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58B1 -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58B1
KR101625658B1 KR1020130150846A KR20130150846A KR101625658B1 KR 101625658 B1 KR101625658 B1 KR 101625658B1 KR 1020130150846 A KR1020130150846 A KR 1020130150846A KR 20130150846 A KR20130150846 A KR 20130150846A KR 101625658 B1 KR101625658 B1 KR 10162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opening
side wall
gab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476A (ko
Inventor
유병옥
박용식
심재원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3015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원활하게 산마루 측구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게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된 몸체 중 지중침투수가 흘러 내려오는 방향의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의 외측으로 돌망태, 필터부를 설치하여 지중침투수를 신속하게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켜 세굴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산마루 측구의 파손 및 산마루 측구가 매립된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SIDE GUTTER FOR MOUNTAIN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원활하게 산마루 측구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게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된 몸체 중 지중침투수가 흘러 내려오는 방향의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의 외측면에 돌망태, 필터부를 설치하여 지중침투수를 신속하게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켜 비탈면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최소화시켜 비탈면 표면의 용수로 인한 세굴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물의 용출로 인한 비탈면 붕괴, 산마루 측구의 파손 및 산마루 측구가 매립된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마루 측구는 상향지형 경사를 가지는 비탈면 상부의 산마루 측이나 절개지 등의 비탈면에 시공되어 우수가 비탈면 상으로 흘러내려 발생할 수 있는 비탈면의 토사 유실이나 이에 따른 절개지(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비탈면에 시공되는 수리시설이다.
이러한 절개지나 비탈면 등에 시공되는 산마루 측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 또는 "U"자와 같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 배수로가 비탈면 중에 매립 시공되어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지표수)를 우회시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산마루 측구(10)는 산마루의 상부에서 산마루 측구로 흘러내리는 지표수는 산마루 측구 배면의 느슨한 토층으로 스며들고 지중 침투수는 산마루 측구의 콘트리트 벽체에 의해 막혀 비탈면 방향으로 흘러 안정성이 저하되어 비탈면이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
즉,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강우의 대부분은 상부의 땅속으로 스며들고 표면을 따라 흐르는 지표수로 유출되어 산마루의 지표면을 따라 단시간에 흘러 내려가면서 산마루 측구(10)를 통해 안전하게 배수되지만 산마루 측구 배면이 되메우기 된 느슨한 토층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멱이 형성되어 원활한 배수가 어려운 상태이다.
이렇게, 산마루의 땅속으로 스며든 지중침투수는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중에 산마루 측구(110)의 배면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지중침투수는 산마루 측구(10)의 하부 지중에 머물면서 산마루 측구(10)를 지지하는 지반을 깎아 산마루 측구(10)와 지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세굴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세굴 현상을 일으키는 지중침투수는 그 유량이 작을지라도 장기간에 걸쳐 산마루 측구(10)의 하부 지중에 머물게 되어 지반을 약화시키게 되며 이러한 작용이 지속되는 경우 산마루 측구(10)의 지지력이 약해져 산마루 측구(10)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산마루 측구의 파손은 결국 산사태 내지 비탈면의 붕괴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 특허등록 제10-1239369호의 "쇄굴방지용 경사면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쇄굴방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U"자형의 배수구 상류측 하단 모서리부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마련하여 절개지 내측으로 스며든 물이 수평 날개부에 막혀 측구의 하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며, 배수구의 하부로 흐르는 지중침투수는 수직 날개부에 막히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수평 날개부에 다공관을 배치하거나 잡석을 채워 넣은 유수층을 형성하여 산마루 측구의 배면으로 흘러내리는 지중침투수를 산마루의 측면으로 유도하여 배수시키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르면, 산마루 측구의 배면에 수평 날개부와 수직 날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산마루 측구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산마루 측구의 부피 증가는 산마루 측구를 제조하기 위한 원자재의 소비를 그만큼 증가시켜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산마루 측구의 제조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의 산마루 측구는 부피가 증가한 만큼 산마루 측구를 매립시키기 위한 터파기를 더욱 크게 확장시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산마루 측구의 시공에 어려움이 있고 시공기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239369호(2013.02.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마루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는 지중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수시켜 지중침투수에 의한 세굴 현상을 방지하고 산마루 측구가 매립된 지반을 안정화시켜 산마루 측구의 파손 및 비탈면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마루 측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지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부에 형성되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잡석으로 채워진 돌망태 및 상기 돌망태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를 여과시켜 돌망태로 공급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산마루의 하부를 향하는 곳에 위치하는 하부 측벽 및 상기 바닥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며 산마루의 상부를 향하는 곳에 위치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타측 끝단에 산마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돌망태, 필터부가 안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요철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홈에 돌망태의 하단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는 바닥부와 콘크리트 양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단위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위 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양측단 각각에는 슬롯 및 상기 슬롯에 결속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의 공극은 상기 돌망태의 공극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메쉬 형태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산마루의 비탈면에 몸체가 매립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터파기단계와, 상기 터파기단계 후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부가 산마루의 위를 향하도록 몸체를 구덩이에 안치하는 몸체 안치단계와, 상기 몸체 안치단계 후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전방에 잡석으로 채워진 돌망태를 밀착시키는 돌망태 설치단계와, 상기 돌망태 설치단계 후 돌망태의 외측면에 필터부를 설치하는 필터부 설치단계 및 상기 필터부 설치단계 후 구덩이에 안치된 몸체 주변을 매립토로 채워 되메우는 되메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에 의하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지중침투수가 필터부, 돌망태를 거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중침투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중침투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키게 되면 산마루 측구의 하부에 지중침투수가 잔류하지 않아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산마루 측구가 시공된 지반이 안정화되어 산마루 측구의 파손 및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마루 측구를 형성하는 몸체이 단위 블록으로 제작되어 몸체를 산마루로 운반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위 블록으로 제작된 몸체가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산마루 측구를 시공하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산마루 측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구형 산마루 측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개구형 산마루 측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개구형 산마루 측구는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몸체(100), 몸체(100)의 양측에서 지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120)에 형성되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유입되는 개구부(130), 개구부(13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돌망태(200), 돌망태(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필터부(300)로 구성되어 산마루의 땅속으로 스며든 상태로 산마루의 상부에서 몸체(100)를 향해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를 필터부(300), 돌망태(200), 개구부(13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신속하게 안내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이에 따라 몸체(100) 하부의 지반을 침식시키는 세굴 현상을 방지하여 산마루 측구의 파손 및 지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몸체(100)는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로 구성되는데, 바닥부(110)는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되며,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양측에서 지표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대략 "∪"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바닥부(110)의 양측에서 지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120)는 바닥부(110)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부(110)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측벽부(120)가 바닥부(110)의 양측에서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몸체(100)가 단위면적당 담을 수 있는 유량이 증가하여 집중호우와 같이 지표수 및 지중침투수의 유량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산마루 측구로 유입되는 지표수 내지 지중침투수가 측벽부(120)를 넘쳐 흘러 산마루의 아래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바닥부(110)와 측벽부(1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바닥부(110)와 측벽부(120)가 일체로 형성될 때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는 콘크리트 양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부(110)와 측벽부(120)가 콘크리트 양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바닥부(110)와 측벽부(1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몸체(100)로 유입된 지표수 내지 지중침투수가 몸체(100) 내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몸체(100)의 상당한 자중에 의해 몸체(100)에 가해지는 압력(산마루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물의 압력 또는 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는 흙이 몸체에 가하는 힘)으로부터 밀려나지 않고 견고히 버틸 수 있다.
한편, 바닥부(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부(120)는 하부 측벽(122)과 상부 측벽(124)으로 구분되며, 상부 측벽(124)에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개구부(13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하부 측벽(122)은 바닥부(1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부 측벽(124)은 바닥부(1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다. 이때, 바닥부(110)의 일측 끝단은 산마루의 하부를 향하는 곳을 지칭하는 것이며, 바닥부(110)의 타측 끝단은 산마루의 상부를 향하는 곳을 지칭한다.
따라서, 하부 측벽은 산마루의 하부를 향하는 위치의 바닥부(110) 끝단에 형성되며, 상부 측벽(124)은 산마루의 상부를 향하는 위치의 바닥부(110) 끝단에 형성되고 상부 측벽(124)에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개구부(13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하부 측벽(122)과 상부 측벽(124)의 높이는 산마루 비탈면의 지표면과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산마루 비탈면의 지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표수가 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 측벽(124)에 형성되는 개구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부 측벽(124)의 전체 면적에 걸쳐 행과 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측벽(124)의 상단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구부(130)가 상부 측벽(124)에 배열될 때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부(130)의 배열은 지중침투수가 용수되는 부분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부 측벽(124)에 형성되는 개구부(13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면 개구부(130)와 개구부(130) 사이는 상부 측벽(124)에 막힌 상태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갖게 되고 따라서 상부 측벽(124) 배면의 지반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측벽(124)에 형성되는 개구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는 원형, 타원형, 반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구부(130)가 형성된 상부 측벽(124)의 외측면에는 잡석으로 채워진 돌망태(200)가 구비되어 개구부(130)로 유입되는 지중침투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돌망태(200)가 여과하게 된다.
이러한 돌망태(200)는 철로 이루어진 망에 다양한 형상과 입도로 파쇄된 돌들이 채워진 것으로 돌과 돌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산마루의 상면에서 몸체(100)를 향해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는 돌망태(200)를 통과하면서 돌과 돌 사이에 형성된 공극보다 큰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쇄된 돌들이 망에 담겨져 돌망태(200)를 형성하게 되면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 등과 같은 기상변화에 산마루의 상부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지표수 내지 지중침투수에 파쇄된 돌들이 쓸려 내려가지 않도록 결집시켜 잡석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돌망태(200)의 외측면에는 돌망태(200)의 공극보다 작은 공극을 갖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필터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 중에 포함된 흙 입자를 여과시켜 몸체의 내부로 흙 입자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부(300)는 예를 들어, 미세한 공극을 형성한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 이외에도 흙 입자를 차단하면서 지중침투수만을 통과시키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필터부(300)가 돌망태(200)의 외측면에 구비될 때 필터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돌망태(200)와 필터부(30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측벽(124)의 외측면으로 돌망태(200), 필터부(300)가 위치하게 될 때 바닥부(110)의 타측 끝단이 산마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12)가 형성되어 연장부(112)의 상면에 돌망태(200), 필터부(300)가 안치된다.
이와 같이 바닥부(110)의 타측에 연장부(112)가 형성되고 연장부(112)의 상면에 돌망태(200), 필터부(300)가 안치되면 돌망태(200), 필터부(300)가 수압, 토압 등에 움직이지 않도록 지탱할 뿐만 아니라 산마루의 상부에서 몸체(100)를 향해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연장된 바닥부(110)의 타측으로 안내되어 지중침투수가 몸체(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몸체(100)의 하부에 세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특히, 바닥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연장부(112)의 상면에 돌망태(200)가 안치될 때 돌망태(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112)의 상면에 요철 홈(114)이 형성되고, 이러한 요철 홈(114)에 돌망태(20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장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 홈(112)에 돌망태(200)의 하단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돌망태(200)의 외측면에서 몸체(100)의 내부를 향해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돌망태(200)가 개구부(13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밀려나지 않게 된다.
한편,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몸체(100)는 연속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위 블록으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단위 블록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몸체(100)가 다수의 단위 블록으로 형성되면 몸체(100)의 운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산마루 측구가 시공될 지형에 맞추어 산마루 측구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단위 블록으로 형성되는 몸체(100)의 양측단 각각에는 슬롯(140) 및 상기 슬롯(140)에 결속되는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슬롯(140) 및 돌출부(150)가 끼움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블록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몸체의 양측단에는 슬롯(140)이 형성되고, 슬롯(140)이 형성된 몸체(100)의 측단과 마주하는 또 다른 몸체(100)의 측단에는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슬롯(140)과 돌출부(150)가 끼움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산마루 측구가 설치될 구간에 부합하게 몸체(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블록으로 형성되는 몸체(100)는 예를 들어 1m, 1.5m, 2m 등의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단위 블록으로 형성된 몸체(100)가 평면상 절곡되거나 사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산마루 측구가 시공될 지형에 맞추어 배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몸체(100)가 단위 블록으로 형성될 때 상부 측벽(124)에 개구부(130)가 형성된 몸체(100)와 개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100)로 구분되어 이들 몸체(100)가 조합되어 산마루 측구가 설치될 지형의 특성에 맞게 시공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0)가 형성된 몸체(100)와 개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100)가 교번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구간을 개구부(130)가 형성된 몸체(100)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산마루 측구가 설치된 구간 중 지중침투수의 유입이 많은 지역에는 개구부(210)가 형성된 몸체(200)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도록 조합하여 지중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키며, 지표수의 유입이 많은 지역에는 개구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200)가 위치하도록 조합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지표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부를 덮는 커버(500)가 마련되어 이물질이 몸체(10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즉, 커버(500)는 몸체(100)의 상부 측벽(124)과 하부 측벽(122)의 상부를 연결하는 너비 및 길이를 갖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500)에는 메쉬 형태의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우수가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지표수가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시공방법을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형 산마루 측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산마루의 비탈면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표수, 지중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산사태 등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산마루의 비탈면의 적정 위치에 몸체(100)가 매립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터파기단계(S100)가 실시된다.
이때, 구덩이는 몸체(100)의 상부 측벽(124) 상단과 하부 측벽(122) 상단이 산마루 비탈면의 지표면과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높이가 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몸체(100)가 안치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몸체(100)가 안치되는 구덩이의 바닥을 단단하게 하는 다지기가 실시되고, 다지기가 실시된 구덩이의 바닥에 몸체(100)가 안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파기단계(S100) 후 몸체(100)의 하부 측벽(122)이 산마루의 아래를 향하고 상부 측벽(124)이 산마루의 위를 향하도록 몸체(100)를 구덩이에 안치시키는 몸체 안치단계(S200)가 실시된다. 또한, 몸체 안치단계(S200) 후에는 상부 측벽(124)에 형성된 개구부(130)의 외측면에 돌망태(200)를 설치하는 돌망태 설치단계(S300)가 실시된다.
이때, 돌망태 설치단계(S30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 타측에 형성된 연장부(112)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 홈(114)에 돌망태(200)의 하단을 끼워 고정시켜 돌망태(2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 측벽(124)에 형성된 개구부(130)의 외측에 돌망태(200)를 설치한 후에는 돌망태(200)의 외측면에 필터부(300)를 시공하는 필터부 설치단계(S400)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돌망태(200)의 외측면에 필터부(300)가 설치되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필터부(300)로 유입되고 이때 필터부(300)에서 지중침투수 중에 포함된 흙 입자를 여과시키게 된다. 또한, 흙 입자가 여과된 지중침투수는 돌망태(200)를 지나 상부 측벽(124)의 개구부(130)를 통해 몸체(100)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그리고, 필터부 설치단계(S400)가 실시된 후에는 구덩이에 안치된 몸체(100) 주변을 매립토로 채워 되메우는 되메움 단계(S500)가 실시되어 산마루 측구의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에 따르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지중침투수가 필터부(300)와 돌망태(200)를 거쳐 상부 측벽(124)의 개구부(13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몸체(100)의 하부 지반을 침식시키는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세굴 현상을 방지하게 되면 산마루 측구가 시공된 지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산마루 측구가 파손되거나 산마루 측구가 시공된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마루 측구를 형성하는 몸체(100)가 단위 블록으로 제작되어 몸체(100)를 산마루로 운반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위 블록으로 제작된 몸체(100)가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산마루 측구를 시공하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제작된 몸체(100)를 구덩이에 안치시킨 후 돌망태(200), 필터부(300)를 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산마루의 비탈면에 터파기를 통해 구덩이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구덩이 내에서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양생을 통해 몸체(100)를 제작한 후에 돌망태(200) 및 필터부(300)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110 : 바닥부
112 : 연장부 114 : 요철 홈
120 : 측벽부 122 : 하부 측벽
124 : 상부 측벽 130 : 개구부
140 : 슬롯 150 : 돌출부
200 : 돌망태 300 : 필터부
400 : 커버

Claims (14)

  1. 산마루의 비탈면에 매립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지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측벽부에 형성되어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가 유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잡석으로 채워진 돌망태;
    상기 돌망태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산마루의 상부에서 흘러 내려오는 지중침투수를 여과시켜 돌망태로 공급하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산마루의 하부를 향하는 곳에 위치하는 하부 측벽; 및
    상기 바닥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며 산마루의 상부를 향하는 곳에 위치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타측 끝단에 산마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돌망태, 필터부가 안치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요철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홈에 돌망태의 하단이 삽입되며,
    상기 측벽부는 바닥부와 콘크리트 양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단위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블록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양측단 각각에는 슬롯 및 상기 슬롯에 결속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조립되며,
    상기 커버에는 메쉬 형태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를 상기 돌망태에 결속시키는 결속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를 이루는 단위 블록 중 일부에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블록과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위 블록이 산마루의 지형 특성에 따라 조합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공극은 상기 돌망태의 공극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형 산마루 측구.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50846A 2013-12-05 2013-12-05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162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46A KR101625658B1 (ko) 2013-12-05 2013-12-05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46A KR101625658B1 (ko) 2013-12-05 2013-12-05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76A KR20150065476A (ko) 2015-06-15
KR101625658B1 true KR101625658B1 (ko) 2016-05-31

Family

ID=5350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846A KR101625658B1 (ko) 2013-12-05 2013-12-05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178A (zh) * 2016-12-27 2017-03-22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渠道上的带有重力盖板装置的衬砌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87B1 (ko) 2015-06-30 2016-03-10 형진건설(주) 토사 유실방지용 산마루 측구
CN107100101A (zh) * 2017-04-19 2017-08-29 蔡丰伟 小微涵洞
KR102232402B1 (ko) * 2019-08-16 2021-03-29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KR102576235B1 (ko) * 2023-02-08 2023-09-11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빗물이 지중으로 침투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09Y1 (ko) * 2002-06-12 2002-09-11 주식회사 연암기술공사 지하수 노출이 심한 연약지반 도로법면의 슬라이딩방지용 앵커를 이용한 돌망태 체결구조
JP2003166206A (ja) * 2001-11-30 2003-06-13 Yoshio Nagai 舗装道路の構造
KR101030785B1 (ko) * 2010-08-27 2011-04-27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경사형 수로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206A (ja) * 2001-11-30 2003-06-13 Yoshio Nagai 舗装道路の構造
KR200288509Y1 (ko) * 2002-06-12 2002-09-11 주식회사 연암기술공사 지하수 노출이 심한 연약지반 도로법면의 슬라이딩방지용 앵커를 이용한 돌망태 체결구조
KR101030785B1 (ko) * 2010-08-27 2011-04-27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경사형 수로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178A (zh) * 2016-12-27 2017-03-22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渠道上的带有重力盖板装置的衬砌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76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20150065475A (ko) 비탈면 배수시설 및 시공방법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2008291498A (ja) 貯留浸透システム
KR200477688Y1 (ko) 옹벽용 배수파일
KR101650285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20090105254A (ko) 일체형 침투 집수정
KR101201544B1 (ko) 지중침투형 측구 조립체
KR100995831B1 (ko) 자립식 옹벽
KR101661884B1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JP3927222B2 (ja)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CN211395743U (zh) 一种山区道路挡土墙防积水排水结构
JP3960690B2 (ja) 地中構造物構築用ケーソン
JP7073163B2 (ja) 盛土構造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JP2005179919A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JP4126008B2 (ja) 堤脚水路構築物、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JP4056515B2 (ja) 堤脚水路構築物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
KR100627433B1 (ko) 자연석 옹벽의 시공방법 및 그 자연석 옹벽
KR101222690B1 (ko) 개비온 블록
KR100854718B1 (ko)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