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192B1 - 조립형 황토벽돌 - Google Patents

조립형 황토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192B1
KR101620192B1 KR1020140125694A KR20140125694A KR101620192B1 KR 101620192 B1 KR101620192 B1 KR 101620192B1 KR 1020140125694 A KR1020140125694 A KR 1020140125694A KR 20140125694 A KR20140125694 A KR 20140125694A KR 101620192 B1 KR101620192 B1 KR 10162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rick body
protruding
support plat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584A (ko
Inventor
김응철
Original Assignee
김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철 filed Critical 김응철
Priority to KR102014012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연결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형 황토벽돌에 관한 것으로,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황토벽돌{ASSEMBLY TYPE OCHER BRICK}
본 발명은 조립형 황토벽돌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벽돌 조적 시공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조립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벽돌체와 지지판체가 일체화된 구조로 제공되는 황토벽돌의 기술사상에 관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연결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형 황토벽돌에 관한 것이다.
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요즈음 건축자재에서도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보다는 환경 친화적인 황토벽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황토벽돌은 자연에 존재하는 황토를 원료로 한 제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습기를 조절하는 효능과 함께 향균 기능 등의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특2000-0033318에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황토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선별된 황토에 소금, 숯 및 해초풀을 혼합하고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혼합반죽단계;와, 황토반죽을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압출된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인테리어 장식방법은 석재, 석고보드, 합판, 벽지, 페인트 등을 사용하고 있는바, 석재의 경우 시공이 어렵고 고가이며, 석고보드나 합판의 경우는 물기나 습기에 약하여 쉽게 파손 내지 부식되고, 벽지나 페인트의 경우는 얼룩이나 곰팡이의 발생시 청소가 어렵고 재도색 또는 교체가 요구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이 실내공간의 또 다른 인테리어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은 벽돌 조적 시공시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이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돌체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벽돌체를 조적함에 있어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이와 아울러, 벽돌체와 지지판체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관련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황토벽돌(100)는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체(20)는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요홈(22)과 돌출면(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위치 구속 및 벽돌체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하여 수개의 돌출돌부(21)가 더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외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의 기울기를 갖는 돌출익(21a,21b)이 더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과 상측의 중앙 영역을 기점으로 내부 중심 방향에 대해 함몰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의 삼각 형상은 중심이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상기 벽돌체(10)는 수개의 돌출돌부(21)가 구비된 지지판체(20)의 기 설정 공간으로 반죽된 황토를 투입하여 상하 프레스 압축함으로써 지지판체와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실내공간의 소모 없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
또한, 지지판체와 벽돌체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황토벽돌이 제공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재료의 절감, 생산성 증대, 시공의 간편성, 건물 하중의 최소화 등 관련 작업의 모든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특히, 벽돌체를 조적함에 있어서도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의 편리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훼손 없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바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을 제공함에 있어서 순차적인 단계에 의해 성형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 조적 시공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돌출돌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벽돌 조적 시공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조립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벽돌체와 지지판체가 일체화된 구조로 제공되는 황토벽돌(100)의 기술사상에 관련된다.
무엇보다, 벽돌체(10)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20)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연결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게 되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형 황토벽돌(100)에 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형 황토벽돌(100)는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벽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지지판체(2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면서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서로 이웃하는 지지판체 상호 간의 자체 결합에 기인하여 조적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지지판체(20)의 구성은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지지판체(2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요홈(22)과 돌출면(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이 지지판체(20)의 사면에 대해 연속한 형태의 요철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7과 같은 조적 방식에 의해 이와 인접 배치되는 타 지지판체와의 구속력이 행사되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상태로 조적 시공 가능하다.
즉, 상기 요홈(22)은 다수개로서 외측방 및 전후방으로 개방된 것이고, 상기 돌출면(23)은 상기 요홈(22)이 형성되므로 상기 요홈(22) 사이에 자연히 형성된 것으로서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의 상기 요홈(2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음은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 치합되는 형상의 것이라면 무엇이든 충분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요홈(22)과 돌출면(23)의 연장거리 내지 크기는 벽돌체에 비해 확대된 정도면 충분하고, 벽돌체와 벽돌체 사이 틈을 고려하여 지나치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 보다 상하좌우로 크게 형성되므로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때 벽돌체(10)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틈에 모르타르를 채워서 줄눈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요홈과 돌출면의 양측면은 일정 경사면(F)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요홈(22)의 양측에 외측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경사면(F)이 형성되므로 돌출면(23)은 외측방으로 향하여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의 요홈(22)에 상대측의 돌출면(23)이 삽입될 때 상호 정확하게 부합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치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면 어느 방향으로도 조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요홈(22)과 돌출면(23)을 사면 모두에 공통으로 형성하는데, 각 사면으로 타 지지판체와의 상호 치합될 경우 지지판체에 비해 협소한 크기를 갖는 벽돌체(10)는 이웃하는 타 벽돌체와 불가피하게 적정 수준의 이격된 틈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틈으로 하여금 줄눈(식별번호 없음)을 시공하여 벽돌 조적 시공의 시각적인 미려함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삭제
삭제
즉, 지지판체(20)에 형성되는 돌출면(23) 및 요홈(22)이 벽돌체(10)의 크기를 벗어난 범위 내에서 연장 형성되므로 근접 배치되는 벽돌체 상호 간에는 일정 간격으로 틈(간극)이 발생하고, 상기 틈으로 줄눈을 시공함에 따라 허용된 공간을 메워주는 것은 물론 벽돌체 시공의 특이성 또한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형상의 지지판체(20)를 부여한 것은 종래 벽돌 시공이 갖는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벽돌 조적 시공시 해당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일정 부분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 또한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에 있어 그 부담이 가중되었고 아울러 벽돌이 지니는 무게에 의해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가 하나의 종래 벽돌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바, 이는 곧 벽돌체 자체의 두께를 줄이는 결과가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되므로 기능성 면에서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상기 벽돌체(10)는 통상의 벽돌과 동일 유사한 개념으로, 다만 본 발명에서는 주지한 바와 같이 이러한 벽돌체를 하나의 지지판체(20)와 일체형으로 성형 제공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소정의 돌출돌부(21)를 부여한다. 이와 관련한 참고 도면은 8이며, 상기 도면에 의거하여 돌출돌부와 관련한 상세 기술사상에 대해 기재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돌출돌부(21)의 형상을 다양하게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위치 구속 및 벽돌체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하여 수개의 돌출돌부(21)가 더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 일례로, 도 8에서는 A~F 타입의 돌출돌부(21)를 예시적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돌출돌부의 형상은 벽돌체(10)로부터 지지판체(20)와의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하므로 특정 형상 내지 제안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성형시 이들의 상호 구속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지판체 상에 돌출돌부를 부여하게 되는데,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외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의 기울기를 갖는 돌출익(21a,21b)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하측과 상측의 중앙 영역을 기점으로 내부 중심 방향에 대해 함몰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단의 삼각 형상은 중심이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하여 벽돌체와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돌출익(21a,21b)은 돌출돌부(21)의 외면상으로 연장된 구성요소이며, 이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간섭성 내지 마찰력의 증대란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을 제공함에 있어서 순차적인 단계에 의해 성형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 조적 시공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상기 벽돌체(10)는 수개의 돌출돌부(21)가 구비된 지지판체(20)의 기 설정 공간으로 반죽된 황토를 투입하여 상하 프레스 압축함으로써 지지판체와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100)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정의 작업테이블(30) 및 이러한 작업테이블 상하에서 수직선상으로 왕복 운용되는 상·하부실린더(50,4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테이블(30)은 반죽된 황토가 주입된 후 하나의 저장공간이 될 수 있도록 수용부(31)를 형성하고, 이러한 수용부는 하방에서 근접되는 지지판체(20)와 밀착 배치되면서 황토 반죽에 기인한 소정의 벽돌체(10)를 해당 지지판체와 일체된 형상으로 압축 성형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하부실린더(40)의 운용으로 승강 작동하는 베이스플레이트(41) 상에 안착 배치되고, 벽돌체(10)로 성형되는 황토 반죽은 작업테이블(30)의 수용부(31)로 제공된 후 이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운용되는 또 다른 상부실린더(50)의 가압력에 의해 하나의 황토벽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실린더(50)의 하부에는 작업테이블의 수용부(31) 내부로 인입되면서 전 면적에 대한 균일한 압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51)이 형성되는바, 상부실린더(50)의 운용에 기인한 가압수단(51)의 승강 또는 하강으로 수용부(31) 내부에 위치된 황토 반죽을 일정 수준으로 가압함에 따라 해당 황토 반죽이 지지판체(20) 상에서 서로 결합된 형태로 성형 가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10)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실내공간의 소모 없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
또한,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황토벽돌(100)이 제공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재료의 절감, 생산성 증대, 시공의 간편성, 건물 하중의 최소화 등 관련 작업의 모든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특히, 벽돌체(10)를 조적함에 있어서도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20)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의 편리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훼손 없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바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벽돌체 20. 지지판체
21. 돌출돌부 22. 요홈
23. 돌출면 30. 작업테이블
31. 수용부 40. 하부실린더
41. 베이스플레이트 50. 상부실린더
51. 가압수단
100. 조립형 황토벽돌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벽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지지판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 보다 상하좌우로 크게 형성되므로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때 벽돌체(10)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는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응 형성되는 요홈(22) 및 돌출면(23);과,
    상기 벽돌체(10)의 위치 구속과 벽돌체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수개의 돌출돌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22)은 다수개로서 외측방 및 전후방으로 개방된 것이고,
    상기 돌출면(23)은 상기 요홈(22)이 형성되므로 상기 요홈(22) 사이에 자연히 형성된 것으로서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의 상기 요홈(2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요홈(2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측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면(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외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의 기울기를 갖는 돌출익(21a,21b)이 더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형 황토벽돌.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과 상측의 중앙 영역을 기점으로 내부 중심 방향에 대해 함몰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의 삼각 형상은 중심이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KR1020140125694A 2014-09-22 2014-09-22 조립형 황토벽돌 KR10162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694A KR101620192B1 (ko) 2014-09-22 2014-09-22 조립형 황토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694A KR101620192B1 (ko) 2014-09-22 2014-09-22 조립형 황토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84A KR20160034584A (ko) 2016-03-30
KR101620192B1 true KR101620192B1 (ko) 2016-05-11

Family

ID=5566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694A KR101620192B1 (ko) 2014-09-22 2014-09-22 조립형 황토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7383A (zh) * 2018-12-29 2019-04-23 江苏寅本实业有限公司 一种可拼接的大理石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82B1 (ko) * 2016-08-29 2016-12-22 김응철 조립식 황토벽돌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7383A (zh) * 2018-12-29 2019-04-23 江苏寅本实业有限公司 一种可拼接的大理石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84A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477B1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CA2663050A1 (en) Interlocking floor system
AU2012278316B2 (en) Covering element for forming floor and/or wall coverings
KR101620192B1 (ko) 조립형 황토벽돌
EP3231784A1 (en) A layered ti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yered tile
KR20110076911A (ko) 플라스틱 바닥 매트
KR101538894B1 (ko) 조립형 황토벽돌
CN105459247A (zh) 一种新型砌块制造方法及砌块制造装置
CN102003055A (zh) 一种反面带凸条或凸块或凹洞的瓷砖或装饰石材
KR20130068858A (ko)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355B1 (ko)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마감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205242927U (zh) 烧结物构件
KR20210029435A (ko)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CN220179627U (zh) 一种燕尾成型模具
KR200469738Y1 (ko) 황토판 및 황토판이 결합된 벽체
CN219411587U (zh) 一种具有卡槽的烧制砖
JP3173594U (ja) ブロック
CN207048114U (zh) 一种快速砌墙石膏实心砖
CN201268915Y (zh) 装配式菱镁轻质高强隔墙板
KR20180002282A (ko)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KR100441988B1 (ko) 평판토기와
CN106003380A (zh) 一种弧边瓷砖、其加工模具及其生产工艺
CN104886195A (zh) 不沾易脱模土司盒
CN204722125U (zh) 不沾易脱模土司盒
KR100948028B1 (ko)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