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774B1 -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774B1
KR101644774B1 KR1020150124299A KR20150124299A KR101644774B1 KR 101644774 B1 KR101644774 B1 KR 101644774B1 KR 1020150124299 A KR1020150124299 A KR 1020150124299A KR 20150124299 A KR20150124299 A KR 20150124299A KR 101644774 B1 KR101644774 B1 KR 10164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feed
weight
flounder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웅
한현섭
김경덕
이봉주
김성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2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넙치 배합사료를 제공하여, 먹이섭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사육수 평균수온 14.3±1.9℃의 동절기 저수온 양식환경에서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켜 건강한 양식어를 사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Winter feed formula for olive flounder}
본 발명은 동절기용 넙치 배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먹이섭취가 현저히 감소하는 동절기에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를 포함하여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동절기용 넙치 배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어류가 성장하고 활동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영양소를 필요하며, 그중 고형 유기물 함량으로 환산 시 약 65~75%를 차지하는 단백질은 어류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필수 영양소로 생명체의 생존에 가장 기본이 된다. 따라서, 양어사료를 제조하는데 있어 우선적인 고려 대상이 된다.
양어사료 제조 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과 가격 높기 때문에, 양어사료의 적정 단백질 함량에 대한 연구는 경제적인 배합사료 개발에 필수적이다. 경제적인 배합사료 개발을 위해 적정 단백질 함량 뿐 아니라 단백질에 대한 에너지 비(P/E ratio)에 대한 연구 역시 중요하다.
에너지는 영양소는 아니지만 생명체의 생존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며, 동물의 체내대사의 모든 과정에 필요하다. 또한 에너지는 탄수화물, 지질과 아미노산의 산화대사 과정 중에 방출되는데, 동물의 종류, 나이, 크기, 먹이섭취, 동물체의 활동량 및 생리적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사료에 있어서 각 영양소들의 적정 요구량은 사료중의 에너지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사료원료에 함유된 유용한 에너지 량에 관한 정보는 각 사료원료의 전체적인 가치평가와 사료 배합시 영양소와 에너지의 적정 비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어류는 육상동물과 달리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원이나 식물성 단백질원보다 어분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원을 더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어분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원은 가장 비싼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료를 제조하는데 단백질 적정요구량에 따른 에너지 함량의 비에 대한 균형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어류의 에너지 요구량은 단백질과 에너지 비로 나타내는데, 사료의 에너지 함량이 단백질에 비해 너무 적거나 혹은 너무 많아도 사육어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과 에너지 비는 항상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단백질에 비해 에너지가 부족한 사료를 공급한 어류는 부족한 에너지를 충당하기 위해 단백질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단백질 효율이 낮아지고 성장저하가 일어나고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암모니아가 생성되어 과다한 질소를 배설하게 된다. 반대로 단백질에 비해 에너지가 과다한 사료를 공급하게 되면 어류의 사료섭취량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필수 영양소를 충분하게 섭취하지 못하게 되어 성장이 저하된다. 또한, 사료에 에너지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어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식품으로서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료 내 단백질과 에너지 비는 양식어류의 성장과 상품성 및 경제적인 배합사료 개발을 위해 많은 어종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국내에서 양식으로 가장 많이 생산하는 넙치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다. 치어기 넙치의 단백질 에너지 비는 45%의 적정단백질 요구량일 때 16.7kJg-1 이며, 이는 8g 크기의 치어기 넙치에서 적정 단백질 에너지 비로 알려졌다. 또한 17.0kJg-1 의 에너지를 함유하는 사료를 공급한 4.1g 크기의 치어기 넙치의 적정 단백질 요구량은 51.2%라고 보고하였다.
한편, 양식환경에서 수온은 어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들 중 하나이다. 변온동물인 어류는 수온의 변화에 따라 체내 소화효소 활성이 달라지며, 수온이 낮아지면 소화효소 및 대사활성이 떨어져 사료섭취량이 낮아지고, 반대로 적정수온으로 상승하게 되면 소화효소 및 대사활성의 증가로 먹이섭취 활성도가 증가하게 된다. 적정수온 이상의 고수온으로 올라가면 다시 먹이 섭취 활성은 떨어지게 된다.
넙치의 자연환경에서 서식수온은 10~27℃ 범위이며, 양식장 환경에서의 적정 사육수온은 8~25℃이고 최적 사육수온은 21~24℃로 수온 10℃ 이하와 27℃ 이상에서는 먹이섭취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수온의 변화에 따른 먹이 섭취의 변화는 어류가 영양소를 흡수하는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적정 단백질 에너지 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유럽농어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각기 다른 수온에서 단백질 함량을 다르게 사료를 제조하여 공급하였을 때, 성장 및 사료효율이 18℃에 비해 25℃에서 더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어기 유럽연어에서 2℃ 수온에서 고단백/저지방 사료와 저단백/고지방 사료를 공급했을 때 소화율에서 단백질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지질의 소화율에서 저단백/고지방 사료에서 높은 소화율을 보였다. 따라서 같은 어종이라도 어체의 크기에 따라 단백질 에너지 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저수온 및 고수온에서도 단백질 에너지 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7-011558호에서는 해양 양식 어류 특히, 최근 건강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키토산을 다량 함유한 범넙치 및 범가자미의 사료에 관한 발명으로서 무한 경쟁 시대인 요즈음 인류에게 식품으로서 어류의 가능성을 인지하여 고급 어종을 양산하고 동시에 수질오염 또한 최소화하는 범가자미 및 범넙치 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0642호에서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분 및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질 공급원 및 미량영양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로 대체함으로써 넙치의 성장을 촉진시켜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져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어분의 일부를 가격이 저렴한 참치부산물 어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양식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외화를 절약할 수 있으며,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 또는 콘글루텐 밀로 대체하여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7019호에서는 버섯 유산발효유, 해조류다당체, 맥반석 등의 천연 생리활성 물질들을 함유시켜 해산어류의 자연면역력 증강작용에 의한 항병력 강화, 헤모글로빈 증가에 의한 산소운반 능력 향상으로 빈혈예방, 탄수화물 소화촉진과 장내 흡수촉진 작용에 의한 성장촉진과 사료효율 증대, 천연 미네랄 및 비타민 증가에 의한 육질개선, 양식조의 수질환경 개선작용에 의한 폐사율 감소 등의 효과를 가지는 해산어류용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일반적인 양식 사료에 포함시켜 제조되는 해산어류 양식용 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를 포함하여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동절기용 넙치 배합 사료에 관한 본 발명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양어사료를 구성하는 성분 중, 단백질은 그 비율이 높고, 양식어의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중요하게 고려되어 왔으며, 양어사료를 조성하는 기준이 되어 왔다. 종래에는 수온을 포함하는 양식환경의 변화에도 일률적인 조성의 사료를 공급함에 따라 양식어가 충분히 섭이하지 못하거나, 섭이하더라도 충분한 대사활성으로 사료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동절기의 저수온기에 적절한 급이가 수행되지 못하면서 어체의 충분한 증체와 성장을 유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동절기 양식의 효율이 충분히 증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수온의 변화에 따라 양식어체 내 소화효소 활성과 대사활성이 변화하여 사료섭취량도 상이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온 등의 양식환경의 변화에 맞는 단백질과 지방의 적정 비율의 사료를 공급함으로써 넙치의 성장 및 계절변화 등에 따라 양어사료 내의 단백질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사료효율을 증가시켜 사료섭취가 떨어지는 저수온기인 동절기에도 건강한 양식어를 생산할 수 있는 넙치사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으로 에너지는 4700~5070 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넙치 배합사료를 제공하여, 먹이섭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사육수 평균수온 14.3±1.9℃의 저수온 양식환경에서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지방 조성비에 따른 동절기 넙치 배합사료를 저수온기 양식 넙치에 급이함으로써 수온 등의 양식환경의 변화에 맞는 단백질과 지방의 적정 비율의 사료를 공급하여 넙치의 성장 및 계절변화 등에 따라 양어사료 내의 단백질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사료효율을 증가시켜 사료의 낭비를 저감시키고 건강한 양식어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단백질/지방 조성비를 달리하여 급이한 동절기 넙치의 증체율 및 사료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단백질/지방 조성비를 달리하여 급이한 동절기 넙치의 비만도 및 간중량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절기 넙치 배합사료의 단백질/지방 조성비에 따른 실험구를 각 평가항목별로 수치화하여 사료 적합도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넙치의 배합사료는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로서 에너지는 4700~5070 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먹이섭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동절기인 사육수 평균수온 14.3±1.9℃의 저수온 양식환경에서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절기용 양식 넙치의 배합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A. 동절기에 적합한 넙치 사료 조성의 결정을 위한 실험
A.1. 실험사료 제조
표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실험사료의 조성 및 일반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실험에서 사육수 평균수온 14.3±1.9℃인 동절기에서 단백질 함량 53~56 중량%, 지질 함량 10~16 중량%의 사료조성이 육성기 넙치의 사료소비율 및 증체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단백질 및 지질의 함량이 각각 56 중량%, 16 중량%보다 높으면, 사료형태의 안정성 및 넙치의 사료소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양식어에 의하여 섭이되지 않고 낭비되는 양이 많았으며, 단백질 및 지질의 함량이 각각 53 중량%, 10 중량%보다 낮으면, 양식어체의 증체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가장 우수한 단백질/지질의 함량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험사료를 총 6종으로 실험사료의 단백질원으로 갈색어분인 멸치어분, 크릴밀 및 발효대두박을 사용하여 단백질 함량을 53%, 56%로 설계하였고, 지질원으로 어유를 첨가하여 각 단백질 함량별로 지질 함량을 10%, 13%, 16%로 설계하였다.
탄수화물원으로는 밀가루와 타피오카 전분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함량과 지질함량에 따라 밀가루로 조절하였다. 모든 실험사료는 제주어류양식수협 친환경 사료사업본부에 위탁하여 EP제조기를 사용하여 사료크기 직경 9~11mm로 부상사료로 제조하였고, 제조 후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에서 상온에서 보관하며 실험하였다.
동절기용 넙치 배합사료 조성

실험구
고단백/저지방
(P56/L10)
고단백/중지방
(P56/L13)
고단백/고지방
(P56/L16)
저단백/저지방
(P53/L10)
저단백/중지방
(P53/L13)
저단백/고지방
(P53/L16)
멸치어분
(페루산)
71.0 71.0 71.0 66.0 66.0 66.0
크릴밀 4.0 4.0 4.0 4.0 4.0 4.0
발효대두박 4.0 4.0 4.0 4.0 4.0 4.0
어유 2.0 5.0 8.0 2.5 5.5 8.5
소맥분
(2등급)
11.0 8.0 5.0 15.5 12.5 9.5
타피오카전분 4.0 4.0 4.0 4.0 4.0 4.0
염화콜린 0.2 0.2 0.2 0.2 0.2 0.2
비타민+미네랄제 0.5 0.5 0.5 0.5 0.5 0.5
메티오닌 0.1 0.1 0.1 0.1 0.1 0.1
일인산칼륨 1.0 1.0 1.0 1.0 1.0 1.0
기타첨가제 2.2 2.2 2.2 2.2 2.2 2.2
영양성분(%, 건물)
수분 9.3 7.1 8.2 8.6 8.5 7.5
조단백질 56.3 56.1 56.0 53.2 53.0 52.8
조지질 9.9 13.0 16.1 10.0 13.1 16.2
조회분 15.5 15.2 15.3 14.2 14.3 14.2
에너지
(cal/g)
4,570 4,707 5,069 4,389 4,667 4,878
*유화제(레시틴), 타우린, 베타글루칸, 효소제, 생균제
A.2. 실험어 및 사육관리
실험어는 평균무계 474±12.10g 인 성어기 넙치를 3톤 원형수조에 25마리씩 수용하여 실험구당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중 평균 수온은 14.3±1.9℃(12.4~16.2℃) 이었으며, 이는 일반 넙치 양식장에서 동절기의 평균 수온에 해당한다. 사료는 만복으로 1일 1회(오전 10시) 공급하였다. 총 사육실험기간은 9주간 실시하였다.
A.3. 어체 측정
어체 측정은 4주에 1번씩 중간측정 하였으며 실험 종료 시 24시간 절식시킨 후 MS-222 100ppm에 마취하여 전체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사료별 사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증체율, 사료효율, 단백질전환효율, 지질전환효율, 인간성장률, 일간사료섭식율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구당 5마리씩(5마리×3반복) 무작위 선택하여 비만도, 간중량지수, 내장 중량지수를 측정하였다.
A.4. 일반성분 분석
실험사료, 간, 등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시료를 취하여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간, 등근육 및 지느러미살 분석은 각 수조에서 5마리씩 무작위초 추출한 각각의 샘플을 마쇄하여 사용하였으며, AOAC(2002)의 방법에 따라 수분은 105℃의 dry oven에서 6시간 건조 후 측정 하였으며, 조단백질 (N×6.25)은 Auto Kjeldahl System (Gerhardt VAP50OT/TT125, KG, Germany)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지방은 조지방 추출기(Velp SER 148, Usmate, Italy)를 사용하여 ether로 추출한 후 측정하였다.
A.5. 통계처리
실험의 분석결과는 각각의 군별로 평균과 표준 편차(meanㅁ S.D.)를 사용하여 표기 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Windows용 SPSS 프로그램(Statistical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Inc, Chicago, IL,USA)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반복측정에 의한 ANOVA test를 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로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 < 0.05 에서 결정되었다.
B. 동절기에 적합한 넙치 사료 조성의 결정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절기용 넙치 배합사료 사육실험 결과를 나타내며, 도 1은 동절기 넙치 배합사료 급이에 따른 넙치의 증체율 및 사료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육성기 넙치의 동절기시 단백질 에너지 비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조단백질을 각각 53%, 56%로 설정하여 조지질 함량 조단백질 함량별로 10%, 13%, 16%로 맞춰 제조한 사료를 9주간 공급한 성장결과를 표 2와 그림 1에 작성하였다.
증체율(Weight gain)과 일간성장률(Specific growth rate)은 P56/L16 실험구가 P56/L10, P56/L13, P53/L10, P53/L13 및 P53/L16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 P53/L10 및 P53/L13 실험구는 P56/L10, P56/L13 및 P53/L16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사료효율(Feed efficiency)은 P56/L16 실험구가 P56/L10, P56/L13, P53/L10, P53/L13 및 P53/L16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 P53/L10 실험구는 P56/L10, P56/L13, P53/L13, P56/L16 및 P53/L16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단백질 전환효율(Protein efficiency ratio)은 P56/L16 실험구가 P56/L10, P53/L10, P53/L13 및 P53/L16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 P56/L13 실험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일간사료섭취율(Daily feed intake)에서는 P56/L16 실험구가 P56/L13, P53/L10, P53/L13 및 P53/L16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생존율(Survival)의 경우, P56/L10 실험구가 P56/L16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높은 단백질을 함유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어에서 높은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단백질 함량이 같을 때 고지방일수록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에서 좋은 효과가 나타났다.
다른 어종들에 있어서 사료 내 에너지 수준에 따른 적정 단백질 함량을 보면, 치어기 뱀장어의 경우 에너지 4500 cal/g 수준에 대한 단백질 함량이 45%인 사료에서 최대의 성장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yellowtail king fish를 대상으로 성장단계별로 사료내 에너지 수준에 따른 적정 단백질 함량을 평가한 결과, 어체중량 200g 이하일 때, 에너지 2870 cal/g 수준에 대한 단백질 함량이 45.6%, 어체중량이 200~1000g 내외일 경우에는 에너지 3600 cal/g 수준에 대한 단백질 함량이 46.5%, 어체중량이 1000g 이상일 때에는 에너지 4300 cal/g 수준에 대한 단백질 함량이 43.2%라는 보고가 있다. 이와 같이 어종과 크기 및 환경조건에 따라서 단백질 에너지 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동절기의 환경조건에서 육성기 넙치에 필요한 적정 단백질 에너지 비를 찾아 확립하는 것이 넙치 양식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절기용 넙치 배합사료 사육실험 결과
실험구
고단백/저지방
(P56/L10)
고단백/중지방
(P56/L13)
고단백/고지방
(P56/L16)
저단백/저지방
(P53/L10)
저단백/중지방
(P53/L13)
저단백 /고지방
(P53/L16)
initial weight (g/fish) 475±19.5 486±12.7 478±13.3 465±18.3 477±7.4 475±8.6
Final weight (g/fish) 598±26.4 635±12.4 668±28.6 561±23.0 582±11.2 596±8.9
2Weight gain (%) 26.0±1.62c 30.5±2.07b 39.9±2.73a 20.9±0.63d 22.0±0.51d 25.3±0.47c
3Feed efficiency (%) 70.7±3.20c 76.6±3.21b 83.7±3.12a 66.0±1.59d 70.7±1.36c 74.3±1.88b
4Specific growth rate (%) 0.30±0.02c 0.35±0.02b 0.44±0.03a 0.25±0.01d 0.26±0.01d 0.29±0.01c
5Protein efficiency ratio 1.18±0.16c 1.66±0.13ab 1.84±0.03a 1.04±0.10c 1.14±0.14c 1.46±0.23b
6Daily feed intake (%) 0.42±0.03c 0.45±0.01b 0.52±0.01a 0.37±0.02c 0.37±0.01c 0.39±0.02c
7Condition factor 1.12±0.05ns 1.14±0.06 1.20±0.11 1.10±0.07 1.11±0.07 1.12±0.02
8Hepatosomatic index 1.30±0.11bc 1.49±0.08b 1.96±0.15a 1.21±0.20c 1.38±0.07bc 1.42±0.09bc
9Survival (%) 93.4±2.23b 97.3±4.62ab 100±0.00a 98.7±2.22a 96.0±4.00ab 97.3±2.36ab
1Values are means from triplicate groups of fish where the values in each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Weight gain (%) = (final weight - initial weight) × 100 / initial weight.
3Feed efficiency (%) = wet weight gain (g) × 100 / dry feed intake (g).
4Specific growth rate (%) = (logefinalwt.-logeinitialwt.)/days.
5Protein efficiency ratio = wet weight gain / protein intake.
6Daily feed intake (%) = feed intake (dry matter) × 100/[(initial fish wt. + final wt. + dead fish wt.)2 × days fed].
7condition factor = 100 × bady weight/Total body length3
8Hepatosomatic index = liver weight/body weight × 100
9Survival (%) = Number of fish at end of experiment/ Number of fish stocked × 100
일반적으로 넙치에서는 적수온일 때 단백질 에너지 비 실험결과 치어기 넙치에서 사료 내 에너지 4000 Kcal 수준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 45%, 조지질 11%일 때 최대 증체율, 사료효율 및 일간 성장율을 보이며, 사육수온 21~24℃인 여름철에 10~50g의 넙치 치어에서 적정 지질함량을 실험한 결과 단백질 52%를 함유한 사료일 때 적정 지질 함량이 9~10%(Energy: 4,774 kcal, P/E ratio : 108mg protein/kcal)내외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위한 실험결과 여름철보다 높은 단백질 및 지질함량의 사료조성에서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등이 뛰어나 하절기와 동절기에 다른 사료조성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렇게 수온에 따라 어종의 단백질 에너지 비가 달라지는 이유는 수온에 따라 어종의 사료섭취량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통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높을 경우, 탄수화물이나 지질의 양이 늘어날수록 성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이는데, 어류는 포유류와 달리 탄수화물 및 지질 에너지에 대한 이용성이 낮고 단백질에 대한 이용성이 높아 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이 충분할 경우 에너지원인 지질은 과잉 첨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오히려 성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선행실험에서 여름철(21~24℃)에 넙치 치어(10~50g)에서 적정 지질함량을 실험한 결과 지질이 과다 첨가될 경우 오히려 성장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미도시).
그러나 본 실험결과는 이전실험과는 상반되게, 사료 내 고단백질과 고지방을 함유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오히려 성장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에는 어류의 사료섭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사료를 공급 시 평소보다 높은 단백질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성장에 좋은 결과를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수온에 대한 사료공급율은 넙치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전 실험결과 수온이 19~21℃에서 사육한 240g 크기의 넙치에 대한 적정 공급률은 어체 중 당 1.09%인 것으로 보고되었고, 12~14℃에서 사육한 370g 의 넙치의 적정 공급률은 어체중 당 0.51% 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21~24℃에서 사육한 317g 크기의 넙치의 공급률은 0.99%인 것으로 보고되어 같은 어종이라도 크기와 수온에 따라 사료섭취량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적정 사료 섭취율이 낮아지는 겨울철에는 사료 내 단백질과 에너지를 높이는 것이 본 실험 결과 성장, 사료효율 및 사료섭취율에서 좋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절기 넙치 배합사료의 단백질/지방 조성비에 따른 넙치의 비만도(Condition factor) 및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육성기 넙치의 비만도에서는 전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5), 지질 함량이 높아질수록 비만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중량지수에서는 P56/L16 실험구가 P56/L10, P56/13 P53/L10, P53/L13 및 P53/L16 실험구들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0.05).
본 실험결과 고단백/고지방 사료로 갈수록 간중량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류의 체내 대사작용 중 pentose posphate cycle이 사료공급률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사료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여분의 에너지가 pentose phosphate cycle로 생성된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를 통해 지방산으로 환원되면서 판토데닉산으로 전환되며, 전환된 판토테닉산은 글리세롤과 반응하여 중성지방이 되어 간에 축적이 되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사료 내 에너지 함량이 높을수록 간 조직 내 지방이 더 많이 축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절기 넙치 배합사료의 단백질/지방 조성비에 따른 실험구의 사료적합도를 각 평가항목별로 수치화한 것이며, 도 3은 수치화된 값을 등고선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동절기 넙치 배합사료의 단백질/지방 조성비 사료적합성 평가
실험구
고단백/저지방
( P56 / L10 )
고단백/ 중지방
( P56 / L13 )
고단백/고지방
( P56 / L16 )
저단백 /저지방
( P53 / L10 )
저단백 / 중지방
( P53 / L13 )
저단백 /고지방
( P53 / L16 )
2Weight gain (%) 3 2 1 6 5 4
3Feed efficiency (%) 4 2 1 6 5 3
4Specific growth rate (%) 3 2 1 6 5 4
5Protein efficiency ratio 4 2 1 6 5 3
6Daily feed intake (%) 3 2 1 5 5 4
7Condition factor 3 2 1 6 5 4
8Hepatosometic index 5 2 1 6 4 3
9Survival (%) 6 3 1 2 5 3
Total Score 31 17 8 43 39 28
P53/L10, P53/L13, P53/L16, P56/L10, P56/L13, 및 P56/L16의 각 실험구에서 기록된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단백질전환효율, 일간사료섭취율, 비만도 및 간중량지수를 각각 우수한 순서대로 가장 우수한 실험구에는 1등급, 가장 낮은 효과를 보인 실험구에는 6등급을 주어 1~6등급으로 점수화하고 이를 합산하여 종합 점수를 비교하였다. 합산한 점수가 낮을수록 동절기 넙치 사료로서 적합한 사료조성임을 알 수 있다.
각 평가항목에서 P56/L16의 고단백/고지방의 사료조성을 갖는 실험구에서 각 평가항목에서 가장 높은 등급을 획득하였으며, P53/L10의 저단백/저지방의 실험구에서 가장 낮은 등급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실험결과 조단백질과 조지질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고고) 오히려 넙치의 생장이 저하되므로(성장 저해 영역) 단백/지방의 사료조성 영역에서 제외하였다. 이를 도 3과 같이 등고선으로 나타내면 사료 내 에너지함량이 높을수록 동절기 넙치양식에서 육성기의 넙치 양식에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단백질 에너지 비의 적정 요구량을 구하는 것은 어체의 성장만이 아니라 어체의 건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적정 단백질에너지 비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해 육성기 넙치(474±12.10g)의 적정 단백질 에너지 비는 조단백질 56%, 조지질 16%에서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율 및 사료섭취율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보여주었는바, 멸치어분 71 중량%, 크릴분말 4 중량%, 발효대두박 4 중량%, 어유 8 중량%, 소맥분 5 중량%, 타피오카전분 4 중량%, 염화콜린 0.2 중량%, 비타민과 미네랄제 혼합물 0.5 중량%, 메티오닌 0.1 중량%, 일인산칼슘 1 중량%, 기타 첨가제 2.2 중량%로 조성되는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을 결정하였다.
본 발명은 조단백질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용 넙치 배합사료를 제공하여, 먹이섭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사육수 평균수온 14.3±1.9℃의 저수온 양식환경에서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및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켜 건강한 양식어를 사육시킬 수 있어 양식어가의 소득증대에 도윰이 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사육수 평균수온 14.3±1.9℃의 동절기 저수온 양식환경에서 육성기 양식 넙치 배합사료의 영양성분은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영양성분의 조성물은 멸치어분 71 중량%, 크릴분말 4 중량%, 발효대두박 4 중량%, 어유 8 중량%, 소맥분 5 중량%, 타피오카전분 4 중량%, 염화콜린 0.2 중량%, 비타민과 미네랄제 혼합물 0.5 중량%, 메티오닌 0.1 중량%, 일인산칼슘 1 중량%, 기타 첨가제 2.2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타첨가제는 유화제, 타우린, 베타클루칸, 효소제, 생균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첨가되며;
    상기 영양성분 조성물의 에너지는 4700~5070 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절기 넙치 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24299A 2015-09-02 2015-09-02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164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99A KR101644774B1 (ko) 2015-09-02 2015-09-02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99A KR101644774B1 (ko) 2015-09-02 2015-09-02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959A Division KR20170027650A (ko) 2016-03-02 2016-03-02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774B1 true KR101644774B1 (ko) 2016-08-04

Family

ID=5670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299A KR101644774B1 (ko) 2015-09-02 2015-09-02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7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74B1 (ko) * 2018-11-12 2020-05-20 경기도 아쿠아포닉스 전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262B1 (ko) 2019-11-07 2021-04-09 대한민국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KR102558684B1 (ko) * 2022-09-06 2023-07-25 대봉엘에프 영어조합법인 넙치 친어용 ep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58A (ko) 1995-08-31 1997-03-27 유상부 저공해 연소버너
KR100660642B1 (ko)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1087019B1 (ko) 2009-03-10 2011-11-25 주식회사 바이오허브 해산어류용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산어류 양식용 사료
KR101453762B1 (ko) * 2014-08-05 2014-10-22 대한민국 매니옥 전분을 함유하는 넙치용 고단백 ep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58A (ko) 1995-08-31 1997-03-27 유상부 저공해 연소버너
KR100660642B1 (ko)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1087019B1 (ko) 2009-03-10 2011-11-25 주식회사 바이오허브 해산어류용 양식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산어류 양식용 사료
KR101453762B1 (ko) * 2014-08-05 2014-10-22 대한민국 매니옥 전분을 함유하는 넙치용 고단백 ep 사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조단백질 56 중량%, 조지질 16 중량%, 조회분 15.3%, 기타 12.7 중량%를 포함하여 육성기 넙치의 증체량, 사료효율 등을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동절기용 넙치 배합 사료에 관한 본 발명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74B1 (ko) * 2018-11-12 2020-05-20 경기도 아쿠아포닉스 전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262B1 (ko) 2019-11-07 2021-04-09 대한민국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KR102558684B1 (ko) * 2022-09-06 2023-07-25 대봉엘에프 영어조합법인 넙치 친어용 ep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o et al. Effect of dietary lipid level on nutritional performance of the surubim, Pseudoplatystoma coruscans
Takeuchi et al. Common carp, Cyprinus carpio.
Shiau ShiYen Tilapia, Oreochromis spp.
Hernández et al. Enhancement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diets based on terrestrial protein sources via the inclusion of tuna by-product protein hydrolysates
Fall et al. The effects of replacement of soybean meal by shrimp shell meal on the growth of hybrid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x Oreochromis aureus) reared under brackish water
CN102754742A (zh) 脆化鲩配合饲料
KR101644774B1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CN111357885A (zh) 促进蛋雏鸡体型和骨骼发育的全价料、预混料及其配制方法
KR20170027650A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Lee et al. Haemoglobin powder as a dietary fish meal replacer in juvenil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Temminck et Schlegel)
Robinson et al.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CN102696896B (zh) 一种米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644775B1 (ko)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Adeyemi et al. Growth response of growing pigs to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cassava plant meal
CN104322907A (zh) 30-60kg民猪生长育肥猪专用饲料及制备方法
KR10176579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N109907164A (zh) 一种含黑水虻的提高肉鸭生长性能的饲料
Nwanna et al. Phosphorus requirement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ased on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CN107897577A (zh) 青虾双壳症防控饲料及防控方法
CN109907181A (zh) 一种低鱼粉蛋白珍珠龙胆石斑鱼配合饲料
El-Kelawy et al. The effects of date stone meal with or without enzymes suplem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rabbits
KR20160053190A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US20160100611A1 (en) Dietary supplements and additives for livestock
Sipaúba-Tavares et al. Eichhornia crassipes biomass as a dietary supplement for Pterophyllum scalare (Schultze, 1823)
KR20170031599A (ko)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3

Effective date: 201606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3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3

Effective date: 201606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