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474B1 -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474B1
KR101663474B1 KR1020090097255A KR20090097255A KR101663474B1 KR 101663474 B1 KR101663474 B1 KR 101663474B1 KR 1020090097255 A KR1020090097255 A KR 1020090097255A KR 20090097255 A KR20090097255 A KR 20090097255A KR 101663474 B1 KR101663474 B1 KR 10166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zed
background
input
icon
backgroun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110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474B1/ko
Priority to US12/900,715 priority patent/US8577419B2/en
Publication of KR2011004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10A/ko
Priority to US14/056,298 priority patent/US9791996B2/en
Priority to US14/321,252 priority patent/US9423934B2/en
Priority to US15/218,760 priority patent/US103657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474B1/ko
Priority to US15/710,112 priority patent/US10409452B2/en
Priority to US16/440,535 priority patent/US10895955B2/en
Priority to US16/564,464 priority patent/US10936150B2/en
Priority to US17/186,257 priority patent/US114609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으로, 제1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과,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경화면들 각각은 아이콘을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바탕화면, 아이콘,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A MOBILE TERMINAL,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IN A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수행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이동통신 환경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음성 통화에만 머무르던 휴대단말기의 사용 영역이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AOD(Audio On Demand) 및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화상 통화를 수행하거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하거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를 그에 대한 예로 들 수 있겠다. 즉,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이 다양해지는 것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많아 지는 것을 의미하 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의 종류가 많아 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의 크기적 제약을 고려해볼 때, 한정된 크기를 가지는 표시부에 모든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바탕화면을 여러 개 설정하고, 설정된 바탕화면 별로 다수의 아이콘들을 배치하고, 바탕화면을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많은 수의 아이콘들을 하나의 표시부에서 모두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종래기술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a, 1b 및 1c 등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탕화면과 2a, 2b 및 2c 등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도 1의 (b) 도시된 바탕화면과 3a, 3b 및 3c 등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탕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위해서 여러 바탕화면을 전환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며, 아이콘의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 아이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도 1의 (b)에 도시된 2a에 대응되는 아이콘일 경우, 사용자는 도 1의 (a) 내지 도 1의 (c)의 세 바탕화면을 전환하면서 2a의 아이콘이 도 1의 (b)에 도시된 바탕화면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하고, 도 1의(b)의 바탕화면으로 전환하여 2a의 아이콘을 실행하여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종래 기술은 아이콘들을 바탕화면 별로 설정함으로써 아 이콘의 개수가 많더라도 모든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등록(또는 배치)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아이콘의 개수도 같이 증가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즉, 아이콘의 개수가 많을 경우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어떤 바탕화면에 등록되어 있는지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용자는 바탕화면들 사이를 계속 전환하면서 해당 아이콘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따라서, 바탕화면 별로 등록된 아이콘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바탕화면 별로 등록된 아이콘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으로, 제1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과,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경화면들 각각은 아이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경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휴대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제1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제2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으로, 현재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제1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입력이 검출되면,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과,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각각의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상기 각각의 배경화면들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탕화면 별로 등록된 아이콘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탕화면에 등록된 아이콘 중에서 자주 실행되거나 최근에 실행되었던 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자주 실행되거나 최근에 실행하였던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도 2를 참조하 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롬(ROM)과 램(RAM)로 구성된다. 메모리부(3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부팅을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영상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통화수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CD, OLED 또는 AM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설정된 바탕화면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라 표시부(50)에 표시되고 있는 현재의 바탕화면 이외의 바탕화면들을 소정의 표시 크기로 리사이징하고, 리사이징된 바탕화면들을 현재의 바탕화면의 소정 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탕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탕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예시도 및 제2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S301), 현재의 바탕화면 이외의 바탕화면들을 소정의 표시 크기로 리사이징(resizing) 하고(S302), 리사이 징된 바탕화면들을 현재 바탕화면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303).
S301 단계에서의 소정의 키는 복수 개의 바탕화면들이 휴대단말기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바탕화면 이외의 바탕화면들을 소정 표시 크기로 리사이징 하도록 미리 설정된 키 입력을 의미한다. 키입력부(27)의 특정 키가 입력(예를 들어, short 또는 long 입력)되거나,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표시부(50)에 대한 터치 입력(예를 들어, 특정 위치가 터치되거나 길게 터치되는)이 입력되는 것을 소정의 키가 입력되는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410의 바탕화면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아이콘들(예를 들어, 411/412/413의 아이콘 등)을 포함하는 바탕화면이며, 도 4의 (b)에 도시된 420의 바탕화면은 421/422/423과 같은 다수 개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도 4의 (c)에 도시된 430의 바탕화면은 431/432/433과 같은 다수 개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바탕화면의 예를 들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등록된 바탕화면이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410/420/430의 세 개일 경우,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바탕화면이 410인 상태에서 소정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20 및 430의 바탕화면을 420a 및 430a와 같이 소정 크기로 각각 리사이징 하여 현재 바탕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또는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현재 사용하는 바탕화면이 420인 상태에서 소정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 및 430의 바탕화면을 410a 및 430a와 같이 각각 리사이징 하여 현재 바탕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현재 사용하는 바탕화면이 430인 상태에서 소정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20 및 410의 바탕화면을 420a 및 410a와 같이 각각 리사이징 하여 현재 바탕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에 따라, 제어부(10)는 리사이징 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에 포함되었던 아이콘도 바탕화면의 리사이징 크기에 대응되게(또는 대응되지 않는 소정 크기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한다.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a/420a/430a의 리사이징된 바탕화면과 해당 바탕화면에 포함된 아이콘도 같이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어떠한 바탕화면에 어떠한 아이콘들이 등록(또는 배치)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에 따라, 제어부(10)는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들이 현재의 바탕화면과 구분되도록 하는 배경 요소(예를 들어, 투명도 또는 배경색 또는 배경 그림 등)를 가지고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이 현재의 바탕화면과 구분되도록, 리사이징 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의 투명도(transparent)를 제어(예를 들어, 0%-100%에서 선택)하여 표시하거나, 리사이징 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의 배경색을 현재의 바탕화면과 구분되는 색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리사이징 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의 배경그림(예를 들어, wallpaper)을 현재의 바탕화면과 구분되는 배경그림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S301-S303 단계 이후, 제어부(10)는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각 표시화면에서 소정의 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한다(S30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의 실행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록(예를 들어, 각 아이콘별 실행 회수 및 실행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제어부(10)는 각 아이콘 별 실행(또는 선택) 회수 및 실행(또는 선택)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각 바탕화면에 등록된 아이콘들 중에서, 해당 바탕화면에서 가장 실행이 많이 된 아이콘 또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아이콘을 강조하여(또는 구분하여) 표시한다고 하는 것의 의미는, 해당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보다 크게 표시하거나 반전시켜 표시하는 등의 시각적 효과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자주 실행하거나 최근에 실행한 아이콘이 어떠한 아이콘인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탕화면에서 가장 많이 실행되거나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아이콘이 410의 바탕화면에서는 411의 아이콘이고 420의 바탕화면에서는 421의 아이콘이고 430의 바탕화면에서는 431의 아이콘이라는 가정하에, 도 5를 참조하여 S304 단계에 대한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는 도 4의 (a)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S404 단계를 적용하여 변형한 예로써, 바탕화면(420/430)을 420a/430a와 같이 리사이징하여 표시함과 더불어, 해당 바탕화면에서 자주 실행되거나 최근에 실행되었던 421/431의 각 아이콘을 리사이징 및 강조하여 421a/431a와 같은 아이콘으로 각각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도 도 5의 (a)와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이 때, 도 5 및 S304 단계에서는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각 바탕화면 별로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이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별로 복수개의 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 별로 소정 회수 이상 실행된 아이콘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가장 실행이 많이 된 아이콘을 우선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할 것인지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아이콘을 우선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으며, 가장 실행이 많이 된 아이콘 및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아이콘을 동시에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의 바탕화면이 리사이징 되어 표시될 때 해당 바탕화면에서 강조되어 표시될 아이콘을 미리 설정할 수 도 있다.
S301-S304 단계 이후, 제어부(10)는 리사이징된 바탕화면이 선택되는지 확인하고(S305), 리사이징된 바탕화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바탕화면으로 전환한다(S306).
사용자는 각 바탕화면(및 아이콘)이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면 이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등록된 바탕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해당 바탕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와 같이 현재의 바탕화면(420)과 리사이징된 바탕화면(410a/430a)이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바탕화면 410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리사이징된 바탕화면(410a)을 선택하여 410의 바탕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410의 바탕화면으로 전환되었을 경우, 410의 바탕화면에 등록된 아이콘들(예를 들어, 411/412/413 등의 아이콘)의 목록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전환된 410의 화면에 등록된 아이콘 중에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리사이징된 바탕화면의 선택은 키입력부(27)의 키입력(예를 들어, 방향키 입력)을 통해 선택되거나, 리사이징된 바탕화면을 터치(touch)하거나 리사이징된 바탕화면 위치로의 드래그(drag)하는 등의 터치스크린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지자계 센서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를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의 위치로 휴대단말기를 움직여 리사이징된 바탕화면으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4의 (a)와 같은 바탕화면에서 휴대단말기를 좌측으로 움직여 420의 바탕화면으로 전환하거나 우측으로 움직여 430의 바탕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S305-S306 단계와는 별도로, 사용자에 의해 강조된 아이콘이 선택되면(S307), 제어부(1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308).
S305-S306 단계와 같이 바탕화면을 전환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추가적인 휴대단말기 조작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강조되어 표시된 아이콘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즉각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421)이 421a와 같이 리사이징 및 강조되어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421a의 아이콘을 선택(또는 실행)하여 421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즉각적인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강조되어 표시된 아이콘(예를 들어, 411a/421a/431a)의 선택도 방향키의 입력이나 터치스크린 입력 또는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S306 단계 또는 S308 단계 이후, 제어부(10)는 S301 단계에서 입력된 소정의 키가 재입력되는지 확인하여(S309), 소정의 키가 재입력되면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310).
소정의 키가 재입력되면 제어부(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탕화면에서 리사이징되어 표시되는 바탕화면(예를 들어, 410a/420a/430)을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현재의 바탕화면(또는 전환된 바탕화면)만이 표시부(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바탕화면에 등록된 아이콘들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탕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탕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탕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2예시도.

Claims (24)

  1.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과,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경화면들 각각은 아이콘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이 리사이즈 되면,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아이콘이 리사이즈 되어, 해당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 내에 표시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 된 배경 화면들은 상기 리사이즈 되어 표시된 아이콘들 중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은, 소정 횟수 이상 선택되거나 실행된 아이콘, 입력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선택되거나 실행된 아이콘, 및 상기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바탕화면에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과 대응되는 상기 배경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과 대응되는 상기 배경화면을 현재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이 표시되는 동안, 제3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의 표시하지 않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은 현재 배경화면과 구분되기 위한 배경 요소를 가지고 표시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12.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청구항 1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저장 매체.
  13. 배경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제1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제2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센서부의 사용에 의해 검출된 휴대단말기의 방향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이 리사이즈 되면,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 각각에 포함된 아이콘이 리사이즈 되어, 해당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 내에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 된 배경 화면들은 상기 리사이즈 되어 표시된 아이콘들 중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은, 소정 횟수 이상 선택되거나 실행된 아이콘, 입력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선택되거나 실행된 아이콘, 및 상기 강조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바탕화면에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과 대응되는 상기 배경화면으로 전환하는 휴대단말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화면으로 전환할 때, 상기 선택된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과 대응되는 상기 배경화면을 현재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휴대단말기.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이 표시되는 동안, 제3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의 표시하지 않는 휴대단말기.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즈 된 배경화면들은 현재 배경화면과 구분되기 위한 배경 요소를 가지고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22.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현재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제1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입력이 검출되면, 복수의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리사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사이즈된 배경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과,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리사이즈된 각각의 배경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배경화면들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KR1020090097255A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66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55A KR101663474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US12/900,715 US8577419B2 (en) 2009-10-13 2010-10-08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in mobile terminal
US14/056,298 US9791996B2 (en) 2009-10-13 2013-10-17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in mobile terminal
US14/321,252 US9423934B2 (en) 2009-10-13 2014-07-01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15/218,760 US10365787B2 (en) 2009-10-13 2016-07-25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US15/710,112 US10409452B2 (en) 2009-10-13 2017-09-20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in mobile terminal
US16/440,535 US10895955B2 (en) 2009-10-13 2019-06-13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US16/564,464 US10936150B2 (en) 2009-10-13 2019-09-09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in mobile terminal
US17/186,257 US11460972B2 (en) 2009-10-13 2021-02-26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55A KR101663474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10A KR20110040110A (ko) 2011-04-20
KR101663474B1 true KR101663474B1 (ko) 2016-10-10

Family

ID=4385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55A KR101663474B1 (ko) 2009-10-13 2009-10-13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7) US8577419B2 (ko)
KR (1) KR101663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6194A (zh) * 2010-10-29 2011-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置用户界面的方法及装置
JP6089384B2 (ja) * 2011-04-11 2017-03-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8271B1 (ko) 2011-06-05 2016-11-21 애플 인크.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통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KR101966708B1 (ko) 2011-10-28 2019-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142310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변경 방법 및 장치
US9389884B2 (en) * 2012-10-11 2016-07-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aptive wallpaper display for a device having multip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US9806934B2 (en) * 2012-12-10 2017-10-31 Foneclay, Inc Automated delivery of multimedia content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619016B2 (en) 2014-03-31 2017-04-11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allpaper image on screen
CN103970500B (zh) * 2014-03-31 2017-03-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图片显示的方法及装置
US10482461B2 (en) 2014-05-29 2019-11-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KR101929372B1 (ko) 2014-05-30 2018-12-17 애플 인크.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으로부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으로의 전환
US9967401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AU2015280056B2 (en) * 2014-06-24 2018-04-26 Apple Inc. Application menu for video system
US10474317B2 (en) * 2014-06-25 2019-11-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ynamic node grouping in grid-based visualizations
US9651997B2 (en) * 2014-07-30 2017-05-16 Inte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manage a spatially dynamic display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CN104238876A (zh) * 2014-08-29 2014-12-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应用程序图标的显示方法
WO2016039570A1 (en) * 2014-09-12 2016-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US20160147381A1 (en) * 2014-11-26 2016-05-2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KR20160065704A (ko)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CN104657042B (zh) * 2015-03-10 2018-04-03 洛阳理工学院 一种应用程序图标的触发实现方法及其移动终端
US9578193B2 (en) * 2015-03-31 2017-02-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Quick operation user interface for a multifunction printing device
US20160349961A1 (en) * 2015-06-01 2016-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idy correlated icon depending on the favorite
US10521177B2 (en) * 2015-08-30 2019-12-31 EVA Automation, Inc. User interface based on system-state information
US10387094B2 (en) * 2015-08-30 2019-08-20 EVA Automation, Inc. User interface based on device-state information
US10452332B2 (en) * 2015-08-30 2019-10-22 EVA Automation, Inc. User interface based on device-state information
US11263617B2 (en) 2015-12-04 2022-03-01 Apple Inc.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mobile device for location-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US10324584B2 (en) * 2015-12-10 2019-06-18 Whirlpool Corporation Touch screen display having an external physical element for association with screen icons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US10466891B2 (en) * 2016-09-12 2019-11-05 Apple Inc. Special lock mode user interface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WO2019071419A1 (zh) * 2017-10-10 2019-04-18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基于多屏的信息显示方法及终端
CN109164956A (zh) * 2018-08-02 2019-0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的展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KR20220027295A (ko) 2019-05-31 2022-03-07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7331529B2 (ja) * 2019-07-29 2023-08-2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714928B2 (en) * 2020-02-27 2023-08-01 Maxon Computer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adjusting node workspace
DK180985B1 (da) 2020-04-10 2022-09-02 Apple Inc Brugergrænseflader for muliggørelse af en aktivitet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135A (en) 1988-09-16 1991-10-22 Wang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manipulating document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tilizing reduced images of sheets of information which are movable
WO1993022738A1 (en) * 1992-04-30 1993-11-11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system
US5801699A (en) 1996-01-26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con aggreg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5841435A (en) 1996-07-26 1998-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windows desktop
US6026409A (en) 1996-09-26 2000-02-15 Blumenthal; Joshua O.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and retrieval of digital information by making and scaled viewing
US6008809A (en)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JP2938420B2 (ja) 1998-01-30 1999-08-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ファンクション選択方法及び装置、ファンクションを選択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オブジェクトの操作方法及び装置、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複合アイコン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6211856B1 (en) *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US6857106B1 (en) 1999-09-15 2005-02-15 Listen.Com,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moveable, mergeable elements
US7434177B1 (en) 1999-12-20 2008-10-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onsolidation and access
US7216304B1 (en) * 2000-01-05 2007-05-08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uters having variable size icons
US20030179240A1 (en) * 2002-03-20 2003-09-25 Stephen Gest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rtual desktops in a windowing environment
US7010755B2 (en) * 2002-04-05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manager
KR100478920B1 (ko) * 2002-11-07 2005-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40266396A1 (en) * 2003-06-25 2004-12-30 Henry Steven G Digital transmitter displays
US20050037815A1 (en) * 2003-08-14 2005-02-17 Mohammad Besharat Ambient light controlled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US7437005B2 (en) 2004-02-17 2008-10-14 Microsoft Corporation Rapid visual sorting of digital files and data
US7429993B2 (en) 2004-09-17 2008-09-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ally-transparent, unobtrusive on-screen windows
KR100703690B1 (ko) * 2004-11-19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킨 이미지를 사용하여 아이콘을 그룹별로 관리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EP1677182B1 (en) * 2004-12-28 2014-04-23 Sony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JP4855697B2 (ja) * 2005-03-17 2012-01-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100757867B1 (ko) 2005-08-30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679049B1 (ko) 2005-09-21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물 및 장소정보를 제공하는 썸네일에 의한 사진탐색 방법및 그 장치
US7523405B2 (en) 2005-11-16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2D graphic content using depth wells
US7587684B2 (en) * 2006-01-23 2009-09-08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US7667686B2 (en) * 2006-02-01 2010-02-23 Memsic, Inc. Air-writing and motion sensing input for portable devices
US7614018B1 (en) 2006-02-13 2009-11-03 Google Inc. Web based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ptions
US20070198921A1 (en) * 2006-02-17 2007-08-23 Derek Collison Facilitating manual user selection of one or more ads for insertion into a document to be made available to another user or users
JP4821000B2 (ja) 2006-06-06 2011-11-24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オブジェクト表示処理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処理方法、およびオブジェクト表示処理用プログラム
KR100827230B1 (ko) 2006-06-09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JP4675855B2 (ja) 2006-07-25 2011-04-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94398A1 (en) * 2006-09-19 2008-04-24 Bracco Imaging, S.P.A.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a 3D visualization system using a 2D interface ("DextroLap")
US20080141166A1 (en) 2006-12-11 2008-06-12 Cisco Technology, Inc. Using images in alternative navigation
KR20080077798A (ko)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메뉴 표시 방법
GB0704402D0 (en) * 2007-03-07 2007-04-18 Communigate Ltd Multi-media messaging system for mobile telephones
US20080307359A1 (en) 2007-06-08 2008-12-11 Apple Inc. Group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Objects in a User Interface
KR100895582B1 (ko) * 2007-07-11 2009-04-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019385A1 (en) * 2007-07-12 2009-01-15 Nvidia Corporation Management of Icons in a Display Interface
US9619143B2 (en)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CA2621744C (en) * 2007-09-13 2016-10-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personal computer
US9083814B2 (en) * 2007-10-04 2015-07-14 Lg Electronics Inc. Bouncing animation of a lock mod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90193363A1 (en) * 2008-01-30 2009-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resenting Multiple Computing Resources Within A Predefined Reg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Single Icon
US11159909B2 (en) * 2008-02-05 2021-10-26 Victor Thomas Anderson Wireless location establishing device
JP5028649B2 (ja) * 2008-03-07 2012-09-19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8312660B1 (en) * 2008-05-09 2012-11-20 Iwao Fujisaki Firearm
KR101020029B1 (ko) * 2008-07-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KR100969790B1 (ko) 2008-09-02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US9760234B2 (en) 2008-10-14 2017-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sktop icon management and grouping using desktop containers
US9552154B2 (en) 2008-11-25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ES2630408T3 (es) * 2008-12-01 2017-08-21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 un icono de ejecución de terminal móvil
KR101592298B1 (ko) 2008-12-01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1622605B1 (ko) 2009-07-10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실행 아이콘 운용방법
US8289287B2 (en) 2008-12-30 2012-10-1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personalizable user interface
US8355698B2 (en) * 2009-03-30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Unlock screen
US8656314B2 (en) 2009-07-30 2014-02-18 Lenovo (Singapore) Pte. Ltd. Finger touch gesture for joining and unjoining discrete touch objects
KR101679420B1 (ko) * 2009-08-11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7382A1 (en) 2014-02-13
US11460972B2 (en) 2022-10-04
US20210181925A1 (en) 2021-06-17
US20140317500A1 (en) 2014-10-23
US10936150B2 (en) 2021-03-02
US10409452B2 (en) 2019-09-10
KR20110040110A (ko) 2011-04-20
US8577419B2 (en) 2013-11-05
US9791996B2 (en) 2017-10-17
US9423934B2 (en) 2016-08-23
US20200004406A1 (en) 2020-01-02
US20180011624A1 (en) 2018-01-11
US10365787B2 (en) 2019-07-30
US20160334966A1 (en) 2016-11-17
US20110084986A1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474B1 (ko)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CN105955607B (zh) 内容分享方法和装置
US20180101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KR101719268B1 (ko) 검색창과 영상 표시창이 상호전환되는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RU2604518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изменения объекта для него
US200702204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7970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001156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10035663A1 (en) User interface method used in web browsing,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2505567A (ja) 開いているウインドウのライブプレビュー
US10289298B2 (en) Interface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US20130145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2014001645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40770A (ko) 컨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US20100262493A1 (en) Adaptive soft key functionality for display devices
CN112817555B (zh) 音量控制方法及音量控制装置
KR2014014075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6951171B (zh) 虚拟现实头盔的控制方法和装置
US108959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CN112804576A (zh) 一种操作控制方法、设备及介质
KR10087473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CN117032537A (zh) 图像的处理方法、处理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6048334A (zh) 页面切换方法、页面切换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