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21B1 -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21B1
KR101628621B1 KR1020150064985A KR20150064985A KR101628621B1 KR 101628621 B1 KR101628621 B1 KR 101628621B1 KR 1020150064985 A KR1020150064985 A KR 1020150064985A KR 20150064985 A KR20150064985 A KR 20150064985A KR 101628621 B1 KR101628621 B1 KR 10162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nel
plate
hea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중
Original Assignee
조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중 filed Critical 조태중
Priority to KR102015006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에 있어서, 특히 장작 연소실과, 고기 구이판으로 이루어지되, 고기 구이판의 중심부를 통해 연통을 설치하고, 고기 구이판의 하부에 장작 연소실을 결합하며, 상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이 고이 구이판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기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우는 장작 연소실(100)과;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 또는 다각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위한 구이판(200)과; 상기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과;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열 차단판(400)과; 상기 열 차단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나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패널(500)과; 상기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통(600)과;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순환하는 물을 이용하여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도록 유도하는 가열 보조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A Roasting Unit Using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작 연소실과, 두껍고 크기가 큰 고기 구이판으로 이루어지되, 고기 구이판의 중심부를 통해 연통을 설치하고, 고기 구이판의 하부에 장작 연소실을 결합하며, 상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이 고이 구이판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기가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 육류를 조리하는 방법으로는 삶거나 튀기는 조리 방법도 있으나 일반 식당이나 가정에서는 양념한 고기를 구워서 조리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된다.
육류를 굽기 위해 과거부터 사용되는 방법은 숯(Charcoal)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숯불로 구운 고기가 맛이 좋은 것은 숯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이란 적외선 중에서 파장이 긴 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른 영역의 적외선에 비해 열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고기를 구울 때 그 불에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존재하는데, 가열은 적외선 영역의 빛이 주로 담당한다.
그런데, 적외선 영역 중에서도 파장이 짧은 영역의 빛은 고온으로 육류를 익히는 과정에서 육류가 많이 타게 되나, 적외선 영역 중에서 파장이 긴 원적외선의 경우에는 온도는 낮으나 열량이 풍부하여 육류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숯불은 일반 불에 비해 원적외선을 많이 방출하기 때문에 태우는 것보다 주로 익히는 작용을 하게 되어 육류가 잘 타지 않으면서도 겉과 속이 잘 익게 된다.
또한, 숯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숯불의 복사열로 육류를 익히게 되므로 육류의 육즙이 증발하지 않게 되어 육류의 풍부한 맛을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숯불구이기는 숯불이 넣어지는 화덕이 하부측에 구성되고 상부측에는 고기가 올려지는 불판이 구성되어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숯불구이기의 숯불열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어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고기가 쉽게 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고기에 함유된 기름이 떨어지게 되는 바, 이러한 기름이 불판의 하부측에 구성되는 숯불측으로 그대로 떨어지게 되고 떨어진 기름에 의해 숯불에 강한 화염이 발생되어 화염이 직접적으로 구워지는 고기에 닿게 됨으로써 고기가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념갈비의 경우에는 갈비에 묻혀진 양념국물이 그대로 숯불에 떨어지기 때문에,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많은 연기가 발생되고 또한 직접적인 화염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근자들어서는, 가스를 이용하여 고기를 직접 굽는 방식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가스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방법은 편리한 반면 가스불의 센 화력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에 의한 복사열로 고기를 익히는 것이 아니라 대류열에 의하여 고기를 익히게 되므로 고기의 육즙이 증발하여 고기의 풍부한 맛을 잃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열을 이용한 할로겐과 같은 발열램프를 구성하여 고기를 전기열로 굽는 전기 로스터가 안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전기 로스터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371734호인 개량형 전기 로스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크기이며 중앙 하부로 경사지는 내부판이 내측에 구비되는 외통과,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산하는 할로겐 히터와, 상기 할로겐 히터의 후측에 설치되되, 상기 할로겐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반사하도록 상기 할로겐 히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상기 할로겐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재질의 반사판과,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고기가 그 상부에 놓여지는 구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개량형 전기식 로스터는 할로겐 히터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열기와 세라믹 재질의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거나 자체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고기의 내외부를 단시간에 굽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반사판이 할로겐 히터의 측면에서 할로겐 히터열을 상부측으로만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반사판의 반사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기를 구워먹음과 동시에 국물이 있는 불고기나 전골류 찌개 등을 같이 조리하여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장작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고기 구이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기 구이판의 중앙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을 통해 연통을 설치하여 구성토록하고, 이로 인하여 고기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고기 구이판에 전달되는 열기를 통해 각종 구이와 찌게류 등을 뎁혀서 취식할 수 있도록하며, 아울러 장작 연소실을 통해 곧바로 연통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연기가 실내에 퍼지지 않고 실외로 곧바로 출력되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 하부에 온수를 대류시키는 장치를 부가하여 고기 구이판 전체가 고른 연전달이 이루어져 장작 연소실의 일측에서만 불이 제공되어도 고기 구이판의 어느 부위에서 고기를 굽든지 양호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우는 장작 연소실(100)과;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 또는 다각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위한 구이판(200)과; 상기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과;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열 차단판(400)과; 상기 열 차단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나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패널(500)과; 상기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통(600)과;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순환하는 물을 이용하여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도록 유도하는 가열 보조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보조장치(40)는, 내부에 물이 순환하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일측을 통해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물 입력배관(42)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을 통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를 순환한 물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물 출력배관(43)과; 상기 물 입력배관을 통해 입력되는 물을 임시저장하는 물 입력부(44)와; 상기 물 출력배관을 통해 물을 출력하기 전에 임시저장하는 물 출력부(45)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 형태로서 물 입력부와 중앙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입력홀(46a)을 형성하여 상기 입력홀을 통해 물이 입력되어 중앙 공간부쪽으로 이동하여 물이 뎁혀지면서 출력되도록 하는 물입력용 패널(46)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 형태로서 물 출력부와 중앙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출력홀(47a)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 공간부에 존재하는 물이 물 출력부쪽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물 출력용 패널(47)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홀(46a)과 출력홀(47a)은, 물이 물입력부에서 중앙 공간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하고, 아울러 중앙 공간부(48)에서 물출력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각각 호퍼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열보조장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물의 순환속도를 결정하는 개폐장치(5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열보조장치(40)의 물입력용 패널(46)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홀(51a)이 형성되는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과; 상기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의 끝단에 연결되며,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을 전후진시켜 상기 관통홀(51a)과 물입력용 패널(46)의 입력홀(46a)과 겹치거나 어긋나게 하여 중앙공간부로 향하는 물의 입력속도를 조절하는 물 입력측 조절용 실린더(53)와; 상기 가열보조장치(40)의 물출력용 패널(47)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홀(52a)이 형성되는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과; 상기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의 끝단에 연결되며,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을 전후진시켜 상기 관통홀(52a)과 물출력용 패널(47)의 출력홀(47a)과 겹치거나 어긋나게 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물의 출력속도를 조절하는 물 출력측 조절용 실린더(54)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장작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고기 구이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기 구이판의 중앙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을 통해 연통을 설치하여 구성토록하고, 이로 인하여 고기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고기 구이판에 전달되는 열기를 통해 각종 구이와 찌게류 등을 뎁혀서 취식할 수 있도록하며, 아울러 장작 연소실을 통해 곧바로 연통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연기가 실내에 퍼지지 않고 실외로 곧바로 출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 하부에 온수를 대류시키는 장치를 부가하여 고기 구이판 전체가 고른 연전달이 이루어져 장작 연소실의 일측에서만 불이 제공되어도 고기 구이판의 어느 부위에서 고기를 굽든지 양호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통을 다르게 설치한 실시예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제 설치 사진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가열 보조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열 보조정치에 물이 공급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가열 보조장치의 물이 완전히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가열보조장치의 물 순환이 차단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열 보조장치의 물이 절반만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통을 다르게 설치한 실시예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제 설치 사진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가열 보조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열 보조정치에 물이 공급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가열 보조장치의 물이 완전히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가열보조장치의 물 순환이 차단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열 보조장치의 물이 절반만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장작 연소실(100)과, 구이판(200)과,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과, 열 차단판(400)과, 취식용 패널(500)과, 연통(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작 연소실(100)은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울수 있다.
상기 구이판(200)은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 또는 다각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다.
상기 열 전달용 연장 패널(300)은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열 차단판(400)은 열 전달용 연장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취식용 패널(500)은 열 차단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나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연통(600)은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구이판(200)의 하단에 가열 보조장치(40)를 더 설치하여 구이판에 제공되는 열기를 분산시켜 구이판을 고르게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온도센서(3)를 더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이판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장작 연소실(100)과, 구이판(200)과,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과, 열 차단판(400)과, 취식용 패널(500)과, 연통(600)으로 이루어지는바, 먼저 지면에 장작 연소실(1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장작 연소실(100)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으로 설치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통형 장작 연소실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장작 연소실(100)은 공간부를 갖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부에 장작을 삽입하고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작 연소실(100)의 상부에는 구이판(200)을 설치하는바, 상기 구이판(200)은 철재로 이루어져 장작 연소실(1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보다 용이하게 구이판 몸체로 흡수하여 구이판(200)의 상부에 올려지는 고기를 보다 용이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이판(200)은 장작 연소실(100)의 모양에 상응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장작 연소실(100)의 형태가 원통형이면 원형패널로 제작하고, 장작 연소실(100)의 형태가 다각형통 형태이면 다각형 패널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작 연소실(100)이 원통형 형태이므로 구이판(200)을 원형패널로 구비하였다.
상기 구이판(200)의 외측에는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은 구이판(200)에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일정한 열을 유지하도록 하여, 특히 구이판(200)에서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역할을 한다.
상기 열 전달용 연장 패널(300)의 외측에는 열 차단판(400)을 설치하며, 상기 열 차단판(400)은 구이판(200) 및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차단하여 직접 사람에게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의 외측에 취식용 패널(500)을 설치하고, 상기 취식용 패널(500)은 열 차단판(400) 외측에 설치되므로 열기가 없는 상태이며, 취식용 패널(500)에는 각종 반찬류와 밥이나 국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 취식자가 식사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열 전달용 연장패널에 존재하는 고기를 가져다가 취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이판의 정중앙에 연통(600)을 설치하여 장작 연소실(100)의 정 중앙에 연통(600)이 위치되도록하며, 상기 연통(600)을 통해 장작 연소실(100)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출력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연통(600)과 장작 연소실(100)이 접면되기 때문에 장작 연소실(10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연통(600)을 통해 실외로 빠져나가게 되어 실내에는 연기가 존재하지 않는 쾌적한 상태가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연통(600)의 끝단부에 송풍시설을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연통을 통해 연기를 강제로 배기하게 되면 보다 더 연기의 출력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고기를 굽는 실내가 보다 쾌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200)의 하부에 가열 보조장치(40)를 더 설치하여, 상기 가열 보조장치(40)에 전달되는 열기를 구이판(200)으로 전달할때 고르게 분산해서 열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작 연소실(100)에 장작을 넣고 불을 붙여서 가열시키며, 이때 장작 연소실(100)에서 발생된 연기는 연통(600)을 통해 실외로 출력되도록한다.
일정하게 구이판(200)이 가열되면 구이판(200) 위에 삼겹살이나 오리 고기 등 숯불에 구울 다양한 고기를 올려놓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고기를 다양한 야채류와 섞으면서 굽도록하며, 바람직하게는 콩나물이나 부추 등을 동시켜 비벼서 조리한다.
고기가 구이판(200) 위에서 다 익으면 주걱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에 고기를 위치시킨다.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은 구이판(200)에 일체형으로 생성되어 있어서 구이판(200)으로부터 열기를 전달받되 고기가 타지 않을 정도로 열기를 전달하므로 고기가 식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열 차단판(400) 뒤에 위치하는 취식자는 취식용 패널로 필요한 만큼의 고기를 옮겨와서 식사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구이판이 고르게 열발생되도록 구이판의 하부에 가열 보조장치(4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바, 장작 연소실에서 불규칙적으로 열이 제공되어 일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열이 공급되더라도 가열 보조장치(40)를 이용하여 구이판 전체에 고르게 뎁혀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 보조장치(40)는 장작 연소실(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물을 순환시키되 장작 연소실(100)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고르게 구이판(200)에 전달함으로서 구이판에 존재하는 고기가 고르게 구워지도록 유도한다.
상기 개폐장치(50)는 가열보조장치(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물의 순환속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삭제
이하에서 가열보조장치(40) 및 개폐장치(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열보조장치(40)는 하우징(41)과, 물 입력배관(42)과, 물 출력배관(43)과, 물 입력부(44)와, 물 출력부(45)와, 물입력용 패널(46)과, 물출력용 패널(47)과, 중앙 공간부(4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1)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순환하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 입력배관(42)은 하우징의 하부 일측을 통해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물 출력배관(43)은 하우징의 상부 타측을 통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를 순환한 물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물 입력부(44)는 물 입력배관을 통해 입력되는 물을 임시저장하는 공간부이다.
상기 물 출력부(45)는 물 출력배관을 통해 물을 출력하기 전에 임시저장하는 공간부이다.
상기 물입력용 패널(46)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 형태로서 물 입력부와 중앙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입력홀을 형성하여 상기 입력홀을 통해 물이 입력되어 중앙 공간부쪽으로 이동하여 물이 뎁혀지면서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물 출력용 패널(47)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 형태로서 물 출력부와 중앙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출력홀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 공간부에 존재하는 물이 물 출력부쪽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입력홀(46a)과 출력홀(47a)은 호퍼 형태로 구성하여 물이 물입력부에서 중앙 공간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하고, 아울러 중앙 공간부(48)에서 물출력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장치(50)는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과,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과, 물입력측 조절용 실린더(53)와, 물출력측 조절용 실린더(54) 및, 제어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은 가열보조장치(40)의 물입력용 패널(46)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홀(51a)이 형성되고, 상기 물 입력측 조절용 실린더(53)의 작용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물입력용 패널(46)의 입력홀과 겹치거나 어긋나게 하여 중앙공간부로 향하는 물의 입력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은 가열보조장치(40)의 물출력용 패널(47)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홀(52a)가 형성되고, 상기 물출력측 조절용 실린더(54)의 작용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물출력용 패널(46)의 출력홀(47a)과 겹치거나 어긋나게하여 중앙공간부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물의 출력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가열보조장치(40)로서 하우징(41)을 구비하되 물입력용 패널(46)과 물출력용 패널(47)로 칸막이를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에 물입력홀(46a)과 물출력홀(47a)을 각각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삭제
삭제
즉, 본 발명에서 열을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물은 물입력부(44)를 통해 수직한 상태로 공급되고, 이어 상기 물은 중앙 공간부(48)를 통해 흐르며 마지막으로 물출력부(45)를 통해 회수되어 다시 펌프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물입력부(44)를 통해 물이 진입한 후에 물입력용 패널(46)의 물입력홀(46a)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하기 때문에 물 전체가 고르게 뎁혀지면서 흐르게 되어 구이판(200)을 고르게 가열하게 된다.
만약에 물입력용 패널(46)이나 물출력용 패널(47)이 없이 물입력 배관(42)과 물출력 배관(43)만 존재하게 되면 중앙 공간부에 다양한 온도의 물이 존재하게 되어 구이판을 고르게 데울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물입력용 패널(46)과 물출력용 패널(47)을 통해서 물의 입력구간과 출력구간을 구분하였으며, 일단 물은 물입력부(44)를 통해 입력된후 물입력용 패널(46)의 물입력홀(46a)을 통해서 중앙 공간부(48)에 진입하게 되므로 중앙 공간부(48)의 하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에 의해서 고르게 데워지면서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르게 데워진 물로 인하여 구이판이 고르게 가열되어 고기를 굽는 지점이 모두 동일한 열을 전달하므로 고기가 타지 않고 고르게 익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물입력 배관(42)과 물출력 배관(43)의 개방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개폐장치(50)를 더 부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개폐장치(50)를 부가하게 되면 물의 입력과 출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물의 가열온도를 지정할 수 있다.
즉, 물의 온도가 필요이상 올라가면 냉각수의 진입량을 높이도록하고, 물의 온도가 일정수준이면 물의 순환속도를 늦추어서 충분히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물의 온도가 일정이하이면 물의 순환을 중단시켜 물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유도한다.
즉, 물입력용 패널(46)의 입력홀(46a)과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의 관통홀(51a)에 겹치거나 어긋나면서 물의 입력속도가 조절되고, 아울러 물출력용 패널(47)의 출력홀(47a)과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의 관통홀(52a)이 겹치거나 어긋나면서 물의 출력속도가 조절된다.
상기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의 상하 유동과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의 상하유동을 위해 각각 실린더(53, 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53, 54)의 작동을 제어하여 입력홀(46a)과 관통홀(51a)의 겹침 정도를 결정하여 물의 입력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출력홀(47a)과 관통홀(52a)의 겹침 정도를 결정하여 물의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0: 장작 연소실
200: 구이판
300: 열 전달용 연장패널
400: 열 차단판
500: 취식용 패널
600: 연통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장작을 삽입하여 불을 피우는 장작 연소실(100)과;
    상기 장작 연소실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형패널 또는 다각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패널의 상부에 고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장작 연소실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위한 구이판(200)과;
    상기 구이판에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장작 연소실에 직접 맞닿지는 않지만 구이판의 열기를 전달받아 잔열이 존재하며 구워진 고기를 탑재하여 식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열 전달용 연장패널(300)과;
    상기 열 전달용 연장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열 차단판(400)과;
    상기 열 차단판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이판의 열기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이고 반찬이나 밥을 탑재할 수 있고, 취식자가 구워진 고기를 꺼내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취식용 패널(500)과;
    상기 구이판의 정 중앙에 설치하되 장작 연소실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장작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연통(600)과;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순환하는 물을 이용하여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도록 유도하는 가열 보조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보조장치(40)는,
    내부에 물이 순환하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일측을 통해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물 입력배관(42)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을 통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를 순환한 물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물 출력배관(43)과;
    상기 물 입력배관을 통해 입력되는 물을 임시저장하는 물 입력부(44)와;
    상기 물 출력배관을 통해 물을 출력하기 전에 임시저장하는 물 출력부(45)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 형태로서 물 입력부와 중앙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입력홀(46a)을 형성하여 상기 입력홀을 통해 물이 입력되어 중앙 공간부쪽으로 이동하여 물이 뎁혀지면서 출력되도록 하는 물입력용 패널(46)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칸막이 형태로서 물 출력부와 중앙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출력홀(47a)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 공간부에 존재하는 물이 물 출력부쪽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물 출력용 패널(47)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홀(46a)과 출력홀(47a)은,
    물이 물입력부에서 중앙 공간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하고, 아울러 중앙 공간부(48)에서 물출력부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각각 호퍼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보조장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물의 순환속도를 결정하는 개폐장치(5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보조장치(40)의 물입력용 패널(46)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홀(51a)이 형성되는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과;
    상기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1)의 끝단에 연결되며, 물입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을 전후진시켜 상기 관통홀(51a)과 물입력용 패널(46)의 입력홀(46a)과 겹치거나 어긋나게 하여 중앙공간부로 향하는 물의 입력속도를 조절하는 물 입력측 조절용 실린더(53)와;
    상기 가열보조장치(40)의 물출력용 패널(47)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홀(52a)이 형성되는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과;
    상기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52)의 끝단에 연결되며, 물출력측 물순환 조절용 패널을 전후진시켜 상기 관통홀(52a)과 물출력용 패널(47)의 출력홀(47a)과 겹치거나 어긋나게 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물의 출력속도를 조절하는 물 출력측 조절용 실린더(5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5. 삭제
KR1020150064985A 2015-05-09 2015-05-09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KR10162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85A KR101628621B1 (ko) 2015-05-09 2015-05-09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85A KR101628621B1 (ko) 2015-05-09 2015-05-09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21B1 true KR101628621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985A KR101628621B1 (ko) 2015-05-09 2015-05-09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507B1 (ko) * 2016-06-22 2017-03-02 사승진 화로대 테이블
KR101997388B1 (ko) * 2018-01-24 2019-07-05 주지훈 난로 겸용 구이기
KR102241542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8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가스를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3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양측면 구이 작업 공간을 갖는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6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숯불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WO2024069981A1 (ja) * 2022-09-30 2024-04-04 株式会社Engi 焚火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936A (ja) * 1996-05-02 1997-11-18 Osaka Gas Co Ltd 遮熱板付きテーブルレンジ
KR200461000Y1 (ko) * 2009-02-12 2012-06-15 김길호 스팀 가열용 불판
JP2012157600A (ja) * 2011-02-02 2012-08-23 Nippon Create Toreideingu Kk 無煙ロースター
KR20140021939A (ko) * 2012-08-13 2014-02-21 김재봉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936A (ja) * 1996-05-02 1997-11-18 Osaka Gas Co Ltd 遮熱板付きテーブルレンジ
KR200461000Y1 (ko) * 2009-02-12 2012-06-15 김길호 스팀 가열용 불판
JP2012157600A (ja) * 2011-02-02 2012-08-23 Nippon Create Toreideingu Kk 無煙ロースター
KR20140021939A (ko) * 2012-08-13 2014-02-21 김재봉 구이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507B1 (ko) * 2016-06-22 2017-03-02 사승진 화로대 테이블
KR101997388B1 (ko) * 2018-01-24 2019-07-05 주지훈 난로 겸용 구이기
KR102241542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8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가스를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3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양측면 구이 작업 공간을 갖는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6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숯불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WO2024069981A1 (ja) * 2022-09-30 2024-04-04 株式会社Engi 焚火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621B1 (ko)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US8640607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EP2392242A1 (en) Two-way heating cooker
KR101626718B1 (ko) 장작을 이용한 고기 구이 장치
JPS6365332B2 (ko)
KR20140002962U (ko) 상부발열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
US3517602A (en) Barbecue cooker
KR20190091597A (ko) 화덕 장치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20120122685A (ko) 개량형 불판장치
KR20210078374A (ko) 대형삽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200441881Y1 (ko) 커버를 구비한 할로겐 램프 구이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2359096B1 (ko) 수직화통이 구비된 직화구이기
KR102235285B1 (ko) 복합 가스 구이기용 숯불 발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