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574B1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574B1
KR101650574B1 KR1020100004558A KR20100004558A KR101650574B1 KR 101650574 B1 KR101650574 B1 KR 101650574B1 KR 1020100004558 A KR1020100004558 A KR 1020100004558A KR 20100004558 A KR20100004558 A KR 20100004558A KR 101650574 B1 KR101650574 B1 KR 10165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space
duc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5009A (en
Inventor
차정민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574B1/en
Publication of KR2011008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풍속이 감소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제어부를 냉각하는 제1유로; 상기 제어부를 냉각한 공기가 상기 냉각팬으로 안내하는 흡입덕트에 의한 제2유로; 및 상기 냉각팬으로 유동한 공기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배기덕트에 의한 제3유로; 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냉각이 원활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풍속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해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device in which the velocity of exhaust gas is reduced.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ront plate that forms a front appearance; A cooking chamber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A cooling fan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chamber to allow air to flow;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cools the control section; A second duct formed by a suction duct for guiding the air cool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oling fan; And a third duct by an exhaust duct for guiding air flowing into the cooling fan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 According to such a cook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xpect a smooth effect of cooling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lian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ir velocity of the air to be exhausted forward, thereby assuring the safety of the user, .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풍속이 감소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device in which the velocity of exhaust gas is reduced.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일종으로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A cooker is a kind of household appliances for cooking food, which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and cooks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Such cooking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에 따라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며 쿡탑, 홉 등이 대표적인 개방형 조리기기이다. 또한,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며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대표적인 밀폐형 조리기기이다. The cooking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n open type cooking device and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depending on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cooked. The open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food in an open space, and is a typical open type cooking device such as a cook top and a hop. In addition, the closed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foods in a closed space, and is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in which an oven, a microwave oven, and the like are typical.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차폐하고, 차폐된 조리실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 즉, 조리기기의 상측에 위치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The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 shields a cooking chamber that provides a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cooks the food by heating the shielded cooking chamber. The open type cooking appliance heats the open space, that is,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or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to cook the food.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조리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을 가열한다. In the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substantially becomes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ner and / or out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근래에는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와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어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and an open type cooking device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combined to cook various food items and a plurality of food items at the same time. Such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installed is accompanied by a flow path of cooling air for cool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nd electrical components.

그리고,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여 제어부품을 비롯한 다수의 부품을 냉각한 공기를 전방으로 배기한다. 이때, 전방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풍속을 느리게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In the closed-type cooking apparatus,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and the air that has cooled many components including the control component is exhausted forward. At this time, there is a ne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by slowing the air velocity of the air exhausted forward.

또한, 전방으로 배기되는 공기에 의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liminate user's emotional complaints caused by the air being exhausted forward.

본 발명에서는, 전방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풍속이 느린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the air velocity of air to be discharged forward is slow is propo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의 냉각이 원활한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device which can cool the control part smoothly is proposed.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제어부를 냉각하는 제1유로; 상기 제어부를 냉각한 공기가 상기 냉각팬으로 안내하는 흡입덕트에 의한 제2유로; 및 상기 냉각팬으로 유동한 공기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배기덕트에 의한 제3유로; 가 포함된다.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ront plate that forms a front appearance; A cooking chamber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A cooling fan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chamber to allow air to flow;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cools the control section; A second duct formed by a suction duct for guiding the air cool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oling fan; And a third duct by an exhaust duct for guiding air flowing into the cooling fan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냉각이 원활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 smooth effect of cooling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제어부의 냉각이 원활함으로써 제어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nsured owing to the effect that the cooling of the control part is smooth and the malfunction of the control part is prevented.

또한, 조리기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품 및 전장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 of smoothly flowing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apparatus can be expected, and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heat damage of the control component and the electric component is prevented.

그리고, 전방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풍속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해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방에서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velocity of the air exhausted to the front is reduced, so that the emotional complaint of the user can be solved,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operating the cooking apparatus from the front.

상기 제1유로홀(15)이 그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어부(50)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들이 상기 흡기구(13)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선들이 전방에서 볼 때 상기 흡기구(13)를 통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passage hole 15 is formed in a grill shape to prevent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from being stuck to the air intake port 13.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s are not visible through the air inlet 13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제1유로홀(15)이 그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품의 조립과정에서 전선의 연결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Since the first flow hole 15 is formed in a grill shape, it is possible to visually judge whether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roduct.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errors that occu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리실 상부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획플레이트와 제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ition plate and a control unit are removed. FIG.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과제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the present disclosure, It will be easily suggest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해 전기오븐레인지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조리실이 제공되고, 전방으로 냉각 공기가 배기되는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cooking chamber is provided and the cooling air is exhausted in the forward direction .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claims should be interpreted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these figures, an outer appearance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his is to protect a plurality of parts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from external impacts.

상기 본체(10)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부(20)와,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는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30)와,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데우는 드로워부(40) 및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오븐부(30) 및 상기 드로워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main body 10 comprises a cooktop 20 for heating a food or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to cook food or food, an oven for cooking food by heating the inside space in which the food or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placed,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ven unit 30 and the drawer unit 40.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ven unit 30 and the drawer unit 40, .

상기 쿡탑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납작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쿡탑부(20)는 상면유리(21)와 쿡탑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cooktop 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flattened hexahedr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inner space as a whole. The cooktop portion 20 has a structure including a top glass 21 and a cooktop case (not shown).

상기 상면유리(21)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한다. 상기 상면유리(2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면유리(21)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The upper surface glass 21 supports the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to be cooked while forming an upper surface appearance. The upper surface glass 21 is formed of a ceramic glass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 upper surface glass 21 secures the safety of the user while supporting the upper side food or food container.

또한, 상기 상면유리(21)는 상면이 하나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청소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상면유리(21)의 상측에는 트리빗이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트리빗은 상기 상면유리(21)의 상면에 놓여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glass 21 has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single plane, which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cleaning property and convenience of use. A tri-comb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glass 21. The tribris li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glass 21 to support food or food containers.

상기 쿡탑케이스는 상기 상면유리(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쿡탑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상면유리(21)에 의해 차폐된다. The cooktop cas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glass 21 and has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nd a top-opened hexahedron shap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ooktop case is shielded by the upper surface glass (21).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쿡탑히터(22)가 위치한다. 상기 쿡탑히터(2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한다.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top case, there is a cooktop heater 22 that emits heat for heating food or food containers. The cook top heater 22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s a whole, and radiates heat by a supplied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쿡탑히터(22)는 서로 다른 출력 및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지는 히터들이 다수 설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음식물의 양 또는 음식 용기의 부피에 적합한 상기 쿡탑히터(22)를 선택하여 요리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cook top heater 22 has a plurality of heaters having different outputs and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This allows the user to select and cook the cook top heater 22 suitable for the amount of food or the volume of the food container.

상기 쿡탑히터(22)는 발산되는 열이 상기 상면유리(21)로 잘 전달되도록 상기 상면유리(21)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설치된다. 상기 쿡탑히터(22)의 하측에는 상기 쿡탑히터(22)가 상기 상면유리(21)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미도시)가 제공된다. The cook top heater 22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glass 21 so that heat to be radiate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urface glass 21 well. A support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oktop heater 22 to support the cooktop heater 2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glass 21.

상기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위치한다. 상기 오븐부(30)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과, 상기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와,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의 오븐히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An oven part (30) is located below the cooktop part (20). The oven unit 30 includes a cooking chamber 31 for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s, a door 3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31, a plurality of ovens And a heater.

상기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전면은 상기 도어(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3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cooking chamber 31 is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n opened front face, and the opened front face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32. The door (32) is rotatably installed on a front plate (11)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도어(3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핸들(33)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도어(32)를 회동시키기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A door handle 3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2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door 32 when the user wishes to rotate the door 32. The door (33) allows the user to easily rotate the door (32).

상기 오븐부(3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32)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31)의 전면을 개방시킨 다음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위치시킨다.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상기 도어(32)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 The user rotates the door 32 to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and then places the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 After the food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shielded by rotating the door 32.

상기 조리실(31)이 차폐된 다음 상기 오븐히터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면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이처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After the cooking chamber 31 is shielded,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heated by the oven heater.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heated, the food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heated and cooked. Thus,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substantially provides space for cooking food.

상기 조리실(31)의 상측 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상단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31)의 하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위치된다.An upper heater 34 for he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rom abov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1 or the upp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A lower heater 35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rom below is positioned below the cooking chamber 31.

상기 상부히터(34)와 상기 하부히터(35)는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한다. 상기 상부히터(34)와 상기 하부히터(35)는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시즈히터 또는 할로겐히터 등이 사용된다. The upper heater 34 and the lower heater 35 emit heat for he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upper heater 34 and the lower heater 35 use a sieve heater or a halogen heater that emits heat by a supplied external power source.

그리고,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후단 또는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대류시켜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된다. 상기 컨벡션부(36)는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컨벡션히터(미도시)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한다.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켜 가열한다. Further, a convection unit 36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r the rea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to heat the heated air to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by convection. The convection unit 36 sucks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and heats the air while passing the convection heater (not shown). The heat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while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lows and is heated.

또한, 상기 컨벡션부(36)에 의해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된다. 이처럼, 상기 컨벡션부(36)에 의해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균일하게 익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flows by the convection portion (36), and the food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s heated uniformly. Thus, the food is uniformly heated and uniformly cooked by the convection part 36. [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는 드로워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한 상태로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A drawer (40) is installed below the oven part (30). The drawer 40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the food is placed, and functions to heat the inner space to heat the food or to store the warmed state.

상기 드로워부(4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드로워손잡이(41)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손잡이(41)를 파지하여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내부 공간이 개방된다. A draw handle 41 for gripping a use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40. When the user holds the drawer handle 41 and moves the drawer forward, the drawer is slid forward to open the inner space.

상기 드로워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된 상면이 개폐된다. 개방된 상면을 통해 사용자는 데우거나 보온 보관을 위한 음식물을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다.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놓이면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The drawer is in the form of a hexahedron with its top surface opened, and the upper surface that is opened while sli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rough the open top, the user places food for warming or keeping warm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rawer. When food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the user moves the drawer backward.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드로워의 개방된 상면이 차폐된다. 상기 드로워의 상면이 차폐되면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한다. When the drawer is moved backwar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is shielde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is shielded,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is heated to heat or warm the food.

상기 드로워의 상측 또는 하측이나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 상측에는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드로워히터(42)가 제공된다. 상기 드로워히터(42)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처럼, 상기 드로워히터(42)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다. A draw heater (42)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or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draw heater (42). In this way, the drawer 40 can heat the food or keep it warm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draw heater 42.

상기 쿡탑부(20)의 전면 즉, 상기 오븐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한다. 상기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2)가 제공된다.A control panel (51)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ooktop (20), that is, above the oven door (32). The control panel 51 is in the form of a hexahedron with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 input unit 52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by the user is provided.

상기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조작스위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put unit 5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input operation signals. Of course, the operation switch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형태 또는 버튼 형태와 같은 누름스위치의 형태도 가능하고, 다이얼 놉과 같은 회전스위치의 형태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touch switch type such as a touch screen type or a button type, a rotary switch such as a dial knob, or a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51)에는 사용자가 상기 쿡탑부(20) 및/또는 상기 오븐부(30) 및/또는 상기 드로워부(40)의 동작정보,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 공간에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ntrol panel 51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user with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oktop unit 20 and / or the oven unit 30 and / or the drawer unit 40, More. The display unit ha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check various information in an external space.

상기 표시부는 엘씨디(LCD)로 형성되어 화면 또는 영상으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엘이디(LED) 등으로 형성되어 기호 또는 문자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어떠한 구성으로 형성되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an LCD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screen or an image.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an LED or the like to transmit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symbols or character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configuration.

상기 컨트롤패널(51)의 후측에는 다수의 전장부품 및 제어부품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어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50)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장부품 및 제어부품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동작이 제어되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On the rear side of the control panel 51, a control unit 50 is provi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and control components are located.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 is controlled by the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and the control components located in the controller 50, and the food is cooked.

상기 제어부(50)의 개방된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5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51)의 후측,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50)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제어부품이 지지되는 회로기판이 위치한다. The control panel 50 is located on the open front of the control unit 50 to cover the inner space of the control unit 50. A circuit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control components are supported is located in the rear side of the control panel 51, specifically,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rol unit 50.

상기 회로기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회로기판에 다수의 제어부품이 설치되어 인쇄된 회로에 따라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품이 동작한다. The circuit board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control part operates by a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printed circu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 및 공기 유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and air flo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쿡탑부를 제거한 상태의 조리실 상부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획플레이트와 제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chamber upper space in a state where a cooktop portion of a cooking appliance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flow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artition plat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oved.

상기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오븐부(30)와 상기 쿡탑부(20) 사이에는 상면플레이트(12)가 위치한다. 상기 상면플레이트(12)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에서 발산되는 열이 1차적으로 차단된다. 상기 상면플레이트(1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면플레이트(12)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이 위치하는 공간과 그 상측 공간이 분리된다. An upper plate 12 is positioned between the oven unit 30 and the cooktop unit 20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31. The heat emitted from the cooking chamber (31) is primarily blocked by the top plate (12). The upper surface plate 1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upper surface plate 12 separates the space in which the cooking chamber 31 is located from the upper space.

또한, 상기 상면플레이트(12)의 상측 공간은 구획플레이트(53)에 의해 공간이 분리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5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제공된다. The space above the upper surface plate 12 is separated by the partition plate 53. The partition plate 53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ong rectangular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구획플레이트(53)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상면플레이트(12)에 고정되면서, 상기 조리실(31)의 상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분리한다. The partition plate 53 is located behind the control panel 51 and is fixed to the upper plate 12 to separate the upp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31 into a front half portion and a rear half portion.

상기 구획플레이트(53)에 의해 분리되는 전반부 공간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비롯한 다수의 제어부품이 위치하는 상기 제어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53)에 의해 분리되는 후반부 공간에는 냉각팬(61) 등이 위치하는 전장실(60)이 형성된다. The control unit 50, in which a plurality of control components such as the circuit board are located, is formed in a front half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plate 53. In the rear half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plate 53, an electric field chamber 60 in which the cooling fan 61 is located is formed.

상기 전장실(6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쿡탑히터(22)가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게 되고, 이때, 상기 구획플레이트(53)에 의해 상기 쿡탑히터(22)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제어부(50)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A plurality of the cooktop heaters 22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 compartment 60 to allow heat to be radiated from the cooktop heater 22 by the partition plate 53, 50).

즉, 상기 구획플레이트(53)는 상기 쿡탑히터(22)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제어부(50)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획플레이트(53)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50)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더 제공되어 상기 제어부(5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partition plate 53 serves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block heat emitted from the cooktop heater 22 from directing to the controller 50. Of course,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insulation of the control unit 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partition plate 53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control unit 50 from rising.

상기 전장실(60)의 후단부에는 상기 냉각팬(61)이 위치한다. 상기 냉각팬(61)은 회전 운동하면서,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배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cooling fan (61)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field chamber (60). The cooling fan 61 performs a function of sucking the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exhausting the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이때, 상기 전면플레이트(11)에는 상기 냉각팬(61)의 회전 운동에 의해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흡기구(13)와 배기구(14)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3)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배기구(14)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At this time, the front plate 11 is formed with an air inlet 13 and an air outlet 14 for providing a flow path of air by the rotation of the cooling fan 61. The intake port 13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The exhaust port (14)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ernal air of the body (10) flows to the external space.

상기 흡기구(13)와 상기 배기구(14)는 상기 도어(32)와 상기 컨트롤패널(51)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32)의 상측 중앙부에 상기 배기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14)의 양 측방에 상기 흡기구(13)가 형성된다. The intake port 13 and the exhaust port 14 are formed in the front plate 11 positioned between the door 32 and the control panel 51. The exhaust port 14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door 32 and the inlet port 13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xhaust port 14.

상기 흡기구(13)의 후측 상면에는 상기 흡기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홀(도 5의 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홀(15)에 의해 상기 흡기구(13)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된다. 상방으로 유동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제어부(50)를 통과하면서 제어부품을 냉각한다. A first channel hole (15 in FIG. 5) is form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inlet port 13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13 flows upward. External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inlet port (13) flows upward by the first flow hole (15). The outside air flowing upward flows through the control part 50 to cool the control part.

상기 제1유로홀(15)은 다음에 설명할 상기 배기덕트(62)의 출구 부분 양 측방에 위치한다. 즉, 상기 배기구(14)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구(13)의 상면을 이루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2)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The first flow passage hole 15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62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i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plate 12, which constitutes the upper surface of the intake port 1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xhaust port 14.

상기 제1유로홀(15)은 상기 상면플레이트(12)의 일부가 소정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는 그릴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그릴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The first channel hole 15 is formed in a grill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plate 12 is cut with a predetermined area.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orm a shape other than a grill shape.

상기 제1유로홀(15)이 그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어부(50)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들이 상기 흡기구(13)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선들이 전방에서 볼 때 상기 흡기구(13)를 통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passage hole 15 is formed in a grill shape to prevent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from being stuck to the air intake port 13.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s are not visible through the air inlet 13 when viewed from the front.

그리고, 상기 제1유로홀(15)이 그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품의 조립과정에서 전선의 연결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hannel hole 15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ill, it is possible to visu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roduct.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errors that occu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한편, 상기 제어부(50)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50)를 냉각한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덕트(64)가 위치한다. 상기 흡입덕트(64)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형태의 육면체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64)의 전면과 후면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suction duct 64 forming a second flow path for moving the air that has cooled the control unit 50 rearward is located in the rear of the control unit 50. The suction duct 64 is formed in a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 front and a rear open,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ction duct 64 are the same.

상기 흡입덕트(64)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부분은 상기 제어부(5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공기가 배기되는 출구 부분은 상기 냉각팬(61)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덕트(64)는 상기 냉각팬(6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를 냉각한 공기를 내부 공간을 통해 후방으로 안내한다. The in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uction duct 64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ler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is exhausted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oling fan 61. Therefore, the suction duct 64 guides the air, which has cooled the control unit 50, to the rear through the inner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oling fan 61.

이와 같이, 상기 흡입덕트(64)는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유동시키는 제2유로를 형성한다. Thus, the suction duct 64 forms a second flow path for flowing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backward through the internal space.

상기 흡입덕트(64)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의 공기를 안내하면서 제3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62)가 위치한다. 상기 배기덕트(62)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적어도 후면과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An exhaust duct 62 for guiding air in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and forming a third flow path is positioned below the suction duct 64. The exhaust duct 62 has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nd is formed in a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t least a rea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공기가 배기되는 출구 부분은 상기 배기구(14)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부분은 상기 냉각팬(61)의 전방에 위치한다.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is exhaus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14 and air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The inlet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oling fan (61).

상기 배기덕트(62)는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전방으로 유동시키는 제3유로를 형성한다. The exhaust duct 62 forms a third flow path for forwardly flowing air flowing along the second flow path through the internal space.

상기 배기덕트(62)는 전면이 후면보다 가로 방향으로 더 긴 형태로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The exhaust duct 62 is formed in a hexahedron whose front surface is longer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rear surface and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Which is guided by the in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to reduce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ing forward.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제3유로는 전방으로 유동할 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상기 배기덕트(62)에 의해 그 유동속도가 점차 감소한다. 상기 제3유로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유동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배기된다. The flow rate of the third flow path formed by the in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is gradually decreased by the exhaust duct 62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s it flows forward. The air flowing by the third flow path is exhaus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rate through the exhaust port 14 is reduced.

이때, 상기 배기덕트(62)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흡입덕트(64)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흡입덕트(64)의 입구 부분이 상기 제어부(5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xhaust duct 62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ction duct 64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64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ler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처럼, 상기 흡입덕트(64)의 입구 부분이 상기 제어부(50)와 이격되는 이유는 상기 제1유동홀(15)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제어부(5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어부(50)를 냉각시킨다. 상기 제어부(50)를 냉각시킨 공기를 상기 흡입덕트(64)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64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ler 50 becaus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hole 15 passes through the controller 50 to cool the controller 50, .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 unit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llow the air cooled by the control unit 50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uction duct 64.

즉, 상기 제1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흡입덕트(64)의 내부 공간으로 더 많이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That is,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control unit 50 so that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is more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uction duct 64.

또한, 상기 배기덕트(62)는 그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전방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덕트(64)는 그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덕트(64)의 내부 공간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흡입덕트(64)의 입구 부분 흡입력과 출구 부분 흡입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is enlarged toward the fron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intake duct 64 is the same. The suction duct 64 has the sam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as that of the suction duct 64 in order to keep the inlet suction force and the outlet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duct 64 the same.

상기 배기덕트(62)의 양 측면 전단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배기홀(63)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배기홀(63)은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배기덕트(62)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시킨다. 이처럼, 상기 배기홀(63)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배기덕트(62)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면, 상기 배기덕트(62)의 출구 부분에서 압력이 저하되어 공기의 유동속도가 저감된다.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6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re form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exhaust duct 62. The exhaust hole 63 allows part of the air flowing forward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to flow into the ex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When a part of the air flow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flows into the external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through the exhaust hole 63,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is reduced.

상기 배기덕트(62)의 출구 부분에서 공기의 유동속도가 저감됨에 따라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 속도가 저하된다. As the flow rate of air is reduced at the outlet of the exhaust duct 62, the flow rate of the air exhaust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exhaust port 14 is lowered.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 속도가 저하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w speed of the air exhausted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 is lowered,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solving the emotional complaint of the use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공기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ir flo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패널(51)에 제공되는 입력부(52)를 조작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히터가 구동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냉각팬(61)이 구동된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52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51 to cook food, the heater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is driven. At the same time, the cooling fan 61 is driven.

상기 냉각팬(6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덕트(64)의 입구 부분에서는 흡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흡입구(13)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제1유로홀(15)을 통해 상기 제어부(50)로 유동한다.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at the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64 by driving the cooling fan 61 so that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10 flows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ort 13.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 flows to the controller (50) through the first flow hole (15).

즉, 상기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제1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어부(50)를 냉각한다. 상기 제어부(50)를 냉각한 공기는 상기 흡입덕트(64)의 입구 부분으로 유동한다. 상기 흡입덕트(64)의 입구 부분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흡입덕트(64)의 내부 공간에 의해 안내되어 제2유로를 따라 상기 냉각팬(61)으로 유동한다. That is,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 flows along the first flow path to cool the control unit 50. The air that has cooled the control unit (50) flows to the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64). Air flowing to the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64 is guided by the internal space of the suction duct 64 and flows to the cooling fan 61 along the second flow path.

상기 냉각팬(6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62)의 입구 부분으로 유입된다. 상기 배기덕트(62)의 입구 부분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3유로를 따라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3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62)의 출구 부분으로 유동한다. The air flowing into the cooling fan (61) flows into the in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62).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62 is guided by the inner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along the third flow path and flows forward. The air flowing along the third flow path flows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62).

이때, 상기 배기덕트(62)의 출구 부분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배기덕트(62)의 내부 공간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공기의 유동 속도는 감속된다. 그리고, 제3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배기홀(63)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62)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At this time,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while flowing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62. A part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third flow path flows through the exhaust hole 63 to the outer space of the exhaust duct 62.

상기 배기덕트(62)의 출구 부분으로 유동하는 감속된 공기는 상기 배기구(14)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The reduced air flowing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62 passes through the exhaust port 14 and is exhaust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제어부 냉각이 원활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mooth effect of cooling the control portion of the cooking device can be expected.

제어부의 냉각이 원활함에 따라 제어부품의 오작동 및 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malfunction of the control part and thermal damage are prevented as the control part smoothly cools.

또한, 전방으로 배기되는 배기 공기의 풍속이 감속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d speed of the exhaust air discharged forward can be reduced,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can be ensured, and the user's emotional complaint can be solve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advantages,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in the cooking appliance industry.

10. 본체 11. 전면플레이트
12. 상면플레이트 13. 흡기구
14. 배기구 20. 쿡탑부
30. 오븐부 31. 조리실
32. 도어 33. 도어핸들
34. 상부히터 35. 하부히터
36. 컨벡션부 40. 드로워부
50. 제어부 51. 컨트롤패널
52. 입력부 53. 구획플레이트
60. 전장실 61. 냉각팬
62. 배기덕트 63. 배기홀
64. 흡입덕트
10. Body 11. Front plate
12. Top plate 13. Intake port
14. Exhaust port 20. Cooktop
30. Oven section 31. Cooking room
32. Door 33. Door handle
34. Top heater 35. Lower heater
36. Convection part 40. Drawer part
50. Control section 51. Control panel
52. Input section 53. Compartment plate
60. Electric arc furnace 61. Cooling fan
62. Exhaust duct 63. Exhaust hole
64. Suction duct

Claims (11)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플레이트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 다수의 전장부품 및 냉각팬이 구비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제어부를 냉각하는 제1유로;
상기 제어부를 냉각한 공기를 상기 냉각팬으로 안내하는 흡입덕트에 의한 제2유로; 및
상기 냉각팬으로 유동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배기덕트에 의한 제3유로; 가 포함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양측면 전단부에는 다수의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다수의 배기홀을 통해서 상기 배기덕트의 외부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A main body having a front plate having a front appearance;
A cooking chamber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An electric field chamb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and forming a space partitioned from the cooking cha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and a cooling fan;
A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electric compartment and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cools the control section;
A second duct by a suction duct for guiding the air that has cooled the control unit to the cooling fan; And
A third duct by an exhaust duct for guiding the air flowing into the cooling fan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 RTI >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are formed in front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exhaust duct,
And a part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third flow path flows into the outer space of the exhaust duct through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흡기구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late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for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의 상측에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입덕트의 입구로 향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rst channel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ort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port is directed to the inlet of the suction 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공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late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for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flows in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배기덕트보다 짧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duct is shorter than the exhaust 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동일하게 제공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duct is provided with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입구부분은 상기 배기덕트의 출구 부분과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is located in a different space from an out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출구 부분과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 부분은 상기 냉각팬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let portion of the suction duct and an in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are located in front of the cooling f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입구 부분의 공기 유동속도가 출구 부분의 공기 유동속도보다 더 빠른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flow rate of the inlet portion is higher than the air flow rate of the outlet portion of the exhaust 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에는, 상기 제어부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전장부품 및 상기 냉각팬이 위치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구획플레이트가 제공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field chamber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for separating a space where the control unit is located and a space where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cooling fan are located.
KR1020100004558A 2010-01-19 2010-01-19 Cooking appliance KR101650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58A KR101650574B1 (en) 2010-01-19 2010-01-19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58A KR101650574B1 (en) 2010-01-19 2010-01-19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09A KR20110085009A (en) 2011-07-27
KR101650574B1 true KR101650574B1 (en) 2016-08-23

Family

ID=4492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558A KR101650574B1 (en) 2010-01-19 2010-01-19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5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312A (en) * 2020-11-04 2022-05-11 (주)포티머스 Performance test device for measur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900B1 (en) * 2016-09-09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and oven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16Y1 (en) * 2003-02-15 2003-05-16 동양매직 주식회사 Structure exhaust of gas oven-range
KR100698204B1 (en) * 2005-12-12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oven ran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010A (en) * 1988-12-30 1989-09-12 Whirlpool Corporation Exhaust duct cooling system for built-in gas oven
DE19504673C2 (en) * 1995-02-13 1998-04-30 Bosch Siemens Hausgeraete Built-in oven coo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16Y1 (en) * 2003-02-15 2003-05-16 동양매직 주식회사 Structure exhaust of gas oven-range
KR100698204B1 (en) * 2005-12-12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oven ran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312A (en) * 2020-11-04 2022-05-11 (주)포티머스 Performance test device for measur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102433794B1 (en) * 2020-11-04 2022-08-18 (주)포티머스 Performance test device for measur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09A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9602B2 (en) Cooker
JP5345122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124833B1 (en) Oven
US9115903B2 (en) Oven door
EP3599422B1 (en) Cooking appliance
JP4603901B2 (en) Built-in kitchen equipment
KR101520499B1 (en) Oven range
KR101650574B1 (en) Cooking appliance
KR20110078910A (en) Cooking appliance
JP5653484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070059394A (en) Electric oven
JP2020125867A (en) Heating cooker
KR100686772B1 (en) Electric oven range
JP5890506B2 (en) Cooker
KR20110015784A (en) Cooking appliance
KR101531062B1 (en) Oven range including a duct unit
JP6072951B2 (en) Cooker
JP5534686B2 (en) Cooker
JP2015041505A (en) Heating cooker
KR101531061B1 (en) Oven range including a heat isolation means
CN110873341B (en) Heating cooker
KR102067271B1 (en) Cooking appliance
JP7370169B2 (en) heating cooker
JP2011231962A (en) Heating cooker
KR20110053628A (en)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