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876B1 -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876B1
KR101631876B1 KR1020140175397A KR20140175397A KR101631876B1 KR 101631876 B1 KR101631876 B1 KR 101631876B1 KR 1020140175397 A KR1020140175397 A KR 1020140175397A KR 20140175397 A KR20140175397 A KR 20140175397A KR 101631876 B1 KR101631876 B1 KR 101631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ixing
bus bar
block bod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9436A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876B1/en
Publication of KR2016006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분배장치에서는 어셈블리프레임(30)이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된다.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에는 제1와이어링고정부(34)와 제2와이어링고정부(36)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링(24)과 상기 제2와이어링고정부(36)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링(24')이 절연거리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에 형성된 부품고정편(38)은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되는 전류센서(50)의 일측을 눌러서, 상기 전류센서(50)가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형성된 격벽(28)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분배장치에서 와이어링(24,24') 사이의 절연거리확보가 용이하고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frame 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block body 10. The first wiring fixing part 34 and the second wiring fixing part 36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ssembly frame 30 so that the first wiring fixing part 34 fixed to the first wiring fixing part 34, The first wiring ring 24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fixed to the second wiring fixing portion 36 can more securely maintain the insulation distance. The component fixing piece 38 formed on the assembly frame 30 presses one side of the current sensor 50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block body 10 so that the current sensor 50 can contact the block body 10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8 form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artition wall.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wiring rings 24 and 24 'i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the assembly operation is very easy.

Description

전원분배장치{Power distributing apparatus}[0001]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과 저전압용 와이어링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하고 블럭몸체 내부에의 부품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distribution device that secures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a high-voltage and low-voltage wiring and assures easy assembly of components into a block body.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원분배장치에는 릴레이, 저항, 와이어, 버스바 등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서로 기능적으로 간섭하거나 전기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power distribution devices used in vehi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relays, resistors, wires, and bus bars. These components can be functioned only when they are installed so that they do not functionally interfere with each other or electrically interfere with each other.

하지만, 와이어의 경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므로, 그 설치 위치가 확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간섭되지 않아야 할 와이어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However, since the wire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its installation position can not be determined but can be caused to flow for various reas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rely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wires which should not be electrically interfered.

그리고, 블럭몸체의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좁은 공간에 많은 부품들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various components within the body of the block while occupying a minimum space, many parts must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7899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899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분배장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링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securely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wiring used in a power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링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블럭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조립체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wiring and to make a component installed inside the block body into an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전원측과 연결되는 제1단자와, 상기 블럭몸체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부하측과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제1단자, 제2단자 그리고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기 블럭몸체의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와 상기 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와이어링과, 상기 제1와이어링의 일측과 제2와이어링의 일측이 각각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위치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안착된 부분을 고정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어셈블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프레임을 상기 블럭몸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이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 구비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lock body having a partition wall defining a space in which the component is seated in an internal space in which components are installed,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 second terminal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and connected to the load side,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omponents, A first and a second wiring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rts to each other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to each other; And an assembly frame fixed to an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to fix a portion se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In order to secure the block body side fixing hole is formed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ed around the lower edge of the frame body a.

상기 어셈블리프레임은 골격을 프레임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선단에 와이어걸이공이 형성된 제1와이어링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프레임몸체 상에 클립고정공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제2와이어링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안착된 부품이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부품고정편이 구비되며 상기 부품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는 부품을 관통하는 버스바가 고정되는 버스바고정부가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측에 형성된다.The assembly frame includes a first wiring fixing part having a frame body formed with a frame body an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rame body and having a wire hooking hole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There is provided a part fixing member for preventing a part se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from escaping from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A bus bar assembl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body to which a bus bar passing through the fixed part is fixed.

상기 프레임몸체에 형성된 버스바고정부에는 고정슬릿이 형성되어 버스바를 관통한 체결구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삽입된다.In the bus bar fixing part formed on the frame body, a fixing slit is formed, and a fixing nut for fasten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bus bar is inserted.

상기 버스바고정부에는 고정슬릿이 형성되어 고정너트가 삽입되는데, 상기 고정너트에는 상기 버스바를 관통한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슬릿에 삽입되는 고정몸체가 구비된다.The bus bar fixing part has a fixing slit formed therein and a fixing nu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 The fixing nut is formed with a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a fastener penetrating through the bus bar. The fixing nu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astening part, .

상기 부품고정편은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And the component fixing piece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extends.

상기 제1와이어링은 고전압 부품과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링은 상기 제1와이어링보다 상대적으로 저전압부품과 연결된다.
The first wiring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part and the second wiring is connected to a relatively low voltage part rather than the first wiring.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블럭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와이어링과 제2와이어링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어셈블리프레임을 사용하는데, 상기 어셈블리프레임에는 제1와이어링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와이어링고정부와 제2와이어링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2와이어링고정부가 소정 거리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링과 제2와이어링 사이의 절연거리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y frame is used to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a first wiring ring and a second wiring ring provided inside the block body, wherein the assembly frame includes a first wiring ring And a second wiring fixing part for fixing one side of the second wiring to the second wiring fixing par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can be precisely secur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셈블리프레임에 버스바를 고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전류센서를 상기 버스바가 관통하도록 하여 어셈블리프레임에 버스바와 전류센서를 조립한 조립체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조립체를 전원분배장치의 조립라인에 제공하면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may be fixed to the assembly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sensor may be passed through the bus bar, thereby forming an assembly in which the bus bar and the current sensor are assembled to the assembly frame. When the assembly thus produced is provided to the assembly lin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the assembly operation can be more easily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어셈블리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어셈블리프레임에 부품들이 조립되어 조립체를 형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어셈블리프레임에 제1와이어링과 제2와이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어셈블리프레임에 의해 전류센서가 고정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ssembly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s assembled in an assembly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n assembly.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at a first wiring ring and a second wiring ring are installed in an assembly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at the current sensor is fixed by the assembly fr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블럭의 외관과 골격을 블럭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여러 가지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외면에는 다수 곳에 장착브라켓(14)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 일측 가장자리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4)에는 각각 장착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블럭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그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이 외부와 연통되는데, 상기 개방된 부분은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block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and the skeleton of the vehicl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space 12 is formed in the block body 10. The internal space 12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0, there are mounting brackets 14 in a number of places.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brackets 14 are formed at a pair of opposite side edges of the block body 10. Mounting holes 16 are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s 14, respectively. For reference, the block body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one side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inner space 12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opened portion is shielded by a separate cover (not shown).

상기 내부공간(12)에는 대표적으로 제1메인릴레이(18)와 제2메인릴레이(18')가 장착된다. 상기 제1메인릴레이(18)와 제2메인릴레이(18')는 도 1 및 도 2에서 그 설치위치를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셈블리프레임(30), 전류센서(50), 버스바(22,22')(52,54), 저항(도면부호 부여않음), 프리차지릴레이(도면부호 부여않음) 등 부품들이 장착된다.The first main relay 18 and the second main relay 18 'are typically mounted in the inner space 12. The first main relay 18 and the second main relay 18 'can see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in FIGS. 1 and 2. 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12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frame 30, a current sensor 50, bus bars 22 and 22 '(52 and 54), resistors (not shown) (Not shown) and the like are mounted.

상기 블럭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제1단자(20)와 제2단자(20')가 있다. 상기 제1단자(20)와 제2단자(20')는 차량용 블럭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제1단자(20)는 전원측과 연결되는 입력측이 되고 상기 제2단자(20')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출력측이 된다. 상기 제1단자(20)와 제2단자(20')는 각각 볼트형상으로 만들어진다.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body 10.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20 'electrically connect the vehicle block to the outside. That is,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20 is an input sid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second terminal 20 'is an output side connected to the load side.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re each formed in a bolt shape.

상기 제1단자(20)와 제2단자(20')에는 버스바(22,22')가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22,22')는 상기 내부공간(12)에서 회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많은 버스바가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상기 버스바(22,22')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52,54)에만 도면 부호를 부여했다.Bus bars 22 and 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20'. The bus bars 22 and 22 'serve to connect circuits in the internal space 12. There are many bus bars in the internal space 1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bus bars 22 and 22 'and the bus bars 52 and 54 described below are given reference numerals.

상기 내부공간(12)에서의 회로 연결을 위해서 또한 제1와이어링(24)과 제2와이어링(24')이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링(24,24')은 와이어의 다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와이어링(24)과 제2와이어링(24')은 서로 다른 전압용이다. 예를 들면, 제1와이어링(24)은 고전압용이고 상기 제2와이어링(24')은 저전압용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와이어링(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부(26)와 상기 메인릴레이(18,18')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1와이어링(24)은 상기 메인릴레이(18,18')의 전압을 외부에서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와이어링(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부(26')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메인릴레이(18,18')의 시그널커넥터(도면부호 부여않음) 그리고 전류센서(50)의 시그널커넥터(도면부호 부여않음) 등에 연결된다.A first wiring ring 24 and a second wiring ring 24 'are also used for circuit connection in the internal space 12. The wiring (24, 24 ') consists of a bundle of wires. The first wiring ring 24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are for different voltages. For example, the first wiring ring 24 is for high voltage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is for low voltag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iring ring 24 connect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portion 26 and the main relay 18, 18 ',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wiring ring 24 is for sensing the voltage of the main relay 18, 18 'from outside. One end of the second wiring ring 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ignal connector (not shown)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18 and 18 ' And the signal connector (not shown) of the current sensor 50, and the like.

상기 블럭몸체(10)에는 또한 제1커넥터부(26)와 제2커넥터부(26')가 있다. 이들 커넥터부(26,26')는 차량용 블럭의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부(26)에는 제1와이어링(24)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부(26')에는 제2와이어링(24')의 일측이 연결된다.The block body 10 also has a first connector portion 26 and a second connector portion 26 '. These connector portions 26 and 26 'are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vehicle block. One side of the first wiring ring 2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6 and one side of the second wiring ring 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6'.

한편,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2) 바닥에는 격벽(28)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28)은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격벽(28)은 전류센서(50)가 안착되는 공간을 구획하여 전류센서(50)가 유동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A partition wall 28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12 of the block body 10. The partition wall 28 serves to define a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block body 10 are seated. The partition wall 28 shown in Fig. 6 serves to partition the space where the current sensor 50 is seated to prevent the current sensor 50 from flowing.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어셈블리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은 상기 제1와이어링(24)과 제2와이어링(24')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기능과 상기 내부공간(12) 내에 설치되는 일부 부품이 조립체 형태로 만들어져 조립라인에 공급되어 상기 내부공간(1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An assembly frame (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2). The assembly frame 30 has a function of securing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ring ring 24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and a function of assembling some parts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12 into an assembly form Line to be mounted on the inner space 12. [0031] As shown in FIG. The configuration of the assembly frame 30 is well illustrated in FIG.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골격을 프레임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몸체(3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프레임몸체(31)의 하단 양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편(32)이 있다. 상기 고정편(32)에는 나사가 관통하는 고정공(3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33)을 관통한 나사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체결되어 어셈블리프레임(30)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편(32)은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있으나, 그 갯수나 설치위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The assembly frame 30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The frame body 31 forms the framework of the assembly frame 30. The frame body 31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 fixing piece 3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31. A fixing hole (33) through which a screw passes is formed in the fixing piece (32). A screw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33 is fastened to the block body 10 to fix the assembly frame 30. Although the number of the fixing pieces 32 is two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fixing pieces 32 and the mounting position vary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에는 제1와이어링고정부(34)와 제2와이어링고정부(36)가 있다.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는 상기 프레임몸체(3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는 본 실시례에서는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에는 그 선단으로 개방되게 와이어걸이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걸이공(35)은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의 선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통공으로 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은 상기 와이어걸이공(35)의 직경보다는 작은 길이를 가진다. 상기 와이어걸이공(35)에는 상기 제1와이어링(24)의 일측이 삽입된다.The assembly frame 30 includes a first wiring fixing portion 34 and a second wiring fixing portion 36. The first wiring fixing part 34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frame body 31.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34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plate in this embodiment. A wire hooking hole 35 is formed in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34 so as to be opened at the tip thereof. The wire hooking hole 35 is formed as a through hole whose one side is open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34. The open portion has a leng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hanging hole 35. [ One side of the first wiring ring (24) is inserted into the wire hooking hole (35).

상기 제2와이어링고정부(36)는 상기 프레임몸체(3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와 상기 제2와이어링고정부(36)는 상기 제1와이어링(24)과 제2와이어링(24') 사이의 거리를 일정 이상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와이어링고정부(36)가 형성된 프레임몸체(31)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의 선단에 형성된 와이어걸이공(35)까지는 소정의 거리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와이어링고정부(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클립(56)이 결합되는 클립고정공(37)이 형성된다.The second wiring fixing portion 36 is formed on the frame body 31.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34 and the second wiring fixing portion 36 are for separa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ring ring 24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 predetermined distance must be maintained from the position of the frame body 31 where the second wiring fixing part 36 is formed to the wire fixing hole 35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wiring fixing part 34. [ The second wire fixing part 36 is formed with a clip fixing hole 37 to which a wire clip 56 described below is coupled.

상기 프레임몸체(31)의 일측에는 부품고정편(3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부품고정편(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류센서(50)가 블럭몸체(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품고정편(38)은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34)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부품고정편(38)은 대략 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고정편(38)의 일면에는 보강리브(38')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38')는 상기 부품고정편(38)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A component fixing piece 38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rame body 31. The component fixing piece 38 serves to prevent the current sensor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being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lock body 10. The component fixing piece 38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34 extends. The part fixing piece 38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8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mponent fixing piece 38. The reinforcing rib 38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component fixing piece 38.

상기 제2와이어링고정부(36)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버스바고정부(39)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고정부(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52,54)가 연결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버스바고정부(39)에는 고정슬릿(4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릿(40)에는 고정너트(4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너트(42)는 상기 고정슬릿(40)에 삽입되는 사각판 형상의 고정몸체(44)와 상기 고정몸체(44)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46)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46)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48)가 체결되면서 버스바(52,54)를 서로 체결하여 연결한다.A bus bar fixing portion 39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wiring fixing portion 36. The bus bars 52 and 5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bus barriers 39. A fixed slit 40 is formed in the bus bar fixing portion 39. The stationary slit (40) is provided with a fixing nut (42). The fixing nut 42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fixing body 44 inserted into the fixing slit 40 and a fastening part 46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xing body 44. The fastening portion 46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threads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4, the fastening part 48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46 to fasten the bus bars 52 and 54 to each other.

전류센서(50)는 버스바(52)를 통해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전류센서(50)는 상기 격벽(28)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일부가 안착되어 설치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부품고정편(38)에 의해 일측이 눌러져 고정된다. 상기 전류센서(50)에는 중앙통공(51)이 형성되어 있어 버스바(52)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52)는 상기 버스바고정부(39)에서 또 다른 버스바(54)와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52)는 일단부가 상기 제1단자(20)에 연결되고, 상기 버스바(54)는 일측이 상기 제2메인릴레이(18')에 연결된다.The current sensor 50 measures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bus bar 52. 6, the current sensor 50 is installed in a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8, and one side is pressed by the component fixing piece 38 of the assembly frame 30 . In the current sensor 50, a central through hole 51 is formed to penetrate the bus bar 52. The bus bar 52 is coupled to another bus bar 54 in the bus bar 39. One end of the bus bar 52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other end of the bus bar 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relay 18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assembled and used.

상기 블럭몸체(10)는 사출성형되어 만들어져 조립라인에 제공된다. 상기 블럭몸체(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블럭몸체(10)에는 먼저 상기 메인릴레이(18,18'), 프리차지릴레이, 저항 등의 부품이 설치된다.The block body 1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nd provided in an assembly line. The block body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ncludes a substantially cover. The block body 10 is provided with components such as the main relays 18 and 18 ', precharge relay, and resistance.

다음으로, 상기 제1단자(20)에서 상기 부품들을 거쳐 제2단자(2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22,22')를 설치한다. 상기 버스바(22,22')들에 의해 블럭몸체(10) 내부에 있는 부품들을 포함하는 회로가 구성된다.Next, a bus bar (22, 22 ')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20) to the second terminal (20') through the parts is provided. The bus bars 22 and 22 'constitute a circuit comprising the parts inside the block body 10.

이와 같이 부품들을 설치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체를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한다. 상기 조립체는 어셈블리프레임(30), 전류센서(50) 및 버스바(52,5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52)가 상기 전류센서(50)의 중앙통공(51)을 관통하도록 한 후에, 상기 버스바(52,54)를 동시에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버스바고정부(39)에 설치된 고정너트(42)에 체결구(48)로 체결하면, 도 4에 도시된 조립체가 된다.After the parts ar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as shown in FIG. 4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block body 10. The assembly comprises an assembly frame 30, a current sensor 50 and bus bars 52, 54. The bus bars 52 and 54 are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bus bar fixing portion 39 of the assembly frame 30 after the bus bar 52 pass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51 of the current sensor 50. [ When the fastening nut 48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42, the assembly shown in FIG. 4 is obtained.

상기 조립체를 상기 블럭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장착한다. 특히, 상기 전류센서(50)의 일측이 상기 격벽(28)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안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부품고정편(38)은 상기 전류센서(50)의 외면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고정편(32)을 블럭몸체(10)에 체결하면 상기 부품고정편(38)은 상기 전류센서(50)가 상기 격벽(28)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assembly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block body (10). Particularly, one side of the current sensor 50 is se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8. When the fixing piece 32 of the assembly frame 30 is fastened to the block body 10, the part fixing piece 3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rrent sensor 50, Is fixed to prevent the current sensor 50 from escaping from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8. Such a state is well shown in Fig.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에 의해 만들어진 조립체를 상기 블럭몸체(10)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제1와이어링(24)과 제2와이어링(24')을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와이어링(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56)을 사용하여 일측이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After mounting the assembly made by the assembly frame 30 on the block body 10, the first wiring ring 24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are installed. In this process, the second wiring ring 24 'is mounted and fixed to the assembly frame 30 by using a clip 56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링(24)의 일측은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제1와이어고정부(34)에 형성된 걸이공(35)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공(35)에 상기 제1와이어링(24)의 일측이 끼워져 걸어지면, 상기 제1와이어링(24)과 제2와이어링(24')은 상기 어셈블리프레임(30)의 부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되므로 절연거리가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wiring ring 24 is hooked on the hook 35 formed in the first wire fixing portion 34 of the assembly frame 30. The first wiring ring 24 and the second wiring ring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assembly frame 30 when the first wiring ring 24 is hooked on the hooking hole 35. [ The insulation distance can be surely secured.

상기 와이어링(24,24')의 조립이 끝나면 상기 블럭몸체(10)에 커버를 씌우고 상기 제1단자(20)와 제2단자(20')에 각각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된 링터미널을 고정하여 전원 측 및 부하 측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분배장치를 사용하게 된다.When the assembly of the wiring rings 24 and 24 'is completed, the cover is put on the block body 10, and the ring terminal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ble is fixed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respectively.

참고로, 상기 제1커넥터부(26)에는 차량의 제어부에서 연장된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메인릴레이(18,18')의 전압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제2커넥터부(26')에는 상기 전류센서(50)와 메인릴레이(18,18')의 시그널을 제공하는 커넥터가 결합된다.A connector extend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unit 26 to sense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18 and 18 ' 'Is coupled to a connector for providing signals of the current sensor 50 and the main relays 18 and 1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블럭몸체 12: 내부공간
14: 장착브라켓 16: 장착공
18: 제1메인릴레이 18': 제2메인릴레이
20: 제1단자 20': 제2단자
22,22': 버스바 24: 제1와이어링
24': 제2와이어링 26: 제1커넥터부
26': 제2커넥터부 28: 격벅
30: 어셈블리프레임 31: 프레임몸체
32: 고정편 34: 제1와이어링고정부
35: 걸이공 36: 제2와이어링고정부
37: 클립고정공 38: 부품고정편
38': 보강리브 39: 버스바고정부
40: 고정슬릿 42: 고정너트
44: 고정몸체 46: 체결부
48: 체결구 50: 전류센서
51: 중앙통공 52: 버스바
54: 버스바 56: 와이어클립
10: block body 12: inner space
14: Mounting bracket 16: Mounting hole
18: first main relay 18 ': second main relay
20: first terminal 20 ': second terminal
22, 22 ': bus bar 24: first wiring
24 ': second wiring 26: first connector part
26 ': second connector portion 28:
30: assembly frame 31: frame body
32: fixed piece 34: first wiring fixing part
35: Hanger hole 36: Second wiring determining part
37: Clip fixing hole 38: Component fixing piece
38 ': reinforcing rib 39: bus barge
40: Fixing slit 42: Fixing nut
44: fixed body 46: fastening part
48: fastener 50: current sensor
51: Central passage 52: Bus bar
54: bus bar 56: wire clip

Claims (7)

부품들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전원측과 연결되는 제1단자와,
상기 블럭몸체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부하측과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제1단자, 제2단자 그리고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기 블럭몸체의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와 상기 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와이어링과,
상기 제1와이어링의 일측과 제2와이어링의 일측이 각각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안착된 부분을 고정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어셈블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프레임을 상기 블럭몸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이 프레임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 구비되는 전원분배장치.
A block body having a partition wall for defining a space in which the component is seated in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installed;
A first terminal exposed to one side of the block body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ide,
A second terminal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 body and connected to the load side,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components,
A connector portion for connection to the outside of the block body, first and second wiring ring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rts,
An assembly frame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lock body so as to fix the one side of the first wiring ring and the one side of the second wiring ring so as to be located at predetermined distances and fix the part se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s, / RTI >
Wherein a plurality of lower edges of the fixed body are formed to surround the assembly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프레임은 골격을 프레임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선단에 와이어걸이공이 형성된 제1와이어링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프레임몸체 상에 클립고정공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제2와이어링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안착된 부품이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부품고정편이 구비되며 상기 부품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는 부품을 관통하는 버스바가 고정되는 버스바고정부가 상기 프레임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분배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ssembly frame includes a first wiring fixing part formed with a frame body and a wire hang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body, And a second wire fixing part formed on the frame body and formed with a clip fixing hole, and a component fixing part for blocking the component, which is se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from being escaped from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herein a bus bar assembl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body to which a bus bar passing through a part fixed by the component fixing piece is fixed.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에 형성된 버스바고정부에는 고정슬릿이 형성되어 버스바를 관통한 체결구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삽입되는 전원분배장치.
[3] The power distributo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a fixing slit is formed in the bus bar fixing part formed in the frame body, and a fixing nut for fastening the bus bar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고정부에는 고정슬릿이 형성되어 고정너트가 삽입되는데, 상기 고정너트에는 상기 버스바를 관통한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슬릿에 삽입되는 고정몸체가 구비되는 전원분배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us bar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slit, and a fixing nut is inserted, wherein the fixing nut is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a fastener passing through the bus bar, And a fixed body inserted into the sl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고정편은 상기 제1와이어링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원분배장치.
The power distribu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ponent fixing piece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iring fixing portion extends.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링은 고전압 부품과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링은 상기 제1와이어링보다 상대적으로 저전압부품과 연결되는 전원분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and 6, wherein the first wiring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component and the second wiring is relative to the first wiring To a low voltage component.
KR1020140175397A 2014-12-08 2014-12-08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KR101631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97A KR101631876B1 (en) 2014-12-08 2014-12-08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97A KR101631876B1 (en) 2014-12-08 2014-12-08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36A KR20160069436A (en) 2016-06-16
KR101631876B1 true KR101631876B1 (en) 2016-06-24

Family

ID=5634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97A KR101631876B1 (en) 2014-12-08 2014-12-08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8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80B1 (en) * 2020-11-17 2023-12-21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Power Distribution Unit for Electric Vehicles with built-in busbar distributed power sensing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766A (en) 2011-03-11 2012-10-04 Denso Corp Power conversion device
KR101212056B1 (en) 2011-12-29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ower distribution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81B1 (en) 2009-12-31 2016-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ower relay box
KR101758672B1 (en) * 2010-12-23 2017-07-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attery distribution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766A (en) 2011-03-11 2012-10-04 Denso Corp Power conversion device
KR101212056B1 (en) 2011-12-29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ower distribu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36A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127B2 (en) Battery terminal unit with current sensor
EP2619598B1 (en) Current detecting device and attaching structure thereof
US9086440B2 (en) Current sensor
US9520656B2 (en) Round terminal fixation structure
US10153634B2 (en) Switch box and overcurrent preventing method
US20140335744A1 (en) Round terminal fixation structure
KR20180088827A (en) A steering wheel or vehicle including a cable conduit device for connecting cables of an airbag module, a wiring system, an airbag module, and a cable conduit device of this type
US838393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204340926U (en) Wire bundle plug-in connector location fixed support
KR101631876B1 (en)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US1060115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50268278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onductive member
JP3895957B2 (en) Current sensor mounting device
KR101561046B1 (en) Block for vehicle
CN108933416A (en) Electric circuit connection container
KR101001887B1 (en) Box for car
KR20170002387U (en) Joint block
KR20100039052A (en) Box
KR102455570B1 (en) Joint apparatus
JP623328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80076021A (en) Junction block for a vehicle
KR102023134B1 (en) Band cable having wiring bundles
KR101462663B1 (en) Box for car
KR200458067Y1 (en) Joint Box
KR101459899B1 (en) Switch apparatus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