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459B1 -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 Google Patents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459B1
KR101642459B1 KR1020140178066A KR20140178066A KR101642459B1 KR 101642459 B1 KR101642459 B1 KR 101642459B1 KR 1020140178066 A KR1020140178066 A KR 1020140178066A KR 20140178066 A KR20140178066 A KR 20140178066A KR 101642459 B1 KR101642459 B1 KR 10164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ligament
fixing part
elastic band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487A (ko
Inventor
이충휘
송현성
김희구
임원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4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넙다리근막 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passive insufficiency)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되어, 고관절탈구방지를 하게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수평하게 설치된 고리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와, 사선으로 설치된 고리인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를 구비하며, 띠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장착부; 상단이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큰볼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큰볼기근 인조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의 하단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하단에 연결되며, 장경인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장경인대 인조인대; 상단 중간에,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이 연결되며, 무릎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무릎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Guard for Preventing Hip Dislocation}
본 발명은, 넙다리근막 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passive insufficiency)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되어, 고관절탈구방지를 하게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인공고관절수술 건수는 8년 새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탈구로 인한 재수술건수도 꾸준히 늘고 있으며, 더욱이, 앞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고관절치환술을 받는 환자는 더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보호대의 필요성은 증대된다.
고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해, 첫째, 고관절 모음(adduction, 외전) 안하기, 둘째, 고관절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 내회전) 안하기, 셋째 고관절 90도 이상 굽히(felxion, 굴곡)지 않기의 이 세 가지 규칙을 지키며 생활해야한다.
현재 시판되는 외전보조기(hip brace)는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등의 비탄성 재질로 제작되어있는데, 이는 수술 후 3개월 이내의 급성기 환자에게는 알맞으나, 회복 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체 무게로 지나친 제한과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고관절탈구방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하는 환자들을 위하여 탄력밴드로 이루어진 보호대가 요망된다.
최근에 고관절 보호용 팬티로, 엉덩이부위에 쿠션을 넣거나, 고관절 부위를 밴드형태로 감싸는 형태의 팬티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팬티는 고관절 부위 전체를 탄력밴드로 감싸고 있어 움직임을 둔화시키나,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역할을 별도로 행하지 못하여, 움직임이 둔화되어 일상생활을 하기에 불편하면서도, 고관절탈구방지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0-0009709호는 고관절 보호를 위한 외전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연성의 플라스틱 힌지(3)를 삽입하여 제작된 고관절 연성 외전 팬티로, 연성으로 구부러지기는 하지만 여전히 딱딱한 플라스틱 힌지는 환자들이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한다.
고관절 외전에 관여하는 해부학적 근육은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 latae, TFL, 대퇴근막장근)과 장경인대(iliotibial band, 엉덩정강 근막띠)이며, 고관절 바깥돌림과 고관절 폄에 관여하는 근육은 큰볼기근(gluteus maximus, Gmax, 대둔근)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넙다리근막긴장근의 위쪽은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전상장골극)에 연결되며(보다 상세히는 위앞엉덩뼈가시(ASIS)와 엉덩뼈 능선 앞쪽에서 시작되며), 아래쪽은 장경인대에 연결된다. 장경인대는 엉덩뼈와 정강뼈의 측방을 연결하는 인대, 즉, 허벅지 바깥쪽에서 시작하여 무릎의 뼈와 연결되는 인대이다. 큰볼기근의 위쪽은 엉덩뼈능선의 뒤쪽, 즉, 엉치뼈의 뒤가쪽(천골 후면, 미골, 장골 후면)에 연결되며, 아래쪽은 장경인대, 즉, 넙다리뼈의 볼기근거친면(대퇴골 둔근조면)에 연결된다.
수동불충분(passive insufficiency)이란 근육의 불충분한 길이로 인해 운동범위에 제한이 생기는 현상으로, 탄력밴드를 넙다리근막긴장근과 큰볼기근의 위치에 따라 착용하고 그 길이를 줄여주면 넙다리근막긴장근과 큰볼기근의 근육길이가 짧아진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넙다리근막긴장근과 큰볼기근의 수동불충분현상이 보다 일찍 나타나게 만들고, 고관절 외전, 고관절 바깥돌림과 고관절 폄의 반대작용인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된다. 따라서 고관절탈구방지를 위한 자세를 만들어준다.
그러므로, 넙다리근막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되어, 고관절탈구방지를 위한 자세를 만들어주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가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넙다리근막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passive insufficiency)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되어, 고관절 탈구 방지를 하게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띠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엉덩뼈 능선 대응부의 앞쪽에 제1 밴드고정고리를 구비하고, 엉덩뼈 능선 대응부의 뒤쪽에 제2 밴드고정고리를 구비하며, 허리부분에 장착되는 허리밴드를 구비하며, 제1 밴드고정고리에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고, 제2 밴드고정고리에 큰볼기근 인조근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에 따라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일단이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의 다른 일단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다른 일단과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상부 밴드 및 무릎하부 밴드와 연결되어 있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중간에 2개의 고리를 구비하며, 허리를 감싸도록 띠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장착부; 상부는 띠형태의 2개의 탄력밴드로 이루어지며, 하부는 상기 2개의 탄력밴드와 연설된 1개의 탄력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탄력밴드는 허리장착부의 2개의 고리에 장착되는 다리장착부; 상기 다리장착부의 하단과 연결되며, 무릎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무릎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허리장착부의 2개의 고리는, 수평하게 설치된 고리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와, 사선으로 설치된 고리인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이다.
다리장착부의 상부의 띠형태의 2개의 탄력밴드는, 상단이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큰볼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큰볼기근 인조근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이며, 다리장착부의 하부의 1개의 탄력밴드는,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의 하단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하단에 연설되며, 장경인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장경인대 인조인대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수평하게 설치된 고리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와, 사선으로 설치된 고리인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를 구비하며, 띠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장착부; 상단이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큰볼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큰볼기근 인조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의 하단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하단에 연결되며, 장경인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장경인대 인조인대; 상단 중간에,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이 연결되며, 무릎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무릎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허리장착부는,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맞추도록 이루어진 표시인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를 더 구비하며,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와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의 사이에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를 구비한다.
무릎 고정부는, 무릎의 상부에 위치되어 무릎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무릎상부 고정부; 무릎의 하부에 위치되는 무릎 하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무릎하부 고정부;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의 중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 의 중간에 연결되는 밴드인 무릎상하 연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에 연결되되, 무릎의 상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1보조 탄력부;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무릎상하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에 연결되되, 무릎의 하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2보조 탄력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허리에 장착되며, 수평하게 설치된 고리인 제2 탄력밴드 고정부와, 사선으로 설치된 고리인 제1 탄력밴드 고정부를 구비하며, 띠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장착부; 상단이 제1 탄력밴드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제1 탄력밴드; 상단이 제2 탄력밴드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제2 탄력밴드; 허벅지의 측면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단이 제1 탄력밴드의 하단과 제2 탄력밴드의 하단에 연결되되, 제1 탄력밴드는 사선을 이루도록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수직 탄력밴드; 상단 중간에, 수직 탄력밴드의 하단이 연결되며, 무릎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무릎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허리장착부는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맞추도록 이루어진 표시인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를 더 구비하되,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 제2 탄력밴드 고정부, 제1 탄력밴드 고정부 순으로 장착되어 있다.
무릎 고정부는, 무릎의 상부에 위치되는 띠 형태의 밴드인 무릎상부 고정부;
무릎의 하부에 위치되는 띠 형태의 밴드인 무릎하부 고정부;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의 중간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 의 중간의 연결되는 밴드인 무릎상하 연결부;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무릎상하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에 연결되되, 무릎의 하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2보조 탄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 상부에서 경골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표시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를 구비하며, 무릎하부 고정부는 무릎 하부에서 경골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표시된 무릎하부 착용표시부를 구비한다.
무릎상부 고정부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를 구비하되,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의 상단의 좌우에 사선으로 연결되며, 무릎하부 고정부는 제1무릎하부 고정부와 제2무릎하부 고정부를 구비하되, 제1무릎하부 고정부와 제2무릎하부 고정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의 하단의 좌우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무릎 고정부는 X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에 2개의 띠형 밴드인 제1장경인대 보조부와 제2장경인대 보조부를 구비하되, 제1장경인대 보조부가 제2장경인대 보조부보다 길이가 길며, 제1장경인대 보조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에 장착되고, 제2장경인대 보조부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에 장착된다.
제1무릎상부 고정부에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가 있는 측면으로부터 1/4 지점에,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이 장착될 수 있다.
허리장착부, 무릎상부 고정부, 무릎하부 고정부 각각은 벨크로에 의해 양단이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에 따르면, 넙다리근막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의 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장경인대 인조인대, 큰볼기근 인조근을 구비하되, 실제 각 근육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여, 수동불충분(passive insufficiency)을 일으키어, 고관절내전, 고관절 안쪽돌림, 고관절 굽힘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되어, 고관절 탈구를 방지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띠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엉덩뼈 능선 대응부의 앞쪽에 제1 밴드고정고리를 구비하고, 엉덩뼈 능선 대응부의 뒤쪽에 제2 밴드고정고리를 구비하며, 허리부분에 장착되는 허리밴드를 구비하며, 제1 밴드고정고리에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고, 제2 밴드고정고리에 큰볼기근 인조근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에 따라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경제적이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사용자에 따라 근길이가 다르므로, 사용자에 따라 각 인조근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일단이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의 다른일단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다른 일단과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상부 밴드 및 무릎하부 밴드와 연결되어 있어,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가 몸에 잘 장착되어 있어, 활동에 도움을 준다.
기존의 외전보조기는 수술 후 3개월 이내, 즉 급성기에는 알맞으나, 그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환자에게 취하지 말아야할 자세를 유인물이나 시연으로 교육하여, 환자 스스로, 고관절탈구를 예방하게 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급성기 이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경우에,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고관절이 탈구될 수 있는 움직임을 제한해주는 동시에, 촉각적, 시각적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취하지 말아야할 자세에 대한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고령의 환자에게 고관절탈구 예방자세에 대한 순응도(compliance)를 높여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외전보조기로 움직임을 제한하면, 제한하고 싶은 움직임뿐만 아니라 움직여도 되는 방향까지 모두 제한하게 된다. 이는 근육의 미사용으로 인한 근력의 약화, 관절의 구축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경우 움직임이 허용되는 방향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근력과 관절의 유동성을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사용자의 기능적 움직임을 보다 빨리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고관절치환수술을 받았던 환자가 추후 뇌졸중 등으로 다리를 의식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였을 때에 고관절 탈구 예방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외전보조기는 부피가 크고 단단한 비탄성재질로 만들어져서 잠을 자거나 외출을 할 때 착용하기 불편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경우, 잠을 잘 때 착용해도 불편함이 적고 의복 밖으로 보이지 않도록 옷 속에도 착용 가능하여 외부 활동 시 발생하는 사용자의 미관상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외전보조기는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구조여서 여름과 같은 날씨에 땀발생과 접촉성 피부염의 위험이 높은 반면,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피부와 닿는 면적이 적어서 습진, 접촉성 피부염 등의 위험이 줄어든다.
도 1은 넙다리근막긴장근, 장경인대, 큰볼기근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골반에서 위앞엉덩뼈가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나타내며,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허리장착부(100), 다리 장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허리장착부(100)는 허리장착부(100)는 허리 외측고정부(130), 허리 내측고정부(150),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를 포함한다. 허리장착부(100)의 일측의 허리 외측고정부(130)와, 다른 일측의 허리 내측고정부(150)를 결합하여 허리에 장착하되,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가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위치되도록 장착하고, 이렇게 장착하면 사용자의 측면 중앙(정중앙)에 다리 장착부(200)가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와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는 다리 장착부(200)의 큰볼기근 인조근(210)과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이 각기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면 다리 장착부(200)는 사용자의 측면 중앙에 위치되게 된다.
다리 장착부(200)는 큰볼기근 인조근(210),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무릎 고정부(255), 제1보조 탄력부(2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큰볼기근 인조근(210)은 큰볼기근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즉, 제1 탄력밴드라 할 수 있으며, 상단부는 허리장착부(100)의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에 장착되고, 하단부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상단에 연결된다. 큰볼기근 인조근(210)은 큰볼기근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게 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는 제1 탄력밴드 고정부라 할 수 있다.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넙다리근막긴장근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즉, 제2 탄력밴드라 할 수 있으며, 상단부는 허리장착부(100)의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에 장착되고, 하단부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상단에 연결된다.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넙다리근막긴장근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게 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는 제2 탄력밴드 고정부라 할 수 있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는 장경인대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즉, 수직 탄력밴드라 할 수 있으며, 상단부는 큰볼기근 인조근(210)의 하단과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하단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무릎 고정부(255)의 중앙에 연결된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는 장경인대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게 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도록 이루어진다.
제1보조 탄력부(270)는 일단이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260)에 연결되되, 무릎의 상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며,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탄력성을 보조하여 준다.
무릎 고정부(255)는 무릎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릎상부 고정부(260), 무릎하부 고정부(280), 무릎상하 연결부(251), 제2보조 탄력부(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릎상부 고정부(260)는 무릎의 상부에 위치되는 띠 형태의 밴드로, 중앙의 상단은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에 연결되고, 중앙의 하단은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연결되며, 또한, 일측에 제1보조 탄력부(270)의 일단이 연결된다.
무릎상하 연결부(251)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와 연결되며, 상단은 무릎상부 고정부(260)의 중앙에 연결되고, 하단은 무릎하부 고정부(280)와 연결된다.
무릎하부 고정부(280)는 무릎의 하부에 위치되는 띠 형태의 밴드로, 중앙의 상단은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연결되며, 또한, 일측에 제2보조 탄력부(290)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2보조 탄력부(290)는 일단이 무릎상하 연결부(251)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280)에 연결되되, 무릎의 하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며, 무릎상하 연결부(251) 및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탄력성을 보조하여 준다.
도 4는 도 3의 허리장착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며, 도 5는 도 3의 허리장착부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4에서와 같이, 허리장착부(100)가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 면인 외측면에는,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 허리 외측고정부(130),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를 포함한다.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는 이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를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위치되도록 장착하도록 표시하는 수단으로, 소정 색상의 소정 형상일 수 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글자일 수 있다.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는 허리장착부(100)에서 큰볼기근 대응부에 위치되되, 큰볼기근 인조근(210)을 장착하기 위한 고리를 구비한다.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는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의 일측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큰볼기근 인조근(210)의 상단이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의 고리를 통과한 후, 큰볼기근 인조근(210)의 상단부 벨크로(220)와 몸체 벨크로부(240)이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는 큰볼기근의 결방향에 따라 사선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되,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의 고리의 좌우 일측 중에서,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에서 먼 측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약 20 ~ 70 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허리장착부(100)의 좌우 수평면과,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의 사이에 약 20 ~ 70 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는 허리장착부(100)에서 넙다리근막 긴장근 대응부에 위치되되,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을 장착하기 위한 고리를 구비한다.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는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의 일측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의 고리를 통과한 후,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상단부 벨크로(220)와 몸체 벨크로부(240)이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의 고리는 허리장착부(100)와 같이 좌우로 수평하게 위치된다.
허리 외측고정부(130)는 허리장착부(100)는 외측면 좌우양단에 벨크로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허리 내측고정부(150)와 결합하여 허리장착부(100)를 허리에 고정, 장착한다.
도 5에서와 같이, 허리장착부(100)가 피부와 접촉하는 면인 내측면에서 보면, 허리장착부(100)의 좌우양단에 벨크로로 이루어진 허리 내측고정부(150)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3의 다리 장착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며, 도 7은 도 3의 다리 장착부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다리 장착부(200)는 큰볼기근 인조근(210),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제1보조 탄력부(270), 무릎상부 고정부(260), 무릎하부 고정부(280), 무릎상하 연결부(251), 제2보조 탄력부(290),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 무릎하부 착용표시부(29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큰볼기근 인조근(210)은 상하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하단이,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상단에 연결되되, 큰볼기근의 결방향에 따라,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또는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와 소정의 각도(예로 20 내지 70도의 사이의 각도)를 가지는 사선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큰볼기근 인조근(210) 외측의 상단에 상단부 벨크로(220)를 구비하고, 큰볼기근 인조근(210) 외측의 몸체에 몸체 벨크로부(240)를 구비하여,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120)의 고리를 통과한 후, 큰볼기근 인조근(210)의 상단부 벨크로(220)와 몸체 벨크로부(240)이 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큰볼기근 인조근(210)의 길이를 조정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도록, 큰볼기근보다 작은 길이를 갖게 한다.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상하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하단이,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상단에 연결된다. 넙다리근막 긴장근의 결방향은, 도 1에서와 같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사선을 이루며, 즉,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와 거의 같은 직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는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 외측의 상단에 상단부 벨크로(220)를 구비하고,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 외측의 몸체에 몸체 벨크로부(240)를 구비하여,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110)의 고리를 통과한 후,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상단부 벨크로(220)와 몸체 벨크로부(240)이 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길이를 조정하여, 수동불충분을 일으키도록, 넙다리근막 긴장근보다 작은 길이를 갖게 한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상단은 큰볼기근 인조근(210)의 하단과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하단에 연결되며, 하단은 무릎 고정부(255)의 중앙에 연결되어, 고관절 모음(adduction, 외전), 고관절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 내회전), 고관절 굽힘(felxion, 굴곡)에 관여한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는 장경인대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보조 탄력부(270)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와 무릎상부 고정부(260)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탄력성을 보조하여 준다. 예를 들어, 무릎이 굽혀져서 장경인대 인조인대(250)가 탄성력이 떨어졌을 경우, 제1보조 탄력부(270)의 탄력성은 여전히 유지하여,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탄력성이 떨어짐을 보완해준다.
무릎상부 고정부(260)는 허벅지 중에 무릎의 상부를 감싸는 띠 형태의 밴드로, 중앙의 상단은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에 연결되고, 중앙의 하단은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연결된다. 무릎상부 고정부(260)의 일측 외측면에는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가 있다. 무릎상부 고정부(260)의 다른 일측 외측면에는 벨크로로 이루어진 무릎상부 외측 고정부(265)가 있으며, 무릎상부 고정부(260)의 내측면 일측에 벨크로로 이루어진 무릎상부 내측 고정부(267)를 구비하여, 무릎상부 외측 고정부(265)와 무릎상부 내측 고정부(267)가 결합하여 무릎 상부에 무릎상부 고정부(260)를 고정, 장착한다. 무릎상부 고정부(260)를 장착 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가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장착한다.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는 이 표시부가 무릎 상부에서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장착하도록 표시하는 수단으로, 소정 색상의 소정 형상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글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은 경골전면의 상단 바로 밑에 있는 융기를 말한다.
무릎상하 연결부(251)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경우에 따라서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릎하부 고정부(280)는 종아리 중에 무릎의 하부를 감싸는 띠 형태의 밴드로, 중앙의 상단은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연결된다.
무릎하부 고정부(280)의 일측 외측면에는 무릎하부 착용표시부(295)가 있다.무릎하부 고정부(280)의 다른 일측 외측면에는 벨크로로 이루어진 무릎하부 외측 고정부(285)가 있으며, 무릎하부 고정부(280)의 내측면 일측에 벨크로로 이루어진 무릎하부 내측 고정부(287)를 구비하여, 무릎하부 외측 고정부(285)와 무릎하부 내측 고정부(287)가 결합하여 무릎 하부에 무릎하부 고정부(280)를 고정, 장착한다. 무릎하부 고정부(280)를 장착시, 무릎하부 착용표시부(295)가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장착한다.
무릎하부 착용표시부(295)는 이 표시부가 무릎 하부에서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장착하도록 표시하는 수단으로, 소정 색상의 소정 형상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글자일 수 있다.
제2보조 탄력부(280)는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무릎하부 고정부(280) 사이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무릎상하 연결부(251)와 연결된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탄력성을 보조하여 준다. 예를 들어, 무릎이 굽혀져서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또는 무릎상하 연결부(251)가 탄성력이 떨어졌을 경우, 제2보조 탄력부(280)의 탄력성은 여전히 유지하여,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또는 무릎상하 연결부(251)의 탄력성이 떨어짐을 보완해준다.
도 8은 도 3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장착시의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장착시의 후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장착시의 장경인대 인조인대, 제1보조 탄력부 및 제2보조 탄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3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장착시 움직이지 않은 상태이고, 도 10의 (b)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장착하고 무릎을 굽혀 움직인 상태이다. 도 10의 (b)에서와 같이, 무릎이 굽혀졌다 펼쳐졌다 함에 따라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또는 무릎상하 연결부(251)가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무릎이 굽혀짐에 따라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또는 무릎상하 연결부(251)가 탄성력이 최대한대로 가해져서 더 이상 탄성력이 거의 없을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 제1보조 탄력부(270) 및 제2보조 탄력부(280)의 탄력성은 여전히 유지하여,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또는 무릎상하 연결부(251)의 탄력성이 떨어짐을 보완해준다.
도 11의 (a)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후면을 나타내며, 도 11의 (b)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11의 (c)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정면을 나타낸다.
도 8,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가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위치되도록 장착하면, 사용자의 측면 중앙부에 다리 장착부(200)가 위치되게 되고, 큰볼기근 인조근(210)은 큰볼기근 대응부에 위치되며,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넙다리근막 긴장근 대응부에 위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나타낸다.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도 허리장착부(100), 다리 장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허리장착부(100)는 도 3의 허리장착부(100)와 동일하다.
도 12의 다리 장착부(200)는 큰볼기근 인조근(210),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무릎 고정부(255), 제1보조 탄력부(2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큰볼기근 인조근(210) 및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은 도 3의 큰볼기근 인조근(210) 및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과 동일하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중간에 벨크로로 이루어진 장경인대 인조인대 벨크로부(2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큰볼기근 인조근(210)와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230)의 각 상단부 벨크로(220)는 각 몸체 벨크로부(240) 또는 장경인대 인조인대 벨크로부(247)과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몸체 벨크로부(240) 또는 장경인대 인조인대 벨크로부(247)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다리 장착부(200)는 제1보조 탄력부(270) 및 제2보조 탄력부(290)를 구비하지 않으며,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는 끝단에 장경인대 보조부(291, 292)를 더 구비한다.
장경인대 보조부(291, 292)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하단에 별도로 연결된 띠형 밴드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장경인대 보조부(291, 292)는 상하로 탄력성을 가지는 수직형 탄력밴드로, 다수개의 장경인대 보조부(291, 29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경인대 보조부(291) 및 제2장경인대 보조부(292)를 구비하여, 장경인대 인조인대(250)가 최대한도로 신장된 경우, 또는, 장경인대 인조인대(250)가 탄력성을 잃은 경우, 장경인대 인조인대(250)를 보조하여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1장경인대 보조부(291)는 제2장경인대 보조부(292)보다 길이는 길며, 폭은 같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와 무릎 고정부(255)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밴드로 이루어지되, 무릎 고정부(255)의 상단에,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가 있는 측면으로부터 약 1/4 지점에,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하단이 장착되며, 제1장경인대 보조부(291) 및 제2장경인대 보조부(292)는 무릎 고정부(255)의 중간에 장착된다. 즉, 제1장경인대 보조부(291)는 무릎상하 연결부(251)에 장착되고, 제2장경인대 보조부(292)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261)에 장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장경인대 보조부(291) 및 제2장경인대 보조부(292)의 일측은 벨크로로 이루어지고, 무릎 고정부(255)의 외측면도 벨크로로 이루어져, 제1장경인대 보조부(291) 및 제2장경인대 보조부(292)를 무릎 고정부(255)의 외측면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장경인대 인조인대(250) 하단은 무릎 고정부(255) 상단에 봉제되어 있을 수 있다.
무릎 고정부(255)는 도 3의 무릎 고정부(255)와는 다른 형태로, 무릎상하 연결부(251)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에 제1무릎상부 고정부(261), 제2무릎상부 고정부(262), 제1무릎하부 고정부(281), 제2무릎하부 고정부(282)가 연결되어 X자 형태로 이룬다. 무릎 고정부(255)는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를 기준으로 무릎에 장착한다.
무릎상하 연결부(251)는 무릎뒤쪽의 중앙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제1무릎상부 고정부(261), 제2무릎상부 고정부(262), 제1무릎하부 고정부(281), 제2무릎하부 고정부(282)가 연결되는 중심부이다.
제1무릎상부 고정부(261)는 사선의 띠모양을 이루며, 무릎상하 연결부(251)의 일측 상부에 장착된다. 제2무릎상부 고정부(262)는 사선의 띠모양을 이루며, 무릎상하 연결부(251)의 다른 일측 상부에 장착된다.
무릎상부 보조 고정부(263)은 제2무릎상부 고정부(262)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띠모양으로, 일면이 벨크로로 이루어지며, 제2무릎상부 고정부(262)의 일측에 위치되며, 굽힙 등의 운동(움직임) 중 무릎상부 고정부(261, 262)가 무릎 상부의 허벅지에서 풀어지지 않게 보조한다. 무릎하부 보조 고정부(283)은 제2무릎하부 고정부(282)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띠모양으로, 일면이 벨크로로 이루어지며, 제2무릎하부 고정부(282)의 일측에 위치되며, 굽힙 등의 운동(움직임) 중 무릎하부 고정부(281, 282)가 무릎 하부의 종아리에서 풀어지지 않게 보조한다.
도 13은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장경인대 인조인대 벨크로부의 다른 형태이다.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의 상하 방향의 신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경인대 인조인대(250)에, 가는 띠형태의 벨크로가 다수개 장착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몸체 벨크로부(240)에도 가는 띠형태의 벨크로가 다수개 장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일예이고, 도 15는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장착한 모습이다.
도 14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는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의 허리장착부(100) 및 다리 장착부(200)와 동일하며, 무릎상부 착용표시부(275) 및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140)가 글자로 이루어졌다.
도 15의 (a)는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차용한 후, 후면에서 본 모습이고, 도 15의 (b)는 도 12의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를 차용한 후, 측면에서 본 모습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허리장착부 110 :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
120 :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 130 : 허리 외측고정부
140 :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 150 : 허리 내측고정부
200 : 다리 장착부 210 : 큰볼기근 인조근
220 : 상단부 벨크로 230 : 넙다리근막 긴장근 인조근
240 : 몸체 벨크로부 247 : 장경인대 인조인대 벨크로부
250 : 장경인대 인조인대 251 : 무릎상하 연결부
255 : 무릎 고정부 260 : 무릎상부 고정부
261 : 제1무릎상부 고정부 262 : 제2무릎상부 고정부
263 : 무릎상부 보조 고정부 265 : 무릎상부 외측 고정부
267 : 무릎상부 내측 고정부 270 : 제1보조 탄력부
275 : 무릎상부 착용표시부 280 : 무릎하부 고정부
281 : 제1무릎하부 고정부 282 : 제2무릎하부 고정부
283 : 무릎하부 보조 고정부 285 : 무릎하부 외측 고정부
287 : 무릎하부 내측 고정부 290 : 제2보조 탄력부
291 : 제1장경인대 보조부 292 : 제2장경인대 보조부
295 : 무릎하부 착용표시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평하게 설치된 고리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와, 사선으로 설치된 고리인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를 구비하며, 띠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장착부; 상단이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큰볼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큰볼기근 인조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에 장착되며,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상단이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의 하단과 큰볼기근 인조근의 하단에 연결되며, 장경인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장경인대 인조인대; 상단 중간에,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이 연결되며, 무릎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무릎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에 있어서,
    무릎 고정부는, 무릎의 상부에 위치되어 무릎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무릎상부 고정부; 무릎의 하부에 위치되는 무릎 하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무릎하부 고정부;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의 중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 의 중간에 연결되는 밴드인 무릎상하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릎상부 고정부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를 구비하되,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의 상단의 좌우에 연결되며,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에 2개의 띠형 밴드인 제1장경인대 보조부와 제2장경인대 보조부를 구비하되, 제1장경인대 보조부가 제2장경인대 보조부보다 길이가 길며, 제1장경인대 보조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에 장착되고, 제2장경인대 보조부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6. 제5항에 있어서, 허리장착부는,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맞추도록 이루어진 표시인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7. 제6항에 있어서, 허리장착부는,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와 큰볼기근 인조근 고정부의 사이에 넙다리근막긴장근 인조근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에 연결되되, 무릎의 상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1보조 탄력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0. 제7항에 있어서,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무릎상하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에 연결되되, 무릎의 하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2보조 탄력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1. 허리에 장착되며, 수평하게 설치된 고리인 제2 탄력밴드 고정부와, 사선으로 설치된 고리인 제1 탄력밴드 고정부를 구비하며, 띠형태로 이루어진, 허리장착부; 상단이 제1 탄력밴드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제1 탄력밴드; 상단이 제2 탄력밴드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제2 탄력밴드; 허벅지의 측면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단이 제1 탄력밴드의 하단과 제2 탄력밴드의 하단에 연결되되, 제1 탄력밴드는 사선을 이루도록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인 수직 탄력밴드; 상단 중간에, 수직 탄력밴드의 하단이 연결되며, 무릎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무릎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에 있어서,
    무릎 고정부는, 무릎의 상부에 위치되어 무릎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무릎상부 고정부; 무릎의 하부에 위치되는 무릎 하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무릎하부 고정부; 일단은 무릎상부 고정부의 중간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 의 중간에 연결되는 밴드인 무릎상하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릎상부 고정부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를 구비하되,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의 상단의 좌우에 연결되며,
    제1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 상부에서 경골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표시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를 구비하며, 제1무릎상부 고정부에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가 있는 측면으로부터 1/4 지점에,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2. 제11항에 있어서, 허리장착부는
    위앞엉덩뼈가시(ASIS)에 맞추도록 이루어진 표시인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를 더 구비하되, 허리착용 기준 포인트, 제2 탄력밴드 고정부, 제1 탄력밴드 고정부 순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3. 제11항에 있어서,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수직 탄력밴드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 고정부의 상단에 연결되되, 무릎의 상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1보조 탄력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4. 제11항에 있어서, 무릎 고정부는,
    띠형태의 탄력밴드로, 일단이 무릎상하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무릎하부 고정부에 연결되되, 무릎의 하부를 지나는 사선을 이루는, 제2보조 탄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5. 제14항에 있어서,
    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 상부에서 경골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표시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6. 제14항에 있어서,
    무릎하부 고정부는 무릎 하부에서 경골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표시된 무릎하부 착용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7. 제5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릎상부 고정부의 제1무릎상부 고정부와 제2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의 상단의 좌우에 사선으로 연결되며,
    무릎하부 고정부는 제1무릎하부 고정부와 제2무릎하부 고정부를 구비하되, 제1무릎하부 고정부와 제2무릎하부 고정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의 하단의 좌우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무릎 고정부는 X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8. 제11항에 있어서,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에 2개의 띠형 밴드인 제1장경인대 보조부와 제2장경인대 보조부를 구비하되, 제1장경인대 보조부가 제2장경인대 보조부보다 길이가 길며, 제1장경인대 보조부는 무릎상하 연결부에 장착되고, 제2장경인대 보조부는 제1무릎상부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19. 제5항에 있어서,
    제1무릎상부 고정부는 무릎 상부에서 경골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표시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를 구비하며,
    제1무릎상부 고정부에서 무릎상부 착용표시부가 있는 측면으로부터 1/4 지점에, 장경인대 인조인대의 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20. 제5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허리장착부, 무릎상부 고정부, 무릎하부 고정부 각각은 벨크로에 의해 양단이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KR1020140178066A 2014-12-11 2014-12-11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KR10164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66A KR101642459B1 (ko) 2014-12-11 2014-12-11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66A KR101642459B1 (ko) 2014-12-11 2014-12-11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487A KR20160071487A (ko) 2016-06-22
KR101642459B1 true KR101642459B1 (ko) 2016-07-29

Family

ID=5636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66A KR101642459B1 (ko) 2014-12-11 2014-12-11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40A1 (ko) * 2017-07-25 2019-01-31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KR20190011673A (ko) * 2017-07-25 2019-02-07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KR20220112012A (ko)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20220112011A (ko)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797A1 (ko) * 2020-11-09 2022-05-12 주식회사 알에스리햅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IT202100013847A1 (it) * 2021-05-27 2022-11-27 Plus Biomedicals S R L Tutore d’anca propriocettivo per la prevenzione e riabilitazione dell’articolazione dell’anca dopo un’operazi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937U (ja) 1996-04-09 1996-10-18 まき子 山田 膝サポーターの支持具
US20100095422A1 (en) * 2008-10-16 2010-04-22 Domingo Lopez Leg Protection Arrangement
US20140207041A1 (en) * 2013-01-24 2014-07-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937U (ko) * 1989-07-29 1991-03-25
KR20020017897A (ko) * 2000-08-28 2002-03-07 쓰지 히로아키 신체의 굴신부 서포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937U (ja) 1996-04-09 1996-10-18 まき子 山田 膝サポーターの支持具
US20100095422A1 (en) * 2008-10-16 2010-04-22 Domingo Lopez Leg Protection Arrangement
US20140207041A1 (en) * 2013-01-24 2014-07-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40A1 (ko) * 2017-07-25 2019-01-31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KR20190011673A (ko) * 2017-07-25 2019-02-07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KR102171506B1 (ko) 2017-07-25 2020-10-29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KR20220112012A (ko)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20220112011A (ko) 2021-02-03 2022-08-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487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459B1 (ko)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US20220133520A1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9987158B2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EP2797452B1 (en) Shirts and shorts having elastic and non-stretch portions and bands to provide hip and posture support
CA2893919C (en) Brace for preventing symptoms of femoral acetabular impingement
US20150328034A1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JP2010194320A (ja) 脊柱整形装具
JP2006144210A (ja) スポーツウェア
US20090131844A1 (en) Tension Strap for Migration Prevention and Patellar Stabilization for Use With Knee Braces
JP2006144210A5 (ko)
CN109864842B (zh) 一种tka术后关节不稳矫正裤
EP2571462B1 (en) Hip supporting device
US20200093628A1 (en) Ankle support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US10285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a mechanical joint brace
JP2019123952A (ja) 靴下型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