink Corporation Adhesive backed displays
JPH11330162A (ja) 1998-05-19 1999-11-30 Sony Corp 半導体チップの実装方法
EP1291966B1 (en) 2000-04-18 2010-08-11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lanar antenna for beam scanning
JP3072602U (ja) 2000-04-18 2000-10-24 船井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構造
JP3665579B2 (ja) 2001-02-26 2005-06-29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電気装置製造方法
JP3999945B2 (ja) 2001-05-18 2007-10-3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535624B2 (en) * 2001-07-09 2009-05-19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 and materials for use therein
JP2003028889A (ja) 2001-07-13 2003-01-29 Honda Motor Co Ltd 半導体ガスレートセンサの製造方法
US7110164B2 (en) * 2002-06-10 2006-09-19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5037851A (ja) * 2003-06-24 2005-02-10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分散液、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5200505A (ja) 2004-01-14 2005-07-28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被着体の加工方法
JP2007010694A (ja) 2005-06-28 2007-01-18 Canon Inc シール部材
JP4534998B2 (ja) * 2006-02-21 2010-09-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帯電粒子の製造方法、帯電粒子、電気泳動分散液、電気泳動シート、電気泳動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74590A (ko) 2007-02-09 2008-08-13 주식회사 엘에스 이중층 타입의 웨이퍼 레벨 언더필을 이용한 플립 칩패키징 방법 및 그 플립 칩 패키지와 반도체 소자
JP2008235840A (ja) 2007-03-23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モジュール
KR101719158B1 (ko) * 2010-07-22 2017-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4655A (ja) * 2004-12-01 2006-06-15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2009103919A (ja) * 2007-10-23 2009-05-14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9145873A (ja) * 2007-11-19 2009-07-0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24251A1 (en) 2012-09-06
US8203778B2 (en) 2012-06-19
US8446662B2 (en) 2013-05-21
KR20110105977A (ko) 2011-09-28
US20110228378A1 (en)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887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529578B (zh) 触控感测结构
CN102162941B (zh)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8432047B (zh) 扫描天线及其制造方法
CN105140246B (zh) 像素结构
CN101806982B (zh) 液晶显示器件和使用该器件的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80061039A (ko) 전자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821839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85475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4594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51810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substrate for use in the display panel
JP5618939B2 (ja) 液晶表示装置
CN110416266A (zh) 显示基板及包含其的显示面板
CN102662275A (zh) 液晶显示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1007252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2409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N101216626B (zh) 液晶显示面板
CN106928898B (zh) 透明粘合剂组合物、透明粘合剂层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1019568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373091A1 (en) Display panel
CN106873213B (zh) 液晶显示面板和制造该液晶显示面板的方法
KR20080099541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290850B2 (ja) 反射型表示装置
JP2018092088A (ja) 電気泳動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泳動装置の製造方法
US10073287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