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50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850B1
KR101664850B1 KR1020090027067A KR20090027067A KR101664850B1 KR 101664850 B1 KR101664850 B1 KR 101664850B1 KR 1020090027067 A KR1020090027067 A KR 1020090027067A KR 20090027067 A KR20090027067 A KR 20090027067A KR 101664850 B1 KR101664850 B1 KR 10166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ver housing
filter
op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829A (ko
Inventor
심상구
박찬정
유준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둘레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여 공기 중 부유물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중에 크기가 큰 부유물을 커버 하우징에서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공기 청정기 내의 필터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케이스, 송풍장치, 필터부, 커버 하우징, 개구부, 선회류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필터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흡입하고 미세한 먼지를 집진하거나 필터링하고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을 한다.
공기 청정기는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 송풍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공기 청정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은 필터부를 통하여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흡입되는 공기 중에 크기가 큰 부유물이 함유된 경우 부유물이 필터부를 조기에 막게 된다. 따라서, 크기가 큰 부유물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큰 부유물에 의해 필터부가 막히는 경우 송풍장치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공기 청정기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의 전면부에 흡입되는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크기가 큰 부유물이 원심력에 의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하는 커버 하우징을 구비하여, 크기가 큰 부유물을 사전에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공기 청정기 내의 필터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둘레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여 공기 중 부유물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상기 홀부가 형성된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둘레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 테두리의 일측에는 포집된 부유물이 쌓이도록 하는 포집통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원주방향에 접하여 경사진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홀부보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더 바깥쪽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기 홀부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부에는 공기 중의 부유물을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대향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대향면과 이격되게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테두리 사이에 모이도록 하는 구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로 연통되게 공기 토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홀에는 상기 구획부에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처리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둘레부에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홀부와 선회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 부유물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 형성된 구획부를 구비한 중공형상의 커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대향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대향면과 이격되게 설치된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테두리 사이에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로 연통되게 공기 토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흡입되는 공기가 필터부에 유입되기 전에 크기가 큰 부유물을 포집하고 제거하여 필터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기가 큰 부유물을 제거하여 필터부의 조기 막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풍량 감소로 인한 공기 청정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기 청정기의 커버 하우징을 투명한 재질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커버 하우징에 포집된 부유물의 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커버 하우징에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내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120)와, 상기 케이스(110)에 내재되어 상기 송풍장치(1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130)와, 상기 필터부(130)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는 커버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송풍장치(120), 상기 필터부(130) 등이 내재되도록 투피스(piece)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 장치(1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 토출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20)는 다익팬을 적용한 송풍팬(123)을 회전시켜 공기를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120)는 송풍팬(123)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25)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123)은 팬모터(125)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공기 토출부(113)를 통하여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송풍장치(12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 토출부(113)를 통하여 원할하게 공기를 토출하기 위하여는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송풍장치(120)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130)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가 필터링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다. 이러한 필터부(130)는 탈취필터, 집진 필터, 헤파 필터 등의 기능성 필터 및 후처리 필터가 적층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상기 송풍장치(120)의 전면부에 설치된 상기 필터부(13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부(130)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여 공기 중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여 공기 중 부유물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둘레부에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부(143)와,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와 연통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홀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선회류를 형성하여 부유물을 테두리에 포집하는 경우 상기 필터부(130)로의 부유물의 유입을 방지 또는 최소화 하여 상기 필터부(1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상기 필터부(130)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와 연통되도록 하는 상기 홀부(148)가 형성된 제1커버(141)와, 상기 제1커버(141)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둘레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부(143)가 형성된 제2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두개의 상기 제1커버(141)와 제2커버(142)의 결합에 의해 중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143), 홀부(148), 구획부(160)를 구비한 다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중공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부재로 이뤄진 경우에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부분 파손시에 각각의 부재만을 교체함으로써 수리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상기 필터부(130)의 흡입측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에서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일측 또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부에는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상기 홀부(148)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이 많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청소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테두리의 일측에 착탈가능한 포집통(1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포집통(150)은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이 쌓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의 선회류에 의한 영향으로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면서 그 양이 점층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증가된 부유물은 자중에 의해 테두리를 회전하는 도중에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부의 하부쪽에 쌓일 수 있다.
이처럼 부유물 양의 증가한 경우 선회류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 하우징(140) 테두리의 하측에 부유물을 별도로 포집하거나 쌓이도록 하는 포집통(15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는 상기 포집통(150)과 연통되게 관통홀(149)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포집통(150)만을 상기 커버 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통(150)을 투명재질로 하여 사용자가 부유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유물의 양을 확인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으로부터 포집통(150)을 분리하여 부유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의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가능하게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의 부유물의 포집상태에 따라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청소시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 청정기(100)의 정화성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감성적인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3)는 상기 송풍장치(12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에서 공기를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 예를 들어 나선모양의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143)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143)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원주방향에 접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원할하게 이뤄짐과 동시에 선회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 중에 함유된 부유물도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부유물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게 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로 포집되게 된다.
상기 부유물에 가해지는 원심력은 선회류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는바, 선회류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43)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구부(143)는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선회류를 강화하기 위하 여 원주방향에 접하여 경사진 유로(1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로(147)의 경사각은 선회류의 강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 적합하게 조절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로(147)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의 선회류 형성에 적합하도록 블레이드 형상을 가질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147)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43)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홀부(148)보다 더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개구부(143)를 통과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기 홀부(148)로 빠져나가는 경우에 부유물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더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충분히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143)를 상기 홀부(148)의 바깥쪽에 충분한 간격을 갖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43)의 바깥쪽에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로 연통되게 공기 토출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유입되고, 상기 홀부(148)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부(148)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중에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정체된 주위의 공기가 상기 홀부(148)로의 공기의 흐름에 유입(entrainment)될 수 있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이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130)와 연통되게 공기 토출 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홀(145)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 테두리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내부의 선회류의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홀(145)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홀(145)에는 전처리 필터(146)가 설치되어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필터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필터(146)는 세사 필터망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둘레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부(143)는 상기 둘레부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가 형성되거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단일의 개구부(143)가 형성되는 것보다 복수개의 개구부(143)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개구부(143)를 통과할 때의 공기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 선회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기 홀부(148)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130)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부유물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포집된다.
그러나, 크기가 비교적 작은 부유물은 선회류에 의해 상기 홀부(148)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홀부(148)에는 공기 중의 부유물을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14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필터(144)는 세사 필터망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부유물은 선회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포집되거나, 상기 홀부(148)에 설치된 전처리 필터(144)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필터부(130)에 유입되는 오염원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필터부(1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필터부(130)로의 흡입되는 공기의 풍량감소를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상기 개구부(143)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획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개구부(143)는 커버 하우징(140)의 일면에 형성되고, 홀부148)는 커버 하우징(140)의 일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개구부(143)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커버 하우징(140)의 일면에서 상기 대향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대향면과 이격된 차단부재(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61)를 통해, 상기 구획부(160)는 선회류에 의해 포집되는 부유물이 상기 차단부재(161)와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사이에 모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유물은 상기 차단부재(161)와 상기 대향면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통하여 상기 구획부(16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161)는 상기 구획부(160) 또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161)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부(160) 내에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로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획부(160)에는 부유물이 쌓이게 되고, 부유물은 유입된 공기의 선회류에 영향을 받아 상기 구획부(160)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부유물이 상기 구획부(160)내에서 회전하는 동안 포집된 먼지가 다시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부재(161)의 설치 위치 및 이격된 간격을 정하여야 한다.
이처럼 상기 구획부(160)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차단부재(161)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사이에 부유물이 포집되는 구역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 하우징(140)은 둘레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케 하는 개구부(143)와, 상기 개구부(143)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부유물을 포집하는 구획부(160)와, 상기 개구부(143)의 내측, 즉 중심부에 상기 필터부(130)와 연통되는 홀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로 연통되게 하는 공기 토출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상기 구획부(160)에 포집된 부유물이 쌓이는 경우,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상기 구획부(160)로의 공기 및 부유물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유물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상기 구획부(160)로 유입되는 것이 원할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상기 구획부(160)로의 공기 및 부유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부유물의 포집을 원할하게 하는 한편,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부수적으로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의 선회류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홀(145)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상기 구획부(160)의 일측에 공기 토출홀(145)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의 선회류를 강화하여 부유물에 더 큰 원심력을 가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구획부(160)에 포집되는 부유물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필터부(130)에 유입되는 부유물의 양을 감소시키며 상기 필터부(130)의 수명을 연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 또는 상기 구획부(160)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상기 구획부(160)에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홀(145)에는 포집된 부유물 또는 공기 중의 크기가 작은 부유물이 상기 필터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처리 필터(1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필터(146)는 세사 필터망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 필터(146)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130)에 유입되는 오염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필터부(1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160)의 일측에는 착탈가능한 포집통(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집통(150)은 상기 구획부(160)에 포집된 부유물이 쌓이는 구조로 형 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획부(160)에 포집된 부유물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의 선회류에 의한 영향으로 상기 차단부재(161)에 의해 형성된 구획부(160)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양이 점층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증가된 부유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구획부(160)를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차단부재(161)의 간격을 통해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부의 하부쪽에 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하우징(140) 테두리의 하측, 즉 상기 구획부(160)의 하부에 부유물을 별도로 포집하거나 쌓이도록 하는 포집통(15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는 상기 포집통(150)과 연통되게 관통홀(149)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포집통(150)만을 상기 커버 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하여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통(150)을 투명재질로 하여 사용자가 부유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유물의 양을 확인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으로부터 포집통(150)을 분리하여 부유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 하우징(140)에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143)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 부(143) 또는 경사진 유로(147)를 구비한 개구부(143)에 의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내부에서 나선모양의 회전운동을 하면서 선회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중에 함유된 부유물은 원심력을 받아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로 이동된 부유물은 차단부재(161)에 의해 형성된 구획부(160)에 포집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된 부유물은 차단부재(161)에 의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중심부로 이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을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부에서 분리하여 배출하거나, 별도의 포집통(150)을 상기 커버 하우징(140) 또는 구획부(160)의 일측에 설치하여 쌓이게 한 후 상기 포집통(150)만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하우징(140)에 유입된 공기는 중심부에 형성된 홀부(148)를 통하여 필터부(130)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홀부(148)에는 전처리 필터(144)가 설치되어 공기 중에 함유된 부유물을 재차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중에 함유된 부유물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구획부(160)에 포집되고, 일부는 상기 홀부(148)에 설치된 전처리 필터(144)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 내의 선회류를 강화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 또는 구획부(160)에 포집된 부유물의 중심부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43)의 바깥쪽 또는 상기 구획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필 터부(130)와 연통되는 공기 토출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홀(145)은 상기 커버 하우징(140)의 테두리방향으로 또는 상기 구획부(160)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부(130)로 연통하게 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40)내의 선회류의 강도를 강화한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홀(145)에는 전처리 필터(146)가 설치되어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필터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143)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 중의 부유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상기 필터부(130)로의 부유물의 유입양을 감소시켜 필터부(130)의 조기막힘으로 방지하여 상기 필터부(130)의 수명을 연장하는 한편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감소를 방지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130)를 통하여 재차 정화된 후 상기 송풍장치(120)에 의해 공기 토출부(11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커버 하우징에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공기 청정기 110: 케이스
113: 공기 토출부 120: 송풍장치
123: 송풍팬 125: 팬모터
130: 필터부 140: 커버 하우징
141: 제1커버 142: 제2커버
143: 개구부 144, 146: 전처리 필터
145: 공기 토출홀 147: 유로
148: 홀부 149: 관통홀
150: 포집통 160: 구획부
161: 차단부재

Claims (1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둘레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여 공기 중 부유물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상기 홀부가 형성된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둘레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제2커버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 테두리의 일측에는 포집된 부유물이 쌓이도록 하는 포집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테두리에 포집된 부유물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원주방향에 접하여 경사진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홀부보다 상기 커버 하우징의 중심에 대하여 더 바깥쪽 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기 홀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부에는 공기 중의 부유물을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대향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대향면과 이격되게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테두리 사이에 모이도록 하는 구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로 연통되게 공기 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홀에는 상기 구획부에 포집된 부유물이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처리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공기 흡입측에 설치되고, 흡입된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둘레부에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홀부와, 선회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 부유물이 테두리에 포집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 형성된 구획부를 구비한 중공형상의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부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대향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대향면과 이격되게 설치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로 연통되게 공기 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90027067A 2009-03-30 2009-03-30 공기 청정기 KR101664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067A KR101664850B1 (ko) 2009-03-30 2009-03-30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067A KR101664850B1 (ko) 2009-03-30 2009-03-30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829A KR20100108829A (ko) 2010-10-08
KR101664850B1 true KR101664850B1 (ko) 2016-10-12

Family

ID=4313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067A KR101664850B1 (ko) 2009-03-30 2009-03-30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59Y1 (ko) * 2019-04-24 2019-11-14 주식회사 금오디앤아이 팬필터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선풍기 겸용 공기정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538A (ja) 2000-03-23 2001-09-25 Tornex Inc 竜巻式吸引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分煙機
KR100594581B1 (ko) 2005-03-29 2006-06-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325A (ja) * 1996-08-08 1998-02-24 Torunetsukusu:Kk 空気制御機能付きテーブル
JP2005315544A (ja) * 2004-04-30 2005-11-10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538A (ja) 2000-03-23 2001-09-25 Tornex Inc 竜巻式吸引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分煙機
KR100594581B1 (ko) 2005-03-29 2006-06-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59Y1 (ko) * 2019-04-24 2019-11-14 주식회사 금오디앤아이 팬필터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선풍기 겸용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829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41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662198B2 (en) Separation assembly for a vaccuum cleaner with multi-stage dirt separation
KR100485715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4857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0423851C (zh) 旋风式空气净化器
CN101420895B (zh) 单级旋风式真空清洁器
KR102665025B1 (ko) 공기청정기
JP4390738B2 (ja) 空気清浄機
JP2005296623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置
KR20040040092A (ko) 진공청소기
KR101647641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0589788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1552148B1 (ko)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
KR100511328B1 (ko) 사이클론 청소기의 먼지통 구조
KR101664850B1 (ko) 공기 청정기
KR10043737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50051561A (ko)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CN205860249U (zh) 空气净化器
KR20050060564A (ko) 공기청정기
KR100640732B1 (ko) 송풍형 습식 공기청정기
KR10058569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0420169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607805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0565905B1 (ko)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