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199B1 -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199B1
KR101655199B1 KR1020150028523A KR20150028523A KR101655199B1 KR 101655199 B1 KR101655199 B1 KR 101655199B1 KR 1020150028523 A KR1020150028523 A KR 1020150028523A KR 20150028523 A KR20150028523 A KR 20150028523A KR 101655199 B1 KR101655199 B1 KR 101655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ir
zone
pressure ratio
ratio a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180A (ko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199B1/ko
Priority to US14/839,313 priority patent/US10179497B2/en
Priority to DE102015115075.1A priority patent/DE102015115075B4/de
Priority to CN201510673009.3A priority patent/CN105922838B/zh
Publication of KR2016010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199B1/ko
Priority to US16/210,204 priority patent/US1109100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2Cabins with living accommodation, especially for long distance road vehicles, i.e. sleeping, cooking, or other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요구되는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패드; 그리고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패드에 공급하도록 된 풍량제어장치; 를 포함하되,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패드의 적어도 일부 구역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풍 베드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는 통풍 베드로부터 냉난방된 공기의 공급 위치를 기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요구를 충족하게 하는 공기 조절이 가능하며 쾌적한 환경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VENTILATION BED AND CONTROLING METHOD OF A VEHICLE}
본 발명은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운전자의 안락한 휴식 또는 수면을 보조하도록 된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트럭은 장거리 화물 운송에 이용되고 있어서, 장거리 운행 중의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하기 위한 별도의 휴식 공간으로 베드 룸이 제공된다. 베드 룸에는 트럭용 베드가 설치되고, 운전자는 이 트럭용 베드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장거리 화물 운송에 있어서, 휴식 또는 수면은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휴식 또는 수면의 질을 향상하도록 하기 위하여, 베드 룸의 편안한 환경 조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운전자가 트럭용 베드에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에 베드 룸의 쾌적한 실내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차량의 시동을 작동하여 주공조 시스템을 가동하거나 무시동 상태에서 에어컨 또는 히터에 의하여 캡 내부의 공기를 냉각 또는 난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트럭의 캡 내부의 전체 공기를 냉 난방할 수 밖에 없어 운전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는 베드 룸 외에 불필요한 공간까지 냉난방하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 손실이 상당하며 효과적인 냉난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운전자가 수면을 취하고자 할 경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림막 커튼을 치게 되는데, 에어컨 또는 히터로부터 냉난방된 공기가 이 가림막 커튼에 막히게 되어 효과적인 공기 순환이 곤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트럭용 베드를 이용하는 운전자는 수면을 취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가림막 커튼을 개방하여 베드 룸의 온도 조절을 한 이후에 다시 가림막 커튼을 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누워있는 자세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 냉난방 공기를 운전자에게 공급하도록 된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는 요구되는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패드; 그리고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패드에 공급하도록 된 풍량제어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패드의 적어도 일부 구역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적어도 일부 구역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의 각 구역에는 상기 풍량제어장치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통풍홀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홀은 상기 패드의 모서리에 거의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풍홀의 방향은 상기 패드의 중앙을 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시스템은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풍 베드는 그물망 형태의 직물로 구성되며, 상기 패드의 상부에 장착되는 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풍 베드는 상기 풍량제어장치는 상부 덮개; 측면에 복수 개의 아웃렛이 형성되며,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덮개; 상기 복수 개의 아웃렛과 상기 패드의 복수 개의 구역을 각각 연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아웃렛으로부터 공기를 상기 복수 개의 구역으로 각각 안내하는 통풍 덕트;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복수 개의 송풍구가 형성되며,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송풍구와 상기 아웃렛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양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부; 그리고 상기 풍량조절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부는 기본 모드와 복수 개의 집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가 기본 모드로 선택될 경우, 상기 패드의 전체 구역에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상기 패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 어느 하나의 집중 모드로 선택될 경우, 해당 패드에 설정된 온도의 공기가 더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량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부는 자동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선택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이 큰 구역에 설정된 온도의 공기가 더 공급되도록 상기 풍량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공기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패드의 일구역에 요구되는 양만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풍량제어장치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적어도 일부 구역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풍량제어장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배출되는 공기 양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부를 포함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설정될 경우, 상기 패드의 각각의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패드에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패드에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패드에 가해진 압력 및 상기 패드의 구획된 복수 개의 구역의 상대적인 제어부가 압력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구역의 상대적인 압력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량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구역에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A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 B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중앙 후방에 위치하는 C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중앙 전방에 위치하는 D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E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F구역 패드부; 로 구획되며, 상기 C구역 패드부와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1설정값보다 작거나, 상기 A구역 패드부와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2설정값보다 작거나, 상기 E구역 패드부와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3설정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본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모드에서는 A, C, E구역 패드부와 B, D, F구역 패드부에는 각각 동등한 양의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인 경우라 판단되면, 제1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드에서는 A, C,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B, D,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 이상인 경우라 판단되면, 제2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모드에서는 B,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A,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3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모드에서는 A,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B,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4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4모드에서는 B, D,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A, C,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보다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5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5모드에서는 A,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B,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6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6모드에서는 B,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A,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트럭의 캡 전체 공기를 냉각하거나 데우지 않고 운전자가 휴식을 취하는 통풍 베드에 국소적인 냉난방이 가능하여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풍 베드로부터 운전자에게 직접적으로 냉난방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수면 또는 휴식에 적합한 온도 환경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가림막 커튼을 치더라도 운전자는 냉난방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 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는 통풍 베드로부터 냉난방된 공기의 공급 위치를 기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요구를 충족하게 하는 공기 조절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운전자의 누워 있는 자세에 따라서 자동으로 냉난방된 공기의 공급 위치를 조절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보다 편리하게 쾌적한 환경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가 설치된 트럭 캡의 투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가 장착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4작동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5작동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20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공기가 공급되는 각 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운전자석에 가까운 쪽을 "전방", "전면"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운전자석에서 먼 쪽은 "후방", "후면"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또한, 차량의 폭방향으로 도면의 왼쪽을 "좌측", "좌방"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그 반대 방향은 "우측", "우방"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또한,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차량의 천장에 가까운 쪽을 "상방", "상측"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천장에서 먼 쪽은 "하방", "하측"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또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가 설치된 트럭 캡의 투영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량제어장치가 장착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량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량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 캡(1)은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트럭 캡(1)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된 공조 시스템(5)과, 보조 공조 시스템(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된 공조 시스템(5)은 엔진의 시동이 걸렸을 때에 작동하게 되고, 트럭 캡(1) 내부의 냉각 또는 난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 공조 시스템(6)은 보조 에어컨(7)과 상기 보조 히터(8)를 포함할 수 있고,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무시동 상태에서 트럭 캡(1) 내부를 냉난방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트럭 캡(1)의 내측에는 운전자가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인 베드 룸(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룸(2)은 베드 룸(2)의 후면을 구성하는 백패널(16)과, 상기 백패널(16)의 전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종방향 연장 패널(18)과, 그리고 상기 종방향 연장 패널(18)에 장착되어 대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통풍 베드(100)를 포함한다.
상기 통풍 베드(100)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100)는 패드(10), 블로워(17), 풍량제어장치(50), 그리고 제어부(200;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10)는 운전자가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편평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드(10)의 상부에는 통기성이 우수한 직물로 구성된 메쉬(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15)는 패드(1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자연스럽게 섞어서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는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패드(10)는 A, B, C, D, E, F구역 패드부(A, B, C, D, E, F)으로 구획될 수 있다. A구역 패드부(A)는 패드(10)의 길이방향 우측 폭방향 후방에 위치하고, B구역 패드부(B)는 우측 전방에 위치하며, C구역 패드부(C)는 중앙 후방에 위치하고, D구역 패드부(D)는 중앙 전방에 위하며, E구역 패드부(E)는 좌측 후방에 위치하고, F구역 패드부(F)는 좌측 전방에 위치한다.
각각의 구역 패드부(A, B, C, D, E, F)에는 압력 감지 센서(1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150)가 압력을 감지하면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또한, 각각의 패드부(A, B, C, D, E, F)에는 운전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통풍홀(80)이 형성된다. 즉, A구역 패드부(A)에는 제1통풍홀(81), B구역 패드부(B)에는 제2통풍홀(82), C구역 패드부(C)에는 제3통풍홀(83), D구역 패드부(D)에는 제4통풍홀(84), E구역 패드부(E)에는 제5통풍홀(85), F구역 패드부(F)에는 제6통풍홀(8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3, 5통풍홀(81, 83, 85)은 예를 들어, 패드(10)의 후단부에 가깝게 형성되고, 제2, 4, 6통풍홀(82, 84, 86)은 패드(10)의 전단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각각의 통풍홀(81, 82, 83, 84, 85, 86)을 패드(10)의 가장자리에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자가 패드(10)에 누워있을 경우 이물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통풍홀(81, 82, 83, 84, 85. 86)의 출구가 향한 방향은, 예를 들어, 도 7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패드(1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풍홀(8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패드(10)에 누워있는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17)는 상기 주된 공조 시스템(5) 또는 상기 보조 공조 시스템(6)으로부터 공급 받은 냉난방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풍량제어장치(50)로 공급한다.
상기 풍량제어장치(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7)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패드(10)의 각각의 구역 패드부(A, B, C, D, E, F)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풍량제어장치(50)는 상부 덮개(40), 하부 덮개(60), 통풍 덕트(30), 모터(55), 그리고 풍량조절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덮개(40)는 풍량제어장치(5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 덮개(40)에는 패드(10)의 구획된 구역에 따라, A구역 패드부(A)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 돌출윙(41), 제2상부 돌출윙(42)과, D구역 패드부(D)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상부 돌출윙(43), 제4상부 돌출윙(44)과, E구역 패드부(E)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상부 돌출윙(45), 제6상부 돌출윙(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덮개(60)는 대체적으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덮개(40)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 덮개(60)의 하면에는 유입홀(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홀(67)을 통하여 블로워(17)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하부 덮개(60)에는 패드(10)의 구획된 구역에 따라, A구역 패드부(A)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돌출덮개(61), 제2하부 돌출덮개(62)와, D구역 패드부(D)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하부 돌출덮개(63), 제4하부 돌출덮개(64)와, E구역 패드부(E)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하부 돌출덮개(65), 제6하부 돌출덮개(66)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2, 3, 4, 5, 6상부 돌출윙(41, 42, 43, 44, 45, 46)과 각각 결합한다.
각각의 상부 돌출윙(41, 42, 43, 44, 45, 46)과 하부 돌출덮개(61, 62, 63, 64, 65, 66)는 서로 결합되어 통풍 덕트(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60)의 측면에서 상부 돌출윙(41, 42, 43, 44, 45, 46)과 하부 돌출덮개(61, 62, 63, 64, 65, 66)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개구된 복수 개의 아웃렛(91, 92, 93)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를 통풍덕트(30)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풍 덕트(30)는 블로워(17)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패드(10)로 전달할 수 있다. 통풍 덕트(30)는 제1통풍 덕트(31), 제2통풍 덕트(32), 제3통풍 덕트(33), 제4통풍 덕트(34), 제5통풍 덕트(35), 제6통풍 덕트(36)를 포함한다. 각각의 통풍 덕트(31, 32, 33, 34, 35, 36)의 일단은 적절하게는 직사각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각각의 상부 돌출윙(41, 42, 43, 44, 45, 46)과 각각의 하부 돌출덮개(61, 62, 63, 64, 65, 66)를 감싸면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통풍 덕트(31, 32, 33, 34, 35, 36)의 타단은 각각의 구역 패드부(A, B, C, D, E, F)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풍 덕트(30)에 공급된 공기는 각각의 구역 패드부(A, B, C, D, E, F)에 형성된 통풍홀(80)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모터(55)는 상부 덮개(40)의 상면에 장착되고,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모터(55)의 하면에는 연동 부재(57)가 상부 덮개(40)의 일부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모터(55)가 작동하게 되면 모터(55)와 연결된 연동 부재(57)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연동 부재(57)에 연결된 풍량조절부(70)는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풍량조절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덮개(50)와 하부 덮개(6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풍량조절부(70)는 연동부재(57)에 결합되어 있으며, 연동부재(5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부 덮개(50)와, 하부 덮개(6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부(7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개구된 형상의 송풍구(71)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송풍구(71)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송풍구(71a), 제2송풍구(71b), 제3송풍구(71c), 제4송풍구(71d), 제5송풍구(71e), 그리고 제6송풍구(71f)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송풍구(71)는 풍량조절부(7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풍량조절부(70)가 회전할 때, 각각의 송풍구(71a, 71b, 71c, 71d, 71e, 71f)와 각각의 통풍 덕트(31, 32, 33, 34, 35, 36)의 위치가 겹치게 되면, 상기 유입홀(67)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송풍구(71)를 통하여 통풍 덕트(30)에 전달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1작동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2작동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3작동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4작동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베드에 적용되는 풍량제어장치의 제5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량제어장치(50)의 작동에 관하여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량조절부(7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이하 "기본 모드"라 한다.)에서는 제1송풍구(71a)는 제1통풍 덕트(31)와 제2통풍 덕트(3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3송풍구(71c)는 제3통풍 덕트(33)와 제4통풍 덕트(34)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5송풍구(71e)는 제5통풍 덕트(35)와 제6통풍 덕트(36)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3송풍구(71a, 71c)의 폭은 제1퉁풍 덕트(31)의 후면과 제2통풍 덕트(32)의 전면 사이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고, 제2송풍구(71b)의 폭은 제3통풍 덕트(33)의 우면과 제4통풍 덕트(34)의 좌면 사이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풍량제어장치(50)로 유입된 공기는 제1, 2, 5, 6통풍 덕트(31, 32, 35, 36) 방향으로는 제한적으로 배출되고, 제3, 4통풍 덕트(33, 34)로는 충분히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2, 5, 6통풍 덕트(31, 32, 35, 36)에는 제3, 4통풍 덕트(33, 34)보다 더 적은 공기가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 제1, 2, 5, 6통풍 덕트(31, 32, 35, 36)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제3, 4통풍 덕트(33, 34)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보다 적게 된다. 따라서, 제1, 2, 5, 6통풍 덕트(31, 32, 35, 36)와 연결된 A, B, E, F구역 패드부(A, B, E, F)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제3, 4통풍 덕트(33, 34)와 연결된 C, D구역 패드부(C, D)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보다 적게 된다. 따라서, 기본 모드에서 운전자가 패드(10)의 중앙에 누워 있을 경우,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는 A, B구역 패드부(A, B)와 다리 부분이 위치하는 E, F구역 패드부(E, F)에서는 몸통 부분이 위치하는 C, D구역 패드부(C, D)보다는 적게 공기가 공급되어 운전자가 체감하는 쾌적도를 향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송풍구(71a)는 제1통풍 덕트(31), 제2통풍 덕트(32)와의 각각 겹치는 부분이 동일하므로, 제1통풍 덕트(31) 및 제2통풍 덕트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도 서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A구역 패드부(A)와 B구역 패드부(B)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서로 같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C, E구역 패드부(C, E)와 D, F구역 패드부(D, F)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도 서로 같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패드(10)의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동등한 양의 냉난방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기본 모드에서는 전체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 중에 제1, 2, 5, 6통풍 덕트(31, 32, 35, 36)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이 각각 15퍼센트가 되고, 제3, 4통풍 덕트(33, 34)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이 각각 20퍼센트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통풍 덕트(31, 32, 33, 34, 35, 36)에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은 송풍구(71)의 크기와 비례하는 것으로, 이 송풍구(71)의 크기는 당업자에 의하여 자유로이 설정하여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 풍량조절부(70)가 시계 방향으로 제1설정된 각도(a1)만큼 이동한 상태(이하 "전방 집중 모드"라 한다.)에서는 제1, 5통풍 덕트(31, 35)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더 적어지고, 제2, 3, 4, 6통풍 덕트(32, 33, 34, 36)로는 충분한 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2, 3, 4, 6통풍 덕트(32, 33, 34, 36)와 연결되는 B, C, D, F구역 패드부(B, C, D, F)에는 다른 구역의 패드부(A, E)보다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패드(10)의 전방에 누워 있을 경우, 전방 집중 모드를 가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패드(B, D, F)로부터 냉난방된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 풍량조절부(70)가 반시계 방향으로 제2설정된 각도(a2)만큼 이동한 상태(이하 "후방 집중 모드"라 한다.)에서는 제2, 6통풍 덕트(32, 36)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더 적어지고, 제1, 3, 4, 5통풍 덕트(31, 33, 34, 35)로는 충분한 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 3, 4, 5통풍 덕트(31, 33, 34, 35)와 연결되는 A, C, D, E구역 패드부(A, C, D, E)에는 다른 구역의 패드부(B, F)보다 더 많은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패드(10)의 후방에 누워 있을 경우, 후방 집중 모드를 가동하여 후방에 위치한 패드(A, C, E)로부터 냉난방된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 풍량조절부(70)가 반시계 방향으로 제3설정된 각도(a3)만큼 이동한 상태(이하 "우측 집중 모드"라 한다.)에서는 제5, 6통풍 덕트(35, 36)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더 적어지고, 제1, 2, 3, 4통풍 덕트(31, 32, 33, 34)로는 충분한 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 2, 3, 4통풍 덕트(31, 32, 33, 34)와 연결되는 A, B, C, D구역 패드부(A, B, C, D)에는 다른 구역의 패드부(E, F)보다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우측 집중 모드에서는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우측에 위치하도록 누워 있을 때, 냉난방된 충분한 양의 공기를 머리 부분에 집중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 풍량조절부(70)가 시계 방향으로 제4설정된 각도(a4)만큼 이동한 상태(이하 "좌측 집중 모드"라 한다.)에서는 제1, 2통풍 덕트(31, 32)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더 적어지고, 제3, 4, 5, 6통풍 덕트(33, 34, 35, 36)로는 충분한 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3, 4, 5, 6통풍 덕트(33, 34, 35, 36)와 연결되는 C, D, E, F구역 패드부(C, D, E, F)에는 다른 구역의 패드부(A, B)보다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좌측 집중 모드에서는 운전자의 다리 부분이 좌측에 위치하도록 누워 있을 때, 냉난방된 충분한 양의 공기를 다리 부분에 집중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5)의 회전을 제어하며, 모터와 연결된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60)는 자동차의 전자장치들의 제어를 총괄하는 통상의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제어부(200)에는 앞서 설명한 각각의 모드를 필요에 따라 단계적 또는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통풍 베드(100)의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300)를 조작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언급되지 않은 모드라 하더라도 추가적으로 설정하거나 기존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위치(300)로 통풍베드(100)의 각각의 모드를 직접 선택하지 아니하고,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상태(이하 "자동 모드"라 한다.)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압력 감지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받아 자동적으로 통풍 베드(100)를 제어하게 되는데, 통풍 베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4 내지 도 20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의 공기가 공급되는 각 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양의 공기가 공급되는 패드(10)의 부분에는 사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100)를 제어하는 방법은 패드(10)에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압력 감지 센서(150)에서 판단함으로써 시작된다(S10). 압력 감지 센서(150)는 잦은 모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마다 작동하게 되어 있다. 적절하게는, 30분 마다 작동하게 된다.
S10 단계에서 패드(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풍 베드(1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종료된다(S200).
S10 단계에서 패드(10)에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압력 감지 센서(150)는 각 구역 패드부(A, B, C, D, E, F)의 압력값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00)에 전달한다(S20). 제어부(200)에서는 각 구역 패드부(A, B, C, D, E, F)의 압력값에 따른 상대적인 압력비에 따라, 풍량조절부(70)의 회전각도를 정하게 된다. 압력비는 전체 패드(10)에서 발생하는 압력 크기를 100으로 두었을 때에, 각 구역 패드부(A, B, C, D, E, F)에서 발생하는 압력 크기의 비율을 의미한다.
압력비가 정해지면, C구역 압력비와 D구역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하 "RC"라 한다.)이 제1설정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RC가 제1설정값보다 작은 경우라고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기본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00). 기본 모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구역 패드부(A, B, C, D, E, F)에 공기가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 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누워 있을 때 몸통이 위치한 C, D구역 패드부(C, D)는 머리와 다리가 위치한 A, B, E, F구역 패드부(A, B, E, F)보다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되는 한편, 패드(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동등한 양의 냉난방된 공기가 공급된다.
만일 RC가 제1설정값보다 큰 경우라고 판단되면, A구역 압력비와 D구역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하 "RA"라 한다.)과 제2설정값을 비교한다(S40). S40 단계에서 RA가 제2설정값보다 작은 경우라고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기본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00).
만일 RA가 제2설정값보다 큰 경우라고 판단되면, E구역 압력비와 F구역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하 "RE"라 한다.)과 제3설정값을 비교한다(S50). RE가 제3설정값보다 작은 경우라고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기본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00).
S30 단계, S40 단계, S50 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누웠을 때에 패드(10)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의 압력비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경우로, 운전자가 대체적으로 패드(10)의 중심부에 누워있다고 보고 기본 모드에 따라 패드(10)의 전역에서 냉난방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만일, RE가 제3설정값보다 큰 경우라고 판단되면, RC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만일, RC가 양수인 경우에는 RE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그리고, RE가 양수인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제1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10).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하여, A, C, E구역 패드부(A, C, E)에 공급되는 공기가 B, D, F구역 패드부(B, D, F)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제1 모드에서는 기본 모드와 같이, A, E구역 패드부(A, E)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C구역 패드부(C)에 공급되는 공기가 많도록 설정할 수 있고, B, D, F구역 패드부(B, D, F)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1 모드는 운전자가 패드(10)의 후방부에 누워있을 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S70 단계에서, RE가 양수가 아닌 경우에는 RA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5). 만일 RA가 양수가 아닌 경우,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제2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20).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는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하여, B, C, F구역 패드부(B, C, F)에 공급되는 공기가 A, D, E구역 패드부(A, D, E)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제2 모드에서는 기본 모드와 같이, B, F구역 패드부(B, F)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C구역 패드부(C)에 공급되는 공기가 많도록 설정할 수 있고, A, D, E구역 패드부(A, D, E)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모드는 운전자가 패드(10)의 우측 부분에 머리를 두고 누워 있다고 가정할 경우,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이 패드(10)의 전방에 위치하고 몸통 부분이 후방에 위치할 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S75 단계에서, RA가 양수인 경우,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제3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3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드에서는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하여, A, C, F구역 패드부(A, C, F)에 공급되는 공기가 B, D, E구역 패드부(B, D, E)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제3 모드에서는 기본 모드와 같이, A, F구역 패드부(A, F)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C구역 패드부(C)에 공급되는 공기가 많도록 설정할 수 있고, B, D, E구역 패드부(B, D, E)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3 모드는 운전자가 패드(10)의 우측 부분에 머리를 두고 누워 있다고 가정할 경우,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이 패드(10)의 후방에 위치하고 다리 부분이 전방에 위치할 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S60 단계에서, RC가 양수가 아닌 경우 RE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0).
만일, RE가 양수가 아닌 경우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제4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40).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모드에서는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하여, B, D, F구역 패드부(B, D, F)에 공급되는 공기가 A, C, E구역 패드부(A, C, E)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제4 모드에서는 기본 모드와 같이, B, F구역 패드부(B, F)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D구역 패드부(D)에 공급되는 공기가 많도록 설정할 수 있고, A, C, E구역 패드부(A, C, E)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4 모드는 운전자가 패드(10)의 전방부에 누워있을 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S80 단계에서, RE가 양수인 경우, RA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5). 만일 RA가 양수인 경우,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제5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50).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모드에서는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하여, A, D, E구역 패드부(A, D, E)에 공급되는 공기가 B, C, F구역 패드부(B, C, F)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제5 모드에서는 기본 모드와 같이, A, E구역 패드부(A, E)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D구역 패드부(D)에 공급되는 공기가 많도록 설정할 수 있고, B, C, F구역 패드부(B, C, F)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5 모드는 운전자가 패드(10)의 우측부에 머리를 두고 누워 있다고 가정할 경우,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이 패드(10)의 후방에 위치하고 몸통 부분이 전방에 위치할 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S85 단계에서, RA가 양수가 아닌 경우, 제어부(200)는 풍량조절부(70)를 제6 모드에 따라 제어한다(S160).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모드에서는 풍량조절부(70)를 회전하여, B, D, E구역 패드부(B, D, E)에 공급되는 공기가 A, C, F구역 패드부(A, C, F)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제6 모드에서는 기본 모드와 같이, B, E구역 패드부(B, E)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D구역 패드부(D)에 공급되는 공기가 많도록 설정할 수 있고, A, C, F구역 패드부(A, C, F)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6 모드는 운전자가 패드(10)의 우측부에 머리를 두고 누워 있다고 가정할 경우,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이 패드(10)의 전방에 위치하고 다리 부분이 후방에 위치할 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량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방법은 패드(10)에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중에는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9)

  1. 요구되는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패드; 그리고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공기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패드에 공급하도록 된 풍량제어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풍량제어장치는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가 형성된 풍량조절부;
    상기 송풍구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연통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배출시키는 복수 개의 아웃렛;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아웃렛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구역으로 공기를 각각 안내하는 통풍 덕트;
    를 포함하되,
    상기 풍량제어장치는 상기 풍량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풍량조절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송풍구와 상기 아웃렛 사이의 겹쳐지는 면적에 의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고,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통풍 덕트를 따라 상기 패드의 적어도 일부 구역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적어도 일부 구역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통풍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각 구역에는
    상기 풍량제어장치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통풍홀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풍 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은 상기 패드의 모서리에 거의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의 방향은
    상기 패드의 중앙을 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시스템은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7. 제3항에 있어서,
    그물망 형태의 직물로 구성되며, 상기 패드의 상부에 장착되는 메쉬를 더 포함하는 통풍 베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제어장치는
    상부 덮개;
    측면에 복수 개의 아웃렛이 형성되며,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덮개;
    상기 복수 개의 아웃렛과 상기 패드의 복수 개의 구역을 각각 연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아웃렛으로부터 공기를 상기 복수 개의 구역으로 각각 안내하는 통풍 덕트;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복수 개의 송풍구가 형성되며,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송풍구와 상기 아웃렛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양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부; 그리고
    상기 풍량조절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통풍 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부는 기본 모드와 복수 개의 집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가 기본 모드로 선택될 경우, 상기 패드의 전체 구역에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상기 패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어느 하나의 집중 모드로 선택될 경우,
    해당 패드에
    설정된 온도의 공기가 더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량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부는 자동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선택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이 큰 구역에 설정된 온도의 공기가 더 공급되도록 상기 풍량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
  12.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공기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패드의 일부 구역에 요구되는 양만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풍량제어장치와, 상기 복수 개의 구역 중 적어도 일부 구역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풍량제어장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배출되는 공기 양을 조절하는 풍량조절부를 포함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풍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설정될 경우, 상기 패드의 각각의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패드에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패드에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패드에 가해진 압력 및 상기 패드의 구획된 복수 개의 구역의 상대적인 제어부가 압력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구역의 상대적인 압력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풍량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구역에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A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 B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중앙 후방에 위치하는 C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중앙 전방에 위치하는 D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E구역 패드부;
    상기 패드의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F구역 패드부;
    로 구획되며,
    상기 C구역 패드부와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1설정값보다 작거나,
    상기 A구역 패드부와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2설정값보다 작거나,
    상기 E구역 패드부와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3설정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본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모드에서는
    A, C, E구역 패드부와 B, D, F구역 패드부에는 각각 동등한 양의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인 경우라 판단되면,
    제1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드에서는
    A, C,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B, D,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 이상인 경우라 판단되면,
    제2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모드에서는
    B,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A,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3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3모드에서는
    A,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B,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4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4모드에서는
    B, D,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A, C,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보다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5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5모드에서는
    A,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B,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C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1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E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F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3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B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에서 상기 A구역 패드부에 가해지는 압력비를 감하였을 때 제2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6모드에 따라 통풍 베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6모드에서는
    B, D, E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A, C, F구역 패드부에 공급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드의 제어방법.
KR1020150028523A 2015-02-27 2015-02-27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23A KR101655199B1 (ko) 2015-02-27 2015-02-27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US14/839,313 US10179497B2 (en) 2015-02-27 2015-08-28 Ventilation bed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5115075.1A DE102015115075B4 (de) 2015-02-27 2015-09-08 Belüftetes Bett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CN201510673009.3A CN105922838B (zh) 2015-02-27 2015-10-16 用于车辆的通风床及其控制方法
US16/210,204 US11091005B2 (en) 2015-02-27 2018-12-05 Ventilation bed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23A KR101655199B1 (ko) 2015-02-27 2015-02-27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80A KR20160105180A (ko) 2016-09-06
KR101655199B1 true KR101655199B1 (ko) 2016-09-07

Family

ID=5668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523A KR101655199B1 (ko) 2015-02-27 2015-02-27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179497B2 (ko)
KR (1) KR101655199B1 (ko)
CN (1) CN105922838B (ko)
DE (1) DE102015115075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61A (ko) 2019-01-07 2020-07-16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트럭용 베드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598A (ja) * 2003-05-16 2004-12-02 Hino Motors Ltd トラックのキャブの空調装置
JP2006131106A (ja) * 2004-11-05 2006-05-2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6108A1 (de) * 1986-10-23 1988-05-05 Ltg Lufttechnische Gmbh Luftauslass
US5570996A (en) * 1994-06-27 1996-11-05 American Standard Inc. Compact centrifugal fan
DE10019571A1 (de) * 2000-04-20 2001-10-25 Behr Gmbh & Co Klimaanlage für ein Nutzkraftfahrzeug
DE10259648B4 (de) * 2002-12-18 2006-01-26 W.E.T. Automotive Systems Ag Klimatisierter Sitz und Klimatisierungseinrichtung für einen ventilierten Sitz
JP2004215748A (ja) * 2003-01-10 2004-08-0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DE10316275B4 (de) * 2003-04-08 2009-06-18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WO2008129357A2 (en) * 2006-12-26 2008-10-30 Thermaquatic, Inc. Heating and cooling pad, control unit therefor, system and method
KR101309188B1 (ko) * 2007-01-12 2013-09-1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WO2009036077A1 (en) * 2007-09-10 2009-03-19 Amerigon, Inc. Operational control schemes for ventilated seat or bed assemblies
JP5334163B2 (ja) * 2007-11-08 2013-11-06 東芝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載用温度調節装置
JP2009236353A (ja) * 2008-03-26 2009-10-15 Daikin Ind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US8555440B2 (en) * 2008-04-30 2013-10-15 Randall J. Lewis Patient lifter with intra operative controlled temperature air delivery system
AU2009270757B2 (en) * 2008-07-18 2016-05-12 Gentherm Incorporated Climate controlled bed assembly
WO2010036242A1 (en) * 2008-09-24 2010-04-01 Analogic Corporation Subject support apparatus
US8332975B2 (en) * 2009-08-31 2012-12-18 Gentherm Incorporated Climate-controlled topper member for medical beds
US8531307B2 (en) * 2009-09-18 2013-09-10 Hill-Rom Services, Inc. Patient support surface index control
CN103340531B (zh) * 2010-08-02 2016-06-01 有利创新科技有限公司 空调床
IT1402714B1 (it) * 2010-10-28 2013-09-18 Delphi Italia Automotive Systems S R L Sedile climatizzato per una cabina di un veicolo
US20130031722A1 (en) * 2011-08-01 2013-02-07 Tin Cheung Wong Air-conditioning bed
JP5859289B2 (ja) * 2011-11-24 2016-02-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の送風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KR101213400B1 (ko) * 2011-12-05 2012-12-21 주식회사 세라젬셀루피딕 매트리스의 압력조절 방법 및 그 장치
US9655795B2 (en) * 2012-04-10 2017-05-23 Hill-Rom Services, Inc. Occupant support with a migration sensitive bladder and method for migration detection
US9131781B2 (en) * 2012-12-27 2015-09-15 Select Comfort Corporation Distribution pad for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20150359351A1 (en) * 2013-01-28 2015-12-17 Tempur-Pedic Management, Llc Mattress assembly
US20150007393A1 (en) * 2013-07-02 2015-01-08 Select Comfort Corporation Controller for multi-zone fluid chamber mattress system
KR101523654B1 (ko) 2013-09-06 2015-05-28 주식회사 포스코 개폐 장치
JP6201632B2 (ja) * 2013-10-25 2017-09-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NL2012158C2 (en) * 2014-01-28 2015-07-29 Pure Dev 1 B V Kit for air treatment of upholstered furniture and method of using such kit.
US9797632B2 (en) * 2014-03-03 2017-10-24 Marlow Industries, Inc. Dual core personal comfort engine (PCE)
WO2016040676A1 (en) * 2014-09-10 2016-03-1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 controlled climate bed with sleeper feedb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598A (ja) * 2003-05-16 2004-12-02 Hino Motors Ltd トラックのキャブの空調装置
JP2006131106A (ja) * 2004-11-05 2006-05-2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61A (ko) 2019-01-07 2020-07-16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트럭용 베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15075B4 (de) 2022-11-17
CN105922838A (zh) 2016-09-07
US10179497B2 (en) 2019-01-15
US20160250907A1 (en) 2016-09-01
CN105922838B (zh) 2020-08-04
US20190105962A1 (en) 2019-04-11
KR20160105180A (ko) 2016-09-06
DE102015115075A1 (de) 2016-09-01
US11091005B2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4308B2 (ja) シート空調装置
US6892807B2 (en) Seat with temperature control and ventilation and safety system for a vehicle
JP4854718B2 (ja) 車両用座席
US5860593A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having an air-guiding arrangement which is adjustable as a function of the sun radiation
KR101836664B1 (ko) 차량용 냉온 헤드레스트의 작동 제어방법
JP3637395B2 (ja) 車両の空調装置と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US9150132B2 (en) Vehicle comfort system with efficient coordination of complementary thermal units
CN104918808B (zh) 用于车辆的空调***
JP2017504513A (ja) 環境制御シート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4215748A (ja) 車両用空調装置
CA282623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ehicle hvac system to prevent output of inverse airflow
US20110166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n Automotive Vehicle
GB2579547A (en) A vehicle system
WO2020108858A1 (en) A vehicle system
KR101655199B1 (ko)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JP2004504978A (ja) 車両空調装置
JP2006082641A (ja) 車両の温度制御装置
JPH088545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56157B1 (ko) 차량의 시트
KR1024374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139839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160139841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610730B1 (ko) 시트 히터 장치
US20240239252A1 (en) Juvenile restraint
JP2005349935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