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82A -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 Google Patents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82A
KR20180002282A KR1020160081570A KR20160081570A KR20180002282A KR 20180002282 A KR20180002282 A KR 20180002282A KR 1020160081570 A KR1020160081570 A KR 1020160081570A KR 20160081570 A KR20160081570 A KR 20160081570A KR 20180002282 A KR20180002282 A KR 2018000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support plate
wall
brick body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687B1 (ko
Inventor
김응철
Original Assignee
김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철 filed Critical 김응철
Priority to KR102016008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으로 벽돌체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접착제를 이용한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부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과 아울러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이 가장 넓으면서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부분인 벽돌체(10)의 후면(12)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는 지지판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벽돌체(10)에 결합되기 위해 마주하는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를 따라 돌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10)의 결합홈(17)에는 돌부(25)에 대응되는 홈부(15)가 형성되게 하여 상호 걸림구조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Wall attached type functional brick}
본 발명은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체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접착제를 이용한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부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과 아울러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이다.
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요즈음 건축자재에서도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보다는 환경 친화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황토벽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황토벽돌은 자연에 존재하는 황토를 원료로 한 제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습기를 조절하는 효능과 함께 향균 기능 등의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인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 주어 제독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황토벽돌의 제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0-0033318호에서는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이 개시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황토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선별된 황토에 소금, 숯 및 해초풀을 혼합하고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혼합반죽단계와, 황토반죽을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압출된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인테리어 장식방법은 석재, 석고보드, 합판, 벽지, 페인트 등을 사용하고 있는바, 석재의 경우 시공이 어렵고 고가이며, 석고보드나 합판의 경우는 물기나 습기에 약하여 쉽게 파손 내지 부식되고, 벽지나 페인트의 경우는 얼룩이나 곰팡이의 발생시 청소가 어렵고 재도색 또는 교체가 요구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이 실내공간의 또 다른 인테리어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은 벽돌 조적 시공시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이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본인의 선등록특허 제10-1538894호 및 제10-1620192호의 “조립형 황토벽돌”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들을 이미 해결한 바 있으나, 이를 좀 더 개선한 기능성 벽돌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0-0033318호 등록특허 제10-1538894호 등록특허 제10-162019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벽돌체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접착제를 이용한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부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과 아울러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이 가장 넓으면서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부분인 벽돌체(10)의 후면(12)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는 지지판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벽돌체(10)에 결합되기 위해 마주하는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를 따라 돌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10)의 결합홈(17)에는 돌부(25)에 대응되는 홈부(15)가 형성되게 하여 상호 걸림구조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은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과 수평선상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체(20)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돌체(10)에 대한 지지판체(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판체(20)의 내측면에서 벽돌체(10) 방향으로 수직하게 다수의 돌출봉(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체(20)의 두께(t1)는 벽돌체(10)의 두께(t)의 1/15∼1/30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벽체(2)에 대한 지지판체(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다수의 홈(22) 또는 줄홈(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로 인접하여 조적되는 벽돌체(10) 사이에 간격유지간(30)을 구비하되, 상기 간격유지간(30)은 상하로 양측에 날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날개부(31)와 일체로 수직하게 지지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1)는 지지판체(20) 또는 벽돌체(10)의 상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32)는 상하로 인접한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하 벽돌체(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간(30)의 길이는 지지판체(2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가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충분히 채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부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재료인 황토 또는 고령토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접착방식으로 인해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의 일실시예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조적 상태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의 다른 실시예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조적 상태 측단면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간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돌체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접착제를 이용한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부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과 아울러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벽돌체(10)의 후면(12)에 지지판체(20)를 일체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벽돌체(10)는 기능성 발휘를 위해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황토는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4가지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서 독소 제거, 분해력, 비료 요소, 정화 작용의 역할을 하며,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인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 주어 제독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고령토(백토)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백색의 점토로서, 고령토의 실리카 성분은 벽돌의 뼈대 역할을 하고, 알루미나 성분은 내화성을 부여하여 소성범위를 넓게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내화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화학작용, 마모 및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벽돌체(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인 넓은 부분을 차지하는 전면(11)과 후면(12) 중 후면(12)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지지판체(20)를 일체로 성형되게 한다. 이때 벽돌체(10)의 후면(12)은 도 3에서와 같이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방향의 면을 말한다.
상기 벽돌체(10)는 소정의 금형틀을 마련하고, 상기 금형틀 상에 인서트성형 되어질 지지판체(20)를 위치 고정시킨 후 황토 또는 고령토를 공급함으로써 일체화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그 외측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도 3에와 같이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부착고정 방식에 의해 종래 연결체 등을 이용한 피스, 타카 등의 고정수단이 생략되므로 벽돌체(10)의 조적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어지되, 그 외측면이 수직벽체(2)에 대해 우수한 접착 및 부착성이 발휘되도록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판체(20)는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지지판체(20)의 두께(t1)는 벽돌체(10)의 두께(t)의 1/15∼1/30 이 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통상 벽돌체(10)의 두께(t)는 60㎜ 이므로, 이때 지지판체(20)의 두께(t1)는 2∼4㎜ 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판체(20)를 벽돌체(10)에 일체로 성형하여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방식으로 수직벽체(2)에 조적 시공함으로써 통상 60㎜인 벽돌체(10)의 두께(t)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지지판체(20)를 벽돌체(10)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하여 부여한 것은 종래 벽돌 시공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벽돌 조적 시공시 일률적인 크기로 생산되는 해당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일정 부분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 또한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에 있어 그 부담이 가중되었고, 아울러 벽돌이 지니는 무게에 의해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가 하나의 종래 벽돌(Brick) 기능을 수행하면서 접착제에 의한 부착방식으로 수직벽체(2)에 조적 시공되는 바, 이는 곧 부착력이 강하면서도 벽돌체(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판체(20)의 구비로 인한 벽돌체(10) 자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결과가 있어 상기 종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되므로 기능성 면에서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서 벽돌체(10)에 일체 성형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를 따라 돌부(25)를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의 결합홈(17)에는 돌부(25)에 대응되는 홈부(15)를 형성하여 상호 걸림구조가 구현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판체(20)의 내측은 벽돌체(10)에 결합되기 위해 마주하는 방향이다.
상기 지지판체(2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에 형성된 돌부(25)가 벽돌체(10)의 결합홈(17) 내에 형성된 홈부(15)에 걸림된 상태에서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그 성형후에 벽돌체(10) 상에서 지지판체(20)의 이탈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게 된다.
지지판체(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과 수평선상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구조는 지지판체(20)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도 6에서와 같이 벽돌체(10)를 수직벽체(2)에 부착하게 되면 지지판체(20)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벽돌체(1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는 상술된 돌부(25)와 홈부(15)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된다.
지지판체(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벽돌체(10)에 대한 지지판체(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판체(20)의 내측면에서 벽돌체(10) 방향으로 수직하게 다수의 돌출봉(29)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돌출봉(29)의 개수 및 크기는 벽돌체(10)의 크기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체(20)는 접착제에 의해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다수의 홈(22) 또는 줄홈(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줄홈(23)은 도 8의 (b)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의 줄홈(23)으로 형성되거나,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의 줄홈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격자형으로 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모두 수직벽체(2)에 대한 지지판체(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시되는 구성이다.
한편, 수직벽체(2)에 대해 벽돌체(10)를 조적 시, 벽돌체(10) 간의 일정한 간격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상하로 인접하는 벽돌체(10) 사이에 간격유지간(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간(30)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하로 양측에 날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날개부(31)와 일체로 수직하게 지지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1)는 지지판체(20)의 상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32)는 상하로 인접한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하 벽돌체(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하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벽돌체(10) 간의 접착 및 줄눈 형성을 위해 모르타르가 채워져야 하므로, 간격유지간(30)의 길이는 지지판체(2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가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충분히 채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어진 경우, 간격유지간(30)의 날개부(31)는 벽돌체(10)의 상하 테두리부(13)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수직벽체 10 : 벽돌체
12 : 후면 15 : 홈부
17 : 결합홈 20 : 지지판체
21 : 외측면 22 : 홈
23 : 줄홈 25 : 돌부
29 : 돌출봉 30 : 간격유지간
31 : 날개부 32 : 지지부
41 : 결합홈부

Claims (7)

  1.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이 가장 넓으면서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부분인 벽돌체(10)의 후면(12)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는 지지판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벽돌체(10)에 결합되기 위해 마주하는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를 따라 돌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10)의 결합홈(17)에는 돌부(25)에 대응되는 홈부(15)가 형성되게 하여 상호 걸림구조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은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과 수평선상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체(20)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체(10)에 대한 지지판체(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판체(20)의 내측면에서 벽돌체(10) 방향으로 수직하게 다수의 돌출봉(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의 두께(t1)는 벽돌체(10)의 두께(t)의 1/15∼1/30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2)에 대한 지지판체(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다수의 홈(22) 또는 줄홈(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인접하여 조적되는 벽돌체(10) 사이에 간격유지간(30)을 구비하되,
    상기 간격유지간(30)은 상하로 양측에 날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날개부(31)와 일체로 수직하게 지지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1)는 지지판체(20) 또는 벽돌체(10)의 상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32)는 상하로 인접한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하 벽돌체(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간(30)의 길이는 지지판체(2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가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충분히 채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KR1020160081570A 2016-06-29 2016-06-29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KR10187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70A KR101874687B1 (ko) 2016-06-29 2016-06-29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70A KR101874687B1 (ko) 2016-06-29 2016-06-29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82A true KR20180002282A (ko) 2018-01-08
KR101874687B1 KR101874687B1 (ko) 2018-07-04

Family

ID=6100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70A KR101874687B1 (ko) 2016-06-29 2016-06-29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176A (zh) * 2019-03-15 2019-07-12 河南省长城门业有限公司 一种装配式家装电视墙的装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176A (zh) * 2019-03-15 2019-07-12 河南省长城门业有限公司 一种装配式家装电视墙的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687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5830A (ko) 방수, 방화, 단열, 장식 효과가 있는 일체형 발포유리판
KR101874687B1 (ko)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KR101434805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KR200418718Y1 (ko) 건축물의 외부장식용 조형물
CN204850147U (zh) 复合型建筑装饰墙体
KR101120510B1 (ko) 건축패널 및 이를 부착하는 고정구조물
KR200404410Y1 (ko)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CN100424308C (zh) 陶瓷塑料复合装饰材料及其制作工艺
RU126730U1 (ru) Тепло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CN202596023U (zh) 一种立式木塑中空墙板
CN206603565U (zh) 一种grg成品窗帘盒及安装结构
CN103967243A (zh) 一种防水墙面的瓷砖干挂结构
CN209780021U (zh) 一种预制装配式房屋
CN2622283Y (zh) 快建砖
CN208748906U (zh) 节能环保型装配式墙体结构
CN202644783U (zh) 预制轻质墙体
CN201040925Y (zh) 建筑平面组合式模板
CN204781729U (zh) 高性能墙砖
CN203867129U (zh) 一种防水墙面的瓷砖干挂结构
KR200496953Y1 (ko) 건축용 줄눈의 성형부재
CN215407060U (zh) 结构型墙板单元
CN206752291U (zh) 一种桥梁外表面用塑料墙砖
CN215407061U (zh) 钢结构房屋的结构性墙板
CN203201104U (zh) 木塑地板
CN209011468U (zh) 一种高保温性蜂巢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