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327B1 -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327B1
KR101636327B1 KR1020150145956A KR20150145956A KR101636327B1 KR 101636327 B1 KR101636327 B1 KR 101636327B1 KR 1020150145956 A KR1020150145956 A KR 1020150145956A KR 20150145956 A KR20150145956 A KR 20150145956A KR 101636327 B1 KR101636327 B1 KR 10163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unit
membrane
tension adjus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우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주) 스페이스업
하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페이스업, 하창우 filed Critical (주) 스페이스업
Priority to KR102015014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7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permanent forms made of particular materials, e.g. layered products
    • E04B1/168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permanent forms made of particular materials, e.g. layered products 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의 막 구조를 갖는 단위 막재 블록과 이들 단위 막재 블록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지붕을 구성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각의 막재에 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장력 변동에도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단위 막재 블록은 이중의 막을 구성하는 단위 막재 블록에 있어서, 테두리를 구성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막재; 및 상기 프레임부의 중공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막재를 외부 방향으로 인장시켜 막재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막재에 대한 실시간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Unit Membrane Block Possible Tension Maintenance And Membrane Wa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의 막 구조를 갖는 단위 막재 블록과 이들 단위 막재 블록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지붕을 구성하는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각의 막재에 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장력 변동에도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 구조물은 스포츠 경기장, 야외 공연장 또는 산업용 대형 저장 장소 등에서 지붕의 기능을 수행하며, 주간의 자외선과 복사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막 구조물은 통상 복수의 단위 막 원단이 지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직립형으로 구성되는 수직보와 상기 수직보들을 잇는 수평보를 설치하여 기초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 구조물에 단위 막 원단들을 설치하여 막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막 구조물은 단위 막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단위 막 원단 간을 와이어 등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막 구조물의 경우 단위 막 원단이 한 겹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외선은 차단할 수 있으나, 장시간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 복사열이 내부로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지붕으로서의 원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특히 최초 시공된 단위 막 원단은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여름과 겨울철 등 계절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는 소재의 특성에 유동적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막 원단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막 원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한편 노후화된 막 원단의 경우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단위 막 원단은 기 설계된 장력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면적이 넓은 막 원단의 경우에는 바람이 세게 부는 악천후의 환경에서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막 원단이 찢어지거나 기초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등 막 구조물의 파손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제적 손실은 물론 인명피해 등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단위 막 원단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어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7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중의 막 구조를 갖는 단위 막재 블록에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한 막재의 장력 변동에 유동적으로 반응하여 장력이 조정될 수 있는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은, 이중의 막을 구성하는 단위 막재 블록에 있어서, 테두리를 구성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막재; 및 상기 프레임부의 중공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막재를 외부 방향으로 인장시켜 막재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막재에 대한 실시간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장력조절수단;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막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막재와 일체 거동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장력조절바; 상기 막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장력측정센서; 및 상기 장력측정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으며 기설정된 기준 장력값과 상기 감지신호의 장력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인장 또는 압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장력조절바는, 그 끝단에 연장되며 막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고정핀; 및 상기 막재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핀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핀과 상기 막재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고정캡;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 중 상호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 이상의 제 1브라켓과,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외측면에 상기 제 1브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 이상의 제 2브라켓과, 상기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의 각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스터드 볼트(stud bolt) 및 상기 스터드 볼트를 상기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막재 블록이 상호 직렬 및 병렬 결합되어 하나의 지붕 구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은, 이중의 막 구조를 갖는 단위 막재 블록에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한 막재의 장력 변동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유동적으로 반응하여 장력이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막재 블록 본연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연계되어 막 원단의 수명 단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손실의 최소화는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막 원단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막재 블록 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이하 '단위 막재 블록'이라 함)(10)은 커튼 막 지붕 구조물을 이루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단위 막재 블록(10)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 구조는 물론 자외선 및 복사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의 막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단위 막재 블록(1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에 장착되는 막재(200), 상기 막재(200)에 부여된 장력을 실시간 감지하고 장력 변화에 유동적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절유닛(300) 및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을 상기 프레임부(100) 상에 고정 설치하기 이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단위 막재 블록(10)의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막재(200)가 고정 안착되어 이중의 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부(100)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의 개방 부위에는 막재(20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가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여 내식성이 우수하며 가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재(2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단위 막재 블록(10)이 이중의 막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한 쌍의 막재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공부의 공간에 의해 상호 이격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단위 막재 블록(10)은 내부에 차단층을 확보하게 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막재(200)로 가해지는 복사열이 하부에 위치하는 막재(2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막재(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 설치됨에 있어 막재(200)의 장력에 대한 미세 조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는 바, 각각의 프레임은 본체 프레임(120)과 4개의 분할 프레임(110) 및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120)은 중공부를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어 빛이 중공부를 통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막재(200)와 분할 프레임(11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 프레임(120)은 그 상부면의 외측 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턱(121)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턱(121)은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상부면에 볼트 결합 등으로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할 프레임(110)은 실질적으로 상기 막재(200)의 각 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상부면에서 상기 결합턱(121)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정수단에 의하여 각각의 분할 프레임(110)이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상부면으로부터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각 분할 프레임(110)에 고정된 막재(200)에 대한 장력 조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분할 프레임(110)은 상호 인접하는 타 분할 프레임(110)과 미세한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분할 프레임(110)과 상호 인접하는 양 끝단의 단면이 내측으로 45°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미세한 유동에서도 사각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분할 프레임(1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막재(200)의 부분적인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턱(121)과 각 분할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상기 각 분할 프레임(110)의 측면 유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어볼트(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결합턱(121)과 각 분할 프레임(110)은 상기 제어볼트(1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어볼트(13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 시, 고정형의 결합턱(121)으로부터 상기 분할 프레임(110)이 좌우 또는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분할 프레임(110)에 고정 장착된 상기 막재(200)의 부분적인 장력 조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 단위 막재 블록(10)의 시공 시 또는 계절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게 되는 막재(200)에 대하여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간단한 볼트 회전으로도 상기 막재(20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결합턱(121)과 분할 프레임(110)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너트(140)를 더 포함하는 바, 이러한 고정너트(140)가 상기 제어볼트(13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인 막재(200)의 조정이 완료된 후 상기 고정너트(140)를 체결하여 상기 제어볼트(13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막재(200)의 4개의 변은 각각의 분할 프레임(110)에 슬라이드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재(200)는 각 모서리 부위에 45°의 기울기를 갖는 4개의 절개부(230)를 구성하고, 각 변의 끝단에 돌기부(220)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 프레임(110)은 그 측면에 상기 돌기부(2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용할 수 있는 체결홈(111)을 형성하여 막재(200)의 각 변이 각 분할 프레임(1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막재(20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분할 프레임(110)을 상기 본체 프레임(120)에 제어볼트(130)를 통해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공부에 고정 설치되고, 중공부로부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막재(200)를 외부 방향으로 인장시켜 막재(200)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막재(200)에 대한 실시간 장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은 장력조절수단(310), 장력조절바(320), 장력측정센서(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은 상기 제어부(36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인장 또는 압축 작동을 실시한다. 일 예로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은 유압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밸드(Solenoid Valv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바(320)는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의 인장 또는 압축 작용에 연동하여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장력조절바(320)는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막재(20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장착되어 막재(200)와 일체 거동됨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재(200)를 중공부로부터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유동시켜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장력조절바(320)는 그 끝단에 연장되며 막재(2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고정핀(330) 및 상기 막재(200)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핀(330)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핀(330)과 상기 막재(200)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고정캡(34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막재(200)와 장력조절바(320) 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눈이나 비 등 막재(200)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막재(200)의 경우 상기 장력조절바(320)의 고정핀(34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고정홀(210)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장력측정센서(350)는 상기 막재(200)에 작용하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장력측정센서(35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수신받으며 기설정된 기준 장력값과 상기 감지신호의 장력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60)는 비교 분석부(361)와 메모리부(3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62)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장력값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362)에 저장된 기준 장력값은 단계별로 설정된 기준 장력값일 수 있다.
상기 비교 분석부(361)는 상기 메모리부(362)에 저장된 기준 장력값과 상기 장력측정센서(350)의 감지신호에 따른 실시간 측정 장력값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의 인장 또는 압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 분석부(361)는 외부 환경 등의 요인으로 상기 막재(200)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된 기준 장력값보다 부족한 경우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이 인장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이 압축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교 분석부(36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으로 전달되어 인장 또는 압축 작동을 실시하게 되고, 장력조절수단(310)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게 되는 장력조절바(320)에 의해 막재(200)의 물리적 장력 조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장력조절유닛(30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60)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부(370)는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도출되는 장력값을 수치화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막재(200)의 장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공부에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을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이 상기 중공부의 중심부에서 전/후, 좌/우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면 중 상호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고 관통홀(401)이 형성된 한 쌍 이상의 제 1브라켓(400)과, 상기 장력조절수단(310)의 외측면에 상기 제 1브라켓(400)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관통홀(411)이 형성된 한 쌍 이상의 제 2브라켓(410)과, 상기 제 1브라켓(400)과 제 2브라켓(410)의 각 관통홀(401, 411)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스터드 볼트(stud bolt)(420) 및 상기 스터드 볼트(420)를 상기 제 1브라켓(400) 및 제 2브라켓(4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브라켓(400)과 제 2브라켓(410) 간에 위치하는 스터드 볼트(420)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조정이 완료된 위치에서 체결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은 중공부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정 구조를 통해 상기 장력조절유닛(300)은 중공부의 중심부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막재(200)에 인장력을 부여할 경우 균일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이하 '커튼월 시스템'이라 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단위 막재 블록(10, 10-1, 10-2)을 상호 직렬 및 병렬 결합하여 기 설계된 지붕 구조물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커튼월 시스템은 전체의 지붕 구조물이 복수의 단위 막재 블록(10, 10-1, 10-2)에 의해 구성됨에 따라 외부 손상 등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단위 막재 블록에 대한 독립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월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단위 막재 블록(10, 10-1, 10-2) 간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단위 막재 블록(370) 간에 결합되는 이격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재(20)가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단위 막재 블록(10, 10-1, 10-2)을 수리 내지 교체할 수 있는 유지 보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단위 막재 블록
100 : 프레임부 110 : 분할프레임
111 : 체결홈 120 : 본체프레임
130 : 제어볼트 140 : 고정너트
200 : 막재 210 : 고정홀
220 : 돌기부 230 : 절개부
300 : 장력조절유닛 310 : 장력조절수단
320 : 장력조절바 330 : 고정핀
340 : 고정캡 350 : 장력측정센서
360 : 제어부 361 : 비교분석부
362 : 메모리부 370 : 표시부
400 : 제 1브라켓 410 : 제 2브라켓
420 : 스터드 볼트

Claims (6)

  1. 이중의 막을 구성하는 단위 막재 블록에 있어서,
    테두리를 구성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막재;
    상기 프레임부의 중공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막재를 외부 방향으로 인장시켜 막재가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막재에 대한 실시간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조절유닛;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 중 상호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 이상의 제 1브라켓과,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외측면에 상기 제 1브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 이상의 제 2브라켓과, 상기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의 각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스터드 볼트(stud bolt) 및 상기 스터드 볼트를 상기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장력조절수단;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그 끝단에 연장되며 막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고정핀 및 상기 막재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고정핀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핀과 상기 막재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상기 막재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막재와 일체 거동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장력조절바;
    상기 막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장력측정센서; 및
    상기 장력측정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으며 기설정된 기준 장력값과 상기 감지신호의 장력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장력조절수단의 인장 또는 압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4. 삭제
  5. 삭제
  6. 상기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위 막재 블록이 상호 직렬 및 병렬 결합되어 하나의 지붕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막재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KR1020150145956A 2015-10-20 2015-10-20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KR101636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56A KR101636327B1 (ko) 2015-10-20 2015-10-20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56A KR101636327B1 (ko) 2015-10-20 2015-10-20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327B1 true KR101636327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956A KR101636327B1 (ko) 2015-10-20 2015-10-20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17B1 (ko) * 2021-06-01 2022-03-23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KR102384159B1 (ko) * 2021-05-25 2022-04-08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61209B1 (ko) * 2024-01-31 2024-04-26 (주)지엔피 지능형 스마트 인장 장치를 구비한 막구조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690A (ja) * 2000-01-31 2001-08-03 Saito Kimio Kenkyushitsu:Kk ストラット式張力膜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立体骨組構造
KR20100002793A (ko) 2008-06-30 2010-01-07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KR101386588B1 (ko) * 2013-09-09 2014-04-17 하창우 장력 측정 및 동적 제어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막재 안정화 방법
KR101459508B1 (ko) * 2014-07-31 2014-11-0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단위 블럭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690A (ja) * 2000-01-31 2001-08-03 Saito Kimio Kenkyushitsu:Kk ストラット式張力膜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立体骨組構造
KR20100002793A (ko) 2008-06-30 2010-01-07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극저 탄소강용 샘플러
KR101386588B1 (ko) * 2013-09-09 2014-04-17 하창우 장력 측정 및 동적 제어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막재 안정화 방법
KR101459508B1 (ko) * 2014-07-31 2014-11-0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단위 블럭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159B1 (ko) * 2021-05-25 2022-04-08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막구조물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77117B1 (ko) * 2021-06-01 2022-03-23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KR102661209B1 (ko) * 2024-01-31 2024-04-26 (주)지엔피 지능형 스마트 인장 장치를 구비한 막구조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327B1 (ko)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KR101599777B1 (ko) 조립식 골조와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을 이용한 막 구조물
US9985154B2 (en) Solar canopy system
US11601086B2 (en) Solar canopy system with roll-formed structural components
US20180238043A1 (en) Building having tensile structure
US9957719B2 (en) Modular, easy-install window shading system
CN103890290A (zh) 提供结构整体性和整体密封的构造***
KR101190055B1 (ko)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US20150218826A1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3120069A (en) Increment assembly sheet sign
KR101459508B1 (ko) 단위 블럭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0824939B1 (ko) 메인프레임을 갖춘 비닐하우스용 철재 구조물
KR101744725B1 (ko)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JP2015208175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130227B1 (ko) 변각 기능을 갖는 표지판 고정 어셈블리
US20110259383A1 (en) Suspended false ceiling for lightweight housing module
KR102305534B1 (ko) 지진동 완충 구조가 구비된 아케이드
KR101476584B1 (ko) 건물용 차양장치 설치구조
KR101827346B1 (ko) 장력측정 및 도입이 가능한 막구조물 설치시스템
JP3205158U (ja) 農業用ハウスの補強構造
KR101739118B1 (ko) 장력 및 하중 감지 천막 구조물
ES2822138T3 (es) Procedimiento de detección
KR200257225Y1 (ko) 로드셀을 구비한 와이어 텐션장치
KR101415289B1 (ko) 점검구 보강장치를 구비한 가로등지주 및 이의 보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