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09B1 -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09B1
KR101661609B1 KR1020150022426A KR20150022426A KR101661609B1 KR 101661609 B1 KR101661609 B1 KR 101661609B1 KR 1020150022426 A KR1020150022426 A KR 1020150022426A KR 20150022426 A KR20150022426 A KR 20150022426A KR 101661609 B1 KR101661609 B1 KR 10166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dvertisement
charging device
charging
advertisem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009A (ko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김진아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김진아, 이진영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15002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02J2007/00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장치는 충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충전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및 충전 제어신호 및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인증코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전자 기기 단말, 특히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컨텐츠 및 그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충전장치 및 충전이 되는 동안에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노출된 인증코드를 입력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구비하는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서비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편의성과 다양성을 가진 다양한 외식업체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외식업체들의 예로, 브랜드화된 커피 전문점, 햄버거 치킨, 음료, 아이스크림 등을 취급하는 패스트푸드점, 가족 고객을 타겟으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등을 들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 특히 외식업장에 입장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을 원할 경우, 예를 들어 카운터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맡겨서 충전을 하거나, 미리 준비한 충전 잭을 외식업장 내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을 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카운터에 맡겨서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스마트폰이 분실될 우려도 있다. 그리고 미리 준비한 충전 잭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게 되면 충전 잭을 항상 구비해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식업장의 내부구조상 충전을 전혀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2817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에 있어서,광고 컨텐츠와 해당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인증코드를 함께 노출시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인증코드의 입력을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충전장치에 노출된 인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코드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키면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와 함께 노출된 인증코드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광고 노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충전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충전 제어신호 및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킨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고, 상기 인증코드에 대한 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장치, 및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충전되고,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수신한 입력코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를 함께 노출시키면서 사용자 단말에 인증코드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장치의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인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더욱 집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는 광고 노출의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는,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사용자 단말에 충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광고 컨텐츠를 미리 시청하여야만 한다.
또한, 서비스 업주, 특히 외식업체의 업주는 충전장치가 비치된 업장에 대한 고객 선호를 이용하여 집객력을 높여 매출을 증대할 수 있으며, 자체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인의 광고를 노출하는 경우 광고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이득이 있으며, 통신망을 이용할 때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기 전에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고객에게 충전 이전의 시간에 광고에 집중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광고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시로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노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면 광고 컨텐츠의 노출과 충전 서비스를 모두 중단함으로써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합형 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를 기능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광고 컨텐츠 종류와 인증코드의 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초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장치가 원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시스템(1)은 충전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충전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충전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 잭과 같은 케이블을 통한 물리적 연결, NFC(Near Field Connection) 연결 및 블루투스 연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킨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100)는 특정한 광고 컨텐츠와 함께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인증코드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생성되어 충전장치(1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도 4 참조). 즉, 특정한 광고 컨텐츠에 대해서는 특정 인증코드가 표시될 수 있어, 인증코드를 통하여 광고 영상을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광고 영상이 제공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인증코드를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가 어느 정도 재생되어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기 이전의 얼마간의 시간 동안만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초짜리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15초 동안 인증코드를 지속적으로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가 10초 동안 재생된 이후의 5초 동안에만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한 인증코드에 대한 입력을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는 충전장치(100)에 표시된 인증코드를 입력하고, 입력코드로서 서버(30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코드와 함께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 등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표시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하거나, 인증코드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에는 사용자 단말(200)에 지속적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등으로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입력코드와 매칭되는 광고 컨텐츠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코드는 특정한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매칭되도록 생성될 수 있는데, 입력코드와 광고 컨텐츠의 연관정보는 충전장치(100)와 서버(300)가 공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시청한 광고 컨텐츠를 식별하고,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적립한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에 적립된 포인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다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포인트 적립내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동안에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표시된 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함으로써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도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집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100)를 통한 광고 효과가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복수의 충전 연결부(126),충전 잭(400)이 인입되는 충전 잭 인입부(121),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충전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충전 연결부(126)는 충전장치(100)에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충전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 단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매장, 특히 외식업체에 입장한 고객 중 충전을 원하는 고객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 및/또는 충전 잭(400)을 지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를 지급받은 사용자는 자신의 자리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0)의 충전 잭 인입부(120)에 지급된 충전 잭(400) 인입하고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시킴으로써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 잭(400)이 연결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주고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충전장치(100)를 지급받은 사용자는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를 눌러 전원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지만,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에 기초하여 충전장치(100)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와 함께 인증코드를 노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0)는 인증코드의 입력을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코드는 서버(300)에 제공되어 사용자 계정에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포인트 적립을 위하여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표시되는 인증코드를 확인하고자 할 것이고, 이에 따라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충전장치(100)가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노출하는 시점,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방식 등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에 전원, 즉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고객은 광고를 시청한 이후에 이동단말(200)을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충전장치(100)에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개시 방식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측면 일측에 구비된 충전 잭 인입부(121), 측면 타측에 충전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장치(100)는 전원 공급 선과 연결된 크래들에 충전 연결부(126)를 연결시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를 복수 개 포함하는 집합형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합형 충전장치는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이 삽입될 수 있는 크래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40')은 내부에 각 충전장치들(100)의 측면 타측에 형성된 충전 연결부(126)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143) 및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는 전원선 연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집합형 충전장치에는 각 충전장치들(100)이 삽입되어 그에 상응하는 전원 공급부(143)를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부(120)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40')은 로컬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어, 원격 서버와 통신을 하여 광고 등의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충전장치들(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원격 서버로 송신할 수도 있다. 특히, 크래들(140')은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한 번의 연결로 다수의 컨텐츠들을 수신한 이후에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를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크래들(140')은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제공된 광고 컨텐츠의 노출 시간 및 플레이 카운트의 로드데이터를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원격 서버로부터 스케쥴링된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를 기능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는 제어부(110), 충전부(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00)는 메모리(140), 입력부(150), 통신부(160), 연결 인식부(170) 및 센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충전부(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입력부(150), 통신부(160), 연결 인식부(170) 및 센서부(180)와 연결되어 이들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 및 충전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1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AMD 및 넥스젠 (Nexgen)을 포함하는 외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 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충전 제어부(111), 카운트부(113), 디스플레이 제어부(115) 및 요청신호 생성부(117)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는 입력부(150)를 통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으로서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 인식부(170)를 통하여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한 것에 응답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이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특정한 스위치가 입력되거나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은 충전장치(100)의 입력부(150) 또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인증코드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인증코드는 각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인증코드는 해당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기 일정 시간 이전부터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카운트부(113)는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1)는 광고 개시신호에 따라서 카운트가 시작된 이후의 시간 정보를 카운트부(113)로부터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1)는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충전부(120)가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제공된 인증코드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요청신호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요청신호를 제공하거나, 카운트부(113)를 통하여 제공된 시간 정보 및 메모리(14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요청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요청신호 생성부(117)에서 요청신호가 생성되는 것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가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인증코드를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충전부(12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제어부(110)에 포함된 충전 제어부(111)의 충전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된 이후에 충전부(120)가 충전을 개시하도록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한다.
충전부(120)는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 잭(400)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을 충전시킨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명령과 같은 외부 입력을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충전장치(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와 같은 물리적 버튼 혹은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공된 입력 신호가 사용자 단말(200)과 충전장치(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광고 컨텐츠,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인증코드 및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서버(300)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인증코드를 포함한 광고 컨텐츠 등을 수신하고 각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100)에서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시간을 저장하여 광고 노출 결과로서 서버(300)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제공으로 인한 비용 산정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6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PC형태인 로컬 제어 서버(예를 들어, 크래들(140')) 매개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인식부(170)는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연결 상태를 인식한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 인식부(170)는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었으며 둘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인식부(170)는 NFC 칩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NFC 연결이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하거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연결 인식부(170)를 통하여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전원 공급 요청 신호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하지 않고도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연결 인식부(170)를 통하여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는 점포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의 개략적인 정보나 쿠폰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는 점포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점포를 방문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과 함께 점포 방문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점포 방문에 따른 포인트를 적립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180)는 충전장치(100), 특히 디스플레이(130)의 근처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지는 지를 감지한다.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지는 것은 광고 시청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이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80)는 근접 센서 및/또는 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80)의 감지정보는 제어부(11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지면 전기 에너지의 제공 및/또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카운트부(113)는 카운트를 중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부(111)는 카운트부(113)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이 수신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는 데, 이러한 시간의 카운트가 정지되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130)가 가려진다면,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트가 시작된 이후, 일단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충전 제어부(111)는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도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중단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노출이 중단되므로 인증코드의 노출도 중단되며 광고 컨텐츠의 재생 완료 시간에 종속되는 요청신호의 생성 시점 또한 뒤로 미루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를 가리게 되면 충전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가 항상 노출되도록 둠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를 통하여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의 좌측 상단에 인증코드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전부터 표시될 수 있다.
충전장치(100)의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인증코드가 표시되는 것과 함께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일정 시점 이전부터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신호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200)에는 인증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인증코드는 입력코드로서 서버(300, 도 1 참조)에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광고 컨텐츠 종류와 인증코드의 연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고 컨텐츠 종류와 인증코드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의 연관 정보는 충전장치(100)와 서버(300)에 공통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충전장치(100)는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의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또는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한 시점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입력코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고 인증코드를 입력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100)에 S사 광고가 표시되면서 '3516'의 인증코드가 함께 노출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3516'을 입력할 수 있다. 서버(300)는 '3516'의 입력코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S사의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였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S사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인증코드는 광고 컨텐츠 종류별로 무작위로 생성될 수 있으며, 서버(300)에서 생성되어 충전장치(100)에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공되어 광고 컨텐츠와 인증코드의 연관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초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점의 충전장치(100a)는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이다. 충전 잭(400)과 같은 케이블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면, 충전장치(100a)에 포함된 연결 인식부(170)는 연결 성립을 확인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요청 스위치(151)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요청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시점의 충전장치(100b)의 제어부(1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115)는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30)에 광고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 하단에 '15초후에 충전을 시작합니다. '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아직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110)에 포함된 카운트부(113)는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하여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충전 제어부(111)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초)이 경과한 이후에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여 충전부(12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3 시점의 충전장치(100c)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하여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이나 그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면, 시간의 카운트가 중단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제공도 중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충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에 연결이 성립되면, 연결 인식부(170)에 의하여 연결이 인식된다 (단계 S1110). 실시예에 따라, 충전 장치(100)와 연결이 성립되면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2110).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충전단말(100)과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교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충전장치(100)에서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인증코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이 제공되거나 충전장치(100)의 점포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충전장치(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과 충전장치(100)를 연동시켜 충전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화면이 그대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이 성립된 후, 충전장치(100)는 충전장치(100)가 설치된 점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점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점포 정보를 표시하거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버(300)에 점포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점포 방문에 대한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도 있다.
충전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노출되기 시작하며, 카운트부(113)는 카운트를 시작하여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1120).
충전 제어부(111)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30). 기설정된 시간은 충전 제어부(111)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 상이해질 수도 있다.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 제어부(111)는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여 충전부(120)가 사용자 단말(2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충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증코드를 노출할 수 있다 (단계 S1140).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코드는 광고 컨텐츠와 함께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기 이전 일정시간 동안 노출될 수 있다. 인증코드가 노출됨에 따라서 충전장치(100)의 요청신호 생성부(117)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는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코드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2120).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코드는 입력코드로서 서버(300)에 전송되며, 입력코드 정보에는 입력코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인증코드를 통하여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입력된 코드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300)는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적립하고 (단계 S3110), 포인트 적립의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충전장치(100)가 동작함에 있어서, 센서부(18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모든 동작들이 중단될 수도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충전장치(100)와 서버(300)는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광고 컨텐츠 및 광고 노출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100)가 특정한 점포에 설치되는 경우에, 점포의 영업 시간을 제외한 시간이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시간을 선택하여 하루에 한 번, 또는 일주일에 한 번을 주기로 서버(300)는 광고 컨텐츠를 충전장치(100)에 전송하고, 충전장치(100)는 광고 노출 결과를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장치가 원격으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100)의 통신부(16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SS7 음성망 또는 TCP/IP 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중앙 제어 서버(500)로부터 직접 또는 서비스 매장에 위치하는 로컬 제어 서버(600)를 매개로 하여 컨텐츠 및 업데이트 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공된 컨텐츠는 충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직접 제공되거나, 충전장치(130)의 NFC칩이나 QR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되거나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형 충전기의 형태로 제공된 크래들(140')은 로컬 제어 서버(600)에 대응할 수 있다. 크래들(140')은 중앙 제어 서버(500)로부터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복수의 충전장치들(10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로컬 제어 서버(600)가 복수의 충전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충전장치들이 한꺼번에 중앙 제어 서버(500)로 접속하는 경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로컬 제어 서버(600)는 순차적으로 충전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충전장치
110: 제어부
120: 충전부
130: 디스플레이
140: 메모리
150: 입력부
160: 통신부
170: 연결 인식부
180: 센서부

Claims (20)

  1. 충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충전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카운트부;
    상기 광고 컨텐츠,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인증코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충전 제어신호 및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상기 카운트부가 제공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것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인증코드를 해당 광고 컨텐츠에 포함시켜 노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부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 및 상기 카운트부의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충전 제어신호의 활성화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9.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카운트부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킨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고, 상기 인증코드에 대한 요청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장치; 및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여 충전되고,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수신한 입력코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장치는 재생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상기 카운트부가 제공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것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에 상기 인증코드를 해당 광고 컨텐츠에 포함시켜 노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케이블을 통한 물리적 연결, NFC 연결 및 블루투스 연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전원 공급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 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광고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충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인식하는 연결 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충전장치가 설치된 점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부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광고 컨텐츠, 상기 광고 컨텐츠와 연관된 상기 인증코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재생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기설정된 주기를 두고 상기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19. 삭제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계정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입력코드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적립하는 상기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KR1020150022426A 2015-02-13 2015-02-13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KR10166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26A KR101661609B1 (ko) 2015-02-13 2015-02-13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26A KR101661609B1 (ko) 2015-02-13 2015-02-13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09A KR20160100009A (ko) 2016-08-23
KR101661609B1 true KR101661609B1 (ko) 2016-10-10

Family

ID=5687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426A KR101661609B1 (ko) 2015-02-13 2015-02-13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17B1 (ko) * 2018-09-19 2023-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E202018005486U1 (de) 2018-11-24 2019-05-31 Axel Lieker Integriertes mobiles Werbesystem, Veröffentlichung von Unterhaltungs- und kulturellen Inhalten durch Streaming, vollständige digitale Anlayse, Auswahl und Reihenfolge des gastronomischen Angebots eines Restaurants und Laden von mobilen Geräten.
KR20200105231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에이텍 충전기 대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831A (ja) * 2008-03-31 2009-10-22 Yahoo Japan Corp 充電器の利用により広告データを表示させる方法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23B1 (ko) * 2005-11-18 2007-06-04 하대철 광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
KR20120126261A (ko) * 2011-05-11 2012-11-21 (주)맥스카드시스템즈 고유코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124700A (ko) * 2012-05-07 2013-11-15 네오프리즘이엔티 주식회사 광고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831A (ja) * 2008-03-31 2009-10-22 Yahoo Japan Corp 充電器の利用により広告データを表示させる方法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09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5960B (zh) 用于使移动装置工作的***和方法
US20110258467A1 (en) Leverag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Provide a Mobile Marketing Platform
CN107480965A (zh) 线下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20110258093A1 (en) Portable Power Distribution Enhancements
KR20150105795A (ko) 비콘 신호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2110880A1 (en) A device and system for vending value token
US20160275471A1 (en) Wearable Point of Sale (WPOS) Terminal
KR101661609B1 (ko)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US20160275472A1 (en) Modular and Wearable Point of Sale Terminal
US20110258110A1 (en) Leverag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Provide Establishment Services
KR20160044824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WO2016191954A1 (zh) 无线充电服务方法及无线充电装置
KR20210134541A (ko) 무선충전기
KR101820092B1 (ko) 광고 노출이 가능한 충전 단말기 및 이를 갖는 영상충전벨 시스템
KR20170027888A (ko) 메신저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61858B1 (ko) 비콘을 이용한 게임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070416B2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20170037013A (ko)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4006784A (ja) ハンディターミナル、ハンディターミナ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オーダシステム
KR20180031109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TWI463441B (zh) The number of points accumulated and the number of redemption methods
KR101621321B1 (ko)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US20160358202A1 (en) Affiliated company server,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terminal,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16086319A (ja) 携帯端末充電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広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