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011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011B1
KR101614011B1 KR1020150004112A KR20150004112A KR101614011B1 KR 101614011 B1 KR101614011 B1 KR 101614011B1 KR 1020150004112 A KR1020150004112 A KR 1020150004112A KR 20150004112 A KR20150004112 A KR 20150004112A KR 101614011 B1 KR101614011 B1 KR 101614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input unit
terminal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민
정상우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to KR102015000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3Devices of electrically driving keys, e.g. to facilitat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치 및 푸쉬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가 도어락 레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외부 레버 및 내부 레버로 이루어진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외부 레버 상부에 위치하며 터치(touch) 및 푸쉬(push)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상부 입력부와, 상기 외부 레버 하부에 위치하며 터치(touch) 및 푸쉬(push)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하부 입력부와, 상기 상부 입력부와 상기 하부 입력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처리하되 상기 하부 입력부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무시하고,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입력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도어락을 절전 모드로 설정하고 절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들어오면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치 및 푸쉬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가 도어락 레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푸쉬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푸쉬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최근에는 가벼운 터치만으로 입력이 용이하며 디자인적인 미감을 발휘하는 터치스크린을 전기 작동식 도어락에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도어락의 경우 터치 감도를 높이기 위해 대부분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드시 맨손으로 터치를 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용자는 장갑을 낀 채로 터치 입력을 할 수 없으며 장갑을 벗고 터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기 자동식 도어락은 한국등록특허 제0886772호 등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벽면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도어락의 디자인이 한정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새로운 느낌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푸쉬 입력도 가능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의 입력부를 도어의 벽면이 아닌 다른 부분에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도어락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외부 레버 및 내부 레버로 이루어진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레버의 제1면에 위치하며 터치(touch) 및 푸쉬(push)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면 입력부와, 상기 외부 레버의 제1면과 반대 방향인 제2면에 위치하며 터치(touch) 및 푸쉬(push)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면 입력부와, 상기 외부 레버의 회전이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인식하여 상기 제1면 입력부와 상기제2면 입력부가 상부 입력부인지 하부 입력부인지 인식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기울 센서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처리하되 상기 하부 입력부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무시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숫자 및 기호가 표기된 푸쉬 버튼과, 상기 푸쉬 버튼 및 그 주변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 버튼 중 어느 하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되 숫자의 내부가 제1 단자가 되고 숫자의 외부가 제2 단자가 되어 이를 통해 마스터 키의 입력 단자와 접촉하여 마스터 키로부터 ID 정보를 받아 상기 도어락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별히 상기 푸쉬 버튼 중 '0'번 버튼이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되 '0'번의 내부가 제1 단자를 구성하고 '0'번의 외부가 제2 단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터치 및 푸쉬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맨손이든 장갑을 끼든 상관없이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및 푸쉬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가 도어락 레버에 배치되어 있어서 별도의 터치스크린이 필요 없기 때문에 도어락의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부가 도어락 레버의 상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서 별도의 터치스크린 없이도 우수문 또는 좌수문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입력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 레버의 상부 입력부는 활성화시키고 하부 입력부는 비활성 상태로 하여, 양면의 버튼 어레이가 모두 동작하게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조작 오류와 전력 낭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 레버에 터치 및 푸쉬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버튼 어레이를 배치하고 버튼 어레이를 손가락으로 순차 터치할 때 절전 모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느낌의 입력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 레버의 버튼에 마스터키를 위한 단자를 일체로 설치하여 종래 도어락에 별도의 마스터키 전용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락 디자인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레버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버튼 어레이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레버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락은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레버(100) 및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레버(200)로 구성되며, 외부 레버(100)에는 버튼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버튼 어레이가 외부 레버(100)의 상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버튼 어레이가 외부 레버(100)의 하부에도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버튼 어레이를 외부 레버(100)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우수문 및 좌수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버튼 어레이가 외부 레버(100)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상부의 버튼 어레이만 동작하고 하부의 버튼 어레이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어락에 기울기 센서를 내장하여 기울기 센서의 감지 동작에 기반하여 상부의 버튼 어레이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허용하되 하부의 버튼 어레이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버튼 어레이는 복수의 버튼(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버튼(1)에는 숫자('0', '1', '2', ... '5') 및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어레이는 터치 및 푸쉬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푸쉬 버튼(1) 위나 그 주변에 터치 센서(2)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2)로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푸쉬 버튼(1) 중에서 어느 하나는 마스터 키와 접촉하여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0'번 버튼이 제1 단자(11) 및 제2 단자(13)를 구비하여 이 단자들이 마스터 키의 입력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마스터 키로부터 ID 정보를 받을 수 있다. '0' 버튼을 확대해서 보면, '0'번의 내부가 제1 단자(11)를 구성하고 '0'번의 외부가 제2 단자(13)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숫자의 버튼도 마스터 키와 접촉하는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0' 버튼과 동일한 방식으로 숫자의 내부가 제1 단자가 되고 숫자의 외부가 제2 단자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외부 레버(100)의 버튼 어레이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외부 레버(100)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버튼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0'번 버튼 조립체(110)를 보면, 다른 번호의 버튼 조립체와 달리 마스터 키의 입력 단자와 접촉하는 제1 단자(11) 및 제2 단자(13)가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자(13)는 버튼 조립체(110)의 하우징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버튼 조립체(110)의 하우징과 그 내부가 각각 마스터 키를 위한 단자 역할을 함으로써 별도의 마스터 키 전용 단자를 도어락 장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는 상부 입력부(10), 하부 입력부(20), 기울기 센서(30), 도어락 제어부(40), 도어락 구동부(50), 배터리(60) 등을 포함한다.
상부 입력부(10)는 도어락의 외부 레버(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버튼 어레이로서, 푸쉬 버튼 및 터치 센서로 구성되어 터치 및 푸쉬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입력부(20)는 도어락의 외부 레버(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버튼 어레이로서, 푸쉬 버튼 및 터치 센서로 구성되어 터치 및 푸쉬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0)는 기울기에 반응하는 센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30)는 도어락의 외부 레버(100)에 내장되어 외부 레버(100)의 상부 및 하부를 인식한다. 기울기 센서(30)는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내부의 접점이 온 되거나 각도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어락 제어부(40)는 도어락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제어부(40)는 기울기 센서(30)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부 입력부(10)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허용하되 하부 입력부(20)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무시한다.
도 4는 도어락 장치의 중립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도어락 장치가 우수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도어락 장치가 좌수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기울기 센서(30)는 도어락 장치의 중립 상태에서 수평 상태가 되도록 내장되어 있으며, 중립 상태에서는 제1면의 좌측 버튼 어레이와 제2면의 우측 버튼 어레이가 모두 비활성 상태이다.
우수문의 경우, 도어락 장치의 설치 후 레버(100, 200)를 도 5와 같이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기울기 센서(102)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바뀌고 좌측 버튼 어레이가 상부 버튼 어레이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락 제어부(40)가 기울기 센서(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부 버튼 어레이(10)가 된 좌측 버튼 어레이를 활성화시키고 하부 버튼 어레이(20)가 된 우측 버튼 어레이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좌수문의 경우, 도어락 장치의 설치 후 레버(100, 200)를 도 6과 같이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기울기 센서(102)가 수평 상태에서 우수문과 반대방향의 수직 상태로 바뀌고 우측 버튼 어레이가 상부 버튼 어레이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락 제어부(40)가 기울기 센서(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부 버튼 어레이(10)가 된 우측 버튼 어레이를 활성화시키고 하부 버튼 어레이(20)가 된 좌측 버튼 어레이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도어락 제어부(40)는 활성화된 상태의 버튼 어레이 즉, 상부 버튼 어레이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는 처리하고 비활성 상태의 버튼 어레이 즉, 하부 버튼 어레이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는 무시한다.
도어락 제어부(40)는 상부 입력부(10)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입력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도어락을 절전 모드로 설정하고, 절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부 입력부(10)로부터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들어오면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
도어락 구동부(50)는 도어락 제어부(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도어락 제어부(40)는 상부 입력부(10)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50)로 개방 명령을 출력하거나 도어의 닫힘이 확인될 때 도어락 구동부(50)로 폐쇄 명령을 출력한다.
배터리(60)는 도어락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는 건전지나 2차 전지가 될 수 있으며, 건전지 및 2차 전지가 도어락의 전원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락의 입력 장치의 사용 예를 보면, 먼저 도어락이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버튼 어레이의 버튼을 손가락으로 미끄러지듯 터치(스와이프)(swipe)하면 절전 모드가 해제되고 이후 사용자가 버튼 어레이의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동작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스터 키의 단자를 '0'번 버튼에 접촉시키면 비밀번호를 누르지 않더라도 바로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 버튼 2: 터치 패널
10: 상부 입력부 20: 하부 입력부
30: 기울기 센서 40: 도어락 제어부
50: 도어락 구동부 60: 배터리
110: 버튼 조립체

Claims (8)

  1. 외부 레버 및 내부 레버로 이루어진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레버의 제1면에 위치하며 터치(touch) 및 푸쉬(push)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면 입력부와,
    상기 외부 레버의 제1면과 반대 방향인 제2면에 위치하며 터치(touch) 및 푸쉬(push)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면 입력부와,
    상기 외부 레버의 회전이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인식하여 상기 제1면 입력부와 상기 제2면 입력부가 상부 입력부인지 하부 입력부인지 인식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기울기 센서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기울 센서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처리하되 상기 하부 입력부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무시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숫자 및 기호가 표기된 푸쉬 버튼과,
    상기 푸쉬 버튼 및 그 주변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 중 어느 하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되 숫자의 내부가 제1 단자가 되고 숫자의 외부가 제2 단자가 되어 이를 통해 마스터 키의 입력 단자와 접촉하여 마스터 키로부터 ID 정보를 받아 상기 도어락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 중 '0'번 버튼이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하되 '0'번의 내부가 제1 단자를 구성하고 '0'번의 외부가 제2 단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입력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도어락을 절전 모드로 설정하고 절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입력부로부터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들어오면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150004112A 2015-01-12 2015-01-12 도어락 장치 KR10161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12A KR101614011B1 (ko) 2015-01-12 2015-01-12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12A KR101614011B1 (ko) 2015-01-12 2015-01-12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011B1 true KR101614011B1 (ko) 2016-04-20

Family

ID=5591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112A KR101614011B1 (ko) 2015-01-12 2015-01-12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80B1 (ko) 2016-04-29 2016-11-04 주식회사 유경하이테크 도어록 장치용 레버의 구멍 펀칭장치
KR20230082909A (ko) * 2021-12-02 2023-06-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4-07-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4-07-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80B1 (ko) 2016-04-29 2016-11-04 주식회사 유경하이테크 도어록 장치용 레버의 구멍 펀칭장치
KR20230082909A (ko) * 2021-12-02 2023-06-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92285B1 (ko) * 2021-12-02 2023-10-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3346B (zh) 合并有生物测定传感器的输入设备
TWI539318B (zh) 具有多功能感測器的電子裝置及運作方法
US20060084482A1 (en) Electronic hand-held device with a back cover keypad and a related method
US20110095992A1 (en) Tools with multiple contact points for use on touch panel
WO2016192642A1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CN204695233U (zh) 一种具有鼠标功能的键盘
JP2008517363A5 (ko)
EP3298481B1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y mounted bezel for intera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lectronic device
US859340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commands in the same
CN102902471A (zh) 一种输入界面的切换方法以及装置
US2018003935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tal touch sensor
CN103677283B (zh) 具有触控板按键的键盘
KR101614011B1 (ko) 도어락 장치
CN104859561B (zh) 用于汽车上的车机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6740389B2 (ja) 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適応的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2015045218A (ja) 車のリモートキー
US20100149103A1 (en) Touch-typing keyboard for touch screens
JP2007065993A (ja) 入力装置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KR20120121316A (ko) Led 화면에 손가락으로 작동되는 터치 도어락, 숫자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화면
KR100976208B1 (ko) 터치스크린 방식 디지털 도어록 인증방법
CN109710098B (zh) 具有显示屏的触控按钮及家用电器
CN108603385B (zh) 门锁的输入装置
CN103513789A (zh) 触控鼠标
US20180292924A1 (en) Input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