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103B1 -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103B1
KR101656103B1 KR1020100023681A KR20100023681A KR101656103B1 KR 101656103 B1 KR101656103 B1 KR 101656103B1 KR 1020100023681 A KR1020100023681 A KR 1020100023681A KR 20100023681 A KR20100023681 A KR 20100023681A KR 101656103 B1 KR101656103 B1 KR 10165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layer
hard coat
forming
anti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664A (ko
Inventor
조오형
안종남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10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상에 형성된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그라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및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저굴절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 및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ANTI-STATIC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는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과 디스플레이 전면의 반사로 인해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방현(Anti-Glare)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현 필름은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해상도가 좋고 반사 방지 기능이 우수한 저 반사 방지 필름(Low Reflectance Film)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저 반사 방지 필름은 특히 노트북에 많이 적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반사 방지 필름은 방현 필름과 달리 표면에 요철이 없기 때문에 미세한 정전기에 의해 흡착된 이물로 인한 표면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전 방지 성능이 뛰어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 방지 효과가 우수한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정전기가 방지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정전기가 방지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된 그라펜(graphene)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및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저굴절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표면 저항이 5×1010Ω/sq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대전 방지 하드 코팅층은 경화 수지 조성물과 그라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라펜은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은 25℃에서 1.55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은 25℃에서 1.20 내지 1.4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저굴절 하드 코팅층과 중굴절 하드 코팅층 사이에 그라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이 구비되어 대전 방지 성능 및 반사 방지 성능이 탁월하다. 그에 따라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적용시 탁월한 정전기 방지 및 반사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1)와, 상기 투명 기재(1)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중굴절 하드 코팅층(2),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상에 형성된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 및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 상에 형성된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투명 기재(1)
상기 투명 기재(1)로서는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투명 기재(1)로는 예를 들면, 노르보넨이나 다환 노르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시한 투명 기재(1)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또는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투명 기재(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8~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40~100㎛이다.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가 8㎛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1000㎛ 초과이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중굴절 하드 코팅층(2)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은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는 광경화형 수지, 광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열가소성 수지 등, 도포 시에 고형분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를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피막이 되는 수지)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 광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플리폴리머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A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볼락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탄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또는 다관능 단량체, 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방향족 비닐에테르, 지방족 비닐에테르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 광경화형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구체적으로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조인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미힐러즈벤조일벤조에이트(Michler's benzoyl benzoate), α-아밀옥심(amyloxime)에스테르, 테트라메틸퓨란모노설피드,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증감제는 구체적으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 보다 많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과경화로 고분자 체인이 짧아져 중굴절 하드 코팅층(2)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 광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용제 건조형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 광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 도포면의 도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구체적으로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 용제, 점도 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메틸글리콜, 메틸글리콜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류; 포름산메틸, 초산메틸, 초산에틸, 젖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니트로메탄,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함질소 화합물;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옥솔란 등의 에테르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메틸술폭시드, 탄산프로필렌 등의 기타 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제로는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제는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용제는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8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이면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8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및 경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필요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코팅하여 경화시키면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코팅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또는 스핀코팅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한 후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1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30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이후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킨다. 광경화의 경우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 내지 10J/㎠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경화의 경우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1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의 두께는 0.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의 굴절률은 반사 방지 필름을 얻기 위한 광학설계로부터, 25℃에서의 굴절률이 1.50∼2.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1.8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중굴절 하드 코팅층(2) 위에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 및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2)의 25℃에서의 굴절률이 1.50보다 작으면 반사 방지성이 저하되고, 2.00보다 크면 반사광의 색감이 강해지는 단점이 있다.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은 중굴절 하드 코팅층(2) 상에 형성된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은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은 경화 수지 조성물과 대전 방지제로서 그라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중굴절 하드 코팅층(2) 형성에 사용되는 광경화형 수지, 광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열가소성 수지 등, 도포 시에 고형분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를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피막이 되는 수지)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중굴절 하드 코팅층(2) 형성에서 예시한 광경화형 수지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상기 경화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화형 수지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화성이 저하되거나 그라펜과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경화 수지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전술한 중굴절 하드 코팅층(2) 형성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용제를 사용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제는 경화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8.9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이면 그라펜의 분산에 문제가 있고, 98.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형분 함량이 낮아 원하는 코팅 두께의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을 형성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반사 방지 필름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 그라펜이 사용된다.
상기 그라펜(graphene)은 산화 흑연의 표면의 각 층들이 박리된 시트 형상의 흑연이다. 일반적으로 흑연 분말을 산화시켜 산화 흑연을 제조한 후, 산화 흑연을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가열하면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 흑연 표면의 수개의 층, 예를 들어 1 내지 5개의 층들이 각각 박리되어 시트 형상의 흑연이 되는데, 이것이 그라펜이다. 이러한 그라펜은 저가의 흑연으로부터 간단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특히 그라펜은 탄소 나노 튜브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저항 값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결정 방향성을 조절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그라펜은 복수개의 탄소 원자들이 서로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공유 결합된 탄소 원자들은 기본 반복 단위로서 6원환을 형성하며 SP2 결합의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고온 환경에서 방치한 후에도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라펜은 시트 형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빛의 반사 및 산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광 투과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형상의 그라펜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0.5㎚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0.1㎜,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인 것이 좋다. 상기 그라펜의 길이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전도성을 얻기 어려우며, 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광산란을 일으켜 광학용 필름에 적용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그라펜은 분산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헥산, 시클로헥사논, 톨루엔, 클로로포름, 증류수, 디클로로벤젠, 디메틸벤젠, 트리메틸벤젠, 피리딘, 메틸나프탈렌, 니트로메탄, 아크릴로니트릴, 옥타데실아민, 아닐린,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펜을 분산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분산법이나 볼 밀링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분산법은 그라펜의 함량 및 분산 용매의 량에 따라 진동수 20kHz 내지 50kHz 범위의 파워(power) 50 내지 700W인 초음파기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적용하면 분산 용매에 그라펜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그라펜을 분산 용매에 분산시 분산 안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안정제는 트리톤 엑스백(Triton X-100),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 폴리비닐알코올, 가넥스(Ganax), 전분, 단당류(monosaccharide), 다당류(polysaccharide),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dodecyl benzene sulfate),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NaDDBS), 도데실설폰산나트륨(sodium dodecylsulfonate, SDS), 4-비닐벤조산세실트리메틸암모늄(cetyltrimethylammounium 4-vinylbenzoate), 파이렌계 유도체(pyrene derivatives), 검 아라빅(Gum Arabic, GA), 나피온(nafion)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펜은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그라펜이 상기의 기준으로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고굴절률이면서 대전 방지 성능이 양호하게 발휘될 수 있다.
상기한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필요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전술한 중굴절 하드 코팅층(2)상에 코팅하여 경화시키면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은 25℃에서의 굴절률이 1.55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내지 2.00인 것이 좋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코팅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또는 스핀코팅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중굴절 하드 코팅층(2)상에 도포한 후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1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30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이후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킨다. 상기 열경화 또는 광경화는 전술한 중굴절 하드 코팅층(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의 두께는 80 내지 120nm가 바람직하고, 90 내지 105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이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 및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의 형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표면 저항이 5×1010Ω/sq이하가 된다.
저굴절 하드 코팅층(4)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은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은 굴절률이 25℃에서 1.20 내지 1.49,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4의 굴절률을 가진다.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은 상기한 범위의 굴절률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은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 공극을 갖는 미립자,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상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은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불소 함유 비율이 60~70%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소 함유 비율이 62~70%,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소 함유 비율이 64~68%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의 불소 함유 비율을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용제에 대해서 양호한 용해성을 가지며, 다양한 기재에 대해서 뛰어난 밀착성을 가진다. 특히 상기 범위 내의 불소 함유 비율을 갖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높은 투명성과 낮은 굴절률을 가짐과 함께 충분히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박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박막이 형성된 표면의 내스크래치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어 매우 적합하다.
상기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기준으로 10 내지 90중량부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는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굴절률을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란 미립자의 내부에 기체가 충전된 구조 및/또는 기체를 포함하는 다공질 구조체로서, 미립자 본래의 굴절률에 비해 미립자중의 기체의 점유율에 반비례해서 굴절률이 저하하는 미립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립자의 형태, 구조, 응집 상태, 도포막 내부에서의 미립자의 분산 상태에 의해, 내부, 및/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노포러스 구조의 형성이 가능한 미립자도 포함된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그 자신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의 강도가 향상되고 아울러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의 굴절률을 1.20~1.49 정도의 범위 내로 조절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는 구체적으로 충전용 컬럼 및 표면의 다공질부에 각종 화학 물질을 흡착시키는 제방재(除放材), 촉매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다공질 미립자 또는 단열재나 저유전재에 편입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공 미립자의 분산체나 응집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일군촉매화학 제품인 상품명 ELECON중공 실리카 입자, 일본 실리카 공업 주식회사 제품인 상품명 닙실(Nipsil)이나 닙젤(Nipgel) 중에서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의 집합체, 닛산화학 공업(주) 제품인 실리카 미립자가 사슬 형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콜로이달 실리카 UP 시리즈(상품명)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5nm~300nm이며, 바람직하게는 8nm~100n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0nm~80nm이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에 뛰어난 투명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는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을 갖는 미립자가 상기의 기준으로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의 굴절률 조절이 가능하고, 반사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용제 및 개시제는 전술한 중굴절층 형성용 하드 코팅 조성물에서 예시한 광중합 개시제와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제 및 개시제는 전술한 하드 코팅 조성물에서 제시한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의 함량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3)상에 코팅하면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코팅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또는 스핀코팅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한 후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1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30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이후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 내지 10J/㎠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의 두께는 80 내지 120nm가 바람직하고, 90 내지 105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4)이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표면 저항이 5×1010Ω/sq 이하로 뛰어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반사율이 0.6% 이하로 매우 뛰어난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반사 방지를 필요로 하는 물품, 특히 이하에 언급되는 편광판이나 각종의 표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편광판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편광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편광판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판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5~80㎛ 정도이다.
상기 편광판의 투과율은, 파장 550nm의 빛에 있어서, 30~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5~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도는, 파장 550nm의 빛에 있어서, 9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은 각종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Twisted Nematic(TN), Super Twisted Nematic(STN), Vertical Alignment(VA), In-Plane Switching(IPS) 또는 Opically Compensated Bend Cell(OCB) 등의 모드의 투과형,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시판되는 휘도 향상 필름(편광 선택층을 갖는 편광 분리 필름, 예를 들면, 스미토모 3M(주) 제조의 D-BEF 등)과 함께 투과형 또는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될 때, 그 표시 장치는 더 큰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투과형, 반사형, 및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셀의 전면에 공기를 통하여 아크릴 판 등의 전면판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액정 셀 표면측의 편광판 뿐만 아니라, 전면판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점착제 등으로 반사 방지 필름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렇게 함으로써 전면판과 액정 셀 사이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이 λ/4 필름과 결합된다면,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의 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용 표면 보호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방지 필름이 PET, PEN 등의 투명 기재상에 형성된다면, PDA, 휴대 전화의 표면 보호판, 터치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이나 음극관 표시 장치(CRT)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미원상사제) 21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일본합성사제) 9중량부, 광경화 개시제로 이가큐어184(시바사제) 2중량부, 광경화 개시제로 이가큐어 907(시바 사제) 0.5중량부 및 실리콘계 레벨링제 BYK378(BYK사제) 0.5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시클로헥사논이 8:2인 용제를 전체 고형분이 4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하고 이를 공경 3㎛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25℃에서의 굴절률 1.51인 중굴절층 형성용 하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2]
그라펜(가로, 세로 각각 10㎚) 5중량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0중량부, 시클로헥산 32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한 후 3㎛의 포어 크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25℃에서의 굴절률이 1.78인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유기 대전 방지제로 1-메틸-3-부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르보론(알드리치사) 1중량부, 고굴절 무기입자(촉매화성사, 지르코니아졸, 고형분농도 20 중량%, 사이즈:20nm, 굴절률 1.9) 2중량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0중량부, 시클로헥산 32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한 후 3㎛의 포어 크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25℃에서의 굴절률이 1.59인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무기 대전 방지제로 안티몬틴옥사이드(촉매화성사, 고형분농도 10 중량%, 사이즈: 30nm) 5중량부, 고굴절 무기입자(촉매화성사, 지르코니아졸, 고형분농도 20 중량%, 사이즈: 20nm, 굴절률 1.9) 2중량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0중량부, 시클로헥산 32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한 후 3㎛의 포어 크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25℃에서의 굴절률이 1.60인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저굴절층 형성용 하드 코팅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5]
시판되는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인 중공실리카 함유 UV코팅액(MB1030: 촉매화성사제: 고형분 농도 5 중량% 이며, 고형분 중 중공실리카 약 3 중량% 함유,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함유) 10중량부에, 이소프로판올 5중량부와 에틸아세테이트 3중량부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3㎛의 포어 크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굴절률이 25℃에서의 1.35인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시판되는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인 중공실리카 함유 UV코팅액(MB1030: 촉매화성사제: 고형분 농도 5중량%이며, 고형분 중 중공실리카 약 6 중량% 함유, 불소 함유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함유) 10중량부에, 이소프로판올 5중량부와 에틸아세테이트 3중량부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3㎛의 포어 크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25℃에서의 굴절률이 1.30인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80㎛ 두께의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투명 기재에 그라비어 코팅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 에서 1 분 동안 건조시키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두께가 4㎛인 중굴절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상기 제조예 2, 3 또는 4에서 제조한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그라비어 코팅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에서 1 분 동안 건조시키고 UV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두께가 100nm인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상기 제조예 5 또는 6에서 제조한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그라비어 코팅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에서 1 분 동안 건조시키고 UV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두께가 90nm인 저굴절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및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중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저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실시예 1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5
실시예 2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6
비교예 1 제조예 1 제조예 3 제조예5
비교예 2 제조예 1 제조예 3 제조예6
비교예 3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5
비교예 4 제조예 1 제조예 4 제조예6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반사 방지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내스크래치성
스틸울테스트기(WT-LCM100, 한국 프로텍 사제)를 이용하여 1kg/(2cm x 2cm) 하에서 10회 왕복운동시켜 내스크래치성을 시험하였다. 스틸울은 #0000을 사용하였다.
A: 스크래치가 0개
A': 스크래치가 1~10개
B: 스크래치가 11~20개
C: 스크래치가 21~30개
D: 스크래치가 31개 이상
(2) 밀착성
필름의 도포된 면에 1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각각 11개의 직선을 그어 100개의 정사각형을 만든 후, 테이프(CT-24, 일본 니치방 사제)을 이용하여 3회 박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00개의 사각형 3개를 테스트하여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밀착성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밀착성 = n / 100
n: 전체 사각형 중 박리되지 않는 사각형 수
100: 전체 사각형의 개수
따라서 하나도 박리되지 않았을 시 100 / 100으로 기록하였다.
(3) 대전 방지성(표면 저항률)
Hiresta의 MCP-HT450을 사용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4) 표면 반사율
분광 광도계 UV2450(시마주사) 에 어댑터 MPC2200를 장착하여, 380 내지 780nm의 파장 영역에서 입사각 5°에서의 출사각 5°대한 경면 반사율을 측정하고, 450 내지 650nm의 평균 반사율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내스크래치성 A A A A A A
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대전 방지성(Ω/sq) 107 107 1013 1013 1011 1011
표면 반사율(%) 0.41 0.43 0.69 0.76 0.68 0.6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라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이 포함된 실시예 1, 2의 경우 대전 방지제로 그라펜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에 비하여 표면 저항이 5×1010Ω/sq 이하로서 대전 방지 성능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표면 반사율이 0.6% 이하로 매우 낮아 반사 방지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투명 기재 2: 중굴절 하드 코팅층
3: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4: 저굴절 하드 코팅층

Claims (6)

  1.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기 중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된 그라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및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 상에 형성된 저굴절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표면 저항이 5×1010Ω/sq 이하이고,
    상기 그라펜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5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하드 코팅층은 경화 수지 조성물과 그라펜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라펜은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중량부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고굴절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이 25℃에서 1.55 내지 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은 25℃에서 1.20 내지 1.4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 필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반사 방지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의 반사 방지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00023681A 2010-03-17 2010-03-17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65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681A KR101656103B1 (ko) 2010-03-17 2010-03-17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681A KR101656103B1 (ko) 2010-03-17 2010-03-17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664A KR20110104664A (ko) 2011-09-23
KR101656103B1 true KR101656103B1 (ko) 2016-09-08

Family

ID=4495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681A KR101656103B1 (ko) 2010-03-17 2010-03-17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4434A (ja) * 2012-04-03 2013-10-17 Sony Corp 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積層構造体および電子機器
JP5922008B2 (ja) * 2012-11-30 2016-05-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透明積層体、それらの製造方法、静電容量型入力装置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62B1 (ko) * 2005-04-12 2012-08-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JP5271575B2 (ja) * 2007-03-20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948904B1 (ko) * 2007-12-28 2010-03-24 제일모직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664A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1575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531600B (zh) Optical continuum
JP5783182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575124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20220236467A1 (en) Polarization plate for folding display
KR102296559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KR20150061591A (ko) 편광판 보호 필름,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550806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この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を備え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563356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173768B2 (ja) 赤外線遮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41556A (ja)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組成物、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60209565A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057640A1 (ja)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タッチ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3064821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1055624A1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2026192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725995B1 (ko) 반사방지 필름, 그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656103B1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2241194A (ja) 水系型導電性高分子分散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帯電防止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帯電防止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3105178A (ja) 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KR20070105869A (ko) 대전방지성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8181070A1 (ja) 帯電防止フィルム、偏光板、タッチ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90073619A (ko) 대전방지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방현필름
KR20110024984A (ko)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