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85B1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85B1
KR101614485B1 KR1020150082888A KR20150082888A KR101614485B1 KR 101614485 B1 KR101614485 B1 KR 101614485B1 KR 1020150082888 A KR1020150082888 A KR 1020150082888A KR 20150082888 A KR20150082888 A KR 20150082888A KR 101614485 B1 KR101614485 B1 KR 10161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railer
support
main body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연
Original Assignee
김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연 filed Critical 김병연
Priority to KR102015008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F03D1/00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선단부가 주변의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는 후방지지대(B)와 전방지지대(C)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반트레일러를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를 운반할 때,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도로의 양측에 있는 장애물(2)에 걸리게 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블레이드(1)가 장애물(2)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를 운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Trailer to adjust inverse loading height of wind generator blade}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선단부가 주변의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늘어감에 따라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설치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발전기의 구동축에 방사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바람이 불어오면 상기 블레이드가 발전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발전기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발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가 60m 이상으로 길게 제작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공장에서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는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에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이송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트레일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2)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A)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B)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C)로 구성된다.
따라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1)를 들어올려, 상기 블레이드(1)의 전후단이 상기 전방지지대(C)에 올려지도록 한 후, 블레이드(1)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B)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트럭(12)을 이용하여 트레일러본체(A)를 끌어서 블레이드(1)를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운반트레일러는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B)에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는 상기 트럭(12)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됨으로, 코너를 돌 때,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도로의 양측에 있는 구조물이나, 도로의 양측에 심어진 가로수 등과 같은 장애물(2)에 걸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운반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1)를 운반할 때 많은 제한요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44014호, 등록특허 10-148194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주변의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2)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A)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B)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C)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대(B)는 전면에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측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1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본체(21)와, 상기 지지대본체(21)에 연결되어 지지대본체(21)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울기조절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대(C)는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대(30)와, 후단부가 상기 고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측 회동아암(41,42)과,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대(50)와, 상기 상측 또는 하측 회동아암(42)에 연결되어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상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대(50)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바(51a)와 상기 수직바(51a)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바(51b)로 구성된 승강대본체(51)와, 양단이 상기 수직바(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올려진 블레이드(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52)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은 전후방향 길이가 동일하고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대(30)와 승강대(50)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대(50)의 상단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카메라(90)와, 상기 트럭(12)의 운전석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90)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9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롤러(52)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롤러(5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수단(70)과,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과 상기 회동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는 후방지지대(B)와 전방지지대(C)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반트레일러를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를 운반할 때,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도로의 양측에 있는 장애물(2)에 걸리게 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블레이드(1)가 장애물(2)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를 운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의 승강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2)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A)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B)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C)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방지지대(B)는 전면에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측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1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본체(21)와, 상기 지지대본체(21)에 연결되어 지지대본체(21)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울기조절수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은 양단이 상기 지지대본체(21)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에 각각 힌지결합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본체(21)에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을 신장시키면, 상기 지지대본체(21)의 상단이 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지지대본체(21)에 고정된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대(C)는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대(30)와, 후단부가 상기 고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측 회동아암(41,42)과,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대(50)와, 상기 하측 회동아암(42)에 연결되어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상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이 상기 트레일러본체(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상측 회동아암(41)과 하측 회동아암(42)은 전후방향 길이가 동일한 바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대(30)와 승강대(50)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대(50)가 수직을 유지하는 상태로 승강되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30)와 승강대(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승강대(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바(51a)와 상기 수직바(51a)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바(51b)로 구성된 승강대본체(51)와, 양단이 상기 수직바(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올려진 블레이드(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롤러(52)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바(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2a)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60)은 일단은 상기 고정대(3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회동아암(42)에 힌지결합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구동수단(60)이 신축되면 상기 하측 회동아암(4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50)가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을 신장시켜 상기 전방지지대(C)에 고정된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회동구동수단(60)이 신축되면, 상기 승강대(50)가 상승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지지대본체(21)와 블레이드(1)의 기단부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52)의 회전축(52a)에는 상기 지지롤러(5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수단(70)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60)과 기울기조절수단(22)에는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60)과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52a)은 상기 승강대(50)의 수직바(51a)에 일정한 유격범위 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은 상기 회전축(52a)과 승강대(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롤러(52)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80)에는 트럭(12)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스위치(81)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조작스위치(8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80)이 상기 회동구동수단(60)과 기울기조절수단(22)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대본체(21)를 회동시키고, 상기 승강대(50)를 승강시켜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승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승강되도록 할 때,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60)과 기울기조절수단(22)의 신축속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회동구동수단(60)과 기울기조절수단(22)은 각각 별도로 구성됨으로, 상기 승강대(50)가 상승되는 속도와,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들어올려지는 속도가 서로 달라서,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상기 승강대(50)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거나,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상기 승강대(50)에 과도하게 강하게 밀착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과 회동구동수단(60)을 신장시켜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승강대(50)를 승강시킬 때,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52)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된 값에 비해 작아질 경우,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롤러(5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지롤러(52)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된 값에 비해 커질 경우,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롤러(52)에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이 신축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블레이드(1)가 상기 지지롤러(52)에 적절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의 하중이 상기 후방지지대(B)와 전방지지대(C)에 적절히 분산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50)의 상단, 즉, 상기 수직바(51a)의 상단에는 카메라(90)가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트럭(12)의 운전석에는 상기 카메라(90)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91)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제어유닛(80)의 조작스위치(81)를 조작하여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승강시킬 때, 상기 모니터(9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블레이드(1)가 상승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는 후방지지대(B)와 전방지지대(C)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반트레일러를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를 운반할 때,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도로의 양측에 있는 장애물(2)에 걸리게 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블레이드(1)가 장애물(2)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를 운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승강대(50)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바(51a)와, 상기 수직바(51a)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바(51b)로 구성된 승강대본체(51)와, 양단이 상기 수직바(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올려진 블레이드(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52)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50)를 승강시킬 때, 상기 지지롤러(52)가 적절히 회전되면서,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면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는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B)의 지지대본체(21)에 고정되어 지지대본체(21)가 회동됨에 따라 선단부가 상승되며, 상기 승강대(50)는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의 선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승강됨으로,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가 상승될 때, 상기 블레이드(1)와 승강대(50)의 사이에는 변위차가 발생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가 승강될 때, 상기 블레이드(1)의 하측면에서 상기 승강대(50)가 밀착되는 위치는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 변동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50)는 지지롤러(52)가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블레이드(1)와 승강대(50)의 사이에 변위차가 발생되면 상기 지지롤러(52)가 적절히 회전됨으로서, 승강대(50)와 블레이드(1)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블레이드(1)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50)의 상단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카메라(90)가 구비되고, 상기 트럭(12)의 운전석에는 상기 카메라(90)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91)가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카메라(90)에 의해 촬영된 블레이드(1) 전방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91)에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상기 승강대(50)는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됨으로, 상기 승강대(50)가 승강되더라도 상기 카메라(90)는 항상 전방을 향하여 블레이드(1) 전방의 장애물(2)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모니터(9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상기 블레이드(1)가 장애물(2)에 걸리지 않도록 블레이드(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52)에는 상기 지지롤러(5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수단(70)이 구비되고,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과 상기 회동구동수단(60)에는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과 상기 회동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이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과 회동구동수단(60)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블레이드(1)의 하중이 상기 후방지지대(B)와 전방지지대(C)에 적절히 분산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트레일러본체 B. 전방지지대
30. 고정대 41,42. 상하측 회동아암
50. 승강대 60. 회동구동수단
70. 하중감지수단 80. 조작스위치

Claims (3)

  1.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2)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A)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블레이드(1)의 후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B)와,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C)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대(B)는
    전면에 상기 블레이드(1)의 후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후측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1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본체(21)와,
    상기 지지대본체(21)에 연결되어 지지대본체(21)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울기조절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지지대(C)는
    상기 트레일러본체(A)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대(30)와,
    후단부가 상기 고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하측 회동아암(41,42)과,
    상기 블레이드(1)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대(50)와,
    상측 또는 하측 회동아암에 연결되어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상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대(50)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바(51a)와 상기 수직바(51a)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바(51b)로 구성된 승강대본체(51)와,
    양단이 상기 수직바(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올려진 블레이드(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52)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 회동아암(41,42)은 전후방향 길이가 동일하고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대(30)와 승강대(50)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롤러(52)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롤러(5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수단(70)과,
    상기 하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2)과 상기 회동구동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82888A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KR10161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88A KR101614485B1 (ko)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88A KR101614485B1 (ko)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485B1 true KR101614485B1 (ko) 2016-04-21

Family

ID=5591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888A KR101614485B1 (ko)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4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08B1 (ko) * 2012-09-21 2014-07-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08B1 (ko) * 2012-09-21 2014-07-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890B2 (en) Adjustable span tine pallet jack
KR101008221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NL2014049B1 (en) Pile upending system.
EP1084987A1 (en) Retractable counterweight for straight-boom aerial work platform
JPH06102518B2 (ja) 釣合い重錘キヤリアを備えたクレーン
KR101635168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용 승강장치
CN111169438B (zh) 调平方法和可调平台
KR101621658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송을 위한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블레이드 기립장치
KR101614485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상차 높이조절 트레일러
CN105384090A (zh) 起重机的自动架设
KR20190031213A (ko)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JP7394077B2 (ja) ブーム付き大型クレーン
KR101864098B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수평 유지장치
JP6324265B2 (ja) 軌陸車の転車台
JP5660732B2 (ja) 回転可能な上部構造のためのレベリング装置
EP1384698A1 (en) Lifting vehicle having telescopic arms for transfer of loads
JP4050890B2 (ja) ブーム作業車
KR101422708B1 (ko) 화물 운반용 트럭
KR101776468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KR101528718B1 (ko) 파워게이트 일체형 안전지지대
JP2007261730A (ja) ワーク保持装置
JPH0367959B2 (ko)
JP3836288B2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3943397B2 (ja) ブーム作業車
KR20000067167A (ko) 크레인이 구비된 지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