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007B1 -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007B1
KR101637007B1 KR1020160028032A KR20160028032A KR101637007B1 KR 101637007 B1 KR101637007 B1 KR 101637007B1 KR 1020160028032 A KR1020160028032 A KR 1020160028032A KR 20160028032 A KR20160028032 A KR 20160028032A KR 101637007 B1 KR101637007 B1 KR 10163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ace
sensor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이영남
이자형
권덕근
김용훈
이유빈
Original Assignee
(주)에프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알텍 filed Critical (주)에프알텍
Priority to KR102016002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08B19/005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combined burglary and fire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15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bsence of activity per 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5B37/024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은 비용으로 사회취약계층의 감시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위급상황에서 신속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간상에 LED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공간상에 객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공간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움직임 센서 또는 온도 센서로부터 움직임 신호 또는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카메라를 통하여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조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말입력부, 단말입력부를 통하여 모드가 선택되면 단말통신부를 통하여 조명 장치로 선택된 모드를 전송하여 선택된 모드로 조명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모드에서 조명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말제어부, 및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단말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viewe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을 이용하여 독거노인이나 홀로 거주하는 사회취약계층 등이 위급상황에 처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모니터링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 고령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홀로 사는 사람들, 특히 가족 없이 혼자 살아가는 노인(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독거노인에 대한 정의는 정부의 복지정책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의를 내릴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로써 60~65세 이상의 혼자 살아가는 노인을 독거노인이라고 칭하게 된다. 이러한 독거노인은 홀로 생활하는 것도 힘든데다가, 노환 등으로 인하여 거동조차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으로는 각 해당지역의 지자체에서 정부차원의 지원을 독거노인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지자체의 복지기관에서도 자체적인 의료 본사 등의 수단으로 독거노인의 삶을 보조해주고 있다. 또한 독거노인을 보살피는 봉사자들이 활동하면서 상기 독거노인을 지원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은 한계가 있는데, 가장 큰 한계는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봉사자들이 독거노인의 수발을 보조하는 시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독거노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홀로 보내야만 한다.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독거노인이 거주지역 내에서 넘어짐 등으로 부상을 당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인 가정의 경우, 누군가가 부상을 당하면 다른 동거인 중 하나가 발견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혼자 사는 경우에는 타인이 조치를 취해주지 못하여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게다가 노인의 경우, 신체가 약하며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부상으로 인하여 이동을 하지 못해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만약 보호자가 고령자의 부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조치를 취할 경우, 이러한 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령자의 부상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아이들이 있는 가정일 경우, 부모의 외출시 집안의 화재나 가스유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호공보 제10-2015-0061745호에는 위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기반의 독거노인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 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은 독거노인이나 사회취약계층 등을 관찰 및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독거노인 등의 관리 대상자의 거주공간 등에 설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투사장치 및 적외선카메라, 컬러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 영상정보를 형성하는 컬러카메라를 포함하는 뎁스카메라, 관리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 그리고 뎁스카메라와 바이오센서와 연결되어 영상을 분석하고, 이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되는 감시장치, 그리고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는 지역이나 감시장치의 지근거리 등에 설치되며, 중앙처리부가 전달하는 영상확인 및 경보출력용 경보출력기로 구성되는 경보발생장치를 포함한다.
개시된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은 독거노인이나 사회취약계층 등을 관찰 및 관리할 수는 있으나, 고가의 뎁스카메라, 바이오센서 등이 별도로 필요로 하고, 독거노인만을 위한 감지 시스템으로 일반 가정에 설치하기에 실용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독거노인이나 홀로 거주하는 사회취약계층 등의 관리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위급상황에서 신속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간상에 LED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상기 공간상에 객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상기 공간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움직임 센서 또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움직임 신호 또는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상기 조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말입력부, 상기 단말입력부를 통하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명 장치로 선택된 모드를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로 상기 조명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서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말제어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단말출력부를 포함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객체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움직임 신호가 최종 발생된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까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침입자 감지 모드에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객체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움직임 신호가 발생되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재 감지 모드에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상기 침입자 감지 모드 및 상기 화재 감지 모드에 의해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를 동작시켜 상기 LED 빛을 발산한 상태로 상기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발생되는 객체를 추적하고, 추적된 상기 객체를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켜 상기 공간을 촬영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상기 설정 시간 및 상기 설정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전자기 센서, 방사선 센서 또는 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가스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검출센서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검출센서를 통해 가스가 감지되거나, 상기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연기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움직임 센서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수신하고, 움직임이 최초 발생된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까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고가의 바이오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관리 대상자의 위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 대상자의 감시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를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위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카메라가 동작하여 공간을 촬영하고 보호자 단말기로 이미지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보호자가 위급상황에 신속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고 구조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400)은 조명 장치(100), 보호자 단말기(200) 및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100)는 설치되는 공간상에 빛을 발산한다. 여기서 공간은 관리 대상자가 거주하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대상자는 독거노인이나 사회 취약계층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공간상에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움직임이 최초 발생된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까지 움직임 감지되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공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100)는 움직임을 통해 관리 대상자가 움직임이 불가한 상태를 판단한다.
조명 장치(100)는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기(200)로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신호를 전달하면서 해당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를 함께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 장치(100)는 보호자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보호자가 명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공간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공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100)는 온도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달하게 되는데, 신호를 전달하면서 해당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를 함께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 장치(100)는 보호자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보호자가 명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공간상에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움직임이 발생되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공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100)는 움직임 여부를 통해 침입자를 감지하게 되고, 침입자가 침입하게 되면 침입자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조명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또는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보호자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 단말기(200)는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조명 장치(100)로부터 위급상황 발생 여부와 함께 이미지를 전달받고,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0)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는 위급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조명 장치(100)로부터 위급상황 발생 여부와 함께 이미지를 전달받고 이미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서버(300)는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 장치(100)로부터 위급상황에 대한 신호와 이미지를 각각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서버(300)는 경찰서, 병원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조명부(10), 움직임센서(20), 온도센서(30), 카메라(40), 저장부(50), 통신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0)는 공간상에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0)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0)는 형광등이나 LED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움직임센서(20), 온도센서(30), 카메라(40), 저장부(50), 통신부(60) 및 제어부(70)는 조명부(10)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움직임 센서(20)는 공간상에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센서(20)는 공간상에 침입자의 침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센서(20)로는 공간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전자기 센서, 방사선 센서 또는 열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움직임 센서(20)는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는 공간상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30)는 열 센서로 구성되어 움직임 센서(20)와 일체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 센서(30) 및 움직임 센서(20)를 열 센서로 구성하여 움직임과 온도를 함께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의 제조 단가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는 감지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40)는 움직임 센서(20) 또는 온도 센서(30)에 의해 제어부(70)가 위급상황을 판단하여 위급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공간을 촬영한다.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70)에 의해 위급상황 신호와 함께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40)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 등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저장부(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조명 장치(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50)는 움직임 센서(20) 및 온도 센서(3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 또는 온도 정보를 통해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60)는 움직임 센서(20) 또는 온도 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위급상황에 대한 신호와, 위급상황시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움직임 센서(20) 또는 온도 센서(30)로부터 움직임 정보 또는 온도 정보를 전달받고,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카메라(40)를 동작시켜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부(60)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70a), 침입자 감지 모듈(70b) 및 화재 감지 모듈(70c)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70a)은 움직임 센서(20)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수신하고, 움직임이 최종 발생된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까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70a)은 혼자 생활하는 독거노인이나 사회 취약 계층 등에 대한 위급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듈로서, 관리 대상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 즉,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하여 움직임을 감지하고, 설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관리 대상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70a)은 관리 대상자가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카메라(40)를 동작시켜 공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70a)은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부(60)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로 전달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하게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 모듈(70b)은 움직임 센서(20)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수신하고, 움직임이 발생되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침입자 감지 모듈(70b)은 외출시나 취침시에 외부 침입자의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모듈로서, 움직임 센서(20)에 의해 공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 모듈(70b)은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카메라를 동작시켜 공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침입자 감지 모듈(70b)은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부(60)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로 전달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하게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모듈(70c)은 온도 센서(30)에 의해 공간 내의 온도를 수신하고,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화재 감지 모듈(70c)은 외출시에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모듈로서, 온도 센서(30)에 의해 공간 내에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40)를 동작시켜 공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모듈(70c)은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부(60)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로 전달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하게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모듈(70c)은 촬영된 이미지를 보호자 단말기(200) 또는 관제 서버(300)로 전달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공간 내에 사람의 위치를 확인시킴으로써 구조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상기 화재 감지 모드에 의해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조명부(10)를 동작시켜 LED 빛을 발산한 상태로 움직임 센서(20)를 통해 움직임이 발생되는 객체를 추적하고, 추적된 객체를 향하도록 카메라(40)를 회전시켜 상기 공간을 촬영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가스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검출센서(80)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가스검출센서(80)를 통해 가스가 검출되면 감지된 신호를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연기감지센서(90)를 통해 연기가 검출되면 감지된 신호를 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200)는 단말통신부(110), 단말입력부(120), 단말표시부(130), 단말저장부(140) 및 단말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단말통신부(11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위급상황 발생시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신호와 함께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통신부(110)는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입력부(120)는 단말표시부(13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입력부(120)는 단말표시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시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표시부(13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위급상황 시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아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표시부(130)는 조명 장치(100)의 제어와 관련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단말표시부(130)는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모드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단말표시부(130)는 단말통신부(110)를 통해 조명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저장부(140)는 보호자 단말기(2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140)는 보호자의 요청에 의해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50)의 제어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단말저장부(14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단말표시부(130) 상에 출력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50)는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단말제어부(15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단말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제어부(150)는 단말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단말통신부(110)를 통해 조명 장치(100)로 전달하여 조명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제어부(150)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50)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입력부(120)를 통해 선택받아 조명 장치(100)가 해당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300)에 대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300)는 서버통신부(210), 서버입력부(220), 서버표시부(230), 서버저장부(240) 및 서버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1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위급상황 발생시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신호와 함께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입력부(220)는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입력부(220)는 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서버제어부(250)로 전달한다. 또한 서버입력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버입력부(220)는 단말표시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시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서버표시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표시부(2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위급상황을 동시에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서버표시부(230)는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모드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서버저장부(240)는 관제 서버(3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저장부(240)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서버제어부(250)의 제어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서버저장부(24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를 서버표시부(230) 상에 출력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조명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50)는 서버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조명 장치(100)로 전달하여 조명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제어부(250)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50)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입력부(220)를 통해 선택받아 조명 장치(100)가 해당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400)은 움직임 센서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수신하고, 움직임이 최초 발생된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까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고가의 바이오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관리 대상자의 위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400)은 관리 대상자의 감시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를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위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카메라가 동작하여 공간을 촬영하고 보호자 단말기(200)로 이미지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보호자가 위급상황에 신속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조명부 20 : 움직임 센서
30 : 온도 센서 40 : 카메라
50 : 저장부 60 : 통신부
70 : 제어부 70a :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
70b : 침입자 감지 모듈 70c : 화재 감지 모듈
100 : 조명 장치 110 : 단말통신부
120 : 단말입력부 130 : 단말표시부
140 : 단말저장부 200 : 보호자 단말기
210 : 서버통신부 220 : 서버입력부
230 : 서버표시부 240 : 서버저장부
250 : 서버제어부 400 :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6)

  1. 공간상에 LED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 상기 공간상에 객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상기 공간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움직임 센서 또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움직임 신호 또는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상기 조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 침입자 감지 모드 및 화재 감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말입력부, 상기 단말입력부를 통하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명 장치로 선택된 모드를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모드로 상기 조명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서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말제어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한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단말출력부를 포함하는 보호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관리 대상자가 움직일 수 없는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하여 움직임을 감지하고, 설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관리 대상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명부를 동작시켜 LED 빛을 발산한 상태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상기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관리 대상자 감지 모듈;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침입자 감지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를 동작시켜 LED 빛을 발산한 상태로 상기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발생되는 객체를 추적하고, 추적된 객체를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켜 상기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침입자 감지 모듈;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화재 감지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명부를 동작시켜 LED 빛을 발산한 상태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상기 공간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화재 감지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상기 설정 시간 및 상기 설정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전자기 센서, 방사선 센서 또는 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관제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가스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검출센서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검출센서를 통해 가스가 감지되거나, 상기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연기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28032A 2016-03-09 2016-03-09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3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32A KR101637007B1 (ko) 2016-03-09 2016-03-09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32A KR101637007B1 (ko) 2016-03-09 2016-03-09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007B1 true KR101637007B1 (ko) 2016-07-08

Family

ID=5650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032A KR101637007B1 (ko) 2016-03-09 2016-03-09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00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24B1 (ko) * 2016-09-01 2017-09-12 (주)밀 피감시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응급안전 정보알리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
KR101853471B1 (ko) * 2018-01-17 2018-04-30 (주)텔트론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101850102B1 (ko) 2016-11-23 2018-05-31 권순철 시청각 방범 시스템
WO2018174540A1 (ko) * 2017-03-22 2018-09-27 이장수 휴대형 화재 감지기
KR101927870B1 (ko) * 2017-04-13 2018-12-12 (주)한성엔지니어링 분산 데이터형 열화상 감시 장치
KR20190018847A (ko) * 2017-08-16 2019-02-26 한국토지주택공사 레이더 led센서등을 이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102263305B1 (ko) * 2020-08-21 2021-06-14 (주)인우이엔씨 화재감지모듈의 변경이 가능한 화재 감지기
KR20210086205A (ko) 2019-12-31 2021-07-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패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20169A (ko) *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411157B1 (ko) * 2021-09-29 2022-06-27 (주)메디비젼 LiDAR 센서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221A (ja) * 2003-06-20 2005-01-13 Keakomu:Kk 住宅監視システム
KR20100047351A (ko) * 2008-10-24 2010-05-10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화재 경보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907B1 (ko) * 2014-11-12 2015-05-18 문기영 독거 관리대상자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221A (ja) * 2003-06-20 2005-01-13 Keakomu:Kk 住宅監視システム
KR20100047351A (ko) * 2008-10-24 2010-05-10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화재 경보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907B1 (ko) * 2014-11-12 2015-05-18 문기영 독거 관리대상자 케어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24B1 (ko) * 2016-09-01 2017-09-12 (주)밀 피감시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응급안전 정보알리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
KR101850102B1 (ko) 2016-11-23 2018-05-31 권순철 시청각 방범 시스템
WO2018174540A1 (ko) * 2017-03-22 2018-09-27 이장수 휴대형 화재 감지기
KR101927870B1 (ko) * 2017-04-13 2018-12-12 (주)한성엔지니어링 분산 데이터형 열화상 감시 장치
KR20190018847A (ko) * 2017-08-16 2019-02-26 한국토지주택공사 레이더 led센서등을 이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101965961B1 (ko) * 2017-08-16 2019-04-04 한국토지주택공사 레이더 led센서등을 이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101853471B1 (ko) * 2018-01-17 2018-04-30 (주)텔트론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20210086205A (ko) 2019-12-31 2021-07-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패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20169A (ko) *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383384B1 (ko) * 2020-08-11 2022-04-05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263305B1 (ko) * 2020-08-21 2021-06-14 (주)인우이엔씨 화재감지모듈의 변경이 가능한 화재 감지기
KR102411157B1 (ko) * 2021-09-29 2022-06-27 (주)메디비젼 LiDAR 센서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007B1 (ko)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US10380875B1 (en) Immersive virtual reality detection and alerting technology
JP4750927B2 (ja) 遠隔監視方法および監視制御サーバ
JP2014090913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及び状態判断システム
US20220031258A1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with body temperature detection function
US11257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e alarms due to display images
KR20180136150A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 추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13235B1 (ko)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07106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370804B1 (ko) 모바일 스마트 엑스선 의료영상 시스템 및 방법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JP2013164774A (ja) 自動通報機能を有するインテリジェント監視システム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監視装置
JP2009015536A (ja) 不審者通報装置、不審者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JP7480475B2 (ja) 通知制御システム、通知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72489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A Subject
JP4918687B2 (ja) 警報表示器監視システム
KR101358446B1 (ko) 교도소용 수감자 감시시스템
KR20100067887A (ko) 현관문 외부 감시장치
KR20150134820A (ko) 얼굴인식을 통해 이용을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TWM527988U (zh) 移動感測裝置及其系統
KR102411157B1 (ko) LiDAR 센서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160050128A (ko) 카메라를 이용한 위험경보 방법
CN204131636U (zh) 具看护功能的影像自动监视器
JP2020109583A (ja) Led照明システム
Hing et al. Development of home monitoring system with integration of safety and security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