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230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230B1
KR101643230B1 KR1020150131454A KR20150131454A KR101643230B1 KR 101643230 B1 KR101643230 B1 KR 101643230B1 KR 1020150131454 A KR1020150131454 A KR 1020150131454A KR 20150131454 A KR20150131454 A KR 20150131454A KR 101643230 B1 KR101643230 B1 KR 10164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wire
longitudinal direction
length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기
유현승
서준혁
송석범
박준규
진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to KR102015013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4Stents retaining their form, i.e. not being deformable, after placement in the predetermined pl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의 수축변화량을 최소화하는 스텐트가 개시되며, 본원의 스텐트는, 링구조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 셀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링구조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스텐트의 확장시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나도록 변형되고, 상기 원래의 길이로 회복되지 않는 길이 더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원은 스텐트의 리코일(recoil)을 줄이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생체의 내강(內腔) 또는 혈관 등에 발생한 병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내강 또는 혈관 등의 통로를 확보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텐트는 동맥류, 혈전증, 색전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로서, 폐쇄를 경감하기 위해 관의 루멘 내측에 잔류하는 관형구조체이다.
스텐트는 압축된 형태로 삽입된 후 제위치에서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장치의 도움으로 팽창된다. 협착(stenosis)을 경감하기 위한 관상동맥(coronary artery) 수술에 사용될 때, 스텐트는 대퇴부 동맥을 통해 경피술에 의해 위치된다. 이러한 형태의 수술에서, 스텐트는 카테터를 통해서 전달되고 자체적으로 팽창되거나, 풍선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자체 팽창식 스텐트는 수축력을 받아도 자체적으로 탄성 복원됨으로써, 압력이나 이동에 견디고 자신의 형상을 유지한다. 그리고 풍선 팽창식 스텐트는 풍선이 팽창됨에 따라 확장된 형상을 취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이후 풍선 및 카테터가 제거되더라도 수축되지 않고 확장된 형상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다만, 풍선 및 카테터의 제거 후에는 스텐트가 약간 수축될 수 있는데, 그 수축 변화량이 극도로 커지게 될 경우, 스텐트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492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확장된 스텐트의 수축을 방지하거나 수축 변화량(리코일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는, 링구조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 셀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링구조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스텐트의 확장시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나도록 변형되고, 상기 원래의 길이로 회복되지 않는 길이 더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더미부는,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되는 각도는, 상기 절곡된 부분에 대한 탄성을 적어도 일부 소실시켜, 상기 절곡된 부분이 펴졌을 때 다시 절곡되는 방향으로 완전히 탄성 회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더미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스텐트가 확장될 경우, 상기 길이 더미부가 중복된 길이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링구조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되되,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마루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골을 형성하며, 상기 마루 및 상기 골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임 형성되는 절곡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 변형부의 절곡되는 각도는, 상기 절곡된 부분에 대한 탄성을 적어도 일부 소실시켜, 상기 절곡된 부분이 펴졌을 때 다시 절곡되는 방향으로 완전히 탄성 회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 변형부는, 탄성변형보다 소성변형이 보다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링크부재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셀부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와이어와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부분과, 상기 제1 와이어와 이웃하는 제2 와이어의 일부분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부분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부분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길이 더미부를 구비함으로써, 스텐트가 확장될 때 절곡된 상태의 길이 더미부가 소성변형에 의해 펴지게 되므로, 확장된 스텐트가 탄성회복에 의하여 다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절곡 변형부를 구비함으로써, 스텐트가 탄성변형보다는 소성변형을 통해 확장될 수 있어, 확장된 스텐트가 다시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회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과제 해결수단에 의하면, 길이 더미부 및 절곡 변형부의 상호작용으로 스텐트의 리코일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3은 스텐트가 확장된 전의 길이 더미부 및 절곡 변형부와 스텐트가 확장된 후의 길이 더미부 및 절곡 변형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과 관련하여, 스텐트는 재료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 의해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는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데, 확장된 스텐트가 수축될 경우, 그 수축 변화량은 스텐트의 재질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텐트의 재질은 코발트 크롬 합금과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코발트 크롬 합금을 사용할 경우 스텐트의 수축 변화량은 5-6%인 반면, 폴리머를 사용할 경우에는 코발트 크롬 합금 재질의 스텐트보다 수축 변화량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본원은 폴리머를 사용한 생분해성 스텐트 등과 같은 스텐트가 확장되어 혈관 내에 배치되었을 때 다시 수축되는 변화량(리코일량)을 줄이기 위하여 스텐트의 구조를 개량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원의 스텐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축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큰 생분해성 스텐트에 적용되는 경우에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스텐트는 이러한 생분해성 스텐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용도 내지 재질의 스텐트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상세히 살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본 스텐트(100)는 셀부(110) 및 복수의 링크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셀부(110)는 링구조가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될 수 있다. 링 구조란 스텐트(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띠형상을 이루며 배열된 와이어가 고리를 이루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셀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제1와이어(111) 및 제 2와이어(112)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111)는 스텐트(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되고, 제2와이어(112)는 제1와이어(111)와 상호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와이어(111)와 이웃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셀부(110)는 스텐트(10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제1와이어(111) 및 제2와이어(112)는 복수의 링구조(R1, R2, R3...RN)를 이루며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구조는, 지그재그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되되,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마루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골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의 R1, R2, R3...RN참조)
또한 셀부(110)를 이루는 각각의 링구조(도 1 R1, R2, R3...RN참조)의 마루 및 골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 변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 변형부(13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임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절곡 변형부(130)는 오메가(Ω)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절곡 변형부(13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원호 형상의 양끝단이 방향을 전환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 연장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절곡 변형부(130)는 링구조의 마루 및 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절곡 변형부(130)의 절곡부분의 각도는 절곡된 부분에 대한 탄성을 적어도 일부 소실시켜, 절곡된 부분이 펴졌을 때 다시 절곡되는 방향으로 완전히 탄성 회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일 수 있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확장된 스텐트(100)는 풍선, 카테터 등이 제거되면 다시 탄성 수축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원에 의하면, 스텐트(100)가 확장될 때 탄성이 소실된 절곡 변형부(130)가 소성변형에 의하여 더 꺾이게 변형되며 스텐트(100)의 확장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풍선, 카테터 등이 제거된 다음에 스텐트(100)가 다시 탄성 수축되어 스텐트(100)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절곡 변형부(130)는 확장된 스텐트(100)가 원치 않게 수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탄성이 적어도 일부 소실된 영역(탄성 한계를 벗어나는 소성 변형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변형부(130)는 탄성변형보다 소성변형이 보다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링크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링구조(도 1의 R1, R2, R3...RN)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도1에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링구조(R1), 링크부재(120), 링구조(R2), 링크부재(120), 링구조(R3)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20)는 제1 와이어(111)의 일부분과, 제1 와이어(111)와 이웃하는 제2 와이어(112)의 일부분을 연결하되, 제1 와이어(111)의 일부분과 상기 제2 와이어(112)의 일부분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즉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와이어(111)의 일부분과 제2와이어(112)의 일부분은 서로 마주볼 수 있으며, 링크부재(120)는 이렇게 서로 마주보는 제1 와이어(111)의 일부분과 제2 와이어(112)의 일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20) 각각은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도 2 참조). 즉 링크부재(120) 각각은 스텐트(100)의 길이방향과 소정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링크부재(120)는 대략 2시-8시 방향 또는 대략 10시-4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링크부재(120) 각각이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됨에 따라, 스텐트(100)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진 만큼 스텐트(100)의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스텐트(100)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된 링크부재(120) 각각은 스텐트(100)의 직경이 유연하게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링크부재(120)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R1 링구조와 R2 링구조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20)는 전개도 상에서 보았을 때 10시-4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R2 링구조와 R3 링구조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20)는 전개도 상에서 보았을 때 8시-2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링크부재(120) 각각은, 길이 더미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더미부(121)는 스텐트(100)의 리코일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본원에서의 리코일(recoil)이라 함은 확장된 스텐트(100)가 수축될 경우, 수축되는 변화량을 의미한다. 길이 더미부(121)는 스텐트(100)의 확장시에 소성변형을 통해 길이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다시 본래의 길이로 탄성회복되지 못하도록 하여 수축을 방지하거나 수축되는 변화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길이 더미부(121)는 스텐트(100)의 확장시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나도록 변형되고, 원래의 길이로 회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더미부(121)는,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더미부(121)는 링크부재(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길이 더미부(121)는 1회 이상 절곡되어 적어도 일부가 서로 포개어지는(중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길이 더미부(121)는 알파벳 S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 등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이처럼 길이 더미부(121)는 다양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길이 더미부(121)는 절곡된 부분의 탄성이 적어도 일부 소실되어, 스텐트(100)의 확장시 탄성 회복이 불가능하도록 소성 변형되어 연장될 수 있는 형상 및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길이 더미부(121)의 절곡되는 각도는 절곡된 부분에 대한 탄성을 적어도 일부 소실시켜, 절곡된 부분이 펴졌을 때 다시 절곡되는 방향으로 완전히 탄성 회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곡되는 각도는 160도 내지 180도, 바람직하게는 180도일 수 있다.
한편 링크부재(120)는 스텐트(100)가 확장될 경우, 길이 더미부(121)가 중복된 길이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곡되는 개수가 많아질수록 스텐트(100)의 확장범위는 넓어질 수 있다.
도 3은 스텐트가 확장된 전의 길이 더미부 및 절곡 변형부와 스텐트가 확장된 후의 길이 더미부 및 절곡 변형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스텐트(100)가 확장되기 전의 길이 더미부(121) 및 절곡 변형부(1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스텐트(100)가 확장된 후의 길이 더미부(121) 및 절곡 변형부(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길이 더미부(121)는 스텐트가 확장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일직선으로 펴지게 된다. 이때 길이 더미부(121)의 길이(L1')는 길이 더미부(121)의 중복(중첩)된 길이(L1'-L1)의 2배만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절곡 변형부(130)를 이루는 일측과 타측 사이의 길이(L2)는 스텐트가 확장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 사이가 벌어져서 길이(L2')가 늘어날 수 있다.
상술한 본원의 스텐트(100)는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 길이 더미부(121)와 절곡 변형부(130)가 상호작용되어 스텐트(100)의 리코일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100)의 확장시, 소성변형을 통해 그 길이가 연장된 길이 더미부(121)는 절곡된 부분이 확장되기 전의 모습(절곡되는 방향으로 다시 돌아가려는 모습)으로 회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절곡 변형부(130)에 의해 링구조가 탄성 한계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소성 변형됨으로써, 확장된 스텐트(100)가 탄성 회복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풍선, 카테터 등을 제거한 다음 혈관이 수축되면서 작용되는 수축력에 대해서도 보다 강하게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텐트
110: 셀부
120: 링크부재
121: 길이 더미부
130: 절곡 변형부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 있어서,
    링구조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열된 셀부;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링구조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스텐트의 확장시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나도록 변형되고, 상기 원래의 길이로 회복되지 않는 길이 더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더미부는, 1회 이상 절곡되되,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 및 상기 타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 각각은 탄성이 적어도 일부 소실된 부분으로서, 180도의 각도만큼 절곡되며,
    상기 스텐트의 확장시, 상기 탄성이 적어도 일부 소실된 부분은 상기 길이 더미부의 탄성 회복이 방지되도록 180도의 각도 범위만큼 펴지면서 소성 변형되는 것인, 스텐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열되는 것인, 스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스텐트가 확장될 경우, 상기 길이 더미부가 중복된 길이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것인, 스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구조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되되,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마루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골을 형성하며,
    상기 마루 및 상기 골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임 형성되는 절곡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변형부는, 탄성변형보다 소성변형이 보다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링크부재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인, 스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는,
    상기 스텐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와이어와 이웃하게 배열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부분과, 상기 제1 와이어와 이웃하는 제2 와이어의 일부분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부분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부분은 서로 나란한 것인, 스텐트.
KR1020150131454A 2015-09-17 2015-09-17 스텐트 KR10164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54A KR101643230B1 (ko) 2015-09-17 2015-09-17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54A KR101643230B1 (ko) 2015-09-17 2015-09-17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230B1 true KR101643230B1 (ko) 2016-07-28

Family

ID=5668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54A KR101643230B1 (ko) 2015-09-17 2015-09-17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2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224A (ja) * 2001-02-01 2002-08-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ステント
JP2003500101A (ja) * 1999-05-20 2003-01-07 コナー メド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延性蝶番を備えた拡張可能な医療用器具
KR20030081411A (ko) * 2001-02-01 2003-10-17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텐트
KR20100001570A (ko)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101A (ja) * 1999-05-20 2003-01-07 コナー メド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延性蝶番を備えた拡張可能な医療用器具
JP2002224224A (ja) * 2001-02-01 2002-08-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ステント
KR20030081411A (ko) * 2001-02-01 2003-10-17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텐트
KR20100001570A (ko)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5166B1 (en) Flexible stent
JP5005542B2 (ja) 拡張型ステント用に最適化されたフレックスリンク
KR101314224B1 (ko) 플렉서블 장치
US7648526B2 (en) Extendable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US7323007B2 (en)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KR101799713B1 (ko) 스텐트
KR101643230B1 (ko) 스텐트
US20190021886A1 (en) Segmented self-expanding stent
KR100667618B1 (ko) 이중배열 스트럿을 갖는 혈관용 스텐트
KR101740716B1 (ko) 댐핑부를 갖는 스텐트
JP2021041259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2016064047A (ja) ポリマーステント
JP2004329790A (ja) 血管追従性・管腔径保持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KR102453480B1 (ko) 혈전 제거용 스텐트
JP2004329789A (ja) 血管追従性と拡張性の優れたステント
KR101064215B1 (ko) 확장형 스텐트
JP5037514B2 (ja) ねじれ解消形状を有するステント
JP2004313222A (ja) 血管追従性と血管径保持性の優れた均一に拡張する柔軟なステント
JP6617994B2 (ja) 端部の抵抗力が強化された医療用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JP2004267492A (ja) 血管径保持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KR101176014B1 (ko) 인체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삽입장치
JP2006305268A (ja) 管腔拡張用具
AU2014201135B2 (en) Flexible stent
KR100342707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확장부위를 메우기 위한 인조혈관기구
JP2006136589A (ja) 血管追従性および拡張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