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916B1 -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916B1
KR101631916B1 KR1020150129603A KR20150129603A KR101631916B1 KR 101631916 B1 KR101631916 B1 KR 101631916B1 KR 1020150129603 A KR1020150129603 A KR 1020150129603A KR 20150129603 A KR20150129603 A KR 20150129603A KR 101631916 B1 KR101631916 B1 KR 10163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
slider
fixed
linear actuato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탑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이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활선작업차량의 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기설완철지지장치 및, 상기 장착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신설완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신설완철 및 신설라인포스트애자의 지지 공정과, 신설완철의 이동 및 기설완철 지지 공정과, 기설완철의 철거 및 배전선 이선 공정 및, 신설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 공정을 통해 기설완철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신설완철과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Method for changing power distribution line in hot line}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활선작업차량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결합하여 기설완철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기설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된 배전선을 분리하여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한 상태에서 기설완철로부터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함과 아울러 전주로부터 기설완철을 철거하고,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의 위치로 이동시켜 전주에 고정함으로써 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공 배전선로는 지상에 설치되어 태양광과 풍우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도전체가 노출되는 등의 노후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노후 가공 배전선로를 교체하는 방법으로서는 교체하고자 하는 기존 가공 배전선로를 통한 배전을 차단한 정전 사선공법과 무정전 활선공법이 있다.
정전 사선공법은 교체하고자 하는 가공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사용가에 정전으로 인한 불편과 피해를 주기 때문에 무정전 활선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무정전 활선공법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320호(2005.03.18. 등록)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활선상태 전선이 가설된 상태의 각각의 전주 하부에 임시선 거치용 고정장치를 장착하는 작업구간내 고정수단 설치공정과; 고정장치를 경유하는 가공임시 폐전선을 이용한 임시선을, 인장주와 인장주 사이의 작업구간에 가설하는 임시선 가설공정과; 작업구간 외의 인장주측 활선단부에 임시선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해당 구간내의 활선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바이패스공정과; 임시선과 작업구간외 활선의 연결부를 보호 및 커버 조치하는 방호공정과; 작업구간내 전주에 삼상에 해당하는 인장주 및 핀장주를 가설하고 이에 삼상의 전선을 가설하는 삼상가설 및 전선교체, 완금교체, 장주변경의 삼상가설공정과; 바이패스된 임시선을 삼상전선에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고, 임시선을 삼상활선으로부터 단락하는 복귀공정과; 단락된 임시선 및 전주에 고정된 고정장치를 제거하는 해체공정으로 되어, 이들 각 공정을 인장주와 인장주 사이의 작업구간을 반복하는 공법으로서 단상선로를 삼상선로로 교체함은 물론 노후전선교체, 완금교체, 장주변경 등의 활선 및 무정전 작업을 가능케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공사가 가능하며, 작업구간내의 차량 및 보행자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교체하고자 하는 배전선로의 각 전주에 임시선 거치용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임시선을 가설하고 삼상가설 및 전선교체, 완금교체, 장주변경의 삼상가설공정이 완료된 후 다시 임시선 거치용 고정장치를 철거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820호(2014.12.11. 등록)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가완목부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전주에 연결된 전선을 가완목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로 이선하는 단계와, 가완목부 또는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켜 전선을 핀완철에 기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로부터 이격시키고, 전선이 이선된 복수개의 전선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핀완철에 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하고, 핀완철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단계와, 전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개의 전선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신설라인포스트애자측으로 접근시키는 단계와, 전선을 전선지지부에서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라인포스트애자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가완목을 기설완철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주에 고정한 다음 전선을 가완목의 전선지지부로 이선한 다음, 기설완철로부터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하고, 가완목의 전선지지부에 이선되어 있던 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하는 것으로서, 작업현장에서 기설완철에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하고, 다시 기설완철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를 일일이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가 많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그만큼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320호(2005.03.18. 등록)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820호(2014.12.11. 등록)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선작업차량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결합하여 기설완철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기설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된 배전선을 분리하여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한 상태에서 기설완철로부터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함과 아울러 전주로부터 기설완철을 철거하고,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의 위치로 이동시켜 전주에 고정함으로써 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활선작업차량의 붐의 상단에 겉으로 끼워져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 회동시키는 제1 회동수단과, 상기 제1 지지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진퇴 구동하는 제1 진퇴구동수단과,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선단에 설치되어 기설완철이 탈착되는 제1 클램프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클램프를 구동하는 제1 클램프구동기구를 구비한 기설완철지지장치; 및 상기 장착대의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를 상하 회동시키는 제2 회동수단과, 상기 제2 지지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진퇴 구동하는 제2 진퇴구동수단과,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선단에 설치되어 신설완철이 탈착되는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클램프를 구동하는 제2 클램프구동수단을 구비한 신설완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를 활선작업차량의 붐(BM)에 장착하여 준비하는 공정과; 신설완철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고, 상술한 클램핑 동작에 따라 신설완철의 일단부를 신설완철지지장치의 제2 클램프에 클램핑하는 신설완철 및 신설라인포스트애자의 지지 공정과; 활선작업차량의 붐을 가동시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의 하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클램핑 동작에 따라 제1 클램프로 기설완철의 일단부를 클램핑하는 신설완철의 이동 및 기설완철 지지 공정과; 제1 클램프를 언클램핑하고, 기설완철고정구를 해체하여 기설완철을 철거함과 아울러 배전선을 신설완철에 설치된 신설라인포스트애자 상에 이설하는 기설완철의 철거 및 배전선 이선 공정; 및 활선작업차량의 붐을 가동시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고, 신설완철고정구로 신설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고, 제2 클램프를 언클램핑하고, 활선 상태에서 활선작업차량과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철수하는 신설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의하면, 활선작업차량의 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기설완철지지장치 및, 상기 장착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신설완철지지장치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신설완철 및 신설라인포스트애자의 지지 공정과, 신설완철의 이동 및 기설완철 지지 공정과, 기설완철의 철거 및 배전선 이선 공정 및, 신설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 공정을 통해 기설완철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신설완철과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붐에서 분리한 상태를 상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붐에서 분리한 상태를 하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상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하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클램핑 1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클램핑 2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클램핑 3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기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기설완철이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신설완철지지부에 지지하는 공정을 보인 도면,
도 11은 신설완철지지부에 지지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공정을 보인 도면,
도 12는 기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기설완철을 전주로부터 철거함과 아울러 배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에 이설하는 공정을 보인 도면,
도 13은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로 이동시켜 전주에 고정하는 공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선작업차량의 붐(BM)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100)와, 상기 장착대(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기설완철지지장치(200) 및, 상기 장착대(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신설완철지지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활선작업차량(차체는 미도시)은 붐(BM)의 상단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버킷(도시생략)이 구비된 통상적인 활선작업차량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차체와 버킷 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장착대(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붐(BM)의 상단에 겉으로 끼워져 볼트(140)와 너트(150)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110)와, 상기 장착부재(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직부재(120)와, 상기 장착부재(110)와 수직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재(110)와 수직부재(120) 및 연결부재(130)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기설완철지지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지지대(210)와, 상기 제1 지지대(210)를 상하 회동시키는 제1 회동수단(220)과, 상기 제1 지지대(2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230)와, 상기 제1 지지대(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230)를 진퇴 구동하는 제1 진퇴구동수단(240)과, 상기 제1 슬라이더(230)의 선단에 설치되어 기설완철(11)이 탈착되는 제1 클램프(250)와, 상기 제1 슬라이더(2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클램프(250)를 구동하는 제1 클램프구동기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대(210)는 수직부(211)와, 상기 수직부(21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211)와 수평부(212)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으며, 보강을 위하여 수직부(211)와 수평부(212)의 결합부위에 보강리브(213)를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210)를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에 고정되는 힌지편(214)과, 상기 수직부(211)의 후면에 고정되는 힌지편(215)과, 상기 힌지편(214)과 힌지편(215)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16)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핀(214)은 각각 수직부재(120)에, 힌지편(215)은 수직부(211)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216)은 일반적인 힌지핀을 사용하거나 도시예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힌지핀(216)의 도면부호를 볼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에만 부여하였다.
상기 제1 회동수단(220)은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210)의 수평부(2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봉(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를 수직부재(12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에 고정되는 힌지편(223)과,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의 후단에 고정되는 힌지편(224) 및 상기 힌지편(223, 22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25)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봉(222)을 수평부(2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부(212)의 하면에 고정되는 힌지편(226)과, 작동봉(222)의 선단에 고정되는 힌지편(227) 및 상기 힌지편(226, 227)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28)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편(223)은 수직부재(120)에, 힌지편(224)은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의 후단부에, 힌지편(226)은 수평부(212)의 하면에, 힌지편(227)은 작동봉(222)의 선단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228)은 일반적인 힌지핀을 사용하거나 도시예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힌지핀(228)의 도면부호를 볼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에만 부여하였다.
상기 제1 슬라이더(230)는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편(232)에 의해 지지된 한 쌍의 제1 안내봉(231)과, 상기 제1 슬라이더(23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안내봉(231)에 안내되는 제1 안내공(233)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안내봉(231)과 제1 안내공(233) 사이에는 메탈부시 또는 리니어모션 베어링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퇴구동수단(240)은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4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4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23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24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250)는 상기 제1 슬라이더(230)의 상면에 고정되며 기설완철(11)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52)을 가지는 외부통체(251)와, 상기 외부통체(251)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완철(11)의 일단부 내부에 삽입 가능한 내부봉체(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통체(251)의 선단부에는 기설완철(11)의 일단부가 삽입공(25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해 확장 형성되는 완철안내부(253)가 형성되며, 내부봉체(254)의 선단부에는 내부봉체(254)가 기설완철(1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255)는 기설완철(11)에 삽입되어 쐐기작용을 하여 기설완철(11)을 긴밀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구동수단(260)은 상기 제1 슬라이더(230)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6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6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상기 내부봉체(254)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2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 241, 261)와 작동봉(222, 242, 262)은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또는 회전모터와 너트박스 및 스크루로 구성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로 구성한 경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 241, 26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본체로 되고, 작동봉(222, 242, 262)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모터와 너트박스 및 스크루로 구성한 경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 241, 261)는 회전모터와 너트박스로 되고, 작동봉(222, 242, 262)은 스크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설완철지지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의 하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지지대(310)와, 상기 제2 지지대(310)를 상하 회동시키는 제2 회동수단(320)과, 상기 제2 지지대(3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330)와, 상기 제2 지지대(3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330)를 진퇴 구동하는 제2 진퇴구동수단(340)과, 상기 제2 슬라이더(330)의 선단에 설치되어 신설완철(21)이 탈착되는 제2 클램프(350)와, 상기 제2 슬라이더(33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클램프(350)를 구동하는 제2 클램프구동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지지대(310)는 수직부(311)와, 상기 수직부(31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311)와 수평부(312)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으며, 보강을 위하여 수직부(311)와 수평부(312)의 결합부위에 보강리브(313)를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310)를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에 고정되는 힌지편(314)과, 상기 수직부(311)의 후면에 고정되는 힌지편(315)과, 상기 힌지편(314)과 힌지편(315)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316)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핀(314)은 각각 수직부재(120)에, 힌지편(315)은 수직부(311)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316)은 일반적인 힌지핀을 사용하거나 도시예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힌지핀(316)의 도면부호를 볼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에만 부여하였다.
상기 제2 회동수단(320)은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제2 지지대(310)의 수평부(3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봉(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를 수직부재(12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에 고정되는 힌지편(323)과,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의 후단에 고정되는 힌지편(324) 및 상기 힌지편(323, 32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325)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봉(322)을 수평부(3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부(312)의 하면에 고정되는 힌지편(326)과, 작동봉(322)의 선단에 고정되는 힌지편(327) 및 상기 힌지편(326, 327)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328)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편(323)은 수직부재(120)에, 힌지편(324)은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의 후단부에, 힌지편(326)은 수평부(312)의 하면에, 힌지편(327)은 작동봉(322)의 선단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328)은 일반적인 힌지핀을 사용하거나 도시예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힌지핀(328)의 도면부호를 볼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에만 부여하였다.
상기 제2 슬라이더(330)는 상기 수평부(312)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편(332)에 의해 지지된 한 쌍의 제2 안내봉(331)과, 상기 제2 슬라이더(33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안내봉(331)에 안내되는 제2 안내공(333)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안내봉(331)과 제2 안내공(333) 사이에는 메탈부시 또는 리니어모션 베어링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퇴구동수단(340)은 상기 수평부(3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4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4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33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34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350)는 상기 제2 슬라이더(3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신설완철(21)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352)을 가지는 외부통체(351)와, 상기 외부통체(351)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신설완철(21)의 일단부 내부에 삽입 가능한 내부봉체(3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통체(351)의 선단부에는 신설완철(21)의 일단부가 삽입공(35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해 확장 형성되는 완철안내부(353)가 형성되며, 내부봉체(354)의 선단부에는 내부봉체(354)가 신설완철(2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355)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355)는 신설완철(21)에 삽입되어 쐐기작용을 하여 신설완철(21)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구동수단(360)은 상기 제2 슬라이더(330)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6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6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상기 내부봉체(354)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3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 341, 361)와 작동봉(322, 342, 362)은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또는 회전모터와 너트박스 및 스크루로 구성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로 구성한 경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 341, 36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본체로 되고, 작동봉(322, 342, 362)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모터와 너트박스 및 스크루로 구성한 경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 341, 361)는 회전모터와 너트박스로 되고, 작동봉(322, 342, 362)은 스크루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제1 및 제2 회동수단(220, 320), 제1 및 제2 진퇴구동수단(240, 340), 제1 및 제2 클램프(250, 3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동수단의 동작]
제1 및 제2 회동수단(220, 320)을 구성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 321)로부터 작동봉(222, 322)이 전진 또는 후퇴하면,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 321)의 후단부가 각각 수직부재(12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작동봉(222, 322)의 선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 지지대(210, 310)의 수평부(212, 3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지지대(210, 310)가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대(210, 310) 상에 장착된 제1 및 제2 슬라이더(230, 330), 제1 및 제2 진퇴구동수단(240, 340), 제1 및 제2 클램프(250, 350) 및 제1 및 제2 클램프구동수단(260, 360)이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수단의 동작은 그 동작상태를 도시하지 않더라도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진퇴구동수단의 동작]
제1 및 제2 진퇴구동수단(240, 340)을 구성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41, 341)로부터 작동봉(242, 342)이 전진 또는 후퇴하면,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41, 341)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대(210, 310)에 장착되어 있고, 작동봉(242, 342)의 선단이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더(230, 3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슬라이더(230, 330)가 제1 및 제2 안내봉(231, 331)과 제1 및 제2 안내공(233, 333)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더(230, 330) 상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클램프(250, 350)와 제1 및 제2 클램프구동수단(260, 360)이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클램프구동수단의 동작]
제1 및 제2 클램프구동수단(260, 360)을 구성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61, 361)로부터 작동봉(262, 362)이 전진 또는 후퇴하면,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61, 361)는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더(230, 330)에 장착되어 있고, 작동봉(262, 362)은 내부봉체(264, 364)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부봉체(264, 364)가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상기 진퇴구동수단의 동작과 클램프구동수단의 동작은 후술하는 클램핑 및 언클램핑 동작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클램핑 및 언클램핑 동작]
클램핑 1단계로, 제1 및 제2 클램프구동수단(260, 360)에 의하여 내부봉체(252, 352)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을 작동시켜 제1 및 제2 클램프(250, 350)의 선단부를 기설완철(11)과 신설완철(21)의 일단부에 위치시킨다(도 6 참조).
클램핑 2단계로, 제1 및 제2 진퇴구동수단(240, 340)에 의하여 제1 및 제2 슬라이더(230, 330)를 전진시키면, 제1 및 제2 클램프(250, 350)의 외부통체(251, 351)와 내부봉체(254, 354)가 함께 전진하게 되고, 외부통체(251, 351)에 기설완철(11) 및 신설완철(21)의 일단부가 삽입된다(도 7 참조).
이때 외부통체(251, 351)의 선단부에는 확장부(253, 35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통체(251, 351)에 대한 기설완철(11)과 신설완철(21)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클램핑 3단계로, 제1 및 제2 클램프구동수단(260, 360)에 의하여 내부봉체(254, 354)를 전진시키면, 내부봉체(254, 354)가 전진하면서 기설완철(11) 및 신설완철(21)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된다(도 8 참조).
이때 내부봉체(254, 354)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부(255, 35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설완철(11) 및 신설완철(21)에 대한 내부봉체(254, 354)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내부봉체(254, 354)의 테이퍼부(255, 355)에 의하여 내부봉체(254, 354)가 기설완철(11) 및 신설완철(21)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견고한 클램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언클램핑 동작은 상술한 클램핑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의 시공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전주(10)에 기설완철고정구(13)로 고정된 기설완철(11)에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를 설치하고, 배전선(30)을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에 지지하며, 정형바인드(Performed Insulator Ties)(미도시)에 의하여 결속하여 고정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준비 공정]
상술한 장착대(100)와 기설완철지지장치(200)와 신설완철지지장치(300)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활선작업차량의 붐(BM)에 장착한 상태로 준비한다.
[신설완철 및 신설라인포스트애자의 지지 공정]
장착대(100)에 기설완철지지장치(200)와 신설완철지지장치(300)를 결합하고 장착대(100)를 활선작업차량의 붐(BM)에 장착한다.
신설완철(21)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를 설치하고, 상술한 클램핑 동작에 따라 신설완철(21)의 일단부를 신설완철지지장치(300)의 제2 클램프(350)에 클램핑한다(도 10 참조).
이때, 신설완철(21)을 전주(10)에 고정하기 위한 신설완철고정구(23)를 준비한다. 신설완철밴드는 통상적인 어댑터와 밴드와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해서는 도면에는 도시하되 도면부호는 부여하지 않는다.
[신설완철의 이동 및 기설완철 지지 공정]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을 가동시켜 신설완철(21)을 기설완철(11)의 하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클램핑 동작에 따라 제1 클램프(250)로 기설완철(11)의 일단부를 클램핑한다(도 11 참조).
[기설완철의 철거 및 배전선 이선 공정]
제1 클램프(250)를 언클램핑하고, 기설완철고정구(13)를 해체하여 기설완철(11)을 철거함과 아울러 배전선(30)을 신설완철(21)에 설치된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 상에 이설하고, 정형바인드로 결속하여 고정한다(도 12 참조).
이때, 철거되는 기설완철(11)은 별도의 크레인에 매달아 지상으로 내려놓을 수 있다.
[신설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 공정]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을 가동시켜 신설완철(21)을 기설완철(11)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고, 신설완철고정구(23)로 신설완철(21)을 전주(10)에 고정한다(도 13 참조).
신설완철(21)과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2 클램프(350)를 언클램핑하고,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을 가동시켜 기설완철지지장치(200)와 신설완철지지장치(300)를 전주(10)로부터 이격시키고, 활선작업차량을 이동시켜 작업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의하면, 활선작업차량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결합하여 기설완철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기설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된 배전선을 분리하여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한 상태에서 기설완철로부터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함과 아울러 전주로부터 기설완철을 철거하고,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의 위치로 이동시켜 전주에 고정함으로써 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M : 붐 10 : 전주
11 : 기설완철 12 : 기설라인포스트애자
21 : 신설완철 22 : 신설라인포스트애자
30 : 배전선 100 : 장착대
110 : 장착부재 120 : 수직부재
130 : 연결부재 140 : 볼트
150 : 너트 200 : 기설완철지지장치
210 : 제1 지지대 211 : 수직부
212 : 수평부 213 : 보강리브
214, 215 : 힌지편 216 : 힌지핀
220 : 제1 회동수단 221 :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
222 : 작동봉 223, 224 : 힌지편
225 : 힌지핀 226, 227 : 힌지편
228 : 힌지핀 230 : 제1 슬라이더
231 : 제1 안내봉 232 : 지지편
233 : 제1 안내공 240 : 제1 진퇴구동수단
241 :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 242 : 작동봉
250 : 제1 클램프 251 : 외부통체
252 : 삽입공 253 : 완철안내부
254 : 내부봉체 255 : 테이퍼부
260 : 제1 클램프구동수단 261 :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
262 : 작동봉 300 : 신설완철지지장치
310 : 제2 지지대 311 : 수직부
312 : 수평부 313 : 보강리브
314, 315 : 힌지편 316 : 힌지핀
320 : 제2 회동수단 321 :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
322 : 작동봉 323, 324 : 힌지편
325 : 힌지핀 326, 327 : 힌지편
328 : 힌지핀 330 : 제2 슬라이더
331 : 제2 안내봉 332 : 지지편
333 : 제2 안내공 340 : 제2 진퇴구동수단
341 :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 342 : 작동봉
350 : 제2 클램프 351 : 외부통체
352 : 삽입공 353 : 완철안내부
354 : 내부봉체 355 : 테이퍼부
360 : 제2 클램프구동수단 361 :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
362 : 작동봉

Claims (1)

  1.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의 상단에 겉으로 끼워져 볼트(140)와 너트(150)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110)와, 상기 장착부재(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직부재(120)와, 상기 장착부재(110)와 수직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구비한 장착대(100)와;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부(211)와, 상기 수직부(21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대(210)와, 상기 수직부재(120)에 고정되는 힌지편(214)과, 상기 수직부(211)의 후면에 고정되는 힌지편(215)과, 상기 힌지편(214)과 힌지편(215)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16)과,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210)의 수평부(2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봉(222)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지지대(210)를 상하 회동시키는 제1 회동수단(220)과,
    상기 제1 지지대(2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230)와,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편(232)에 의해 지지된 한 쌍의 제1 안내봉(231)과, 상기 제1 슬라이더(23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안내봉(231)에 안내되는 제1 안내공(233)과,
    상기 지지대(210)의 수평부(2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4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4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23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242)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230)를 진퇴 구동하는 제1 진퇴구동수단(240)과,
    상기 제1 슬라이더(230)의 상면에 고정되며 기설완철(11)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52)을 가지며 선단부에 전방을 향해 확장 형성되는 완철안내부(253)가 구비되는 외부통체(251)와, 상기 외부통체(251)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완철(11)의 일단부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선단부에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255)가 형성된 내부봉체(254)를 포함하여 기설완철(11)이 탈착되는 제1 클램프(250)와,
    상기 제1 슬라이더(230)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6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6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이 상부 내부봉체(254)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262)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클램프(250)를 구동하는 제1 클램프구동기구(260)를 구비한 기설완철지지장치(200); 및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의 하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부(311)와, 상기 수직부(31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12)를 포함하는 제2 지지대(310)와,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고정되는 힌지편(314)과, 상기 수직부(311)의 후면에 고정되는 힌지편(315)과, 상기 힌지편(314)과 힌지편(315)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316)과,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도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제2 지지대(310)의 수평부(3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봉(32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지지대(310)를 상하 회동시키는 제2 회동수단(320)과,
    상기 제2 지지대(3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330)와,
    상기 수평부(312)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편(332)에 의해 지지된 한 쌍의 제2 안내봉(331)과, 상기 제2 슬라이더(330)에 관통 형성되어 한 쌍의 제2 안내봉(331)에 안내되는 제2 안내공(333)과,
    상기 수평부(3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4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4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33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34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지지대(3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330)를 진퇴 구동하는 제2 진퇴구동수단(340)과,
    상기 제2 슬라이더(3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신설완철(21)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352)을 가지며 선단부에 전방을 향해 확장 형성되는 완철안내부(353)가 구비되는 외부통체(351)와, 상기 외부통체(351)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신설완철(21)의 일단부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선단부에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355)가 형성된 내부봉체(354)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330)의 선단에 설치되어 신설완철(21)이 탈착되는 제2 클램프(350)와,
    상기 제2 슬라이더(330)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6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6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내부봉체(354)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작동봉(362)을 포함하여 상기 제2 클램프(350)를 구동하는 제2 클램프구동수단(360)을 구비한 신설완철지지장치(300); 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활선작업차량의 붐(BM)에 장착하여 준비하는 공정과;
    신설완철(21)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를 설치하고, 상술한 클램핑 동작에 따라 신설완철(21)의 일단부를 신설완철지지장치(300)의 제2 클램프(350)에 클램핑하는 신설완철 및 신설라인포스트애자의 지지 공정과;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을 가동시켜 신설완철(21)을 기설완철(11)의 하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클램핑 동작에 따라 제1 클램프(250)로 기설완철(11)의 일단부를 클램핑하는 신설완철의 이동 및 기설완철 지지 공정과;
    제1 클램프(250)를 언클램핑하고, 기설완철고정구(13)를 해체하여 기설완철(11)을 철거함과 아울러 배전선(30)을 신설완철(21)에 설치된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 상에 이설하는 기설완철의 철거 및 배전선 이선 공정; 및
    활선작업차량의 붐(BM)을 가동시켜 신설완철(21)을 기설완철(11)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고, 신설완철고정구(23)로 신설완철(21)을 전주(10)에 고정하고, 제2 클램프(350)를 언클램핑하고, 활선 상태에서 활선작업차량과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철수하는 신설완철의 위치 이동 및 고정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20150129603A 2015-09-14 2015-09-14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63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03A KR101631916B1 (ko) 2015-09-14 2015-09-14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03A KR101631916B1 (ko) 2015-09-14 2015-09-14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916B1 true KR101631916B1 (ko) 2016-06-20

Family

ID=5635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03A KR101631916B1 (ko) 2015-09-14 2015-09-14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9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96B1 (ko) * 2017-01-23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101799036B1 (ko) 2017-03-30 2017-12-20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864309B1 (ko) 2017-01-19 2018-06-05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101893076B1 (ko) * 2017-03-31 2018-08-29 (주)혜광 특고압 배전선로의 경완금 구조
KR102236410B1 (ko) 2020-10-14 2021-04-05 이종학 전선 설치 방법
CN114725833A (zh) * 2022-05-09 2022-07-0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马鞍山供电公司 一种环形件安装平台及安装装置、方法、电量控制方法
CN115126329A (zh) * 2022-06-27 2022-09-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装配式电杆安装装置及方法
KR102584839B1 (ko) 2023-01-26 2023-10-05 (주)호반엔지니어링 변압기의 교체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320B1 (ko) 2003-02-18 2005-03-25 우창전력(주)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20090024841A (ko) * 2007-09-05 2009-03-10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20140081139A (ko) * 2012-12-21 2014-07-01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1473820B1 (ko)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320B1 (ko) 2003-02-18 2005-03-25 우창전력(주)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20090024841A (ko) * 2007-09-05 2009-03-10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20140081139A (ko) * 2012-12-21 2014-07-01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1473820B1 (ko)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150087780A (ko) * 2014-01-20 2015-07-3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150087779A (ko) * 2014-01-20 2015-07-3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09B1 (ko) 2017-01-19 2018-06-05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101794296B1 (ko) * 2017-01-23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101799036B1 (ko) 2017-03-30 2017-12-20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893076B1 (ko) * 2017-03-31 2018-08-29 (주)혜광 특고압 배전선로의 경완금 구조
KR102236410B1 (ko) 2020-10-14 2021-04-05 이종학 전선 설치 방법
CN114725833A (zh) * 2022-05-09 2022-07-0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马鞍山供电公司 一种环形件安装平台及安装装置、方法、电量控制方法
CN114725833B (zh) * 2022-05-09 2024-04-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马鞍山供电公司 一种环形件安装平台及安装装置、方法、电量控制方法
CN115126329A (zh) * 2022-06-27 2022-09-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装配式电杆安装装置及方法
CN115126329B (zh) * 2022-06-27 2023-11-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装配式电杆安装装置及方法
KR102584839B1 (ko) 2023-01-26 2023-10-05 (주)호반엔지니어링 변압기의 교체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916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864309B1 (ko)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101616484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CA2687346C (en) Boom mountable robotic arm
KR100815836B1 (ko) 폴 클램프 및 폴 크러셔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콘크리트전주의 무정전 커팅 교체 시공법
CN1515055A (zh) 电线杆内的换线装置和非掉电的配电方法
CN210359963U (zh) 一种中空注浆锚索尾部多焊枪自动焊机
WO2009049283A1 (en) Robotic bypass system and method
KR20130121398A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CN117691434B (zh) 一种用于交联聚乙烯绝缘电力电缆的熔接装置及方法
CN202872250U (zh) 带电作业导线线夹的安装夹钳
KR10153959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교체 방법이 적용된 장치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N116131187A (zh) 一种电缆安装配件
KR102173375B1 (ko)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JP2012080678A (ja) 架設線路移設工法
KR100402756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CN107769104A (zh) 一种便携式电缆终端头制作支架
KR102173378B1 (ko)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CN114094495B (zh) 一种不停电进行带绝缘护罩型线夹装置的安装方法
CN220976379U (zh) 一种柱式绝缘子辅助更换装置
CN220188771U (zh) 一种可调式光缆抱箍
KR102173377B1 (ko)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CN214590264U (zh) 一种高压电缆铜插头辅助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