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280B1 -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280B1
KR101668280B1 KR1020147029036A KR20147029036A KR101668280B1 KR 101668280 B1 KR101668280 B1 KR 101668280B1 KR 1020147029036 A KR1020147029036 A KR 1020147029036A KR 20147029036 A KR20147029036 A KR 20147029036A KR 101668280 B1 KR101668280 B1 KR 10166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winding
shaft
fiber bundl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706A (ko
Inventor
모토히로 타니가와
다이고로 나카무라
타다시 우오즈미
켄 핫타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8Supplying or transporting empty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60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29C53/60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for tubular articles having closed or nearly closed ends, e.g. vessels, tanks,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016Storing, feeding or applying winding materials, e.g. reels, thread guides, tens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라이너(1)를 지지하는 라이너 지지 장치(42)와, 상기 라이너(1)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그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을 권취하는 후프 권취 장치(43)를 구비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42) 및 상기 후프 권취 장치(43)를 대차(40A)에 배치하고, 상기 대차(40A)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너(1)와 상기 후프 권취 장치(43)를 동시에 반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이다.

Description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FILAMENT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다발을 라이너의 외주면에 권취해 가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는 라이너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그 라이너의 외주면에 섬유 다발을 권취하는 후프 권취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후프 권취 장치는 섬유 다발이 권취된 보빈을 구비하고 있고, 그 보빈으로부터 공급된 섬유 다발을 스스로가 회전함으로써 라이너에 권취한다. 그 때문에, 후프 권취 장치를 구비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는 보빈에 권취된 섬유 다발이 적어지면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중단하고 보빈을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중단하고 보빈의 교환을 행했을 경우,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 효율이 악화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는 라이너로의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이 완료되면 새로운 라이너로 교환하여 다시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개시한다. 그러나, 라이너의 교환 작업을 행했을 경우,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개시할 수 있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 효율이 악화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09-61721호 공보
본 발명은 새로운 라이너로의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행하면서 섬유 다발이 적어진 보빈이나 이미 섬유 다발이 권취된 라이너를 교환 가능하게 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라이너를 회전시키면서 이송하는 라이너 이송 장치와,
상기 라이너의 반입 또는 반출시에 상기 라이너를 지지하는 라이너 지지 장치와,
상기 라이너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그 라이너의 외주면에 섬유 다발을 권취하는 후프 권취 장치를 구비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 및 상기 후프 권취 장치를 대차에 배치하고,
상기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너와 상기 후프 권취 장치를 동시에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로 반입 또는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로부터 반출할 수 있는 것으로 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제 1 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대차가 레일 상에 놓여지고,
각각의 상기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너와 상기 후프 권취 장치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제 2 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근방에 섬유 다발이 권취된 보빈이나 상기 라이너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을 설치한 것으로 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제 1∼제 3 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라이너축과,
상기 라이너축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라이너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축과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가 분리되어 있을 때에 상기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제 4 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가 상기 라이너축을 지지하면 그 라이너축으로부터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를 분리하고,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가 상기 라이너축에 연결되면 그 라이너 지지축으로부터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를 이간(離間)시키는 것으로 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제 1 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는 라이너 지지 장치 및 후프 권취 장치를 대차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라이너와 후프 권취 장치를 동시에 라이너 이송 장치로 반입 또는 라이너 이송 장치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제 2 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대차가 레일 상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라이너와 후프 권취 장치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다.
제 3 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는 레일의 근방에 섬유 다발이 권취된 보빈이나 라이너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을 설치했기 때문에, 새로운 라이너로의 섬유 다발의 권취 동작을 행하면서 섬유 다발이 적어진 보빈이나 이미 섬유 다발이 권취된 라이너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 4 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는 라이너축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라이너 이송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라이너축과 라이너 이송 장치가 분리되어 있을 때에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5 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는 라이너 지지 장치가 라이너축을 지지하면 그 라이너축으로부터 라이너 이송 장치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라이너를 대차에 배치한 상태에서 라이너 이송 장치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라이너를 대차에 배치한 상태에서 라이너 이송 장치로 반입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 이송 장치가 라이너축에 연결되면 그 라이너 지지축으로부터 라이너 지지 장치를 이간시키기 때문에, 라이너를 라이너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대차(40A·40B)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후프 권취 장치(43)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라이너 지지 장치(42)가 라이너축(1R)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라이너 이송 장치(20)가 라이너축(1R)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대차(40A)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대차(40B)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라이너 이송 장치(20)가 라이너축(1R)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라이너 지지 장치(42)가 라이너축(1R)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대차(40A)가 작업장(WF)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어서,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100)[이후, FW 장치(10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FW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X)는 라이너(1)의 이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이너(1)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으로 하고, 라이너(1)가 이송되는 일방향을 전방측(본 도면 우측), 타방향을 후방측(본 도면 좌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FW 장치(100)는 라이너(1)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때문에 그 라이너(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방측 및 후방측이 결정된다.
또한, 도 2는 대차(40A·40B)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Y)는 후술하는 라이너 지지축(222)의 슬라이딩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Z)는 후술하는 라이너 지지 장치(42)의 신축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FW 장치(100)는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을 권취한다. FW 장치(100)는 주로 주 기대(10)와, 라이너 이송 장치(20)와, 헬리컬 권취 장치(30)와, 대차(40A·40B)로 구성된다.
라이너(1)는, 예를 들면 고강도 알루미늄재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중공 용기이다. 라이너(1)는 그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이 권취됨으로써 내압 특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즉, 라이너(1)는 내압 용기를 구성하는 기재로 된다.
주 기대(10)는 FW 장치(100)의 기초를 구성한다. 주 기대(1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 1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레일(11)에는 라이너 이송 장치(20)가 놓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 기대(10)는 FW 장치(100)의 기초를 구성함과 아울러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으로 라이너 이송 장치(20)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라이너 이송 장치(20)는 라이너(1)를 회전시키면서 이송한다. 상세하게는, 라이너 이송 장치(20)는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을 중심축으로 해서 라이너(1)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으로 라이너(1)를 이송한다. 라이너 이송 장치(20)는 주로 기대(21)와 라이너 지지부(22)로 구성된다.
기대(21)에는 그 기대(21)의 상부에 한 쌍의 라이너 지지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 지지부(22)는 라이너 지지 프레임(221)과 라이너 지지축(222)으로 구성되고, 라이너(1)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라이너 지지부(22)는 기대(21)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된 라이너 지지 프레임(221)과, 그 라이너 지지 프레임(221)으로부터 전후 방향을 향해서 연장된 라이너 지지축(2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라이너(1)는 라이너 지지축(222)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동력 기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라이너 이송 장치(20)는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을 중심축으로 해서 라이너(1)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으로 라이너(1)를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FW 장치(100)에 있어서는 라이너(1)에 라이너축(1R)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라이너 지지축(222)에 라이너(1)를 부착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라이너 지지축(222)은 각각 라이너축(1R)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도 2 중 화살표(Y) 참조]. 따라서, 라이너 지지축(222)은 라이너축(1R)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즉, 라이너 이송 장치(20)는 라이너축(1R)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21)의 상부에는 제 1 레일(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 2 레일(23)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레일(23)에는 대차(40A)가 놓여져 있다. 또한, 제 2 레일(23)에는 대차(40A) 이외에 대차(40B)가 놓여져 있다(도 4∼도 9 참조). 따라서, 본 FW 장치(100)는 그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대차(40A)와 대차(40B)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헬리컬 권취 장치(30)는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을 권취한다. 상세하게는, 헬리컬 권취 장치(30)는 섬유 다발(F)의 권취 각도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값이 되는, 소위 헬리컬 권취를 행한다. 헬리컬 권취 장치(30)는 주로 기대(31)와 헬리컬 감기 장치(32)로 구성된다.
기대(31)에는 헬리컬 감기 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헬리컬 감기 장치(32)는 고정 헬리컬 헤드(321)와 가동 헬리컬 헤드(322)로 구성되고,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헬리컬 권취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헬리컬 감기 장치(32)는 주로 헬리컬 권취를 행하는 고정 헬리컬 헤드(321)와, 마찬가지로 헬리컬 권취를 행하는 가동 헬리컬 헤드(322)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 헬리컬 헤드(321)에 설치된 섬유 다발 가이드와 가동 헬리컬 헤드(322)에 설치된 섬유 다발 가이드에 의해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이 안내되고, 라이너(1)가 회전하면서 통과함으로써 헬리컬 권취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헬리컬 권취 장치(30)는 섬유 다발(F)의 권취 각도가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값이 되는 헬리컬 권취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대차(40A·40B)는 라이너(1)를 놓은 상태에서 그 라이너(1)를 라이너 이송 장치(20)에 반입한다. 또한, 대차(40A·40B)는 라이너(1)를 놓은 상태에서 그 라이너(1)를 라이너 이송 장치(20)로부터 반출한다. 대차(40A·40B)는 주로 기대(41)와, 라이너 지지 장치(42)와, 후프 권취 장치(43)로 구성된다. 또한, 대차(40A)와 대차(40B)는 서로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대차(40A)에 대해서만을 설명한다.
기대(41)에는 그 기대(41)의 상부에 한 쌍의 라이너 지지 장치(42)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 지지 장치(42)는 리프트부(421)와 대좌부(422)로 구성되어 라이너(1)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라이너 지지 장치(42)는 기대(41)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배치된 리프트부(421)와 그 리프트부(421)의 상부에 부착된 대좌부(422)로 구성된다. 그리고, 라이너(1)는 리프트부(421)가 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는 경우에 대좌부(42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라이너 지지 장치(42)는 라이너(1)에 부착된 라이너축(1R)에 대좌부(422)가 접촉함으로써 라이너(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대(41)의 상부에는 제 1 레일(11)에 대하여 평행하게 제 3 레일(47)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레일(47)에는 후프 권취 장치(43)가 놓여져 있다. 따라서, 본 FW 장치(100)는 그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후프 권취 장치(43)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후프 권취 장치(43)는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을 권취한다. 상세하게는, 후프 권취 장치(43)는 섬유 다발(F)의 권취 각도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는, 소위 후프 권취를 행한다. 후프 권취 장치(43)는 주로 기대(44)와, 동력 기구(45)와, 후프 감기 장치(46)로 구성된다.
기대(44)에는 동력 기구(45)에 의해 회전되는 후프 감기 장치(46)가 설치되어 있다. 후프 감기 장치(46)는 감기 테이블(461)과 보빈(462)으로 구성되어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후프 권취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프 감기 장치(46)는 주로 후프 권취를 행하는 감기 테이블(461)과, 그 감기 테이블(461)에 섬유 다발(F)을 공급하는 보빈(46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감기 테이블(461)에 설치된 섬유 다발 가이드(464)(도 3 참조)에 의해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이 안내되고, 감기 테이블(461)이 회전함으로써 후프 권취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후프 권취 장치(43)는 섬유 다발(F)의 권취 각도가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는 후프 권취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3을 이용하여 후프 권취 장치(43)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후프 권취 장치(43)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R)는 후프 권취 장치(43)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후프 권취 장치(43)는 섬유 다발(F)이 권취된 보빈(462)을 구비하고 있고, 그 보빈(462)으로부터 공급되는 섬유 다발(F)을 스스로가 회전함으로써 라이너(1)에 권취한다. 상세하게는, 후프 권취 장치(43)의 감기 테이블(461)과 보빈(462)이 일체가 되어 회전함으로써 섬유 다발(F)을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권취한다.
감기 테이블(461)에는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대략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너 이송 장치(20)는 전후 방향으로 라이너(1)를 이송할 수 있고, 후프 권취 장치(43)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감기 테이블(461)에 라이너(1)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감기 테이블(461)에는 가이드 롤러(463)와 섬유 다발 가이드(46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63)는 보빈(462)으로부터 공급되는 섬유 다발(F)을 섬유 다발 가이드(464)까지 안내한다. 섬유 다발 가이드(464)는 가이드 롤러(463)에 의해 안내된 섬유 다발(F)을 라이너(1)의 외주면(1S)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후프 권취 장치(43)는 라이너(1)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그 라이너(1)의 외주면(1S)에 섬유 다발(F)을 권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어서, 라이너(1)로의 섬유 다발(F)의 권취 동작이 완료되었을 경우를 상정하고, 새로운 라이너(1)로 교환하여 다시 섬유 다발(F)의 권취 동작을 개시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FW 장치(100)는 라이너(1)로의 섬유 다발(F)의 권취 동작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그 라이너(1)와 후프 권취 장치(43)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FW 장치(100)에 있어서는 섬유 다발(F)의 권취 동작의 도중에 그 섬유 다발(F)이 없어지지 않도록 보빈(462)에 권취된 섬유 다발(F)의 길이를 고려하고 있다.
FW 장치(100)는 라이너(1)로의 섬유 다발(F)의 권취 동작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모든 권취 동작을 정지한다. 여기에서, 모든 권취 동작이란, 예를 들면 라이너 이송 장치(20)에 의한 라이너(1)의 회전 동작이나 이송 동작 등도 포함한, 섬유 다발(F)을 권취하기 위한 모든 동작을 말한다.
우선, FW 장치(1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40A)에 설치된 라이너 지지 장치(42)에 의해 라이너(1)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W 장치(100)는 라이너 지지 장치(42)의 대좌부(422)를 대기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켜서[도면 중 화살표(Z) 참조] 라이너(1)에 부착된 라이너축(1R)을 지지한다.
이어서, FW 장치(1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너 지지축(222)을 슬라이딩시켜서 라이너축(1R)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W 장치(100)는 라이너 지지축(222)을 라이너축(1R)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도면 중 화살표(Y) 참조] 그 라이너축(1R)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라이너 지지 장치(42)는 적어도 대차(40A)나 대차(40B)를 통과 가능한 정도의 간극을 둔다.
이어서, FW 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너(1)가 놓여진 상태의 대차(40A)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W 장치(100)는 라이너(1)가 놓여진 상태의 대차(40A)를 제 2 레일(23)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FW 장치(100)는 라이너(1)를 라이너 이송 장치(20)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또한, 후프 권취 장치(43)는 대차(40A)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너(1)와 함께 이동되게 된다. 즉, 본 FW 장치(100)는 라이너(1)와 후프 권취 장치(43)를 동시에 라이너 이송 장치(20)로부터 반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FW 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라이너(1)가 놓여진 상태의 대차(40B)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W 장치(100)는 새로운 라이너(1)가 놓여진 상태의 대차(40B)를 제 2 레일(23)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FW 장치(100)는 새로운 라이너(1)를 라이너 이송 장치(20)에 반입할 수 있다. 또한, 후프 권취 장치(43)는 대차(40B)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라이너(1)와 함께 이동되게 된다. 즉, 본 FW 장치(100)는 새로운 라이너(1)와 후프 권취 장치(43)를 동시에 라이너 이송 장치(20)로 반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FW 장치(1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너 지지축(222)을 슬라이딩시켜서 라이너축(1R)과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W 장치(100)는 라이너 지지축(222)을 라이너축(1R)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도면 중 화살표(Y) 참조] 그 라이너축(1R)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라이너(1)는 라이너축(1R)을 통해서 라이너 지지축(222)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FW 장치(10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너축(1R)으로부터 라이너 지지 장치(42)를 이간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W 장치(100)는 라이너 지지 장치(42)의 대좌부(42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도면 중 화살표(Z) 참조] 그 대좌부(422)를 대기 위치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해서, 라이너 지지 장치(42)는 FW 장치(100)의 전후 방향으로 라이너(1)를 이송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헬리컬 권취 장치(30)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FW 장치(100)는 라이너 지지 장치(42) 및 후프 권취 장치(43)를 하나의 대차(40A·40B)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차(40A·40B)를 이동시킴으로써 라이너(1)와 후프 권취 장치(43)를 동시에 라이너 이송 장치(20)로 반입 또는 라이너 이송 장치(20)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또한, 본 FW 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대차(40A·40B)가 동일한 레일[제 2 레일(23)] 상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대차(40A·40B)를 이동시킴으로써 라이너(1)와 후프 권취 장치(43)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FW 장치(10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레일(23)의 근방에 섬유 다발(F)이 권취된 보빈(462)이나 라이너(1)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WF)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FW 장치(100)는 제 2 레일(23)의 근방에 섬유 다발(F)이 권취된 보빈(462)이나 라이너(1)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WF)을 설치했기 때문에, 새로운 라이너(1)로의 섬유 다발(F)의 권취 동작을 행하면서 섬유 다발(F)이 적어진 보빈(462)이나 이미 섬유 다발(F)이 권취된 라이너(1)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FW 장치(100)는 작업장(WF)까지 이동한 대차(40A)의 보빈(462)이나 라이너(1)의 교환 작업을 임의의 시간에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본 FW 장치(100)는 작업성이나 정비성도 향상시키고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의 기술에 이용 가능하다.
1 : 라이너 1S : 외주면
1R : 라이너축 10 : 주 기대
20 : 라이너 이송 장치 22 : 라이너 지지부
222 : 라이너 지지축 23 : 레일(제 2 레일)
30 : 헬리컬 권취 장치 40A : 대차
40B : 대차 41 : 기대
42 : 라이너 지지 장치 422 : 대좌부
43 : 후프 권취 장치 462 : 보빈
100 :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FW 장치) F : 섬유 다발
WF : 작업장

Claims (5)

  1. 라이너를 회전시키면서 이송하는 라이너 이송 장치와,
    상기 라이너의 반입 또는 반출시에 상기 라이너를 지지하는 라이너 지지 장치와,
    상기 라이너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라이너의 외주면에 섬유 다발을 권취하는 후프 권취 장치를 구비한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 및 상기 후프 권취 장치를 대차에 배치하고,
    상기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너와 상기 후프 권취 장치를 동시에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로 반입 또는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로부터 반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대차가 레일 상에 놓여지고,
    각각의 상기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너와 상기 후프 권취 장치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근방에 섬유 다발이 권취된 보빈이나 상기 라이너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라이너축과,
    상기 라이너축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라이너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축과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가 분리되어 있을 때에 상기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가 상기 라이너축을 지지하면 그 라이너축으로부터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를 분리하고,
    상기 라이너 이송 장치가 상기 라이너축에 연결되면 그 라이너 지지축으로부터 상기 라이너 지지 장치를 이간(離間)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KR1020147029036A 2012-03-19 2013-03-08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KR101668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2476A JP5752627B2 (ja) 2012-03-19 2012-03-19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JP-P-2012-062476 2012-03-19
PCT/JP2013/056440 WO2013141042A1 (ja) 2012-03-19 2013-03-08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706A KR20140144706A (ko) 2014-12-19
KR101668280B1 true KR101668280B1 (ko) 2016-10-21

Family

ID=4922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036A KR101668280B1 (ko) 2012-03-19 2013-03-08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1719B2 (ko)
JP (1) JP5752627B2 (ko)
KR (1) KR101668280B1 (ko)
CN (1) CN104203549B (ko)
DE (1) DE112013001540B4 (ko)
WO (1) WO2013141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301B1 (ko) * 2015-12-03 2017-07-07 한국세라믹기술원 섬유권취시스템
CN105799187B (zh) * 2016-04-14 2018-04-27 航天材料及工艺研究所 一种复合材料网格锥壳铺丝与缠绕一体化成型装置
DE112018001551T5 (de) * 2017-03-21 2019-12-19 Murata Machinery, Ltd. Fadenwickelvorrichtung
JP6881138B2 (ja) * 2017-08-07 2021-06-02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KR102100689B1 (ko) * 2018-11-02 2020-04-14 주식회사 씨에스이노벤 유리 섬유 리바 제조용 인발 다이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섬유 리바 제조 장치
JP7099270B2 (ja) 2018-11-15 2022-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7099337B2 (ja) * 2019-01-15 2022-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CN111186719A (zh) * 2020-03-06 2020-05-22 江苏巨弘捆带制造有限公司 一种捆带往复式绕卷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853A (ja) 1999-05-31 2000-12-05 Murata Mach Ltd ブレイダーによる繊維強化圧力容器の連続生産システム
JP2009066818A (ja) 2007-09-11 2009-04-02 Murata Mach Ltd マンドレルの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3771A (en) * 1947-06-13 1953-09-29 Int Standard Electric Corp Electric coil winding machine
US4172562A (en) 1976-12-23 1979-10-30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winding filaments on a mandrel
JPS6168234A (ja) * 1984-09-12 1986-04-08 Hitachi Zosen Corp 管製造設備
JPS6371341A (ja) * 1986-09-12 1988-03-31 Mazda Motor Corp 繊維強化合成樹脂部材の製造法
JPH074876B2 (ja) * 1990-11-27 1995-01-25 東レ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成形装置
JPH08277065A (ja) * 1995-04-06 1996-10-22 Nippon Steel Corp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DE10229074B4 (de) * 2002-06-28 2006-07-06 Contitech Luftfedersysteme Gmbh Spiralisiervorrichtung
JP4235142B2 (ja) * 2004-04-30 2009-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DE102006042999B3 (de) 2006-09-14 2007-10-25 Federal-Mogul Deva Gmbh Gleiteleme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JP5067533B2 (ja) * 2007-02-15 2012-11-07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EP2033766B1 (en) * 2007-08-09 2011-09-07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filament winding system
JP4404226B2 (ja) * 2007-08-23 2010-01-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自動化システム
JP4957907B2 (ja) * 2007-09-05 2012-06-20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4420250B2 (ja) * 2007-09-07 2010-02-24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4403521B2 (ja) 2007-11-15 2010-01-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5505588B2 (ja) * 2008-06-20 2014-05-28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5578305B2 (ja) * 2009-03-30 2014-08-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5375428B2 (ja) * 2009-08-18 2013-12-25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CN202089651U (zh) * 2010-12-30 2011-12-28 漯河市利通橡胶有限公司 钢丝管缠绕机
JP5687981B2 (ja) * 2011-09-16 2015-03-25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853A (ja) 1999-05-31 2000-12-05 Murata Mach Ltd ブレイダーによる繊維強化圧力容器の連続生産システム
JP2009066818A (ja) 2007-09-11 2009-04-02 Murata Mach Ltd マンドレルの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1540B4 (de) 2019-02-28
KR20140144706A (ko) 2014-12-19
US20150048195A1 (en) 2015-02-19
CN104203549A (zh) 2014-12-10
CN104203549B (zh) 2016-08-17
DE112013001540T5 (de) 2015-02-19
JP2013193315A (ja) 2013-09-30
US9751719B2 (en) 2017-09-05
WO2013141042A1 (ja) 2013-09-26
JP5752627B2 (ja)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280B1 (ko)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KR101462979B1 (ko)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JP2011502831A5 (ko)
JP6968612B2 (ja) 空チューブを繊維機械の補助装置に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CN102837438A (zh) 缆绳胎圈的制造方法及缆绳胎圈的制造***
CN106029539B (zh) 卷筒支承装置
JP5687981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KR20090081380A (ko) 타이어 구성 요소 제조 조립체 및 타이어 구성 요소 제조 방법
US20130056575A1 (en) Fiber placement auto spool loader
CN114179413A (zh) 轮胎成型机
JP6438150B2 (ja) ワイヤ更新装置およびワイヤ更新方法
CN110446596B (zh) 长丝卷绕装置
CN103449219A (zh) 在卷绕机中卷绕纤维幅材的方法及设备
CN216635500U (zh) 轮胎成型机
JP6613456B2 (ja) フィーダ交換台車
JP5814051B2 (ja) 例えばスライバ巻取機において、巻取済ロールを製造するために巻取ローラにリールを供給する装置
JP5698632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KR20170047439A (ko) 카카스 재단용 권취장치
IT201800010247A1 (it) Apparato e metodo di manipolazione di barre
JP5206950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糸受け渡しリング機構
JP5350015B2 (ja) 組付設備
JP2004306495A (ja) タイヤ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11156697A (ja) ビードセッター
CN102718085A (zh) 一种用于卷取机加装套筒的装置
KR20170017020A (ko) 크릴 자동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