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853B1 -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853B1
KR101623853B1 KR1020090114830A KR20090114830A KR101623853B1 KR 101623853 B1 KR101623853 B1 KR 101623853B1 KR 1020090114830 A KR1020090114830 A KR 1020090114830A KR 20090114830 A KR20090114830 A KR 20090114830A KR 101623853 B1 KR101623853 B1 KR 10162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ide plate
cooking
inner box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8149A (en
Inventor
김성옥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85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상자와, 내부상자를 둘러싸는 외부상자와, 내부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내부상자의 후면을 이루는 후측판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회오리 형태의 순환을 이루도록 하여 조리 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균일한 조리를 이룰 수 있다.

Figure R1020090114830

조리기기, 오븐, 레인지, 히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n inner box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 outer box surrounding the inner box,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box, And the rear side plat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rt protruding forw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is circulated in the form of a whirlwind so that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food can be uniformly cooked.

Figure R1020090114830

Cookware, Oven, Range, Heater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회오리 형태의 순환을 이루도록 하여 조리 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균일한 조리를 이룰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a cooking time and uniformly cooking food by allowing circulation of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고주파에 의한 물 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Generally, a microwave oven is used to cook food by using frictional heat of water molecules by high frequency as a heat source. Such microwave ovens have many drawbacks in that they have many limitations on the type of food that can be cooked, and that the food is dried after cooking and the taste is deteriorated.

한편, 음식물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gas ovens and electric ovens used for cooking food have drawbacks in that the cooking time becomes longer and the efficiency becomes lower due to the relatively low density air acting as a heat transfer medium between the heater and the food.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음식물 조리의 단점 보완을 위해 전자레인지에서 증기를 조리실 내로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조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열조리장치는 스팀오븐에 전자레인지 기능을 추가하여 증기에 의한 조리와 마이크로파에 의한 조리가 모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such food cooking, there has been developed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food by supplying steam from the microwave oven into the cooking chamber. Such a heating cooker can add a microwave oven function to the steam oven so that both steam cooking and microwave cooking can be performed.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종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이루는 내부상자의 일측에만 히터가 설치되므로 음식물에 열이 고르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측에 설치되는 히터 및 팬에 의해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은 수평 방향으로만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음식물에 고르게 열풍이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음식물의 맛 저하 및 조리 시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since the heater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inner box forming the cooking cha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can not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food. In addition, since the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by the heater and the fan installed on the rear side is circulat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t air can not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food. This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taste of the food and an increase in the cooking tim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회오리 형태의 순환을 이루도록 하여 조리 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균일한 조리를 이룰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capable of shortening a cooking time and uniformly cooking food by circulating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in a whirl-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상자; 상기 내부상자를 둘러싸는 외부상자; 및 상기 내부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상자의 후면을 이루는 후측판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토출부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ner box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 outer box surrounding the inner box;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box, and a discharge unit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plate which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box.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측판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흡입부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rear side plat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ion protruding forward.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측판에는 상기 흡입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토출부가 회전 대칭되게 배치된다.More preferably, in the rear side plate, a pair of discharge portions are disposed rotationally symmetrically about the suction portion.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진다.More preferably, the projected area of the discharge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돌출된다.More preferably, the discharge portion gradually protrud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상기 후측판의 중앙부에 배치된다.More preferably, the suction portion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ide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상자의 상면을 이루는 상측판의 상부에는 상히터가 배치되고, 상기 상히터는 상기 상측판에 형성되는 노출홀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에 노출된다.Preferably, an upper heater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plat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and the upper heater is exposed to the cooking cavity through an exposure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상자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과 상기 외부상자의 사이에는 측부히터가 배치된다.Preferably, a side heat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plate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box and the outer box.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히터는 할로겐 히터로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side heater is a halogen heater.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회오리 형태의 순환을 이루도록 하여 조리 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circulates in the form of a whirlwind, thereby shortening the cooking time and improving the taste of the fo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상히터에서 생성되는 열을 그대로 조리실의 음식물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generated in the phase heater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food in the cooking chamber,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측부히터를 할로겐 히터로 구성함으로써,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by constituting the side heater with the halogen he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열원이 3면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입체적인 열풍 순환을 이룰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source is divided into three surfaces, three-dimensional hot air circulation can be achiev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후측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측부 히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후측판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후측판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공기 흐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rear side pl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side heater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 5 is a side view of a rear side pl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rear side pl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flow st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0)는 크게 캐비넷(1), 도어(2), 조작패 널(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1 and 7, the cook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 a door 2, and an operation panel 3.

캐비넷(1)은 전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상자(10)와 내부상자(20)를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내부상자(20)의 내부는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이 입출되는 조리실(4)을 이루고, 외부상자(10)는 내부상자(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The cabinet 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having a front opening and is formed by combining the outer box 10 and the inner box 20. [ The inside of the inner box 20 is opened to form a cooking chamber 4 through which food is introduced and removed. The outer box 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box 20.

캐비넷(1)에는 캐비넷(1)의 전면 하단부에 위치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도어(2)가 장착된다. 조리실(4)의 전면은 도어(2)가 수직 위치로 회전될 때 폐쇄되고, 도어(2)가 수평 위치에 놓일 때 개방된다.The cabinet 1 is equipped with a door 2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 [ The front face of the cooking chamber 4 is closed when the door 2 is rotated to the vertical position and opened when the door 2 is placed in the horizontal position.

조작패널(3)은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조리기기(100)의 각종 조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배열된다. 이러한 조작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선택 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선택된 조리 기능이 수행된다. The operation panel 3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including a power switch for selecting various cooking fun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100. [ When this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o perform the selected cooking function.

내부상자(20)는 좌측면을 이루는 좌측판(21), 우측면을 이루는 우측판(22), 상면을 이루는 상측판(23), 하면을 이루는 하측판(24) 및 후면을 이루는 후측판(25)으로 이루어진다. 즉, 내부상자(20)는 전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 상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좌측판(21)과 우측판(22)을 통칭하여 측면판이라 한다.The inner box 20 includes a left side plate 21 forming a left side surface, a right side plate 22 forming a right side surface, an upper side plate 23 forming an upper side, a lower side plate 24 forming a lower surface, ). That is, the inner box 2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with its front surface opened. On the other hand, the left side plate 21 and the right side plate 2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ide plates.

좌측판(21)과 외부상자(10) 사이에는 측부히터(70)가 배치된다. 이러한 측부히터(70)는 할로겐 히터로 구성되므로, 열 뿐만 아니라 빛에 의해서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조리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판(22)과 외부상자(10) 사이에는 할로겐 히터로 구성되는 측부히터(70)가 배치된다. A side heater 70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side plate 21 and the outer box 10. Since the side heater 70 is composed of a halogen heater, the food can be cooked not only by heat but also by light,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cooking time. Likewise, a side heater 70 composed of a halogen heater is disposed between the right side plate 22 and the outside box 10.

좌측판(21)에는 측부히터(70)가 배치되는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히터케이 스(71)가 형성된다. 이러한 히터케이스(71)는 좌측판(21)과 일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물로 구성되어 체결부재 등에 의해 좌측판(21)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A heater case 71 is formed on the left side plate 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side heater 70 is disposed. The heater case 7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side plate 21 and may be integrally joined to the left side plate 21 by a fastening member or the like.

히터케이스(71)에는 측부히터(70)에서 발생되는 빛과 열이 조리실(4)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방출홀부(73)가 형성된다. 한편, 히터케이스(71)는 조리실(4)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음식물을 담은 트레이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portions 73 are formed in the heater case 71 so that light and heat generated in the side heater 70 can be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4.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eater case 7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the heater case 71 can serve as a guide rail of a tray containing food.

측부히터(70)와 외부상자(10) 사이에는 히터커버(72)가 설치된다. 히터커버(72)는 측부히터(70)로부터 발생되는 빛과 열로 인해 타 구성품이 손상되는 것을 차단한다. A heater cover 72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heater 70 and the outer box 10. The heater cover 72 prevents damage to other components due to light and heat generated from the side heater 70.

본 실시예에서, 히터커버(72)가 좌측판(21)에 장착됨에 의해 히터커버(72)에 장착되는 측부히터(70)는 좌측판(21)과 외부상자(1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외에도 측부히터(70)가 별도로 좌측판(21)에 장착되고, 측부히터(70)의 외부를 히터커버(72)로 둘러싸게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The side heater 70 mounted on the heater cover 72 by the heater cover 72 being mounted on the left plate 21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plate 21 and the outer box 1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ide heater 70 may be separately mounted on the left side plate 21 and the outside of the side heater 70 may be surrounded by the heater cover 72.

상측판(23)과 외부상자(10) 사이에는 상히터(60)가 배치된다. 상측판(23)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노출홀부(23a)가 형성되고, 상히터(60)는 노출홀부(23a)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히터(60)에서 생성되는 빛과 열은 상측판(23)에 의해 차단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음식물에 전달되므로,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The upper heater (6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plate (23) and the outer box (10). The upper side plate 23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shaped exposed hole portion 23a and the upper heater 60 is disposed above the exposed hole portion 23a. Therefore, light and heat generated in the phase heater 60 are transmitted to the food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upper side plate 23, so that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can be greatly shortened.

후측판(25)에는 조리실(4)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토출부(30)가 형성된다.이러한 토출부(30)는 후측판(25)의 좌측 부위에 형성되는 좌토출부(31)와, 후측 판(25)의 우측 부위에 형성되는 우토출부(32)로 이루어진다. 좌토출부(31)와 우토출부(32)는 좌토출부(31)와 우토출부(32)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부(40)를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게 배치된다. The rear side plate 25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30 protruding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The discharge portion 30 includes a left discharge portion 31 formed on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side plate 25, And a right discharge portion 32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plate 25. [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are rotationally symmetrically arranged about the suction portion 40 positioned between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

좌토출부(31)와 우토출부(32)가 조리실(4)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좌토출부(31)에는 복수의 좌토출홀부(31a)가 형성되며, 우토출부(32)에는 복수의 우토출홀부(32a)가 형성되므로, 후측판(25)의 후방에 설치되는 히터(미도시) 및 팬(50)에 의해 생성되는 열풍은 좌토출부(31) 및 우토출부(32)에 의해 안내된 후 좌토출홀부(31a) 및 우토출홀부(32a)를 통해 조리실(4) 내부로 유입된다.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are protruded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and a plurality of left discharge hole portions 31a are formed in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In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eater (not shown) and the fan 5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ar plate 25 is supplied to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And then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4 through the left discharge hole portion 31a and the right discharge hole portion 32a.

즉, 후측판(25)의 후방에서 생성되는 열풍은 좌토출홀부(31a) 및 우토출홀부(32a)를 통해 조리실(4) 내부로 유입되기에 앞서, 조리실(4)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토출부(31) 및 우토출부(32)에 의해 안내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열풍이 집중적으로 조리실(4) 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hot air generated from the rear side of the rear side plate 25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4 through the left discharge hole portion 31a and the right discharge hole portion 32a, (31)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a larger amount of hot air can be concentratedly supplied to the cooking chamber (4) side.

토출부(3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좌토출부(3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조리실(4) 측으로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지고, 우토출부(3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조리실(4) 측으로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지게 형성된다(도 2 참조). The discharge portion (30) is formed so that an area protruding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is gradually increased. More specifically, the area of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protruding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area of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protruding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ee Fig. 2).

또한, 토출부(3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좌토출부(3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조리실(4) 측으로 더욱 돌출 형성되고, 우토출부(3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조리실(4) 측으로 더욱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ing portion 30 gradually protrud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at is,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is further protruded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is further protruded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toward the lower side from the upper side.

이와 같이, 좌토출부(3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조리실(4) 측으로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지면서, 조리실(4) 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팬(50)의 회전에 의해 열풍은 회오리 형상을 띄면서 조리실(4) 내부로 유입된다. Since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is formed so as to protrude more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while increasing the area protruding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And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4 while being shaped.

즉, 팬(50)의 회전 시 열풍은 좌토출부(31)에 의해 안내된 후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좌토출부(31)의 돌출 면적 및 돌출 정도에 맞춰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조리실(4) 내부로 유입된다. That is, the hot air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fan 50 is guided by the left discharging portion 31, and then,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ing area and the projecting degree of the left discharging portion 31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to the cooking chamber (4).

또한, 좌토출부(31)에 좌토출홀부(31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풍은 좌토출홀부(31a)를 통해 조리실(4) 측으로 유입되면서, 특정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채 사방으로 회오리 형상을 하면서 유입된다. 이로써, 조리실(4) 내의 모든 부분에 열풍의 고른 공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Since the left discharge hole portion 31a is formed in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the hot air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4 through the left discharge hole portion 31a, . Thereby,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ven supply of hot air to all the portions in the cooking chamber 4. [

마찬가지로, 우토출부(3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조리실(4) 측으로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지면서, 조리실(4) 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팬(50)의 회전에 의해 열풍은 회오리 형상을 띄면서 조리실(4) 내부로 유입된다. Likewise, since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urther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the area protruding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n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4.

즉, 팬(50)의 회전 시 열풍은 우토출부(32)에 의해 안내된 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우토출부(32)의 돌출 면적 및 돌출 정도에 맞춰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조리실(4) 내부로 유입된다. That is, when the fan 50 is rotated, the hot air is guided by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and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ed area and the projected degree of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whic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to the cooking chamber (4).

또한, 우토출부(32)에 우토출홀부(32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풍은 우토출홀부(32a)를 통해 조리실(4) 측으로 유입되면서, 특정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채 사방으로 회오리 형상을 하면서 유입된다. 이로써, 조리실(4) 내의 모든 부분에 열풍의 고른 공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lurality of right discharge holes 32a are formed in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the hot air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4 through the right discharge hole 32a, . Thereby,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ven supply of hot air to all the portions in the cooking chamber 4. [

또한, 좌토출부(31)와 우토출부(32)는 흡입부(40)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팬(5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열풍 흐름이 토출부(30)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된다.Since the left discharge portion 31 and the right discharge portion 32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uction portion 40 as a center, the flow of hot air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50 is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portion 30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device.

후측판(25)에는 조리실(4)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흡입부(40)가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부(40)는 좌토출부(31)와 우토출부(32)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부(40)의 후방에는 팬(50)이 배치된다. The rear side plate 25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ion 40 protruding toward the cooking chamber 4 side. The suction unit 40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discharge unit 31 and the right discharge unit 32 and the fan 50 is disposed behind the suction unit 40.

흡입부(40)의 직경은 팬(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흡입부(40)의 돌출에 따라 팬(50)을 전방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팬(50)의 전방 배치에 기인하여 전후측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100)의 전체 형상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diameter of the suction portion 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an 50 so that the fan 50 can be disposed forward in accordance with the protrusion of the suction portion 40.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can be reduced due to the front arrangement of the fan 50, which can reduce the overall shape of the cooking apparatus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열원 즉, 후측판(25) 후방의 히터, 상측판(23) 상방의 상히터(60) 및 좌우측판(21, 22) 측방의 측부히터(70)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방, 측방 및 후방에서 각각 열풍이 공급되므로 입체적인 열풍 순환을 이룰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source such as a heater behind the rear side plate 25, a top heater 60 above the upper side plate 23, Side heaters 70 are separately provided, hot air is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the side, and the rear, respectively, so that three-dimensional hot air circulation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후측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ear side plate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측부 히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view of a side heater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후측판의 측면도이다. 5 is a side view of a rear side pl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후측판의 저면도이다.6 is a bottom view of a rear side pl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공기 흐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air flow state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캐비넷 2 : 도어1: Cabinet 2: Door

23a : 노출홀부 25 : 후측판 23a: Exposure hole part 25:

30 : 토출부 40 : 흡입부30: Discharging part 40: Suction part

60 : 상히터 70 : 측부히터60: phase heater 70: side heater

Claims (9)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상자; An inner box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상기 내부상자를 둘러싸는 외부상자; 및An outer box surrounding the inner box; And 상기 내부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box, 상기 내부상자의 후면을 이루는 후측판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토출부가 구비되고,Wherein the rear side plate of the inner box has a discharge part protruding forward, 상기 후측판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흡입부가 구비되고, The rear side plat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ion protruding forward, 상기 후측판에는 상기 흡입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토출부가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고, Wherein the rear side plate is provided with a pair of discharging portions rotationally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the suction portion, 상기 토출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면적이 점점 더 커지며, The protruding area of the discharging par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한 쌍의 상기 토출부에 토출홀부가 형성되어 있고, A discharge hole portion is formed in a pair of the discharge portions, 상기 토출홀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portions are provided so as to face for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토출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discharging portion gradually protrud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흡입부는 상기 후측판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And the suction portion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부상자의 상면을 이루는 상측판의 상부에는 상히터가 배치되고,An upper heater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상기 상히터는 상기 상측판에 형성되는 노출홀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upper heater is exposed to the cooking chamber through an exposure hole formed in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부상자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과 상기 외부상자의 사이에는 측부히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And a side heat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plate and the outer box which form side surfaces of the inner box.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측부히터는 할로겐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side heater is a halogen heater.
KR1020090114830A 2009-11-25 2009-11-25 Cooking device KR101623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830A KR101623853B1 (en) 2009-11-25 2009-11-25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830A KR101623853B1 (en) 2009-11-25 2009-11-25 Coo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149A KR20110058149A (en) 2011-06-01
KR101623853B1 true KR101623853B1 (en) 2016-05-25

Family

ID=4439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830A KR101623853B1 (en) 2009-11-25 2009-11-25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85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149A (en)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2105B2 (en) Electric oven
JP5723954B2 (en) Cooking equipment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JP5723955B2 (en) Cooking equipment
US7094998B2 (en) Heating cooker
JP5723957B2 (en) Cooking equipment
JP5723956B2 (en) Cooking equipment
KR101531060B1 (en) Oven range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means
KR102362013B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US20060037598A1 (en) Overheat steam cooker
KR100610670B1 (en) Heating cooker
JP4607649B2 (en) Cooking device and cooking method
JP2014052108A (en) Heating cooker
JP2007003121A (en) Cooker
KR101623853B1 (en) Cooking device
KR100686772B1 (en) Electric oven range
KR100633173B1 (en) Structure of machine room for Electric oven
JP4576296B2 (en) Cooker
JP5525908B2 (en) Cooker
JP5492646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0353573Y1 (en) A cooling system of door in Electric oven
JP5964340B2 (en) Cooker
JP2008157623A (en) Heating cooker
JP2010243116A (en) Heating cooker
KR200327739Y1 (en) Convection type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