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739B1 -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 Google Patents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739B1
KR101636739B1 KR1020140148148A KR20140148148A KR101636739B1 KR 101636739 B1 KR101636739 B1 KR 101636739B1 KR 1020140148148 A KR1020140148148 A KR 1020140148148A KR 20140148148 A KR20140148148 A KR 20140148148A KR 101636739 B1 KR101636739 B1 KR 10163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alue
measured
f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2881A (en
Inventor
홍재수
전경진
고철웅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73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전에 이를 감지하고, 별도의 보호구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낙상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벨트 형태로 장착되는 케이스,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운동정보인 제2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 중 사용자의 낙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이용하여 특정변수를 도출하고, 각각의 특정변수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2측정값의 특정변수와 기 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하기 이전에 별도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감지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팽창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보호구를 포함하는 낙상 보호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o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a user's fall before colliding with a floor and preventing a user from being injured by operating a separate protection member.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includes a case which is mounted in a belt shape around a waist of a user, A secon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econd measured value of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by using a second measuring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Comparing a specific parameter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comparing the specific parameter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the actual threshold value to generate a separate driving signal before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when th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a control uni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which is installed in the case, A fall protection device is disclosed that includes a protector that is operated by the arc to expand and surround a user's buttocks.

Description

낙상 보호장치{Safe Device for patient fall}Safe Device for patient fall

본 발명은 낙상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전에 보호구가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를 보호할 수 있는 낙상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o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ll protection device that can protect a user's buttocks by being driven by a protector, which is worn on a user's body and collided with a floor during a fall.

의료 기술의 발달과 함께, 노인 분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 등을 대상으로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건강관리(healthcare)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나이가 많아 거동이 불편한 병노약자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돌보고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이나 시스템의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ealthcare services are provided to help elderly people and pedestrians who are uncomfortable to run their daily life with peace of mind. However, as aging society progresses, The incidence of these inconvenient sick people is increasing, and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 manpower and system that can care for and manage them.

부족한 인력으로, 점점 불어나는 병노약자들을 24시간 내내 지켜보며 보살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여, 지능형 케어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독거 노인들이나 혼자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노인들 등을 대상으로 하여, 낙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낙상 구조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look after the elderly people who are getting sick and tired by the lack of people 24 hours a day. The research on intelligent care system is actively carried out. Especially,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fore, a fall-rescue service is in the spotlight in order to prepare for an accident caused by a fall.

특히,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들의 경우 낙상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낙상 감지방법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Especially,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mobility or elderly people can fall easi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methods of detecting falls have been developed.

기존의 낙상 감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영상 기반의 낙상 감지 방법, 환자의 낙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설치된 센서의 조합으로 낙상을 감지하는 방법에 해당되는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The existing fall detection method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ree methods, namely, an image-based fall detection method, and a fall detection method using a combination of sensors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fall occurs.

영상 기반의 낙상 감지 방법은, 영상 장치를 통한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 이를 신호 처리 기법으로 처리하여 환자의 낙상 여부를 알아내는 방법이나, 환자를 구속하는 장치가 없는 반면에 환자의 의복 색깔, 무늬 및 주변 조명에 민감하며, 이불 등의 외부 물질로 환자가 가려져 있을 때에는 환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신호 처리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낙상 감지를 하기 때문에 정밀한 감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An image-based fall detection method is a method of obtaining image data through a video device and processing it with a signal processing technique to find out whether the patient has fallen or not, but there is no device for restricting the patien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is covered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bedding, and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detect the fall because the fall detection is performed indirectly through signal processing.

또한, 환자의 낙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설치된 센서의 조합으로 환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침상 주변의 외부 물질로 인해 외란 요소에 취약하여 낙상 감지 여부의 정밀성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patient falls due to a combination of sensors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patient falls occurs is vulnerable to disturbance factors due to external materials around the needle b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alize precision in detecting falls.

또한, 이러한 기존의 낙상 감지 시스템은, 일부 병원에서 병노약자가 침대에서 낙상한 경우, 간호사에게 문자메시지 등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카메라 및 그 부속 제어장치, 또는 다수의 센서 및 그 부속 제어장치 등을 포함한 특수 장치의 설치 및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되므로, 일반 가정에서는 이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is conventional fall detection system is used as a system for notifying a nurse by text message when a sick person in a hospital falls in a bed, but the camera and its accessory control device, or a plurality of sensors and parts thereof It is difficult to use it in general households because it requires special installation and special management including control devices.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낙상 감지 방법은 근본적으로 낙상 사고 발생 후 이를 알리는 정도의 기능만을 가질 뿐 사용자의 낙상 시 이를 감지하고 바닥과의 충돌 이전에 보호구를 동작시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uch a fall detection method basically has only a function of informing the user after a fall accident, bu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tect the user by detecting the user's fall and operating the protection member before colliding with the floor.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11952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19529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하며 별도의 감지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낙상 시 측정되는 특정변수의 임계값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이전에 보호구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낙상 보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user's body, And to provide a fall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user from being injured by driving the protection memb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전에 이를 감지하고, 별도의 보호구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낙상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벨트 형태로 장착되는 케이스,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운동정보인 제2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 중 사용자의 낙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이용하여 특정변수를 도출하고, 각각의 특정변수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2측정값의 특정변수와 기 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하기 이전에 별도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감지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팽창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보호구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ll pro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fall before colliding with a floor and preventing a user from being injured by operating a separate protection member, A measurement unit attached to the user's body to continuously measure a second measurement value, which is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second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Comparing a specific variabl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comparing the specific measured variabl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A sensing unit which is incorporated in the case and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which includes a control unit which previously generates a separate driving signal And a protector which is operated by the driv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expands to surround the user's buttocks.

또한, 상기 임계값은 별도의 시험자가 상기 측정부를 장착하고 낙상 여부에 따라 측정되는 제1측정값 중 상기 특정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이용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값을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shold value is derived from a value by which a tester can determine whether to fall by using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able among the first measured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whether the measuring unit is mounted or not, can do.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시험자의 정상 운동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제1측정값과 시험자의 낙상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제1측정값 사이의 범위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value may be specified as a range between a first measurement value of the specific variable measured during normal movement of the tester and a first measurement value of the specific variable measured during fall of the tester.

또한, 상기 특정변수는 낙상 여부에 따라 변화하며 상기 측정부에 측정되는 값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여 기 설정된 허용범위 이상인 값에 해당하는 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pecific variable may be a variable corresponding to a valu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llowable range by deriv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a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person falls.

또한, 상기 특정변수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값 중에서 가속도의 합, 상하방향에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각도변화 및 평균 각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specific parameter may be at least one of a sum of acceleration measured in the measuring unit, an acceler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a vertical direction, an angle change, and an average angular velocity.

또한, 상기 보호구는 에어백 형태로 형성되며 별도의 밴트홀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 후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or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ir bag, and a separate vent hole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collide with the floor and open after the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 중에서 가속도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구간에서 상기 밴트홀이 개방되어 상기 보호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nt hole to be opened to discharge the air in the protector in a period in which the acceleration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in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를 각각의 상기 임계값과 독립적으로 비교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변수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구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dependently compare the specific variabl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each of the threshold values and may determine that the fall of the specific variab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o drive the protection member .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사용자의 하복부 후방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lower abdomen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범용적 적용 가능한 낙상 보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universally applicable fal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별도의 감지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낙상 시 바닥과 충동 이전에 이를 판단하고 별도의 보호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by attaching to the body of the user and judging the user's fall and the impulse prior to the impulse when the user falls through the separate detection unit and operating a separate protective member.

둘째, 상기 감지유닛은 별도의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정상 운동상태와 낙상 상태 각각에 대한 측정값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낙상 시작지점부터 바닥과의 충돌 이전시점에서 각각의 측정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바닥과 충돌 이전에 미리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the sensing unit measures a measurement value of each of the normal motion state and the fall state of the user through a separate measuring unit, and measures each measured value at a point before collision with the floor from the fall starting point of the user, It is advantageous to know whether the user falls or not before the floor and before collis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낙상 보호장치가 구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낙상 시 감지유닛에서 감지되는 가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감지유닛에 의해 보호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제1측정값 중 도출된 특정변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낙상 여부에 따라 측정되는 특정 변수의 임계값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fal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ll protection device of FIG. 1 is driven;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cceler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during fall in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of FIG. 1;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rotector is operated by a sensing unit in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specific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irst measured value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n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of FIG. 1;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hreshold value of a specific variable measur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fall protection device of FIG. 1 falls.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낙상 시 별도의 보호구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를 보호하여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보호구는 별도의 감지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user's buttocks by operating a separate protective member when the user falls on the user's body to prevent injury, .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al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낙상 보호장치가 구동하는 상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낙상 시 감지유닛에서 감지되는 가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l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ll protection device of FIG. 1 is drive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acceleration sensed by a sensing unit during a fall in a device. FIG.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감지유닛에 의해 보호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제1측정값 중 도출된 특정변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낙상 보호장치에서 낙상 여부에 따라 측정되는 특정 변수의 임계값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otection unit is operated by the detection unit in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reshold value of a specific parameter measur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fall occurs in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of FIG. 1. FIG.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케이스(100), 감지유닛(미도시) 및 보호구(200)를 포함한다.Referring first to FIG. 1, a fal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a detection unit (not shown), and a protection member 200.

상기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감지유닛 및 상기 보호구(200)가 수용된다.1, the case 100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user's body, and the sensing unit and the protector 200 are accommodated therein.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직접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상기 보호구(200)가 팽창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case 100 is configured to be worn by the user, and the protector 200 optionally accommodated therein is inflated to cover the user's buttock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감지유닛 및 상기 보호구(200)가 수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100 is formed in a belt shape so as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user, and the sensing unit and the protector 200 are accommodated therein.

한편,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낙상 시 상기 보호구(200)가 구동하도록 조절한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0, continuously measures the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compares the information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falls, and when the user falls,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유닛은 크게 측정부(미도시), 비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unit (not shown), a comparison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운동정보인 제2측정값(미도시)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구성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관성센서가 적용된다.The measuring unit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measure a second measured value (not shown) attached to a user's body and is motion information,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can be applied. In this embodiment, the inertial sensor is applied.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며 좌 우측의 중심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measuring unit is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user inside the case 100 an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운동 시 X, Y, Z축으로 변화하는 가속도, 틸팅 각도변화 및 X, Y, Z축 각각의 각속도 등의 변수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2측정값을 측정한다.The measuring unit arranged in this manner measures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including variables such as acceleration, tilting angle change, and angular velocity of each of the X, Y, and Z axes that change in the X, Y, and Z axes during the user's motion .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움직임에서도 상술한 상기 제2측정값이 측정되며, 사용자의 낙상 시 상술한 변수들 중 일부 변수에 대한 상기 제2측정값이 변화하게 된다.In general,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is measured even in a normal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changes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arameter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falls.

즉,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움직임과 사용자의 낙상 시 움직임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2측정값을 측정한다.That is, the measuring unit continuously measures the second measured value in both the normal motion of the user and the motion of the user in falling.

한편, 상기 비교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2측정값 중 사용자의 낙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이용하여 특정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각각의 상기 특정변수를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과 비교한다.Meanwhile, the comparison unit may derive a specific parameter by using a value that varies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falls or not, out of the second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compare each derived specific variable with the preset threshold value do.

여기서, 상기 특정변수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변수 중에서 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변수를 가지는 값들로 도출한다.Here, the specific variable is derived as a value having a variable having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various variable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변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에서 반복적으로 측정되는 값들 중에서 상관계수가 0.7 이상인 값을 상기 특정변수로 도출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pecific variable derives a value hav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 or more among the values repeatedly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s the specific variable.

물론 이와 달리 상관계수가 0.7 보다 높거나 낮은 계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특정변수를 도출할 수 있으며, 상관계수가 높을수록 상기 측정부에서 반복하여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의 편차가 감소하여 신뢰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Of course, the specific variable can be derived based on a coefficient hav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higher or lower than 0.7, and the deviation of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repeatedly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decreases 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creases, .

이와 같이 도출된 상기 특정변수들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값 중에서 가속도의 합, 상하방향에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각도변화 및 평균 각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특정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상기 비교부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pecific parameters thus obtained may be the sum of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in the measuring unit, acceleratio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gle change, and average angular velocity, and may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pecific variables So that the comparing un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fall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정부는 관성센서가 적용되며, 관성센서의 특성 상 다양한 변수가 측정된다.At this time, an inertial sensor is applied to th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parameters are measu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ertial sensor.

여기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2측정값 중에서 도출된 상기 특정변수들은 정지상태에서 낙상이 일어나는 동안 다른 변수들에 비해 선형적으로 더 큰 변화를 보이는 변수들이며 이들의 상관계수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Here, the specific parameters derived from the second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re variables that show a larger change linearly with respect to other variables during fall in the static state, an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also very high appear.

이는 별도의 시험자가 신체에 상기 측정부를 부착한 상태에서 여러 번 실험을 반복하여 상관계수를 측정한 결과이다.Th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y repeating the experiment several times while the measuring part is attached to the body by another tester.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측정부에 측정된 상기 제2측정값중 상기 특정변수에 해당하는 변수들을 상기 비교부에서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과 비교한다.The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able among the second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re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determined by the comparing unit.

한편, 상기 임계값은 별도의 시험자가 다양한 운동에 대한 낙상상태와 정상운동 상태에 대해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한 값이다.Meanwhile, the threshold value is set so that a separate tester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o fall by using value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alling state and the normal motion state for various motions.

구체적으로 도 6을 살펴보면 같이 상기 특정변수 중에서 시험자가 낙상하는 경우와 일반적인 워킹 및 런닝 같은 정상운동을 하는 경우에서 각각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제1측정값(미도시)의 일 예로써, 상기 제1측정값 중에서 가속도의 합계를 나타낸 것이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as an example of a first measurement value (not show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n a case where a test person falls and a normal exercise such as normal walking and running, 1 shows the sum of the accelerations in the measured values.

여기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자가 낙상하는 경우와 정상운동 상태의 경우가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낸다.Here, as shown in FIG. 6, the case where the tester falls and the case of the normal motion state have different values.

이때, 상기 제1측정값은 사용자가 아닌 별도의 시험자가 상기 측정부를 장착하여 다양한 운동 경우에 따라 측정되는 값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측정값에서도 상술한 상기 제2측정값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상기 특정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value measured by a different tester equipped with the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various exercise cases. In the first measurement value, as in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described above, Variable can be derived.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측정값에서 도출된 상기 특정변수들을 각각에 대해 상기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Thus, the threshold can be set for each of the specific variables derived from the first measured value.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정값에서 도출된 상기 특정변수 중에서 가속도의 합을 나타낸 것으로 Free Fall, Slider Fall, Walking, Running, Lean 등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측정하였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sum of the accelerations among the specific variables derived from the first measured value is measured in states such as Free Fall, Slider Fall, Walking, Running, and Lean.

그리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제1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에 대해 낙상 시 측정되는 상기 제1측정값의 최소값을 상기 임계값으로 설정한다.The minimum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fall is set to the threshold value for the specific variable of the first measured value thus measured.

이와 같이 도출된 상기 임계값은 상기 감지유닛에 기 설정된 값으로 입력되며, 추후 사용자의 운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The threshold value thus obtained is input as a preset value to the sensing unit and becomes a criterion for comparing with the second measured value continuously measured for the user's motion.

이때, 상기 임계값은 시험자의 정상운동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상기 제1측정값과 시험자의 낙상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상기 제1측정값 사이의 범위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시험자의 낙상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상기 제1측정값 중 최소값을 기준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The threshold value may be specified as a range between the first measured value of the specific variable measured during normal movement of the tester and the first measured value of the specific variable measured during fall of the tester, The minimum value of the first measured value of the specific variable measured at the time of falling of the specific parameter.

이에 따라,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2측정값 중에서 도출된 상기 제1측정값과 상기 특정변수에 대응하는 값들을 각각 비교한다.Accordingly, the comparator compares the first measured value derived from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th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able, respectively.

즉, 상기 비교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2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변수를 도출하고, 각각의 상기 특정변수를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comparing unit is configured to derive the specific variable using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to compare each of the specific variables with the preset threshold valu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에 의해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와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하기 이전에 별도의 구동신호를 발생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predetermined variabl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y the comparator, and if the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generates a separate driving signal before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do.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 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2측정값을 상기 특정변수 별로 각각 비교한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가 낙상중임을 인식하여 상기 구동신호를 후술하는 상기 보호구(200)에 전달하여 구동시킨다.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and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pecific variables,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pecific variables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If the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user is in a state of falling, and transmits the drive signal to the protective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내장되며 별도의 시험자의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수집된 상기 제1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변수 각각에 대한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고, 추후 사용자의 운동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과 상기 임계값에 대한 상기 특정변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보호구(2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 the case 100 and sets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specific variable using the first measured value collected through a repeated test of a tester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fallen by comparing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user's movement with the specific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threshold value.

여기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시험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Here, the user and the tester may be the same person or different persons.

한편, 상기 보호구(200)는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팽창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형태로 형성되어 압축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다.The protection unit 200 is selectively expanded by the sensing unit to cover the user's buttock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ection unit 200 is formed in an air bag shape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in a compressed state.

그리고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바닥과 충동하기 이전에 팽창하여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And when the user's fall occurs by the sensing unit, the user is inflated to wrap the user's buttocks before impulsive to the floo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구(200)는 에어백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달리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둔부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ector 2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irbag, but may be configured to protect the user's buttocks in a different form.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되어 사용자가 바닥과의 충돌 이전에 낙상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보호구(200)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operating the protection unit 200 by sensing whether the user falls or falls before the user's collision with the floor.

한편, 도 3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낙상 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특정변수 중에서 가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낙상 개시 시점인 A에서부터 바닥과의 충돌 이전에 가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Meanwhile, FIG. 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cceleration among the specific parameter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during a user's fall,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cceleration decreases from A, which is the start of fall, to the floor before collision with the floor.

그리고,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하는 경우 가속도의 변화가 없는 지점이 되며 도 3에서 C지점이 된다.When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the point where there is no change in the acceleration becomes the point C in Fig.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하기 전에 상기 감지유닛에서 낙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에서는 개시 시점인 A에서 바닥과의 충돌하는 시점인 C지점 사이에서 감지해야 하며, 상술한 시험자에 의해 도출되어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은 B지점에 해당하는 값이 설정된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the user has fallen in the sensing unit before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tect between the starting point A and the point C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floor, The threshold value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point B.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임계값이 B지점에 해당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이 B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보호구(200)를 구동시킨다.When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corresponds to the point B by setting the threshold value to correspond to point B, the controller senses the second measured value and drives the protector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감지유닛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감지하고,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이전에 상기 보호구(200)를 전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or not the user falls through the chang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attached to the user's body, 200) to protect the user's body.

이어서,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나타낸 것으로, 먼저 별도의 시험자에 상기 측정부를 부착하여 낙상운동과 정상운동에서 각각 상기 제1측정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제1측정값에서 상기 특정변수를 도출한다(S01)4, the operation of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irst, the measurement unit is attached to a separate tester to measure the first measurement value in the fall motion and the normal motion, The specific variable is derived from the first measured value (S01)

그리고 상기 특정변수의 측정값에서 각각의 상기 임계값을 도출하여(S02) 도출된 상기 임계값을 상기 감지유닛에 입력하는 과정을 거친다(S03)In step S02, the threshold value is derived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specific variable, and the derived threshold is input to the sensing unit (S03)

이와 같이 상기 감지유닛에 시험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측정값 중 상기 특정변수 각각에 대해 낙상여부에 따른 상기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추후 사용자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mparing th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tester with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which is measured by the user, by setting th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fall or not for each of the specific variables measured by the tester.

여기서, 상기 시험자와 상기 사용자는 동일인이 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사람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측정값에 의해 상기 감지유닛에 입력된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의 정상운동에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피드백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tester and the user may be the same person or different persons, and the threshold value inputted to the sensing unit by the first measurement value may be the second measurement which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normal motion of the user Value to be continuously fed back.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감지유닛에 상기 임계값이 입력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한다(S04).Meanwhile, in a state where the threshold value is inputted to the sensing unit, the fal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ser's body (S04).

그리고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설치된 상기 측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상기 제2측정값을 측정한다(S05). 여기서, 상기 낙상 보호장치는 상기 측정부가 사용자의 하복부 후방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for the user's movement is continuously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user's body (S05).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ll protection device is worn so that the measurement par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lower part of the user.

이와 같이 상기 측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은 상기 비교부에서 기 설정된 상기 임계값과 각각의 상기 특정변수에 따라 독립적으로 비교한다(S06).The second measurement value continuously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is independently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preset by the comparison unit according to each of the specific parameters (S06).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제2측정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특정변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07).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s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S07).

만약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의 상기 특정변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낙상중임을 판단하고 바닥과 충돌 이전에 내장된 상기 보호구(200)를 구동시킨다(S08).If at least one of the specific variables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variable of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state of falling and drives the protector 200 built in before the collision with the floor S08).

그리고 상기 제2측정값이 상기 특정변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별다른 동작을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상기 측정부에서 상기 제2측정값을 측정하도록 한다.If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pecific parameter,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measures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in the measurement unit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물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임계값의 상기 특정변수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낙상 중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가 하나가 아니라 복수 개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낙상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the middle of falling when at least one of the specific variables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variable of the threshol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fall is determined only when the specific variable is not one but a plurality of the specific variable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장치에서 상기 보호구(200)는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밴트홀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al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or 200 may further include a vent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into the protector 200 to the outside.

밴트홀은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한 후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 시 상기 보호구(200)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튀어올라 2차적인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nt hole is opened when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and discharges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the vent hole protrudes upwar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protective member 200,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낙상 시 C지점에서 바닥과 충돌이 발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1측정값 중에서 가속도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구간에서 상기 밴트홀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a collision with the floor occurs at a point C during a user's fall,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acceleration of th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s decreased, Thereby controlling the holes to be open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 후 상기 보호구(200)가 충격을 충분히 흡수한 상태에서 밴트홀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보호구(200)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보호구(200)의 탄성이 저감된다.Accordingly, after the user collides with the floor, the vent hole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or 200 sufficiently absorbs the impact,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protector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reduce the elasticity of the protector 200 do.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보호구(200)의 탄성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 직후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ity of the protection member 200 is reduc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splashing immediately after colliding with the floor.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지점에서 밴트홀의 개방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낙상 시 상기 보호구(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of the bant hole is completed at the point D, so that the protection hole 200 is stably protected by the user during a fall,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inju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케이스
200: 보호구
100: Case
200: Protector

Claims (9)

사용자의 낙상 시 바닥과 충돌하기 전에 이를 감지하고, 별도의 보호구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낙상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벨트 형태로 장착되는 케이스;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운동정보인 제2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제2측정값 중 사용자의 낙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이용하여 특정변수를 도출하고, 각각의 특정변수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2측정값의 특정변수와 기 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하기 이전에 별도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감지유닛; 및
에어백 형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팽창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고, 별도의 밴트홀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바닥과 충돌 후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보호구;
을 포함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o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collision with a floor during a fall and preventing a user from being injured by operating a separate protection member,
A case which is mounted in a belt shape around a waist of a user;
A measuring uni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to continuously measure a second measured value which is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measuring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Comparing a specific variabl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comparing the specific variable of the second measured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sensing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and being embedded in the case; And
The airbag is accommodated in the case in the form of an airbag and is expanded by operating with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surround the user's buttocks and a separate vent hol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ollide with the floor, A protector configured to discharge;
And a foot pro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별도의 시험자가 상기 측정부를 장착하고 낙상 여부에 따라 측정되는 제1측정값 중 상기 특정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이용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값을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to &
Wherein a separate tester mounts the measurement unit and derives a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fall occurs by using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ariable among first measurement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a f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시험자의 정상 운동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제1측정값과 시험자의 낙상 시 측정되는 상기 특정변수의 제1측정값 사이의 범위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to &
Characterized in that said range is specified as a range between a first measured value of said specific variable measured during normal movement of the tester and a first measured value of said specific variable measured during fall of the t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변수는,
낙상 여부에 따라 변화하며 상기 측정부에 측정되는 값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여 기 설정된 허용범위 이상인 값에 해당하는 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Wherein the parameter is a variable corresponding to a valu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allowable range by deriv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a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varying depending on a fall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변수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값 중에서 가속도의 합, 상하방향에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각도변화 및 평균 각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Wherein the acceleration sensor is at least one of a sum of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in the measuring unit, an acceler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a vertical direction, an angle change, and an average angular veloc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2측정값 중에서 가속도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구간에서 상기 밴트홀이 개방되어 상기 보호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nt hole to be opened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protection hole in a period in which the acceleration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in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측정값의 상기 특정변수를 각각의 상기 임계값과 독립적으로 비교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변수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호구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omparing the specific variable of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with each of the thresholds independently,
Wherein when th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specific variabl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all occurs and the protection unit is dr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사용자의 하복부 후방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lower abdomen of the user.
KR1020140148148A 2014-10-29 2014-10-29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KR101636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48A KR101636739B1 (en) 2014-10-29 2014-10-29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48A KR101636739B1 (en) 2014-10-29 2014-10-29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881A KR20160052881A (en) 2016-05-13
KR101636739B1 true KR101636739B1 (en) 2016-07-07

Family

ID=5602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148A KR101636739B1 (en) 2014-10-29 2014-10-29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7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35B1 (en) * 2016-09-12 2017-09-21 비앤알(주) Airbag comprising Exhaust hall
KR102027069B1 (en) * 2018-11-29 2019-09-30 한국로봇융합연구원 Soft Exo­suit for Fall Prevention and Gait Assistance
KR102201831B1 (en) * 2018-12-12 2021-01-13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apparatus for walking safety
KR102142001B1 (en) * 2019-03-14 2020-08-06 비앤알(주) Mechanical Vent Means for Airbag
WO2021095944A1 (en) * 2019-11-15 2021-05-20 한국로봇융합연구원 Wearable suit control method and module-controllable wearable suit using same
KR102288425B1 (en) * 2019-11-15 2021-08-10 한국로봇융합연구원 Wearable suit control method
KR102309199B1 (en) * 2019-11-18 2021-10-05 한국로봇융합연구원 User adaptable wearable suit
KR102450044B1 (en) * 2020-11-05 2022-10-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estimating impact acceleration magnitude when falling based on inertial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impact prot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478257B1 (en) * 2022-01-12 2022-12-20 주식회사 에스비휴먼텍 Near fall detec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wearable airbag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20Y1 (en) * 2011-03-31 2013-04-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ackpack With The Airtube
KR102148807B1 (en) 2013-04-01 2020-08-27 (주)아이엠티 Human body protec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조원식 석사학위논문 (2009.06.12.)
전북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과 김성현 박사학위논문 (2009.08.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881A (en)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39B1 (en) Safe Device for patient fall
JP5695778B2 (en) Fall detection system
KR10164561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Tamura et al. A wearable airbag to prevent fall injuries
US8155841B2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a crash
CN107000981B (en) Elevator safety and control system based on passenger movement
JP2010525443A5 (en) Fall detection system
JP2012502342A (en) Get out alarm system
US20200008735A1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925649B2 (en) Fall detection method and fall rescue method
US20170311876A1 (en) Force-measuring apparatus
KR101666153B1 (en) Detection Method for fall
KR101461911B1 (en) System and method of guiding to fasten safety belt correctly
US2016021307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elderly persons
KR101227533B1 (en) Wearable robo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state
US20140184382A1 (en) Fall detection an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601770B1 (en) Bed fall prediction method, and protection apparatus therefor
US11021132B2 (en) Rear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479252Y1 (en) Ladder apparatus for ship
Huynh et al. Power spectral analyses to detect falls using 3-d accelerometers
KR20220054511A (en) Bed fall prevention air tube device
KR20150090678A (en) System for supporting safety device in vehicle
WO2023030668A1 (en) Equipment usage monitoring system
KR20210013437A (en) System for detecting falling down
JP2013236718A (en) Disaster-prevention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