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531B1 - 천장 크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 크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531B1
KR101618531B1 KR1020150154607A KR20150154607A KR101618531B1 KR 101618531 B1 KR101618531 B1 KR 101618531B1 KR 1020150154607 A KR1020150154607 A KR 1020150154607A KR 20150154607 A KR20150154607 A KR 20150154607A KR 101618531 B1 KR101618531 B1 KR 10161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rolley
controller
hook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혁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혁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혁, 박진우 filed Critical 정진혁
Priority to KR102015015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상기와 운반물이 서로 떨어져 있어 운반물에 후크가 비스듬히 걸린 경우에 권상기를 운반물의 상부에 있는 후크의 위로 자동으로 정렬시켜 운반물의 상승시에 운반물이 지면에 끌려 손상되거나 운반물이 흔들림으로 인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면서 작업 및 작동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천장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은 다수의 포스트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수평으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주행레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면에 보조레일이 설치되는 거더와; 상기 보조레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레일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부에 권상기가 설치되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연결몸체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몸체의 하면에 후크가 장착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고, 무선수신기가 내장되며, 상기 무선수신기를 통해 전송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장치와 트롤리 및 권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트롤리의 하부로 구비되고, 무선송신기가 내장되며, 사용자의 방향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기에 명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외면에 자동보정버튼이 설치되는 원격조작기와; 상기 권상기의 하면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는 상부감지기와; 상기 연결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상부감지기를 향해 설치되는 하부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보정버튼을 누르면, 상기 상부감지기로부터 상기 하부감지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감지기와 하부감지기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장치와 트롤리를 작동시켜 상기 권상기를 상기 연결몸체의 상부에 자동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와 후크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Description

천장 크레인 시스템{CEILING CRANE SYSTEM}
본 발명은 천장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물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운반물에 후크를 걸고 권상기를 작동시키면 권상기와 후크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가 비스듬히 걸린 경우에 권상기를 운반물의 후크 상부에 자동으로 정렬하고 운반물을 상승시키면 운반물의 끌림 현상과 흔들림이 없어짐으로 운반물의 추락이 방지되어 작업자의 안전이 향상되고 운반물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면서 작업 및 작동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천장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는 중량물을 들어 올려서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평면상에서 동, 서, 남, 북)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중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각종 공장, 항만,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호이스트나 체인 블록에 비하여 한층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데 사용된다.
한편, 천장 크레인은 크레인의 종류 중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공장, 창고 등지의 건물 천장 부분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천장 크레인은 서로 마주보는 벽을 따라 레일을 부설하고, 상기 레일에 직각으로 주행하는 빔 형상의 레일을 걸친다.
이와 같은 레일에 권상기 및 주행 장치를 갖는 트롤리가 부설되어 트롤리로부터 후크를 내려서 중량물을 끌어올린다. 레일의 주행과 레일 위에서의 가로 움직임을 적당히 조절하면 건물 내의 어느 장소에도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다.
작은 것은 사람이 수동으로 운전하나, 보통은 빔에 매달린 운전실에 사람이 타고, 운전실에서 후크에 매달린 운반물을 내다보면서 운전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권상기를 운반물에 위치시킨 후에 후크를 내려서 운반물을 걸 때, 작업자의 수동 조작의 정확성이 떨어져 권상기, 와이어로프, 후크 및 운반물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후크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비스듬히 당겨서 운반물에 걸게 되고, 이 상태에서 후크를 상승시키면 후크가 비스듬히 상승되면서 운반물이 지면에 끌려 손상되거나 운반물이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권상기를 후크와 운반물의 위에 정렬하기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을 다시 조작해야 하는 등 작업 및 작동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2-0039583호 "천장크레인"(2012.04.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상기와 운반물이 서로 떨어져 있어 운반물에 후크가 비스듬히 걸린 경우에 권상기를 운반물의 상부에 있는 후크의 위로 자동으로 정렬시켜 운반물의 상승시에 운반물이 지면에 끌려 손상되거나 운반물이 흔들림으로 인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면서 작업 및 작동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천장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은, 다수의 포스트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수평으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주행레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면에 보조레일이 설치되는 거더와; 상기 보조레일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레일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부에 권상기가 설치되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연결몸체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몸체의 하면에 후크가 장착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고, 무선수신기가 내장되며, 상기 무선수신기를 통해 전송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장치와 트롤리 및 권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트롤리의 하부로 구비되고, 무선송신기가 내장되며, 사용자의 방향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기에 명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외면에 자동보정버튼이 설치되는 원격조작기와; 상기 권상기의 하면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는 상부감지기와; 상기 연결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상부감지기를 향해 설치되는 하부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보정버튼을 누르면, 상기 상부감지기로부터 상기 하부감지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감지기와 하부감지기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장치와 트롤리를 작동시켜 상기 권상기를 상기 연결몸체의 상부에 자동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와 후크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부감지기와 하부감지기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권상기와 후크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중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늘어지지 않도록 상기 권상기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상기 상부감지기는, 상기 하부감지기에 대한 위치의 감지가 더 넓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감지기의 하단에 장착되는 신호발신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감지기는, 상기 신호발신판에 의한 상기 하부감지기의 감지가 더 넓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감지기의 상단에 장착되는 신호수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은, 상기 상부감지기의 일측으로 상기 권상기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며, 상기 권상기의 하부를 촬영한 후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후크의 형상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전송하는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운반물에 후크가 비스듬히 걸린 경우에 권상기를 운반물의 상부에 자동으로 정위치시켜 운반물의 이송시 운반물의 흔들림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및 운반물 자체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그에 따라 작업 및 작동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작동 전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작동 후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의 원격조작기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은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는 주행장치(20)와, 상기 주행장치(20)에 설치되는 거더(30)와, 상기 거더(30)에 설치되는 트롤리(40)와, 상기 트롤리(40)에 설치되는 제어기(50)와, 상기 제어기(50)와 통신하는 원격조작기(60)와, 상기 트롤리(40)의 권상기(41)에 설치되는 상부감지기(70)와, 상기 상부감지기(7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감지기(8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한 쌍이 네 개의 포스트(11)의 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주행레일(12)이 설치되는 것으로, 횡방향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행레일(12)은 상기 주행장치(20)가 주행되는 레일이다.
상기 주행장치(20)는 각각의 상기 주행레일(1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행레일(12)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거더(3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운반물(P)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더(30)는 상기 주행장치(20)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면에 보조레일(31)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상기 주행장치(2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트롤리(4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레일(31)은 상기 트롤리(40)가 종방향으로 주행되는 레일이다.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보조레일(3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레일(31)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부에 권상기(41)가 설치되고 상기 권상기(4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와이어로프(42)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42)의 하단에 연결몸체(43)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몸체(43)의 하면에 후크(44)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보조레일(31)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권상기(41)에 설치된 후크(44)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후크(44)에 걸린 운반물(P)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상기(41)는 상기 와이어로프(42)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연결몸체(43)에 달린 상기 후크(4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후크(44)에 걸린 운반물(P)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아울러, 상기 권상기(41)는 상기 상부감지기(7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로프(42)는 상기 권상기(41)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것으로, 상기 권상기(41)와 연결몸체(43)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몸체(43)는 상기 와이어로프(42)의 하단에 상기 후크(4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그 상면에 상기 하부감지기(8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크(44)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운반물(P)을 걸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트롤리(40)에 설치되고 무선수신기(51)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무선수신기(51)를 통해 전송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장치(20)와 트롤리(40) 및 권상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격조작기(60)는 상기 트롤리(40)의 하부로 구비되고 무선송신기(61)가 내장되며 외면에 방향버튼(62)이 설치되며 외면에 자동보정버튼(63)이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기 방향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기(50)에 명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동보정버튼(63)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으로 상기 원격조작기(60)를 통해 상기 제어기(50)에 자동 보정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동 보정 명령 신호는 상기 권상기(41)와 후크(44)가 평면상에서 볼 때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후크(44)의 위치로 상기 권상기(41), 즉 상기 트롤리(40)가 이동되어 상기 후크(44)와 트롤리(40)의 이격된 간격이 해소되도록 제어하는 명령 신호이며, 이러한 신호에 따른 작동 및 제어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상부감지기(70)는 상기 권상기(41)의 하면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몸체(43)에 설치되는 상기 하부감지기(8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감지기(70)는 상기 하부감지기(8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감지기(70)는 그 하단에 장착되는 신호발신판(7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신호발신판(7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감지기(70)의 감지 신호를 넓게 분산시켜 상기 하부감지기(80)에 대한 위치의 감지가 더 넓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감지기(80)는 상기 연결몸체(43)의 상면에서 상기 상부감지기(70)를 향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감지기(70)로 전파나 레이저 등을 송신하여 그 자체의 위치를 상기 상부감지기(70)가 손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하부감지기(80)는 상기 상부감지기(70)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이거나 상기 상부감지기(70)의 신호를 반사하는 리플렉터일 수 있다.
상기 하부감지기(80)는 그 상단에 장착되는 신호수신판(8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신호수신판(8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신호발신판(71)에 의한 상기 하부감지기(80)의 감지가 더 넓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기(50)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보정버튼(63)을 누르면, 상기 상부감지기(70)로부터 상기 하부감지기(8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하부감지기(80)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장치(20)와 트롤리(40)를 작동시켜 상기 권상기(41)를 상기 연결몸체(43)의 상부에 자동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41)와 후크(44)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하부감지기(80)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권상기(41)와 후크(44)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중에, 상기 와이어로프(42)가 늘어지지 않도록 상기 권상기(41)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로프(42)를 권취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상기(41)의 하부로 운반물(P)이 수직의 위치, 즉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로프(42)를 풀면서 상기 후크(44)를 비스듬히 당겨서 상기 운반물(P)에 걸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권상기(41)에서 상기 후크(44)가 운반물(P)에 걸려 평면상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원격조작기(60)의 자동보정버튼(63)을 누르면, 상기 제어기(50)가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하부감지기(80)의 감지 정보를 통해 상기 주행장치(20)와 트롤리(40)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하부감지기(80)가 상하로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권상기(41)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로프(42)를 감아서 늘어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감지기(70)가 하부감지기(80)가 일치되면 도 3과 같이 상기 권상기(41)의 하부로 상기 후크(44)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권상기(41)와 운반물(P)이 정위치가 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물(P)을 들어올린 후에 상기 주행장치(20)와 트롤리(40)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즉, 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은 상기 권상기(41)와 운반물(P)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후크(44)를 상기 운반물(P)을 비스듬히 걸어서 고정한 경우에, 상기 트롤리(40)를 상기 운반물(P)의 상면에 정위치시켜 상기 운반물(P)의 끌림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운반물(P)의 후속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크레인 시스템은 상기 상부감지기(70)의 일측으로 상기 권상기(41)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50)와 연결되는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90)는 상기 권상기(41)의 하부를 촬영한 후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후크(44)의 형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기(5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9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함께 상기 후크(44)의 형상을 감지하여 상기 후크(44)의 위치에 대한 보다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90)를 통한 영상의 분석은 촬영된 영상에 있는 물체의 동작이나 형상의 변화를 분석하는 공지의 분석기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고정프레임
11 : 포스트 12 : 주행레일
20 : 주행장치
30 : 거더
31 : 보조레일
40 : 트롤리
41 : 권상기 42 : 와이어로프
43 : 연결몸체 44 : 후크
50 : 제어기
51 : 무선수신기
60 : 원격조작기
61 : 무선송신기 62 : 방향버튼
63 : 자동보정버튼
70 : 상부감지기
71 : 신호발신판
80 : 하부감지기
81 : 신호수신판
90 :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
P : 운반물

Claims (3)

  1. 다수의 포스트(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수평으로 주행레일(12)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0)과;
    각각의 상기 주행레일(12)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레일(12)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주행장치(20)와;
    상기 주행장치(20)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면에 보조레일(31)이 설치되는 거더(30)와;
    상기 보조레일(3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레일(31)을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부에 권상기(41)가 설치되고, 상기 권상기(4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와이어로프(42)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42)의 하단에 연결몸체(43)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몸체(43)의 하면에 후크(44)가 장착되는 트롤리(40)와;
    상기 트롤리(40)에 설치되고, 무선수신기(51)가 내장되며, 상기 무선수신기(51)를 통해 전송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장치(20)와 트롤리(40) 및 권상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와;
    상기 트롤리(40)의 하부로 구비되고, 무선송신기(61)가 내장되며, 사용자의 방향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기(50)에 명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외면에 자동보정버튼(63)이 설치되는 원격조작기(60)와;
    상기 권상기(41)의 하면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는 상부감지기(70)와;
    상기 연결몸체(43)의 상면에서 상기 상부감지기(70)를 향해 설치되는 하부감지기(80)와;
    상기 상부감지기(70)의 일측으로 상기 권상기(41)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50)와 연결되며, 상기 권상기(41)의 하부를 촬영한 후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후크(44)의 형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후크(44)의 형상 정보를 상기 제어기(50)에 전송하는 영상분석 형상 감지기(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50)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보정버튼(63)을 누르면, 상기 상부감지기(70)로부터 상기 하부감지기(8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하부감지기(80)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장치(20)와 트롤리(40)를 작동시켜 상기 권상기(41)를 상기 연결몸체(43)의 상부에 자동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41)와 후크(44)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고,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상부감지기(70)와 하부감지기(80)가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권상기(41)와 후크(44) 사이의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중에, 상기 와이어로프(42)가 늘어지지 않도록 상기 권상기(41)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로프(42)를 권취하며,
    상기 상부감지기(70)는,
    상기 하부감지기(80)에 대한 위치의 감지가 더 넓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감지기(70)의 하단에 장착되는 신호발신판(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감지기(80)는,
    상기 신호발신판(71)에 의한 상기 하부감지기(80)의 감지가 더 넓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감지기(80)의 상단에 장착되는 신호수신판(8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크레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50154607A 2015-11-04 2015-11-04 천장 크레인 시스템 KR10161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07A KR101618531B1 (ko) 2015-11-04 2015-11-04 천장 크레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07A KR101618531B1 (ko) 2015-11-04 2015-11-04 천장 크레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531B1 true KR101618531B1 (ko) 2016-05-04

Family

ID=5602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607A KR101618531B1 (ko) 2015-11-04 2015-11-04 천장 크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5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41B1 (ko) 2016-06-23 2016-12-30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80056081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크레인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00914A (ko) 2017-03-03 2018-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트롤리 호이스트
KR20190002153A (ko) * 2017-06-29 2019-01-08 (주) 케이티에스코리아 크레인 훅의 anti-snag & sway 제어 시스템
CN117246908A (zh) * 2023-11-16 2023-12-19 临沂众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础预制构件吊运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41B1 (ko) 2016-06-23 2016-12-30 비에이치중공업 주식회사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80056081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크레인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08969B1 (ko) * 2016-11-18 2018-10-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크레인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00914A (ko) 2017-03-03 2018-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트롤리 호이스트
KR20190002153A (ko) * 2017-06-29 2019-01-08 (주) 케이티에스코리아 크레인 훅의 anti-snag & sway 제어 시스템
KR101949953B1 (ko) * 2017-06-29 2019-02-21 (주) 케이티에스코리아 크레인 훅의 anti-snag & sway 제어 시스템
CN117246908A (zh) * 2023-11-16 2023-12-19 临沂众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础预制构件吊运装置
CN117246908B (zh) * 2023-11-16 2024-02-02 临沂众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础预制构件吊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531B1 (ko) 천장 크레인 시스템
US9108826B2 (en) Crane control
CN105377738B (zh) 用于平台的防坠保险装置
CN104995125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KR101439253B1 (ko) 천장 크레인 시스템
WO2018066051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1867798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CN104507848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KR101103719B1 (ko) 타워크레인 하역위치 타겟장치
CN104444813A (zh) 用于以提升臂提升混凝土产品的方法和提升臂
JP2006273533A (ja) コンテナ荷役用クレーン
JP2018111963A (ja) 移動足場装置
KR101025545B1 (ko) 이동식 크레인
JP7182955B2 (ja) 荷役装置及び荷役装置の運転方法
CN109534172B (zh) 一种集卡吊起检测装置及***
JP2008290817A (ja) 複数台で運転をする電気ホイスト
KR101949953B1 (ko) 크레인 훅의 anti-snag & sway 제어 시스템
JP3659117B2 (ja) ケーブルクレーンのバケット制御システム
KR20180089728A (ko) 크레인 충돌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2006160402A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におけるシャシ位置検出装置
KR20180074232A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KR102106791B1 (ko) 타워크레인의 건축자재 기울어짐 감지시스템 및 감지 방법
CN221115998U (zh) 幕墙玻璃的运输装置
US9751731B1 (en) Reel hoist interlock system
KR101568556B1 (ko) 물류자동화장치 및 물류자동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