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062B1 - 자동 공구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공구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062B1
KR101670062B1 KR1020140183385A KR20140183385A KR101670062B1 KR 101670062 B1 KR101670062 B1 KR 101670062B1 KR 1020140183385 A KR1020140183385 A KR 1020140183385A KR 20140183385 A KR20140183385 A KR 20140183385A KR 101670062 B1 KR101670062 B1 KR 10167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port
hook
unit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269A (ko
Inventor
최경수
민종관
Original Assignee
(주)삼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익테크 filed Critical (주)삼익테크
Priority to KR102014018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0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a single gripper
    • B23Q2003/155407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a single gripper linear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는, 공구가 수납되는 복수의 공구포트를 구비하는 포트유닛, 복수의 공구포트 중 교환이 필요한 공구포트를 교환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포트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교환위치로 이동된 공구포트의 공구를 교환시키는 교환유닛을 포함하며, 이동유닛은 공구포트를 회전 및 직선 이동시켜, 공구포트를 포트유닛과 교환유닛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구포트의 움직임 궤적을 확대에 따른 타 부품과의 간섭을 억제시켜 신뢰성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자동 공구 교환장치{AUTOMATIC TOOL CHANGER}
본 발명은 자동 공구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구포트의 이동 궤적으로 인한 타 부품의 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동 공구 교환장치는 다수의 공구를 공구 매거진(Tool Magazine)에 수납하고, 필요한 공구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는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는 복수의 공구포트가 일렬로 회전되며,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어느 하나를 교환위치로 이동시켜 공구를 교환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어느 하나가 교환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은 공구포트가 공구 매거진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됨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 공구포트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 궤적이 작음으로 인해, 공구포트의 회전으로 인해 타 부품들, 예를 들어 본체의 슬라이드 커버와의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구포트와 타 부품 사이의 간섭은 공구 교환동작 중 오작동을 야기하거나, 불필요한 부품의 파손을 야기한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0314호(출원인:(주)삼익테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구포트의 움직임 궤적을 확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는, 공구가 수납되는 복수의 공구포트를 구비하는 포트유닛,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교환이 필요한 상기 공구포트를 교환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포트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교환위치로 이동된 상기 공구포트의 공구를 교환시키는 교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공구포트를 회전 및 직선 이동시켜, 상기 공구포트를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유닛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트유닛은,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는 상호 일렬로 매거진 드럼에 지지되어 매거진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는 상기 매거진 드럼에 대해 비수직하게 설치되어 이동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유닛은, 일단은 상기 공구포트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매거진 드럼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브라켓,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간섭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회전브라켓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됨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롤러가 상기 매거진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의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회전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매거진 프레임에 대해 볼트(Bolt) 결합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후크는 상기 공구포트의 일측에 마련된 후크롤러에 걸려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후크는 상기 공구포트의 일측에 마련된 후크롤러를 가이드하여 이동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가동 지지대,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전 반경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동 지지대를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가동체 및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유닛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가동 지지대에서 상기 후크를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가동체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교환유닛은 상기 교환위치로 이동된 상기 공구포트를 파지하는 교환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는, 공구가 수납되는 복수의 공구포트를 구비하는 포트유닛 및,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교환이 필요한 상기 공구포트를 교환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일단은 상기 공구포트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매거진 드럼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브라켓,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간섭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가동 지지대,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전 반경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동 지지대를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가동체 및,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유닛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가동 지지대에서 상기 후크를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가동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포트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교환유닛을 향해 공구 교환이 필요한 공구포트를 회전 및 직선 이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공구포트의 회전 궤적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공구포트의 이동시 인접한 타 부품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파손 등과 같은 신뢰성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공구포트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여 회전되는 회전브라켓이 중력으로 낙하함을 차단하는 가이드롤러가 회전브라켓에 마련됨으로써, 공정 중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회전브라켓이 매거진 드럼에 대해 볼팅되어 결합됨으로써, 볼트 결합 해제만으로 회전브라켓에 지지된 공구포트를 매거진 드럼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공구포트의 유지/보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구포트가 회전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공구 교환장치의 공구 교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1)는 포트유닛(10), 이동유닛(20) 및 교환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포트유닛(10)은 공구(T)가 수납되는 복수의 공구포트(11)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11)는 매거진 드럼(magazine drum)(13)에 나란히 지지된다. 매거진 드럼(13)은 매거진 프레임(magazine frame)(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11)는 매거진 드럼(magazine drum)(13)에 지지된 상태로 매거진 프레임(12)에 지지된다. 이러한 매거진 드럼(13)이 복수의 공구포트(11)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복수의 공구포트(11)가 상호 일렬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11)들은 매거진 드럼(13)에 대해 수평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11)들은 매거진 드럼(13)에 경사지게 지지될 수도 있으며, 경사지게 지지됨으로써 공구포트(11)의 돌출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되어서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20)은 복수의 공구포트(11) 중 교환이 필요한 공구포트(11)를 교환위치 즉, 교환유닛(30)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유닛(20)은 공구포트(11)를 회전 및 직선 이동시켜, 공구포트(11)를 포트유닛(10)과 교환유닛(30)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유닛(20)은 상기 공구포트(11)를 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유닛(20)은 회전브라켓(21), 후크(22) 및 가동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브라켓(21)은 복수의 공구포트(11) 각각에 설치되어, 복수의 공구포트(11)를 매거진 드럼(13)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브라켓(21)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일단(21a)은 공구포트(11)를 지지하고 타단(21b)은 일단(21a)으로부터 연장되어 매거진 드럼(13)에 힌지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그 하나의 예로서, 상기 회전브라켓(21)은, 좌측 브라켓 및 우측 브라켓이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좌측 브라켓 및 우측 브라켓의 일단이 힌지핀(14)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14) 중앙부는 렌치볼트(121)에 의하여 볼팅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21)은 힌지핀(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힌지 운동을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힌지핀과 렌치볼트를 분리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공구 포트가 지지된 회전브라켓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21)은 매거진 드럼(13)에 의해 공구포트(11)를 경사지게 지지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브라켓(21)에 지지된 공구포트(11)는 매거진 드럼(13)에 대해 대략 30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좋다. 상기 회전브라켓(21)은 상기 매거진 드럼(13)에 힌지 결합되며 공구포트(1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타단(21b)을 가진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선단에서 70도 내지 120도로 구부려져서 연장되며 상기 공구포트(11)와 결합되는 결합부(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21)의 힌지부와 결합부(21a) 사이의 중앙부가 구부려지게 배치됨으로써, 매거진 드럼(13)에 공구포트(11)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구포트(11)가 경사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교환위치에 공구포트(11)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경사되지 않고 정위치에서 교환되도록 전방을 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구포트(11)가 매거진 드럼(13)에 의해 힌지 결합됨에 따라, 회전브라켓(21)에 지지된 공구포트(11)가 중력방향으로 낙하됨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브라켓(21)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됨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롤러(21c)가 매거진 프레임(12)의 내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21c)가 회전브라켓(21)에 설치되어 매거진 프레임(12)의 내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어 공구포트(11)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중력방향으로 공구포트(11)의 낙하를 차단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롤러(21c)는 구름베어링, 구름수지베어링, 캠 팔로워(cam follower) 및 미끄럼베어링 중 어느 하나로 채용 가능하다.
상기 후크(22)는 복수의 공구포트(11) 중 어느 하나를 간섭할 수 있는 간섭위치, 즉 공구포트(11)의 회전 경로 상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후크(22)의 내부 공간에는 후크롤러(11a)가 수납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즉, 상기 후크(22)의 내부 공간은 후크롤러(11a)에 비하여 크다. 이에 따라서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공구포트(11)가 회전브라켓(21)에 지지되어 매거진 드럼(13)에 의해 매거진 프레임(12) 내에서 회전되더라도, 후크롤러(11a)가 상기 후크(22)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후크(22)의 걸린 상태가 마찰 없이 유지되게 된다. 한편, 도 2에는 후크(22)와 후크롤러(11a)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후크(22)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시에는 상기 후크(22)와 후크롤러(11a)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동부(23)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후크(22)를 포트유닛(10)과 교환위치에 위치하는 교환유닛(30)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 경우, 포트유닛(10)은 매거진 드럼(13)에 공구포트(11)에 결합된 일 위치이다.
상기 가동부(23)는 가동 지지대(24), 제1가동체(25) 및 제2가동체(26)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지지대(24)는 후크(22)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후크(22)는 가동 지지대(24)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 지지대(24)는 제2가동체(26)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동체(25)는 후크(22)를 지지하는 가동 지지대(24)를 도 3과 같이 도시된 A방향인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가동체(25)에 의해 이동되는 제1방향(A)은 공구포트(11)가 포트유닛(10)에 있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도록 하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브라켓(21)의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1가동체(25)는 실린더(27)의 실린더 로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27)는 후크롤러(11a)의 후측에서 매거진 프레임(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동체(25)는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체(26)는 포트유닛(10)과 교환유닛(30)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후크(22)를 가동 지지대(24)에 대해 도시된 B방향, 예를 들어 좌우방향인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상기 제2가동체(26)는 가동 지지대(24)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가동체(25)의 제1방향(A)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방향(A)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가동체(26)가 이동하게 되면 회전브라켓(21)이 힌지 회전 운동하게 됨으로써, 후크(22)에 걸려있는 공구포트(11)가 제2방향(B)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공구포트(11) 자체도 회전하게 되어서 교환위치에서는 경사지지 않고 전방을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가동체(26)는 후크(22)가 복수의 공구포트(11) 중 어느 하나를 간섭한 상태로 교환위치 즉, 교환유닛(30)을 향해 제2방향(B)으로 가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가동체(26)는 가동 지지대(24)에 마련된 레일일 수 있으며, 후크(22)가 상기 레일인 제2가동체(26)를 따라서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일의 예로서, 라운드 바, LM 가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제2가동체(26)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후크를 자유롭게 B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한다면 본 발명의 제2가동체에 포함된다.
상기 제2가동체(26)는 후크(22)를 제2방향(B)에 대해 양방향 직선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가동체(26)의 제2방향(B) 이동에 의해, 포트유닛(10)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된 교환유닛(30)을 향해 공구포트(11)가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가동체(25)(26)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 즉, 2차원 방향으로 후크(22)를 가동시킨다.
이 경우, 가동 지지대(24)는 센서 브라켓(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브라켓(124)에서는,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으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는 후크가 교환유닛의 위치에 정확히 도착했는지 여부 및 후크가 포트유닛에 정확히 도착했는지 여부를 센싱한다. 후크가 정확한 위치에 도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작업을 중지하고 알람 등의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가 포트유닛(11)에 위치한 경우에, 후크가 흔들리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엔드락 핀(12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엔드락 핀(126)은 상기 가동지지대의 수납홀에 수납되며, 후크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서 돌출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후크가 상기 엔드락 핀(126)을 지나갈 때에는 수납홀로 후퇴하고, 상기 후크가 포트유닛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엔드락 핀(126)이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되어서 후크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브라켓(21)이 존재하고, 제1, 2가동체(25)(26)가 2차원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가동부(23)를 공구포트(11) 후방, 보다 자세하게는 매거진 프레임 후방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린더(27)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유압공급라인들을, 공구 교체 작업을 행하는 공구포트(11)의 전방이 아닌 후방에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공구포트(11)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환유닛(30)은 포트유닛(10)의 매거진 프레임(1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교환위치로 이동된 공구포트(11)의 공구(T)를 교환시킨다. 상기 교환유닛(3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교환위치로 이동된 공구포트(11)를 파지하는 교환지지대(31)를 포함한다. 아울러,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후크에 파지된 공구포트(11)로부터 공구(T)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공구(T) 대신에 새로운 공구(T)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미도시된 분리수단 및 공급수단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공구 교환장치(1)의 공구 교환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포트유닛(10)의 매거진 프레임(12)을 따라 매거진 드럼(13)에 일렬로 지지된 복수의 공구포트(11)가 이동된다. 이때, 상기 공구포트(11)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매거진 드럼(13)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되며, 가이드롤러(21c)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됨 없이 매거진 드럼(13)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후크(22)는 공구포트(11)의 후크롤러(11a)가 진행하는 포트유닛(10) 중 한 곳(편의상, 이를 '탈착 위치' 라 한다.)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롤러(11a)들이 통과하는 통로 기능을 한다.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11) 중에서 공구(T)의 교환이 필요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교환이 필요한 공구포트(11)가 후크가 있는 탈착 위치에 배치되도록 회전하여 정지되고, 후크(22)가 후크롤러(11a)를 감싸진 상태에서, 제1가동체(25)가 제1방향(A) 중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후크(22)가 후크롤러(11a)와 결합하게 되어서, 후크롤러(11a)를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공구포트(11)가 매거진 드럼(1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에, 상기 회전브라켓(21)의 힌지 작동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게 하며, 이에 따라서 공구포트(1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매거진 드럼(1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크(22)를 제2방향(B)으로 가이드 하여서, 교환유닛(30)을 향해 이동시킨다. 즉, 제1가동체(25)가 후진함에 따라서 후크(22)가 회전브라켓(21)의 힌지 운동에 따라서 회전을 함과 동시에 제2방향(B)으로 직선 운동하여서, 상기 공구포트(11)가 교환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가동체(25)(26)의 제1 및 제2방향(A)(B) 이동에 의해, 후크(22) 및 후크롤러(11a)가 제1 및 제2방향(A)(B), 도면을 예를 들어 후진 및 좌측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서, 회전브라켓(21)의 일단(21a)에 지지된 공구포트(11)가 교환위치 즉, 교환유닛(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교환유닛(30)으로 이동된 공구포트(11)는 교환지지대(24)에 파지되어, 공구(T)가 교환되게 된다.
상기 공구(T)의 교환이 완료되면, 제2가동체(26)가 전진한다. 이에 따라서, 회전브라켓(21)의 힌지 작용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제2가동체(26)의 레일을 따라서 후크롤러(11a)가 포트유닛(10)으로 이송되어서, 다시 매거진 드럼(13)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구포트(11)의 공구(T)는 이동유닛(20)에 의해 회전 및 직선 이동됨으로써, 포트유닛(10)으로부터 이격된 교환유닛(30)을 향해 큰 움직임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구포트(11)의 이동시 타 부품들, 예를 들어서 슬라이드 커브 등과의 간섭이 억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자동 공구 교환장치 10: 포트유닛
11: 공구포트 12: 매거진 프레임
20: 이동유닛 21: 회전브라켓
22: 후크 23: 가동부
24: 가동 지지대 25: 제1가동체
26: 제2가동체 30: 교환유닛
31: 교환지지대 T: 공구

Claims (9)

  1. 매거진 드럼에 지지되고, 공구가 수납되는 복수의 공구포트를 구비하는 포트유닛; 및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교환이 필요한 상기 공구포트를 교환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일단은 상기 공구포트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매거진 드럼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브라켓;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간섭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는,
    가동 지지대;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전 반경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동 지지대를 제1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가동체; 및
    상기 가동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포트유닛과 교환위치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가동 지지대에서 상기 후크를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가동체;
    를 포함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구포트는 상호 일렬로 상기 매거진 드럼에 비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 드럼은 매거진 프레임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됨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롤러가 상기 매거진 프레임과 마주하는 위치의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의 타단은 힌지핀이 배치되고, 상기 힌지핀은 상기 매거진 드럼에 대해 볼트(Bolt) 결합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공구포트의 일측에 마련된 후크롤러를 가이드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포트유닛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후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를 고정하는 엔드락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매거진 프레임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1020140183385A 2014-12-18 2014-12-18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10167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85A KR101670062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공구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85A KR101670062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공구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69A KR20160074269A (ko) 2016-06-28
KR101670062B1 true KR101670062B1 (ko) 2016-10-27

Family

ID=5636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385A KR101670062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공구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7216B (zh) * 2019-11-04 2020-09-04 吉林大学 一种基于半马尔科夫过程的刀库机械手可靠性试验方法
CN112091650B (zh) * 2020-09-14 2021-10-15 李云明 一种机械精加工用机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273A (ja) * 2001-09-21 2003-04-03 Makino Milling Mach Co Ltd 自動工具交換装置
KR101271564B1 (ko) * 2013-03-05 2013-06-11 조윤섭 머시닝센터의 자동 공구교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085A (ko) * 2007-04-04 2008-10-08 위아 주식회사 머시닝센터의 툴포트장치
KR101200314B1 (ko) 2012-02-29 2012-11-12 (주)삼익테크 자동 공구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273A (ja) * 2001-09-21 2003-04-03 Makino Milling Mach Co Ltd 自動工具交換装置
KR101271564B1 (ko) * 2013-03-05 2013-06-11 조윤섭 머시닝센터의 자동 공구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69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5428B1 (en) Tool magazine and tool exchange device
JP6682382B2 (ja) ノズルチェンジャ、及びノズルチェンジャを備えるレーザ加工機械
US10321618B2 (en) Tape feeder
JP5904683B2 (ja) 棒材供給機
KR101670062B1 (ko) 자동 공구 교환장치
WO2016059738A1 (ja) 横型工作機械
WO2013031565A1 (ja) 部品供給装置
CN106493597B (zh) 机床
JP6420349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
US10507505B2 (en) Bending press and/or loading device
US10369671B2 (en) Chain magazine for holding tools
JP6389104B2 (ja) さく孔機用ロッド着脱装置
KR101637731B1 (ko) 툴 매거진 및 툴 포트 이송유닛
KR102309813B1 (ko) 릴 스토커 및 부품 공급 장치
JP2008173763A (ja) ロボット機械のための加工用エンドレスベルトを保管および送出するための装置
KR101569703B1 (ko) 장갑코팅기의 장갑장착모듈 회전장치
JP6576662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ツールマガジン装置
ES2282223T3 (es) Dispositivo de carga de barras y de extraccion de chatarra por elimentador.sp.
KR101538686B1 (ko) 자동 공구 교환 장치
JP2019115926A (ja) 電極チップの交換装置
WO2016063422A1 (ja) 棒材供給機
JP2003019635A (ja)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6602483B2 (ja) 加工システム
JPWO2020141575A1 (ja) 工具マガジン
JPH1158165A (ja) 工具マガ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