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114B1 -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lamp reflector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nd lamp reflectors - Google Patents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lamp reflector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nd lamp reflec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114B1
KR101668114B1 KR1020090072859A KR20090072859A KR101668114B1 KR 101668114 B1 KR101668114 B1 KR 101668114B1 KR 1020090072859 A KR1020090072859 A KR 1020090072859A KR 20090072859 A KR20090072859 A KR 20090072859A KR 101668114 B1 KR101668114 B1 KR 10166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aturated polyester
polyester resin
mass
resin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3742A (en
Inventor
히데카즈 후지타
히데카즈 가네오카
다츠야 우메야마
에이지 마노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탄레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탄레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1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과제) 성형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에 추가적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PROBLEMS) To provide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which is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imparts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paintability and adhesion to a primer layer in addition to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do.

(해결 수단) (a) 다가 알코올과 불포화 다염기산을 중축합시켜 이루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b) 디알릴프탈레이트의 모노머 또는 프레폴리머 및, (c)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가교제와, (d) 폴리스티렌, (e) 아크릴 폴리머, 그리고 (f)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저수축제를 함유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저수축제의 함유량이,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 50 질량부이고, (d) 와 (e) 의 질량 비율이 25 : 75 ∼ 75 : 25 이며, (d) 및 (e) 와 (f) 의 질량 비율이 10 : 90 ∼ 50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한다. (B) a monomer or prepolymer of diallyl phthalate; and (c)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monomer other than a diallyl phthalate monomer.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saturated polyester is a copolymer of a polyhydric alcohol and an unsaturated polybasic acid. (D) a polystyrene, (e) an acrylic polymer, and (f) a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and / or a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as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D) and (e) is in the range of 25:75 to 75:25, and the content of the (d) and (d) is in the range of 15:50 to 50:50, ) And the mass ratio of (e) to (f) is from 10:90 to 50:50.

Description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물, 그리고 램프 리플렉터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LAMP REFLECTOR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ND LAMP REFLECTOR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a molded article thereof, and a lamp reflector,

본 발명은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물, 그리고 램프 리플렉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헤드 램프로 대표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물, 그리고 램프 리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a molded article thereof, and a lamp reflec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typified by an automotive head lamp, a molded article thereof, and a lamp reflector.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 (벌크 몰딩 컴파운드 : BMC) 는 성형성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성형물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 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OA 기기, 사무 기기의 섀시, 자동차용 헤드 램프로 대표되는 램프 리플렉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bulk molding compound: BMC) is excellent in not only formability but also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sulting molded article, And is widely used in lamp reflectors and the like.

이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가교제와, 폴리스티렌과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을 함유하는 것 (예를 들어, 인용 문헌 1 참조) 이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스티렌-아세트산 비닐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디엔 블록 공 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을 함유하는 것 (예를 들어, 인용 문헌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Examples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include unsaturated polyester, cross-linking agent, polystyrene and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and / or a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see, for example, 1), an unsaturated polyester, a styrene-vinyl acetate block copolymer, a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and / or a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see, for example, Reference 2) It is known.

그런데, 램프 리플렉터의 제조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물 (기재)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 (언더 코트) 을 도포 및 경화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알루미늄이나 아연 등의 금속 코팅을 실시하여 금속 반사층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에는, 상기 특성에 추가적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하는 것도 요구된다. However, in the manufacture of the lamp reflector, a primer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nd curing a primer composition (undercoat) on a molded article (substrate) obtained by molding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and then a metal such as aluminum or zinc Coating is performed to form a metal reflection layer.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it is also required to impart a molding excellent in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adhesion with the primer layer to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for lamp reflector.

그러나, 종래의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성형물은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 충분하지 않아 프라이머 조성물의 「뭉침」이 발생하고, 그 결과, 금속 코팅을 균일하게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 양호하였다고 해도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아 램프 리플렉터의 사용 경과에 따라 광반사성 등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성형물로부터 프라이머층이 박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lded article obtained from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for lamp reflector has insufficient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causing " aggregation "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as a result, metal coating can not be uniformly performed there was. In addition, even if the primer composition has good paintability, adhesion with the primer layer is not sufficient, and the performance such as light reflectivity decreases with the use of the lamp reflector, and in some cases, the primer layer peels off from the molded article .

여기에서,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나, 성형물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은 성형물을 부여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의 조성뿐만 아니라, 프라이머 조성물의 조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나, 성형물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 재료 및 프라이머 조성물의 양쪽의 조성을 고려해야 한다. Here,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to the molded article and the adhesion of the molded article to the primer layer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to which the molding is applied,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the primer composi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to the molded article and the adhesion of the molded article to the primer layer, both compositions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material and the primer com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보 평6-53844호[Patent Document 1] JP-A-6-53844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보 평6-89240호[Patent Document 2] JP-A-6-89240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에 추가적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which is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gives a molded article excellent in paintability of a primer composition and adhesion to a primer layer in addition to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And to provide the above objects.

또, 본 발명은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형물 및 램프 리플렉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lded article and a lamp reflector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가교제 및 저수축제를 소정의 비율로 함유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intensive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s a result have found that when a specific primer composition is used,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containing a specific unsaturated polyester, a crosslinking agent and a water- Has solved the above problems, and has accomplished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 (a) 다가 (多價) 알코올과 불포화 다염기산을 중축합시켜 이루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b) 디알릴프탈레이트의 모노머 또는 프레폴리머 및, (c)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가교제와; (d) 폴리스티렌, (e) 아크릴 폴리머, 그리고 (f)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저수축제를 함유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저수축제의 함유량이,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 50 질 량부이고, (d) 와 (e) 의 질량 비율이 25 : 75 ∼ 75 : 25 이며, (d) 및 (e) 와 (f) 의 질량 비율이 10 : 90 ∼ 50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an unsaturated polyest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 polyhydric alcohol with an unsaturated polybasic acid; (b) a monomer or prepolymer of diallyl phthalate, and (c) a crosslinking agent compris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monomer other than the diallyl phthalate monomer; (f)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containing a water-reducing agent composed of (d) polystyrene, (e) an acrylic polymer, and (f) a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and / or a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or a modified product thereof, Is 15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the mass ratio of (d) to (e) is 25:75 to 75:25, ) And (f) is from 10:90 to 50:5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또, 본 발명은, 상기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ed article obtained by molding the abov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또한, 본 발명은,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기재와, 12 ∼ 55 질량% 의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기재 상에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금속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imer composition comprising a base material obtained by molding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and a primer layer formed by applying and curing a primer composition containing 12 to 55 mass% And a metal 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에 추가적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which is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gives a molded article excellent in paintability of a primer composition and adhesion to a primer layer in addition to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Can be provid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형물 및 램프 리플렉터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lded article and a lamp reflector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하, 간단하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라고 한다) 은, 소정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가교제 및 저수축제를 포함한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 includes a predetermined unsaturated polyester, a crosslinking agent and a wat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a) 다가 알코올과 불포화 다염기산을 중축합시켜 이루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성형 재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saturated polyester obtained by polycondensing (a) a polyhydric alcohol and an unsaturated polybasic acid. These unsaturated polyesters are generally used in molding materials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desired properties.

다가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탄디올, 수소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비스페놀 A 또는 수소화 비스페놀 A 가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polyhydric alcohol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butanediol, diethyleneglycol, dipropyleneglycol, triethyleneglycol, pentanediol, hexanediol, neopentanediol, hydrogenated bisphenol A, bisphenol A, glycerin, and the like. Of these,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and bisphenol A or hydrogenated bisphenol A are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s of hea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moldability.

불포화 다염기산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무수 말레산 및 푸마르산이 바람직하다. The unsaturated polybas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maleic anhydride, fumaric acid, citraconic acid, itaconic acid, and the like. Of these, maleic anhydride and fumaric acid are preferable in view of hea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moldability.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b) 디알릴프탈레이트의 모노머 또는 프레폴리머 및, (c)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 구성된다. The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b) a monomer or prepolymer of diallyl phthalate, and (c)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monomer other than the diallyl phthalate monomer.

(c)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티렌 모노머, 메타크릴산메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monomer other than the diallyl phthalate monomer (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styrene monomer, methyl methacrylate, triallyl isocyanurate and the like can be used.

(b) 및 (c) 로 구성되는 가교제의 함유량은 작업성, 중합성, 성형물의 수축성 및 양 조정의 자유도에 추가적으로,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 7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65 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 60 질량부이다. 가교제의 함유량이 30 질량부 미만이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딱딱해져 혼련이 곤란해지거나 성형물의 수축률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또, 가교제의 함유량이 70 질량부를 초과하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부드러워져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성형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composed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b) and (c)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rom 0.01 to 10 parts by weight, Is preferably 30 to 7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35 to 65 parts by mass, and most preferably 40 to 6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f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less than 30 parts by mass,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ecomes har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knead and the shrinkage percentage of the molded product may become large.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more than 70 parts by mass,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tends to be soften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moldabil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또, (b) 와 (c) 의 질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95 ∼ 25 : 7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90 ∼ 20 : 80 이다. (b) 의 (c) 에 대한 질량 비율이 너무 낮으면,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b) 의 (c) 에 대한 질량 비율이 너무 높으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The mass ratio of (b) to (c) is preferably 5:95 to 25:75, and more preferably 10:90 to 20:80. If the mass ratio of (b) to (c) is too low, the coating property of the primer composition to the molded product may be lowered. When the mass ratio of (b) to (c) is too high, the moldability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수축제는, (d) 폴리스티렌, (e) 아크릴 폴리머 및, (f)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로 구성된다.The water reduc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d) polystyrene, (e) acrylic polymer, and (f)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and / or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or modified product thereof.

(d) 폴리스티렌은, 스티렌의 단독 중합체를 의미하고, 열가소성 수지로서 사용되는 공지된 폴리스티렌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000 ∼ 40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스티렌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요 화성 공업사 제조의 상품명 하이카 ST-95,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의 상품명 다이아렉스 HF-55, 쇼와 전공사 제조의 상품명 에스브라이트 T-2 비즈 등을 들 수 있다. (d) Polystyrene means a homopolymer of styrene,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polystyrenes used as a thermoplastic resin. Among them, polystyr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 to 400,000 is preferable. Examples of such polystyrenes include Hika ST-95, a product of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Diarex HF-55, a product of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nd Esbrite T-2 beads, manufactured by Showa Denko K.K.

(e) 아크릴 폴리머는, 아크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를 의미하고, 열가소성 수지로서 사용되는 공지된 아크릴 폴리머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5,000 ∼ 55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의 상품명 테크노 폴리머 MB, 일본 제온사 제조의 상품명 F320 등을 들 수 있다.(e) The acrylic polymer means a hom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acrylic polymers used as a thermoplastic resin. Among them, a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5,000 to 550,000 is preferable. Examples of such an acrylic polymer include Technopolymer MB (trade name,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and F320, manufactured by Zeon Corporation).

(f)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은, 하드 세그먼트로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고,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을 사용한 SBS 계 또는 SIS 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혹은 상기 SBS 계 또는 SIS 계를 수소 첨가한 수소첨가물이다. SEBS 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변성물로서, 이들에 무수 말레산 등으로 반응성을 부여한 반응성 포화형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 The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and / or the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or the modified product thereof may be a SBS-based or SIS-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using polystyrene as a hard segment and polybutadiene or polyisoprene as a soft segment, Or a hydrogenated product obtained by hydrogenating an SIS system. As the SEBS-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or modified product, reactive saturated thermoplastic elastomers having reactivity with maleic anhydride or the like can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ixture of these.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결합 양식은, 폴리스티렌 부분과 디엔 폴리머 부분이 리니어 결합 양식을 취하는 타입과, 디엔 폴리머 부분끼리를 커플링한 레이디얼 타입으로 크게 구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부와 디엔부의 비율은 스티렌이 전체의 10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부의 비율이 전체의 10 % 미만 및 50 % 를 초과하면, 원하는 수축률이 얻어지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100,000 ∼ 40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nding mode of the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type in which the polystyrene moiety and the dien polymer moiety take a linear bonding mode and a radial type in which the dien polymer moiety is coupled to each other. . The ratio of the styrene portion and the diene portion is preferably 10% or more and 50% or le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styrene. When the proportion of the styrene portion is less than 10% and more than 50% of the total, the desired shrinkage ratio is difficult to obtain, which is not preferable. The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400,000.

(d), (e) 및 (f) 로 구성되는 저수축제의 함유량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 5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45 질량부이다. 저수축제의 함유량이 15 질량부 미만이면, 경화시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수축이 커진다. 또, 저수축제의 함유량이 50 질량부를 초과하면, 착색성이 손상된다. The content of the water reducing agent composed of (d), (e) and (f) is 15 to 50 parts by mass, preferably 20 to 4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When the content of the water-reducing agent is less than 15 parts by mass, shrinkage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t the time of curing becomes large. If the content of the water-reducing fogging agent exceeds 50 parts by mass, the coloring property is impaired.

(d) 와 (e) 의 질량 비율은, 25 : 75 ∼ 75 : 25, 바람직하게는 30 : 70 ∼ 70 : 30 이다. (d) 의 (e) 에 대한 질량 비율이 너무 낮으면, 착색성이 손상된다. 또, (d) 의 (e) 에 대한 질량 비율이 너무 높으면, 착색성은 양호하지만,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나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The mass ratio of the components (d) and (e) is 25:75 to 75:25, preferably 30:70 to 70:30. If the mass ratio to (e) in (d) is too low, the coloring property is impaired. When the mass ratio of (d) to (e) is too high, the coloring property is good, but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the adhesion with the primer layer are lowered.

(d) 및 (e) 와 (f) 의 질량 비율은, 10 : 90 ∼ 50 : 50, 바람직하게는 15 : 85 ∼ 45 : 55 이다. (d) 및 (e) 의 (f) 에 대한 질량 비율이 너무 낮으면, 경화시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수축이 커짐과 함께, 착색성도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d) 및 (e) 의 (f) 에 대한 질량 비율이 너무 높으면, 착색성은 양호하지만, 경화시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수축이 커진다. (d) and (e) and (f) is 10:90 to 50:50, preferably 15:85 to 45:55. When the mass ratio of (d) and (e) to (f) is too low, shrinkage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t the time of curing becomes large and colorability may not be good. When the mass ratio of (d) and (e) to (f) is too high, the coloring property is good, but the shrinkage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t the time of curing becomes large.

(d), (e) 및 (f) 로 구성되는 저수축제는, 스티렌 등의 상기 가교제에 미리 용해 또는 팽윤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취급이 편리하지만, 스티렌 등의 가교제에 용해 또는 팽윤시키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다. The water-reducing agent composed of the components (d), (e) and (f) is generally handled conveniently by dissolving or swelling the above-mentioned cross-linking agent such as styrene in a convenient manner. However, it can be used without being dissolved or swollen in a cross- It is possible.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경화 제, 충전제, 이형제, 증점제, 섬유 강화재 및 안료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배합량으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배합된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 curing agent, a filler, a releasing agent, a thickener,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and a pigment, if necessary. When these components are used, each component is compounded into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lending amount usually used according to each purpose.

경화제로서는, 과산화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t-부틸퍼옥시옥토에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curing agent, a suitable peroxide can be selected and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butyl peroxyoctoate, benzoyl peroxide, 1,1-di-t-butyl peroxy-3,3,5-trimethylcyclohexane, t-butyl peroxyisopropyl carbonate, t-butyl peroxybenzoate, dicumyl peroxide, and di-t-butyl peroxide.

충전제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칼슘, 석고, 황산 바륨, 클레이 및 탤크 등의 무기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art, and inorganic powders such as silica, alumina, m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gypsum, barium sulfate, clay and talc can be used.

이형제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아미드, 올레산 아미드, 카나우바 왁스, 실리콘 오일 및 합성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old release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tearic acid, oleic acid, zinc stearate, calcium stearate, alumin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tearic acid amide, oleic acid amide, Wax, silicone oil and synthetic wax may be used.

증점제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산화 칼슘 등의 금속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The thicken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art, and for example, metal compounds such as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calcium oxide and the like and isocyanate compounds can be used.

섬유 강화재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섬유길이 1.5 ∼ 25 mm 정도로 절단한 촙드 스트랜드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펄프 섬유, 테트론 (등록 상표) 섬유, 비닐론 섬유, 카본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규회석 등의 유기 무기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The fibrous reinforce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For example, a gored strand glass cut to a fiber length of about 1.5 to 25 mm can be used. Organic inorganic fibers such as pulp fibers, Tetron (registered trademark) fibers, vinylon fibers, carbon fibers, aramid fibers and wollastonite may also be used.

이상과 같은 성분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통상 행해지는 방법, 예를 들어, 상기 성분을 배합한 후, 니더 등을 사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by the above components can be produced by a commonly used method, for example, after kneading the above components with a kneader or the like.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하며, 또,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압축 성형, 트랜스퍼 성형, 사출 성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in this way can give a molded product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Here, the forming method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ompression molding, transfer molding, injection molding, and the like can be used.

또,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물은, 후술하는 특정 프라이머 조성물과의 상성 (相性) (즉,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 도 우수하다. 그로 인해, 이 성형물은 램프 리플렉터의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The molded product obtained by molding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xcellent in phase (that is, the coating property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the adhesion with the primer layer) with the specific primer composition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molded product can be used as a base material of a lamp reflector.

본 발명의 램프 리플렉터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기재와, 특정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기재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금속 반사층을 포함한다. The lamp r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material obtained by molding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 primer layer formed by applying and drying a specific primer composition on the base material, and a metal 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primer layer.

여기서, 프라이머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이 아크릴 수지는, 수 평균 분자량이 100 ∼ 2,000 의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이 100 미만이면, 프라이머층의 강도가 낮아져 기재에 대한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이 저하된 다. 한편, 아크릴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을 초과하면, 프라이머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이 저하된다. Here, the primer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resin. The acryl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in the range of 100 to 2,000, and any of those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When the 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100, the strength of the primer layer is lowered and the adhesion of the primer layer to the substrate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exceeds 2,000, the viscos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becomes high and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deteriorates.

프라이머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모노머의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를 들 수 있다. As the acrylic resin usable in the primer composition, for exampl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은 12 ∼ 55 질량% 이다.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이 12 질량% 미만이면, 기재에 대한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한편,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이 55 질량% 를 초과하면, 프라이머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도장성이 저하된다.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in the primer composition is 12 to 55 mass%. If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12% by mass, the adhesion of the primer layer to the substrate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exceeds 55 mass%, the viscos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becomes high and the paintability is deteriorated.

또,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이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33 질량%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이 33 질량% 를 초과하면, 기재에 대한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The primer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polyester resin.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polyester resin in the primer composition is 33 mass%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polyester resin exceeds 33 mass%, the adhesion of the primer layer to the substrate may be lowered.

프라이머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유지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ester resin usable in the primer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vinyl-modified polyester resins, phenol-modified polyester resins, Silicone-modified polyester resins, and the like.

또,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질량 비율은 100 : 0 ∼ 40 : 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질량 비율이 너무 높으면, 기재에 대한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The mass ratio of the acrylic resin to the polyester resin in the primer composition is preferably 100: 0 to 40:60. If the mass ratio of the polyester resin to the acrylic resin is too high, the adhesion of the primer layer to the substrate may be deteriorated.

프라이머 조성물은 경화제나 용제 등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종류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맞추어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The primer composition may contain components such as a curing agent and a solvent. The kind and content of these componen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crylic resin or polyester resin to be used.

프라이머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어 스프레이 방식이나 에어리스 스프레이 방식 등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건조 방법도 프라이머 조성물의 조성이나 도포 방법에 맞추어 온도 등을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The method of applying the primer composition onto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such as an air spray method or an airless spray method can be used. In addition, the drying method may be suitably adjuste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the application method.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램프 리플렉터의 크기 등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일반적으로 10 ∼ 30 ㎛ 이다.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may be suit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size of the lamp reflector, etc., but it is generally 10 to 30 占 퐉.

금속 반사층의 재료로서는, 램프 리플렉터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은이나 아연, 은이나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metal reflec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for a lamp reflector, and for example, an alloy mainly containing silver or zinc, silver or zinc can be used.

금속 반사층을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metal reflection layer on the prime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such as a vacuum deposition method can be used.

금속 반사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램프 리플렉터의 크기 등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일반적으로 800 ∼ 2,000 Å 이다. The thickness of the metal reflection layer may be suit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size of the lamp reflector and the like, but is generally 800 to 2,000 ANGSTROM.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램프 리플렉터는, 기재와 프라이머 조성물 의 상성이 양호함과 함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된다. The lamp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stitution is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as well as good bal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rimer composition.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이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unless the gist thereof is exceeded.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각각의 성분을 30 ℃ 에서 양팔형 니더를 이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7 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Each of 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1 was kneaded at 30 占 폚 using both kneading kneaders to obta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Figure 112009048398791-pat00001
Figure 112009048398791-pat00001

표 1 에 있어서, 「레진」은, 다가 알코올과 불포화 다염기산을 중축합시켜 이루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73 질량% 및, 가교제로서의 스티렌 모노머를 27 질량% 함유하는 것이다. 또,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폴리머를 60 질량% 및, 가교제로서의 스티렌 모노머를 40 질량% 함유하는 것이다. In Table 1, " resin " contains 73% by mass of an unsaturated polyest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 polyhydric alcohol and an unsaturated polybasic acid, and 27% by mass of a styrene monomer as a crosslinking agent. The " acrylic resin " contains 60% by mass of an acrylic polymer and 40% by mass of a styrene monomer as a crosslinking agent.

이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Thes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evaluations.

(1) 성형 수축률(1) Mold Shrinkage

JIS K6911 5.7 에 규정되는 수축 원반을 제작하여, 성형 온도 150 ℃, 성형 압력 10 ㎫, 성형 시간 3 분의 조건하에서 압축 성형을 실시하고, JIS K6911 5.7 에 기초하여 성형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A shrinking master as specified in JIS K6911 5.7 was produced and subjected to compression molding under the conditions of a molding temperature of 150 캜, a molding pressure of 10 MPa, and a molding time of 3 minutes, and a molding shrinkage ratio was calculated based on JIS K6911 5.7.

(2) 성형물 평가(2) Molding evaluation

성형 온도 140 ℃, 사출 압력 180 ㎏/㎠, 성형 시간 1 분의 조건하에서 트랜스퍼 성형을 실시하여, 트랜스퍼 성형물 (원반 형상, 직경 117 ㎜, 두께 3 ㎜ (균일)) 을 제작하였다. 이 성형물에 대하여 외관 레벨링 및 충전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평가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것을 ◎, 양호한 것을 ○, 약간 열화된 것을 △, 불량한 것을 × 로 나타내었다. Transfer molding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a molding temperature of 140 占 폚, an injection pressure of 180 kg / cm2 and a molding time of 1 minute to prepare a transfer molded product (disc shape, diameter 117 mm, thickness 3 mm (uniform)). The molded article was visually evaluated for leveling and filling properties. In these evaluations, the very good ones were rated as?, The good ones as?, The slightly deteriorated ones as?, And the poor ones as 占.

또, 성형물 표면 상에서의 젖음 장력 비교시험을 JIS K6768 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The wet tensile strength test on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JIS K6768.

(3)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3) Coating property of the primer composition on the molding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수 평균 분자량이 500 인 아크릴 수지를 31.5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3.5 질량%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As the primer composition, those containing 31.5% by mass of an acrylic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and 13.5% by mass of a polyester resin were used.

이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2) 의 성형물에 도장하여 두께가 약 3 ㎛ 인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도장부 전체에 차지하는 도포가 양호한 부분 (뭉침이 없는 부분) 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면적 비율을 구하였다. This primer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moldings of the above (2) to form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 占 퐉, and a portion having a good coating (a portion without clustering) in the entire coating portion was visually confirmed, Respectively.

또,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2) 의 성형물에 도장하여 두께가 약 20 ㎛ 인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프라이머층의 외관 레벨링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것을 ◎, 양호한 것을 ○, 약간 열화된 것을 △, 불량한 것을 × 로 나타내었다. The above primer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molding of the above (2) to form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탆, and the appearance leveling of the primer layer was visually evaluated. In this evaluation, the very good ones were rated as?, The good ones were rated?, The slightly deteriorated ones were rated poor, and the poor ones were rated as 占.

또한, 도장성의 종합 평가로서, 뭉침이 없는 부분의 면적 비율이 90 % 이상으로 외관 레벨링이 양호한 것을 ◎, 뭉침이 없는 부분의 면적 비율이 70 % 이상 ∼ 90 % 미만으로 외관 레벨링이 양호 (또는 매우 양호) 한 것을 ○, 뭉침이 없는 부분의 면적 비율이 50 % 이상 ∼ 70 % 미만으로 외관 레벨링이 열화된 (또는 불량) 것을 △, 뭉침이 없는 부분의 면적 비율이 50 % 미만으로 외관 레벨링이 열화된 (또는 불량) 것을 × 로 판정하였다. Also,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aintability, it was evaluated that the area ratio of the portion without lumps was 90% or more and that the external leveling was good, the area ratio of the portion without lumps was 70% or more to less than 90% (Good), that the outer layer leveling was deteriorated (or poor) when the area ratio of the portion without lumps was 50% or more to less than 70%, and the area ratio of the portion without lumps was less than 50% (Or poor) was evaluated as " x ".

(4) 성형물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4) Adhesion between the molding and the primer layer

상기 (3) 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물에 두께가 약 20 ㎛ 인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JIS K5400 8.5 항의, 부착성에 규정되는 크로스 컷 시험 (칼집 간격 : 2 ㎜) 을 실시하여, JIS K5400 8.5 항의, 부착성 (표 18) 에 규정되는 평가 점수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 점수가, 9 이상인 것을 ◎, 7 ∼ 8 인 것을 ○, 5 ∼ 6 인 것을 △, 4 이하인 것을 × 로 판정하였다.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占 퐉 was formed on a molded articl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3), and a cross-cut test (sheath spacing: 2 mm) specified in JIS K5400 8.5, (Table 18). ≪ tb > < TABLE > A score of?, A score of 7 to 8?, A score of 5 to 6?, And a score of 4 or less were evaluated as?.

상기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09048398791-pat00002
Figure 112009048398791-pat00002

표 2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3 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성형 수축률이 작고, 성형물 평가, 그리고 도장성 및 밀착성의 평가 모두가 양호한 데에 반해, 비교예 1 ∼ 7 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중 모든 평가 결과가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2,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were small in mold shrinkage, evaluated in terms of moldability, paintability and adhesion, In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7, all of the above evaluation results were not sufficient.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에 추가적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함을 알 수 있다.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gives a molded product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excellent in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adhesion to the primer layer in addition to surface smoothness and dimensional accuracy.

다음으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의한 성형물에 도포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조성을 변경하여 이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Next, the composition of the primer composition to be applied to the molded article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hanged and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실시예 3 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또,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3)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4) 성형물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Example 3 was used as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sition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was used as the primer composition. The primer composi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for the above (3) molded product and (4) the adhesion of the molded product to the primer lay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igure 112009048398791-pat00003
Figure 112009048398791-pat00003

표 3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1 및 2 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성형물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의 양쪽이 양호하였지만, 실험 3 ∼ 5 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중 모든 평가가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 3, when the primer compositions of Experiments 1 and 2 were used, both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the adhesion of the molded article and the primer layer were good, In the case of using the primer composition, all of the above evaluations were not sufficient.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의한 성형물에 대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그 성형물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조성뿐만 아니라, 프라이머 조성물의 조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 및 아크릴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을 소정의 범위내로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for the molded article by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hesion of the molded article and the primer layer were not only in the composition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ut also in the composition of the primer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우수함과 함께, 표면 평활성, 치수 정밀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에 추가적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장성 및 프라이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성형물을 부여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in moldability, and in addition to surface smoothness, dimensional accurac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aintabil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and adhesiveness with the primer layer An excellent molded article can be provided.

Claims (5)

(a) 다가 (多價) 알코올과 불포화 다염기산을 중축합시켜 이루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a) an unsaturated polyester comprising a polycondensation of a polyhydric alcohol and an unsaturated polybasic acid, (b) 디알릴프탈레이트의 모노머 또는 프레폴리머 및, (c)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가교제와,(b) a monomer or prepolymer of diallyl phthalate, and (c) a crosslinking agent compris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monomer other than the diallyl phthalate monomer, (d) 폴리스티렌, (e) 아크릴 폴리머, 그리고 (f)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첨가물 혹은 변성물로 이루어지는 저수축제를 함유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f)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containing a water-reducing agent composed of a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d) polystyrene, (e) 상기 저수축제의 함유량이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 ∼ 50 질량부이고, (d) 와 (e) 의 질량 비율이 25 : 75 ∼ 75 : 25 이며, (d) 및 (e) 와 (f) 의 질량 비율이 10 : 90 ∼ 50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D) and (e) in a mass ratio of 25:75 to 75:25, and (d) and (e)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15 to 5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and the cross- wherein the mass ratio of the components (e) and (f) is from 10:90 to 50:5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이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가교제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하여 30 ∼ 70 질량부이고, 또한 (b) 와 (c) 의 질량 비율이 5 : 95 ∼ 25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Wherei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30 to 7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unsaturated polyest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mass ratio between (b) and (c) is 5:95 to 25:75.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reflec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A molded article obtained by molding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램프 리플렉터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기재와, 수 평균 분자량이 100 ∼ 2,000 인 아크릴 수지를 12 ∼ 55 질량% 함유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기재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금속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A primer composition containing 12 to 55 mass% of a base material obtained by molding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a lamp refl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acrylic resin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 to 2,000 is applied on the base material And a metal reflective layer formed on the primer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이 33 질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리플렉터.Wherein the primer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polyester resin of 33 mass% or less.
KR1020090072859A 2008-08-21 2009-08-0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lamp reflector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nd lamp reflectors KR1016681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2732A JP5308737B2 (en) 2008-08-21 2008-08-21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and molded product thereof, and lamp reflector
JPJP-P-2008-212732 2008-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742A KR20100023742A (en) 2010-03-04
KR101668114B1 true KR101668114B1 (en) 2016-10-20

Family

ID=4170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859A KR101668114B1 (en) 2008-08-21 2009-08-0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lamp reflector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nd lamp reflector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08737B2 (en)
KR (1) KR101668114B1 (en)
CN (1) CN10165454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846B2 (en) * 2009-03-05 2013-08-14 ダイソー株式会社 Diallyl phthalate cross-linked low shrinkabl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lding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WO2012053260A1 (en) * 2010-10-22 2012-04-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urface-mount light-emitting device
KR101655475B1 (en) * 2010-10-22 2016-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ulk molding compound used for lamp reflector
EP2629342B1 (en) * 2010-10-22 2014-09-17 Panasonic Corporatio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led reflector, and led reflector and led luminaire using said composition
US20150138778A1 (en) * 2012-06-04 2015-05-21 Japan U-Pica Company, Ltd. Crystallin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ed reflector, granular material comprising said composition, led reflector produced by molding said granular material, surface-mount-type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each equipped with said light-emitting device
CN103360871A (en) * 2013-06-26 2013-10-23 南京市荣达树脂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road light reflecting coating prepared from unsaturated polyester resin
US10329447B2 (en) 2014-04-14 2019-06-25 Dielectric Coating Industries Polymer based roll coating
KR101753034B1 (en) * 2014-04-25 2017-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mer resin composition for vehicle reflector
CN106795252B (en) * 2014-09-04 2019-01-08 昭和电工株式会社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lamp refl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6751348B (en) * 2016-12-07 2019-11-05 周志亮 Aircraft arrestment bed, which blocks, stops unit top cov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032716B (en) * 2017-08-24 2021-02-05 株式会社大阪曹达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7186602B2 (en) * 2018-12-25 2022-12-09 昭和電工株式会社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molding and lamp reflector
JPWO2021065217A1 (en) * 2019-10-02 2021-04-08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902A (en) * 2001-10-23 2003-05-08 Koito Mfg Co Lt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ts cured material and reflecting mirror base for lamp
JP2004138932A (en) 2002-10-21 2004-05-13 Koito Mfg Co Ltd Lamp reflector
JP2006106297A (en) 2004-10-04 2006-04-20 Kyocera Chemical Corp Molding for reflection mirr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187B1 (en) * 1989-03-31 1995-04-05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Poly(vinyl ethers) as shrinkage control agents
JPH0653844B2 (en) * 1990-04-02 1994-07-20 昭和高分子株式会社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H05171023A (en) * 1991-12-26 1993-07-09 Mitsui Toatsu Chem Inc Resin composition for thermal compression molding
JP3182107B2 (en) * 1996-12-13 2001-07-03 松下電工株式会社 Functional coatings, their produc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JPH10237358A (en) * 1997-02-28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norganic coating material with antistatic function, coated material by us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4598822B2 (en) * 2005-03-08 2010-12-15 昭和電工株式会社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and molded product thereof
JP2007121461A (en) * 2005-10-25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flection member having heat resistance and illuminator provid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902A (en) * 2001-10-23 2003-05-08 Koito Mfg Co Lt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ts cured material and reflecting mirror base for lamp
JP2004138932A (en) 2002-10-21 2004-05-13 Koito Mfg Co Ltd Lamp reflector
JP2006106297A (en) 2004-10-04 2006-04-20 Kyocera Chemical Corp Molding for reflection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49918A (en) 2010-03-04
KR20100023742A (en) 2010-03-04
CN101654548A (en) 2010-02-24
CN101654548B (en) 2013-03-27
JP5308737B2 (en)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114B1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for lamp reflector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nd lamp reflectors
JP4598822B2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and molded product thereof
EP0398758B1 (en) (Modified) Hydrogenated diene block co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6747094B2 (en) High impac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6590342B2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lamp refl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2090433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N1934192A (en) Low specific gravity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lamp reflector and moldings thereof
JPWO2019116691A1 (e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 molded product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thereof, and a lamp reflector containing the molded product.
JP7186602B2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molding and lamp reflector
JP2011162748A (en) Bulk molding compound, lamp refl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8164588A (en) Composite plastic molding
JPH1148317A (en) Hollow molding made of synthetic resin
JPH09183122A (en) Manufacture of sheet molding compound
WO2021065217A1 (en) Thermally curable resin composition, molded object, and lamp reflector
US577351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9174781A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thermoplastic resin laminate and manufacture thereof
JPH09176331A (en) High-strength sheet molding compound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its molding
JP2007084701A (en) Room temperature curing unsaturated resin composition
WO2022137686A1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object
JPH09188772A (en) Bulk molding compound and molding thereof
JP7030691B2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multilayer film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composition
JPH09174698A (en) Molding method for unsaturated polyester resin sheet molding compound and molding
JP2005255702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olded item
JPH02651A (en) Modified block copolymer composition
JPH07126535A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for in-mold-coated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