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478B1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Google Patents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478B1
KR101649478B1 KR1020140187369A KR20140187369A KR101649478B1 KR 101649478 B1 KR101649478 B1 KR 101649478B1 KR 1020140187369 A KR1020140187369 A KR 1020140187369A KR 20140187369 A KR20140187369 A KR 20140187369A KR 101649478 B1 KR101649478 B1 KR 10164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pace
unit
passenge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828A (ko
Inventor
고태환
최경후
유원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4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4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with more than one d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을 개별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상기 1층 승하차 공간부상에 구비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Double deck railway vehicle including a guiding unit for movement of passengers}
본 발명은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을 개별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비하여 많은 승객을 운송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기 때문에, 교통 및 물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운송수단이다.
최근에는 이동시간의 단축 및 물류 량의 증가로 인하여 고속열차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고속열차는 사전적 의미로는 200km/h 이상의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의미하지만, 통상적으로는 250km/h 이상의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의미한다.
상기 고속열차의 이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상기 고속열차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의 승객들의 이송을 감당하기에 한계가 있고, 한정된 철도노선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기에 이층 고속열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층 고속열차는 많은 인원수에 해당하는 승객들의 승하차 하는 경우에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에 혼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597호(발명의 명칭:복합수송객차, 공개일: 2014년 4월 24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을 개별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상기 1층 승하차 공간부상에 구비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 중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직립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객실의 출입구인 1층 객실통로문과 상기 계단유닛 사이에서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열차의 주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바닥면의 하부공간에 배치되고, 열차의 정차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봉들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봉들 사이로 승객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1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지시부재와, 상기 제2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2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지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시부재 및 상기 제2 지시부재는 각각 지시점멸등 또는 지시페인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계단유닛의 하부영역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2층 승객의 계단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위한 중앙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1층 승하차공간부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설치함으로써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에 혼선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에 의하여 승객이동의 혼선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제1 이동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바닥면 각각에 승객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지시부재 및 제2 지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이 열차의 운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열차의 정차중에만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1층 승객 및 2층 승객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안내하면서도 승객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1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에서 승객이동 안내유닛이 설치된 영역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의 1층 및 2층 승하차공간부의 횡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층 승하차공간부의 평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이층 고속열차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는 복수 개의 개별 이층객차유닛들을 포함하는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개별 이층객차유닛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개별 이층 갱웨이유닛들을 포함하는 이층 갱웨이유닛과, 상기 이층객차유닛의 전후단에 배치되는 동력차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차유닛은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전두부에 배치되는 제1 동력차유닛(1)과,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후두부에 배치되는 제2 동력차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는 상기 제1 동력차유닛(1)과 상기 제2 동력차유닛(2)에 의하여 구동되는 동력집중식 형태의 차량이다. 즉, 상기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대차들은 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가 동력집중식의 형태를 가지는 것은 동력분산식과 대비하여 각각의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기계실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객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별 이층객차유닛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객실공간의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이층객차유닛은 제1 이층객차유닛(10), 제2 이층객차유닛(20), 제3 이층객차유닛(30), 제4 이층객차유닛(40), 제5 이층객차유닛(50) 및 제6 이층객차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이층객차유닛(40)의 1층 차체에는 장애인의 탑승을 위한 장애인객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5 이층객차유닛(50)의 2층 차체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한 스넥바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개별 이층객차유닛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차유닛의 개수 및 설치위치는 바뀌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애인객실이 구비된 이층객차유닛과 스넥바가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위치와 개수도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은 차체유닛, 상기 차체유닛의 하부 양단에 배치되는 제1 대차(210)와 제2 대차(220)를 갖는 대차유닛, 출입문유닛(300), 계단유닛(400) 및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차체유닛은 1층 차체(110)와, 상기 1층 차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1층 차체(110)와 상기 2층 차체(120)는 일체로 형성되되, 차체의 단면위치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과 복합재료의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층 차체(110)는 1층 좌석(112)이 배치되어 있는 1층 객실(111)과, 상기 1층 객실(111)의 전단에 형성되는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층 객실(111)의 바닥면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가짐으로써 승객이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계단을 이용하기에 힘든 경우에도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서 상기 1층 객실(111)의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은 승객이 위치하고 있는 플랫홈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가짐으로써 플랫홈에 위치하는 승객이 수평이동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승하차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상에는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상에 구비되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공간은 상기 1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공간은 상기 2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 중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직립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5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510)는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객실(111)의 출입구인 1층 객실통로문(115)과 상기 계단유닛(400) 사이에서 상기 1층 차체(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이동공간은 상기 가이드 부재(510)와 상기 1층 객실통로문(115)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이동공간은 상기 가이드 부재(510)와 상기 계단유닛의 제2 계단영역(42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제2 이동공간에는 상기 계단유닛의 제1 계단영역(41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계단유닛(400)의 형상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510)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봉들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봉들 사이의 간격은 승객이 이동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에 혼선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승객의 승하차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510)는 열차의 주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의 하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열차의 정차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부재(510)는 공기의 주입시 복원력을 가지면서 팽창되는 팽창주머니의 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열차의 주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의 하부공간에 수축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열차의 정차중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팽창주머니의 외부에는 상기 팽창주머니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커버가 접철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팽창주머니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부재(510)는 일정 높이를 갖는 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패널은 다단붐의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부재(510)는 스크린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린은 열차의 주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천정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열차의 정차중에는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경계가 되는 부분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이 열차의 운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열차의 정차중에만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 상에 배치됨으로써 1층 승객 및 2층 승객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안내하면서도 승객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대차(210)와 중첩되지 않고 이웃하게 배치된다.
승객은 상기 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평면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평면승하차라 함은 상기 출입문유닛(300)이 개방되었을 때 승객이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탑승하거나,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부터 하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와 상기 2층 차체(120)의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연결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탑승한 승객이 상기 2층 차체(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단유닛(400)의 일단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 상에 배치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단유닛(4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객실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출입문유닛(300)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제1 계단영역(410)과,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계단영역(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의 하단부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유입된 승객이 곧바로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을 이용하여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동선이 짧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탑승한 승객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상기 1층 객실(111)로 이동하거나, 곧바로 상기 계단유닛(400)을 이용하여 2층 승하차공간부(123)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이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문유닛(300)과 중첩되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1층 객실(111)의 객실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계단영역(410)과 상기 제2 계단영역(42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계단유닛(4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400) 중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계단영역의 양측벽과 상기 1층 차체(110)의 내벽 사이에는 차량부속품의 수납을 위한 제1 수납공간(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110)의 영역중 상기 계단유닛(400)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도 차량부속품의 수납을 위한 제3 수납공간(11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2층 차체(120)는 이층 좌석(122)이 배치되어 있는 2층 객실(121)과, 상기 2층 객실(121)의 전단에 형성되는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이층 좌석(122)은 상기 1층 좌석과 마찬가지로, 회전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2층 객실(121)의 길이는 상기 1층 객실(111)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지는데, 이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차체(110)에서는 상기 제2 대차(220)의 상부에 객실을 형성할 수 없지만, 상기 2층 차체(120)에서는 객실, 즉 이층 연장객실(A)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1층 차체(110)에서는 상기 제2 대차(220)의 설치로 인하여 1층 객실(111)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갖는 상기 제2 수납공간(114)이 형성되지만, 상기 2층 차체(120)에서는 상기 2층 객실(121)의 객실공간 일부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는 상기 계단유닛(400)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123a)와, 상기 계단연결부(123a)와 연결되는 2층 객실유입통로(123b)를 포함한다.
상기 계단연결부(123a)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계단영역(42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계단연결부(123a)는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는 상기 제2 계단영역(42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는 상기 1층 차체(110)에 형성된 상기 제1 수납공간(117)의 상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제2 계단영역(420)과 연결되는 2층 차체(120)의 바닥개구부를 둘러싸는 2층 객실유입통로벽(123c)과 상기 2층 차체(12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계단연결부(123a)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121)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계단영역(420)을 통하여 상기 계단연결부(123a)로 올라온 승객은 상기 제2 계단영역(420)에서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서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를 통하여 상기 2층 객실(121)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계단연결부(123a)로 올라온 승객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2층 객실(22)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분산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차체(110)의 양단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차체(110)의 일단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대차(210)와, 상기 1층 차체(110)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대차(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대차(210) 및 상기 제2 대차(220)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유리한 일반대차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는 1층 객실(21)을 갖는 1층 차체와, 2층 객실(22)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을 구성하는 세부구성들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2층 객실(22)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차량연결유닛(8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을 통하여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2층 승하차공간부(123)로 이동한 승객은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를 통하여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2층 객실(121)로 이동하거나, 곧바로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을 통하여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22)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1층 차체(110)의 일단에 출입문유닛(300)을 배치하고, 상기 출입문유닛(300)의 개방시 2층 승하차공간부(123)로 연결되는 계단유닛(400)이 곧바로 노출되고,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곧바로 연결되는 이층 갱웨이유닛(70)을 설치함으로써 승객은 제1 이층객차유닛의 1층 객실(111) 및 2층 객실(121)과,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2층 객실(22)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나의 계단유닛을 사용하더라도 승객의 이동거리가 최소화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구조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층객차유닛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는 상술한 일 실시 예와 달리 중앙 손잡이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가이드 부재(510), 제1 지시부재(520) 및 제2 지시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 손잡이부재(600)는 이층객차유닛의 1층 승하차공간부(113) 상에 배치되는 계단유닛의 하부영역, 즉 제1 계단영역(4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
상기 중앙 손잡이부재(600)는 2층 승객이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중앙 손잡이부재(600)는 상기 계단유닛의 상부영역, 즉 제2 계단영역(420)의 중앙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지시부재(520)는 1층 승객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1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게 되고, 상기 제2 지시부재(530)는 2층 승객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2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지시부재(520)는 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유입된 1층 승객을 1층 객실통로문(115)으로 안내하게 되고, 상기 제2 지시부재(530)는 상기 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유입된 2층 승객을 상기 제1 계단영역(410)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 지시부재(520) 및 상기 제2 지시부재(53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시부재(520) 및 상기 제2 지시부재(530)는 상기 제1 이동공간의 바닥면 및 상기 제2 이동공간의 바닥면에 1층 승객과 2층 승객을 구분하여 안내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표식이 페인팅된 지시페인팅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시부재(520) 및 상기 제2 지시부재(530)는 승객의 이동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지시점멸등의 형채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시점멸등이 깜박거릴 때 1층 승객과 2층 승객을 구분하여 안내하는 문자도 함께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지시부재(520) 및 상기 제2 지시부재(530)는 1층 승객 및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이동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바닥면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1층 승객과 상기 2층 승객의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제1 동력차유닛 2: 제2 동력차유닛
10: 제1 이층객차유닛 20: 제2 이층객차유닛
70: 이층 갱웨이유닛 110: 1층 차체
111: 1층 객실 113: 1층 승하차공간부
120: 2층 차체 123: 2층 승하차공간부
300: 출입문유닛 400: 계단유닛
410: 제1 계단영역 420: 제2 계단영역
510: 가이드 부재 520: 제1 지시부재
530: 제2 지시부재 600: 중앙 손잡이부재

Claims (8)

  1. 제1 이층객차유닛, 제2 이층객차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상기 1층 승하차 공간부상에 구비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내벽 사이에는 차량부속품의 수납을 위한 제1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객실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출입문유닛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제1 계단영역과, 상기 제1 계단영역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 계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로 유입된 승객이 곧바로 상기 제1 계단영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계단영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계단영역의 하단부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계단영역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와, 상기 계단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안내하되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층 객실유입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계단연결부는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을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 중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직립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객실의 출입구인 1층 객실통로문과 상기 계단유닛 사이에서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공간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1층 객실통로문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어 상기 1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계단영역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어 상기 2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2 이동공간에는 상기 제1 계단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열차의 주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바닥면의 하부공간에 배치되고, 열차의 정차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봉들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봉들 사이로 승객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1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지시부재와, 상기 제2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2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지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재 및 상기 제2 지시부재는 각각 지시점멸등 또는 지시페인팅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8.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계단유닛의 하부영역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2층 승객의 계단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위한 중앙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KR1020140187369A 2014-12-23 2014-12-23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KR10164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69A KR101649478B1 (ko) 2014-12-23 2014-12-23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69A KR101649478B1 (ko) 2014-12-23 2014-12-23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28A KR20160076828A (ko) 2016-07-01
KR101649478B1 true KR101649478B1 (ko) 2016-08-19

Family

ID=5650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69A KR101649478B1 (ko) 2014-12-23 2014-12-23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1824A (zh) * 2022-11-15 2023-04-25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双层轨道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12Y1 (ko) 2000-06-01 2000-11-01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일방보행 유도장치
KR100564344B1 (ko) 2003-02-25 2006-03-27 고영국 피난로 유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965B1 (ko) * 2009-07-07 2012-02-23 (주)창조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20140048597A (ko) 2012-10-16 2014-04-24 한국철도공사 복합수송객차
KR101396208B1 (ko) * 2012-10-19 2014-05-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층식 열차의 객실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12Y1 (ko) 2000-06-01 2000-11-01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일방보행 유도장치
KR100564344B1 (ko) 2003-02-25 2006-03-27 고영국 피난로 유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28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371B1 (ko)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RU2283270C2 (ru) Система лифтов
EP1843928B1 (en) Double-deck railway vehicle
US9809933B2 (en) Multiple tier elevated light train
RU2430847C2 (ru) Межваго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ух сцепле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ссажирских вагонов поезда, вагон и поезд
KR20140050452A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복층식 열차
KR101649478B1 (ko)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US2285933A (en) Double deck rail car
RU2467900C2 (ru)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570482B2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595776B1 (ko) 이층 고속열차
TR201815965T4 (tr) Yolcu vagonu ve böyle bir vagonu içeren tren.
GB191318601A (en) Improvements in Double-decked Cars.
ATE367954T1 (de) Doppelstockreisezugwagen als schienenfahrzeug mit schlaf- und/oder liegeabteilen
CN110626373A (zh) 平台铁路车厢
KR101675370B1 (ko) 이층 고속열차
FI108011B (fi) Kaksikerroksinen matkajunavaunu
RU123743U1 (ru) Состав двухэтаж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электропоезда
RU72922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US1958234A (en) Double deck coach
US1901023A (en) Single deck bus with superimposed seats
RU20894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US2636452A (en) Double-deck railway passenger car
KR102378074B1 (ko) 수직 이동형 소형궤도차량 및 그 전용 궤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