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240B1 - 라이팅 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팅 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240B1
KR101663240B1 KR1020150083671A KR20150083671A KR101663240B1 KR 101663240 B1 KR101663240 B1 KR 101663240B1 KR 1020150083671 A KR1020150083671 A KR 1020150083671A KR 20150083671 A KR20150083671 A KR 20150083671A KR 101663240 B1 KR101663240 B1 KR 10166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data
use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제
조훈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to KR102015008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입력 도구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제1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광이 투과하도록 구비된 보드 유닛과, 상기 제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2 면에 대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촬상 방향이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상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된 미러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로 제1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1 영상 생성 유닛를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이팅 보드 시스템 {Lighting board system}
라이팅 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반의 통신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교육 시스템 또한 학교나 학원에서의 강의에서 인터넷 영상을 이용한 강의로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영상 강의의 경우 강사인 사용자가 직접 강의를 하는 내용을 촬영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판서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뒤에 보드가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드로 몸을 돌려 판서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판서 내용을 시청자가 충분히 판별하기 쉽지 않고, 영상으로서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판서 이외에 동영상이나, 그래픽과 같은 별도의 교육 자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강의 이후에 별도의 편집 과정을 거쳐 편집하여야 하고, 이 경우에도 사용자와는 단절된 화면이 편집되기 때문에 강의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편집 과정 없이도 고품질의 강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 도구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제1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광이 투과하도록 구비된 보드 유닛과, 상기 제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2 면에 대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촬상 방향이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상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된 미러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로 제1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1 영상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다른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 유닛과, 상기 영상 재생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제2 영상 데이터로 제2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2 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 영상 레이어와 상기 제2 영상 레이어가 서로 중첩되도록 결합하여 제3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는 제3 영상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면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1 부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제2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라이팅 유닛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사용자의 제2 부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제3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보드 유닛의 상기 제2 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다른 사용자의 제3 부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제4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라이팅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광을 흡수하도록 구비된 흡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음성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분석 유닛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 유닛과,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성 데이터 선택 유닛과,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준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는 음성 비교 유닛과, 상기 영상 재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가 기준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1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조정 신호 생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영상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유닛은, 사용자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영상 데이터 선택 유닛과,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기준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는 영상 비교 유닛과, 상기 영상 재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2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조정 신호 생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몸을 돌려 판서할 필요 없이 자신의 전면에 그대로 판서할 수 있고, 영상 화면에 그 내용이 명확히 잡히게 되어 시청자가 강의 내용 뿐 아니라, 판서 내용까지 강의 중에 끊김 없이 명확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강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영상이나 그래픽 등의 교육 자료가 강의 도중에 입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 음성 또는 동작 만으로 교육 자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강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보드 유닛 및 제1 라이팅 유닛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카메라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제어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 영상 레이어와 제2 영상 레이어의 중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음성 분석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분석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영상 분석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데이터 분석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보드 시스템은, 보드 유닛(1), 제1 라이팅 유닛(21), 카메라 유닛(3), 미러 유닛(4) 및 제어 유닛(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 유닛(1)은 서로 대향된 제1 면(11)과 제2 면(12) 및 제1 면(11)과 제2 면(12)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3 면(13)을 포함하는 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편평한 평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11)은 사용자(7)에 마주하도록 위치한 면이 되고, 제2 면(12)은 제1 면(11)에 제1 방향(D1)으로 대향되는 면이 된다. 그리고 제3 면(13)은 제1 면(11)과 제2 면(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서리 면이 될 수 있다.
상기 보드 유닛(1)은 적어도 제1 방향(D1)을 따라 광이 투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에 따라 제2 면(12)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제1 면(11)에 대향하게 위치하는 사용자(7)의 모습이 관찰될 수 있다. 상기 보드 유닛(1)은 투명 글라스재 또는 투명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드 유닛(1)은 상기 제1 면(11)에 사용자(7)가 입력 도구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입력 도구는 형광 안료를 포함하는 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11)은 상기 입력 도구에 의한 마킹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표면이 제2 면(12)의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보드 유닛(1)의 광 투과도가 지나치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라이팅 유닛(21)은 상기 제3 면(13)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도 1에서 볼 때 제2 방향(D2)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라이팅 유닛(21)은 제1 면(11) 중 사용자에 의해 주로 입력되는 입력 영역(14)에 대응되는 영역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면 충분하다.
상기 제1 라이팅 유닛(21)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면(13)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 광원(211)과, 상기 제1 광원(211)의 광이 제3 면(13)을 향하도록 하는 제1 광 가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가이드(212)는 제3 면(13)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제1 광원(211)의 광이 외측으로 새어 나가지 않고 제3 면(13) 만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제1 광 가이드(212)는 도 2에서 볼 때, 제3 면(13)을 따라 길게 결합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13)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라이팅 유닛(21)이 제3면(13)을 통해 보드 유닛(1)의 내로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사용자(7)가 입력 도구에 의해 제1 면(11)에 판서를 하게 되면, 제1 면(11)에 입력된 내용이 형광색으로 빛나게 되고, 이에 따라 시청자에게 보다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7)가 입력한 내용은 제2면(12)을 통해 확인되는 것이어서, 제1면(11)에 대향되게 위치한 사용자(7)의 전면에 항상 존재하게 되어, 사용자(7)에 가려져서 입력 내용이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카메라 유닛(3)은 제2 면(12)의 제1 방향(D1)의 전방에 위치하는 데, 제2 면(12)에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이 카메라 유닛(3)은 그 촬상 방향(31)이 제2 방향(D2)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카메라 유닛(3)은 그 전방에 위치한 미러 유닛(4)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러 유닛(4)은 카메라 유닛(3)의 촬상 방향(31)의 전방에 위치하고, 적어도 그 반사면(41)이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미러 유닛(4)의 반사면(41)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각각 45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러 유닛(4)은 도 2를 참조할 때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그 길이는 적어도 보드 유닛(1)의 제3 방향(D3)의 길이(l)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유닛(3)이 미러 유닛(4)을 통해 반전된 영상을 촬영할 때에 일부가 영상 밖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러 유닛(4)은 볼록 렌즈 및/또는 오목 렌즈를 더 포함하여, 작은 크기로도 보드 유닛(1)을 투과하는 이미지를 카메라 유닛(3)이 잘 캡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미러 유닛(4)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별도의 지그(42)를 이용해 카메라 유닛(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그(42)는 미러 유닛(4)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미러 유닛(4)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때, 사용자(7)는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7)의 정면에 위치한 제1 면(11)에 특정 내용을 입력하면서 강의를 할 수 있고, 이러한 강의 장면은 카메라 유닛(3)을 통해 촬영한다. 이 때, 상기 강의 장면은 미러 유닛(4)을 통해 반전되고, 반전된 이미지가 카메라 유닛(3)을 통해 촬영된다. 따라서 사용자(7)가 제1 면(11)에 글자를 포함하는 특정 내용을 입력한 경우, 이 영상을 보는 시청자는 반전된 영상을 보게 되므로, 글자가 원래대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반전된 영상인 제1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유닛(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닛(5)의 제1 영상 생성 유닛으로 전달되고, 제1 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아무런 편집 과정 없이 시청자는 촬영되고 있는 강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5)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다른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 유닛(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재생 유닛(6)은 카메라 유닛(3)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아닌 사용자(7)가 강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다양한 비디오 영상, 인터넷 영상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재생 유닛(6)은 상기 제어 유닛(5)과 별도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유닛(5)과 동일 장치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재생 유닛(6)은 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탑재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유닛(5)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영상 생성 유닛(51)과, 제2 영상 생성 유닛(52)과, 제3 영상 생성 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생성 유닛(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3)으로부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영상 레이어(511)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생성 유닛(52)은 상기 영상 재생 유닛(6)으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제2 영상 레이어(521)를 생성한다. 상기 제3 영상 생성 유닛(53)은 상기 제1 영상 레이어(511)와 제2 영상 레이어(521)를 서로 중첩되게 결합시켜 제3 영상 레이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제3 영상 레이어는 별도의 저장 유닛(미도시)에 저장되고, 시청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시청하는 강의 영상인 제3 영상 레이어는 강사인 사용자(7)가 직접 판서하면서 강의한 영상인 제1 영상 레이어와 별도의 강의 보조 영상인 제2 영상 레이어가 중첩된 영상이 되며, 이에 따라 더욱 입체적이면서 다양한 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영상이 될 수 있다. 예컨대 강사인 사용자(7)가 화학 강의를 하는 경우, 사용자(7)는 화학식에 대해서는 보드 유닛(1)의 제1 면(11)에 입력하면서 강의할 수 있고 이 강의 영상은 제1 영상 레이어로 생성되며, 동시에 화학 구조의 입체적인 영상은 제2 영상 레이어로 생성되어, 이 2가지 영상 레이어가 중첩되어 화학 구조의 입체적 영상까지 겸비된 제3 영상 레이어가 최종 강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영상 생성 유닛(51)과, 제2 영상 생성 유닛(52)과, 제3 영상 생성 유닛(53)은 반드시 단일의 모듈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된 별도의 장치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을 탑재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의 일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라이팅 보드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라이팅 유닛(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이팅 유닛(22)은 사용자(7)를 사이에 두고 제1 면(11)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사용자(7)의 제1 부분(71)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라이팅 유닛(22)은 제2 광원(220)과,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제2-1 광가이드(221)와, 상기 제3 방향(D3)에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사용자(7)의 머리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제2-2 광가이드(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1 광가이드(221)와 제2-2광가이드(222)는 제2 광원(22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2-1 광가이드(221)와 제2-2 광가이드(222)는 도 7에서 볼 때,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1 광가이드(221)와 제2-2 광가이드(222)에 의해 제2 광원(220)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사용자(7)의 어깨 뒷편을 비춰주고 이에 따라 제1 영상 레이어에 형성되는 사용자(7)에 대한 영상이 입체적인 모습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7)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라이팅 유닛(22)과 대향되도록 위치한 제3 라이팅 유닛(2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라이팅 유닛(23)은 사용자(7)의 제2 부분(72)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부분(72)은 상기 제1부분(71)과 다른 부분이 될 수 있는 데, 사용자(7)의 얼굴을 포함한 전면부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부분에서 제1 부분(71)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3 라이팅 유닛(23)은 제3 광원(230)과,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제3-1 광가이드(231)와, 상기 제3 방향(D3)에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사용자(7)의 얼굴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제3-2 광가이드(232)를 구비한다. 상기 제3-1 광가이드(231)와 제3-2 광가이드(232)는 제3 광원(23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3-1 광가이드(231)와 제3-2 광가이드(232)는 도 7에서 볼 때,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1 광가이드(231)와 제3-2 광가이드(232)에 의해 제3 광원(230)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사용자(7)의 얼굴을 포함한 전면을 비춰주고 이에 따라 제1 영상 레이어에 형성되는 사용자(7)에 대한 영상이 보다 선명한 모습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보드 유닛(1)의 제2 방향(D2)의 양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제4 라이팅 유닛(2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4 라이팅 유닛(24)은 사용자(7)의 제3 부분(73)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 부분(73)은 상기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과는 다른 부분이 될 수 있는 데, 사용자(7)의 양측 어깨부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부분에서 상기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4 라이팅 유닛(24)은 제4 광원(240)과, 제2 방향(D2)에 대해 예각을 갖도록 경사진 제4-1 광가이드(241) 및 제4-2 광가이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1 광가이드(241)와 제4-2광가이드(242)는 제4 광원(2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4-1광가이드(241)는 제4-2 광가이드(242)에 비해 보드 유닛(1)에 더 가깝게 위치한 것으로, 제4-1 광가이드(241)가 제2 방향(D2)과 이루는 각도는 제4-2 광가이드(242)가 제2 방향(D2)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광원(240)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사용자(7)의 양측 어깨를 포함한 양 측면을 비춰주고 이에 따라 제1 영상 레이어에 형성되는 사용자(7)에 대한 영상이 보다 입체적인 모습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1 광가이드(241)는 제2 방향(D2)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라이팅 유닛(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11)과 대향되도록 흡광 유닛(2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광 유닛(25)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라이팅 유닛(22) 내지 제4 라이팅 유닛(24)의 외측을 둘러 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라이팅 유닛(22) 내지 제4 라이팅 유닛(24)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사용자(7)의 모습이 더욱 입체적이고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7)를 촬영한 영상인 제1 영상 레이어가 제2 영상 레이어와 서로 중첩될 때에 다른 불필요한 이미지가 추가되지 않아 별다른 편집 없이도 제3 영상 레이어가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팅 보드 시스템은 도 9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음성 분석 유닛(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분석 유닛(54)은 도 1에서 볼 때, 제어 유닛(5)에 포함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유닛(5)과는 별도의 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분석 유닛(54)은 음성 데이터 생성 유닛(541)과, 음성 데이터 선택 유닛(542)과, 음성 비교 유닛(543)과, 제1 조정 신호 생성 유닛(544)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들은 반드시 단일의 모듈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된 별도의 장치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을 탑재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생성 유닛(541)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음성 데이터 생성 유닛(541)은 사용자의 음성을 녹취할 수 있는 음성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상기 카메라 유닛(3)에 포함되는 녹음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유닛(3)과는 별개의 녹음 장치를 구비해 사용자의 음성을 녹취하고, 이로부터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1).
상기 음성 데이터 선택 유닛(542)은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선택한다(S12). 상기 제1 음성 데이터가 사용자(7)가 강의하고 있는 강의 음성 내용이 된다면, 제2 음성 데이터는 이 중 특정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다.
음성 비교 유닛(543)은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준 음성 데이터와 비교한다(S13).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는 음성 저장 유닛(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특정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는 데,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으로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이 될 수 있다.
제1 조정 신호 생성 유닛(544)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1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영상 재생 유닛(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조정 신호 생성 유닛(544)은, 상기 제2 음성 데이터가 기준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S14). 이 제1 조정 신호는 영상 재생 유닛(6)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다. 상기 제1 조정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할 뿐 아니라, 제2 영상 데이터를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데이터가 기준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12)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조정 신호 생성이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팅 보드 시스템은 도 11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영상 분석 유닛(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유닛(55)은 도 1에서 볼 때, 제어 유닛(5)에 포함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유닛(5)과는 별도의 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유닛(55)은 영상 데이터 선택 유닛(551)과, 영상 비교 유닛(552)과, 제2 조정 신호 생성 유닛(553)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들은 반드시 단일의 모듈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된 별도의 장치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을 탑재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유닛(55)은 먼저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수신한다(S21). 상기 영상 분석 유닛(55)은 카메라 유닛(3)으로부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 제1 영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영상 분석 유닛(55)은 별도의 영상 데이터 생성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는 다른 별도의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영상 데이터 생성 유닛은 미러 유닛과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은 별도의 카메라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선택 유닛(551)은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녹화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선택한다(S22).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중 패턴화될 수 있는 사용자의 특정 행동이 담긴 영상이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영상 비교 유닛(552)은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기준 영상 데이터와 비교한다(S23).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는 영상 저장 유닛(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패턴화될 수 있는 사용자의 특정 행동이 담긴 영상이나 이미지가 될 수 있는 데, 사용자가 자신의 행동으로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이 될 수 있다.
제2 조정 신호 생성 유닛(553)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2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영상 재생 유닛(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조정 신호 생성 유닛(553)은, 상기 제3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S24). 이 제2 조정 신호는 영상 재생 유닛(6)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다. 상기 제2 조정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할 뿐 아니라, 제2 영상 데이터를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시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21)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조정 신호 생성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7)가 강의 도중에 특정 단어나 문장을 말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특정 동작을 행함으로써 제2 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팅 보드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데이터 분석 유닛(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유닛(56)은 도 1에서 볼 때, 제어 유닛(5)에 포함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유닛(5)과는 별도의 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유닛(56)은 데이터 선택 유닛(561)과, 데이터 비교 유닛(562)과, 제3 조정 신호 생성 유닛(563)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들은 반드시 단일의 모듈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된 별도의 장치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을 탑재한 메모리 또는 메모리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유닛(55)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카메라 유닛(3)에 의해 취득되는 것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녹음 장치 또는 녹화 장치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선택 유닛(561)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를 선택한다(S31). 상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는 특정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일 경우,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중 패턴화될 수 있는 사용자의 특정 행동이 담긴 영상이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데이터 비교 유닛(562)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S32). 상기 제1 기준 데이터는 영상 저장 유닛(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성 데이터 또는 기준 영상 데이터일 수 있는 데,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 또는 행동으로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이 될 수 있다.
조정 신호 생성 유닛(563)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영상 재생 유닛(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정 신호 생성 유닛(563)은, 상기 제1 데이터가 제1 기준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S35). 이 조정 신호는 영상 재생 유닛(6)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다. 상기 조정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할 뿐 아니라, 제2 영상 데이터를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가 제1 기준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2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33)가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일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역시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와는 다른 특정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와 다른 종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일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비교 유닛(562)은 다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S34). 상기 제2 기준 데이터는 영상 저장 유닛(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성 데이터 또는 기준 영상 데이터일 수 있는 데,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 또는 행동으로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데이터는 상기 제1 기준 데이터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가 상기 제1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2 기준 데이터는 제1 기준 데이터와는 다른 특정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가 상기 제1 데이터와 다른 종류의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2 기준 데이터는 제1 기준 데이터와는 다른 종류의 기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정 신호 생성 유닛(563)은, 상기 제2 데이터가 제2 기준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S35). 이 조정 신호는 영상 재생 유닛(6)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다. 상기 조정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할 뿐 아니라, 제2 영상 데이터를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가 제2 기준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31)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2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33)가 실시되거나 조정 신호 생성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7)가 강의 도중에 특정 단어나 문장을 말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특정 동작을 행해 제2 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할 때에 이러한 조정이 실패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7)가 강의를 진행함에 따라 본인의 의지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 실패하지 않고 제2 영상 데이터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입력 도구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제1 방향으로 대향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제2 면을 연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광이 투과하도록 구비된 보드 유닛;
    상기 제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라이팅 유닛;
    상기 제2 면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촬상 방향이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상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된 미러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로 제1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1 영상 생성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 유닛의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은 투명하게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보드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사용자와 대향되게 위치해 상기 보드 유닛을 투과하여 상기 미러 유닛에 반사된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해 상기 보드 유닛을 투과한 사용자의 모습이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다른 제2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 유닛;
    상기 영상 재생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제2 영상 데이터로 제2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2 영상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영상 레이어와 상기 제2 영상 레이어가 서로 중첩되도록 결합하여 제3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는 제3 영상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면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1 부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제2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라이팅 유닛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과 다른 사용자의 제2 부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제3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유닛의 상기 제2 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다른 사용자의 제3 부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제4 라이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팅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광을 흡수하도록 구비된 흡광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음성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음성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분석 유닛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제1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 유닛;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성 데이터 선택 유닛;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기준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는 음성 비교 유닛; 및
    상기 영상 재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음성 데이터가 기준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1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조정 신호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영상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영상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분석 유닛은,
    사용자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영상 데이터 선택 유닛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기준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는 영상 비교 유닛; 및
    상기 영상 재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2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조정 신호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라이팅 보드 시스템.
KR1020150083671A 2015-06-12 2015-06-12 라이팅 보드 시스템 KR10166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671A KR101663240B1 (ko) 2015-06-12 2015-06-12 라이팅 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671A KR101663240B1 (ko) 2015-06-12 2015-06-12 라이팅 보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240B1 true KR101663240B1 (ko) 2016-10-14

Family

ID=5715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671A KR101663240B1 (ko) 2015-06-12 2015-06-12 라이팅 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2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4015A (ja) * 2009-03-19 2010-10-07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記載ボード及び投写映像システム
KR20100112776A (ko) * 2009-04-10 2010-10-20 (주)넥손 라이팅 보드
US20120154511A1 (en) * 2010-12-20 2012-06-21 Shi-Ping Hsu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graphically distributed creative design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4015A (ja) * 2009-03-19 2010-10-07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記載ボード及び投写映像システム
KR20100112776A (ko) * 2009-04-10 2010-10-20 (주)넥손 라이팅 보드
US20120154511A1 (en) * 2010-12-20 2012-06-21 Shi-Ping Hsu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graphically distributed creative design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8886B2 (en) Parallax scanning methods for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ing
Walsh et al. Using digital video in field-based research with children: A primer
JP2005218103A (ja) 顔の特徴を表示する装置
US6082865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with image pickup fun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554574B1 (ko) 투명 칠판을 이용한 강의 동영상의 녹화 시스템 및 방법
Gleicher et al. A framework for virtual videography
KR101663240B1 (ko) 라이팅 보드 시스템
Baumgartner 3D postproduction: Stereoscopic workflows and techniques
JP4399125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11462122B2 (en) Illustration instructor
KR101593136B1 (ko) Led 유리보드 기반 동영상 강의 시스템
US20220360755A1 (en) Interactive display with integrated camera for capturing audio and visual information
CN112689994B (zh) 演示***和演示方法
JP5451864B1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Green et al. The interview box: Notes on a prototype system for video-recording remote interviews
KR102678003B1 (ko)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실감형 실시간 원격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75644A (ja) 映像合成装置および映像合成装置を駆動する映像駆動装置並びに映像合成装置の映像を投影する透過性パネル並びに映像合成装置と映像駆動装置と透過性パネルとを有する立体映像システム
CN219999515U (zh) 智能化全息投影音响
KR102437155B1 (ko)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실감형 실시간 원격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Teneqexhi et al. Making virtual classrooms of Google platform more real using transparent interactive Screen-board (tiSb-Albania)
JP5023362B2 (ja) 立体映像再生装置
Rakov Unfolding the Assemblage: Towards an Archaeology of 3D Systems
Zavagno “Shadows of Reality” and “Documentary Tools”: An MA Research-Creation Thesis Project on Facing Ethical Dilemmas in Documentary Filmmaking
Ouglov et al. Panoramic video in video-mediated education
Evrard et al. Object-based sound re-mix for spatially coherent audio rendering of an existing stereoscopic-3D animation mov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